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유학의 신관에 대한 기독교적 이해

        윤용주 호남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먼저 공자이전의 원시유학의 神觀을 살피었다. 중국 상고시대인 殷代는 기록이 미비한 시대로서 帝와 天의 字意를 살펴보았다. 天과 帝는 異音一義로서 초월성과 절대성을 지닌 영명한 존재로 만물을 생성화육, 주재하는 주재적, 절대적 존재로 인식되고 있다. 즉 외재적이고 초월적인 神이다. 周代의 神觀은 天命思想과 天命靡常의 관념이다. 殷을 멸하고 들어선 周는 그들의 정당성을 하늘의 명령이라 하였다. 이는 天의 주재성을 인정하면서도 한편으로 하늘은 德이 있는자에게 天命을 준다는 人文化된 사상을 갖고 天命靡常 곧 天命은 고정된 것이 아니라 하므로서 敬德의 사상으로 발전하게 된다. 공자의 天觀은 한마디로 敬鬼神而遠之로서 나타난다. 귀신을 공경하되 귀신을 멀리하라는 공자의 사상은 보는이에 따라서는 긍정도 부정도 다함께 가능한 태도이다. 공자의 敬遠의 자세는 修身으로 事天을 하라는 다산의 자세와 일맥상통하는 것으로서 공자의 天認識은 天과 人의 양자택일의 문제가 아니라 兩者를 함께하는 천인합일의 자세라 하겠다. 이상에서 볼 때 원시유학의 天思想은 결코 人格的 天의 부정이라할 수는 없다. 원시유학의 사상은 인격적이고 주재적인 신인식과 人文的인 사상이 함께하고 있다. 이같은 유학과 기독교가 만나는 것은 16세기 예수회 선교사들에 의해서이다. 마태오 리치는 그의 『천주실의』 를 통해 천주교의 교리인 천주의 존재와 속성·영혼불별·사후의 천당과 지옥·愛主와 愛人등을 설명하였다. 마태오 리치는 유학의 경전을 연구하며 유학의 상제관과 賞善罰惡思想·仁思想등을 긍정적으로 보고 유학의 부족한 구원관과 내세관등을 가르쳐 보충한다는 보유론적 입장을 갖게된다. 그러나 이같은 것들이 유학에 대한 이해보다는 전교의 방편으로 이용되었을 뿐으로 계시종교의 우월성에 입각한 호교론에 머물렀다는 비판도 받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가 유학 경전의 上帝를 기독교의 하나님과 동일시 하였다는 것은 중요한 사실로서 유학과 기독교의 대화의 場을 마련하였다 하겠다. 다산의 사상은 유학과 기독교의 어느한편의 우월이나 배타적인 자세를 보임이 없이 전통 유학사상과 기독교를 창조적으로 조화시키려 하였다. 우선 그는 당시 성리학의 이신론적인 太極이 만유의 근원이 될 수 없다 부정하고 유학경전에 나타난 인격적이고 주재적인 상제관을 회복하였다. 이는 그가 서학으로부터 받은 영향 때문이다. 나아가 事天은 修身을 통해 이루어진다 주장하므로서 신앙과 윤리를 조화 시키었다. 이같은 다산의 사상에 대하여 그를 유학적 기독교인 이라 평하며 기독교 신앙의 불완전함을 말할 수도 있다. 이상으로 원시유학에 主宰的이고 人格的인 上帝觀과 天觀이 있음을 살펴보았다. 즉 兩敎는 모두 唯一한 窮極者가 있음과 그가 인간과 만물의 근원임을 인정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이같은 인격적 신관이 기독교와의 교류를 통해 대화의 場으로 나타남을 보았다. 나아가서 공자와 다산의 神이해의 방법은 二元論的인 兩者擇一이 아니라 兩者를 포괄하고 조화 시키는 것임을 보았다. 이것은 현재의 기독교의 초월적·신본적·하향적·타력적·내세적 특성과, 유학의 내재적·인본적·상향적·자력적·현세적인 특성들이 만날 때 兩者를 조화시켜나갈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 몰트만의 우주적 종말론 연구 : 오시는 하나님을 중심으로

        윤용주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몰트만은 기독교 신학은 종말론의 신학이라고 하였다. 목회자로서 나의 신학과 신앙의 체계를 세우고자 하는 것이 평소의 바람이었다. 이에 몰트만의 종말론을 연구하게 된 동기이다. 몰트만의 종말론은 광범위한 학문적 영역을 갖고 있다. 본 논문은 몰트만의 저서 『오시는 하나님』을 기본 텍스트로 하고 그 중에서 우주적 종말론이 가지는 시간의 종말과 공간으로서의 세계의 종말, 그리고 우주적 성전으로서의 새 예루살렘과 몰트만의 종말론에서 중요한 하나님의 현존 곧 쉐히나로서의 안식일과 창조의 완성 등을 그 범위로 하고 그 내용과 몰트만 신학의 구도를 파악하는 데 주력하였다. 때문에 몰트만의 종말론에 대한 비판이나 이견을 충실히 담아내고 있지는 못하다. 몰트만의 신학은 종말론의 신학이다. 몰트만의 종말론을 한마디로 표현한다면 통합과 변용의 종말론이다. 통합의 신학이라 함은 시간의 종말에 있어서 선적 시간과 돌입적 시간을, 세계의 종말에서 세계의 폐기와 세계의 변화 등 여러 종말론의 이론들의 일견 상반적이고 양면적인 견해를 통합하고 있다. 변용이라 함은 종말론 이론들의 양면성을 변용이라는 이론으로 통합하고 있다. 그 것은 옛것의 폐기나 단절이 아닌 옛것과 새것의 정체성의 연속을 추구하게 된다. 한편 몰트만의 종말론은 하나님 중심이다. 왜냐하면 몰트만의 변용의 이론은 "쉐히나" 곧 하나님의 현존에 의해 역사적인 것이 종말론적인 영원으로 변화 되면서 역사적인 것과 종말적인 것을 결합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몰트만의 종말론은 역사의 폐기나 단절을 부정하고 또한 종말에 대한 선적 시간 이해도 부정한다. 또한 종말에 대한 피안적 이해나 차안적 이해도 부정한다. 몰트만의 종말론은 역사의 연속성을 주장하면서도 그것은 선적 연속이거나 양적 연속이 아니라 변용을 통한 새 창조된 질적 연속이다. 때문에 선적 시간 이해나 양적인 면에서는 옛것과 새것이 구분되고 있는 것이다. 몰트만의 신학의 구도는 상반되는 사실의 통합과 변용 그리고 변용의 주체로서의 하나님의 쉐히나이다. Moltman referred to christian theology as the theology of eschatology. Establishing the system of my theology and faith as a pastoral worker has been my heart's wish, which led me to study the eschatology of Moltman. Moltman's eschatology includes in itself a wide range of scientific domains. Based on the theories of 'The Coming God' written by Moltman, this study focused in conducting an inquiry into Motman's eschatology on the termination of time in the eschatology of the heavens and the earth, the termination of the world in space, a new Jerusalem as a sanctuary of the heavens and the earth, the presence of God, a significant matter in the Moltman's eschatology, the sabbath as a schechina, the completion of creation, and so forth, with emphasis upon grasping the composition of Moltman's eschatology. For that reason, this does not contain in full the criticism and dissent of Moltman's eschatology. Moltman's theology may be said to be the theology of eschatology. Integrated theology integrates linear time and descending time, conflicting and bilateral views of eschatological theories such as abolishment of the world and changes in the world in the eschatology of the world. What is called transfiguration integrates bilateralness in the theories of eschatology in the name of transfiguration. It is not the abolishment or severance of what is old but pursues the continuum of identities of the old and the new. On the other hand, Moltman's eschatology is centering around God. this is because the theory of Moltman's transfiguration integrates the historical and the eschatological by changing the historical into the eschatological eternity by the presence of schechina . Therefore, Moltman's eschatology negates the abolishment or severance of history and also negates the linear understanding of eschatology. Moreover, it denies not merely the understanding of eschatology from the view of the other shore but also that from the view of this world. Moltman's eschatology insists the continuum of history, being neither linear continuum nor quantitative continuum but indicating newly created qualitative continuum through transfiguration. For that reason, what is old and what is new are distinguished in understanding linear time and qualitativeness. The composition of Moltman's theology is the schechina of God as the subject of integrated bilateral truths and transfiguration.

      • 전통음료 판매촉진을 위한 선두브랜드 마케팅사례 연구 : 식혜음료를 중심으로

        윤용주 漢陽大學校 産業經營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Change of world market is getting its speed. In fast driving of world market such as variation of market and communization international environment demands whole opening of local market and gives big pressure comparatively to less competitive countries. Korea is still in inferior situation than western developed countries and Taiwan for competitiveness of market and price, and because of poor external environment and internal environment political unrest and fall of economical growth are happening repeatedly. To get over this situation, strengthening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through developing traditional beverage based on traditional culture and reinforcing marketing activity and strategy of packaging for continuous managing of developed and commercialized brands, intensive method of strengthening brand power for creating high value added product have to be ready. In international competitive era, power of design is getting higher, and customers want better quality product and more stylish visual information. For response to this change of customers taste, corporate manages collected information based on market survey systematically, and through analyzing it effectively, new strategy of design sets up. Currently the problem of brand of Rice nectar (a sweet drink made from fermented rice) drinks is effort of developing new brand rather than renewal of marketing activity and design for worsening its marketability, Rice nectar is losing its market place. If losing customers interest is only reason to give it up, and then we can assume brand new product will have same path clearly. As we can see problems above, in this research paper, as a process of activation of Rice nectar market and second jumping, current status of beverage market and notion of traditional drinks and its status were considered. Also customers sense and taste for beverage market were examined and from the stage of product development to some cases of marketing activity, advertising activity, and package design of leading beverages brand were analyzed. Leading beverage brands made hard effort of inclusive, continuous, and wide investment in competitive environment, and even though they keep standing number one position and still dont stop their strong endeavor. Now Rice nectar has less marketability but it is our traditional drinks and favorite drinks of our people. Rice nectar isnt inferior product and helpful to health. In such an aspect by establishing effective marketing strategy and setting up design policy Rice nectar brand would be reborn as a competitive brand in word market. 세계 시장의 변화는 점차 그 속도를 더해가고 있다. 시장의 다변화, 공동화 등 국제시장의 격변속에서 국제환경은 시장의 전면 개방을 요구하고 있으며 아직 상대적 경쟁력에서 취약한 국가들에게 압력을 강화하고 있다. 우리 나라는 아직 서방 선진국이나 대만보다도 시장경쟁력, 가격경쟁력에서 열세의 처지에 놓여 있고 열악한 외적 환경과 내적 환경으로는 정치불안 및 경제성장하락 등 악순환이 거듭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서는 전통문화를 바탕으로 한 전통음료의 개발에 의한 국제경쟁력의 강화와, 이미 개발되어 상품화 되어있는 브랜드의 지속적인 관리를 위한 마케팅 및 포장디자인 전략강화를 통하여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브랜드 강화책을 조속히 마련해야 할 것이다. 국제경쟁시대에 디자인의 위력은 날로 커지고 있고 소비자들은 더 나은 제품과 보다 더 세련된 시각정보를 원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하는 소비자의 욕구를 신속하게 파악하고 대응하기 위해 기업은 시장조사를 바탕으로 수집된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효과적인 분석을 통하여 새로운 디자인 전략을 수립하고 있다. 현재 식혜음료 브랜드의 문제점은 시장성이 악화된 식혜브랜드에 대한 디자인 및 마케팅적 리뉴얼 보다는 신제품 개발에 더 노력을 기울이는 관계로 음료시장에서의 식혜는 갈수록 설자리를 잃어가고 있다. 시장에서 소비자가 외면한다는 이유만으로 브랜드를 포기한다면 새로이 선을 보인 제품 또한 같은 길을 걷게 되는것은 불을 보듯이 당연한 결과가 될 수 있겠다. 이러한 문제로 본 연구는 식혜시장의 활성화와 재도약을 위한 과정으로 현재 음료시장의 현황은 어떤한가 알아보고 전통음료에 대한 개념을 알아보고 그에 대한 현황도 살펴 보았다. 또한 소비자들의 음료시장에서 의식과 기호도등에 관해서도 살펴 보았으며 선두 음료 브랜드들의 제품개발단계에서부터 마케팅활동, 광고활동, 포장디자인에 관한 사례를 연구 분석하였다. 선두 음료 브랜드들은 치열한 경쟁 환경속에서 매출 지속을 위한 포괄적이고 지속적이며 광범위한 투자를 게을리 하지 않았으며 업계 1위 자리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노력은 그치지 않고 있다. 식혜가 현재는 시장성이 많이 떨어지고는 있으나 우리 많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음료이자 또, 우리 국민이 선호하는 식품이기도 하다. 식혜가 가지고 있는 맛 또한 세계 어디에 내 놓아도 뒤 떨어지지 않으며 건강에도 도움을 주는 식품이기도 하다. 이러한 차원에서 식혜브랜드에 대한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과 디자인 정책 수립으로 식혜음료가 세계시장에서 경쟁력있는 브랜드로 다시 태어나길 기대해 본다.

      • 어린이집 자율장학에 대한 원장과 교사의 이해

        윤용주 대진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research has its objective to provide basic data that is practically applicable to daycare centers and to suggest the plan to boost autonomous supervision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ognition of principals – the people in charge of autonomous supervision in general – and teachers – the main agents of autonomous supervision – regarding the acknowledgement of the needs and understanding, actual condition, boosting plans of autonomous supervision. For this, the following research topics were chosen: 1. Is there any difference in understanding between principals and teachers of the daycare center? 2. Is there any difference in cognition of the necessity between principals and teachers of the daycare center? 3. Is there any difference in cognition of actual condition between principals and teachers of the daycare center? 4. Is there any difference in cognition of boosting plan of autonomous spuervision between principals and teachers of the daycare center? The research targets daycare center principals (N=167) and teachers (N=247) of P city and G city of Gyeonggido and survey was carried on. The questions of the survey was selected based on the survey of the preceding research (Mijeong Noh, 2012; Seon-gyeong Kim, 2013; Juyeon Kim, 2013; Hanah Kim, 2014; Seonmi Son, 2015) and later edited to suit the actual circumstances of daycare center.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IBM SPSS 21.0 Program.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difference in understanding towards autonomous supervision, the principals showed higher understanding level than the teachers. Second, as a result of the difference in cognition of the necessity of autonomous supervision, the principals showed higher cognition of necessity than the teachers. Regarding the period of cognition of necessity of autonomous supervision, both principals and teachers answered when they found the difficulty of the daycare center operation and evaluation authentication criteria, and the next was followed by the difficulty of administrative works in case of principals but in case of teachers it was the difficulty of the relationship with the parents. The second most responded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Regarding the most appropriate times of autonomous supervision, both principals and teachers responded the most once or twice a year and regarding the most effective supervision method, both responded the most self-supervision. Third, as a result of the difference in cognition of actual condition of autonomous supervision, both principals and teachers responded the most they do once or twice a year in case of class supervision, self-supervision, and autonomous training. However, the response regarding colleague supervision and informal supervision was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which most principals responded once or twice a year while most teachers responded they don’t do. In case of the participation rate of autonomous rate, the principals showed to participate more than the teachers to autonomous supervision. Fourth, for the boosting of autonomous supervision, the principals said that reduction of teachers’ task and cognition change of the principals and teachers regarding the autonomous supervision are important in the order, while teachers answered that the reduction of teachers’ task and circumstantial improvements such as environment improvement and economical support are important in the order. Also, to the question asking what was necessary for the person in charge to boost the autonomous supervision, the principals responded that the professionalism regarding daycare and understanding of daycare center operation are necessary in the order, while teachers responded that the professionalism regarding daycare and teaching skills are necessary in the order which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is research has its objective to boost and settle the autonomous supervision of daycare center and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and teaching skills of the daycare center teacher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ognition of the teachers – the main agent of autonomous supervision – and the principals – the leader of autonomous supervision – of the daycare center. 본 연구는 어린이집 자율장학에 대한 이해와 필요성에 대한 인식, 실시현황, 활성화 방안에 대하여 자율장학의 주체인 보육교사와 자율장학의 총괄책임자인 원장의 인식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어린이집에 실질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어린이집 질 향상과 자율장학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자율장학에 대한 원장과 보육교사의 이해에 차이가 있는가? 2. 어린이집 원장과 보육교사의 필요성 인식에 차이가 있는가? 3. 어린이집 원장과 보육교사의 자율장학 실태 인식에 차이가 있는가? 4. 어린이집 원장과 보육교사의 자율장학 활성화 방안 인식에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P시, G시 어린이집 원장(N=167)과 어린이집 교사(N=247)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고 회수하였다. 설문지는 선행연구 (노미정, 2012; 김선경, 2013; 김주연, 2013; 김하나, 2014; 손선미, 2015)의 설문지를 기초로 본 연구에 필요한 문항을 선택하거나 수정·보완한 후 작성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율장학에 대한 이해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본 결과 원장이 보육교사 보다 이해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율장학의 필요성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본 결과 원장이 보육교사 보다 필요성을 더 많이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율장학의 필요성을 인식하는 시기에 대해서는 원장과 교사 모두 보육활동 운영의 어려움과 평가인증지표의 어려움이라 답하였으며, 다음으로 원장은 행정업무의 어려움으로 응답한 반면 보육교사는 부모관계의 어려움으로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자율장학의 바람직한 실시 횟수에 대해서는 원장과 교사 모두 연 1∼2회 실시로 가장 많이 응답하였으며, 효율적인 장학 유형에 대해서는 자기장학을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셋째, 자율장학의 실태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본 결과 수업장학, 자기장학, 자체연수의 경우 원장과 보육교사 모두 연 1∼2회 실시한다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동료장학과 약식장학의 경우 원장은 연 1∼2회 실시한다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반해, 보육교사는 전혀 실시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자율장학에 대한 참여도는 원장이 보육교사 보다 자율장학에 대한 참여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율장학 활성화를 위해서는 원장의 경우 교사의 업무 부담 축소, 자율장학에 대한 원장과 교사의 인식 전환 순으로 나타났으며, 보육교사는 교사의 업무 부담 축소, 환경개선 및 재정적 후원 등 적절한 여건 조성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자율장학 활성화를 위하여 자율장학 담당자에게 필요한 사항으로 원장은 보육내용에 대한 전문성, 어린이집 운영에 대한 이해 순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의 경우 보육내용에 대한 전문성, 교수학습지도능력 순으로 나타나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는 어린이집 자율장학의 주체가 되는 보육교사와 자율장학의 지도자인 원장의 인식을 비교 분석하여 보육교사들의 전문성 향상과 교수방법을 개선하고, 어린이집 자율장학을 활성화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 양육부담 경감을 위한 보육정책과 출산율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 파주시 운정지역의 개인 특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윤용주 국민대학교 행정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irthrate and Childcare Policy to Reduce the Burden of Nurture Yong-Joo Yoon Social Welfare Major,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Kookmin University Since the enforcement of the birth control policy and family planning program, Korea has seen more drastic reduction in birthrate and aging of its population than advanced nations and as a result low fertility and aging have emerged as a serious social problem. Thus multilateral efforts are being made to encourage childbirth. There are many composite social and economic elements which cause low fertility. Among them, women are feeling more economic burden for the child rearing expenses and educational expenses as they participate more in economic activities. In the data of Korea Statistics Service (2011), too, the burden of nurturing child is the biggest obstacle to women's employment, which shows that it is most necessary to provide economic support and help child nurturing. As daycare centers back up the environmental elements, the importance of childcare policies for daycare centers as the backbone of infant education is becoming more important. The paradigm of childcare policy is changing from private education to public education; from supply side policy to consumer-directed policy; and from selective policy to universal and integrated childcare policy. With the childcare policy to reduce the burden of nurturing in low fertility area in 2012, various kinds of policies were implemented such as the free nurturing policy, national and public daycare centers, and the expansion of public daycare centers. Now the government and the society are taking the lead together to increase fertility reducing the burden of nurturing for parents. We will have to wait and see the effects of such policies on birthrate, and the policy of free nurturing for infants of 0∼2 years of age is already shaking even before one year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polic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fluence of such policies on the end users of the parents as well as the general tendency of parents to review the relationship between birthrate and childcare policy to reduce the burden of nurture.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reason for low fertilit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birthrate and childcare policy to reduce the burden of nurture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number of children, marital status, age, average income, type of residence, and the experience of delivery and examine the general tendency of parents through alternatives. According to such purpose of this study, the following subjects were set up for the research. According to such purpose of this study, the following subjects were set up for the research. Firstly, the reasons for avoiding childbirth and the alternative policies for nurturing are examined. Secondly, the difference in birthrate according to the childcare policy to reduce the burden of nurture is investigated. Thirdly, the difference in the childcare policy to reduce the burden of nurture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is examined. And fourthly, it is investigated if the childcare policy to reduce the burden of nurture has influence on birthrate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ly, regarding the reasons for avoiding childbirth; the first reason was because it is burdensome to pay for the child rearing expenses and educational expenses and they are not affluent economically. The second reason was that it will cause inconvenience for their work and they don't have enough time to spend for their personal development. The third reason was that they want to nurture at least their existing child properly. So the tendency found in many preceeding studies - because it is burdensome to pay for the child rearing expenses and educational expenses and they are not affluent economically - appeared the same. In addition, multiple answers were allowed for the reasons for the phenomenon of low fertility for analysis, and the results show that the first answer was because it is burdensome to pay for the child rearing expenses and educational expenses (256: 85.3%); the second was because employment and job status is unstable due to economic crisis (160: 53.3%); and the third answer was because it is difficult to continue their work after childbirth (126: 42.0%). Despite the policy of free nurture, parents were still feeling economic burden for child rearing expenses and educational expenses. It seems that such results are due to the fact that only infants between 0 and 2 years of age are subsidized, and those between 3 and 4 years of age, those who need actual education, are only subsidized for the households within 70% from the bottom. still causing burden. In addition, to attend a daycare center, there are additional fees necessary for special activities, events, field learning, etc. To explain the public character of childcare with the non-commercialization of childcare service and the pursuit of collective value, the social welfare policy of Esping Anderson suggests to evaluate the level of the public character of childcare service by examining how free it is from the market mechanism quoting the expression of the method of achieving it through non-commercialization independent from the market. That is, childcare services should be available for those who want it without their paying all the expenses. Public childcare should be realized in such a context. As it is said that "As leaders of the next generation who will lead the future society, infants should have the right to be provided with good-quality childcare services equally regardless of the level of income of their parents," (Jae-Hwa Lee, 2006), the results of the survey in this study showed that people want free childcare and public childcare. Secondly, to examine the difference i 국 문 초 록 양육부담 경감을 위한 보육정책과 출산율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우리나라는 출산억제정책과 가족계획 사업 이후부터 선진국에 비해 급속도로 출산율 감소와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저출산·고령화 사회문제가 대두되고 있으며, 출산장려를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저출산의 원인은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경제학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가 증가하면서 육아에 대한 부담을 크게 느끼며 양육비·교육비에 대한 경제적 부담을 갖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통계청 자료(2011)에서도 여성 취업의 가장 큰 장애요인으로 육아부담이 46.4%로 가장 높게 나타나 무엇보다도 경제적인 지원과 육아부담을 지원해 주는 환경이 필요하며, 그 환경적인 요소를 지지해 주는 곳은 영유아 교육기관으로써 무엇보다도 어린이집 보육정책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보육정책 또한 패러다임의 변화로 사보육에서 공보육으로, 공급자중심에서 수요자 중심으로, 선별주의에서 보편주의, 통합적 보육정책에로의 변화가 일어나고 있으며, 2012년 저출산 분야 양육부담 경감 보육정책은 학부모들에게 보육비용 부담을 감소시키고 국가와 사회가 함께 출산에 적극 나서면서 무상보육정책, 국공립어린이집, 공공어린이집 확충 등 다양한 정책이 실시되었다. 이러한 정책들이 시행되고 있는 시점에서 출산율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는 더 지켜봐야 할 상황인데, 만0세∼만2세의 무상보육정책은 1년이 채 되기 전부터 흔들리고 있다. 이러한 정책이 실수요자인 부모님들에게는 어떠한 영향을 주고 있는지를 조사하고 일반적인 부모들의 성향을 조사함으로써 양육부담 경감 보육정책과 출산율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저출산의 원인과 인구학적 특성인 자녀수, 결혼여부, 연령, 월평균수입, 주거형태, 출산여부에 따라 양육부담 경감 보육정책과 출산율과의 관계를 조사하고 대안을 통해서 부모님들의 일반적인 성향을 조사할 필요성이 있어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양육부담 경감 보육정책이 저출산의 원인과 출산기피 현상으로 나타난 육아의 부담과 경제적 부담에 대하여 어느 정도 감소가 이루어지고 있는가를 보고, 파주시 운정지역 개인특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양육부담 경감 보육정책과 출산과의 관계 연구를 통하여 출산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파주시 운정지역에 있는 미혼여성과 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학부모를 대상으로 현재 양육부담경감 보육정책 중 수요자 욕구에 맞는 보육서비스 측면, 자녀 양육·보육비 지원정책, 어린이집 정책측면에서 자녀 양육·보육비 지원정책과 어린이집 정책 부분을 조사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출산을 기피하는 이유는 무엇이며 저출산의 원인과 보육정책 대안에 대하여 살펴보고, 둘째, 양육부담 경감 보육정책에 따라 출산율의 차이를 알아보고, 셋째,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라 양육부담 경감 보육정책의 차이를 조사하고, 넷째,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라 양육부담 경감 보육정책이 출산율에 영향이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이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출산을 기피하는 이유로 1순위는 양육비·교육비가 부담스럽고 경제적으로 힘들어서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2순위는 직장생활에 지장이 있고 나의 발전을 위한 시간이 없어서, 3순위는 현재 자식만 제대로 키우려고 라고 조사되어, 많은 선행 논문에서의 양육비와 교육비가 부담스럽고 경제적으로 힘들어서라는 성향이 똑같이 분석되었다. 또한 저출산 현상의 원인을 다중응답 분석으로 조사한 결과는 1순위는 자녀 양육비·교육비가 경제적 부담 때문으로 256(85.3)으로 나타났으며, 2순위는 경제위기로 인해 취업 및 직업이 불안정하기 때문이 160(53.3)으로 나타났으며, 3순위는 자녀 출산 후에 직장 다니기가 어렵기 때문 126(42.0)으로 나타났다. 여전히 무상보육정책을 실시했는데도 여전히 자녀 양육비와 교육비에 대한 경제적인 부담을 느끼고 있는 걸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만0세∼만2세까지만 지원하고 실질적인 교육의 나이인 만3세∼만4세는 소득하위 70%이하 가구에게만 지원이 되고 있어서 여전히 부담이 있는 걸로 보이며, 또한 어린이집을 이용 시 보육료 이외에 특별활동비, 행사비, 현장학습비 등 필요경비에 따른 비용부담이 보육료만큼의 비용을 지불하면서 여전히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적 요인 중에서는 교육비와 양육비의 과다한 부담이 저출산 현상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자녀의 질적 향상을 우선시하는 경향이 큰 것으로 보여 출산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육과 관련된 시스템의 개편이 필요하다(노정현, 2012)라고 하였다. 만0세∼만2세는 아직 부모님과의 애착형성 시기이므로 장시간 어린이집에 맡겨지는 상황이 발생되지 않도록 맞벌이 부부나 기타 특별한 상황을 제외하고는 이용시간을 제한하고(6

      • 돼지 松果腺의 微細構造

        윤용주 全南大學校 1988 국내박사

        RANK : 247631

        성숙 돼지 송과선을 암수 구별없이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돼지 송과선은 실질과 이들 사이에 개재하는 결합조직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실질세포는 불규칙하게 배열되어 있었다. 실질세포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송과세포는 많은 세포돌기를 내고 이들 돌기는 다른 송과세포들 사이를 지나 혈관주위간극에 종지하고 있었으며 드물게 송과세포들 사이에 종지하고 있었다. 세포소기관 및 포함물은 세포내의 일정부위에 편재하는 경향이었으며, 사립체와 골지장치는 핵주위부에 주로 분포하고 조면내형질망, 유리리보솜, 다소포체 및 농심소포는 세포질 전체에 출현하였고 농심소포(직경 60∼220 nm)는 골지장치에서 생성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드물게 중심체와 섬모도 핵주위부에서 관찰되었고 세포돌기부에는 미소관과 미세사가 풍부하였고 synaptic ribbon도 드물게 출현하였다. 세포돌기의 혈관주위간극에의 종지부는 팽대되고 소포및 농소체등을 다양하게 함유하고 있었다. 돼지 송과세포의 특징적인 소견은 많은 농소체의 출현이었다. 이들 농소체는 막에 의하여 한계되고 크기는 0.2∼1.6um 였으며 내부구조는 균등한 것, 서상인 것, 무구조한 농물질이 응집된 것, 층판상이나 나선상으로 된 것 등 매우 다양하였고 세포내 출현정도도 세포에 따라, 세포의 부위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이들 농소체는 농심소포 및 내형질망과 깊은 관련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송과세포의 분비과정에서 농심소포와 농소체의 역할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송과선의 혈관주위간극은 부위에 따라 존재하는 구조물이 다앙하였으나 흔히 교감신경섬유와 송과세포의 돌기가 관찰되었고 때로는 섬유모세포, 대식세포등 결합조직성분이 출현하였다. The pineal gland of the pig was studied electronmicroscopically and compared with that of other mammals. The pineal gland of the pig consisted of a parenchyma and connective tissue and a only single population of the parenchymal cellular element was the pinealocyte. Pinealocytes were irregularly arranged without apparent substructural organization. Pinealocytes had two to several cell processes which traversed between other pinealocytes and ended chiefly in the perivascular spaces around the capillary, and occasionally they might terminate among the pinealocytes. Cytoplasmic organelles and inclusions of pinealocyte had the tendencies to show the regional distribution in the cytoplasm. The perinuclear region was occupied by many mitochondria and Golgi apparatus, occasional centriole and cilia. Rough endoplasmic reticulum, polysomes, multivesicular bodies, microtubules, membrane-bounded dense bodies and dense cored vesicles (60-220nm in diameter) were distributed throughout cytoplasm. The well-developed Golgi apparatus was often associated with dense cored vesicles. The cell processes of pinealocyte usually contained many microtubules and abundant microfilaments, and rarely synaptic ribbons. The terminal end of the cell process in perivascular space was bulbous and contained variable number of vesicles with or without dense cores and membrane-bound dense bodies. A characteristic finding of the pig pinealocytes was the presence of many membranbe-bounded dense bodies (0.2-1.6nm in diameter) with various internal structures. These dense bodies contained homogenous dense material, flocculent or amorphous dense aggregates, fine or corse granular material, and whorled or lamellar structures. The number of dense bodies was varied according to the cells and areas of the same cell. These dense bodies showed considerable topographical relationship with dense cored vesicle and rough endoplasmic reticulum, suggesting that formation of the dense bodies was associated with dense cored vesicles and rough endoplasmic reticulum. Accumulation of membrane-bound dense bodies in the terminal end of the cell process may also suggest the close relationship with their secretory process. Perivascular space of pig pineal gland were variable in width and content. Within the space autonomic nerve fibers with dense cored and clear vesicles and pinealocyte processes were frequently noted. Connective tissue components such as fibroblast, macrophage containing dense bodies similar to those of pinealocyte, and collagen fibers were also noted in the space.

      • 敎員의 自律硏修에 關한 硏究 : 蔚山廣域市 中學校를 中心으로

        윤용주 蔚山大學校 敎育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울산지역 중학교를 중심으로 현재 다양하게 운영되고 있는 기관중심의 자율연수에 대한 교원들의 인식과 운영 실태를 조사하여 그 문제점을 규명하고, 자율연수의 개선을 위한 교원들의 요구 경향을 분석해 봄으로써 자율연수의 효율성 증대를 위한 발전 방향을 제시해 보는데 그 목적을 두고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자율연수에 대한 교원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자율연수 운영 실태와 문제점은 무엇인가? 셋째, 자율연수의 개선을 위한 교원들의 요구 경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관련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를 통하여 수행되었으며, 설문지에 의한 자료 수집은 울산광역시 강남과 강북교육청 소재 공립 중학교 6개교씩 12개교에 재직중인 교사 294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 자율연수에 대한 교원들의 인식 울산지역 중학교 교원들은 대체적으로 자율연수의 필요성과 효과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으나, 그에 비해 참여하고자 하는 의욕은 다소 낮은 반응을 보이고 있다. 자율연수의 참여 목적으로는 자아 개발과 자질 향상이 가장 많았으며, 자율연수에 대한 관리자의 관심에 대해서는 다소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 자율연수의 운영실태와 문제점 첫째, 최근 자율연수를 받은 교원들의 참여 회수를 보면 매년 1회 이상이 11.9%로 낮은 참가율을 보였고, 주로 방학 기간 중(68.3%)에 시·도교육연수원(40.1%)에서 가장 많이 받았으며, 이수한 연수내용은 컴퓨터·정보화(29.0%), 상담·인성교육(21.8%), 교수·학습방법(18.7%)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율연수의 경비로는 5~10만원 지출이 가장 많았고, 이수 시간은 60~120시간 미만을 받은 교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자율연수의 교수방법, 강의 내용 및 교재, 교육 시설에는 그다지 만족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연수경비와 평가의 객관성·타당성·공정성에 있어서는 다소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셋째, 교원들은 자율연수의 저해요인으로 과중한 업무로 인한 시간 부족(53.7%)에 가장 많이 응답하였고, 다음으로 피로와 건강·가정생활(16.7%), 연수 경비 등의 경제적 부담(13.9%), 연수내용의 부실(8.8%), 미흡한 보상체제(6.8%) 순으로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다. 자율연수의 개선을 위한 교원들의 요구 첫째, 선호하는 자율연수 분야는 진로상담·인성교육이 가장 많았다. 남자교사는 컴퓨터·정보화분야를, 교직경력이 10년 미만인 교사는 교수-학습방법 분야를 가장 희망하여 교사 집단의 특성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둘째, 대부분의 교사들은 자율연수를 방학 기간 중에 이수하기를 선호하였으며, 자율연수의 운영방법은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연수와 출석수업의 병행을, 수업방법으로는 실습을 희망하였다. 셋째, 자율연수의 평가방법은 전체적으로는 평가 없이 이수 시간만 기록하는 것을 희망하였는데, 이는 현행의 상대평가가 교사들에게 심리적인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였다. 넷째, 교원들은 자율연수의 경비를 전액 국고에서 지원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하다고 요구하고 있으며, 자율연수의 개설기관으로는 시·도교육연수원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자율연수의 결과에 대한 보상방법으로는 연수경비의 지원과 연수실적 수당 지급 제도 도입 등 경제적인 지원을 원하고 있으며, 자율연수의 발전을 위해서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 연수내용의 현장성 제고, 학교업무 경감, 연수경비 지원, 연수 유인체제·보상방법 개선, 연수기관의 다양화, 운영·평가방법 개선 순으로 제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원들이 자율연수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각 자율연수기관은 자율연수의 수요자인 교원들의 의견을 수렴한 후 다양한 교사 집단의 특성에 맞는 단계별·수준별로 연수체계를 수립하고,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관리자의 관심과 더불어 쾌적한 연수환경이 조성되도록 해야할 것이다. 둘째, 타 시·도에 비해 대학교 부설 연수원이나 사설연수원 및 사회교육기관 등이 부족한 울산지역에서 교원들이 가장 선호하는 시·도교육연수원은 자율연수를 원하는 모든 교사를 수용하기에는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교원들이 다양한 연수기관에서 원하는 연수를 모두 이수할 수 있도록 시·도교육연수원의 시설 및 인력확충, 원격연수의 활성화, 사회교육연수기관의 설립 등이 마련되어야겠다. 셋째, 연수성적이 교원들에게 심리적인 부담을 주지 않는 방향으로 자율연수의 평가방법과 다양한 평가도구가 연구·개발되어야 하겠다. 넷째, 자율연수의 결과를 승진 시 가산점 부여 확대, 호봉 승급 시 반영, 인사시 반영하는 등 적절한 보상책 및 유인체제를 마련하여 자율연수의 실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다섯째, 자율연수의 활성화를 위하여 정부는 사무처리의 간소화, 교무실 사무보조원의 충원, 법정 교원수 및 법정 수업 시수 확보, 자율연수 휴직제도의 확대 실시로 교원의 업무과중으로 인한 시간적 부담을 줄이고, 연수경비의 전액 지원과 연수 실적 수당 지급 제도의 도입과 같은 보상으로 경제적 지원을 하는 등의 행·재정적인 지원을 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at middle school teachers in the city of Ulsan thought about autonomous training provided by different local institutions and how this type of self-training was conducted. It's basically meant to find problems with current autonomous training practices and teachers' needs for that in a bid to help improve its efficiency. Th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as below: 1. How do teachers perceive autonomous training? 2. How is autonomous training implemented? What problems is it faced with? 3. What are teachers' needs for autonomous training?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s, relevant literature was reviewed and a research study was conducted.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94 teachers who worked at 12 different public middle schools in the city of Ulsan. Among the selected schools, half each were respectively under the umbrella of Gangnam and Gangbuk Offices of Education.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A. Teachers' view of autonomous training The middle school teachers in the region of Ulsan felt the need for autonomous training, and found it effective in general. In contrast, however, they weren't quite willing to undergo autonomous training. The largest group of them got autonomous training to attain self-development and improve their qualifications. They didn't think that school managers were interested in autonomous training. B. Autonomous training management and its problems First, among those who lately underwent autonomous training, just 11.9 percent got that training once or more a year. They mostly took training courses provided by local government's education and training institutes(40.1%) during vacation(68.3%). The most common courses they took was about computer and information literacy(29.0%), followed by counseling/personality education(21.8%),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18.7%). Second, the largest group of the teachers paid 50 to 100 thousand won for autonomous training, and the great number of them took less than 60 to 120 classes. They weren't satisfied with teaching method, lecture, textbook and educational facilities. Specifically, they took a more dismal view of training cost and the objectivity, validity and impartiality of evaluation. Third, their self-training was most disturbed by time constraints resulting from heavy workload(53.7%), followed by fatigue, health problem and family life(16.7%). The third most common hindrance was financial burden about training cost(13.9%), followed by unsatisfactory training content(8.8%) and inadequate compensation(6.8%). C. Teachers' needs for autonomous training First, they preferred training courses about career counseling and personality education the most. The male teachers were most fond of computer and information literacy courses, and those whose career was less than 10 years wanted to acquire teaching-learning methods the most. Thus, their preference for training courses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Second, most of the teachers preferred to take training courses during vacation. The combination of offline and online education was preferred, and as for teaching method, they were in favor of practical courses. Third, as for autonomous training assessment, they just wanted to let their completed classes recorded without being evaluated, and the reason seemed that current relative evaluation put a strain on them. Fourth, they found it advisable for the government to be responsible for entire training cost, and local government's education and training institutes were most preferred as the place where they took autonomous training. Fifth, concerning compensation, they wanted to be given financial aid in return for autonomous training, such as training cost and separate allowances for training records. As a way to improve autonomous training, they put the most stress on a wide variety of programs, which was followed by more authentic, practical training courses, reduced workload, aid for training cost, improved incentives/compensation, diversified training institutes and improved management and evaluation. Based on the above-mentioned findings,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reached: First, in order to stimulate teachers to keep reinventing themselves, each training institute should gather opinions from them who are the clients of autonomous training, and prepare sequential, differentiated training systems in light of their different characteristics. Diverse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nd school managers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autonomous training among teachers. Besides, teachers should be assisted to train themselves in good environments. Second, compared to other regions, Ulsan is less equipped with university-affiliated and private training institutes and social education providers. Local government's training and education institutes were most preferred by the teachers, but it's not easy for them to accommodate every teacher who want to get autonomous training. To let teachers take every training course they want in different places, their facilities should be extended, and a sufficient number of personnels should be employed. Besides, distance training should be widespread, and social education institutes should be established. Third, autonomous training evaluation should be done in a way not to put pressure on teachers, and a wide range of evaluation tools should be prepared. Fourth, appropriate compensation and incentives should be offered to make autonomous training more successful. For instance, autonomous training output should be reflected in promotion, pay raise and personnel administration. Fifth, the government should try to dynamize autonomous training by simplifying work handling, providing clerical assistants, determining legal criteria for a number of teachers required and teaching load, and providing more chances for teachers to take a leave of absence to undergo autonomous training. Teachers should be allowed to spend more time pursuing self-development, and financial aid is also called for. For instance, every training expense should be covered by the government, or separate allowances should be offered based on training recor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