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내 모바일 오픈마켓의 사용편의성 연구 :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중심으로
스마트폰 이용자의 증가와 인터넷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소비자의 쇼핑행태가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쇼핑을 하는 추세로 변화하고 있다. 모바일 쇼핑은 소비자가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스마트폰만 소지하고 있다면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입할 수 있으며 다양한 혜택까지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모바일 쇼핑의 장점으로 인해 모바일 쇼핑을 이용하는 소비자가 늘어나면서 많은 쇼핑 업체들이 모바일 쇼핑 시장에 진출하며 모바일 쇼핑 시장 규모는 급격하게 성장하게 되었다. 쇼핑업태 중 오픈마켓은 모바일 환경의 서비스 제공을 먼저 제공하기 시작했던 소셜커머스에 비해 업체의 수와 업체별 인터페이스의 요소 차이가 많기 때문에 소비자가 사용하는 데 있어 어려움과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오픈마켓 4곳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각 UI 요소의 문제점과 고려사항을 알아보고, 연구 대상 간의 요소별 사용성을 비교분석하여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먼저 FGD를 통해 모바일 오픈마켓에 적합한 사용성 원칙 및 평가 항목, UI 구성요소를 정의하였다. 그리고 1차 설문조사를 통해 모바일 오픈마켓을 사용함에 있어 고려사항과 문제점에 대해 알아보았다. 1차 설문조사와 FGD 결과를 토대로 사후설문문항을 작성한 후, 20-30대를 대상으로 실험 및 심층 인터뷰를 통해 어떤 요소가 사용성에 영향을 미쳤는지 파악하고 모델별 요소의 사용성을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상품 검색 과정에서 상세 페이지의 경우 모바일의 작은 화면 특성으로 인해 상품 정보를 상세 화면에서 확인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상세화면으로의 안내에 대한 아이콘 명시를 정확히 하도록 개선해야 하며, 상품의 가격 정보는 폰트의 색을 고려하여 가시성을 높여 사용자가 가격을 인지하기 쉽도록 해야 한다. 쿠폰, 혜택 등에 대한 할인 정보는 보다 상세한 내용을 제공해야 하며, Q&A의 메뉴는 상품의 상세 페이지 화면에서 바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높여야 한다. 구매 및 결제 과정에서 상품 옵션 선택 시 사용하는 옵션바에 ‘장바구니’와 ‘관심 상품’ 메뉴를 함께 고정시키는 것에 고려해볼 필요가 있으며, 배송지 형태를 선택할 때 현재 보여 지는 화면에서 바로 선택 할 수 있도록 탭 메뉴 형식으로 제공해야 한다. 상품 정보 확인 시 중요한 정보에 대한 내용은 폰트의 종류와 색을 고려하여 가시성을 높여야 하며, 결제 수단 선택 시 업체에서 제공하는 결제 수단의 종류가 많고 새롭게 생겨난 결제 수단이 있으므로 각 결제 수단에 대한 충분한 설명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이해성을 높여 사용을 편리하게 해야 한다. 본 연구는 모바일 오픈마켓의 모델별 UI 요소의 사용성을 조사 및 실험을 통해 비교 평가 함으로써 사용하기 더 편리한 모바일 오픈마켓 UI 디자인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는 것에 의의가 있다. 향 후 모바일 오픈마켓 UI 디자인 시 본 연구의 결과를 참고하여 디자인을 하면 사용성이 보다 더 향상된 디자인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유서연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Culture is called different names like histories, religions, national flags, national characters, literatures, ideologies and so on. They are contained within the culture category and called culture instead of the names. Like this, the concept and category of culture is ambiguous, but also comprehensive. In modern society, culture got a new name called pop culture which includes character, animation, game, movie, comic book, musical, and so forth, in addition it even have popularity. Moreover, it doesn’t stay in the county or group and it spreads to unspecified individuals and influences their ideas or thoughts. There is a cultural industry in the process and this create added value, so it has high value as a way of economic profit and revenue source of the group. Among them, the characters have wide consumers and customers all over the people’s daily life. The usefulness of characters in many areas such as stationary, brand identity and daily supply has led to the creation of various business strategies that use character. These business strategies are called ‘One Source Multi Use’ and is becoming a cultural business that is highly influential in earning profit not only to business but also to governments. Therefore, this paper paid attention to the character’s utilization and value. This study focused particularly on the fact that character is being used as a useful measure in culture meaning, cultural symbols and culture diffusion. This study aimed to prove a topic that is “Every country has an icon that represents them. In the 20th century, their own cartoon contents started to occur in each country with advances in cartoons. The USA has <Superman>, Japan has <Astro Boy> and France has <Asterix>” and propose to develop ‘the Korean character’ with deduced similarities from above characters. In other words, this article would like to draw common attributes by analyzing the characters of <Superman>, <Astro Boy> and <Asterix> and suggest developing a culture character which represents Korea by applying the common attributes to original Korean character. The process and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is paper examined character's significance as culture contents, cultural industry, OSMU in theoretical background. The character start with an original media and the originals exist in various media contents like cartoons, animations, movies, games and so on. The three countries’ characters which were studied as native cultural symbols showed that they started from the original comic series and spun off as animations, movies and others. This article also pointed out that the cartoon and animation have unrealistic feature and the converted movie from comic book is recreated with realism into expression of unreality. Second, this study set an analytic frame to analyze the cultural expressive elements of the American <Superman>, the Japanese <Astro Boy> and the French <Asterix>. And this paper tried to take an in-depth approach to the analysis target based on description of the character’s birth background and analysis of narrative structure. The analytic frame drawn from above procedure proceeded through three stages of ‘Narrative Structure Analysis’, ‘Character Analysis’, ‘Utilization of OSMU and Influence Analysis’. Third,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ree country characters showed that they all expressed and involved their own culture with narration and visibility. The most noticeable things were the reflection of their history, ideology, patriotism and ethnicity, also ultimately the exposure of their own superiority based on otherness. In addition, they simplified the aspect of delivering and receiving culture by planting the intentions in the character and narrative structure. The characters by joining comics, animations and movies represented a culture by organizing the narration and visibility. On the other side of that, it has some hidden intentions to reveal their own superiority like cultural imperialism and dominant ideology. The lists are ‘myth, hero, villain, costume, physical character, supernatural power, time period, social aspect, history, ideology, patriotism, ethnicity, unreality, realism and otherness. Overall, the characters as a visual culture can be interpreted as a culture only when accompanied by the original story. Namely, implicit cultural meanings in the character will dissipate or rarify, once the character is separated from the story since a character and a narrative is in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So, the characters of fancy goods such as Hello Kitty tend to be acceptable over the assumed stateless tendency without wariness. But it’s important to do not carry any meanings of national culture as it takes on stateless tendency. On the other hand, the analysis subject of this paper, the three countries’ character that represents national culture, is spread by the story. Thus they can be explored in culture, including ethnicity, time period, social aspect, popular sentiment, history, ideology and their intention. Character surfaced expressions about culture more than narration, thus showing feature that allows it to be easily perceived by recipients. While the narration is not externalized, it was internalized and implied means and contents. In conclusion, a story and character is in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and a character without a story has lesser value as a cultural symbolic meaning. Lastly, the analysis results by cultural symbolic characters of three countries are applied to the narrative aspect of existing Korean Character. Because the story is a foundation of a character and the character works to expose the purpose or content of foundational story by implication. Thus, the narrative structure was checked whether it meet the common attributes of analysis for characters of three countries, after analyzing the narrative structure that shows Korean culture and idea by the categories of cultural elements such as time period, social aspect, history, ideology and others. So, the results of the narrative construct about five characters on ‘Dangun’, ‘Yi Sun-shin’, ‘Jeon Woo-chi’, ‘Ahn Jung-geun’, ‘Guardians of the Power Mask (Gaksi Tal)’ were showing to coincident with the common attributes of analysis for characters of three countries. Therefore, the survey asked about the proven five characters that carries cultural meanings. The survey was done in order to develop ‘the cultural symbol character’ and asked people to choose a character that has possibility based on awareness. This paper extracted five characters which reflect heroic life story, analyzed narrative to grasp the possibility and considered Korean culture's reflection and the possibility of success as a internal and external character to conclude the paper by suggesting the most freely expressible fake character, ‘Jeon Woo-Chi’’s visual expression element. Thus in creating Korean character, this paper focused on cultural symbolism, suggesting a character that can break away from the existing purpose for education and kids, and spread abroad embracing all ages and sexes. By suggesting visual expression based on story, ‘Jeon Woo-Chi’ is judged as a character with sufficient possibility of development. Furthermore, this study hopes that Korean character escape the stateless tendency from the past, and become a character that is loved constantly like ‘Superman’, ‘Astro Boy’ and ‘Asterix & Obelix’. 문화는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운다. 역사, 종교, 국기, 국민성, 문학, 이데올로기 등 이들은 모두 문화의 범주에 포함되거나 문화로 대신 이야기하기도 한다. 이처럼 문화라는 개념과 범주는 모호하지만 또 포괄적이라고도 할 수 있다. 현대에는 대중문화라는 이름으로 캐릭터, 애니메이션, 게임, 영화, 만화, 뮤지컬 등으로 다양하게 문화가 표출되며 대중성이라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뿐만 아니라, 자국이나 집단 내에서만 머무르지 않고 불특정 다수에게 전파되며 그들의 관념과 사고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그 과정에는 문화산업이 자리잡고 있으며 이를 통해 부가가치를 창출함으로써 경제적 이윤의 수단이자 국가 및 집단의 수익원으로서도 가치가 높다. 그 중에서도 캐릭터는 일상생활의 다양한 곳에 침투하여 폭 넓은 소비자와 수용층을 지니고 있다. 팬시, 생활용품, 브랜드 아이덴티티 등 그 활용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캐릭터를 통한 다양한 비즈니스 전략이 탄생되기에 이르렀고 이를 원소스멀티유스라 부르며 기업뿐만 아니라 국가의 이윤 창출에 큰 영향을 끼치는 중요한 문화산업으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캐릭터의 활용도 및 가치에 주목하였다. 특히, 캐릭터가 문화를 함의하고 상징하며 전파하는 데에 유용한 수단이 되고 있음에 초점을 맞추었고 “모든 나라에는 자국을 상징하는 문화적 아이콘이 있다. 20 세기에 이르러 만화가 발전하자 각 나라에는 저마다 고유의 만화 콘텐츠가 생겨나기 시작했다. 미국에 슈퍼맨이 있다면 일본에는 아톰, 프랑스에는 아스테릭스가 있다”는 논제를 증명함과 동시에 이들 캐릭터 분석으로 도출된 공통점을 중심으로 ‘한국 캐릭터’ 개발을 제안하는 것으로 연구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이에 대한 본고의 진행과정과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론적 배경에 있어 문화 콘텐츠의 개념과 함께 문화산업, 원소스멀티유스로서의 캐릭터의 의의를 살펴보았다. 캐릭터는 원작이라는 어떤 매체를 통해 출발하고 그 원작에는 만화, 애니메이션, 영화, 게임 등 다양한 미디어 매체가 존재한다. 자국 문화를 상징하는 캐릭터로서 분석대상이 되었던 삼국의 캐릭터는 모두 출판만화를 원작으로 탄생되었고 애니메이션과 영화 등으로 파생되는 모습을 보였다. 따라서 만화와 애니메이션은 허구성을 특징으로, 만화로부터 전환된 매체로서의 영화는 허구적인 표현을 리얼리즘으로 재탄생시키는 점도 지적한 바있다. 둘째, 미국의 <슈퍼맨>, 일본의 <철완아톰>, 프랑스의 <아스테릭스>의 문화 표현의 요소를 분석하기 위해 서사구조 기반의 연구방법을 마련하였다. 캐릭터 탄생의 배경을 서술하고 캐릭터의 서사구조를 분석하여 이를 기반으로 본고의 분석대상의 문화적 측면에 대해 심도있게 접근하고자 하였다. 이렇게 도출된 분석방법은 ‘서사구조 분석’, ‘캐릭터 분석’, ‘OSMU 활용 및 영향력 분석’으로 총 세 가지의 과정을 거쳐 진행되었다. 셋째, 분석결과, 이들은 모두 자국의 문화를 함의 및 표출하고 있었다. 삼국의 캐릭터는 서사와 함께 전파됨으로써 문화를 비롯한 민족성, 사회상, 시대상, 정서, 역사, 이데올로기 및 의도 등이 내재하고 있었고 캐릭터는 문화에 대한 표현을 서사에 비해 표면화시켜 드러냄으로써 수용자에게 쉽게 인지될 수 있도록 하는 성격을 보여주고 있었다. 반면, 서사는 쉽게 인식되지 않는 대신 보다 많은 의미와 내용을 내면화 및 함축하고 있었다. 따라서 서사와 캐릭터는 상호보완의 관계에 있으며 스토리가 없는 캐릭터는 문화의 의미 혹은 가치가 떨어진다고 할 수 있다. 넷째, 삼국 캐릭터의 분석을 통해 얻게 된 결과를 기반으로 기존 한국 캐릭터의 서사구조에 적용해 보았다. 영웅적 일대기를 반영하는 다섯 가지의 캐릭터를 추출하여 그 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해 서사분석과 설문조사를 진행했으며 한국 문화의 반영, 국내 및 해외 캐릭터로서의 성공 가능성을 고려하여 그 중 가장 자유로운 표현이 허용되는 허구적인 캐릭터, 전우치의 시각적 표현 요소를 제안하는 것으로 본고의 결론을 도출하였다. 이 같은 과정을 통해 국내 캐릭터의 개발에 있어 문화적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기존의 아동대상, 교육목적의 캐릭터에서 벗어나 남녀노소를 아우르며 국내를 넘어 해외로도 전파될 수 있는 캐릭터를 제안하였다. 스토리를 기반으로 시각표현을 제안함으로써 전우치 캐릭터는 충분히 발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었다. 나아가 한국 캐릭터의 두드러진 특징인 무국적성에서 탈피하여 문화를 함의한다면 슈퍼맨, 아톰, 아스테릭스와 같이 지속적이고 꾸준히 사랑받는 캐릭터가 국내에서도 등장하길 기대해 본다.
보육교사의 인성, 교수효능감, 심리적 소진과 아동학대 잠재성 간의 경로분석
유서연 성남: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2021 국내석사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인성, 교수효능감, 심리적 소진이 아동학대 잠재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인성이 아동학대 잠재성에 미치는 직·간접 경로를 조사하기 위해 경로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교수효능감과 심리적 소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보육교사의 아동학대 잠재성에 미치는 요인에 대한 논의함으로 아동학대 잠재성을 낮추기 위한 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보육교사의 인성과 교수효능감, 심리적 소진이 아동학대 잠재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보육교사 인성이 아동학대 잠재성에 미치는 직·간접 경로와 교수효능감과 심리적 소진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서울 및 경기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보육시설 80여 곳에서 근무 중인 보육교사 44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회수된 설문지 383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22와 M-plus7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주요 변인의 기술통계량을 파악하기 위해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연구도구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Cronbach's a 계수를 산출하였다. 변인 간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변인 간 다중공선성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분산확대지수 값(VIF: Variance Inflation Factor)을 살펴보았고, 매개효과검증을 위해 Shrout와 Bolger(2002)가 제시한 Bootstraping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인성과 교수효능감, 심리적 소진이 아동학대 잠재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인성은 아동학대 잠재성의 불행감과 경직성 하위요인에서만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보육교사의 인성이 높을수록 아동학대 잠재성의 하위요인인 삶에 대한 불행감과 경직성 수준이 낮아져서 아동학대를 할 가능성을 낮추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교수효능감은 아동학대 잠재성의 하위요인 중 타인과의 관계를 제외한 모든 요인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심리적 소진은 아동학대 잠재성의 모든 하위요인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인성이 교수효능감을 통해서 아동학대 잠재성에 미치는 매개경로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보육교사의 인성이 높으면 교수에 대한 효능감이 높아지고 이는 아동학대를 할 잠재성을 낮추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보육교사의 인성이 심리적 소진을 통해서 아동학대 잠재성에 미치는 매개경로 또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는 보육교사의 인성이 심리적 소진을 감소시키고 아동학대 잠재성을 낮추는 결과이다. 마지막으로, 보육교사의 인성이 교수효능감과 심리적 소진을 통해서 아동학대 잠재성으로 가는 이중매개효과 또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보육교사의 인성이 높으면 교수활동에서의 신념과 자신감으로 설명되는 교수효능감이 높아지고, 이는 보육활동에서의 어려움과 스트레스로 인한 심리적 소진을 낮추어 궁극적으로 아동학대 잠재성을 낮추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인성과 교수효능감, 심리적 소진이 아동학대 잠재성에 미치는 영향을 밝혔고, 보육교사 인성과 아동학대 잠재성 간의 관계에서 교수효능감과 심리적 소진의 매개효과를 살펴봄으로 아동학대 잠재성을 예방하기 위해 보육교사의 인성, 교수효능감, 심리적 소진이 중요한 요인임을 규명한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갖는다.
미용 산업 종사자의 직무특성과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Since the beauty industry is a purely based on human service and the industry that is labor-intensive and selling intangible services, the key point of the service interface is human resources who interact with customers to provide satisfactory service. Despite their professional jobs, however, the beauty industry workers often fail to fulfill their individual capabilities due to poor working conditions and inadequate treat from the works. Currently, the number of human resources generated by beauty work-related educational institutions in Korea is on the rise, but the lack of human resources in the beauty industry continues to have a strong influence on the job satisfaction level and on the job satisfaction characteristics of the overall beauty care industry. In this study, the working characteristics of service provider tasks and self-esteem in the overall beauty care industry are analyzed and identified, and the impact of these characteristics on future performance of beauty care providers on job satisfaction is identified by a detailed study. The study participants distributed questionnaires to the people in the beauty care industry and used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o utilize 251 collected materials. The questionnaires are consisted of 6 general characteristics, 12 job attributes, 4 job choices and holding characteristics, and 18 job satisfaction levels, and the result of the reliability on the job, Cronbach -, is highly rated as .937. The survey is complied by SPSS ver 21.0 and has 95% of trusted job satisfaction assess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factors influencing the monthly income are age, academic background, duration of work, and status of majors and the working places are affected by gender, age, monthly average income, and majors. The factors that affects on majors, academic education and age to start in the beauty industry are gender, average monthly income, academic background, marital status, and the major amount of certificate held in the beauty industry is in hair salon industry as hair dressers and 1 million won is considered as an appropriate monthly income to start with. Factors influencing job satisfaction are age, working period, position, work type, monthly average income, major degree of specialty quality, and job choice.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important to have a professional and organized department to provide better laws and systems, so it would have great and better affection on the individual life in the industry and it would be effective on the national competition in the world.
맞춤형화장품 소비자의 가치인식이 추구혜택 및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서연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2019 국내석사
ABSTRACT Influence of Value Perception of Customized Cosmetics Consumer on Benefit Sought and Purchasing Behavior Yoo, Seo Yeon Department of Cosmetology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 Konkuk University Cosmetics companies located in the front-end of the supply chain have evolved from the ready-made consumer goods market and entered into a customized market. Before full-scale legislation is implemen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consumption value perceived from customized cosmetics on benefit sought and purchasing behavior, to eliminate the conflicting factors that may arise between companies and consumers in understanding customized cosmetics, and to provide strategic basic data for actively fostering the customized cosmetics market. A survey was conducted for 332 people after a preliminary survey, and the results of this survey were analyzed. The questionnaire contained a total of 30 questions, with 8 questions on consumption value, 19 questions on benefit sought, and 3 questions on purchasing behavior. A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to apply technical analysis,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verifying hypothesis. The practical consumption value of customized cosmetics did not have a positive effect on brand popularity, trend-chasing, and scarcity-chasing among benefits sought, while showing a positive effect on the pursuit of appearance enhancement and product performance. The hedonic consumption value of customized cosmetics did not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pursuit of brand functionality among benefits sought, while indicating a positive effect on brand popularity, trend-chasing, the pursuit of appearance enhancement, and scarcity-chasing. The desired benefits of customized cosmetics did not have a positive effect on trend-chasing, while it did have a positive purchasing behavioral effect on brand popularity, the pursuit of appearance enhancement, functionality improvement, and scarcity-chasing. Because customized cosmetics target infinite number of consumers in terms of preferences, it is important to restrict the options of personalized products and the products should be offered at the high standards of consumers. Otherwise, customized products would fail to meet the expectations by the majority of consumers, and thus, the consumers would return to the standardized product marke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is study has provided sufficient basic data for predicting and establishing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patterns of general consumers by cosmetics companies, government and academic institutions before legislation. This study is also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an opportunity for comparative study on value perception between past consumers and future consumers regarding the change in purchase satisfaction after the legislation. We expect that the era of customized cosmetics will become mature and have a strong influence on the cosmetics industry as well as national competitiveness. 국문초록 맞춤형화장품 소비자의 가치인식이 추구혜택 및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에서는 공급사슬의 앞 단계에 위치한 화장품 기업이 규격화된(ready-made) 소비재 시장에서 진화하여 맞춤형화장품(customized) 시장으로 진입함에 있어 본격적인 법제화가 시행되기 이전에 맞춤형화장품에 지각된 소비가치가 추구혜택과 구매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 기업과 소비자간 맞춤형화장품을 이해하는데 발생할 수 있는 갈등 요인을 제거하며, 맞춤형화장품 시장의 적극적인 육성을 위해 전략적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예비조사 이후 332명을 대상으로 본 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설문지는 소비가치에 관한 8문항, 추구혜택에 관한 19문항, 구매행동에 관한 3문항까지 총 30문항으로 이루어졌으며,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분석 및 주성분 분석, 요인분석 및 상관관계 분석, 가설검증을 위한 다중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맞춤형화장품의 실용적 소비가치가 추구혜택 중 브랜드 유명도와 유행성 추구, 희소성 추구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외모 향상 추구, 제품성능 추구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맞춤형화장품의 쾌락적 소비가치가 추구혜택 중 제품성능 추구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브랜드 유명도, 유행성 추구, 외모 향상 추구, 희소성 추구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맞춤형화장품의 추구혜택 중 유행성 추구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브랜드 유명도, 외모향상 추구, 제품성능 추구와 희소성 추구는 구매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맞춤형화장품은 그 경우의 수가 무진하므로 개인화를 반영한 선택의 폭을 설정하고 소비자의 눈높이에 맞추어 철저히 준비하지 않으면 기대했던 다수의 소비자들이 실망하여 결국 표준화된 소비재 시장으로 복귀할 수 있음을 유념해야 할 것이다. 이 연구는 법제화 이전에 화장품 기업과 정부, 학술기관이 일반 소비자의 심리와 행동을 예측하고, 정립하는데 있어 충분한 기초 자료를 제공했다는 점과 법제화 이후에는 맞춤형화장품의 구매 만족도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과거 소비자와 미래 소비자의 가치인식에 대한 비교 연구가 가능하도록 계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향후 맞춤형화장품 시대가 성숙기로 안착하여 화장품 산업과 국가 경쟁력을 이끄는 든든한 견인차 역할이 될 것임을 기대해 본다.
L. v. Beethoven Piano Sonata Op. 2 No. 2, F. Chopin Ballade Op. 47 in A♭ Major에 관한 연구
Ludwig van Beethoven (1770-1827) Piano Sonata Op. 2 No. 2는 1795년에 완성된 초기 소나타로 Beethoven은 이 곡에 처음으로 scherzo를 사용하는 시도를 하였다. 제 1악장은 sonata allegro form, 2악장은 rondo form, 3악장은 scherzo, 4악장은 sonata rondo form이며 4악장으로 구성되어있다. Fryderyk Franciszek Chopin (1810-1849) Ballade Op. 47 in A♭ Major는 1841년에 작곡되었다. 이 곡은 낭만주의적인 특성과 Chopin의 음악적인 성격이 잘 나타나 있는 곡이다. Ballade Op. 47 in A♭ Major는 전형적인 sonata allegro form을 바탕에 두고 있지만, 제시부가 상대적으로 길게 작곡되어 불균형을 이루고 있는 자유로운 sonata form으로 이루어져 있다.
Subcritical water extraction of flavonols myricetin, quercetin, and kaempferol from plants
유서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플라보노이드는 식물의 꽃, 잎, 뿌리, 열매 등에서 유래되는 불용성 물질로서 강력한 항산화 및 항균효과를 나타내는 물질이다. 본 연구에서는 플라보노이드와 같은 비극성 물질 추출에 있어 친환경적이며 자동화된 추출기술로 각광 받고 있는 아임계수 추출 방법을 이용하여 플라보놀 (flavonol)의 –OH기 (hydroxyl group) 개수의 차이에 따른 추출 조건을 확립하고, 아임계수 추출과 유기용매 추출 효율을 비교 분석하였다. 홍차, 샐러리, 인삼 잎으로부터 flavonol myricetin, quercetin, 그리고 kaempferol을 추출하였다. 아임계수 추출을 위하여 추출용매로 순수한 물을 이용하였으며 추출 온도 (110-200℃) 및 시간 (5-15분)의 변화를 주었다. 시료 1 g과 규조토 3 g을 혼합한 후 아임계수 추출장치 (DIONEX, Accelerated Solvent Extractor, ASE350)를 이용하여 추출하였고, HPL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Myricetin은 170℃/15분에 (686.38±60.1 mg/kg celery), quercetin 역시 170℃/15분에 (1179.42±206 mg/kg black tea), kaempferol은 200℃/15분에 (2770.6±71.9 mg/kg black tea) 가장 많은 플라보놀이 추출되었다. 이는 에탄올, 메탄올 그리고 열수 추출과 비교할 경우 훨씬 높은 효율을 나타내며, 기존 유기용매 추출의 대체기술로서 아임계수 추출법의 우수성을 보여준 결과라 할 수 있다. 또한 아임계수 추출법은 물의 온도 및 시간을 변화함으로써 식물로부터 화학적 구조가 다른 flavonol을 선택적으로 추출하는데 있어 매우 적합한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더 나아가 다양한 플라보노이드의 화학적 구조와 추출 최적화를 통해 식물 유래 생리활성 물질의 신속하고 안전한 선택적 추출에 대한 활용 가능성이 기대되는 바이다. Plants contain numerous bioactivity compounds, of which especially flavonoids are known for their biological functionalities such as prevention of diseas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ne kind of flavonoids, flavonols, are present in a wide variety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re compounds that include hydroxyl (–OH) groups at the 3-position of flavon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any change in extraction behavior according to the number of hydroxyl groups in flavonols. Therefore, myricetin, quercetin, and kaempferol—which may only be differentiated as flavonols using the number of hydroxyl groups—were subjected to the experiment. Also, this study compared the efficiencies of using subcritical water, hot water, and organic solvents to extract flavonols from black tea, celery, and ginseng leaf. Subcritical water extraction (SWE) was conducted using an accelerated solvent extractor, and the effect of key operating conditions was determined by varying the temperature (110–200°C), extraction time (5–15 min), and pressure (90–110 atm). The extracts were analyzed quantitatively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The yields of myricetin, quercetin, and kaempferol from plants were maximal at extraction temperatures of 170°C, 170°C and 200°C, respectively, and they seemed to be dependent on the number of hydroxyl groups included in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flavonols, with more of those with fewer hydroxyl groups attached being extracted at higher temperatures.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the yields of quercetin by SWE were two- to four-, two- to five-, and two- to twenty seven-fold higher than those obtained using the ethanol, methanol, and water-at-boiling-point extraction methods, respectively. This study shows that water at the subcritical state can be used as an efficient solvent for extracting flavonol such as myricetin, quercetin, and kaempferol from plants. SWE is not only effective and ecofriendly, but is also a highly selective and rapid method for extracting flavonol from pla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