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遲子建小說硏究 : 『越過雲層的晴朗』을 중심으로

        이로사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迟子建小说研究 : 以『越过云层的晴朗』为中心 迟子建于1985年进入中国文坛后,至今已经发表了小说和散文等各种体裁的作品,是非常活跃地进行创作活动的中国当代女性作家。 作为东北地区出身的作家,迟子建被称为第二个萧红,是具有代表性的东北作家。她的幼年时期是在黑龙江省的一个小村庄-北极村度过,那里的回忆成为她创作作品的源泉,也是她作品的主要特征。东北地区的大雪、雪橇、广阔的土地、柴火等频繁地在她小说中登场,这些素材对寒冷地区生活过的她来说是非常熟悉。 除此之外,在她的作品中出现各种民间故事和传说,这些要素也都是她在北极村生活的时候,通过当地村民了解到的。迟子建作品中的大部分要素都是受到其在东北地区生活的记忆影响。 本论文分为六个章节,主要内容如下: 第一章以‘迟子建’和本论文的研究对象《越过云层的晴朗》为中心进行先行研究,阐述本论文的意义和价值。先行研究结果表明,中国和韩国的研究现状存在着显著差异。中国的研究在地区、乡土、自然、生命、萨满教、温情、底层叙事、比较研究等方面,研究范围比较广泛。但是韩国的研究只局限于作家审美性的研究。鉴于中国已进行了很多研究,所以韩国也应该拓展研究范围,进行多方面的研究。 第二章比较仔细地说明迟子建的成长过程和创作背景及迟子建的获奖经历等。迟子建于1964年2月出生于黑龙江省最北部的小村庄-北极村。她作为东北出身的作家,目前担任黑龙江省作家协会主席,目前非常活跃地开展文学创作活动。 第三章了分析了小说中登场的每个人物遇到的苦难及其发生的原因,大致的分为通过政治事件“文化大革命导致的苦难叙事”和民间底层出现的“日常生活的苦难叙事”这两种原因。人物因各种不同的事件而经历了苦难,这些苦难对人们的影响也是各不相同的。六名主人公:小哑巴、梅红、文医生是因文化大革命而过着荒废的生活,而黄主人、金发、赵李红是因贫困的家境和家人之间的矛盾等而受苦。迟子建虽然淡化了底层民众的苦难,但她对人物的受难描写达到了极至化。受苦受难的各种人物消除苦难的形态都是相同的,那就是“死亡”。对于“死亡”的意义,在第四章进行了具体分析。 第四章分析了迟子建所独有的死亡意识。在迟子建的作品中,往往通过人物的死亡凸显作家的死亡意识。在她的作品中出现的人物,他们的死亡所具有的共同特点就是日常生活中的突发事件导致的,还表现出通过死亡逃离现实世界。同时,她的作品中虽然描写过无数的死亡,但是作品的整体氛围并不是黯淡、沉闷,而是充满希望。在前面第三章中提到,每个登场人物虽然都有苦难,但是他们的痛苦都是通过死亡而消除。从这一点上,迟子建的死亡意识并不是一般认为的“人生的尽头”。 第5章将研究对象《越过云层的晴朗》中出现的形式上特征分成叙事性、语言、话者所拥有的象征性和作用等三个方面进行研究。 首先作为叙事性技法以框架叙事、时间的重新排列为中心进行研究。作为框架叙事,将狗的一生这一大故事中写进每个主人公的各自不同的小故事。虽然用小故事-各人物的苦难和人生组成整体叙事,但是从大叙事来看,就有文化大革命这一历史性事件。这些小说的叙事结构为小说的展开提高其精巧感。 其次是修辞性手法。分析了小说的文章表现中频繁使用的直喻法、拟声法、疑问法及自问自答法、罗列法等。这些表现能够增添小说的生动感,使文章表现得更加丰富。 最后考察了研究对象《越过云层的晴朗》所具有的另一个特征-动物话者“狗”的形式和意义。首先研究了作家将“狗”作为话者的根本原因。作家在她的后记中表示,《越过云层的晴朗》是在她因事故失去丈夫的时候创作的,生前她叫丈夫为“大黄狗”。虽然作家表示《越过云层的晴朗》与丈夫没有任何关系,但是通过作品后记的内容,我们可以考察作者可能为了哀悼丈夫而将“狗”选为话者。另外,她曾在散文《动物们》中描写过小时候与狗离别的心酸经验。如作品中表现得那样,迟子建把“狗”当做亲近的对象,这也是“狗”能够作为她作品的话者而出现。 本人考察了作家将“狗”作为话者的效果和特征。第一,“狗”只能靠“黑与白”两种颜色,以二分法式作者通过‘狗’看到的单纯的人间来抨击过分复杂的人间。第二,将“狗”作为话者,作者试图以动物的视角来观察人间,局限了对世间万物的理解。狗以"不知道"为表达话语,将人类复杂的面表达出来。体现人类的自私和贪欲。 最后,第六章结论对本论文的研究对象《越过云层的晴朗》的整体研究内容进行整理,从而确立此小说的价值。 总之而言,根据本论文考察的死亡、苦难、民间意识、底层叙事等多方面的主题研究,可以与迟子建其他作品进行比较研究。她依然在中国文坛展现蓬勃创作激情。需要关注迟子建作品的变化趋势。

      • 내러티브 탐구를 활용한 무용전공자의 진로결정

        이로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무용전공자로서 진로결정을 하는데 있어서 영향을 준 요인들에 대한 의미를 해석함으로써 무용전공자로서의 삶을 이해하는 데 그 목적을 둔다. 이 연구에 참여한 무용전공자들은 초등학교 시절에 무용을 처음 접했으며, 예술 고등학교를 거쳐 대학에 진학했다. 연구 참여자들은 현재 무용전공자로서의 전문 교육과 경험을 바탕으로 진로를 결정해야 하는 삶의 과정 속에 놓여 있는 상태이다. 연구 참여자들은 현재라는 시간적 관점에 무용전공자로서의 삶은 무엇인가? 진로결정을 해야 하는 상황적 관점에 무용전공자로서의 생활을 어떠한가? 진로결정과 관련하여 탐구경계에 나타난 무용전공자로서의 내러티브 사고는 무엇인가? 라는 세 가지 질문의 맥락 속에서 심층 면담, 이미지 텔링, 자서전적 글쓰기 등을 통해 자신의 삶을 이야기하였다. 이 연구는 진로결정을 해야 하는 무용전공자의 삶을 이해하기 위해 가장 적절한 연구방법인 내러티브 탐구를 실시하였다. 내러티브 탐구의 개념적 요소인, 시간성, 공간성, 사회성을 바탕으로 연구자는 연구 참여자들과 함께 내러티브 탐구 공간 속으로 들어가 연구 참여자들이 자신의 삶을 이야기 할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또한, 현장에 존재하기, 현장에서 현장 텍스트로 이동, 현장 텍스트 구성하기, 현장 텍스트에서 연구 텍스트로, 연구 텍스트 구성의 순으로 연구 참여자들의 내러티브를 구성하였다. 연구 참여자 A는 주변으로부터 취한 정보들을 바탕으로 스스로 경험을 해 본 후에 진로결정을 내리고자 하였다. 무용전공자로서 받은 교육과 경험을 바탕으로 본인이 할 수 있는 직업을 선택함으로써 무용전공자로서의 삶의 범위를 확장시키려 노력하고 있다. 연구 참여자 B에게 가족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특히 아버지와의 특별한 관계는 남자친구를 선택하는 데에도 영향을 끼쳤고, 그 영향은 진로결정으로 까지 이어졌다. 과거에는 무용을 통해 자신의 행복을 찾았던 B는 현재 무용 이외에의 것에서 자신의 행복을 찾으려 하고 있다. 연구 참여자 C에게 교수라는 직업은 자신의 꿈을 실현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직업은 대학 졸업 후 곧 선택할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그 직업을 선택할 수 있는 조건들을 졸업 후 갖추어 가려고 준비하고 있다. 동시에 동호회 활동을 통해 본인의 한정적인 인간관계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연구 참여자 D는 대학생활에서의 휴학이라는 경험을 통해 자신의 성격에 변화를 가져왔고, 이 변화는 무용과 진로결정이라는 강박관념에서는 벗어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여 주었다. 콩쿨이라는 동일한 대상을 놓고도 D는 편한 마음으로 준비할 수 있게 되었고,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연기라는 것에도 관심이 생겼다. 연구 참여자 E는 중학교 때부터 가져왔던 꿈 혹은 목표인 00무용단 입단을 위해 현재까지도 노력을 하고 있는 중이다. 친구들과 함께 고민하고 즐거워했던 예고생활에 만족하였고, 대학에서는 공연과 학업을 병행해야 하지만 그 생활에 충실하였고, 그로 인해 자신의 춤 실력도 늘 수 있는 기회가 되었음에 만족한다. 학교생활에 충실한 것에 후회는 없으며, 자신에게 기대를 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실망을 주지 않기 위해 애쓰고 있다. 연구 참여자 F는 대학 졸업 후 직업 발레단에 입단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고, 이 연구가 마무리될 즈음에 F가 원하는 발레단 입단이 결정되었다. F는 대학생활 중 인간관계의 갈등을 경험했고, 이 경험은 오히려 F에게 발레단에 꼭 입단하겠다는 오기를 불러일으키게 했다. 연구 과정 동안 연구 참여자들은 무용전공자로서의 교육과 그와 관련된 경험, 인간관계 등을 이야기함으로써 자신의 삶을 되돌아볼 기회가 되었다.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는 시간은 이미 진로결정을 한 경우에도 그것에 대해 재고하는 기회가 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내러티브 탐구 방법은 개인을 존중하는 의미에서 가치 있는 방법임을 알게 되었고, 무용전공자들의 진로결정과 관련된 개인적인 삶이 어떠한 것인지 알게 되었다. 개인에게 충분한 시간을 할애하고 또 개인을 이해하려는 연구자의 태도는 연구 참여자들로부터 신뢰를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연구자와 연구 참여자들 간의 관계 속에서 진로결정과 관련한 정보가 제공된다면 진로결정을 위한 내러티브 탐구는 연구 참여자들에게 진로결정을 위한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핵심어 : 개인의 삶, 경험, 내러티브, 내러티브 탐구, 대학생활, 무용전공자, 이야기 하기, 질적 연구, 진로결정 ABSTRACT Dance Student's Career Decision through Using Narrative Inquiry Lee Ro Sa Dept of Dance The Graduate School Hanyang University This study is aimed at understanding the lives of dance majors by analyzing factors that affected their decision on career paths as dance major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ho are dance majors, first encountered dance in elementary school, and entered college after attending an arts high school. The participants are now at the stage where they have to decide on their career path, using their special education and experience as dancers. The participants discussed their lives through in-depth interview, image-telling, and autobiographical writing as to the following questions: "What is the meaning of a life as a dance major at this point in your life?"; "What is the life like as a dance major when deciding on your career path?"; "What does a narrative thinking involve as a dance major when trying to decide on your career path?" To understand the lives of dance majors deciding on their career paths, a narrative inquiry, the most appropriate method for understanding the lives of dance majors deciding on career paths, was conducted. Based on temporality, spatiality, and sociality, which are conceptual elements of narratives, I encouraged the participants to tell stories by joining their narrative inquiry space. In addition, their narratives were organized in the following order: 'being at the scene'; 'moving from the scene to a scene text'; 'organizing the scene text'; 'moving from the scene text to a research text'; 'organizing the research text.' Participant A decided to choose her career path after gaining experience related to the information she collected. She wanted to expand the scope of her life as a dance major by selecting a job available based on her education and experience as a professional dancer. To participant B, family has a very special meaning. In particular, her special relationship with her father had an impact on choosing her boyfriend, which led to her career path decision. In the past, she found happiness through dance. Nowadays, she is trying to find happiness among things besides dance. To participant C, career as a professor will help her realize her dream. However, since the job is not available right after college graduation, she is preparing to get qualified for the job. At the same time, she is striving to improve her limite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rough club activities. Participant D saw her personality change after taking time off from college. Such change alleviated her obsession with dance and career path decision. As a result, she became able to prepare for her dance contest, which is a challenging task, with a peace of mind. She developed a new interest in acting as a way to express herself. Participant E is trying to join the National Dance Company, her dream or goal she has developed since middle school. She was happy with her arts high school life, which she enjoyed and struggled with along with her friends. She also worked hard throughout her college life while pursing performance and academics at the same time. She is also happy that it has improved her dance skills as a result. She has no regrets about her school life and is trying not to disappoint the people with high expectations on her. Participant F set the goal of joining a professional ballet company that provides 4 employee insurance benefits after graduating from college. At the end of this research, she was accepted by the ballet company she wanted. During her college life, she had special experience, which made her determined to join the ballet company. During the research, the participants reflected on their lives by discussing their education, related experienc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s a professional dancer. It has allowed them to reflect on the career path they decided on. Through this study, I learned that narrative inquiry for understanding the lives of individuals is a highly valuable method, since it respected each dance major trying to decide on their career path. In particular, I gained the trust of participants by spending enough time with each one of them and trying to understand each individual. If information on career path selection is offered based on such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a researcher and participants, a narrative inquiry will provide practical help to research participants trying to decide on their career paths. keyword: career paths, college life, dance major, experience, narrative, narrative inquiry, personal life, qualitative research, story telling,

      • 루돌프 슈타이너(Rudolf Steiner)의 교육철학을 적용한 중학교 음악교과 지도방안 연구

        이로사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현대 물질문명 속에서 성장하는 우리나라 학생들이 전인적 능력을 길러, 스스로 사고하고 감정을 표현할 줄 아는 인간으로 성장 수 있도록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따라서 루돌프 슈타이너(Rudolf Steiner, 1861∼1925)의 인지학적 교육철학을 적용한 중학교 음악교과 지도방안을 연구하였다. 먼저 슈타이너의 생애 및 인지학적 교육이론을 조사하여, 그의 교육철학을 토대로 행해지는 ‘자유 발도르프 학교(Free Waldorf School)'의 교육 방법 및 특징을 고찰하였다. 또한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내용체계 및 성취기준’을 분석하였다. ‘표현’영역의 지도방안에서는 그에 따른 성취기준에 슈타이너의 교육철학을 적용하여, 중학교 1학년(7학년)을 대상으로 2차시에 걸친 교수‧학습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여기에서는 슈베르트(Franz Peter Schubert, 1797∼1828)의 예술가곡 ‘보리수(Die Lindenbaum)’를 제재 곡으로 선정하였다. 다음으로 ‘감상’영역에 따른 성취기준에 슈타이너의 교육철학을 적용하여 중학교 2학년(8학년)을 대상으로 2차시에 걸친 교수‧학습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제재 곡은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 1770∼1827) 교향곡 3번 ‘영웅(Symphony No. 3 in E- flat Major, Op. 55 'Eroica')’의 1, 2악장을 선정하였다. 마지막 영역인 ‘생활화’ 역시 성취기준에 슈타이너의 교육철학을 적용하였다. 중학교 3학년(9학년) 학생들이 교내 합창제에 참여하여 공연 내용 및 기획에 대하여 비평하는 시간을 갖게 된다. 여기서는 1차시에 한 하여 교과 지도방안을 구성하였다. 이와 같은 음악 교과 지도방안을 뒷받침 하는 슈타이너의 교육 핵심은, 학생들의 사고와 감정이 적절한 때에 발달하도록 하여 그들이 주체적으로 자신의 삶을 자유롭게 꾸려나갈 수 있도록 돕는 데에 있다. 슈타이너는 물질 만능주의가 만연한 현 시대를 비판하여 ‘정신성’의 회복을 강조함으로써, 입시위주의 교육이 아닌 학생들의 흥미와 자질을 고려한 교육이 이루어져야함을 주장한다. 또한 음악교과와 타 교과와의 통합된 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지적 발달과 예술적 감각 발달이 동시에 이루어짐으로써 학생들의 ‘전인적 인간’으로의 성장이 가능하다고 설명한다. 이러한 슈타이너의 교육철학을 우리나라 교육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슈타이너가 주장한 교육의 ‘본질’이 무엇인지를 제대로 파악하는 것이 우선시 되어야한다. 본래 ‘자유 발도르프 학교’는 대안학교로서의 취지로 설립이 되었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공교육으로 받아들이기 위해서는 앞으로도 적절한 시간과 노력의 투자가 필요할 것이며, 교사 양성 교육 기반이 충분히 마련되는 것이 중요하다. This study has a purpose of contribution to make Korean students surrounded by material civilization be whole-person with independent thinking ability. For students' growth, it explores teaching method for music class at middle school applying Rudolf Steiner(1861∼1925)'s recognitive educational philosophy. First of all, this study investigates life of Steiner, his recognitive education theory, teaching method, and features of Free Waldolf School based on his educational philosophy. Also, it analyzes 'content organization and standard of accomplishment' suggested from 「2015 Revised Curriculum of Music Education」. As for 'expression' section, this study suggests teaching guidance plan for two classes for first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7th grades) with accomplishment standard applied Steiner's educational philosophy. This study selects Franz Peter Schubert's(1797∼1828) art song, Die Lindenbaum for singing repertoire. Next, for 'appreciation' section, this study suggests teaching guidance plan for two classes for second grades at middle school (8th grades) with accomplishment standard applied Steiner's educational philosophy. It has Lugwig van Beethoven's (1770~1827) the first and second movement from Symphony no.3 in E flat Major, Op.55 'Eroica' as singing repertoire. Finally, for 'familiarization' section, with accomplishment standard applied Steiner's educational philosophy, third grade students from middle school (9th grade) will participate in the chorus performance in their schools and criticize others' performance as well as their own. For this section, teaching guidance plan for one class is organized. The core of Steiner's education that supports this study's teaching guidance plan is in helping students in managing their lives freely and independently by developing their thinking and emotions in an appropriate period. Steiner insisted that education consider students' interest and aptitude not focusing only on college entrance exams by putting emphasis on recovery of 'spirituality' criticizing modern time with prevalent materialism. He also explained whole-person education is possible by having simultaneous development of intellectual and artistic senses throughout integrated education of music and other subjects. To adapt Steiner's education philosophy, understanding the essence of education that Steiner stressed should come first. In addition, since 'Free Waldolf School' was originally built for the purpose of alternative school , it will take time and efforts to make it public education in Korea. Last but not least, it is vital fact that enough education base for training teachers should be prepared.

      • 비평적 사고능력 신장을 위한 미술감상 지도방안 연구 : 고등학교 과정을 중심으로

        이로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Nowadays, social demand of education is increasing according to complex and multiplicity modern society. Now, this society we live is based on the information exchange by reproduced visual images and mass media in large quantity. Thus, it is very important to read useful information critically in visual image’s overflowing, that spout out explosively and accept the value rightly first and foremost. Therefore, art education's innovation is necessity to cope with this society. Art has been spreading out its field as 'Visual Culture' within picture, movie, and visual images by many visual media without limited field. Therefore, we need some education to understand and judge that visual images means and its value and meaning. So, on this viewpoint, criticism from art appreciation class is a base to improve and judge an aesthetic judgment ability to accept various images in present visual culture society and it helps to grow up critical thinking faculty. Hereupon, a revised bill of art education curriculum, spread out gradually in 2009, emphasizes importance of art criticism education more to improve critical thinking ability in visual culture. Therefore, there is a purpose of this study to realize importance of art criticism education at appreciation class of high school and I defined Gradual Criticism Theory written by E. B. Feldman., Critical Inquiry written by G. Geahigan, which adapts the Inquiry Process of Dewey. Feldman's criticism method, which is general method to teach the critical art appreciation, presents specific method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art work. And, G. Geahigan's critical means an inquiry process to change unclear situation. So, this helps to recognize and solve some problems on learner's own shoulder.I proved synthetic criticism process, which two criticism methods fixed up mutually through efficient criticism learning of art appreciation, based on as above. I accepted 'Theory of Criticism' of Feldman according with peculiarity of learning execution about professor-learning process, and I reflected in 'Theory of Inquiry' of G. Geahigan to solve the problem on learner's own shoulder during teaching. The synthetic art criticism process, which accepts critical inquiry activity, needs critical and wide thinking and it carry out based on active inquiry activity of students. Therefore, it is judged that these activities are relation with cultural comprehension involved in student's life, and serious activity of art work appreciation, without passive appreciation behavior. On the other hand, I selected Pop art and Media art to discern professor-learning's teaching plan at art and appreciation class among various methods by synthetic art criticism process. It can help to understand our culture through modern art's understanding, which reflects this society. Also, it has purpose to understand what all of our life can be subjects or matters of art, and enjoy art in our life with Pop art and Media art's appreciation. I wish that we recognize importance of criticism education at actual class, and many students experience various aesthetic opportunities all around of our life during active process to investigate some problems actively by themselves, out of passive appreciation behavior, through this study. 현대 사회가 복잡해지고 다양해짐에 따라 교육에 대한 사회적 요구 또한 다양해진다. 현재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사회는 대량으로 복제되는 시각이미지들과 대중매체에 의한 정보교류를 바탕으로 한다. 이렇듯 폭발적으로 쏟아지는 시각이미지의 홍수 속에서 자신에게 유용한 정보를 비판적으로 읽고 그 가치를 올바르게 수용할 수 있는 능력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새로운 사회에 대처하기 위한 미술교과교육의 변화는 필연적이라 할 수 있겠다. 다양한 시각적 미디어를 통한 그림이나 영상, 시각적 이미지들 속에서 미술은 더 이상 제한된 영역으로서의 미술이 아닌 학생의 삶 속의 ‘시각문화’로 영역이 확장되었다. 따라서 끊임없이 마주치는 시각적 이미지들이 무엇을 의미하며 어떤 가치와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이해하고 판단하는 교육이 필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미술 감상수업에 있어서의 비평학습은 오늘날 시각문화사회에서 다양한 이미지들을 올바르게 선별하고 수용할 수 있는 미적 판단능력을 길러주기 위한 토대가 되며 다양한 문화를 이해하고 비평적 사고력을 신장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에 2009년부터 단계적으로 시행되는 제7차 미술과 교육과정 개정안에서는 이러한 시각문화 환경 안에서 비판적 사고능력 신장을 위한 미술비평교육을 더욱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고등학교 감상수업에 있어서 미술비평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비평학습의 과정으로서 펠드먼의 단계적 비평방법과 듀이의 탐구과정을 응용한 게히건의 비평적 탐구방법에 대해 고찰하였다. 비평적 미술 감상 지도의 보편적 방법인 펠드먼의 비평단계는 작품의 의미해석에 있어 구체적인 방식을 제공하고 있다. 더불어 게히건의 비평적 탐구방법은 불명료한 상황을 명료하게 변화시키기 위한 탐구과정으로 학생 스스로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할 수 있는 경험을 갖도록 한다. 이를 토대로 효율적인 미술 감상 비평학습으로 두 비평방법을 상호 보완한 통합적 비평과정을 제시하였다. 교수-학습 과정은 학습 전개의 특수성에 의거하여 펠드먼의 ‘단계론’을 수용하고 과정상의 지도는 학습자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도록 게히건의 ’탐구론‘을 반영하였다. 비평적 탐구활동을 적용한 통합적 미술비평과정은 비평적, 확산적 사고를 요하며 학생들의 적극적 탐구활동을 바탕으로 한다. 따라서 이러한 활동은 감상을 함에 있어 수동적인 감상태도에서 벗어나 학생들 개인의 삶과 연관된 문화적인 이해와, 보다 깊은 작품 감상의 활동으로 연계되리라 생각된다. 한편, 통합적 미술비평과정을 통한 방법으로 미술과 감상수업의 교수-학습지도안을 구안함에 있어 감상내용은 팝아트와 미디어아트의 작품을 선정하였다.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시대를 반영하고 있는 현대미술을 이해한다는 것은 우리의 문화를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팝아트와 미디어아트의 감상을 통해 미술이라는 것이 우리의 삶과 동떨어져서 존재하는 것이 아닌, 우리 주변의 모든 것이 미술의 주제나 소재가 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 삶 속에서 미술을 향유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교육현장에서 비평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수동적인 작품 감상의 태도에서 벗어나 학생들 스스로 문제를 적극적으로 탐구하는 능동적인 과정 안에서 생활 속의 다양한 미적 경험의 기회를 체험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두 여성 농부의 생애사에 나타난 전환학습 경험

        이로사 아주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평생교육 현장에서 여성의 참여율은 증가하고 있지만, 남성에 비해 낮은 사회적 위치, 고용 시장에서의 풍토는 여전히 차별적이다. 2018년 세계 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에서 발표한 ‘2018 젠더 격차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젠더 평등 상황에 대해 분석한 결과, 149개 나라에 대한 통계에서 한국은 115위에 머물렀다. 한국의 사회, 경제, 민주주의의 발전 속에서도 여성의 지위는 국제 평균 수준에도 미치지 못하는 실정인 것이다. 농촌에서의 젠더 불평등도 심각한 수준으로, 농림축산식품부의 ‘2018년 여성농업인 실태조사’에 따르면 농사일의 절반 이상을 여성이 전담하고 있지만, 정작 자신이 경영주라고 생각하는 여성농업인은 극히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응답자의 대다수가 농업에서의 여성의 지위가 남성보다 낮다고 응답했고, 향후 남성과 지위가 같아야 한다는 의견은 높게 나타나는 등 여전히 농업 현장에서 여성농업인의 불평등한 위치를 확인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여성에 대한 인식이 열악한 ‘농업’이라는 분야에서 여성으로서 주체적인 삶을 살아가고 있는 여성 농부의 생애사를 통해 젠더 관점에서 전반적인 생애 맥락과 농부로서의 성장 과정을 살펴보고, 그 생애 전반에서 일어난 전환학습 경험이 평생교육에서 갖는 함의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Mezirow가 제시한 전환학습 이론을 토대로 하면서, 젠더 관점에서 여성 농부의 생애사건을 내러티브를 통해 조망하여 농업분야에서 주체적 여성으로서 거듭나는 전환학습 경험에 주목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생애 맥락 속에서 여성으로서의 삶의 맥락은 어떠한지, 또한 농부로서의 성장과정은 어떠한지, 그리고 전환학습 경험의 특징과 어떠한 평생교육적 의미를 지니는지의 3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인간의 경험을 이해하는데 가장 적합한 탐구 방법이라고 할 수 있는 ‘내러티브 연구’를 적용하였다. 젠더 관점과 농업인으로서의 전환학습 경험을 다각적으로 탐구하기 위해 농업 분야에서의 활동 양상과 범위가 상이한 여성 농부 2인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참여자와의 심층 면담과 참여 관찰을 비롯하여 신문 기사, 동영상, 홈페이지 등에서 유의미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심층 면담을 진행한 후에는 가급적 면담내용을 즉시 전사하여 연구참여자들과도 공유하며 내용을 보완하였다. 또한, 반복적으로 전사 내용을 읽으면서 연구참여자의 생애사 이해를 위해 노력하였다. 효과적인 자료 분석과 맥락의 이해를 위하여 연구참여자의 생애 사건을 시간 순으로 내러티브로 정리하였다. 생애 전환에 있어 큰 영향을 미쳤던 결정적 생애 사건을 추출하고, 추출된 결정적 생애 사건들은 시계열적으로 엮으면서 이야기를 구성하고 내러티브의 해석을 담았다. 이에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대한 결과를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첫째, 연구참여자인 두 여성 농부의 삶의 맥락에서 ‘결혼’이라는 결정적 생애 사건을 통해 혼란스러운 상황에 직면하게 되고, 이에 따른 자기 점검과 비판적 성찰을 통해 새로운 삶으로 재통합하기 위한 전환이 일어났다. 여성의 생애 과정에서 결혼, 이혼, 출산 등은 결정적 생애 사건으로서 다양한 변화와 인생의 전환을 일으키는데, 두 여성 농부의 여성으로서의 삶의 맥락에서도 ‘결혼’은 농부로서 그녀들을 살아가게 한 트리거가 되었다. 둘째, 두 여성 농부의 삶의 맥락에서 ‘농업’은 자신의 가치를 일깨우고 보람과 긍지를 느끼게 하는 원동력이다. 연구참여자인 두 여성 농부 모두 농부로서 긍지와 남다른 자부심을 가지고 있었다. 남들이 하지 않는 길을 꿋꿋이 지켜 간다는 책임감, 작은 씨앗에서 시작하여 몇 배의 결실을 경험하는 보람, 직접 기른 건강한 먹거리를 함께 나누는 기쁨은 자신을 더욱 가치 있게 만들고 빛나게 하는 긍정적인 학습적 경험이었다. 셋째, 연구참여자인 두 여성 농부에게 나타난 전환학습 경험의 특징적 양상은 그녀들에게 ‘농사’의 의미가 삶의 위기에서 발견한 내면의 문제의식으로부터 비판적 성찰을 통해 주체적인 삶으로의 전환을 맞이하게 되는 시발점이라는 것이다. 삶의 위기나 한계의 상황에서 연구참여자들은 자신의 내면의 목소리에 직면했다. 그리고 그 울림은 자신의 삶의 의미와 방향을 재정립하고, 끊임없이 농업의 길로 그녀들을 이끌었다. 그리고 흙에서 누리는 삶의 충만함은 그들의 고유한 삶의 영역으로 확대되어 온전한 삶의 방식으로 정착되어 감으로써 보다 확장적 관점에서의 전환학습의 의미를 찾을 수 있었다. 한편 농업을 통해 삶을 재통합하고 이를 실천해 나가는 과정에서 농업 본연의 가치와 함께 연구참여자 자신의 가치 또한 상승시킴으로써 연구참여자 스스로의 자존감 회복의 모습도 나타났다. 특히, 자신이 추구하는 농업의 가치를 동료들과 나누는 과정, 직접 기른 농작물을 이웃과 나누거나 자원봉사를 통해 나의 활동에 의미를 부여하는 모습은 주체적인 성인학습자로서 성장하고 발전해가는 모습을 기대하게 한다. 본 연구는 평생교육의 성인학습이론에서 중요한 요소인 전환학습을 젠더 관점의 맥락에서 분석했다는 점과 생애 전환에 대한 연구 대상을 다양화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업사이클링 친환경 미술교육 프로그램 : 중학교 3학년 미술 수업을 중심으로

        이로사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From the perspective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art education, this study proposed and implemented an eco-friendly art education program that can help learners form an aesthetic perspectives on nature and motivate learners to practice eco-friendly life. To this end, we grasp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nature by carefully observing ecology and nature, and carried out an upcycling activity to produce works of art using waste paper that can be easily found in daily life. In order to use upcycling art as a tool for eco-friendly art education programs, we analyzed the concept of upcycling art and the case of the work. And in accordance with the trend of the times to overcome the climate and environmental crisis, we laid the basis for the need to implement art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environmental education, and laid the foundation for research by analyzing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curriculum and the 2022 revised curriculum in order to derive the link between environmental education and art education. Based on these grounds, a total of three eco-friendly art education programs were proposed and implemented in this study.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three programs were composed. First, ‘Sensory UP, Find the hidden pattern of plants!’ which is an plant drawing activity drawn on the waste paper, and second, 'Pop-up!, Radiate the charm of plants', which is made of a pop-up card using waste paper and decorated with plant drawings, and third, 'Book up, a plant growth diary I raised' that records the process of plant growth using an old book. These three programs consisted of a total of 12 times, and over a six-week period of November-December 2021 for 73 third-year middle school girls, resulting in the following results and testimonials from learners: First, learners became deeply observing nature, recognizing their relationship with ecology, plants, and nature, creating aesthetic perspectives on nature, and became interested in nature, ecology, and the environment. Second, in this program, learners were able to experience eco-friendly living practices through upcycling art using waste paper instead of new paper. As a result, they felt novelty, joy, and satisfaction about eco-friendly practices, and a change in the perception that eco-friendly life practices are possible in everyday life has occurred. Third, it has made a shift in the learners' thinking about the realm of art. Experiencing the necessity and possibility of eco-friendly choices in art activities, considering the environment and expanding the perception of the realm of art for the environment. Therefore, this study gave learners the motivation to practice eco-friendly life through the conversion of thinking about eco-friendly living, and that they realized the mystery and unique beauty of nature. However, if the process of stimulating ecological sensitivity obtained through ecological and natural appreciation and experience using the sensory factors of learners, and explores the real causes of environmental problems on their own, it was shown that the effect of environmental education through art education would have been greater. In this era where human lifestyle changes are needed in the era of the climate and environmental crisis, the study is significance of this study in proposing, implementing ways for eco-friendly practice in art education and deriving the expected effects. Therefore, this study gave learners the motivation to practice eco-friendly life through the conversion of thinking about eco-friendly living, and that they realized the mystery and unique beauty of nature. However, if the process of stimulating ecological sensitivity obtained through ecological and natural appreciation and experience using the sensory factors of learners, and explores the real causes of environmental problems on their own, it was shown that the effect of environmental education through art education would have been greater. In this era where human lifestyle changes are needed in the era of the climate and environmental crisis, the study is significance of this study in proposing, implementing ways for eco-friendly practice in art education and deriving the expected effects. 본 연구는 미술교육 안의 환경교육 관점에서, 학습자들이 자연에 대한 미적 시각을 형성하고 학습자들의 친환경 생활 실천에 대한 동기를 부여할 수 있는 친환경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제안·실행하였다. 이를 위해 생태·자연을 유심히 관찰함으로써 자연의 미적 특성을 파악하고 일상에서 쉽게 찾을 수 있는 생활 폐지를 이용하여 미술작품을 제작하는 업사이클링 활동을 실행하였다. 업사이클링 아트를 친환경 미술교육 프로그램의 도구로 활용하기 위해 업사이클링 아트의 개념과 작품 사례 분석하였고, 기후환경위기 극복을 위한 시대적 흐름에 따라, 환경교육의 관점에서 미술교육 실행의 필요성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였으며 환경교육과 미술교육의 연계점 도출을 위해 현행 교육 과정과 2022 개정 교육 과정 방향을 분석하여 연구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이러한 근거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총 세가지의 친환경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실행하였다. 첫째, 폐지에 그리는 식물 드로잉 활동인 ‘감각 UP, 식물의 숨은 무늬를 찾아라!’, 둘째, 폐지를 이용하여 팝업 카드를 제작하고 식물 그림으로 꾸민 ‘팝 UP, 식물의 매력을 발산하라!’, 셋째, 식물 성장 과정 내용을 헌책을 활용하여 제작한 ‘북 UP, 내가 기른 식물 성장 일기’로 구성하였다. 이 세가지의 프로그램을 총 12차시로 구성하고, 2021년 11월~12월에 6주간에 걸쳐 중학교 3학년 여학생 73명을 대상으로 실행한 후 학습자들의 결과물과 소감문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학습자들이 자연을 깊이 관찰하며 생태·식물·자연과 자신과의 관계를 인식하게 되었고, 자연물에 대한 미적 시각이 형성되었으며 자연·생태·환경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되었다. 둘째, 본 프로그램에서 학습자들은 새 종이를 사용하는 대신 생활 폐지를 이용하는 업사이클링 아트를 통해 친환경 생활 실천을 경험할 수 있었다, 이로써 친환경 실천에 대한 새로움과 즐거움, 만족감을 느끼고 일상에서도 친환경 생활 실천이 가능하다는 인식의 변화가 생겼다. 셋째, 학습자들에게 미술 영역에 대한 사고의 전환을 이루었다. 미술활동 안에서 친환경적 선택의 필요성과 가능성을 경험하며 환경을 고려하고 환경을 위한 미술에 대한 영역 인식이 확장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학습자들이 친환경 생활에 대한 사고의 전환을 통하여 친환경 생활 실천 동기를 부여받았고, 자연이 지닌 신비성과 고유한 아름다움을 깨닫게 되었다는 점을 도출하였다. 다만, 학습자들의 감각적 요인을 활용한 생태·자연 감상 및 체험을 통해 얻어지는 생태적 감수성을 자극하고, 환경 문제에 대한 현실적 원인을 학습자 스스로 탐구하는 과정이 제시되었다면 미술교육을 통한 환경교육의 효과가 더욱 컸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기후환경위기로 인간 생활양식 변화가 필요한 이 시대에 미술교육에서 친환경적 실천을 위한 방안을 제안·실행하고, 기대한 효과를 도출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중학교 1-1 『국어』 '단원의 길잡이'에 나타난 문장의 다양성과 복잡성 변화 연구

        이로사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중등학교 국어 교과서를 분석한 연구는 교과서를 교육 과정과 연계하여 평가한 것과, 교과서의 지문을 언어학적인 관점에서 고찰한 것으로 대별되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선행연구 가운데 교과서의 외적인 측면이나 분석의 대상으로 활용된 것은 많지만 상대적으로 교과서의 내적인 일관성을 살펴본 연구가 부족함을 지적할 수 있다. 따라서 본고는 교육 과정에 따른 문장의 다양성과 복잡성의 변모 양상을, 중학교 1학년 1학기 국어 교과서의 ‘단원의 길잡이’ 내 문장들을 분석해 봄으로써, 통시적으로 고찰하고 그 결과를 해석하는 데 그 목적을 둔다. 본고에서 살펴볼 자료는, 제1차 교육 과정(1960)으로부터 제7차 교육 과정(2007)에 이르기까지 편찬된 중학교 1학년 1학기 국어 교과서 각 단원의 도입부에 제시된 ‘단원의 길잡이’들이다. 텍스트 속의 문장이 가진 다양성과 복잡성을 측정해 내기 위해서 철저히 문장의 분석에 초점에 둔 이론인 ‘해석문법(Analytic grammar)’ (김의수 2008, 2009)에 입각하여 문장을 분석하고 그것의 다양성과 복잡성을 산출해 낼 것이다. 본고의 내용을 개괄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2장에서는 중학교 국어 교과서 내의 ‘단원의 길잡이’를 문장의 다양성과 복잡성 차원에서 어떻게 분석할 수 있는가를 구체적인 사례 중심으로 논의했다. 그 과정에서 문장의 다양성과 복잡성 측정 기준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제1차 교육 과정 중학교 1학년 1학기 국어교과서의 1단원에 들어 있는 ‘단원의 길잡이’와 제7차 교육 과정 중학교 1학년 1학기 국어교과서의 1단원에 들어 있는 ‘단원의 길잡이’를 직접 분석하였다. 3장에서는 각 교육 과정별 특징을 설명하고, 2장에서 제시한 방법론을 통해 제1차 시기에서부터 제7차 시기에 이르는 동안에 편찬된 국어 교과서 ‘단원의 길잡이’에 나타난 문장의 복잡성과 다양성을 낱낱이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단원의 길잡이’에 제시되어 있는 문장의 복잡성과 다양성은 ‘모문’중심, ‘내포문’중심, ‘모문+내포문’중심으로 분류하여 분석하고, 통시적인 양상까지 면밀하게 추적하고 해석하였다. 본고는 제1차 교육 과정 시기부터 제7차 교육 과정 시기까지 각 교육 과정 시기별 교과서의 내적인 일관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비록 한정적인 자료에 관한 분석과 해석이었지만, 이러한 방법론은, 교과서들의 문장 수준을 면밀하게 심의하여 향후 개선 방안을 마련하는 데 중요한 객관적인 근거를 제공해 줄 수 있다.

      • 한국과 일본의 무용교육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이로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인들은 급변하는 사회에 교육을 통한 강인한 의지력과 능동적 실천력을 갖춘 창의적인 인간형성이 요구된다. 특히 무용교육은 인성형성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므로 무용교육을 통한 직감력 향상과 각자의 독특한 개성을 개발시킬 수 있는 창의력 배양에 주력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창의성 개발과 인성형성에 도움이 되는 학교무용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를 실시하였다. 첫째, 무용교육의 필요성과 창의성의 개념 및 개발방안에 대한 몇 가지이론을 검토하였다. 둘째, 한국과 일본에서 현재 실시되고 있는 초등학교 무용교육의 내용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의 무용교육은 교사로부터의 기능 습득을 요구하는 반면 일본의 무용교육은 창의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무용의 기본 움직임을 탐구하는 교육에 힘쓰고 있는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일본의 무용교육에서 아동에게 창의성 발달에 도움을 주는 방안을 찾을 수 있었으며, 이를 우리나라 무용교육에 적용할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좀더 자세한 무용 학습의 목표가 설정되어야 한다. 교사는 언제나 무엇을 학습 목표로 할 것인가를 깊이 생각하여야 하며 목표가 없으면 무의미한 학습이 된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둘째, 학생이 즐기면서 감정을 넣어 춤을 출 수 있도록 지도하여야 한다. 셋째, 교사로부터의 기능과 습득에 치우치는 교육을 지양하고 창의성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무용기본 움직임을 탐구하는 무용 교육에 힘써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의 무용교육의 발전을 기대하기 위해서는 아동기의 초등학생들에게 보다 독창적이고 개성 있는 무용을 가능하게 하는 여러 가지 창의적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중요성을 실감할 수 있었으며, 무용 지도자가 교육자로서의 책임감을 갖고 교육을 실시하여야 할 것이다. The moderns meet the need of ingenious character building that has a strong will power and an active practive power by education in the rapidly changing society. Particularly, dancing education is closely connected with humanity building. So, we have to make efforts to improve intuition power and grow ingenious ability to develope peculiar personality by dancing education. For that reason, I studied as follows to present the object of dancing education in school for developing ingenious ability and humanity building. The first, I examined some theory on necessity of dancing education and conception of creative talent or development device. The second, I compared and analyzed contents of dancing education practicing in Korean and Japanese elementary school. In result, I found out difference between Korea and Japan in dancing education. In Korea, dancing education needs to learn skill from teacher. On the hand, in Japan, dancing education lays emphasis on the study of basic action in dancing to display ingenious ability. And dancing education in Japan has a plan to develop intuition power for children. The plan to apply it to dancing education of Korea is as follows ; The first, we have to set up the aim of more detail dancing lesson. Teachers must always think deeply of what the aim of lesson is, and if they have no aim of lesson, they have to keep in mind that it will be a wasted lesson. The second, they must teach the students to dance with pleasure and feeling. The third, we have to exclude dancing education which slant toward learning skill from teacher, and we must make effects to dancing education to study basic action to display ingenious ability. In this research, I realized the importance of creative program development to make more creative and personal dancing possible to primary-school children. If a leader makes effects to creative program development in dancing with a sense of responsibility as an educator to develop dancing education in Korea, before long I expect that the greatest dancer in the world will appear in Korea.

      • 국내 온라인 오픈마켓의 핵심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 옥션과 지마켓을 중심으로

        이로사 중앙대학교 산업창업경영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터넷의 확산은 전 세계적으로 사회 전반에 큰 변화를 가져왔으며, 그 중에서도 특히 온라인을 활용한 전자상거래가 유통 부문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온라인 마켓을 폭발적으로 발전시킨 비즈니스 모델인 오픈마켓의 핵심 성공요인을 살펴보았다. 특히 국내 온라인 오픈마켓의 선두주자인 옥션과 지마켓의 사례를 중심으로 성공요인과 전략을 연구하였다. 옥션은 국내 온라인 쇼핑 시장에 처음으로 오픈마켓 비즈니스 형태를 도입한 선도기업이다. 경매형 쇼핑 형태에서 오픈마켓 형태로 적절히 전환하여 시장의 요구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한 것이 주요 성공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진입장벽이 낮으며, 적은 비용으로 사업을 유지할 수 있는 오픈마켓의 특성상 다양한 판매자가 생겨났으며 싼 가격에 여러 상품을 구입하고자 하는 고객층도 늘어나게 되었다. 옥션에서 출발한 오픈마켓 모델을 더욱 활발하게 발전시킨 것은 지마켓이다. 지마켓은 단순히 중개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혁신적인 마케팅으로 선도기업이었던 옥션을 거래액 부문에서 따라잡았다. 특히 판매자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양질의 판매자 확보를 위해 판매자 중심의 서비스를 제공한 것이 핵심 성공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옥션과 지마켓의 성공으로 대기업 위주로 다양한 오픈마켓이 생겨났으나, 대부분 성공적으로 안착하지 못하고 지지부진한 성과를 내고 있다. 이는 기존의 오픈마켓 시장에서 진행되어온 결과물만을 답습하며 끊임없이 변화하는 온라인 시장에서 차별화된 전략을 제시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오픈마켓 시장이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급변하는 시장 환경 속에서 위기에 대비해 리스크를 최대한 줄이고, 포화상태에 이른 국내에서의 경쟁보다는 시장을 넓혀 새로운 기회와 도전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An expansion of internet utilization has brought in great changes on overal on world-wide basis. Above all changes electronic business transactions using on-line has been impacting on distribution system significantly. This study has focussed on exploring a key success factor of open market which has contributed on developing Korean on-line market explosively. Particularly this study has centered on the case of "Auction" and "G-Market" which are leading players in Korean on-line open market to find out a key success factor and success strategy. "Auction" is the leading enterprise which brought open market business formula in Korean on-line shopping business for the first time. A shift from auction-type shopping form to open market-type shopping form, thereby providing an appropriate service to meet the market requirement, looks the main cause of success. Thanks to the characteristics of open market with low market entry barriers and maintaining the business with low expenditure has enabled to produce various sellers and increase customers to buy various kinds of goods with low prices. "G- Market" has developed open market model deeply which was initiated by "Auction". "G-Market" has not only remained as intermediary service provider but also implemented innovative marketing activities and eventually caught up with "Auction", the market leader, in terms of turnover. Bearing in mind the importance of sellers,"G-Market" has tried to recruit quality sellers by providing seller-oriented services and this fact is the key factor of its success. Various type of open markets with large size have entered into the market. However most of them have not settled successfully with sluggish performance. This is mainly due to taking a follower strategy by copying a outcome of existing players and failing in providing a differentiating strategy. To develop the open market on a sustainable basis, efforts has been given to expanding new market territory with challenges to explore new opportunities, thereby mitigating risks and overcoming saturated domestic mark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