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문화콘텐츠로서 스토리 기반의 슈퍼히어로 캐릭터 연구

        유서연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Culture is called different names like histories, religions, national flags, national characters, literatures, ideologies and so on. They are contained within the culture category and called culture instead of the names. Like this, the concept and category of culture is ambiguous, but also comprehensive. In modern society, culture got a new name called pop culture which includes character, animation, game, movie, comic book, musical, and so forth, in addition it even have popularity. Moreover, it doesn’t stay in the county or group and it spreads to unspecified individuals and influences their ideas or thoughts. There is a cultural industry in the process and this create added value, so it has high value as a way of economic profit and revenue source of the group. Among them, the characters have wide consumers and customers all over the people’s daily life. The usefulness of characters in many areas such as stationary, brand identity and daily supply has led to the creation of various business strategies that use character. These business strategies are called ‘One Source Multi Use’ and is becoming a cultural business that is highly influential in earning profit not only to business but also to governments. Therefore, this paper paid attention to the character’s utilization and value. This study focused particularly on the fact that character is being used as a useful measure in culture meaning, cultural symbols and culture diffusion. This study aimed to prove a topic that is “Every country has an icon that represents them. In the 20th century, their own cartoon contents started to occur in each country with advances in cartoons. The USA has <Superman>, Japan has <Astro Boy> and France has <Asterix>” and propose to develop ‘the Korean character’ with deduced similarities from above characters. In other words, this article would like to draw common attributes by analyzing the characters of <Superman>, <Astro Boy> and <Asterix> and suggest developing a culture character which represents Korea by applying the common attributes to original Korean character. The process and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is paper examined character's significance as culture contents, cultural industry, OSMU in theoretical background. The character start with an original media and the originals exist in various media contents like cartoons, animations, movies, games and so on. The three countries’ characters which were studied as native cultural symbols showed that they started from the original comic series and spun off as animations, movies and others. This article also pointed out that the cartoon and animation have unrealistic feature and the converted movie from comic book is recreated with realism into expression of unreality. Second, this study set an analytic frame to analyze the cultural expressive elements of the American <Superman>, the Japanese <Astro Boy> and the French <Asterix>. And this paper tried to take an in-depth approach to the analysis target based on description of the character’s birth background and analysis of narrative structure. The analytic frame drawn from above procedure proceeded through three stages of ‘Narrative Structure Analysis’, ‘Character Analysis’, ‘Utilization of OSMU and Influence Analysis’. Third,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ree country characters showed that they all expressed and involved their own culture with narration and visibility. The most noticeable things were the reflection of their history, ideology, patriotism and ethnicity, also ultimately the exposure of their own superiority based on otherness. In addition, they simplified the aspect of delivering and receiving culture by planting the intentions in the character and narrative structure. The characters by joining comics, animations and movies represented a culture by organizing the narration and visibility. On the other side of that, it has some hidden intentions to reveal their own superiority like cultural imperialism and dominant ideology. The lists are ‘myth, hero, villain, costume, physical character, supernatural power, time period, social aspect, history, ideology, patriotism, ethnicity, unreality, realism and otherness. Overall, the characters as a visual culture can be interpreted as a culture only when accompanied by the original story. Namely, implicit cultural meanings in the character will dissipate or rarify, once the character is separated from the story since a character and a narrative is in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So, the characters of fancy goods such as Hello Kitty tend to be acceptable over the assumed stateless tendency without wariness. But it’s important to do not carry any meanings of national culture as it takes on stateless tendency. On the other hand, the analysis subject of this paper, the three countries’ character that represents national culture, is spread by the story. Thus they can be explored in culture, including ethnicity, time period, social aspect, popular sentiment, history, ideology and their intention. Character surfaced expressions about culture more than narration, thus showing feature that allows it to be easily perceived by recipients. While the narration is not externalized, it was internalized and implied means and contents. In conclusion, a story and character is in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and a character without a story has lesser value as a cultural symbolic meaning. Lastly, the analysis results by cultural symbolic characters of three countries are applied to the narrative aspect of existing Korean Character. Because the story is a foundation of a character and the character works to expose the purpose or content of foundational story by implication. Thus, the narrative structure was checked whether it meet the common attributes of analysis for characters of three countries, after analyzing the narrative structure that shows Korean culture and idea by the categories of cultural elements such as time period, social aspect, history, ideology and others. So, the results of the narrative construct about five characters on ‘Dangun’, ‘Yi Sun-shin’, ‘Jeon Woo-chi’, ‘Ahn Jung-geun’, ‘Guardians of the Power Mask (Gaksi Tal)’ were showing to coincident with the common attributes of analysis for characters of three countries. Therefore, the survey asked about the proven five characters that carries cultural meanings. The survey was done in order to develop ‘the cultural symbol character’ and asked people to choose a character that has possibility based on awareness. This paper extracted five characters which reflect heroic life story, analyzed narrative to grasp the possibility and considered Korean culture's reflection and the possibility of success as a internal and external character to conclude the paper by suggesting the most freely expressible fake character, ‘Jeon Woo-Chi’’s visual expression element. Thus in creating Korean character, this paper focused on cultural symbolism, suggesting a character that can break away from the existing purpose for education and kids, and spread abroad embracing all ages and sexes. By suggesting visual expression based on story, ‘Jeon Woo-Chi’ is judged as a character with sufficient possibility of development. Furthermore, this study hopes that Korean character escape the stateless tendency from the past, and become a character that is loved constantly like ‘Superman’, ‘Astro Boy’ and ‘Asterix & Obelix’. 문화는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운다. 역사, 종교, 국기, 국민성, 문학, 이데올로기 등 이들은 모두 문화의 범주에 포함되거나 문화로 대신 이야기하기도 한다. 이처럼 문화라는 개념과 범주는 모호하지만 또 포괄적이라고도 할 수 있다. 현대에는 대중문화라는 이름으로 캐릭터, 애니메이션, 게임, 영화, 만화, 뮤지컬 등으로 다양하게 문화가 표출되며 대중성이라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뿐만 아니라, 자국이나 집단 내에서만 머무르지 않고 불특정 다수에게 전파되며 그들의 관념과 사고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그 과정에는 문화산업이 자리잡고 있으며 이를 통해 부가가치를 창출함으로써 경제적 이윤의 수단이자 국가 및 집단의 수익원으로서도 가치가 높다. 그 중에서도 캐릭터는 일상생활의 다양한 곳에 침투하여 폭 넓은 소비자와 수용층을 지니고 있다. 팬시, 생활용품, 브랜드 아이덴티티 등 그 활용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캐릭터를 통한 다양한 비즈니스 전략이 탄생되기에 이르렀고 이를 원소스멀티유스라 부르며 기업뿐만 아니라 국가의 이윤 창출에 큰 영향을 끼치는 중요한 문화산업으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캐릭터의 활용도 및 가치에 주목하였다. 특히, 캐릭터가 문화를 함의하고 상징하며 전파하는 데에 유용한 수단이 되고 있음에 초점을 맞추었고 “모든 나라에는 자국을 상징하는 문화적 아이콘이 있다. 20 세기에 이르러 만화가 발전하자 각 나라에는 저마다 고유의 만화 콘텐츠가 생겨나기 시작했다. 미국에 슈퍼맨이 있다면 일본에는 아톰, 프랑스에는 아스테릭스가 있다”는 논제를 증명함과 동시에 이들 캐릭터 분석으로 도출된 공통점을 중심으로 ‘한국 캐릭터’ 개발을 제안하는 것으로 연구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이에 대한 본고의 진행과정과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론적 배경에 있어 문화 콘텐츠의 개념과 함께 문화산업, 원소스멀티유스로서의 캐릭터의 의의를 살펴보았다. 캐릭터는 원작이라는 어떤 매체를 통해 출발하고 그 원작에는 만화, 애니메이션, 영화, 게임 등 다양한 미디어 매체가 존재한다. 자국 문화를 상징하는 캐릭터로서 분석대상이 되었던 삼국의 캐릭터는 모두 출판만화를 원작으로 탄생되었고 애니메이션과 영화 등으로 파생되는 모습을 보였다. 따라서 만화와 애니메이션은 허구성을 특징으로, 만화로부터 전환된 매체로서의 영화는 허구적인 표현을 리얼리즘으로 재탄생시키는 점도 지적한 바있다. 둘째, 미국의 <슈퍼맨>, 일본의 <철완아톰>, 프랑스의 <아스테릭스>의 문화 표현의 요소를 분석하기 위해 서사구조 기반의 연구방법을 마련하였다. 캐릭터 탄생의 배경을 서술하고 캐릭터의 서사구조를 분석하여 이를 기반으로 본고의 분석대상의 문화적 측면에 대해 심도있게 접근하고자 하였다. 이렇게 도출된 분석방법은 ‘서사구조 분석’, ‘캐릭터 분석’, ‘OSMU 활용 및 영향력 분석’으로 총 세 가지의 과정을 거쳐 진행되었다. 셋째, 분석결과, 이들은 모두 자국의 문화를 함의 및 표출하고 있었다. 삼국의 캐릭터는 서사와 함께 전파됨으로써 문화를 비롯한 민족성, 사회상, 시대상, 정서, 역사, 이데올로기 및 의도 등이 내재하고 있었고 캐릭터는 문화에 대한 표현을 서사에 비해 표면화시켜 드러냄으로써 수용자에게 쉽게 인지될 수 있도록 하는 성격을 보여주고 있었다. 반면, 서사는 쉽게 인식되지 않는 대신 보다 많은 의미와 내용을 내면화 및 함축하고 있었다. 따라서 서사와 캐릭터는 상호보완의 관계에 있으며 스토리가 없는 캐릭터는 문화의 의미 혹은 가치가 떨어진다고 할 수 있다. 넷째, 삼국 캐릭터의 분석을 통해 얻게 된 결과를 기반으로 기존 한국 캐릭터의 서사구조에 적용해 보았다. 영웅적 일대기를 반영하는 다섯 가지의 캐릭터를 추출하여 그 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해 서사분석과 설문조사를 진행했으며 한국 문화의 반영, 국내 및 해외 캐릭터로서의 성공 가능성을 고려하여 그 중 가장 자유로운 표현이 허용되는 허구적인 캐릭터, 전우치의 시각적 표현 요소를 제안하는 것으로 본고의 결론을 도출하였다. 이 같은 과정을 통해 국내 캐릭터의 개발에 있어 문화적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기존의 아동대상, 교육목적의 캐릭터에서 벗어나 남녀노소를 아우르며 국내를 넘어 해외로도 전파될 수 있는 캐릭터를 제안하였다. 스토리를 기반으로 시각표현을 제안함으로써 전우치 캐릭터는 충분히 발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었다. 나아가 한국 캐릭터의 두드러진 특징인 무국적성에서 탈피하여 문화를 함의한다면 슈퍼맨, 아톰, 아스테릭스와 같이 지속적이고 꾸준히 사랑받는 캐릭터가 국내에서도 등장하길 기대해 본다.

      • 보육교사의 인성, 교수효능감, 심리적 소진과 아동학대 잠재성 간의 경로분석

        유서연 성남: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인성, 교수효능감, 심리적 소진이 아동학대 잠재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인성이 아동학대 잠재성에 미치는 직·간접 경로를 조사하기 위해 경로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교수효능감과 심리적 소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보육교사의 아동학대 잠재성에 미치는 요인에 대한 논의함으로 아동학대 잠재성을 낮추기 위한 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보육교사의 인성과 교수효능감, 심리적 소진이 아동학대 잠재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보육교사 인성이 아동학대 잠재성에 미치는 직·간접 경로와 교수효능감과 심리적 소진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서울 및 경기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보육시설 80여 곳에서 근무 중인 보육교사 44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회수된 설문지 383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22와 M-plus7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주요 변인의 기술통계량을 파악하기 위해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연구도구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Cronbach's a 계수를 산출하였다. 변인 간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변인 간 다중공선성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분산확대지수 값(VIF: Variance Inflation Factor)을 살펴보았고, 매개효과검증을 위해 Shrout와 Bolger(2002)가 제시한 Bootstraping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인성과 교수효능감, 심리적 소진이 아동학대 잠재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인성은 아동학대 잠재성의 불행감과 경직성 하위요인에서만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보육교사의 인성이 높을수록 아동학대 잠재성의 하위요인인 삶에 대한 불행감과 경직성 수준이 낮아져서 아동학대를 할 가능성을 낮추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교수효능감은 아동학대 잠재성의 하위요인 중 타인과의 관계를 제외한 모든 요인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심리적 소진은 아동학대 잠재성의 모든 하위요인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인성이 교수효능감을 통해서 아동학대 잠재성에 미치는 매개경로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보육교사의 인성이 높으면 교수에 대한 효능감이 높아지고 이는 아동학대를 할 잠재성을 낮추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보육교사의 인성이 심리적 소진을 통해서 아동학대 잠재성에 미치는 매개경로 또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는 보육교사의 인성이 심리적 소진을 감소시키고 아동학대 잠재성을 낮추는 결과이다. 마지막으로, 보육교사의 인성이 교수효능감과 심리적 소진을 통해서 아동학대 잠재성으로 가는 이중매개효과 또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보육교사의 인성이 높으면 교수활동에서의 신념과 자신감으로 설명되는 교수효능감이 높아지고, 이는 보육활동에서의 어려움과 스트레스로 인한 심리적 소진을 낮추어 궁극적으로 아동학대 잠재성을 낮추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인성과 교수효능감, 심리적 소진이 아동학대 잠재성에 미치는 영향을 밝혔고, 보육교사 인성과 아동학대 잠재성 간의 관계에서 교수효능감과 심리적 소진의 매개효과를 살펴봄으로 아동학대 잠재성을 예방하기 위해 보육교사의 인성, 교수효능감, 심리적 소진이 중요한 요인임을 규명한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갖는다.

      • 미용 산업 종사자의 직무특성과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유서연 대전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Since the beauty industry is a purely based on human service and the industry that is labor-intensive and selling intangible services, the key point of the service interface is human resources who interact with customers to provide satisfactory service. Despite their professional jobs, however, the beauty industry workers often fail to fulfill their individual capabilities due to poor working conditions and inadequate treat from the works. Currently, the number of human resources generated by beauty work-related educational institutions in Korea is on the rise, but the lack of human resources in the beauty industry continues to have a strong influence on the job satisfaction level and on the job satisfaction characteristics of the overall beauty care industry. In this study, the working characteristics of service provider tasks and self-esteem in the overall beauty care industry are analyzed and identified, and the impact of these characteristics on future performance of beauty care providers on job satisfaction is identified by a detailed study. The study participants distributed questionnaires to the people in the beauty care industry and used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o utilize 251 collected materials. The questionnaires are consisted of 6 general characteristics, 12 job attributes, 4 job choices and holding characteristics, and 18 job satisfaction levels, and the result of the reliability on the job, Cronbach -, is highly rated as .937. The survey is complied by SPSS ver 21.0 and has 95% of trusted job satisfaction assess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factors influencing the monthly income are age, academic background, duration of work, and status of majors and the working places are affected by gender, age, monthly average income, and majors. The factors that affects on majors, academic education and age to start in the beauty industry are gender, average monthly income, academic background, marital status, and the major amount of certificate held in the beauty industry is in hair salon industry as hair dressers and 1 million won is considered as an appropriate monthly income to start with. Factors influencing job satisfaction are age, working period, position, work type, monthly average income, major degree of specialty quality, and job choice.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important to have a professional and organized department to provide better laws and systems, so it would have great and better affection on the individual life in the industry and it would be effective on the national competition in the world.

      • 한국 베이비붐 세대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노인요양시설 선택요인에 관한 연구

        유서연 숙명여자대학교 특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라이프스타일 측정도구인 VALS 와 AIO 접근 방법을 사용하여 생활측면과 가치관측면을 중심으로 일부 항목들을 채택하여 라이프스타일 요인을 도출하고 이들을 유형화하여 그 특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노인요양시설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라이프스타일 유형별로 노인요양시설 선택요인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실증조사는 서울․경기지역에 거주하는 베이비붐 세대 30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이들의 라이프스타일은 4개 집단으로 분류되었고 각각의 특성을 반영하여 소극적 생활형, 전통추구 생활형, 개방적 생활형, 적극적 생활형으로 명명하였다. 노인요양시설에 대한 인식은 전체 응답자의 85% 이상이 노인 연령을 70세 이상이라 하였고 노인장기요양보험에 대하여는 약 75%가량이 도움이 된다고 답하였다. 적합한 월 이용료는 50∼100만원 미만, 시설의 위치는 도시근교지역, 자녀와의 거리는 1시간 이내를 선호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노인요양시설 이용 이유에 대한 질문에서는 체계적인 요양서비스 필요해서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노인요양시설 선택요인은 일상생활, 의료, 여가활동, 시설, 접근성의 다섯 가지 요인으로 구분되었다.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노인요양시설 선택의 차이 분석결과 차이는 크지 않았다. ‘소극적 생활형’, ‘개방적 생활형’, ‘적극적 생활형’의 세 집단은 모두 요양시설 내의 일상생활 서비스가 가장 중요하다고 하였고 그 다음으로 의료서비스가 중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전통추구 생활형’은 의료서비스가 가장 중요하고 다음으로 일상생활 서비스가 중요하다고 하였다. 이 두 가지 요인 다음으로 나타난 중요도 순위는 모든 집단에서 접근성, 여가활동, 시설 순이었다. 이는 현재 노인요양시설이 일정 수준 이상의 시설을 구비하고 있어서 베이비붐 세대에게 중요한 선택요인으로 작용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중요한 것은 베이비붐 세대는 노인요양시설에서 시설 입소 전과 마찬가지로 자연스러운 일상생활을 요구한다는 것이다. 이 연구의 결과는 요양서비스 제공기관이 관심을 가져야 하는 것은 클라이언트가 시설내에서 최적의 신체활동과 안정된 일상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양질의 일상생활서비스와 의료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요양시설과 관련된 정책의 변화와 노인요양시설 운영 및 마케팅 전략에 유용한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by using VALS and AIO approaching method (a measurement tool of lifestyle) drew lifestyle factors from precedent studies in terms of the life and the values and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by categorizing these. Also this study looked into an attitude towards elderly care facility and tried to analyz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selection factors of elderly care facility according to the lifestyle type. The empirical survey was implemented for 305 people of the baby boom generation who live in Seoul and Gyeonggi area. As a result, their lifestyle was classified into 4 groups and named: Passive life type, Pursuing-tradition life type, Open life type, and Proactive life type reflects its characteristics. The attitude towards elderly care facility: 85% of total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think people of seventy years and over are aged man. About 75% responded the Long-Term Care Insurance is useful system. The next showed most frequent responses: a preferable charge of using the facility is from fifty to less than one million won, a good location for a facility is the suburbs of cities, a right place is one hour distance from their sons or daughters, the reason why they use the facility is the necessary of systematic care service. The selection factors of elderly care facility was classified into 5 factors: Daily living, Medical care, Leisure activity, Facility, and Accessibility. Difference in selection factors of elderly care facility by the lifestyle type was not significantly great. Three groups such as 'Passive life type', 'Open life type', and 'Proactive life type' responded that the daily living service in the facility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choosing the facility and the medical care service is the next. 'Pursuing-tradition life type' responded that the medical care service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choosing the facility and the daily living service is the next. The rest of the factors was followed by accessibility, leisure activity, and facility respectively. This survey suggests that the facility service is not so important factor for the baby boom generation because most of elderly care facilities are above a certain level now. The important thing is that they demand the same daily life in the facility as they have lived before.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elderly care service providers need to offer high quality service to the clients who can maintain themselves in good condition in the facility. The result will be meaningful for managing elderly care facility and devising marketing strategy.

      • L. v. Beethoven Piano Sonata Op. 2 No. 2, F. Chopin Ballade Op. 47 in A♭ Major에 관한 연구

        유서연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Ludwig van Beethoven (1770-1827) Piano Sonata Op. 2 No. 2는 1795년에 완성된 초기 소나타로 Beethoven은 이 곡에 처음으로 scherzo를 사용하는 시도를 하였다. 제 1악장은 sonata allegro form, 2악장은 rondo form, 3악장은 scherzo, 4악장은 sonata rondo form이며 4악장으로 구성되어있다. Fryderyk Franciszek Chopin (1810-1849) Ballade Op. 47 in A♭ Major는 1841년에 작곡되었다. 이 곡은 낭만주의적인 특성과 Chopin의 음악적인 성격이 잘 나타나 있는 곡이다. Ballade Op. 47 in A♭ Major는 전형적인 sonata allegro form을 바탕에 두고 있지만, 제시부가 상대적으로 길게 작곡되어 불균형을 이루고 있는 자유로운 sonata form으로 이루어져 있다.

      • Subcritical water extraction of flavonols myricetin, quercetin, and kaempferol from plants

        유서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플라보노이드는 식물의 꽃, 잎, 뿌리, 열매 등에서 유래되는 불용성 물질로서 강력한 항산화 및 항균효과를 나타내는 물질이다. 본 연구에서는 플라보노이드와 같은 비극성 물질 추출에 있어 친환경적이며 자동화된 추출기술로 각광 받고 있는 아임계수 추출 방법을 이용하여 플라보놀 (flavonol)의 –OH기 (hydroxyl group) 개수의 차이에 따른 추출 조건을 확립하고, 아임계수 추출과 유기용매 추출 효율을 비교 분석하였다. 홍차, 샐러리, 인삼 잎으로부터 flavonol myricetin, quercetin, 그리고 kaempferol을 추출하였다. 아임계수 추출을 위하여 추출용매로 순수한 물을 이용하였으며 추출 온도 (110-200℃) 및 시간 (5-15분)의 변화를 주었다. 시료 1 g과 규조토 3 g을 혼합한 후 아임계수 추출장치 (DIONEX, Accelerated Solvent Extractor, ASE350)를 이용하여 추출하였고, HPL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Myricetin은 170℃/15분에 (686.38±60.1 mg/kg celery), quercetin 역시 170℃/15분에 (1179.42±206 mg/kg black tea), kaempferol은 200℃/15분에 (2770.6±71.9 mg/kg black tea) 가장 많은 플라보놀이 추출되었다. 이는 에탄올, 메탄올 그리고 열수 추출과 비교할 경우 훨씬 높은 효율을 나타내며, 기존 유기용매 추출의 대체기술로서 아임계수 추출법의 우수성을 보여준 결과라 할 수 있다. 또한 아임계수 추출법은 물의 온도 및 시간을 변화함으로써 식물로부터 화학적 구조가 다른 flavonol을 선택적으로 추출하는데 있어 매우 적합한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더 나아가 다양한 플라보노이드의 화학적 구조와 추출 최적화를 통해 식물 유래 생리활성 물질의 신속하고 안전한 선택적 추출에 대한 활용 가능성이 기대되는 바이다. Plants contain numerous bioactivity compounds, of which especially flavonoids are known for their biological functionalities such as prevention of diseas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ne kind of flavonoids, flavonols, are present in a wide variety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re compounds that include hydroxyl (–OH) groups at the 3-position of flavon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any change in extraction behavior according to the number of hydroxyl groups in flavonols. Therefore, myricetin, quercetin, and kaempferol—which may only be differentiated as flavonols using the number of hydroxyl groups—were subjected to the experiment. Also, this study compared the efficiencies of using subcritical water, hot water, and organic solvents to extract flavonols from black tea, celery, and ginseng leaf. Subcritical water extraction (SWE) was conducted using an accelerated solvent extractor, and the effect of key operating conditions was determined by varying the temperature (110–200°C), extraction time (5–15 min), and pressure (90–110 atm). The extracts were analyzed quantitatively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The yields of myricetin, quercetin, and kaempferol from plants were maximal at extraction temperatures of 170°C, 170°C and 200°C, respectively, and they seemed to be dependent on the number of hydroxyl groups included in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flavonols, with more of those with fewer hydroxyl groups attached being extracted at higher temperatures.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the yields of quercetin by SWE were two- to four-, two- to five-, and two- to twenty seven-fold higher than those obtained using the ethanol, methanol, and water-at-boiling-point extraction methods, respectively. This study shows that water at the subcritical state can be used as an efficient solvent for extracting flavonol such as myricetin, quercetin, and kaempferol from plants. SWE is not only effective and ecofriendly, but is also a highly selective and rapid method for extracting flavonol from plants.

      • 아파트 단위주호의 주거환경 적합성에 관한 연구

        유서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정부 규제의 공급자 주도의 시장에서 자율화된 소비자 주도의 시장으로 변모되고, 소비자의 의식도 크게 바뀌어, 육체적․정신적 건강의 조화를 통해 행복하고 아름다운 삶을 영위하려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거주자의 삶의 질을 높여줄 수 있는 주택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시대에 삶의 질을 높여줄 수 있는 주택을 계획하기 위해서는 거주자의 요구와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거주자 의식 및 실태를 기반으로 한 연구가 절실하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거주자들의 주거환경에 대한 적합성을 파악하는 것으로, 적합성을 측정하기 위한 기준을 마련하기 위하여 머사앤리의 사용자이득기준(Murtha and Lee''s User Benefit Criteria) 이론을 사용하였고, 적합성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과 대처행동을 이해하는 개념적인 틀로서 환경 스트레스 모델 [Bell et al.(1996)]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는데, 하나는 주거환경의 적합성에 관한 질문이고 다른 하나는 부적합한 주거환경에 대한 반응 및 대처방안에 대한 질문으로, 이러한 조사 결과를 요약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첫째, 주거환경의 적합성은 거실, 욕실, 주방, 침실, 현관, 발코니 전반적인 공간의 7개공간에 대한 49개 항목으로 조사되었으며, 공간별 적합성에 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거실공간에 대한 적합성은 일조와 채광, 가족들이 모여 대화하기에 적합한 구조, 자연환기 및 통풍에 대한 환경은 비교적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현관이나 외부에서 거실이 직접 들여다 보이지 않게 되어있는지에 관한 항목은 비교적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욕실공간에 대한 적합성은 세면대의 높이와 세면대 주변의 배수에 관한 항목은 비교적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적합하지 않은 편으로 나타난 항목이 많았고, 특히 샤워부스나 샤워커텐이 있어 샤워시 욕실 바닥에 물이 튀지 않게 되어있는지에 관한 항목은 적합하지 않은것으로 나타났다. 주방 및 식당공간의 적합성은 충분한 조명과 화재나 가스누출 안전시스템 항목은 비교적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주방에서의 쓰레기 분리수거의 용이성 항목은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침실공간에서는 채광과 일조, 환기와 통풍에 대한 항목은 적합한 편으로 나타났으나 침실의 충분한 수납공간에 대한 항목은 비교적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현관공간에 대한 특성을 살펴보면, 현관에서 외부 방문객을 쉽게 확인 할 수 있는지에 대한 항목은 비교적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현관에 키 큰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과 현관에서 실내가 직접 보이지 않는 구조에 대해서는 비교적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발코니공간에서는 남쪽 발코니에서의 세탁건조 항목과 조망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발코니에서 손빨래를 할 수 있는 공간에 대한 항목은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인 공간에 대한 적합성은 냉난방조명의 에너지 절약, 위급상황시 대피, 계절취미용품, 청소기 등의 수납공간, 각 실 문의 잠금상태 확인 순으로 나타나, 전체적으로 적합성이 낮음을 알 수 있다. 각 공간의 전반적인 적합성 평균을 종합하여 비교해 보면, 전체 공간 중 거실공간에 대한 적합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발코니 공간의 적합성도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나 욕실공간과 전반적인 공간에 대한 적합성은 낮은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적합한 주거환경들로 인한 반응 및 대처행동을 알아보기 위하여, 스트레스를 받는 정도, 스트레스(피로, 불편, 짜증, 불안)를 느끼는 주거환경 계획요소,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주거환경 계획요소, 희망대처행동을 조사한 결과, 부적합한 주거 환경들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는다고 응답한 사람이 전체의 81.1%로, 대부분의 사람들이 일상생활에서 스트레스를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피로를 느끼는 주거환경과 불편을 느끼는 주거환경으로는 주방에서의 쓰레기 분리수거에 관한 항목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고, 짜증을 느끼는 주거환경으로는 욕실 물소리 소음의 외부전달에 관한 가장 많은 빈도를 나타냈으며, 불안을 느끼는 주거환경으로는 위급 상황시 대피에 관한 항목의 빈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부적합한 주거환경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빈도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불편한 곳에 잘 가지 않게 한다는 항목은 전체 조사대상자의 41.1%가 선택하여 가장 많은 빈도를 나타냈고, 다음으로 험한 말이 나오게 한다, 가족간의 관계를 원만치 못하게 한다, 집에 들어가기 싫어지게 한다 의 순으로 나타났다. 적합하지 않은 주거환경에 대하여, 대처하고 싶은 행동을 다중응답 분석한 결과 다른 집으로 이사를 가고 싶다는 의견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리모델링을 하고싶다, 공간배치를 바꾸고 싶다, 생활재를 교체하고 싶다, 그냥 참고 살겠다의 순서로 나타나 적극적인 대처행동을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셋째, 스트레스 정도에 따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지에 대한 분석결과는 그 차이가 유의하며 스트레스가 심할수록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트레스 정도에 따른 희망대처행동에 대한 결과는 스트레스 정도가 심할수록 좀 더 적극적인 대처행동을 하려는 응답이 많았다.넷째,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주거환경 계획요소를 분석한 결과, 거실의 환기와 통풍이 잘 안되고 가족간의 대화를 할 수 있는 구조에 적합하지 않을수록 가족관계를 원만치 못하게 만들고, 침실이 안락하고 조용한 느낌을 주지 못할수록 험한 말이 나오게 하며, 침실의 수납공간에 대한 적합성이 낮을수록 불편한 곳에 잘 가지 않게 하고, 주방의 조명이 가사작업을 하기에 충분하지 않을수록 집에 들어가기 싫어지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근거로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거실공간은 외부로부터의 시각적 프라이버시를 보호 받을 수 있어야 하며 빠르게 변화하는 현대 시대에 다양한 디지털 기기들을 수용할 수 있는 환경적 지원성을 갖추어야 한다. 욕실공간은 위생과 안전을 위한 시설이 갖추어야 함은 물론 앞으로의 생활양식 변화에 따라 정신적인 편안함을 줄 수 있는 공간이 되어야 할 것이다. 주방공간은 앞으로 환경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주방에서의 쉽게 쓰레기 분리 수거를 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주방의 조리로 인한 열, 냄새, 연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시설이 필요하다. 침실공간은 침실에서의 프라이버시를 높여줄 수 있도록 소음 차단을 고려하고 부부침실에는 전용 욕실을 설치 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현관공간은 주5일 근무와 더불어 여가활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주택 외부에서 주로 사용하는 레저용품에 대한 물품들을 수용할 수 있도록 수납공간의 용량에 대한 고려와 키큰 수납물품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발코니공간은 자주 쓰지 않는 물건들에 대한 수납공간을 강화해야 햐며, 손빨래를 할 수 있는 공간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주택 전반에 걸쳐 효율적인 수납공간 확보가 요구되며, 앞으로의 고유가 시대에 대응할 수 있도록 주택내의 냉난방과 조명에 드는 에너지를 덜 소모할 수 있는 방안이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위급상황시 대피할 수 있는 공간에 대한 고려와, 각 실 문의 잠금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인지력을 높여주어야 할 것이다.부적합한 주거환경으로 인하여 많은 거주자들이 스트레스를 느끼고 있으며 이러한 스트레스로 인해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이에 관심을 갖고 적극적으로 대처하고자 하는 노력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거주자들의 삶의 질을 높여주기에 적합한 주택 계획을 하기 위해서는 거주자의 실태를 기반으로 한 연구에 더 많은 비중을 두어야 할 것이다. In user-oriented society, apartments need to be developed for the quality of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alyzing residential design factors and examining the congruence of apartment characteristic to the residents needs. Questionnaire research is conducted and 282 questionnaires are analyzed for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mainly consists of questions about residential congruence of each space, and reaction to and coping behavior with the incongruent residential environment and the summarized and arranged such inquired results are likely as followings:First, Residential Congruence was surveyed in 49 items, for 7 spaces such as living room, bathroom, kitchen, bedroom, entrance hall, balcony and overall space, and the analyzed result related with the Congruence by each Space is as follows:Congruence about environment for living room space on sunlight, suitable structure to talk where families are gathering around, natural ventilation and air circulation was appeared as comparatively congruous, but the questioning item whether living room is peeped directly from entrance hall or outside was answered as comparatively incongruous.Regarding to Congruence about bathroom space on the questioning item such as height of washstand and drainage at near place of washstand was answered as comparatively congruous, however there were still found many of incongruous items thereat, and especially for the questioning item whether shower booth or shower curtain prevents splash over bathroom floor when showering was displayed as incongruous.With regard to Congruence about kitchen and dining room spaces on the questioning item such as a sufficient lighting and fire or gas-leakage safety system was showed as comparatively congruous, however about the easiness on separating collection of rubbish was exhibited as incongruous.While the questioning item for bedroom space on sunlight, ventilation and air circulation was appeared as congruous, regarding to item about sufficient storing closet space in bedroom was appeared as comparatively incongruous.In observation of the peculiarity of entrance hall, about questioning item whether it possible to identify visitor outside easily at the entrance hall was showed as comparatively congruous, however, regarding to storage space for tall article at the entrance hall, and about the structure whether one unable to look in direct interior room at the entrance hall was responded as comparatively incongruous.About questioning item on balcony space, while laundry drying at southern balcony and lookout were appeared as congruous, the item on the balcony space where for hand-laundry was appeared as incongruous.Regarding to Congruence about overall space on the questioning item, as it was answered in sequential order likely as energy-saving at air condition, heating, lighting, sheltering from emergency situation, seasonal goods or leisure equipment, storage space for cleaning sweeper, easily noticeable door lock condition of each rooms, Congruence about overall space was known as wholly lower, yet.Comparing the average figure of each space synthetically calculated for overall Congruence, the Congruence in living room space showed up as highest among all the spaces, and Congruence in balcony space also appeared as comparatively high. However, since the Congruence in both bathroom space and overall space appeared as lower, it might be said that a proper supplementary measure is required thereto.Second, in order to know out the reaction and coping behavior against incongruous residential environment, the degree of stress imposed, planning factor of residential environment which feels stress (fatigue, discomfort, temper, unrest), planning factor of residential environment effects to quality of life, expectable coping behavior were inquired, and the result of analysis to the foregoing is same as below:As the people who responded that suffering stress due to incongruous residential environment occupies 81.1% among the total, it is known that most part of people is imposing stress in their everyday life. As the residential environment which feels of fatigue and discomfort represents as that the frequency at the questioned item for separating collection of garbage in kitchen was appeared as high, and as the residential environment which feels of temper is examples water noise at bathroom propagates to outside of which frequency on the item was showed as also high, and as the residential environment that feels of unrest was shown at sheltering from emergency situation of which frequency on questioned item was extremely most highest.In observation of the result of frequency analysis where the incongruous residential environment influencing to quality of life, the item in which stated as ''let residents not go to inconvenient place'' was appeared the most highest frequency, chosen by 41.1% of the total objects to the questionnaire, and appeared the next runners in turn likely '' let residents say bad wording '', ''let the family relationship goes in not harmonious'', '' let residents dislike to return home’As the result of analysis on multiplex response for coping behavior with the incongruous environment, the opinion mentioning as '' want to move to other house '' has occupied at the most ratio, and continued by following order as '' hope to make remodeling '', '' hope to change the space layout '', '' would like to replace the living materials '', '' will keep on living as ever with endurance '', it was displayed that a positive coping behavior is quite expected there.Third, the analyzed Result whether the consequence influencing to the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degree of stress is different, the difference is significant, and the more severe of stress, it appeared as influences negative effect to the quality of life, the result about expected coping behavior according to the degree of stress, whenever the stress becomes more severe, there were many responses which willing to do with more positive coping behavior.Fourth, as the result of analysis on the planning factor of residential environment that effecting to the quality of life, wherever the ventilation and air circulation of living room are not so well and the worse structure of incongruous for mutual talking of family members, it makes the relationship of family members inharmonious, and wherever the bedroom does not keep a comfort as well as calm atmosphere, there must be arising discordant wordings, and the congruence on storage space in bedroom is getting lower, they used to not go to inconvenient place, and wherever the poorer lighting of kitchen that not so enough to do home affair work, it appeared that everybody does not like to return home, accordingly.Based on the above-mentioned result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On account of the incongruous residential environment, many of residents are suffering by stress, while due to such stress, it influences a negative effect to the quality of our life, but as the actual state, the effort having with keen interesting on this which willing to overcome it positively is still short as yet. Therefore,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housing program that suitable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residents, the more its ratio should be placed on the Study based on the actual conditions of resi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