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장애물을 걸어서 넘어갈때 측정한 발반력에 대한 생체역학적 해석

        윤종일,손권,이민철,Yun, Jong-Il,Son, Kwon,Lee, Min-Cheol 대한기계학회 1993 대한기계학회논문집 Vol.17 No.7

        A biomechanical approach was carried out to analyze foot-floor reaction forces acting on five male subjects performing a walking task. The task analyzed was walking over an obstacle with the right bare foot. The foot-floor reaction data were measured from a force plate, and then processed using a software developed. The source program was coded in the C language for easier on-line data acquisition and graphic displays. High repeatability was found in the reaction data acquired from three trials by each subject. For obstacle height from 0 to 25 cm, the maximum in reaction force reached up to 1.048 BW in the vertical, 0.174 BW in the anterior-posterior, and 0.054 BW in the medio-lateral components, respectively. A quantity was defined by the difference between two vertical reaction values, and this quantity was found to be proportional to the obstacle height. It was also shown that the whole body motion could be predicted the measured foot-floor reaction data.

      • 리얼타임 임베디드 웹서버 시스템

        윤종일,이상문,곽군평 서경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2002 産業技術硏究所論文集 Vol.12 No.-

        Recently, most of the embedded system have the function of multimedia information processing and network connecting. This make the overall system more complicated and need a new approach. Moreover the embedded system must be real-time system, which are different with Linux is constructed and the kernel is redesigned on the strong-arm board in order to make the real-time embedded web-server system.

      • KCI등재

        茶山 丁若鏞 藝術論의 근대성 검토

        윤종일 한국사상문화학회 2006 韓國思想과 文化 Vol.34 No.-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17621836)은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실학자이자 개혁론자이다. 또한 그는 정조 재위연간 국가개혁을 주도한 중요 인물이기도 하다. 정조(正祖)가 돌연히 승하하고 순조(純祖)가 즉위하는 왕권 교체기에, 노론과 남인 간의 대립이 천주교 탄압 양상으로 크게 불거지면서 연루되어 18년간이라는 강진 유배생활을 하였다. 이후 그는 일명 ‘다산학(茶山學)’이라 불리는 경세치용학으로서의 실학사상을 집대성함으로써 민족사에 커다란 발자취를 남겼다. 하지만 현재, 다산에 관한 종래의 연구가 정치경제사회문학사상 등 각 분야에서 다양하게 연구되어지고 반면에 그의 예술이나 예술관, 특히 그의 남기고 있는 회화(繪)나 회화관(繪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정리되지 못한 채로 남아있다. 그의 ‘회화’에 관한 언급이 일견 단편적인 데다, 매우 산발적으로 기록되어 있기도 하거니와 그가 남긴 그림 역시 현재로는 10점 내외 정도만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회화사(繪畵史)는 예술장르로서의 고유한 화법(畵法)이나 화론(畵論)에 대한 이해 뿐 아니라 시대 배경에 대한 역사적인 접근이 함께 요구된다. 그것은 시대를 살다간 개개인의 회화작품들 속에는 작가의 정신세계는 물론이요, 당시의 시대상과 모습들이 여러 방식으로 투영되어 그려지기 때문이다.따라서 본 논고는 다산의 회화나 회화관 혹은 예술관 과 관련하여 논의할 수 있는 고찰은 극히 부문화된 예술일반론으로만 접근하여서는 결코 그 특징의 전모가 밝혀질 성질의 것이 아니라는 입장에서, 당대 지식인 사회에서의 실학적인 사회개혁가로서의 다산의 위치와 역할, 그리고 그 주변 당파간의 실천적인 문화운동적(文化運動的) 시각으로 다산의 회화와 회화관의 실제에 관한 종합적 검토를 시도해보았다. 그 결과 다산은 회화에서도 경세치용학파의 사상을 집대성한 실학자답게 사실주의적 회화관에 기초하여 화보풍의 남종산수화에서부터 원근법적 실험을 보여주는 ‘산수화(山水畵)’의 경향, 그리고 ‘화조화(花鳥畵)’의 독특한 변용에 이르기까지 새로운 예술의 창출을 고민한 흔적들이 엿보이는 실험적인 문제작들을 남기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조선후기 中人層의 예술관 검토 ― 18⋅19세기 ‘서화론’을 중심으로 ―

        윤종일 한국사상문화학회 2011 韓國思想과 文化 Vol.56 No.-

        It was the era of transformation that medieval order which based on the Chu Hsi’ Neo-Confucianism fell down and modern elements grew up in the late Chosun Dynasty. Since Imjinwaeran and Byeongjahoran made profound impact on Chosun Dynasty in general, breaking-down of medieval order and transfer to modern went on universally. In this era of disturbance, enjoyment lifestyle which centered on Seoul promoted demands of fine arts and influenced on the inter-change of intellectual communities and their tastes. Gyeonghwasajok in Seoul and Gyeonggi region began to take life-style differed with Hyangyu and developed unique cultural activities. Contacts between artists and intellectuals were also becoming common at this time. Prevalence of Jingyeong Sansuhwa and Genre Painting in arts, flourishing of Pansori and Sijochang in music, development of novel, new aspects in Sijo and Gasa, appearance of Weehanghansi in literature, development of TalChum(Korean Mask Dance) in play were the examples. The middle echelon, who mainly attended to technical posts and lower government offices or was a child of concubine, newly appeared to the social status in the late Chosun Dynasty. The middle echelon, who accumulated properties using their official posts, set a trend of amusement and cared for paintings and calligraphies. The middle echelon, who was good at poetry and prose, was called Yeohang literary men. The Sisa was closely related with the features of their social position. The artists of middle class were unequal in comparison with the Yangban Sadaebu. To break through these limits the middle echelon formed Sisa. By writing Hansi that had been recognized as Yangban's monopoly, they found the solutions for the dissatisfaction of their social status. The love for art and literature was at the hight of it's popularity at this time as it was spread over technical posts and lower government officials in the late Chosun Dynasty. Middle echelon's activities on art and literature were important. Because these activities mean their rise in social position and entry into the cultural bound of Yangban Sadaebu. Also, these were historically important from the fact that these developed concurrently with the new trend of art which appeared since 18th century. The concept of Chungi, the core of middle echelon's thoughts on art and literature, was formed by inter-change between middle and Sadaebu class. The idea of Chungi had novelty and vitality in 17th and 18th century. But from the late of 18th to the middle of 19th century, the idea of Chungi was extended and had originality for it's theory was reorganized as 'Seongryung'. Besides, 'Sisuhwadongdoron' can be added to their art theory. It means that doing art like painting and calligraphy is nothing but cultivating mind to avoid hypocrisy and a purpose. 18⋅19세기에 이르는 조선 후기는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모든 분야에서 조선의 주자성리학(朱子性理學)적 세계관에 기반했던 중세적 질서가 해체되면서 근대적인 요소가 활발히 성장해가는 시기였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이 조선 사회 전반에 심대한 충격을 준 이래 사회전반에 걸쳐 중세 질서의 해체와 근대로의 지향이 이루어지고 있었던 것이다. 조선사회의 전반에 걸친 동요 속에서도 서울을 중심으로 부를 축적한 도시민적인 향락 소비 생활은 예술품의 수요를 촉진하는 한편 지식인들 간의 동인적 교류와 예술취미에까지 영향을 미쳤다. 서울⋅경기 지역의 경화사족들은 향유(鄕儒)와 구별되는 새로운 생활방식을 갖게 되고 개성적 문화예술 활동을 전개하였다. 예인(藝人)들과 지식인들 간의 접촉 또한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고 있다. 회화에서의 진경산수화, 풍속화의 성행, 음악에서의 판소리, 시조창(時調唱)의 융성, 문학에서의 소설의 발달, 시조⋅가사의 새로운 양상, 위항한시(委巷漢詩)의 대두 그리고 연극에서의 탈춤의 발전 등이 그것이다. 중인계층은 조선후기에 들어 새롭게 형성된 조선사회의 중간신분층이다. 이들은 지배층과 피지배층의 중간계층이라는 점에서 특수한 성격을 지닌 집단이었다. 그 구성원은 주로 기술직 중인, 서얼, 서리로 되어 있었다. 17세기 무렵부터 실무직위를 이용하여 재부(財富)를 축적하고 이를 토대로 조선 후⋅말기의 유흥⋅행락 풍조를 일으키면서 서화감상과 창작⋅수집 등, 회화 애호풍조에도 적극 참여했다. 중인층은 시문(詩文)에도 능하여 여항문인으로도 지칭되었다. 이들이 중심이 되어 결성한 시사(詩社)는 그들 자신의 계층적 성격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중인층 예술가들은 이 시기 양반 사대부에 비하여 신분상 불평등한 위치에 놓여 있었다. 이러한 한계의 돌파구로서 마련된 것이 문학과 예술영역에서의 그들 나름의 집단적 문예활동, 즉 시사활동(詩社活動)이다. 양반사대부에 비견할만한 한시를 창작한다는 점에서 이들 신분이 가지는 사회적 불만을 다소간 해소할 수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조선 후기의 문예 애호풍조는 이들 의관⋅역관 등의 기술직 중인과 하급관리였던 경아전과 서리들에게까지 퍼지면서 그 절정을 이루게 된다. 뿐만 아니라, 중인계층의 문예활동은 이들의 사회적인 지위 향상이라는 구체적인 의식상의 변화를 내포하는 동시에 지배층인 양반 사대부의 문화권에 편입되는 것이라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또한, 그것은 18세기 이래 새롭게 대두된 신흥 예술의 시대적 흐름과 같은 선상에서 진행되고 있었다는 역사적인 의미가 있다. 중인계층 문예론의 핵심적 근거가 되는 ‘천기(天機)’ 개념은 동시대 사대부계층의 문예활동과 긴밀하고도 활발한 교류를 거치면서 형성된 대표성을 띤 용어이다. 천기론은 17⋅18세기에 그 이론적 참신성과 활력을 보였다면, 18세기 후반과 19세기 중반에 걸치는 기간 동안에는 ‘성령(性靈)’이라는 개념으로 재정착하면서 그 활력이 새롭고도 점차 독자적인 함의를 가지면서 확대되어 가고 있었다는 차이점을 보인다. 뿐만 아니라, 이들의 또 다른 하나의 예술론으로 거론할 수 있는 것이 시서화동도론(詩書畵同道論)이다. 예술 활동을 하는 것은 가식과 목적을 거부하고 내면을 갈고 닦는 것에 요체가 있으므로 그것은 곧 그림을 그리고 글씨를 쓰는 것과 같다는 것이...

      • KCI등재후보

        작업장치 위치에너지 회생을 위한 하이브리드 굴삭기 시스템 개발

        윤종일,DINH QUANG TRUONG,강종민,김재홍,안경관 사단법인 유공압건설기계학회 2009 드라이브·컨트롤 Vol.6 No.4

        Nowadays with the high fuel prices, the demands for energy saving and green emission of construction machinery have highly been increased without sacrifice of working performance, safety and reliability. The aim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 new energy saving hybrid excavator system using an electro-hydraulic actuator driven by an electric motor/generator for the regeneration of potential energy. A 5 ton class excavator is analyzed, developed with the boom for the evaluation of the designed system. The hardware implementation is also presented in this paper. A control strategy for the hybrid excavator is proposed to operate the machine with a highest efficiency. The energy saving ability of the proposed excavator is clearly verified through simulation and experimental results in comparison with a conventional hydraulic excavator.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