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국기업지배구조의 시대적 변천

        이세인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0 법학논총 Vol.30 No.2

        The topic of corporate governance became an important issue these days in the world market since many investors are looking for companies which can guarantee transparent management and maximize shareholders’ equity. Particularly, there is a movement among the various companies and countries in the world to adopt the US-style corporate governance system. Many companies adopt the US-style system because they want to obtain necessary funds from the US market. Moreover, many countries are adopting the US-style system when they establish or change their corporate governance system because they consider the US-style system has some competitiveness in the world market. There have been many arguments for change of Korean corporate governance system when many problems and corruptions in corporate management were found at the IMF crisis of late 1990’s. Actually, some provisions of the Korean Commercial Act of Korea dealing with corporate governance system have been changed, and some more provisions are now recommended for change in the National Assembly. The inserted and recommended amendments to the Korean Commercial Act also adopt in many parts the US style corporate governance system. Therefore, it seems meaningful for us to study how the US corporate governance system has developed in history in order to understand the positive and negative aspect of the system, and how it should be adopted and implemented in other countries including Korea. During the last fifty to sixty years, there was not much change in the US corporate governance system in that CEO and senior executive officers still take the leading roles of the company management. However, the big change is that monitoring function of the activities of CEO and senior executive officers have strengthened. That monitoring function have been carried out by the increased number of institutional investors, independent directors, and various committees in the board of directors. People lost their trust in the management of public companies at the incident of the Nixon scandal in 1970’s and the Enron scandal and other related accounting fraud of the early 2000’s. American Bar Association, American Law Institute, and other groups raised their voices for changes in corporate governance system. As a result, ALI published “Principles of Corporate Governance” in 1994 which sets forth the standard and guidelines for corporate governance system. Also, the US Congress passed Sarbanes Oxley Act in 2002 for the purpose of “protecting investors by improving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corporate disclosures made pursuant to the securities laws, and for other purposes.” NYSE and Nasdaq also changed the listing requirement for the public companies to maintain controlled management system. There have been both positive and negative reactions to those corporate governance changes made by Sarbanes Oxley Act and NYSE & Nasdaq listing requirements. Some investors see its positive side of providing transparent and trustful management, but some companies argue that too strict monitoring system hinder corporate management from taking even sound business risk, and leave them in very inactive position. The purpose of the change in corporate governance system in the US and in Korea is to strengthen monitoring functions over the corporate management. Since corporation has a unique system of separate ownership and management, this change will help in bringing trustful corporate management. However, it is to be further studied to see whether there is a positive corelation between the trustful corporate governance system and increase in company profits. 최근 전 세계적으로 기업의 지배구조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는 전세계적인 시장경제에서 활동하는 투자자들이 국적을 떠나서 투명한 경영이 이루어지고 주주의 이익을 최대화 할 수 있는 기업을 투자대상으로 삼고자 하기 때문이다. 현재 여러 국가와 기업에서 미국식 기업지배구조를 도입하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는데, 이는 미국 금융시장이 세계경제에 미치는 영향력이 매우 강한 가운데, 미국 시장에서 자본을 조달하는 세계 각국의 기업이 크게 늘면서 미국의 투자자들이 자신들에게 친숙한 기업지배구조를 갖추도록 요구하는 것을 한 요인으로 꼽을 수 있다. 또한 많은 국가들이 기업지배구조를 도입하거나 개선할 때 세계적으로 경쟁력을 갖고있다고 여겨지는 미국식 제도를 도입하는 것도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도IMF 사태 이후 회사지배구조의 변화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졌고, 이에 상법상의회사지배구조와 관련된 일부 내용이 개정되어 시행 중이고, 또한 그 외 내용에 대해서는 개정안이 제출된 상태이다. 우리 상법의 회사지배구조 개정안도 상당 부분 미국의 제도를 도입·수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에 미국의 기업지배구조가 어떠한 역사적 과정을 통해 변화되어 왔는지 살펴보는 것은 상당히 의미 있는 일이라고 본다. 지난 50~60년간의 미국 기업지배구조의 변천과정을 살펴볼 때 CEO 및 상급집행임원 중심의 경영체제가 유지되는 것에는 큰 변함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지배구조에있어서 가장 큰 변화라고 한다면, CEO 및 상급임원의 활동 및 업무에 대한 감독 및 감시의 기능이 증대된 것인데, 상대적으로 그 숫자가 증가한 기관투자자들, 독립이사,이사회 내의 각 종 위원회 등을 통해 그 기능이 수행되고 있다. 1970년대의 닉슨 스캔들과 2000년대 초의 회계 부정사건 등은 공개회사의 이사 및 경영진에 대한 신뢰를 크게 떨어뜨렸고, 이에 변호사협회 및 법률단체, 시민단체 들에 의한 지배구조 개혁의목소리가 높아졌다. ALI에서는 1994년에 회사지배구조의 원칙을 발표하였고, 연방의회는 2002년 기업회계개혁법을 제정하기에 이른다. 이러한 지배구조의 변화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평가와 부정적이 평가가 엇갈리는데, 특히 기업들은 기업회계개혁법의 도입으로 발생하는 비용이 경영의 부담을 증가시키고 경영을 위축시키고 있다고주장하고 있다. 미국에서의 지배구조의 개혁과, 우리나라에서의 지배구조 개선안 모두 회사경영에 대한 감독 및 감시의 기능을 강화시킴으로써 신뢰도를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것이다. 주주 및 투자자들에게 신뢰를 줄 수 있는 지배구조는 회사의 가치를 높이는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것임에는 의심이 없다. 다만, 이렇게 신뢰도를 높이는 회사의지배구조가 회사의 수익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앞으로 기업의 지배구조에 대한 더 많은 관심과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본다.

      • KCI등재

        국제카르텔 제재의 국제적 수렴현상

        이세인 梨花女子大學校 法學硏究所 2013 法學論集 Vol.17 No.3

        Competition law regulates anti-competitive activities such as cartel, illegal mergers, and abuse of market power. Global Convergence in competition law area means that the competition laws of different countries change and move to similar direction. The reason that we can see significant global convergence in competition law area during the last twenty years is that countries cooperate in legislating and enforcing their competition laws. Countries cooperate through bilateral relationship between two countries, or they cooperate through international organizations such as OECD and UN to discuss current topics on competition law and to suggest some relevant policies in the area. Actually, during the last twenty years, the United States and the European Union have been major players in leading bilateral cooperation as well as multilateral movement for global convergence in competition law area. In relation to enforcement against international cartel, many countrie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the European Union, Japan, China, and Korea have recently developed its competition tools in similar direction. First of all, they increased level of criminal or administrative penalties against the companies and individuals who engage in international cartels. Some countries even greatly increased maximum number of years of imprisonment for individuals up to ten years. Second, many countries adopted leniency policy for the purpose of expediting investigation process, and actually increasing number of companies and individuals are using the leniency policy to be exempted from fines and imprisonment. Third, many countries now apply their competition laws to the activities carried on outside of their countries under the theory of extraterritorial application. Although different countries use various legal doctrines for extraterritorial application of their competition laws, Korea, the US, the EU, and many countries use “Effect Doctrine”, which mean that if the anti-competitive activities carried out outside the country brings effect to the country, the competition law of the country should be applied to such activities. In sum, countries in the world have developed their competition laws to strongly enforce anti-cartel regulations and punish severly against the law-breakers during the last twenty years. Strong anti-cartel regulation may help to stabilize world market by stimulating competition. However, it also means greater risk of violating competition laws of foreign countries for Korean multinational companies, whose main activity is making sales in different countries. Under this circumstance, global convergence can work positively for these companies because they now have an expectation on how the law may be in other countries, or how it would develop. I am in the opinion that Korean competition authority, legal community, and academics should cooperate in researching and educating fast-changing competition environment of the world to the actual players in the corporations so our corporations carry out its business under the global standard of competition. 국제화 시대를 맞아 여러 나라들의 교류를 통해 다양한 법 분야에서 수렴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이 중 한 분야가 경쟁법 분야인데, 특히 국제카르텔 제재와 관련한 부분에서 수렴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이 분야에서 주요하게 나타나는 수렴현상은 과징금 및 형사처벌의 강화, 자진신고제도의 도입 및 활용의 증대, 관련 경쟁법 규정의 역외적용이다. 첫째, 과징금 및 형사처벌의 강화와 관련하여서는, 미국과 유럽연합의 경우 2000년대 중반에 카르텔 가담자에 대한 형사처벌 및 과징금 부과 규정을 강화시켰고, 한국과 일본의 경우도 국제카르텔에 대한 형사 및 행정제재의 수위를 높여 최근 적발된 국제카르텔에 대해 거액의 벌금 및 과징금을 부과한 바 있다. 둘째, 자진신고제도의 도입 및 활용의 증대와 관련하여서는, 한국, 미국, 유럽연합, 호주, 일본이 현재 모두 자진신고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또한 증가하는 과징금 및 벌금에 대해 부담감을 느끼는 기업과 개인들이 자진신고제도를 보다 많이 활용하고 있다. 셋째, 경쟁법의 역외적용과 관련하여서는, 많은 국가들이 자국 영토 밖에서 행해진 카르텔 행위라고 하더라도 자국 내 시장에 영향을 미쳤을 경우에는 이를 처벌하는 법률을 제정하거나, 판례로서 법리를 구성하여 해당 카르텔 가담자들을 처벌하고 있다. 국제카르텔 제재부분의 수렴현상을 주도한 가장 대표적인 주체는 미국과 유럽연합이라고 할 수 있다. 이들은 1991년에 반독점협력협정을 맺고 다양한 경쟁법 분야에서의 협력을 꾀하여 왔다. 그러나 2000년대에 들어서는 국제기구 및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세계 여러 나라가 경쟁법의 발전과 수렴에 역할을 담당하였다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입장에서 볼 때, 위의 세 가지 현상을 포함한 국제카르텔 분야의 수렴현상은 몇 가지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첫째, 국제카르텔에 대한 제재 강화 및 역외적용은 수출에 의존하는 우리 기업들이 타국의 경쟁법 체재에 노출될 위험이 증대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둘째로는 이미 경쟁법 관련 국제기구 및 단체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우리 경쟁당국과 법조인 및 학자를 통해 변화하는 경쟁법 수렴 환경을 빠르게 파악하여 국내 기업들을 교육할 수 있는 환경에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즉, 기업들이 처하게 될 경쟁 환경은 제재가 강화된다 할지라도, 이를 사전에 파악하고 충분히 대처하여 우리 기업들의 경쟁 활동이 글로벌 스탠다드에 맞도록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셋째, 세계 무역의 상당 부분에 관여하고 있는 우리나라가 국제적인 수렴현상을 주도적으로 이끌 기회를 얻을 수 있다고 본다. 현재 각국에서 국제카르텔에 대한 제재 강화현상이 두드러지고 있으나, 아직까지 하나의 행위에 대해 여러 나라에서 처벌될 수 있는 위험성을 어떻게 해결할 지의 문제, 각국의 손해배상 산정법이 다른 경우 발생하는 공정성의 문제 등에 대해 거시적으로 제안을 한 경우는 없었다. 이는 다국적으로 활동하는 우리 기업들에게 현실적으로 다가오는 문제인 만큼, 앞으로 이러한 부분에 대한 연구도 더 심도 있게 진행되기를 기대해 본다.

      • KCI등재

        CPU 기반의 볼륨 변형을 위한 다형질 Chainmail 모델

        이세인,계희원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19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Vol.22 No.7

        Since a surgery simulation should be able to represent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human body, it is advantageous to adopt volume based techniques rather than polygon based techniques. However, the volume based techniques induce large computation to deform heterogeneous volume datasets such as bones and muscles. In this study, we propose a new method to deform volume data using multi-core CPUs. By improving previous studies, the proposed method minimizes unnecessary propagation operations. Moreover, we propose an efficient task-partitioning method for volume deformation using multi-core CPUs. As a result, we can simulate the deformation of heterogeneous volume data at an interactive speed without special hardware.

      • KCI등재

        국제상거래에 있어서의 경쟁법에 관한 연구-미국의 경쟁법을 중심으로-

        이세인 법무부 2008 통상법률 Vol.- No.80

        미국은 셔먼법, 클레이튼법, 연방거래위원회법 등의 연방경쟁법률의 제정 이후 연방법원의 판례를 통해 이러한 경쟁법률을 미국영토 밖에서 행해진 외국인의 행위에 대해 역외적용하는 이론을 확립시켰다. 미국법무부는 확립된 경쟁법의 역외적용이론에 기초하여 국제적 경쟁제한행위를 규제하는 정책을 수립하여 운영하고 있는데, 2000년대에 들어서는 국제적 경쟁제한행위에 가담하는 미국기업과 미국인뿐만 아니라 외국기업과 외국인에게도 중한 형량을 부과하고 있다. 그 뿐 아니라 국경감시, 인터폴, 범죄인인도협약 등의 수단을 통해 외국에 거주하는 외국인에 대해서도 형사처벌을 하겠다는 강한 의지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미국법무부의 정책운영 과정에서 한국기업들이 미국법무부의 수사대상이 되어 담합 여부에 대한 유죄를 인정하고 벌금을 부과 받거나 기업의 임직원들이 징역형을 부과 받은 사건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이에 앞으로는 미국시장에 영향을 주는 활동을 하는 기업들은 반드시 미국의 경쟁법 체제 및 미국법무부의 정책에 대해 정확하게 이해하고 이에 맞게 임직원들을 교육시키고 지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할 것이다. 물론 미국경쟁법의 역외적용은 미국이 강력한 국력을 바탕으로 외국인과 외국기업까지도 규제하려고 한다는 점에서 비난의 대상이 되어오기도 하였다. 그러나 지금에 와서는 우리나라를 비롯한 많은 국가들이 자국의 경쟁법을 역외 적용할 수 있는 기본법리를 수립해 놓은 상태이고, OECD 및 ICN 등의 국제기구와 네트워크를 통해 세계적으로 경쟁법의 수렴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경쟁법 환경에서 한국 기업들은 미국의 경쟁법 체제뿐만 아니라 세계적인 경쟁법의 변화를 잘 파악하고, 경영수준을 국제적인 수준으로 향상시켜 세계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갖추어야 할 것이다. 정부 및 학계도 기업이 이렇게 변화하는 경쟁법 환경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교육과 지원에 힘써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미국의 상사법 교육의 현황과 시사점

        이세인 한국상사법학회 2011 商事法硏究 Vol.30 No.1

        The US law professors use various teaching methods for commercial law and corporations law classes. They tend to use traditional case-socratic method for first year courses and other basic courses. Problem method,seminar type of classes are used for upper-level classes. Legal Clinic is also an important way of providing practical experience to the students. Korean legal system can find its origin in the civil law system, where statutes and codes come before the cases, and the cases do not have binding force of law. Therefore using traditional case-socratic method as in the US for Korean law school subjects may not be appropriate. Instead, it will be helpful to use both statutes and cases in the class. Problem method seems to be a good way to provide Korean law school students opportunities to apply the learned legal principles to real-world situations. However it will require the professors’ as well as the students’ much time and preparation in order to make the class discussions meaningful. Practical seminar and academic seminar also seem to be good ways of teaching Korean law school students. Although the US legal education is mainly geared at raising legal practitioners, law schools also focus on producing legal scholars. In that regard, most US law schools have writing requirements for the students to graduate. It usually includes first year wiring requirement and upper-class writing requirement. Students generally satisfy the upper-class wiring requirement by submitting a 25∼50 page thesis paper through an academic seminar, or under supervision of a faculty member. Korean legal education is currently carried out in undergraduate and graduate law colleges and newly established law schools. It seems that graduate law colleges take academic approach to raise legal scholars, and law schools take practical approach to raise legal practitioners. Korean graduate law colleges may be able to find some ideas of training their students from the US law school’s academic approach focusing on writing requirements.

      • KCI등재

        Consumer Collective Redress in Korea –focused on consumer organization action and consumer collective dispute mediation–

        이세인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19 江原法學 Vol.58 No.-

        There are three ways of consumer collective redress in Korea. They are the securities class action system, consumer organization action system, and consumer collective dispute mediation system. Among these, the author focuses on the consumer organization action and consumer collective dispute mediation that were adopted as a pair under the Framework Act on Consumers (“the Framework Act”) in 2006. Consumer organization actions allow parties to seek injunctions, not damages, and can be brought under the Framework Act and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the PIPA”). Consumer collective dispute mediations can seek damages also under the Framework Act and the PIPA. During the last twelve years since the adoption of the consumer organization action and consumer collective dispute mediation in Korea, fewer than one organization action, and fewer than ten filings of collective dispute mediation, have been filed each year. With this result, scholars argue that some of the procedures are very burdensome for potential plaintiffs/applicants. Some examples are a lengthy permission proceeding for the organization action and a requirement that the defendant business entity make a compensation plan even for non-party consumers in the collective dispute mediation. To provide an appropriate collective redress system for Korean consumers, lawmakers need to see the big picture incorporating the class action for damages, consumer organization action for injunction, and consumer collective dispute mediation. It seems appropriate to maintain all three systems since they serve different purposes. However, some changes seem necessary to effectively integrate the systems. It seems appropriate at this time to expand the scope of class actions beyond securities transactions to include consumer protection and fair trade areas. And, the burdensome procedures that are present in all three systems should be reformed to provide a fair chance for potential plaintiffs/applicants. Finally, consumer collective dispute mediation should be used in conjunction with the class action system, rather than with the consumer organization action, because both collective dispute mediation and class action aim at damages compensation while an organization action is for receiving an injunction.

      • KCI등재

        Study on Drafting Appropriate Dispute Resolution Clause in International Contract

        이세인 한국중재학회 2019 중재연구 Vol.29 No.3

        There are various factors to consider when parties to an international agreement draft a dispute resolution clause in their written contract. These factors can be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The first category is about the parties and the nature of the contract, such as the parties' places of business and whether the contract contains a simple transaction or has a complicated nature. The second category is about the applicable rules of the parties’ places of business or performance such as the private international law, service of process rules, and enforcement of court judgment and arbitration award rules. When parties to an international contract agree to a litigation, they normally choose a forum court and a governing law. In selecting a forum court and a governing law, the parties must consider private international law, service of process rules, and enforcement of judgement rules of candidate forums. In case the parties agree to an arbitration, they have to choose between institutional arbitration and ad hoc arbitration. For ad hoc arbitration, parties still need to further agree on which arbitration rules to use, and in which place the arbitration shall take place. Mediation involves a similar kind of decision as with arbitration. Traditionally, national courts of the parties' places of business have been used as litigation forums in dispute resolution clauses but, recently, arbitration is being increasingly employed as an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 method in international contracts. Moreover, there have been international efforts to utilize mediation as a dispute resolution method in international commercial issues. Rather than simply taking a dispute resolution clause provided in a sample written contract, parties to an international contract must carefully consider various relevant factors in order to insert a dispute resolution clause which will work well for a particular contract.

      • KCI등재

        유럽 경쟁법상 손해배상 청구제도의 개편 동향과 그 시사점

        이세인 한국법제연구원 2017 법제연구 Vol.- No.53

        This Article discusses the current trend of European competition damage actions focused on the recent Damage Directive and its transposition by the United Kingdom and Germany. The relevant Directive was signed into law in November 2014, and it requires the EU Member States to adopt certain measures to support competition damage actions. The required measures and principles by the Directive include right to full compensation, rebuttable presumption of harm, extensive disclosure of evidence, use of pass-on for defense and indirect purchaser suits. Although many Member States did not meet the deadline to transpose the Directive, the end of 2016, it is reported that 23 Member States have now, as of September 2017, made enactments according to the Directive. When we look at the transposition done by the United Kingdom and Germany, the revisions on their competition laws closely follow the contents of the Directive. However, it will take quite a long time before the amended provisions apply to actual cases since most of the new provisions apply to the infringement that take place after the date of the amendment. A similar situation regarding application time may happen in some other Member States. Furthermore, even if the terms of the competition laws of the Member States become similar following the Directive, the interpretations of the laws may differ by the courts of different countries. EU also does not have a tool to coordinate the litigations that are brought in different Member States under the same facts. It is true that the EU made a big step to enhance competition damage actions by enacting Damage Directive. However, it needs to take more time and resources to have settled system of competition private litigation throughout the Member States. Korea has also experienced increase in competition damage actions during the last fifteen years, and there have been some revisions of the relevant fair trade law as well as development of relevant legal principles by court decisions. Although there are some suggestions that Korea should have more enactments similar to the EU Directive, its seems wiser for Korea to take time to observe how EU countries actually operate competition damage actions after they transposed the Directive. Then, it will be able to gain some wisdom to adopt competition action measures that are suitable for Korean legal system and culture. 이 논문에서는 2014년 11월에 제정된 EU 경쟁법 손해배상 지침의 제정 배경과 내용, 그리고 이를 수용한 영국과 독일의 입법을 다루며 유럽경쟁법상 손해배상 청구제도의 개편 동향과 국내에의 시사점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EU 손해배상 지침의 목적은 각 회원국이 지침의 내용을 2016년 말까지수용하여 유럽연합 전체적으로 경쟁법상 사소제도를 활성화시키고 또한그러한 소송이 여러 회원국에서 유사한 절차 아래 진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2016년 말까지 지침의 내용을 수용하여 입법을 완료한 회원국은 많지않았으나, 계속해서 회원국들의 입법이 이루어지면서 2017년 9월 현재 23 개국이 지침에 따른 입법을 완료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지침의 주요 내용으로는 경쟁법 위반이 발생한 경우 완전한 배상을 받을 권리를 갖는 것, 5년 이상의 소멸시효기간을 확보하는 것, 합리적인 증거개시절차를 제공하는 것, 경쟁법 위반이 있는 경우 손해를 추정하는 것과 간접구매자 청구를 인정하는 것 등이다. EU 손해배상 지침을 수용한 영국과 독일의 입법 사례를 살펴볼 때 두나라 경쟁법의 개정은 지침의 내용에 상당히 충실하게 이루어졌다. 그러나 두 나라 모두 개정된 내용 중 실체적 규정의 적용 시점을 법 개정 후발생한 위반 사건으로 정하고 있어 상당한 시간이 지나야 해당 개정법이적용되는 소송을 법원에서 다룰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지침에따라 회원국들의 관련 법규의 내용이 같아진다고 하더라도, 이러한 법규에 대한 각 회원국 법원의 해석이 다를 수 있다는 점과, 같은 사실관계로인해 여러 회원국에서 진행되는 소송을 조율할 장치가 없는 점은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EU 손해배상 지침 제정과 이에 따른 회원국들의 입법은 유럽경쟁법 분야의 혁신적 발걸음인 것이 분명하나, 이를 적용하고 안정화시키기까지는 각 회원국과 유럽연합 차원에서 앞으로 상당히 많은자원과 시간을 투자해야 할 것으로 예상한다. EU 손해배상 지침의 제정 이후 우리나라에서도 증거개시절차를 확대시키거나 손해전가이론을 법률에 명시해야 한다는 등 경쟁법상 소송제도와관련한 입법제안이 있었다. 그러나 국내에서도 경쟁법의 사적 소송이 꾸준히 증가하면서 이미 관련 법률의 개정과 판례를 통한 이론 형성이 어느 정도 이루어져 왔다. 그러므로 성급한 추가 입법을 하기 보다는 EU 손해배상 지침이 앞으로 수년간 어떻게 적용되고 운영되는지 관찰한 후, 이를 토대로 우리에게 적절한 적용과 입법을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