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 四溟 惟政(1544-1610) 眞影 硏究

        박주영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고승 진영 중 현전 수량이 풍부하며, 수염 등의 특징적인 상호표현을 지닌 사명 유정의 진영에 주목하였다. 진영의 조성주체 및 조성목적에 관한 문제, 정밀한 양식변천의 양상, 그리고 동일한 인물이 각기 다른 모습으로 등장하는 사명 유정 진영의 현상을 사명 유정의 생애 및 그에 대한 각계각층의 인식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 방법으로는 먼저 사명 유정의 생애를 관련 문헌을 통해 정리하여 사명 유정이 어떤 인물로 인식되어왔는지를 유교계, 불교계, 민간 등 각 계층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또한 현전하는 사명 유정 진영을 소장한 사찰의 법맥계보와 동반 제작, 봉안된 진영의 예를 살펴 사명 유정 진영의 조성 주체 및 목적을 유추해 보았다. 연구대상이 된 22점의 사명 유정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를 각 진영별로 정리하였으며 이를 도표화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사명 유정 진영에 표현된 다양한 구성요소를 분석해 보았다. 구성요소는 좌식 및 배경, 상호, 의복, 지물 등 각 진영에 공통적으로 표현된 4부분으로 나누었으며, 진영에 나타난 요소들에 대한 연원과 의미, 표현의 변화과정을 집중적으로 살펴보았다. 이 중, 보다 특징적인 변화과정을 보이는 상호표현을 중심으로 사명 유정 진영을 총 3기로 나누어 각 시기별 진영의 특징을 정리함과 동시에 진영에 표현된 인물상의 변화를 앞서 살펴본 사명 유전에 대한 인식과 연관지어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서 사명 유정 진영은 진영의 일반적인 예와는 다르게 직계 법맥이 조성한 것이 아닌 18세기 이후로 경상북도 지역에서 활동하였던 편양법맥의 주도로 조성되었으며, 그 중심에는 도총섭 등 주요승직이 배치되었던 사액서원 표충사의 건립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사명 유정 진영의 구성요소에 대한 분석을 종합하여, 생전에 사용한 가사 및 가사장식구, 지물 등의 유품을 표현하여 사명 유정의 모습을 사실적으로 나타내려 하였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양식이 혼용, 변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끝으로 1기의 진영에는 불교계의 인식이 반영된 이상적인 승려의 모습을 표현하려 하였지만, 2기 및 3기의 진영에서는 유교계, 민간의 인식이 크게 반영되어 사천왕 및 시왕, 산신 등의 상호와 유사한 표현을 사용한 의승장이라는 전에 없던 유형의 불교인물상을 표현하려 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A Study on the Portraits of Monk Samyeong Yujeong(四溟 惟政, 1544-1610)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large number of portraits depicting the Joseon dynasty monk Samyeong Yujeong(四溟惟政). Of the many high priests of Buddhism represented in Korean portraiture, Samyeong Yujeong is portrayed in an abundance of extant examples that display unique sangho (相 好,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of the Buddha) in aspects such as facial hair. In addition to an analysis of these physical traits and their stylistic transformation over time, the text examines the principal motivation for and goal of the portraits’ creation. The results of this examination reflect a correlation between the systematic changes in Samyeong Yujeong’s appearance present in his portraits to an awareness of the different stages in the monk’s life as well as the existence of contrasting perceptions of Samyeong by the different social strata of the time. The first approach to the subject of this thesis is to review the various historical records regarding Samyeong Yujeong and his life. Through these historical records, we review the manner in which Samyeong was perceived during his life by the different social classes and religious sects of the time including Confucian or Buddhist groups, the common public, etc. The principal motivation for and goal of the portraits’ creation is also determined by a study of the Dharma lineage of the temples that house extant examples of Samyeong’s portraits as well as a comparison to other portraits of Buddhist priests produced in the same period. A total of twenty two portraits of Samyeong Yujeong are analyzed and organized by the different visual elements expressed in each example. The apparent elements include the circumstances of production, background information, sangho, attire, and the various objects depicted among other visual details. These elements are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and their origins are ascertained in order to chart the changes of each element in a sequential manner. As for the portraits themselves, they are separated into three periods based mainly on the expression of sangho. Finally, the main characteristics of each period and their systematic transformation are related to the varying perceptions of Samyeong that endured during and after the monk’s life. The results of this thesis show that the portraits of Samyeong Yujeong are unique in that they were created by the Pyeonyang(鞭羊) Dharma lineage active in the region of North Gyeongsang Province after the 18th century. This is an unusual event in that the Buddhist tradition dictated the assignment of such a task be given to the Jikgye Dharma lineage. At the center of the Samyeong portraits’ production is the construction of a seoak seowon(賜額書院), a confucian education institute, at the site of Pyochungsa (表忠寺) temple that served as the base of operations for the main priesthood of Dochongseop(都摠攝). In terms of the physical attributes of Samyeong portrayed in the portraits, it is clear that the initial portraits took a naturalistic approach to depicting the various articles of the deceased such as the gasa(架裟) or ceremonial robes, robe decoration, objects, etc. However, as time passed, the disparate manner of portraying these aspects were combined and transformed to take on a more stylized appearance. Thus the three periods of the Samyeong portraits can be described as an intial first phase during which the monk was portrayed as an ideal of the Buddhist faith and a second and third phase during which the portraits reflect a particularly Confucian and folk perception of the monk through the incorporation and reflection of figures such as the four heavenly guardian kings, ten kings of hell, mountain guardian spirit, etc. The last two phases are particularly noteworthy as the portraits of the two periods took on a new approach to portraying figures of the Buddhist faith to produce never before seen forms such as the uiseungjang(義僧將) or military monk general.

      • A Pragmatic Study of Euphemism in English and Chinese

        유정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7 국내석사

        RANK : 247647

        영어와 중국어의 완곡화법(婉曲話法)에 대한 화용적 연구 유정 충남대학교 대학원 영어영문학과 영어학전공 ( 지도교수 이 상 철) 완곡화법(婉曲話法)의 고안과 사용은 언어활동 중의 보편적 현상의 하나로, 영어와 중국어의 완곡화법은 동일한 의미 전달의 기능, 기피기능, 간접표현의 기능, 경의를 표하는 기능과 수사적 기능이 있고, 그 모두는 Grice의 협동의 원칙을 따른다. 완곡화법은 서로 다른 언어 중에서도 자기만의 독특한 기원과 구성방식을 가질 뿐만 아니라 발전에 있어서도 일정한 규칙이 있다. 또한 일종의 문화현상으로써 완곡화법은 중국과 서방 국가간의 풍속이나 습관 혹은 사회심리의 서로 다른 면을 반영하고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중국어와 영어의 언어 표현상의 차이를 비교하는 방식으로 영어와 중국어 상의 완곡화법의 구성 방식과 사용방법을 연구하여, 양자간의 접촉 시에 불필요한 번역상의 착오와 잘못된 의사 소통을 방지하고자 함에 있다. 본 논문은 공히 다섯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부분은 도입, 둘째 부분은 배경 연구로 중국과 외국 학자들의 완곡 화법에 관한 연구 성과와 연구 방향에 대한 고찰, 셋째 부분은 중국과 서방의 완곡화법 구성방식에 관한 비교연구로 영어에서는 표기를 바꾸거나 어순 혹은 발음, 어법이나 수사법 등의 수단을 사용해 완곡화법을 완성하지만, 중국어에서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수사법을 사용한 감추어진 함의를 사용하여 완곡화법을 표현하므로 중국과 서양의 언어 사용상의 다른 점을 구체적으로 보이고자 한다. 넷째 부분은 사망, 은밀한 사생활, 신체, 성 혹은 참혹한 전쟁 등의 일부 방면에 사용되는 완곡화법을 중국과 서방의 완곡어의 사용 방식상의 차이와 응용 상의 구별을 비교함으로써 연구하고자 한다. 죽음과 연관된 완곡어법의 사용에 있어서 중국과 서방간의 문화적 차이는 서양인은 기독교에서 유래된 어휘의 사용이 많고, 중국인은 불교에서 유래한 어휘의 사용이 많은 편이다. 사적인 비밀에 관한 생각 또한 중국인과 서양인 간의 차이가 커서 서양인들은 개인의 은밀한 사생활에 관해 많은 어휘를 만들어 냈으나, 중국인들은 개개인의 사생활의 향유를 그리 중요시하지않아 나이까지도 일종의 자산으로 여기는 편이라 개인의 사생활에 관한 어휘가 그리 많지 않은 편이다. 신체와 성 생활에 관한한 영어와 중국어 모두 상당히 많은 표현이 있으며, 비교하자면 그 표현이 명확하지 않아 드러나지 않는 부분이 많으며 주로 문학 작품속에 많이 나타나며 일상에서는 거의 쓰이지 않는 편이다. 전쟁과 연관된 완곡어법은 중국과 서방 공히 모종의 사건을 통해 만들어 졌으며, 지금까지 그대로 쓰이는 경향을 발견할 수 있다. 다섯째 부분은 전체적인 결론이다. 완곡한 표현을 쓸 때에 서양인은 예의적인 면을 더 중시하지만, 중국인은 기피적 용법에 더 주안점을 둔다. 완곡화법 사용시의 준수 원칙을 알게 된다면, 언어 학습자들은 국제교류 상의 실수를 줄여, 언어상의 장애를 극복하여 그 교제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 이다. 중점단어 : 완곡화법, 공손성, 화용적 기능, 문화적 차이

      • 셰일저류층의 다단계 수압파쇄에서 응력그림자 효과를 고려한 수압파쇄 균열형태 분석

        유정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투과성이 극히 낮은 셰일층에서의 다단계 수압파쇄 시, 파쇄단계 간의 서로 근접한 균열로 인해 균열 주변의 지층응력에 간섭현상이 발생하는‘응력그림자 효과(stress shadow effect, SSE)’가 나타날 수 있다. 순차적으로 수압파쇄 시, 전 단계 균열의 발생으로 인하여 수평정 주변 지층의 응력이 변화하게 되고 그로 인해 다음 균열이 저류층을 벗어나거나 비정형적인 형태의 균열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현상을 수압파쇄 모델링에서 고려하지 않을 경우 실제 생산성과 크게 다른 결과를 가져오는 오류를 범할 수 있다. 이러한 응력그림자 효과는 파쇄단계 간의 간격과 지층의 영률, 포아송비와 같은 지력학적 물성에 따라 영향성이 달라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셰일저류층에서의 다단계 수압파쇄 시, 지층의 응력변화에 따른 수압파쇄 균열 형태와 그에 따른 생산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상용 수압파쇄 시뮬레이터인 『GOHFER 3D』를 사용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선행 파쇄단계의 균열에 의해 발생한 응력변화는 지층의 최소수평주응력에 더해지는 효과로 작용함으로 인해 균열의 방향성을 결정하게 되는 지층의 최대수평주응력과의 차이가 감소된다. 이에 따라 최대-최소수평주응력 방향의 역전 현상이 일어나게 되어 다음 단계의 균열은 수평정의 횡방향(transverse, T-방향)으로만 균열이 발생하지 않고, 생산성이 크게 떨어지는 종방향(longitudinal, L-방향)으로도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파쇄단계 간 간격이 가까울수록 응력그림자 효과가 크게 작용하여 T-방향보다는 L-방향 균열이 주로 발생하였고 이는 파쇄균열의 유정자극 면적의 감소를 야기하였다. 따라서 다단계 수압파쇄 시, 파쇄단계 간 적정 간격 설계가 매우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이어 지층의 지력학 물성인 영률과 포아송비의 비로 나타내는 취성특성에 따른 응력그림자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Marcellus 셰일과 Eagle ford 셰일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Marcellus 셰일의 경우 연성 특성을 갖는 Eagle ford 셰일에 비해 높은 취성으로 인해 균열의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되어 균열 체적이 더 크게 산출되었다. 결국 Marcellus 셰일에서 발생된 파쇄균열들이 저류층과의 접촉면적을 더 크게 형성하면서 생산성에도 영향을 미치게 됨을 알 수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Marcellus 셰일지층의 영률이 Eagle ford 셰일층에 비해 크게 낮은 값을 가지므로 응력그림자 효과가 보다 낮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파쇄단계 간 간격뿐만 아니라 지층의 지력학적 물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응력그림자 효과의 영향성이 크게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체험형 전시공간의 특성 연구 : 한· 중 현대 미술관 사례 중심으로

        유정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 예술의 대중화는 예술과 사람들의 생활을 융합시켰고 사람들의 생활이 풍요롭도록 하였다. 특히 현대 젊은이들의 생활과 직장 스트레스가 점점 커지면서 미술관을 찾는 사람도 점차 많아졌고, 또한 미술관도 해마다 증가되고 있다. 다양한 미디어가 서로 융합된 디지털 미디어의 등장으로, 미술관의 전시공간에도 융합형태를 갖춘 미디어 공간이 나타났다. 이러한 전시공간은 디지털기술의 발전과 함께, 다양한 미디어를 결합시킨 디지털 미디어를 통해 관람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불러일으켰고 상호 교류의 환경을 마련했다. 체험형 전시공간은 단순한 시각적 관람이 있을 뿐만 아니라, 더욱이 다양한 체험을 할 수 있다. 인류의 주관성을 결합한 후 시각, 촉각, 청각 및 미각을 활용하여 공간을 느끼는 것이다. 그림, 조형물, 디지털 비디오, 사운드 등 다양한 매개체를 통해, 미술관의 공간을 전시하면서 관객들에게 충분한 예술적 체험을 안겨주는 것이다. 체험형 전시의 발전은 사람들이 전시공간을 보고 느끼는 방법에 변화가 발생했다는 것을 뜻하고, 또한 공간에 대한 새로운 레벨의 체험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체험형 전시공간의 특성을 분석하고 디지털 미디어 활용에 따른 체험공간 발전 방향을 파악하여 향후 새롭게 출현할 전시공간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체험형 전시공간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디지털 미디어의 특성과 체험형 전시공간의 특성에서 도출된 요소들을 종합하여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체험형 전시공간의 특성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체크리스트를 바탕으로 한국과 중국 각각 5곳의 사례를 현장조사하였으며 조사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체험형 전시공간의 요소를 분석한 결과 한국의 거의 모든 사례에서 문자, 이미지, TV, 프로젝터, 음향효과,가상환경 등 요소가 나타났다. 그리고 내레이션과 작동형 모형은 적게 나타났고 멀티비전은 모든 사례에서 나타나지 않았다. 중국의 경우는 대부분 사례에서 문자, 그래픽, 사진, TV, 프로젝터, 음향효과 등의 요소가 나타났다. 멀티비전, 내레이션, 가상환경은 적게 나타났으며 작동형 매체는 모든 사례에서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체험형 전시공간의 구성 특징에 대해 공간 구성 방식, 관람 동선, 색채 및 마감재를 구별할 수 있었다. 공간 구성 방식은 두 가지로 나뉘는데 변화 가능한 전시공간과 고정형 전시공간으로 구성하였다. 변화 가능한 전시공간은 전시 게시판과 칸막이를 활용해 내부 공간을 분리시키는 것인데, 이는 기존의 건축 구조를 변화시키지 않고 서로 다른 전시품을 분리하는 것이었다. 고정형 전시공간은 기존 전시공간의 구조가 확정되어, 기존의 전시공간에서 작품을 전시할 수밖에 없는 상황을 가리켰다. 한국의 경우, 대부분 사례에서 고정형 전시공간이 나타났다. 공간과 기존 구조의 제한으로, 기존 구조에 따라 작품을 전시할 수밖에 없고 임의로 바꿀 수 없었다. 이와 달리 중국의 경우, 대부분이 낡은 공장을 개조한 것이어서 공간 규모가 크고 공간 내부에 벽이 없었다. 그 결과, 내부 구조는 전시 게시판 등을 활용하여 콘텐츠의 변화를 전시할 수 있었다. 관람 동선은 한국의 경우, 대부분 사례에서 지정 관람 동선이었으며 관람자는 입구로 들어와 다양한 전시공간을 체험한 후 분리된 출구로 나가도록 계획된 입⋅출구 분리형이었다. 그러나 중국의 경우, 대부분 사례에서 입구와 출구가 동일하게 계획되어 있었다. 색채 및 마감재는 한국의 경우, 대부분 사례는 밝은 색채와 조명을 사용하고 철근, 콘크리트, 유리 등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중국의 경우, 재활용 건축이 상대적으로 많고 기존의 구조와 재질을 사용하여 회색 벽면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셋째,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체험형 전시공간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감각자극성, 상호작용성, 복합성, 네트워크성 4가지 특성으로 구분되었다. 감각자극성은 시각, 청각 등 오감을 자극하는 요소를 통해 사용자의 참여를 유도하고 흥미를 유발하였다. 상호작용성은 디지털 미디어와 사용자 간에 다양한 형태로 상호 교류가 가능하고 사용자 간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상호작용이 가능한 능동적 특성이었다. 복합성은 그림, 이미지, 영상 등과 같은 다양한 디지털 방식으로 컴퓨터를 활용한 커뮤니케이션과 쌍방형 구성의 복합 다중 매체를 나타난다. 네트워크성은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하여 누구나 쉽게 즐기고 경험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개인마다의 생각과 감정을 공유할 수 있으며 새로운 가능성을 제공하고 있다. 넷째, 10곳의 사례를 바탕으로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체험형 전시공간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한국 사례와 중국 사례는 모두 감각자극성 > 상호작용성 > 복합성 > 네트워크성 순으로 나타났다. 중국과 한국사례의 차이가 가장 큰 특성은 감각자극성이었다. 한국사례는 대부분 다양한 색채, 조명, 예술 장치, 영상매체를 활용하여 공간을 새롭게 구성하여 사용자의 감각기관 중 시각, 청각, 촉각적 흥미를 유발하는 디자인적 요소가 나타났으며, 만질 수 있는 터치스크린 및 리모컨 장치 등을 통해 사용자의 참여를 적극적으로 유도하였다. 조명, 색채, 구조 등의 차별화를 통해 비일상적인 체험을 제공하였다.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자의 감각을 자극하여 다양한 감각(감동적, 공포적, 재미있는, 신비로운 등)을 느낄 수 있도록 하였다. 반면 중국사례는 색채, 조명, 미디어 장치 등 시각적 자극요소를 사용하지만 사운드, 터치 장치 등 사용자의 청각 및 촉각을 자극하는 요소가 거의 없었다. 또한 감각자극을 통한 공간의 경험도 나타나지 않았다. 다섯째,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체험형 전시공간의 특성 중 네트워크성은 한국과 중국사례 모두 가장 낮게 나타났다. 대부분 사례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가 작품을 쉽게 설명 및 경험할 수 있게 나타났다. 반면 대부분 사례에서 시간과 공간의 확장이 이루어질 수 있는 요소(핸드폰 앱, QR코드 등), 사용자 개인의 생각과 감정을 공유할 수 있는 공간이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체험형 전시공간의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한국과 중국의 사례를 분석하여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체험형 전시공간의 특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부분의 미술관 전시공간에서 디지털 미디어의 활용에 있어 쌍방향 인터랙티브보다는 단순한 일 방향 인터랙티브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앞으로 미술관의 발전 방향에 있어 공간과 관람자 간의 쌍방향 인터랙션을 강화하는 방안이 더 확대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현대 전시공간은 작품과 기술의 결합을 통해 보다 공간의 형식을 다양하게 함으로써 전시공간 속에서 더욱 다양한 체험을 이끌어낼 수 있을 것이며, 이는 디지털미디어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융합을 통한 새로운 미래 전시공간을 주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군 내 다문화 수용성 실태와 복무적응 인식에 관한 연구

        유정 청주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cceptability of multicultural soldiers and their perception of service adaptations, and to suggest ways to resolve and manage conflicts among multicultural soldiers based on this basi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soldiers currently serving in the military with multicultural soldiers in the Sejong and Cheonan area, and soldiers who are serving in the barracks with so-called, lieutenant officers and multicultural soldiers who command multicultural soldiers in detail. In addition, research methods were conducted on literature on existing long-term soldiers living with multicultural soldiers. In the literature study, we looked at the theoretical background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multicultural families through prior studies. Further in-depth group interviews (FGI) were conducted. Through the interview,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the existing soldiers' perception of multicultural soldiers are derived and the interview results are studied and analyzed to present solutions to problems regarding the acceptance of multicultural soldiers and efficient management of multicultural soldiers. Specifically, the research model was set up as a personal and organizational factor to identify the perception of multiculturalism in the existing Korean military, creating questionnaires consistent with the detailed items, which were distributed in advance and concluded after discus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enior officials were more likely to understand multicultural soldiers in conducting the military service, but the soldiers were directly on duty and served in the barracks, and although they understood multiculturalism, they expressed their difficulties due to frequent conflicts. Second, the officials who are supposed to lead the warriors also have to command multicultural soldiers at a time when they are not educated on multiculturalism. In addition, the soldiers are also on a military barracks with multicultural soldiers, and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military police will be manipulated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ism. The research results suggest that there should be mutual communication exchanges by increasing the time of communication with commanders of existing Korean soldiers and multicultural soldiers, and measures should be implemented to activate communication in case of problems such as a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that can be converged together within the unit, regular counseling for lifeguards in barracks and counseling for fellow soldiers. It is also necessary to invite instructors who are practically related to multicultural soldiers within educational institutions or units to conduct various education and programs before transferring to the military, and to invite multicultural members in the areas where the military is located to improve the military's image and carry out various volunteer activities. The research limit is limited in that the samples did not vary in size, so the entire military could not hear the opinions of the soldiers, and the research was centered on the opinions of the South Korean military without asking questions directly to the multicultural soldiers. Therefore, in-depth interviews with surveyors and professional counselors are needed by varying the size of the samples.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장병의 수용성 실태와 복무적응 인식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다문화 장병의 갈등해소와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세종 · 천안 지역에서 현재 다문화 장병과 함께 군 복무 중인 장병들이며 세부적으로 다문화 장병들을 지휘하는 하사, 중사, 소위, 중위 간부들과 다문화 장병들과 함께 병영생활을 하고 있는 용사들이다. 또한 연구방법은 다문화 장병과 함께 군 복무중인 장병을 대상으로 하는 문헌연구를 실시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다문화 수용성 및 다문화가정의 이해에 필요한 이론과 연구결과를 살펴보았다. 추가적으로 심층 집단면접(FGI)을 진행하였다. 해당 인터뷰를 통해 현 시점에서 다문화 장병에 대한 기존 장병들의 인식 실태와 문제점을 도출하고 인터뷰 결과를 연구 분석하여 다문화 수용에 대한 문제점의 해결 및 다문화 장병의 효율적 운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기존 한국군의 다문화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개인적 요인, 조직적 요인으로 연구모형을 설정해 세부 항목과 부합하는 질문지를 만들어 사전 배부 후 토의를 거쳐 결론을 내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간부들의 경우 지휘를 하는데 있어서 다문화 장병들을 이해하려는 인식도가 높은 편으로 나타났으며, 용사들의 경우는 직접적으로 임무를 함께 하며 병영생활을 해본 결과 다문화를 이해하고 있지만 잦은 갈등으로 인해 어려움을 표출하였다. 둘째, 용사들을 이끌어 나가야할 대부분의 간부 역시 다문화에 관련된 교육을 받지 않은 상황에서 다문화 장병들을 지휘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일반 용사들도 다문화에 대한 이해와 교육이 부족한 상태에서 다문화 장병들과 함께 병영생활을 하고 있어 병영부조리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라는 것이다. 연구결과 시사점은 기존 한국군과 다문화 장병들과의 지휘관 주관 하 소통 공감의 시간을 늘려 상호 의사소통 교류가 있어야 하며, 부대 내에서 함께 융합될 수 있는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주기적인 병영생활상담관의 상담을 늘기고 또래 상담병의 상담활동 강화 등 의사소통을 적극 활성화해야 하며, 전입 전 교육을 체계화 시켜야 한다. 특히 다문화 관련 전문 강사를 초빙하여 다양한 교육 및 프로그램을 시행하여야 하며, 군부대 인근 지역에 있는 다문화 가족들을 초청하여 다양한 봉사 및 친선활동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이번 연구는 00부대를 한정하여 연구하여 표본이 다양하지 못하여 군 전체 장병들의 의견으로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향후 표본의 크기를 다양화 한 설문조사와 전문상담가에 의한 심층면접 등이 필요하다.

      • 韓國과 中國 消費者들의 인터넷 쇼핑몰 패션製品 衝動購買 硏究

        유정 東亞大學校 大學院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한국과 중국 소비자들의 인터넷 쇼핑몰 패션제품 충동구매 연구 E-impulse Buying of Fashion Products for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의상섬유학과 유 정 지 도 교 수 박 은 주 현대사회에서 인터넷쇼핑은 더 이상 새로운 제품 구매방식이 아니며, 인터넷 쇼핑시장은 인터넷 이용의 증가, 판매제품의 다양성 등,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특히, 인터넷 쇼핑몰에서 가장 높은 매출 비중을 차지하는 패션제품은 쇼핑몰의 전문화, 세계적인 브랜드의 인터넷 판매 강화 정책 등으로 치열한 시장경쟁을 벌이고 있다. 인터넷 충동구매는 비교적 쉬운 제품정보의 획득, 구매의 편리성 등으로 빈번하게 일어나며, 온·오프라인 모두에서 일반제품에 비해 패션제품의 충동구매가 많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 연구결과들에 따르면 소비자들은 충동구매에 대해 나쁘지 않게 여기며, 오히려 충동구매 후 만족감을 느끼는 등 충동구매에 대한 긍정적 소비측면이 강조되고 있다. 한편 인터넷 쇼핑에 있어 소비자의 브라우징 경험은 쇼핑몰 이용에 있어 몰입, 즐거움, 재미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이었고, 구매행동, 충동구매, 재구매의도와 같은 소비자행동에 큰 영향을 주었다. 지금까지 인터넷 쇼핑몰에서 패션제품 구매행동에 관한 선행연구들 중 중국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충동구매에 대한 연구가 매우 미흡한 실정이며, 특히 한국과 중국 소비자들의 인터넷 쇼핑몰 패션제품 충동구매를 비교하는 연구는 거의 없는 상태다. 최근 중국은 급속한 경제 성장과 함께 구매력이 향상되면서 거대한 소비시장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인터넷 시장이 급속히 확장되고 있는 상황이므로 이에 대한 연구는 시급하리라 사료된다. 본 연구는 인터넷 쇼핑몰에서 패션제품을 구매할 때 소비자들의 쇼핑가치, 긍정적 감정, 브라우징 및 구매 압박감이 충동구매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한국과 중국 소비자들 간의 차이를 규명하여, 성공적인 패션 쇼핑몰 운영을 위한 마케팅활동의 방향제시와 한국과 중국 인터넷 충동구매관련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구모형을 구성하였고,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2012년 8월 15일부터 4주 동안에 한국의 부산과 중국의 청도에서 985명의 여자대학생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하여 SPSS 18.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다중응답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검증, 상관관계 분석 그리고 AMOS 18.0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및 다모집단의 동시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분석결과를 토대로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터넷 쇼핑몰에서 패션제품 구매 시 충동구매와 관련된 변수들의 개념적 구조를 살펴본 결과, 인터넷 쇼핑몰에서 패션제품을 구매할 때 한국과 중국 소비자들의 쇼핑가치는 쾌락적 쇼핑가치와 실용적 쇼핑가치의 두 가지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긍정적 감정, 브라우징, 구매 압박감 및 충동구매는 단일요인으로 밝혀졌다. 둘째, 한국과 중국 소비자들 모두 패션제품을 구매할 때 인터넷 쇼핑몰에서 쇼핑가치, 긍정적 감정, 브라우징, 구매 압박감 및 충동구매의 인과관계를 살펴보았다. 인터넷 쇼핑몰에서 쾌락적 쇼핑가치, 실용적 쇼핑가치 같은 쇼핑가치가 높을수록 긍정적 감정을 많이 느꼈고, 긍정적 감정은 많이 느낄수록 혹은 구매 압박감을 많이 느끼면서 충동구매를 유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쾌락적 쇼핑가치 혹은 실용적 쇼핑가치가 높을수록 소비자들은 브라우징을 많이 하였고, 브라우징을 많이 할수록 구매 압박감을 많이 느껴 충동구매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중 구매 압박감은 인터넷 충동구매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확인되었다. 셋째, 인터넷 쇼핑몰에서 한국과 중국 소비자들의 인터넷 패션제품은 충동구매의 인과관계에 대하여 국가 간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한국 소비자들은 긍정적 감정이 구매 압박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중국 소비자들의 경우 한국 소비자들과는 달리 쾌락적 쇼핑가치가 높을수록 브라우징을 덜 하였고, 실용적 쇼핑가치가 브라우징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브라우징을 많이 할수록 충동구매를 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과 중국 소비자 간 경로계수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한국 소비자들이 중국 소비자들보다 쾌락적 쇼핑가치와 실용적 쇼핑가치가 높을수록 브라우징을 더 많이 하였고, 브라우징을 많이 할수록 충동구매를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 소비자들보다 중국 소비자들이 쾌락적 쇼핑가치가 높을수록 긍정적 감정을 더 많이 느꼈으며 긍정적 감정을 많이 느낄수록 브라우징과 충동구매를 더 많이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쇼핑몰에서 패션제품을 구매할 때 쇼핑가치에 따른 브라우징, 긍정적 감정 및 구매 압박감이 충동구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모형을 제시하였으며 이 연구모형에 대하여 한국과 중국 소비자들의 국가 간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인터넷 쇼핑몰 운영자들은 다양한 마케팅 전략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패션제품의 충동구매행동 연구를 국가 간 차이로 확장한 점에서 학문적 의의가 있다. 주요어: 한국과 중국 소비자, 패션제품, 쇼핑가치, 긍정적 감정, 브라우징, 구매 압박감, e-충동구매

      • 외환파생상품, 외화표시부채의 사용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 중국 자동차 부품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유정 忠南大學校 大學院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implementation of the floating exchange rate system and the promotion of the “One Belt, One Road” development strategy have led to an increase in the volatility and frequency of the RMB exchange rate, which has caused the RMB exchange rate risk to anstantly increase. Foreign exchange risk hedging plays an important role in reducing foreign exchange risk of Automobile manufacturing industry, promoting trade development of Automobile manufacturing industry, and improving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Automobile manufacturing industry. Foreign exchange derivatives and foreign currency debt are important tools for Chinese Automobile manufacturing industries hedge foreign exchange risks. In view of the fact that current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conclusions are different on the impact of foreign exchange derivatives and foreign currency debt use on corporate value, and that few studies have been don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Therefore, it is of great practical significance and theoretical value to study the impact of the use of foreign exchange derivatives and foreign currency debt on enterprise value. Based on the related theories of foreign exchange risk hedging and corporate value, this paper has firstly analyzed the current situation of foreign exchange derivatives and foreign currency debt use of Automobile manufacturing industry in China; then it has constructed three sets of multiple regression models for the influence of foreign exchange derivatives and foreign currency debt use on corporate value of Chinese Automobile manufacturing industry, finally, there is a empirical analysis of the value effect of foreign exchange derivatives and foreign currency debt use on corporate value,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foreign exchange derivatives and foreign currency debt in hedging foreign exchange risk. The main research contents are as follows: (1)On the basis of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background, further clarif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larify the content and methods of this study in order to plan the technical route of this paper, and find out the possible innovations of this paper; (2)On the basis of explaining the relevant theories of foreign exchange derivatives and foreign currency debt, clarify the relevant research on the impact of foreign exchange derivatives and foreign currency debt on enterprise value; (3)Combining with the current situation of foreign exchange derivatives and foreign currency debt market, and the relevant data of Automobile manufacturing industry using foreign exchange derivatives and foreign currency debt, this paper makes a concrete analysis of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use of foreign exchange derivatives and foreign currency debt of Automobile manufacturing industry; (4)six research hypotheses are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existing relevant research and research needs. According to the need of research hypothesis, the relevant variables of sample company and model are selected and the corresponding demonstration model is constructed; (5)Using software Stata15 to empirically analyze the impact of 84 sample listed multinational foreign exchange derivatives and foreign currency debt use on corporate value. The robustness test of the empirical model is carried out by replacing the relevant variables; (6)summarize the above research and propose corresponding countermeasures. Through the above research,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drawn:(1)the use of foreign exchange derivatives and foreign currency debt can reduce the risk of foreign exchange, bring value premium to the enterprise, and the effect of using both to hedge foreign exchange risk is better, and the premium brought to enterprises is higher; (2)for manufacturing multinational companies with high foreign exchange risk exposure, the use of foreign exchange derivatives and foreign currency debt to hedge foreign exchange risk has a higher value effect. This paper suggests that Automobile manufacturing industry should hedge foreign exchange risk by using foreign exchange derivatives, foreign currency debt and other financial products according to their own characteristics of foreign exchange risk. 중국은 변동관리환율제 도입으로 일대일로 발전전략이 추진되면서 위안화 환율 변동 폭이 커지고 빈도가 높아져 위안화 환율 리스크가 커지고 있다. 환위험 헤징은 자동차 부품제조기업의 외환 리스크를 낮추고, 자동차 부품제조기업의 무역 발전을 촉진하며, 자동차 부품제조기업의 국제 경쟁력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외환파생상품, 외화표시부채는 중국 자동차 부품제조기업이 환위험을 상쇄하는 중요한 금융도구다. 현재 국내외에서 외환파생상품, 외화표시의 사용에 따른 기업가치 영향에 관한 연구결론이 차이가 있고 외환파생상품, 외화표시부채의 사용가치 효과 및 양자 간의 관계에 대한 중국 및 한국 연구가 적다는 점을 감안하여 외환파생상품, 외화표시부채의 사용에 따른 기업가치 연구의 중요한 현실적 의의와 이론적 가치를 가진다. 본 글은 외환 리스크 헤지 및 기업 가치 등에 관한 이론에 기초하여 중국 자동차제조기업의 외환파생상품, 외화표시부채의 사용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중국 자동차제조기업의 외환파생상품, 외화표시부채의 사용이 기업 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세 가지 다원적 회귀 모델을 구축하여 외환파생상품, 외화표시부채의 사용의 가치 효과 및 외환파생상품, 외화표시부채의 환헤지 위험 중 두 도구 간의 관계를 실증 분석하였다. 그 주요 연구 내용은 아래와 같다. (1) 연구배경 분석에 기초하여 본문의 연구의 의미를 더하여, 본문의 연구내용과 방법을 명확히 함으로써 본문의 연구계획을 세워 본문의 가능한 혁신점을 찾아내고, (2) 환헤지 및 기업가치 등에 관한 이론을 기술한 기초 위에 외환파생상품, 외화표시부채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내용을 연구하고, (3) 외환파생상품, 외화표시부채 시장의 발전현황 및 자동차 부품제조기업의 외환파생상품 사용에 관한 구체적인 분석, 또한 연구 가설에 따른 기업표본과 연구모형의 관련변수 선정, 그에 따른 논증모델 구축하고, (5) Stata15를 운용하여 실증분석 84개 2005~2018년 사이에 자동차 부품제조기업이 외환파생상품, 외화표시부채의 사용이 기업 가치에 미치는 영향 분석하고 관련 변수를 대체변수로 바꾸어서 실증모형의 강건성 검증하고, (6) 상기 연구의 종합 및 대책제안을 권고한다. 이를 통해 외환파생상품, 외화표시부채의 사용은 환위험을 낮추고, 기업에는 긍정적인 가치효과을 가져다 주며, 기업에는 헤지 리스크를 함께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고, 기업에는 더 높은 가치프리미엄이 있으며, (2) 환위험의 개방이 높은 자도차 제조기업에는 외환파생상품을 사용하고 외화표시부채에는 환위험을 상쇄하는 데 따른 가치효과가 더 높다는 결론을 내렸다. 결론부터 말하면, 자동차 부품제조기업들은 자신의 외환 리스크 특성에 따라 외환파생상품, 외화표시부채 등 다양한 금융상품을 함께 사용하여 환위험을 상쇄해야 한다고 권고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