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인터넷뱅킹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 및 재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Study on the Effect of the Internet Banking Service Quality on Consumer Satisfaction and Reusing Intention Dong-Soo Lee Dept. of Business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Yeungnam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Yeung-Bong Park) Abstract Internet banking is the system where the consumer is offered a variety of financial services through PC and the arrangement of the host computer in the bank. In 1999, the Shinhan bank first started to arrange the internet banking service in Korea. Nowadays, the internet banking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services of the bank industries. Because of the evolution and expansion of communication through internet and the merit of internet banking, the share of internet banking in bank is enlarging. Many domestic banks have been deeply interested in the establishment of a strong customer relationship to acquire advantages due to severer competition in bank industries. Customer satisfaction and reusing intention, which as an important strategic goal can be realized through marketing practices, is absolutely crucial for steady and superior economic expansion. Therefore, this study identifies internet banking service quality, customer satisfaction, reusing intention, characteristic of internet banking user. Additionally, investigate the determinants of service quality and empirically investigate relationships among the service quality, customer satisfaction and reusing intention . For this study, existing references regarding service quality, customer satisfaction, and reusing intention were reviewed, and research model was then created. To that end, population that is over 18 years adults using internet banking in Daegu Metropolitan City is established, 250 samples were selected with convenience random sampling method and finally 212 samples were used of this study. After executing pilot study and verifying construct validity and reliability, questionnaire were filled out by the samples with self-adminstration method. The statistical methods for this study were descriptive analysis, reliability, factor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PC Windows 12.0. From the result of statistical analysis, it was appealed that 6 service quality factors(tangibility, reliability, responsiveness, conviction, empathy, and stability) are affected to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satisfaction affected reusing intention. The study provides following suggestions, Although the 6 factors deciding service quality show difference in regression factor score, it generally provides customers with positive affect. Also, it was found that customer satisfaction acted as the significant mediating variable to reinforce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quality and customer reusing intention in internet banking. As suggested b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provide brief discussion of strategic guidelines about domestic internet banking and further researches are suggested. Key wards : internet banking, internet banking service quality, customer satisfaction, reusing intention. 인터넷뱅킹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 및 재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동수 영남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마케팅 전공 (지도교수 박영봉) 요 약 본 논문은 전통 은행 서비스품질과 인터넷 뱅킹 서비스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함으로 은행의 서비스품질 향상에 도움을 주고, 이러한 요인들이 인터넷 뱅킹 고객들의 고객만족도와 재이용의도에 어떻게 영향력을 행사하는 가를 실증적 연구를 통해 비교분석함으로 은행 마케팅전략의 계획과 실행에 실무적 도움을 제공하고, 더 나아가 인터넷 뱅킹 서비스품질에 대한 유용한 통찰력과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비스의 정의와 특징, 서비스품질, 고객만족 및 인터넷뱅킹과 관련된 문헌연구를 충실히 수행하였고, 이를 토대로 인터넷 뱅킹 서비스품질 결정요인들을 추출한 다음, 인터넷뱅킹 서비스품질요인을 독립변수로, 재이용의도와 만족도를 종속변수로 두고 변수들간의 인과관계를 회귀분석을 이용해서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인터넷 뱅킹을 주로 이용하는 고객층은 10대 후반-40대의 연령층으로 대학생 또는 경제활동에 직접 참여하는 사람들이며, 인터넷뱅킹에 대한 수요는 점점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인터넷뱅킹 서비스품질요인중 신뢰성에 가장 주력하는 것이 고객만족도를 높이며, 이러한 고객만족도는 재이용의도에 정(+)의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최근 고객만족과 충성도를 연구하는 다른 연구결과와도 일치한다. 요약하면, 인터넷뱅킹 서비스품질의 6가지 결정요인들은 고객만족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며, 고객만족은 고객의 재이용의도를 이끈다는 연구결과를 토대로 은행들은 탁월한 서비스품질을 지속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노력에 경주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성 단독주택지의 국지가로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단독주택지의 국지가로 유형별로 가로환경을 비교·분석하고, 이를 구성하고 있는 요소(바닥, 담장 및 벽면, 가로시설물, 주차공간, 자연적요소)들 간의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다. 국지가로의 유형은 격자형·T자형·링형으로 구분하였다. 격자형의 경우에는 기존 단독주택지의 대부분이 이에 해당함으로 세부적으로 2켜형, 4켜형, 다가구 주택형, 담장 허물기 및 거주자 우선 주차제형 등 6가지 유형을 구분하여 비교·분석하였는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링형의 대상지가 T자형, 격자형의 대상지에 비하여 모든 부문에서 가로환경의 질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고, T자형 대상지가 격자형의 대상지 보다는 가로환경의 질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격자형의 대상지 중에서는 2켜형의 대상지가 4켜형의 대상지보다 가로환경의 질이 높게 평가되었으며, 다가구형의 대상지가 가장 가로 환경의 질이 열악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담장 허물기 및 거주자 우선주차제를 시행하는 지역에서는 주차공간에 관한 평가는 높게 분석되었으나 담장 허물기를 통한 노력은 높게 평가되지 못해 일부 거주민들만 참여하는 담장 허물기는 오히려 가로환경의 쾌적성을 떨어뜨릴 수도 있다고 사료되었다. 셋째, 가로환경을 구성하고 있는 물리적 요소들 간의 상관분석 결과 단독주택지 가로환경을 구성하고 있는 물리적 구성요소 중 주차공간의 경우 모든 요소들과의 뚜렷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거주자 우선주차 및 화분을 통한 주차유도 방식을 본 연구의 대상지에 시뮬레이션 해본 결과 현재의 대상지 가로환경에 주차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가로공간이 보유하고 있는 자동차의 수보다 현저히 부족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하여 볼때 단독주택의 경우 가로환경의 개선 및 계획시 주차공간에 대한 계획이 가장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하는 부분으로 사료되었으며, 특히 주차공간은 자연적 요소와는 강력한 양적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어 기성 시가지의 친환경적인 주거환경 정비를 위해서는 주차공간이 확보 되어야 할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시뮬레이션 결과 현재의 기성 단독주택지에서 주차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쉽지 않으므로 거주민 공영주차장의 설치, 지역 학교의 운동장 야간 개방 등이 계획적으로 시행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In order to improve the local street environment of the existing detached housing this research compared and analyzed the street environment of each local street of detached housing and conducted 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factors (floor, fence and walls, street facilities, parking lot and natural factors) that compose it. The Grid type, the T-cross type and the Ring type were analyzed as the types of local streets and in the case of the Grid type 2-layer type, 4-layer type, multi-family house type, fence-breaking type and residential parking permit program were compared and analyzed in detail because most existing detached housing came under this. First, the subject of the Ring type had the highest quality of street environment in all areas when compared with the subjects of the T-cross type and the lattice type and the subject of the T-cross type had a higher quality of street environment than the subject of the Grid type. Second, among the subjects of the Grid type the subject of the 2-layer type had higher quality of street environment than the subject of the 4-layer type, and the subject of multi-family house type had the worst quality of street environment. In the region where fence-breaking type and residential parking permit program were implemented, the parking lots were highly evaluated but the efforts through the fence-breaking was not highly evaluated and thus it is thought that the fence-breaking that only a few residents participate in can rather decrease the comfortableness of the street environment. Third,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of the physical factors that compose the street environment, the parking lot among the physical components that compose the street environment of the residential section of detached houses has a clear correlation with all other factors. Finally as a result of a simulation of 'the residential parking permit program' and the method of inducing parking with flowerpots at the subject of this paper, the street space that can be utilized as a parking lot in the current street environment of the subject was remarkably insufficient than the number of the owned car.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it is thought that a plan about the parking lot should accompany the improvement and plan of the street environment and the parking lot is analyzed as having a strong quantitative relation with natural factors and thus it should be improved for sure for the modern citizens who want an eco-friendly lives. However as a result of a simulation, it is analyzed that it is difficult to secure parking space in the current street environment of the existing urban district and thus it is thought that methods such as residential public parking lot, the night opening of the playground of schools of the regions and so on should be implemented.
하버마스 의사소통행위이론을 통해 본 주민자치회의 운영실태와 역할 : 인천 남동구 논현2동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동수 인하대학교 정책대학원 2023 국내석사
집단주의와 공동체 우선주의가 우선시 되었고 행정의 획일적인 지도 문화에 익숙했던 우리의 과거는, 자연스레 토의문화의 발전을 저해했고 이에 따라 토의민주주의가 기본인 주민자치의 발전을 지체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 우리의 주민자치의 발전은 매우 더디지만, 최근 시행된 주민자치회를 통해 많은 변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주민자치회는 기존의 주민자치위원회와는 다른 특징과 더불어 나름의 성과도 내고 있다. 하지만 그럼에도 주민자치회의 필요성에 대해 공감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것은 주민자치회의 공공성에 대한 의문, 즉 어떠한 공공성을 가지고 있는 것인가 하는 부분에 대한 문제다. 공공성이란 불과 20세기 중반까지만 해도 국가의 독점적이고 획일성이 지배하는 영역으로 이해되었으나, 하버마스 등에 의해 공공성의 새로운 모습이 드러나게 되었다. 획일성이 아닌 담론의 자유가 보장되는 공개성의 의미를 가진 공공성은, 하버마스(Jurgen Habermas, 1929~)에 따르면 ‘비판적 공공성’으로 이야기된다. 이러한 공공성의 기준에서는 사람들의 다양한 생각들이 존중되고, 이러한 다양성은 사회를 다채롭게 만들고 사람들에게 토론과 숙의의 기회를 제공한다. 우리의 주민자치 과정에서 이러한 토론과 숙의를 가능하게 하는 장소가 주민자치회다. 하지만, 관찰을 통해서 본 현실의 주민자치회 운영과정에서는 많은 한계점이 노출되었다. 획일성에 기반한 공공성이 아직 많은 부분에서 주민자치회에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이다. 주민자치회가 주민자치를 활성화하고 지역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진정한 토론과 숙의의 공간이 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새로운 공공성과 의사소통합리성에 기반해 발전하는 것이 꼭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다단계 혼합 가우시안 모델을 이용한 수동형 밀리미터파 영상의 은닉 물체 탐지 및 식별
최근 밀리미터파(millimeter wave) 영상은 가시광 영역의 일반영상 또는 열 영상과 다른 특성으로 보안 및 방위산업 분야에서 최근 활용도가 증가하고 있다. 3 [mm] 와 8 [mm] 범위의 밀리미터 파장은 대기 중 감쇄가 낮아서 비, 안개, 먼지, 모래폭풍 등으로 시야가 불분명한 상태에서도 물체의 영상을 획득 할 수 있다. 또한 밀리미터 파장은 의류, 직물, 종이, 플라스틱과 같은 물질을 투과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어서 의복 등에 은닉된 물체를 탐지할 수 있다. 수동형 밀리미터파 영상 시스템은 물체가 절대 온도에 비례하여 방사하고 있는 열잡음 중 밀리미터파를 광대역에 걸쳐서 수신·증폭·검파하여 영상을 얻는 것이다. 발진기가 필요 없고, 비 간섭성의 파를 수신하기 때문에 간섭의 영향이 없으나 수신신호가 매우 미약한 열 신호이기 때문에 저잡음-고감도의 수신기가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밀리미터파 영상의 공간 해상도와 신호대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는 일반 가시(visual)영상과 비교하여 현저히 낮다. 그러므로 잡음이 많고 낮은 해상도의 밀리미터파 영상을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적절한 신호의 모델링과 통계적 분석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수동형(passive) 밀리미터파 영상시스템으로 획득한 밀리미터파 영상으로부터 은닉된 물체를 탐지 및 식별한다. 은닉 물체의 탐지는 수동형 밀리미터파 영상의 히스토그램 분포를 혼합 가우시안 모델(Gaussian mixture model)로 가정하고 추정(expectation)과 최대화(maximization) (EM) 과정으로 은닉된 물체 영역을 추정하는 다단계 영상 분할 방법을 이용한다. 은닉물체의 식별(identification)은 은닉물체 영역의 형태(shape)를 주성분(principal component)과 기하학적 특징을 이용하여 크기(scale), 변형(transform), 회전(rotation)에 변함(invariant)이 없는 특징을 추출하고, 학습 영상의 특징 벡터와 표적 영상간의 특징 벡터를 비교하여 표적을 분류한다. 실험에서는 수동형 밀리미터파 영상 시스템으로 획득된 영상을 이용하여 제안한 다단계 영상 분할 방법의 성능 평가와 은닉 물체의 식별에 대한 평가를 수행한다. MIRAE 영상 시스템에서 획득된 총 10 프레임의 밀리미터파 영상은 제안한 영상 분할 방법을 통하여 실시간 은닉 물체 자동 검출 처리 과정으로 적합함을 보인다. 8 [mm] 수동형 밀리미터파 영상을 이용한 다단계 영상 분할 방법에서는 은닉된 손도끼, 권총, 플라스틱 팩, 워터 팩의 평균 확률 오차에 대해서 전형적 EM 방법보다 제안한 방법이 각각 36.7%, 39.4%, 68.4%, 90.0%의 향상된 성능을 보여준다. 그리고 일반적 영상 분할 방법과 다단계 영상 분할 방법의 성능 비교는 제안한 방법이 수동형 밀리미터파 영상의 은닉물체 검출 방법에 적합함을 보인다. 다중 채널을 이용한 영상 분할 방법에서도 제안한 다단계 영상 분할 방법이 보다 정확한 은닉물체 영역을 검출한다. 또한 다중 클러스터 다단계 영상 분할 실험에서도 제안한 영상 분할 방법이 전형적 EM 방법보다 수동형 밀리미터파 영상 분할에 우수함을 보인다. MIRAE 시스템을 이용한 은닉물체 식별 결과에서는 권총의 8번째와 9번째의 프레임을 제외하고 모두 성공적으로 식별하였고, 은닉물체 탐지와 식별까지 평균 수행 시간이 0.06 [sec]로 실시간 은닉물체의 탐지 및 식별이 가능함을 보인다. 또한 3 [mm] 수동형 밀리미터파 영상을 이용한 은닉물체 식별 결과에서는 회전, 크기에 대한 변화에서 모두 성공적으로 식별함을 보이고, 은닉물체 탐지와 식별까지의 평균 수행 시간이 0.08 [sec]로 실시간 은닉물체의 탐지 및 식별이 가능하다.
조세회피요인이 조세회피성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국가간 비교 연구 : 우리나라와 인도네시아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조세회피는 세입의 감소로 인해 정부의 국민에 대한 공공서비스를 감소시키며 지하경제의 확대를 조장하는 결과를 가져오고, 공평과세와 소득재분배의 기능이 약화되어 조세행정의 이상을 실현하는데 장애를 초래한다. 조세회피의 요인 및 조세회피 성향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있지만 각 연구들 간에 연구결과가 상이하고 일관된 결과를 보이지 않고 있다. 우리나라와 인도네시아 간에는 상호투자 및 교역이 증가하고 있으나 양국 간의 조세회피요인 및 조세회피 성향에 대한 파악과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풍부한 자원과 우리나라와 유사한 조세제도를 가지고 있으나 후진적 경제여건을 가진 인도네시아와 자원은 별로 없으나 경제를 선진화 시킨 우리나라를 대상으로 양국의 조세회피 요인이 조세회피 성향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실증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조세회피 요인으로는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조세제도적 요인, 사회심리적 요인 및 기업특성 요인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조세제도적 요인은 세율, 세법의 복잡성 및 조세회피에 대한 제재로 세분하고, 사회심리적 요인은 조세회피의 만연도와 조세의 불공평성으로 세분하였으며, 기업특성 요인은 기업규모, 수익성, 자본구조, 자본집약도 및 세무조사 경험으로 세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자료는 한국과 인도네시아의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조세회피 요인 및 조세회피 성향에 대한 43문항의 7점 척도 설문서를 작성하여 각각 300부씩 배부하여 응답을 수집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우리나라의 유효 표본은 300부, 인도네시아의 경우는 242부이다. 분석방법은 신뢰성 및 타당성분석, 더미변수를 포함한 다중회귀분석 및 t검증이 적용되었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조세제도적 요인이 양국 간의 조세회피 성향의 차이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결과에 의하면 인도네시아와 한국은 공통적으로 세율이 높을수록 조세회피 성향이 증가하고, 세법의 복잡성 및 조세회피에 대한 제재가 높을수록 조세회피 성향이 낮아져 조세순응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세율이 증가하면 조세회피를 통해 소득감소를 회피하고자 하며, 세법이 복잡할수록 납세의무자의 불확실성을 악화시켜 그 결과 조세회피를 방지하는 데 효과가 있으며, 조세회피에 대한 처벌수준이 높을수록 조세납부의 성실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조세제도적 요인이 조세회피 성향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한국보다 인도네시아가 조세회피 성향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조세제도적 요인 변수와 국가 더미변수의 상호작용 효과 분석결과 인도네시아의 경우가 한국에 비해 세율이 높을수록 조세회피 성향이 증가하고, 세법이 단순할수록 그리고 조세회피에 대한 제재 정도가 낮을수록 조세회피 성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인도네시아가 한국에 비해 조세제도 및 과세행정이 체계적이지 못하기 때문에 조세회피 성향이 높고 정도가 확대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된다. 둘째, 사회심리적 요인이 양국 간의 조세회피 성향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결과에 의하면 한국과 인도네시아 공통적으로 조세회피의 만연도와 조세의 불공평성이 높을수록 조세회피 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납세자들은 동료 집단이 조세회피를 한다는 인식을 가지게 되면 자신도 조세회피를 정당화하는 경향이 있고, 조세제도가 불공평하다고 인식할수록 납세자들의 사회에 대한 공헌을 축소하여 불공평상태를 회복하려 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사회심리적 요인이 조세회피 성향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한국보다 인도네시아가 유의적으로 조세회피 성향이 높게 나타났다. 사회심리적 요인 변수와 국가 더미변수의 상호작용 효과 분석결과 인도네시아가 한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조세의 불공평성이 심할수록 조세회피 성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조세회피의 만연도가 조세회피 성향에 미치는 영향은 양국 간에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인도네시아가 한국에 비해 조세행정의 체계성이 낮아 조세의 불공평성에 대한 인식이 클수록 조세회피에 대한 동기가 확대되는 것으로 해석된다. 셋째, 기업특성 요인이 양국 간의 조세회피 성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 결과에 의하면 한국과 인도네시아 공통적으로 기업규모가 클수록, 부채비율이 높을수록, 자본집약도가 높을수록 조세회피 성향이 높은 반면, 수익성이 낮을수록, 세무조사 경험이 적을수록 조세회피 성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치적 비용 이론보다 정치력이론을 지지하는 결과로서 기업규모가 클수록 조세입법 과정에서 더 많은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고 조세전문가를 동원하여 적극적인 세무전략을 수립하고 활용하여 조세회피의 모색이 가능한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부채비율이 높으면 과도한 차입으로 인한 이자비용의 손금불산입으로 인해 조세부담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어 이를 상쇄하기 위하여 조세회피 성향이 증가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자본집약도가 높을수록 조세회피 성향이 증가하는 것은 부채 사용으로 인한 감세가 어려워 비부채 감세수단인 감가상각비가 크게 계상되더라도 추가적으로 조세를 회피하고자 하는 동기가 높기 때문으로 보인다. 그리고 수익성이 높을수록 조세회피 성향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난 것은 과세소득이 높을수록 조세비용을 감소시키기 보다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이익이 감소하면 조세의 감소 정도를 낮추고자 하는 법인세 평준화 경향을 선택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세무조사 경험이 많을수록 조세회피를 하게 되면 세무조사를 받을 확률이 높아지고 세금추징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조세회피 성향이 감소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기업특성 요인이 조세회피 성향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한국보다 인도네시아가 유의적으로 조세회피 성향이 높게 나타났다. 기업특성 요인 변수와 국가 더미변수의 상호작용 효과 분석결과 한국은 기업규모가 클수록 정치적 비용의 부담가능성을 중시하여 조세회피 성향이 낮은 반면, 인도네시아는 정치력 이론에 따라 기업규모가 클수록 세무계획을 위한 정치적 과정에서 유리한 영향을 미칠 수 있고 기업활동을 조직화할 수 있는 자원을 보유함으로써 조세회피가 가능한 것으로 해석된다. 넷째, 한국과 인도네시아 양국의 전체 표본에 대한 조세회피 성향의 평균차이 검증결과에 의하면 인도네시아 중소기업의 조세회피 성향이 한국의 경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나 위의 회귀분석 결과와 일치하고 있다. 다섯째, 양국의 조세회피 요인이 조세회피 성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영향력의 차이를 표준화회귀계수를 통해 분석한 결과 한국과 인도네시아 공통적으로 조세회피 요인 중 사회심리적 요인이 조세회피 성향에 대한 영향력이 가장 크고, 그 다음으로 조세제도적 요인의 조세회피 성향에 대한 영향력이 크며, 기업특성 요인의 조세회피 성향에 대한 영향력이 가장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양국의 조세회피 요인의 조세회피 성향에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를 조세회피 요인별로 살펴보면 조세제도적 요인에 있어서는 한국에서는 세법의 복잡성이 조세회피 성향에 대한 영향력이 가장 큰 반면 인도네시아에서는 세율이 조세회피에
한국시장에서의 歪度를 감안한 자본 자산가격결정(CAPM) 모형의 실증적연구
이동수 明知大學校 情報産業大學院 1991 국내석사
For mony years, a lot of scholars have focused their attentions on the question of what are the determining tactics of capital wicket yield rate and how well there factors explain in determining the yield rate. According to the CAMP theory, it introduced Beta as an answer to the above question and there are many empirical analysis in this reward. In this thesis, as monitored in the beginning, it was assumed that risk averting investors not only avert risks through diversification of investment but have skewers preference as well investing in capital market. Accordingly, KrausLitzenberger's model was used to analyse ewpirilallk the effect of the skeins of yield rate variance in our capital market on the expected yield rate of securities. In addition verification CALM theory was also conducted. As a result, stock price yield rate had a negative correlation that did not conform statistically on Beta, the systematic risk, and another relative correlation that did not conform statistically on Gamma, the systematic skewers. We way interprets the fact that stock, price yield rate has a negative correlation which did nt. conform statistically or skstwatic risk as the yield rate variations are hazily affected by other factors than systematic risk since our capital market is not yet completely diversified in investments. The fact that stack price yield rate also did not conform statistically an systematic skewers means that there are same correlation of skewers an determining stack price yield rate in our capital market. Finally, if we summarize the aforementioned results, stack price yield rate can be affected by the skewers of its distribution and still there should be some consideration an risk standards other than systematic risk.
중탄소 고망간강의 합금원소와 열처리조건이 미세조직 및 기계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이동수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지식기반기술·에너지대학원 2011 국내석사
본 연구에서는 망간강이 갖는 고유한 높은 가공경화성에 기인하여 C, Mn 그리고 추가 합금원소인 Si과 Al을 첨가시켜 합금원소와 열처리 조건에 따른 기본적인 미세조직 및 기계적 특성을 평가하여 건설기계부품용 치즐의 전용소재로 사용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5wt% Mn함량에서 C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경도 값은 상승하였지만 0.4wt% 이상의 C함량에서는 C이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안정화시켜 계속된 경도 상승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사실은 Mn뿐만 아니라 C도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원소이기 때문이며 C, Mn의 함량의 증가에 따라 Ms온도가 강하되어 상온에서도 오스테나이트로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합금조성에 따른 기계적 특성 평가 후, 건설기계부품인 치즐의 소재로 사용함에 기계적 성질에 만족할만하다고 판단되는 Fe-5Mn-2Si-1Al-0.4C steel과 Fe-7Mn-2Si-1Al-0.3C steel을 VIM을 이용하여 제조한 후 열처리 조건 변화에 따른 특성을 관찰하였다. Fe-5Mn-2Si-1Al-0.4C steel은 Tempering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경도, 연신율 및 충격 값의 감소가 모든 Austenitizing 온도 구간에서 발견되었다. 한편 Fe-7Mn-2Si-1Al-0.3C steel은 Austenitizing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연신율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였지만, 충격 값은 오히려 상승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경향은 200℃와 250℃에서의 저온 Tempering 구간의 Fe-7Mn-2Si-1Al-0.3C steel과 Fe-5Mn-2Si-1Al-0.4C steel은 결정립계에 조대한 탄화물이 없어 결정립계 취성파괴의 발생이 어렵고 오히려 파괴 양상은 기지 인성에 의한 Dimple 파괴 양상이 관찰되었다. 또한, 450℃ Tempering 구간에서 Fe-7Mn-2Si-1Al-0.3C steel은 입계파괴와 Dimple이 동시에 관여하는 혼합파단양상이 관찰되는 반면, 600℃ Tempering 구간의 Fe-5Mn-2Si-1Al-0.4C steel은 입계 탄화물의 석출 또는 불순물의 입계편석으로 입계파괴양상이 뚜렷하게 관찰되었다. 연구 결과 가장 뛰어난 기계적 특성을 나타낸 조성은 Fe-5Mn-2Si-1Al-0.4C steel 이며 850℃에서 Austenitizing 한 후 공냉하고 250℃에서 Tempering 하는 것으로서 인장강도 199 kgf/㎟, 경도 52 HRC, 연신율 17%, 충격값 23 J/㎠, 항복비 0.25의 낮은 항복비 및 높은 가공경화율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