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윤종일 한국사상문화학회 2007 한국사상과 문화 Vol.36 No.-
표암 강세황(豹菴 姜世晃:1713-1792)은 이른바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시(詩)서(書)화(畵)의 삼절(三絶)로서 문인화가(文人畵家)였을 뿐 아니라 미술평론가로 일찍이 ‘예원(藝苑)의 총수’라는 평까지 들었다. 그는 철저한 남종문인화가의 입장이었으며, 또한 독자적인 남종문인화의 경지를 이룩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사실은 오늘날에도 그의 예술 활동을 두고, 그 이전 시기의 남종문인화풍이 중국의 화법만을 받아들인 경우에 비한다면, 비로소 표암에 의해 우리나라에 보다 진전된 의미의 남종문인화가 실현정착되었다는 것을 뜻하기도 한다는 평가까지 이어지고 있다.그런데, 이같이 조선 후기 미술사에서 ‘예원의 총수’라는 화명을 날리며 당대의 최고 명가(名家)를 이루었던 표암 강세황을 두고, 다산 정약용(1762-1836)이 강세황의 작품과 관련하여 단편적이나마 흥미로운 몇몇 기록들을 남기고 있다.이에 본 논고는 표암 강세황의 작품과 활동에 대한 다산의 몇몇 비판적 기록들이 의미하는 바, 당시의 시대 상황과 연계하여 고찰하여 보면서, 이같은 기록들의 객관적 실증 및 다산 생존시의 당대 문화계의 복원이라는 가치 타당성 여부를 검토하여 보았다. 둘째로는 당시 연경행을 직접 체험하고 있는 북학파의 지도적 위치에 있었던 인물들의 미술과 관련한 일부 행적 및 회화관(繪畵觀)에 관한 간략한 비교 검토를 통하여, 다산의 사실주의적 미술론이 이들과 어떠한 차이를 보이며 전개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셋째로는, 다산의 미술계(美術界) 인식이 그의 경세치용학(經世致用學)과 어떠한 연관 관계를 형성하며 조선 후기사회의 역사적 현실에 접근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그 결과, 다산의 표암에 대한 몇몇 기록들은 강세황 70세 이후, 즉 1782년 이후 다산이 회현방으로 이사하여 그곳에서 바라본 대략 10년간에 해당되는 시기의 표암 회화의 경향과 일부 생활의 모습을 기록하고 있는 것임을 알 수 있었고, 다산은 공재 윤두서로부터 비롯된 치밀한 사실주의에 바탕하여 전개되고 있던 자생적 문인남종화계의 사실주의 회화관의 입장에서 표암의 예술 행적에 대해 일견 비판적인 의견을 개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반면, 표암 강세황은 당시 남종화(南宗畵)의 커다란 두 가지 경향, 즉 자생적 남종화론과 사의적 남종화론의 경향에 비추어 볼 때, 그의 회화적 출발이 일견 성호 이익과 같은 남인들과의 교류에서도 보여지 듯, 조선 중기 이래의 회화적 전통을 새롭게 혁신해가면서 그 토착적 기반을 다져가고 있던 자생적인 남종회화관(南宗繪畵觀)을 견지하고 있던 그가 최소한 70세 이후, 다시 말하면 그의 화력 후기 내지 말기에 해당하는 시기에 들어서는 이미 그 이전 그 자신의 기록에서도 극히 개인적이고 심미적인 회화적 취향이 얼핏 드러나듯, 일견 매너리즘이라 할 수 있는 형식화된 회화의 경향성을 띄어가고 있음과 동시에, 회화론(繪畵論)상으로는 북학계열이 주창하고 있는 ‘사의화론(寫意畵論)’의 주장을 크게 넘어서지는 않는다고 이해해도 커다란 무리는 없을 것으로 이해된다.
윤종일 한국사상문화학회 2006 한국사상과 문화 Vol.34 No.-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17621836)은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실학자이자 개혁론자이다. 또한 그는 정조 재위연간 국가개혁을 주도한 중요 인물이기도 하다. 정조(正祖)가 돌연히 승하하고 순조(純祖)가 즉위하는 왕권 교체기에, 노론과 남인 간의 대립이 천주교 탄압 양상으로 크게 불거지면서 연루되어 18년간이라는 강진 유배생활을 하였다. 이후 그는 일명 ‘다산학(茶山學)’이라 불리는 경세치용학으로서의 실학사상을 집대성함으로써 민족사에 커다란 발자취를 남겼다. 하지만 현재, 다산에 관한 종래의 연구가 정치경제사회문학사상 등 각 분야에서 다양하게 연구되어지고 반면에 그의 예술이나 예술관, 특히 그의 남기고 있는 회화(繪)나 회화관(繪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정리되지 못한 채로 남아있다. 그의 ‘회화’에 관한 언급이 일견 단편적인 데다, 매우 산발적으로 기록되어 있기도 하거니와 그가 남긴 그림 역시 현재로는 10점 내외 정도만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회화사(繪畵史)는 예술장르로서의 고유한 화법(畵法)이나 화론(畵論)에 대한 이해 뿐 아니라 시대 배경에 대한 역사적인 접근이 함께 요구된다. 그것은 시대를 살다간 개개인의 회화작품들 속에는 작가의 정신세계는 물론이요, 당시의 시대상과 모습들이 여러 방식으로 투영되어 그려지기 때문이다.따라서 본 논고는 다산의 회화나 회화관 혹은 예술관 과 관련하여 논의할 수 있는 고찰은 극히 부문화된 예술일반론으로만 접근하여서는 결코 그 특징의 전모가 밝혀질 성질의 것이 아니라는 입장에서, 당대 지식인 사회에서의 실학적인 사회개혁가로서의 다산의 위치와 역할, 그리고 그 주변 당파간의 실천적인 문화운동적(文化運動的) 시각으로 다산의 회화와 회화관의 실제에 관한 종합적 검토를 시도해보았다. 그 결과 다산은 회화에서도 경세치용학파의 사상을 집대성한 실학자답게 사실주의적 회화관에 기초하여 화보풍의 남종산수화에서부터 원근법적 실험을 보여주는 ‘산수화(山水畵)’의 경향, 그리고 ‘화조화(花鳥畵)’의 독특한 변용에 이르기까지 새로운 예술의 창출을 고민한 흔적들이 엿보이는 실험적인 문제작들을 남기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14∼17대 국회 과거사 관련 입법 활동의 현황과 성격 – 국권침탈기 관련 ‘과거사법’을 중심으로 –
윤종일 한국사상문화학회 2009 한국사상과 문화 Vol.48 No.-
Militarist Japanese plundering Korean national rights and controlling its colony, Korea, internal disorder of the political situation and the conflicts between the right and left wings at the time of Korea's liberation, the Korean War and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e advent of the authoritarian government and the pro-democracy movement, and others in Korean recent and contemporary history mass-produced lots of victims. Recently a series of president Roh's comments connected with the past affairs cover the whole period of Korean recent and contemporary history from the matters of the historical recognition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including pro-Japanese activities and compulsory mobilization to the matters of human rights including all kinds of questionable deaths and state violence like the massacres of the innocent people during the Korean War and at the time of Korea's liberation. But the law probing the nation's past appeared on the stage not only at the term of Roh's government but also at the terms of the past governments. The Constitutional Assembly promulgated the law punishing the people who had participated in pro-Japanese activities before Korea's 1945 liberation. And from the term of the 14th national assembly at the time of the civilian government which accomplished the peaceful turnover of political power through democratic election through the present Roh's government many bills connected with the past affairs were deliberated and enacted, and many bills connected with the past are pushed for. These bills require historical, legal and social judgment, and participation of civil society. These matters should have been dealt and promoted by stage and gradually by successive political powers, however, it was an undeniable fact that dictatorial or authoritarian regimes under the past Cold War structure evaded even discussing the matters of the past affairs which could damage their basis and justice of grasping political power. Probing the truth of the past which was taken a step further by the civil government and Kim Dae-Jung's administration comparatively free from responsibilities for the past was accelerated in Roh's government and shows now a full scale progress. For the meantime the learned circles of history did not so much pay attention to the law to probe the past. It is true that there were only a few treatises on this law in the learned circles of history and history scholars were lacking in trying to look out over the general view, too. On the contrary, civic groups, social and legal circles have paid attention to the law to probe the past dealing the matters of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and it may be not too much to say that in fact their effort and practical movement made it possible to get the result of legislation. It is encouraging that recently compiling the practical efforts of the whole campaign for liquidating the past, a nationwide committee for liquidating the past rightly published the white paper about the campaign for liquidation of the past. The white paper into which the nationwide committee compiled the practical efforts of the academic circles and civic groups about the main issues from the time of Japanese colonial rule to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particularly looks out over the efforts from various circles to enact the bill to probe the past and foreign examples. This thesis is more to rearrange the concept and contents of the law reflecting the recent result rather than to analyze the law individually in earnest. In other words, I tried to study the deliberation process of the bills connected with the past from the 14th national assembly up to now and the present situation of enactment in order to make full use of them as basic data for investigating the historical character of a series of the law. 한국의 근현대사는 일제에 의한 국권침탈과 식민지배, 해방정국의 혼란과 좌우익간의 갈등, 한국전쟁과 분단, 권위주의 정권의 등장과 민주화운동 등으로 많은 희생자들을 양산했다. 최근 과거사와 관련한 대통령의 일련의 언급은 친일이나 강제동원 등 일제강점기 역사인식의 문제로부터 해방공간과 한국전쟁기의 민간인 학살 등 국가폭력과 각종 의문사 등 인권문제에 이르기까지 우리 근현대사의 전반에 걸쳐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과거사법” 은 단지 노무현 정권 때에만 등장한 것은 아니었다. 멀리는 제헌국회에서 1948년 9월 22일 공포된 '반민족행위자처벌법'을 시작으로 민주적인 선거를 통해 정권교체를 이루어낸 문민정부 때인 제14대 국회를 거쳐 현 참여정부에 이르는 기간 동안 수많은 과거사 관련 법안들이 심의 제정되었고 입법이 추진 중인 사안들도 상당하다. 이들 법률들은 역사적, 법적, 사회적 판단을 요구하고 있으며 시민사회의 참여를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역대 정권에서 단계적이고 점진적인 방식으로 일관성을 갖고 추진해 왔어야 할 문제들이었다. 그러나 과거 냉전체제하의 독재정권이나 권위주의 정권들은 집권의 기반과 정당성을 훼손할 수 있는 과거사 문제가 논의되는 것조차 기피해 왔던 것이 엄연한 현실이었다. 그동안 역사학계에서는 “과거사법”에 대해 그다지 주목하지 못했다. “과거사법”과 관련한 역사학계의 논문도 극소수일 뿐만 아니라 전체를 조망하려는 노력 또한 부족했던 것이 사실이다. 오히려 근현대사 문제를 다루는 “과거사법”에 대해 오히려 시민사회단체와 사회학계, 법조계가 주목해 왔으며 사실상 시민단체들의 실천운동을 중심으로 하는 이들의 노력에 의해 입법의 성과를 일구어 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최근 올바른 과거청산을 위한 범국민 위원회가 과거청산운동 전반의 실천적 노력을 집대성하여 과거청산운동백서를 발간한 점은 고무적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범국민 위원회의 과거청산운동백서는 일제강점기부터 한국 근현대사에 이르는 주요 쟁점들에 대해 학계와 시민사회단체들의 실천적 노력들을 집대성하였고, 특히 “과거사법” 제정을 위한 각계의 노력과 해외 사례들에 대해서도 조망하고 있다. 이 논문은 개별 과거사법에 대한 본격적인 분석이라기보다는, 이러한 최근의 성과를 반영하여 “국권침탈기 관련 과거사법”에 대한 개념과 내용을 재정리한 것이다. 즉 제14대 국회부터 현재까지 진행된 각종 국권침탈기 관련 과거사 관련 법안의 심의 과정과 제정 현황 을 검토하여 일련의 “과거사법”이 가지는 역사적 성격을 구명하는 작업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것이다.
위석의 내시경적 레이저 치료 2예 : A report of two cases
윤종일,안석주,한준열,백남종,임계순 대한내과학회 1990 대한내과학회지 Vol.38 No.4
Gastric bezoars are foreign bodies or concretions composed of indigested or partially digested food or hair found in the stomach of men or animals, which occur relatively often and are potentially hazardous. They can cause mucosal ulceration or wall perforation, gastritis, gastric outlet obstruction, massive gastrointestinal bleeding, megaloblastic anemia, protein-losing enteropathy and ileus. So their removal is generally necessary to correct or prevent these complications. Within the last 20 years, the treatment modality of gastric bezoars had changed from surgical to nonsurgical intervention. However, the nonsurgical techniques, such as ingestion of enzymes, nasogastric suction and various endoscopic methods, have been tried with varying degrees of success. Endoscopic methods for removing bezoars using forceps or snares and a pulsating jet of water have previously been reported. We employed endoscopic Nd: YAG laser photoablation to reduce the size of huge gastric bezoars in two cases. The reduced bezoars were then disrupted successfully using a polypectomy snare. We think endoscopic laser photoablation could be one of the treatment method in the case of huge gastric bezoars.
장애물을 걸어서 넘어갈때 측정한 발반력에 대한 생체역학적 해석
윤종일,손권,이민철,Yun, Jong-Il,Son, Kwon,Lee, Min-Cheol 대한기계학회 1993 대한기계학회논문집 Vol.17 No.7
A biomechanical approach was carried out to analyze foot-floor reaction forces acting on five male subjects performing a walking task. The task analyzed was walking over an obstacle with the right bare foot. The foot-floor reaction data were measured from a force plate, and then processed using a software developed. The source program was coded in the C language for easier on-line data acquisition and graphic displays. High repeatability was found in the reaction data acquired from three trials by each subject. For obstacle height from 0 to 25 cm, the maximum in reaction force reached up to 1.048 BW in the vertical, 0.174 BW in the anterior-posterior, and 0.054 BW in the medio-lateral components, respectively. A quantity was defined by the difference between two vertical reaction values, and this quantity was found to be proportional to the obstacle height. It was also shown that the whole body motion could be predicted the measured foot-floor reaction data.
봉약침액(蜂藥針液)이 RAW 264.7 세포의 PLA<sub>2</sub> 및 Calcium Concentration에 미치는 영향(影響)
윤종일,조현철,심성용,김기현,Yun, Jong-Il,Jo, Hyun-Chul,Sim, Sung-Yong,Kim, Kee-Hyun 대한약침학회 2003 Journal of pharmacopuncture Vol.6 No.2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ee Venom on the lipopolysaccharide, sodium nitroprusside and hydrogen peroxide induced expression phospholipase $A_2$ and calcium concentration in RAW 264.7 cells, a murine macrophage cell line. Method : The expression of phospholipase $A_2$ was determined by western blotting with corresponding antibodies, and the generation of intracellular calcium concentration was investigated by delta scan system in RAW 264.7 cells. Results : 1. Compared with control, expressions of lipopolysaccharide-induced phospholipase $A_2$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by $1\;{\mu}g/{\mu}l$ of bee venom and decreased by 0.5, $5\;{\mu}g/{\mu}l$ of bee venom. 2. Compared with control, expressions of sodium nitroprusside-induced phospholipase $A_2$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by $5\;{\mu}g/{\mu}l$ of bee venom but increased by 0.5, $5\;{\mu}g/{\mu}l$ of bee venom. 3. Compared with control, expressions of hydrogen peroxide-induced phospholipase $A_2$ were decreased significaltly by $1{\mu}g/{\mu}l$ of bee venom and decreased by $0.5\;{\mu}g/{\mu}l$ of bee venom but increased by $5\;{\mu}g/{\mu}l$ of bee venom. 4. Compared with control, lipopolysaccharide, sodium nitroprusside and hydrogen peroxide- induced intracellular calcium concentrations were decreased by 0.5, 1, $5\;{\mu}g/{\mu}l$ of bee venom and by indomethac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