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상아질 지각과민처치제의 치료 효과에 대한 무작위 임상 연구

        한경환 고려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655

        목적 : 본 연구는 상아질 지각과민 치아에 서로 다른 기전을 갖는 5가지 시판중인 지각과민처지제의 임상적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 고려대학교 구로병원에 2013년 10월부터 2015년 4월까지 내원한 환자 중 상아질 지각과민증을 호소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연구를 시행하였다. 선정기준에 부합된 총 64명의 환자에게 5가지 지각과민처치제를 무작위로 임의 배정을 시행한 후,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각각의 제품을 적용하였다. 치료 전, 1주일 후, 1개월 후의 추적 관찰을 통해 환자와 술자가 VAS(Visual Analogue Scale)법을 사용하여 지각과민 정도를 측정하였다. 통계 분석은 SPSS를 사용하여 반복측정 분산분석법으로 시간에 따른 지각과민 감소 정도를 분석하였다(p<0.05). 결과 : 모든 제품에서 1주일 후와 1개월 후 자가 측정과 술자 측정 VAS값이 초진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반면에, 각각의 제품들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 본 무작위 임상연구에서 사용된 모든 지각과민처치제는 1개월까지 상아질 지각과민증을 감소시키는데 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측정 기간 동안 5가지 실험 제품들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linical efficacy of 5 representative commercially available desensitizing agents with different mechanisms applied to hypersensitive teeth. Materials and Methods : A randomized clinical trial was conducted to patients who suffering dentin hypersensitivity in Korea University Guro Hospital from October 2013 to April 2015. A total of 64 patients met the selection criteria,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five commercially available desensitizing agents, and appli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instructions. Before and after application of desenstizing agents, patients were evaluated for VAS(Visaul Analogue Scale) scores on baseline, 1 week and 1 month. The difference between the degree of reduction of hypersensitivity in relation with time were evaluated with the Repeated-measures ANOVA(p<0.05) using SPSS(SPSS version 10.0, Chicago, IL). Result : Patient-performed and operator-performed VAS value on 1 week and 1 month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products compared with first visit. On the other hand, between the product it did not show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Conclusion : Desensitizing agents used in this clinical trial showed an effect of relieving dentinal hypersensitivity until 1 month. During the measurement period, it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five kinds of experimental products.

      • 측두하악관절장애 환자들의 임상적 특징 분석

        이기호 고려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655

        국내에서 측두하악관절장애(Temporomandibular disorders, TMD)환자들의 연령군, 성별 및 임상적 특성에 대한 대규모 연구는 아직 부족하여 국내 TMD 환자의 연령, 성별, 주관적 증상, 임상적 특성 등을 파악함으로써 TMD 환자 진료 및 관리에 필요한 기초정보를 생성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치과에 방문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인구학적 특성, 임상적 특성, 주관적 증상 등을 파악하여 TMD 환자의 진료 및 진단, 관리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정보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치과에 2013년 3월부터 2016년 3월 사이 외래 방문하여 TMD 진단을 받은 914명의 환자(처음 외래 방문한 시점의 초진 차트와 환자 설문지 정보)에 대한 후향적 의무기록조사를 실시하였다. 환자 기초특성(연령, 성별), TMD 증상, 관련증상, 환자 임상특성, 저작습관, 정신적 요인, 동반질환 및 과거력을 조사하였다. 성별, 연령군, 이상기능, 동반질환 등 범주형 변수의 경우 빈도 및 분율을 파악하였고, 증상이환기간, 통증정도, 주변근육 촉진 시 통증이 있는 근육의 개수 등은 평균 및 표준편차를 파악하였다. 이상기능, TMD 객관적/주관적 증상유무의 성별 연령군 별 차이에 대해 카이제곱, 피셔의 정확검정 등 분율 검정을 실시하였고, 통증정도(VAS), 촉진 개수의 성별, 연령군 별, 이상기능여부별에 따른 차이에 대해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TMD 통증과 촉진 개수 간 관련성에 대한 Spearma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령군별 TMD 주관적 증상이나 정신적 요인 등 경향성에 대한 추세검정을 시행하였다. 환자의 연령은 20대가 가장 많고 30대, 50대, 60대 순서로 많았고 여성 환자가 전체의 57.4%로 남성 환자에 비해서 많았다. 이갈이와 이악물기는 남녀 차이가 없었고 편측저작은 여성에서 많았다. 관절잡음은 발생 후 평균 34.4개월 후에 내원하는 반면 통증은 발생 후 평균 12.5개월, 개구제한은 발생 후 평균 9.0개월 후 내원하였다. 이갈이, 이악물기, 편측저작의 구강습관과 연령, 성별은 TMD pain(VAS)와는 연관이 없었고, 관절잡음, 과두걸림이 있는 경우 TMD pain(VAS)가 증가하였다. 촉진 시 통증이 있는 근육의 수가 많은 경우도 TMD pain(VAS)가 증가하였다. 촉진 시 통증이 있는 근육의 수는 여성에서 많았다. 설문지 조사에서는 10, 20대에서 TMD 의 일반적인 증상이 많이 나타난다고 대답한 반면, TMD로 인해 불편감을 느끼는 경우는 50~70대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TMD 증상이 만성화되기 이전에 병원에 내원할 수 있도록 TMD 질환에 대한 홍보가 필요할 것으로 보이고, 노년층의 TMD 환자들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며, 질환으로 인한 불편감은 20, 30대에 비해 더 크게 느끼는 것을 고려해서 향후 노년층의 TMD에 대해 더 연구할 필요가 있다.

      • Strauman regular implant 의 임상 결과에 관한 후향적 연구

        정원호 고려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50655

        이번 연구의 목적은 ITI 임프란트 식립 후 2년이 경과한 환자를 대상으로 성공률을 분석하였다. 여러 가지 요인에 대하여 성공률과 실패에 관한 연관성이 있는지에 대해 알아본다. 고려대학교 부속 안암 병원 치과에 임프란트 수복을 위해 내원한 환자들 중 임프 란트 식립이 적합한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되었다. 시술 전 임프란트 술식 방법에 따른 진행 과정과 장, 단점에 대해 충분한 설명을 하였고 임프란트 시술을 받은 환자들 중 식립 후 2년까지 follow up이 이루어지고 진료기록 및 방사선 사진을 확인할 수 있는 228명의 환자(평균나이 57.4세)를 대상으로 하였다. 총 228명의 환자에 718개의 임프란트를 식립하였다. 식립 된 총 718개의 임프란트에서3개 (0.4 %)가 실패하여서 99.6%의 성공률을 보였다. 환자 분포의 특징을 보면 남자가 134명 (58.8%), 여자가 94명 (41.2%)으로 남자가 많았고, 평균 연령은 57.39 ± 12.8세였고 21세부터 85세까지 분포되어 있었다. 본 연구에서 총 718개의 ITI 임프란트가 식립 되어 3개의 임프란트가 실패하여 99.6%의 성공률을 보였다. 식립 된 임프란트는 모두 조기 감염으로 인해 농양이 생겨 발거했다. 이는 치주 질환으로 발치된 치아의 발치와에 debridement가 철저히 이루어지지 않아 실패한 것으로 생각되며 임프란트 자체의 문제는 아닌 것으로 사료된다. 골질이 좋지 &#50527;은 상악의 경우 하악보다 성공률이 낮게 나왔다. 전체적인 관련요소와의 임프란트의 성공률과의 연관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다. 임프란트의 부위별 분포가 대구치 부위에 편중되어 있어 더 많은 임프란트를 대상으로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 임프란트의 보철물 형태에 따른 분류에서는 편악으로 제작되어지는 4, 5-unit의 보철물에서 성공률이 낮게 나왔다. 상, 하악 간 치조 변연골 변화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길이별, 보철물의 형태 그리고 식립 위치에 따른 치조 변연골 변화에서 초기 식립 깊이가 유사하면 통계학적으로 차이가 유의하지 않을 것으로 사료된다.

      • Face mask로 치료한 골격성 제 III급 여아의 장기적 관찰시 골격성 제 I급 성인 여성과의 두부 안모 양상 비교

        정혜경 고려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연구는 아동기때 face mask 악정형 치료를 받은 골격성 제 III급 부정교합 여아의 치료 이후 장기적 관찰시 골격성 제 I급 부정교합 여성과의 골격 양상을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치과 교정과에 내원하여 골격성 제 III급 부정교합으로 진단되어 face mask를 이용한 치료를 받은 36명의 여아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초진시 실험군 환자의 평균 나이는 7.3(±1.7)세, 평균 사용기간은 1.6년이었고, 평균 유지기간은 6.9년이었다. face mask 사용전(T1), 사용직후(T2), 유지기간(T3)에 각각 촬영된 측모 두부 방사선 사진(Vatech, Seoul, Korea)을 이용하여 한 명의 관찰자가 분석을 시행하였다. 대조군은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치과 교정과에 내원하여 골격성 제 I급 부정교합으로 진단된 한국인 여성 환자 1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진단시 평균 나이는 16.1(±2.16)세 였다. T3시점의 실험군의 악골 형태가 골격성 제 I급 부정교합 성인군과 차이가 있는 지에 대해서는 p-value <0.05 수준에서 t-test를 이용하여 검정하였다. T3 시점의 실험군과 대조군의 평균 연령의 차이는 통계학적 유의성이 없었다. T3 시점의 실험군의 SNA, SNB, IMPA는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더 컸고, IMPA는 유의성 있게 대조군보다 더 작았다. 그러나 ANB는 T3시점의 실험군과 대조군 사이에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상악 열성장의 골격성 제 III 부정교합 여아에서 아동기때 face mask 치료시 양호한 골격적 치료 결과를 얻을 수 있으나 장기적 관찰시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골격성 제 I급 성인 여성에 비해 실험군이 골격적 Class III 양상을 나타내었다.

      • Facemask 치료 시 수직 성장 양상에 따른 치료 효과의 장기적 관찰

        곽희종 고려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655

        국문 요약 Facemask 치료 시 수직 성장 양상에 따른 치료 효과의 장기적 관찰 고려대학교 임상치의학 대학원 치과교정학과 곽 희 종 본 연구는 facemask 치료 시 수직 골격 양상에 따라 치료반응의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facemask 치료 시 치료반응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제 Ⅲ급 부정교합으로 진단받고 facemask 치료를 받은 성장기 아동 51명을 정상 안모를 가진 군과 장안모를 가진 군으로 구별하였다. 치료 전, 치료 직후, 치료 후 최소 5년 후 채득한 측모 두부 방사선 사진 각각에 대해 13개 계측치를 측정하고 각 계측치의 기간별 변화량을 산출하였다. 이 변화량을 가지고 다변량 공분산 분석을 시행하였다. 계측점은 동일 계측자가 일주일 간격으로 2회 반복 측정하여 측정의 재현성이 양호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수직 안모가 정상인 환자에서는 치료기간 동안 하악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한 반면 수직 안모가 긴 환자에서는 하악이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였다. 그 후에는 두 군 모두 에서 하악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였다. facemask 치료와 관련된 두개악안면 골격의 변화는 치료 전의 AB to mandibular plane angle, gonial angle, facial angle 등의 영향을 받았으며 단기적, 장기적으로 모두 군 간 차이가 있었다. facemask를 치료할 때 환자의 수직 골격 양상에 따라 악안면골의 반응 양상이 다르므로 진단 및 치료계획 단계에서 이를 고려하여 교정치료를 진행해야 할 것이다. 이 주제에 대한 연구는 전반적으로 부족하므로 앞으로 더 많은 표본을 사용한 연구 등이 필요하다. 주요 단어 : 제 Ⅲ급 부정교합, facemask, 수직 골격 양상 ABSTRACT Long term investigation on the effects of facemask therapy in patients with different vertical skeletal patterns Hee-Jong Kwak, DDS, YJ Kim, DDS, Dong-Yul Lee, DDS, Department of Orthodontics, Graduate School of Clinical Dentistry Korea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retrospective study is to investigate if there is difference and how it is different in the effects of facemask therapy according to patients’vertical skeletal patterns in short term and long term aspects. 51 patients of two groups (normal-face group, long-face group) who were treated with facemask because of their Class Ⅲ malocclusions were examined by multivariate analysis of covariance with the data from lateral cephalograms taken before treatment, at the end of treatment and at least 5 years after treatment. In normal-face group mandible rotated in clockwise direction, on the other hand in long-face group mandible rotated in counterclockwise direction at the end of facemask treatment. After that, mandible rotated in counterclockwise direction in both groups. The craniofacial skeletal changes related to facemask treatment were influenced by AB to mandibular plane angle, gonial angle, facial angle, and were different between normal-face group and long-face group in both short-term and long-term aspects. This should be considered in treatment planning when facemask therapy are to be applied. Key words : Class Ⅲ malocclusion, facemask, vertical skeletal pattern, vertical craniofacial morphology

      • 가토의 두개골 골결손부에서 이종골 이식술 시 혈소판 풍부 섬유소의 골형성 효과

        강영훈 고려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0655

        국문 초록 가토의 두개골 골결손부에서 이종골 이식술 시 혈소판 풍부 섬유소의 골형성 효과 고려대학교임상치의학대학원 구강악안면외과학과 강 영 훈 (지도교수 : 임 재석)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가토의 두개골 결손부위에 우골 및 저골 이종골 이식술 시 혈소판 풍부 섬유소의 골형성 효과를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실험 재료 및 방법 : 가토 (2.5-3.5kg) 10마리를 실험동물로 사용하여 두개골 부위에 8.0mm 결손부를 형성하였다. 실험군 1은 저골 이식재와 혈소판 풍부 섬유소를 이식하였으며, 실험군2는 우골 이식재와 혈소판풍부섬유소를 이식하였고, 혈소판풍부섬유소만 이식한 군을 대조군 1, 아무런 이식을 시행하지 않은 경우를 대조군2로 하여 실험하였다. 실험 후 약 6주, 12주 조직절편을 채취하여 방사선학적 (μ-CT) 및 조직학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 방사선학적 분석에서 골형성율 (Bone volume / tissue volume percents, %)은 6주 소견에서는 실험군 1, 실험군 2에서 각각 32.33 ± 6.35, 34.74 ± 3.13로 나타났으며, 대조군에서는 각각 25.70 ± 13.54, 22.20 ± 10.53 로 나타났다. 실험군 간의 수치를 통계학적으로 비교한 결과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저골 이식재는 골형성에 있어서 유용한 골이식재로서의 가치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 정상교합자와 측두하악장애환자의 교합접촉시간과 교합이개시간의 비교연구

        김현상 고려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50655

        목적 : 정상교합군과 측두하악장애 환자의 교합접촉시간과 하악측방 운동시 비작업측에서 발생하는 교합이개시간과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자 측두하악 장애환자를 Helkimo 임상기능장애지수에 따라 분류한 다음 T-scan Ⅱ(Tekscan, Boston, MA, USA)을 이용하여 교합접촉시간과 측방운동시 교합이개시간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 재료 및 방법 : 정상교합군 20명과 Helkimo 임상기능장애지수에 따라 실험군을 경도 장애군, 중등도 장애군, 고도 장애군의 세 집단으로 분류하여 그 중 경도(20명) 및 중등도 장애군(10명)을 실험대상으로 하였다. 이와 같이 선정한 피검자를 T-scan II (Tekscan, Boston, MA, USA)를 이용해서 교합접촉시간 및 교합이개시간을 좌, 우로 각각 2회씩 측정하였다. 각 그룹간의 교합양상의 형태를 비교하기 위하여 Chi-square test를 사용하였으며, 유의차 유무를 검증하기 위하여 ANOVA Test 를 사용하였다 (p<0.05). 연구결과 : 교합평균 접촉시간의 평균을 비교한 결과 정상 교합군은 평균이 0.32초,경도 장애군은 0.31초, 중등도 장애군은 0.51초로 정상 교합군과 중등도 장애군의 비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다. 경도 장애군과 중등도 장애군의 비교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다. 좌우평균 교합이개시간의 비교는 정상 교합군은 평균이 0.34초, 경도 장애군은 0.29초, 중등도 장애군은 0.56초로 정상 교합군과 중등도 장애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다. 경도 장애군과 중등도 장애군의 비교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다. 견치유도교합과 군기능교합의 교합이개시간 비교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 1. 교합접촉시간 비교시 정상 교합군, 경도 장애군, 중등도 장애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 교합이개시간 비교시 정상 교합군, 경도 장애군, 중등도 장애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교합양상별 교합이개시간 평가시에는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핵심 단어 : T-scan II, 교합접촉시간, 교합이개시간, Helkimo 임상기능장애지수 Objective: The ultimate goal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orrelation between occlusion time and disclusion time in nonworking occlusion during mandibular lateral movement for both normal occlusion group and temporomandibular disorder patients. We intended to classify temporomandibular disorder patients according to Helkimo''''s clinical dysfunction index and analyze occlusion time and disclusion time during lateral movement using T-scan system (Tekscan Boston, MA, USA). Methods and Materials : Both the normal occlusion group(20 patients) and the temporomandibular disorder patients were considered for examination. Considering the temporomandibular disorder patients, the patients were firstly classified into three group such as the mild disorder group, the moderate disorder group, and the severe disorder group according to Helkimo''''s clinical dysfunction index. 20 patients of mild disorder and 10 patients of moderate disorder were selected as examinee. Using T-scan II, occlusion time and disclusion time were measured two times in both the right and the left side, respectively. For comparison of the occlusion pattern between both group, a method of Chi-square test was employed. In order to examine a significance in difference, ANOVA Test was performed (p<0.05). Results: From the measurement of occlusion time it was firstly shown that the mean value in the normal occlusion group was 0.32. The mean value in the mild disorder group was 0.31, which has no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in comparison with the normal group. The comparison between the mild disorder group and the moderate disorder group also showed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Considering the disclusion time averaged over the values of both the left and the right side, the mean time in the normal group, the mild disorder group, and the modest disorder group is 0.34 0.56, and 0.29, respectively. There was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normal and the modest disorder group. The difference between the mild and the modest disorder group was also significant. Conclusions : 1. From the comparison of occlusion time,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between each group of the normal group, the mild disorder group and the modest disorder group. 2. The comparison of a disclusion time showed that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ach group. 3. Considering the comparison of disclusion time by occlusion pattern, any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found. Key words : T-scan II, Occlusion Time, Disclusion Time, Clinical Dysfunction Index

      • AnyCheck®를 이용한 임플란트 안정도 측정의 신뢰성 평가

        성시영 고려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55

        서론: 오늘날 임플란트 식립은 상실된 치아를 대체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는 술식 중 하나로 예지성 있는 치료 방법으로 여겨진다. 식립된 임플란트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주위골과 구조적, 기능적으로 결합하게 되며 이를 골유착이라고 부른다. 골유착은 임플란트 치료에 있어 중요한 부분으로 성공적인 골유착이 이루어져야 임플란트가 기능 교합 하에서 증상 없이 견고한 고정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임플란트에 부하를 가하기 전 적절한 골유착이 이루어졌는지 평가하는 것은 필수적이며 임플란트의 동요도를 평가하는 방법이 임상적으로 골유착을 평가하기 위해 많이 사용되고 있다. 현재 임상에서 임플란트의 동요도를 평가하기 위해 주로 사용되는 기기들은 방식에 따라 크게 공진주파수 분석 방식과 타진 측정 방식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으며 공진주파수 분석 방식을 사용하는 대표적인 기기로는 Osstell Mentor®이 있으며 타진 측정 방식을 사용하는 기기에는 Periotest M®과 상대적으로 최근에 출시된 AnyCheck®가 있다. 본 연구는 후향적 임상 연구를 통해 기존에 신뢰성 있는 기기로 알려진 Osstell Mentor®과 Periotest M®와 비교하여 AnyCheck®의 신뢰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치과 보철과에서 2020년 5월 15일부터 2020년 11월 18일까지 식립한 임플란트를 대상으로 자료 수집 및 연구를 시행하였다. Osstell Mentor®, Periotest M®, AnyCheck®를 사용하여 임플란트 안정도 측정을 시행한 후 측정 값들 사이의 Pearson의 상관계수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측정한 IST 값과 ISQ 값 사이의 Pearson의 상관계수는 0.886이었으며 IST 값과 PTV 값 사이의 Pearson의 상관계수는 -0.892로 나타났다. 대구치보다 소구치에서 측정했을 때 보다 더 높은 상관계수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관찰할 수 없었다. 결론: 측정한 IST 값과 ISQ 값 사이에는 강력한 양의 상관관계가 존재하였으며 IST 값과 PTV 값 사이에는 강력한 음의 상관관계가 존재하였다 주요단어 : 임플란트 안정도, AnyCheck, Implant Stability Test(IST) Introduction: Today, implant placement is one of the most widely used techniques to replace lost teeth and is considered a prognostic treatment. The placed implant is structurally and functionally combined with the surrounding bone over time, and this is called osseointegration. Osseointegration is an important part of implant treatment, and when successful osseointegration is achieved, the implant can obtain a solid fixation without symptoms under functional occlusion.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evaluate whether an appropriate osseointegration has occurred before applying a load to the implant, and a method of evaluating the mobility of an implant is widely used clinically to evaluate osseointegration. Currently, devices mainly used to evaluate the mobility of implants in clinical trials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wo methods: resonance frequency analysis and damping capacity analysis. Osstell Mentor® is a representative device that uses the resonant frequency analysis method, and Periotest M® and the relatively recently released AnyCheck® are the devices that use the damping capacity analysis.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reliability of AnyCheck® by comparing it with Osstell Mentor® and Periotest M®, which are known as reliable devices through retrospective clinical studies. Materials and Methods: Data collection and research were conducted on implants placed from May 15, 2020 to November 18, 2020 at dental prosthetic department of Korea university anam hospital. After measuring implant stability using Osstell Mentor®, Periotest M®, and AnyCheck®,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between the measured values was performed. Results: There was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measured IST and ISQ values (Pearson correlation = 0.886) and a strong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IST and PTV values (Pearson correlation = -0.892).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higher than that measured in the premolar than in the molar,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s: There was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measured IST and ISQ values, and there was a strong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IST and PTV values. Keywords: Implant stability, AnyCheck, Implant Stability Test(IST)

      • Macroporous biphasic calcium phosphate(MBCP)와 Substance P를 이용한 골재생

        안지현 고려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55

        Abstract Bone regeneration with Macroporous biphasic calcium phosphate(MBCP) and Substance P Jihyun Ahn, D.D.S. Department of Oral & Maxillofacial Surgery, Graduate School of Clinical Dentistry, Korea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Hyonseok Jang, D.D.S., M.S.D., Ph.D.) Aim of the stud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availability of Substance P in the new bone formation with Macroporous biphasic calcium phosphate(MBCP). Materials & methods: Substance P was coated to MBCP and lyophilized. After Substance P – coated MBCP was grafted, new bone formation was evaluated with rat calvarial critical size defect model(8.0 mm diameter CSD). 8 weeks after animal experiment, evidence of bone formation was confirmed by soft X-ray, micro CT and histologic analysis. Results: At 8 weeks, increased new bone formation was found in Substance P – coated MBCP group compared only MBCP graft group and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coating of Substance P into MBCP can accelerate the new bone formation in the rat calvarial bone defect. So Substance P could be used as a promising agent in bone tissue engineering. ---------------------------------------- Key words) Substance P, MBCP, Rat calvarial critical size bone defect(CSD), New bone formation. 국문초록 Macroporous biphasic calcium phosphate(MBCP)와 Substance P를 이용한 골재생 안 지현 구강악안면외과학 전공 고려대학교 임상치의학 대학원 (지도교수: 장 현석) 연구목적: 골이식시 Biphasic Calcium Phosphate (MBCPTM)의 유용성에 대하여 규명하기 위하여 MBCP 이식 후 골형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MBCP에 Substance P를 도포하고 이를 분석하여 향후 골조직 공학에서 사용이 가능한지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MBCP에 Substance P를 도포하고 동결 건조를 시행한 뒤 백서 두개골 임계 골 결손부에 이식하고 8 주 경과 후, 실험동물을 희생하여 soft X-ray, micro CT와 조직학적 소견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Substance P를 도포한 MBCP를 이식한 8주 후의 방사선학적 소견과 조직학적 소견에서 신생골 형성이 MBCP 만을 이식한 군과 대조군에 비하여 양호하였다. 결론: MBCP에 Substance P를 도포하여 이식한 경우 신생골 형성이 우수한 결과를 보이고 있어 향후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겠지만 Substance P의 사용 가능성을 입증할 수 있었다. ------------------------------------------- 주요어) MBCP, Substance P, 신생골 형성.

      • 즉시 하중된 오스템 SS- II 임프란트의 후향적 임상결과

        조재우 고려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50655

        - Abstract - A Retrospective Study of Immediate Loaded Osstem SS-Ⅱ Implant : 2-year Follow-up Jae -Woo Cho, D.D.S. (Directed by professor Jong - Jin Kwon, D.D.S., M.S.D., Ph,D.) Implant Major, Graduate School of Clinical Dentistry, Korea University Purpose :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al outcome (success rate) of Osstem SS-Ⅱ implant in several cases along with the marginal bone changes, for 24 months after placement. &nbsp; Materials and methods : Total 388 Osstem SS-II implants were placed in 112 patients (M/74, F/38, mean ages: 52.3 years). 279 implants were placed in the maxilla and 109 were in the mandible according to the instructions of the manufacturer and solid abutments were connected as a routine procedure. 157 immediate loading implants and 70 immediate-immediate loading implants were immediately restored with autopolymerizing acrylic resin and these restorations were cemented with polycarboxylate cement. The occlusion was adjusted. Minimized occlusions in centric and any eccentric contacts were removed completely. Results :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uccess rates by sex, installed location, diameter, length, prosthetic pattern, and loading pattern. The mean marginal bone levels after 12 months were -0.34mm in the maxilla, -0.18mm in the mandible when implants were immediately loaded. Marginal bone change was noted according to fixture length and provisional restoration. Conclusion :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2-year prospective study, Osstem SS-II implants may be recommended in several conditions. But, long-term, prospective studies are still needed to evaluate other potential determining factors on this technique. Keyword : Osstem SS-Ⅱ implant, Success rate 본 연구는 2004년부터 2005년까지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치과에 내원하여 오스템 SS-II 임프란트 시술을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성별, 식립부위별, 길이별, 상부보철물의 형태별, 골이식여부, 치은절개여부,하중방법, 변연골변화 등에 따라 그 생존률을 평가하여 향후 임상가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유효한 결과를 얻고, 이를 분석하여 성공률을 높일수있는 protocol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총 112명의 환자(M/74명, F/38명, 평균연령 52.3세)에게 총 388개의 오스템 SS-II 임프란트가 다양한 방법 (즉시하중. 즉시식립 즉시하중, 통상적인 하중)으로 시술되었고,연구대상에서 제외한 환자는 조절되지 않는 당 뇨,심근경색등의 전신질환환자, 임프란트 시술부위에 조절되지 않는 염증이 있는 경우, 심한 이갈이 환자, 임프 란트 식립시 협측벽이나 설측벽에 임프란트 본체의 노출이 있는 경우, 6개월 이내에 두경부에 방사선 조사를 받 은 경력이 있는 환자와, 임신중인 환자등 이었다. 약 2년동안 술 후 관찰을 시행하였으며 이중 표준술식을 이용 해 식립한 임프란트는 274개이고 골이식을 시행한 경우는 56개, 치은절개 없이 식립한 경우는 58개이었다. 총388개의 임프란트중, 279개는 상악에, 109개는 하악에 식립 되었다. 임프란트의 길이는 8mm 4개, 10mm 94 개,11.5 mm 126개, 13mm 164개 였고, 직경별로는 4.1mm 375개, 4.8mm 13개였다. 상부보철 유형에 따라서는 단일 치수복 가공성의치 41개, 2-임프란트지지형 고정성 가공의치49개, 3-임프란트지지형 고정성 가공의치50개, 4-임 프란트지지형 고정성 가공의치 21개, 5-임프란트지지형 고정성 가공의치 3개였다. 임프란트 식립부위는 상악전 치부 70개, 상악 소구치부 73개, 상악 대구치부 136개, 하악전치부 21개, 하악 소구치부 28개, 하악 대구치부 60개였다. 환자는 통상의 임프란트 술식에 따라 내원 하였으며, 이때 성공여부와 임프란트와의 연관된 합병증 등을 평가 하였다. 또한 술 후 1개월, 3개월, 6개월, 그리고 12개월째 방사선 검사를 시행하여 치조 변연골 변화를 평가 하였다. 임프란트의 실패는 Smith 와 Zarb 의 성공기준에 의해 평가 하였는데 유의있는 치조변연골 흡수가 있는 경우와 임프란트 주위 방사선 투과상이 있는 경우, 그리고 임프란트 동요도나 동통, 불편감 또는 감각이상이 있 는 경우를 임프란트 실패로 간주하였다.식립된 오스템 SS-II 임프란트 총 388개중 상악에서만 6개가 실패하였고 하악에서는 모두 성공하여 전체적으로는 98.45%의 높은 임프란트 성공률을 보였다. 또한 성별, 식립부위별, 길 이별, 상부보철물의 형태별, 하중방법등 과 임프란트 성공률 사이의 상관 관계는 통게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 며,다만 상하악간 치조변연골 변화는 통계학적으로 유의 하였는데 이는 초기 임프란트의 식립 깊이의 차이에 기 인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