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지역별 문화시설의 분포 및 규모에 관한 연구

        윤계영 광주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우리나라는 경제가 발전되면서 삶의 질을 가늠하는 문화에 대한 관심이 날로 높아지고 있다. 국가의 경쟁력을 평가하는 척도가 기술과 물질에서 창조력과 상상력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문화로 전이되는 과정에서 이를 구체화하기 위해서 양적․질적 측면에서 관련 문화정책이 점점 더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도시와 건축과 관련된 이러한 문화정책의 대표적인 형태는 ‘문화도시’ 혹은 ‘문화중심도시’ 관련 정책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현상을 반영하듯 세계의 많은 나라들은 도시의 활성화를 위해 각 국의 문화가치와 목적에 맞게 문화시설을 조성하며 문화도시로 변화를 준비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국가정책으로 과거 예향이라고 알려진 광주광역시를 대상으로 아시아문화중심도시의 조성을 통해 광주시의 전체적인 발전과 함께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도시로의 변모를 시도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문화시설이 타 지역에 비해 문화시설별로 어느 정도 구축되어 있으며 광주광역시 권역별로는 어떤 시설을 중심으로 조성되어 있는지를 분석하여 향후 새로운 문화시설 조성에 기초자료로 사용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이를 위해 문화체육관광부의 문화시설 분류기준에 따라서 공연시설, 전시시설, 지역문화복지시설, 문화보급전수시설, 그리고 도서관 등 총 5개 부문으로 분류하고 이를 다시 12개 부문으로 세분하여 문화시설의 시설수 및 건축연면적과 인구수 대비 문화시설 건축연면적, 재정 대비 문화시설 건축연면적 등을 분석하였다. 지역별 문화시설을 비교분석하기 위해 전국을 1개 특별시, 5개 광역시 그리고 8개 도 등 16개 행정구역으로 분류하였으며 광주광역시내 권역별 문화시설을 비교분석하기 위해 동구, 서구, 남구, 북구, 그리고 광산구 등 5개 권역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1. 광주광역시에 조성된 문화시설의 수는 191개로 전국 4.726개의 5.5%이며, 건축연면적은 305,117 ㎡로 전국 17,212,978 ㎡의 1.77%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광주광역시 문화시설은 시설 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건축연면적이 1/3 정도로 매우 적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인구수대비 문화시설수는 1.85배로 많은 반면 건축연면적은 0.60배로 매우 적음을 알 수 있다. 2. 전국대비 광주광역시에 조성된 공연시설, 전시시설, 문화보급전수시설, 그리고 도서관의 시설수와 건축연면적을 살펴본 결과, 각각의 시설수는 평균값과 유사하였으나, 도서관의 건축연면적은 전국대비 2.2%로 크게 나타난 반면 그 외 시설의 건축연면적은 1% 정도로 매우 작게 나타났다. 3. 광주광역시에 조성된 문화시설의 인구대비 건축연면적을 살펴본 결과, 2,143.6㎡/만명 로 전국 3,588.4 ㎡/만명의 0.6배로 평균에 미치지 못함을 알 수 있다. 4. 광주광역시에 조성된 문화시설의 총예산대비 건축연면적을 살펴본 결과, 80,626.7 ㎡/원 으로 전국 85,578.3 ㎡/원의 0.9배로 평균 정도임을 알 수 있다. 5. 광주광역시의 문화시설을 시기별로 살펴본 결과, 대부분의 문화시설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로 공연시설이 타시설에 비해 많이 건축되었으며 이중 상업적인 성격이 강한 영화관이 118개로 광주광역시 문화시설의 절반인 52.6%를 차지하고 있다. 영화관 시설수는 1993년 29개에서 2007년 118개로 4배의 증가를 보이며 성장하였으나, 건축연면적은 1993년 19,230㎡에서 2007년 27,071㎡로 1.4배 증가한 사실로 인해 영화관이 갈수록 소규모화되어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광주광역시 문화시설 중에서 도서관은 시설수가 1993년 22개에서 2007년 32개로 1.4배 증가하였지만, 건축연면적에서는 1993년 94,300㎡에서 2007년 233,680㎡로 2.4배 증가하고 있으며, 전체 문화시설의 연면적의 52.2%를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6. 광주광역시의 문화시설을 권역별로 살펴본 결과, 대부분의 문화시설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로 서구와 광산구의 문화시설이 타지역에 비해 많이 건축되었다. 이 중에서 종합공연장 및 일반공연장과 같은 순수 공연시설과 미술관, 박물관과 같은 전시시설은 동구와 북구에만 위치해 있다. 공연시설 중 영화관은 동구에서 서구와 광산구로 확장건축되는 추세이며 도서관은 대학도서관의 증축으로 인해서 남구에서 건축연면적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7. 또한, 광주광역시 문화시설의 건축 경향을 시기별, 권역별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었다. ① 공연시설은 대부분 동구와 북구를 중심으로 위치해 있으나, 최근에 동구와 북구가 유동인구와 거주인구가 감소하고 서구의 상무지구, 광산구의 첨단지구 등 새로운 주거 및 행정 지역이 개발되면서 상업적인 성격이 강한 영화관이 신축되는 추세에 있다. ② 전시시설 역시 대부분 예술의 거리가 위치한 동구와 광주박물관, 비엔날레전시관, 시립미술관이 밀집되어 있는 북구를 중심으로 위치해 있으며, 동구는 예술의 거리를 중심으로 갤러리등이 계획되고, 북구는 용봉 문화벨트지역을 중심으로 편중되어 각종 전시시설이 신축되는 추세에 있다. ③ 지역문화복지시설은 초기에는 서구와 북구에 계획되었으나, 최근에는 광산구에 청소념시설이 건축되어 서구와 광산구를 중심으로 증가추세에 있다. ④ 문화보급전수시설은 초기에는 광산구에만 계획되었으나, 1995년 행정구역 개편에따라서 이중 일부가 남구로 편입되고, 서구에 빛고을국악전수관이 건축되면서 현재에는 광산구, 서구, 남구에 골고루 위치해 있음을 알 수 있다. ⑤ 도서관은 지역도서관의 경우, 동구와 북구에 건축되어 있으며 대학도서관의 경우, 권역별로 각각 1-2개씩 건립되어 있다. 최근 남구의 광주대학교와 송원대학교, 광산구의 호남대학교와 남부대학교의 도서관이 신축되면서 해당지역의 도서관의 건축연면적이 크게 증가하였다.

      • 색채시공감리를 활용한 건축색채계획에 관한 연구 :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

        윤계영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8639

        As architectural color schemes play an important role in symbolize the meaning and concept of architecture in unique shapes and colors, they continued to create images of the time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ces they were targeting. Through this process, architectural color schemes have been completed in collaboration with architectural designers, color experts, and clients to consider the relationship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create a harmonious and impressive color environment. However, in the process of completing buildings, distorted schemes were tolerated and accepted to meet the site situations without color construction supervision or evaluation by a color exper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tilize color construction supervision as a method to ensure the sustainability of architectural color planning by implementing it in 10 construction sites representing various architecturaltypes. The composition of the works involves setting evaluation criteria through a color evaluation table to assess the completeness of architectural color planning during the construction phase. The goal is to create color design works that reflect the essential scheming concepts of designers, taking into account the multifaceted variables of on-site conditions analyzed in relation to the construction phase. The works were configured by following methods through color construction supervision at ten sites by building type. First, it was reviewed how to keep basic scheming concepts of architectural color schemes based on theoretical background and how to keep them up to construction stage in scheming process based on familiarity with nature, relationship with surrounding environment, and connection with architectural colors. Second, evaluation criteria were suggested through situation analysis of and issues in current color construction supervision and they were used in configuration of color design works. Third, based on the result of review of color construction supervision at ten sites by building type, scheming concepts of architectural color schemes at the sites having high familiarity with nature were maintained. In the case of the sites where the relationship with their surroundings was low, the choice was made considering economic efficiency and constructability and the method to reduce the causes to reduce sustainability of architectural color schemes was applied to works and, in the case of the sites where the connectivity with their surroundings was low, the scheming concepts were symbolically expressed. Basic scheming concepts were expressed in the researcher’s works through representative colors of ten sites in six building types under color construction supervision for their sustainability. ① Seoul National University's Pyeongchang Campus was designed with a monochromatic color scheme in GY (green-yellow) series dull tone by coloring it to meet the scheming concept based on familiarity with nature. ② Naseong Kindergarten, Naseong Elementary School and Naseong Middle School were designed with a similar color scheme in YR (yellow-red) series clear tones by coloring them to strengthen the scheming concept based on relationships with their surroundings. ③ Bangok Middle School was designed with a similar color scheme in Y (yellow) series clear tones to express practical concepts with simplified meaning of sustainability to strengthen the scheming concept. ④ Hansol-dong Community Center was designed with a monochromatic color scheme in R (red) series bright tones and G (gray) series gray tones to give a practical concept of connectivity with architectural colors. ⑤ Seoul Botanic Park was designed with a similar color scheme in G (green) series muted tones and GY series muted tones by coloring it to meet the scheming concept based on familiarity with nature. ⑥ Korea Electrical Contractors Association Osong Building was designed with a similar color scheme in P (purple) series bright tones and PB (purple-blue) series clear tones by coloring it with a practical concept to maximize spatial function for maximum scheming concept. ⑦ Kookmin Bank Integrated Building was designed with a monochromatic color scheme in Y series clear tones and Y series dark tones to enhance connectivity with the architectural concept with symbolic interpretation of the scheming concept. ⑧ 2nd Chungbuk Haksa was designed with an opponent color scheme in Y series clear tones, PB series clear tones, and PB series muted tones by coloring it for maximum spatial characteristics and constructability with strengthened scheming concept based on relationship with its surroundings. ⑨ Busan LCT was designed with a three-color color scheme in PB series dull tones, and B series, YR series, R series, and Y series muted tones to enhance the architectural concept and connectivity with symbolic interpretation of the scheming concept. ⑩ Daegu 2nd Expo was implemented with a monochromatic color scheme in R series clear tones, expressing the color through the sustained utilization of scheming concepts. The color scheme proposals derived from the researcher's work, utilizing color construction supervision, suggest that opponent or multicolored schemes may undergo modifications or be executed disregarding the planned concepts based on on-site conditions, leading to suboptimal scores in the construction evaluation of color construction supervision. In composing the artwork, the researcher applied monochromatic or analogous color schemes, or reduced the number of colors, prioritizing the sustainability and aesthetic completeness of scheming concepts. The decision not to incorporate opponent color schemes in the artwork was based on the consideration of reducing the number of colors for a simpler representation, focusing on the importance of the relationship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rather than just adjusting value or chroma. Specifically, the avoidance of using the three primary colors, cyan, magenta, and yellow, together was driven by the recognition, through color construction supervision, that highly contrasting color schemes may compromise sustainability. Thus, this method was not applied in the researcher’s design of works. The artwork was reconstructed to express the continuity of basic scheming concepts, the relationship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the connectivity with architectural colors through color design. The purpose of color construction supervision is to preserve the present through the past and the essence is to prevent the scheming concepts of architectural color schemes avoiding possible deformation of the concepts of architectural color schemes and formation of unclear color environment by the method to supplement the present for the future through color construction supervision. The current state of color construction supervision lacks a systematized framework in terms of regulations and official procedures, leading to the unregulated execution of color schemes without legal confirmation. This situation may result in indiscriminate creation of color environments. As a response, the researcher has conveyed the significance of the need for practical management measures or guidelines through the works. 건축색채계획은 건축의 의미와 개념을 독창적 형태와 색으로 상징화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에 항상 대상이 될 장소의 특성을 배경으로 시대상을 지속적으로 만들어 갔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현재까지 건축색채계획은 주변환경과의 관계를 고려하고 조화롭고 인상적인 색채환경을 조성하고자 건축설계자, 색채전문가, 발주처와 함께 건축색채계획을 완성했다. 그러나 건축물이 완공되는 과정에서 색채시공감리나 색채전문가의 평가없이 변질된 계획을 묵인하고 현장상황에 따라 그대로 수용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었다. 본 색채디자인 10개 전시작품은 색채시공감리를 시행하여 건축색채계획의 지속성을 지켜나가기 위한 방법을 활용하였고 작품구성은 시공단계의 건축색채계획 완성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색채평가표로 평가기준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현장상황 변수에 대한 시공단계의 다각적 변화 요소를 분석한 결과를 반영한 설계자의 본질적 계획개념을 이어가도록 작품을 제작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었다. 건축유형별 10곳 현장 색채시공감리를 통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작품을 구성하였다. 첫째, 이론적 배경을 통해 건축색채계획의 본질적 계획개념을 지속적으로 이어가며 자연과의 친근성, 주변환경과의 관계성, 건축색채와의 연계성을 바탕으로 계획과정에서 시공단계까지 지켜나가는 방안을 검토하였다. 둘째, 현 색채시공감리의 현황분석 및 문제점을 통해 평가기준을 제안하고 이를 통해 색채디자인 작품구성에 활용하였다. 셋째, 건축유형별 10곳 현장에 색채시공감리를 시행하여 검토한 결과를 바탕으로 자연과의 친근성 원리가 높게 평가된 현장은 건축색채계획의 계획개념을 유지하는 것으로 활용하였다. 주변과의 관계성이 낮게 평가된 현장은 경제성과 시공성을 감안한 선택으로 건축색채계획의 지속성을 감소시키는 원인을 해결하는 방법으로 작품에 적용하고 건축색채와의 연계성이 낮게 평가된 현장은 계획개념을 상징적으로 표현하였다. 설계자의 본질적 계획개념을 지속성 있게 지켜나가도록 색채시공감리를 활용하여 아래와 같이 건축유형별 6종류로 구분하여 10곳 현장의 대표색을 통해 연구자의 작품으로 표현하였다. ①서울대학교 평창캠퍼스는 자연과의 친근성을 근거한 계획개념과 일치된 논리에 의한 색채 부여를 GY(연두)계열 탁한 톤의 단색 배색으로 ②나성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는 주변과의 관계성을 근거한 계획개념을 강화하는 필요논리에 의한 색채 부여로 YR(주황)계열 선명한 톤의 유사색 배색으로 ③반곡중학교는 계획개념 강화를 위한 지속적 의미부여를 단순화하여 실용적 개념을 색채로 표현한 Y(노랑)계열 선명한 톤의 유사색 배색으로 ④한솔동 복합커뮤니티센터는 건축색채와의 연계성을 실용적 개념으로 부여한 R(빨강)계열 밝은 톤과 Gray(회색)계열 회색 톤의 단색 배색으로 구현하였다. ⑤서울식물원은 자연과의 친근성을 근거한 계획개념과 일치된 논리에 의한 색채 부여로 G(초록)계열 흐린 톤과 GY계열 흐린 톤의 유사색 배색으로 ⑥한국전기공사 오송사옥은 계획개념 강화를 위한 공간 기능을 극대화 시켜 실용적 개념의 색채로 표현한 P(파랑)계열 밝은 톤과 PB(남색)계열 선명한 톤의 유사색 배색으로 ⑦국민은행 통합사옥은 계획개념을 상징적 해석으로 건축개념과 연계성을 높이는 Y계열 선명한 톤과 Y계열 어두운 톤의 단색 배색으로 ⑧제2 충북학사는 주변환경과의 관계성을 근거한 계획개념을 강화하는 필요 논리에 의한 색채로 공간 성격을 극대화하면서 시공성을 높인 Y계열 선명한 톤과 PB계열 선명한 톤, PB계열 흐린 톤의 반대색 배색으로 ⑨부산 엘시티는 계획개념을 상징적 해석으로 건축개념과 연계성을 높이는 PB계열 탁한 톤과 B계열, YR계열, R계열 흐린 톤의 삼색 배색으로 ⑩대구 제2 엑스포는 계획개념을 지속적으로 활용한 색채로 표현한 R계열 선명한 톤의 단색 배색으로 구현하였다. 연구자의 작품에서 나타난 색채시공감리를 활용한 배색 제안은 반대색 배색이나 다색 배색은 현장여건에 따라 변형되거나 계획과 무관하게 시공되어 색채시공감리의 시공평가 점수가 미흡하게 확인되어 이를 작품으로 구성할 때는 유사색 배색이나 단색 배색 또는 색상 수를 줄여 계획개념의 지속성과 완성미를 중요 요인으로 작품계획에 적용하였다. 작품 색채디자인 제안에서 반대색 배색을 작품에사용하지 않은 것은 단순히 명도나 채도의 변화를 조절하기 보다 주변환경의 관계성을 중요 요인으로 고려하여 색상 수를 줄여 단순하게 표현하였고 특히 색의 삼원색 시안(Cyan), 마젠타(Magenta), 노랑(Yellow)을 함께 사용하지 않은 것은 색채시공감리를 통해 색상의 대비감이 강한 배색은 지속성을 유지하기에 미흡한 요소로 확인되어 연구자의 작품에는 활용하지 않았다. 이에 작품으로 재구성하여 본질적 계획개념의 지속성과 주변환경과의 관계성, 건축색채와 연계성을 색채디자인으로 표현하였다. 색채시공감리는 과거를 통해서 현재를 지켜나가는 것이며 본질은 건축색채계획의 계획개념이 변형되어 불명확하게 색채환경을 조성하지 않도록 색채시공감리를 통해 현재를 보완하여 미래화 시키는 전략으로 제안하였다. 현재 색채시공감리는 제도나 관련규정이 체계화 되어 있지 않아 법적인 확인절차 없이 시공되어 무분별한 색채환경이 조성될 수 있어 본 연구자는 실용적인 관리방안이나 지침이 필요하다는 것을 작품을 통해 의미를 구현하였다.

      • 지역이미지 강화를 위한 재도장아파트 색채계획에 관한 연구 : 남양주시 진접지구를 중심으로

        윤계영 홍익대학교 산업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색채는 기억하기 쉽고 인간의 오감 중에서 시각을 통해 가장 먼저 받아들여지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그 도시의 성격과 분위기를 차별화 하거나 상징화하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에 지역색에 대한 연구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이미지 강화를 위한 수단으로 지역에서 시각적 점유율이 가장 높은 아파트 색채를 대상으로 신축아파트 외에 잊혀지고 관심밖에 밀려나는 무계획적인 재도장 아파트의 색채환경을 개선하여 지역 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지역의 고유성과 정체성을 살리는 보다 현실적이고 실용적인 재도장아파트 색채계획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재도장 색채계획을 통한 이미지 전달로 쾌적한 지역환경조성과 특색있는 지역이미지를 창출하여 보다 고차원적인 삶의 질을 향상하도록 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을 두고자 한다. 본 연구의 내용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론적 고찰을 통해 지역이미지 강화를 위한 색채의 필요성과 건축물과의 관계성, 계획방법을 파악하고 재도장아파트의 색채계획의 개념과 특성을 검토하였다. 둘째, 국내 재도장아파트 색채계획 현황을 분석하여 재도장아파트의 관리기준의 방법을 제시하였다. 셋째, 본 연구의 대상지인 남양주 진접지구를 중심으로 인근 구도심의 재도장아파트 계획이 예상되는 20개 단지를 대상으로 사진촬영과 육안측색으로 색채현황을 분석하였다. 넷째, 색채현황분석 결과 진접지구 신도시의 전체적인 색채이미지는 맑은, 온화한, 은은한, 고상한 이미지가 주로 나타났으며 색톤은 무채색 Whitish, light Gray, 유채색 whitish, light grayish, pale, soft톤으로 밝고 화사하고 차분한 분위기를 나타냈다. 색상은 10R~5Y, 10P~5RP까지 YR계열, Y계열, R계열로 주로 따뜻하고 화사한 색상이 주를 이루고 명도는 5~9, 채도는 1~3까지로 중명도 저채도의 분포를 고루 보이며, 주조색과 보조색의 명도차가 적어 편안하고 자연스러운 배색효과를 보이고 있었다. 이에 반해 구도심의 재도장아파트 색채계획 대상지는 전체적인 색채이미지는 맑은, 온화한, 은은한, 고상한, 점잖은, 다이나믹한까지 다양한 이미지가 나타났으며 색톤은 무채색 Whitish, 유채색 whitish, light grayish, pale, soft, light, dull, dark톤으로 밝고 화사한 분위기와 어둡고 탁한 톤이 공존하여 나타났다. 색상은 5R~10YR, 5Y~5GY, 5B, 10RP까지 다양한 색상이 나타났으 며, 명도가 6~9, 채도는 1~2까지로 고명도 저채도의 분포를 고루 보이며 주조색과 보조색의 명도차가 심하여 자연환경과 인근 인공환경에 연속성이 고려되지 않은 색채계획이 나타났다. 다섯째, 주민선호 조사결과 대부분 온화하고 은은한 이미지로 내추럴한 자연환경과 조화되는 배색이미지를 선호하였고 형용사 언어로 분석해 본 결과 생소하고 강한 색채보다는 풍부하고 화사한 분위기의 색채를 선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남양주시 지역이미지를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는 자연환경과 조화되는 색채계획을 원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살펴보면 재도장아파트는 신축아파트에 비해 무계획적이고 획일적인 방향으로 흐르고 있었으며, 지역 이미지나 자연환경과의 관계성이 떨어지는 계획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따라서 재도장아파트의 심각한 경관색채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시급한 상황에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관리방안, 색도별 배색안, 시뮬레이션을 참고하여 앞으로 재도장아파트 계획 시 활용한다면 주변환경과 조화되면서 지역이미지를 강화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삼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자는 환경색채가 지역민의 정주환경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여 지역 이미지 구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 본다. Color is easy for you to remember and it is the first thing to get feeling through your eyes. It provide the differentiated moods and the characters in the city, also It is important role for the symbolization. For that reason, ongoing research and development is being done about local color. The content of this paper is as follows: First, Through theoretical necessity of local color for image enhancement and building relationships with the plan to identify how the concept of color planning and repainting of the apartment were characterized. Second, Construction and analysis of the domestic color plan repainting the apartment is presented to the Management Standards. Third, This study focused on the target acquaintances near Namyangju jinjeop nine districts of the city center apartments planned repainting is expected to target 20only color photographs and visual status were analyzed by colorimetry. Fourth, the color status of the entire new city district jinjeop analysis of color image sarefine, tender, is decency. Colorton-achromatic, chromatic colors were bright and glamorous and relaxing atmosphere. Fifth, most people prefer warm and subtle study in harmony with the natural environment as a preference image and a strange, strong color was preferred rather than the bright colors of the atmosphere. Therefore, Namyangju local image Realities occupies most wanted colors that blend with the natural environment was found to b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