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세기 초의 정읍과 채용신의 회화 활동

        유미나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3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24 No.3

        정읍은 부안, 김제, 고부 등 한국 최대의 비옥한 곡창지대를 끼고 있는 경제적으로 풍요로운 고을이었으며, 사액서원인 무성서원을 중심으로 호남 유림의 학문적 중심이 되었던 곳이다. 채용신은 1908년 무렵부터 정읍과 인연을 맺고 왕래하며 회화 활동을 했던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 발단은 최익현 초상화의 제작이 계기가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최익현의 생애 마지막 활동 무대가 되었던 정읍은 호남 유림의 학문적 중심이자 우국충절의 구심점이었던 곳으로서 채용신 또한 이 곳에서 자신의 방식으로 애국심을 불태웠던 것으로 이해된다. 이후 일제 치하에서 정읍은 인근에서 생산되는 쌀이 총집결되고 도정되어 수송되는 산업과 물류의 중심지로 급성장하게 되고, 채용신에게 정읍은 전혀 다른 의미에서 새로운 가능성의 장소로 다가왔을 것이다. 이는 1923년 무렵 채용신이 금마에서 정읍으로 공방을 옮겼던 배경이 되었을 것이다. 정읍 무성서원은 신라말 태산태수로 부임한 최치원이 배향된 곳으로서 숙종 연간에 사액서원이 되었고, 1868년 대원군의 서원 철폐 때에도 존치되었던 유서 깊은 서원이다. 1784년에 하동 쌍계사에서 <최치원 영정>을 인수하여 봉안하였으며, 1831년에 이모본 제작이 있었고, 1924년에는 채용신이 영정의 이모를 맡아 제작하였다. 『무성서원원지』(1884년刊)와 『무성서원지』(1936년刊) 중의 기록을 토대로 <최치원 영정>의 이안 과정과 이후의 이모본 제작 경위를 살폈다. 채용신의 1924년 <최치원 영정>은 1831년본을 원형대로 매우 정확하고 정밀하게 잘 옮긴 초상화라 할 수 있다. 채용신 초상화의 특장인 육리문(肉理紋)의 표현이 전혀 없는 점은 그만큼 모본(母本)에 충실했음을 말해준다. 다만 수염과 귀털 등의 세부에서는 모본에 비해 더욱 유연한 필선을 구사하여 채용신 특유의 사실성이 살려졌다. 또한 의자의 장식이나 화문석의 추가 등 새로운 요소를 가미하거나 음영 표현이 강화된 부분이 있지만 채용신은 최대한 원형을 해치지 않도록 배려하였음을 볼 수 있다. 또한 정읍 태인의 향반으로서 무성서원의 운영에 주도적인 역할을 했던 김직술의 의뢰로 채용신이 제작하였던 고사도(故事圖) <칠광도>와 <송정십현도>를 살펴보았다. 두 작품의 주제는 광해군 대에 고현내에 은거하여 ‘나라가 쇠망함을 달래’고자 한 7인의 ‘칠광’과 ‘십현’의 고사이지만, 실제로는 1899년 후송정을 건립하고 이를 기리기 위한 그림이었음을 살펴보았다. 이는 1621년 선조들이 송정을 짓고 수계를 행하며 <칠광도>와 <십현도>를 그려 행적을 남겼던 일을 계승한 것이었다. 삼백년 가량의 시차를 두고 선현(先賢)들이 겪었던 정치적 혼란과 유교적 가치의 붕괴 상황 등이 그들의 현실과 중첩되는 것을 지켜보며 선조들의 우국충정을 기리고 되살리고자 한 염원을 담고자 했던 것이다. 채용신이 이를 회화 작품으로 풀어내었던 것은 우국 열사들의 뜻이 뜨거웠던 항일의 중심지 정읍을 활동무대로 하며 그들의 뜻에 동참하고자 했기 때문일 것이다. Jeongeup was an economically prosperous town with the largest fertile granaries in Korea, including Buan, Gimje, and Gobu, and became the academic center of Confucian scholars in Honam, centering on Museongseowon Confucian Academy, a private Confucian academy. Jeongeup Musungseowon Confucian Academy is a place where Choi Chi-won (崔致遠, 857~?) who was appointed as Taesan Taesoo at the end of the Silla Dynasty, Shin Jam (申潛, 1491~1554) who was appointed to the Myeongjong University of Joseon, and Jeong Tae-in (1401-1481), Song Se-rim(1479~1519), Jeong (1479~1557), Kim Yak-mook(1500~1558) and Kim Kwan(1575~1635) are enshrined. In 1696 (the 22nd year of King Sukjong's reign), it was recognized as Saakseowon Confucian Academy and was called Museongseowon Confucian Academy. In 1868 (the 5th year of King Gojong's reign), when Heungseon Daewongun abolished the Confucian academy, Museongseowon Confucian Academy was retained and its status was further enhanced. In the early 20th century, it can be said that the role and meaning of Museongseowon Confucian Academy were more important mentally and physically. It was not only the academic center of Confucian scholars in Honam, but also the center of the martyrs who resisted the Japanese invasion of national sovereignty and burned down the loyalty of the country. The fact that Yong-shin(1850-1941), who was famous as Eojin Hwasa, had a workshop in Geumma-myeon, Iksan, but traveled to and from Jeongeup and engaged in painting activities, and by 1923, the fact that the workshop was moved to Jeongeup must have been due to the location of Jeongeup.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historical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of Jeongeup during the turbulent period of the early 20th century and the painting activities carried out by Yong-shin in the context. In particular, we focused on the work activities that took place in relation to the scholars related to the of Choi Chi-won, who was enshrined in Taesan Temple, a space for incense in Museongseowon.

      • KCI등재후보

        Dosimetric evaluation of Tomotherapy and four-box field conformal radiotherapy in locally advanced rectal cancer

        유미나,장홍석,전동민,전금성,이효춘,정미주,김성환,이종훈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13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31 No.4

        Purpose: To report the results of dosimetric comparison between intensity-modulated radiotherapy (IMRT) using Tomotherapy and four-box field conformal radiotherapy (CRT) for pelvic irradiation of locally advanced rectal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Twelve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rectal cancer who received a short course preoperative chemoradiotherapy (25 Gy in 5 fractions) on the pelvis using Tomotherapy, between July 2010 and December 2010, were selected. Using their simulation computed tomography scans, Tomotherapy and four-box field CRT plans with the same dose schedule were evaluated, and dosimetric parameters of the two plans were compared. For the comparison of target coverage, we analyzed the mean dose, Vn Gy, Dmin, Dmax, radical dose homogeneity index (rDHI), and radiation conformity index (RCI). For the comparison of organs at risk (OAR), we analyzed the mean dose. Results: Tomotherapy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mean target dose than four-box field CRT (p = 0.001). But, V26.25 Gy and V27.5 Gy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modalities. Tomotherapy showed higher Dmax and lower Dmin. The Tomotherapy plan had a lower rDHI than four-box field CRT (p = 0.000). Tomotherapy showed better RCI than four-box field CRT (p = 0.007). For OAR, the mean irradiated dose was significantly lower in Tomotherapy than four-box field CRT. Conclusion: In locally advanced rectal cancer, Tomotherapy delivers a higher conformal radiation dose to the target and reduces the irradiated dose to OAR than four-box field CRT.

      • KCI등재

        양양 낙산사 동종 보살상에 대한 회화사적 고찰

        유미나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23 강좌미술사 Vol.61 No.-

        이 논문은 조선 전기 왕실에서 발원하여 주성된 낙산사 동종 종신에 표현된 보살입상에 대한 회화사적 고찰이다. <낙산사종>은 1469년 왕실 발원으로 제작된 동종으로서 종신의 상단에 부조로 표현된 보살입상은 조선 전기 도화서 화원인 김중경과 이장손이 그린 것이다. 이처럼 도화서 화원이 제작에 동원되어 선묘의 보살입상 부조는 정교하고 세련된 표현을 특징으로 하며 조형적으로 우수하고 격조 높은 경지를 보여주었다. <낙산사종> 보살입상은 늘씬한 신체 비례에 방형에 가까운 상호와 또렷한 이목구비의 표현을 보인다. 연꽃 대좌 위에 두 발을 딛고 두 손을 모아 합장 자세를 하고 있다. 화염보주와 영락으로 장식된 화려한 보관을 착용하고, 당당하게 넓은 어깨에 천의를 걸치고 영락 장식과 조백 등 화려한 치장을 더하였으며, 흩날리는 천의에서는 동세가 느껴진다. <낙산사종>보살입상의 양식 특징을 불교 회화와 비교 고찰하여 그것이 고려말 불화의 전통을 계승한 것이기도 하고 동시기 왕실 발원 불화에서 공유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낙산사종> 보살입상은 동시기에 제작된 왕실발원 동종인 <흥천사종>과 <봉선사종> 보살입상과 함께 화원의 능숙한 필치로 구현된 수준 높은 인물화 양식을 보인다는 점에서 공통된다. 하지만 제작에 임한 화원의 개인 양식 차이 또한 살필 수 있다는 점에서 회화사적으로 흥미있는 자료라 할 수 있다. 특히 <낙산사종> 보살상은 이상적이고 안정된 조형과 시원스러운 힘찬 선묘로 완성된 기품있는 보살상으로서, 독보적 수준을 보여주는 가장 우수한 작품이라 보았다. 이에 주도적 역할을 한 화원은 이장손이었을 것으로 보았으며 특히 동종의 제작 공정과 재료의 성질을 잘 이해하여 이에 적합한 표현을 창출하였다는 점을 주목하였다. This paper studies the artistic style of the Bodhisattva image on the Naksansa Temple Bell from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Naksansa Temple Bell was cast in 1469 under the royal patronage, and the Bodhisattva image, cast in relief on the side of the bronze bell, was designed by Kim Jung-gyeong and Yi Jang-son, who were court painters serving in Dohwaseo, the Painting Academy. The participation of court painters in the production of Buddhist Bell led to a highly refined and sophisticated artistic expression, demonstrating excellence in both form and composition. The Bodhisattva image on the Naksansa Temple Bell exhibits a slender and well- proportioned figure with a square shaped face and clear-cut features. The figure stands on a lotus pedestal with hands clasped in prayer. The Bodhisattva wears a lavish crown adorned with Cinta-mani and beads, along with a gracefully draped robe over broad shoulders, featuring intricate ornamentation. The flowing drapery imparts a sense of movement. By comparing the stylistic features of the Bodhisattva on the Naksansa Temple Bell with those depicted in Buddhist paintings, it can be confirmed that it inherits the tradition of the Buddhist paintings from Goryeo Dynasty and shares common characteristics with those from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Bodhisattva image on the Naksansa Temple Bell, along with that on other contemporary royal court-sponsored temple bells such as the Heungcheonsa Temple Bell and the Bongseonsa Temple Bell, showcases a high level of figurative artistry executed by the court painters. However, the differences in the individual artistic styles of the painters involved in their creation also offer intriguing insights for art historical analysis. In particular, the Bodhisattva image on the Naksansa Temple Bell stands out as an exceptional work with its idealized and stable form, as well as its refreshing and powerful line work. It is considered one of the most outstanding pieces of its kind. The leading painter in this project is believed to have been Yi Jang-son, who demonstrated a deep understanding of the production process and the nature of the bronze casting, creating an appropriate and exceptional style of expression.

      • KCI등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중도척수장애인의 장애수용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유미나,이근매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6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9 No.4

        Purpose: This study has verified the effect of‘group art therapy program on the acceptance of disability and self-esteem of people with noncongenital-spinal cord injuries. Method: Sixteen patients with noncongenital-spinal cord injuries who have difficulty with hospital life are composed of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as offered a group art therapy for 90 minutes a day twice a week, totalling 10 sessions.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program, Disability Acceptance Scale and Self-Esteem Scale were used before and after the therapy to compare their scores, with SPSS Window 18.0 used for t-test and paired t-test to identify the degree of significance. Results: Based 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acceptance of disability of people with noncongenital-spinal cord injuries. Second,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effective in boosting the self-esteem of people with noncongenital-spinal cord injuries. Conclusion: Hopefully, the program can be developed into a practical program that can benefit those with noncongenital-spinal cord injuries and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useful for developing a clinical program for people with noncongenital-spinal cord injuries. 연구목적: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중도척수장애인의 장애수용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병원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도척수장애인 16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여 주 2회씩 한회기당 90분으로 총 10회기 프로그램으로 진행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장애수용 척도와 자아존중감 척도를 사용하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사전, 사후 점수를 비교하였다. 유의미한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SPSS Window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정 과 대응표본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중도척수장애인의 장애수용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둘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중도척수장애인의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중도 장애로 인해 신체적, 심리적으로 힘든 중도척수장애인들에게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활용가능성을 제시하며 중도척수장애인들을 위한 임상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어 유용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고전적 미인도의 재현―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채색사녀도》의 제작과 감상

        유미나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2 大東文化硏究 Vol.119 No.-

        Among the 27 paintings in the “Figures in the Landscape attributed to Kim Shi” album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nine are shinuhua (paintings of beauties). The overall composition and the brushwork are characteristic of the mid-Joseon-period Che-school style of painting, which dates the album as a work of the seventeenth century. Thus, the nine shinuhua represent the earliest extant examples of the genre from the Joseon Dynasty. The female figures are rendered in the Ming painting style best represented by Tang Yin and Qiu Ying. However, rather than showing women from the chongru brothel district or illustrating swordswomen from then-popular novels, all of the women depicted are respectable, and they are rendered with a sense of longing and desire, a treatment reminiscent of Song Dynasty figure paintings. While such a treatment undoubtedly reflected the taste of the literati who commissioned these paintings, how exactly are we to understand the desire of Confucian men for these shinuhua paintings? Confucian principles instruct that men must stay away from women. Nevertheless, we may surmise that it would have been hard for these men to resist their desire to enjoy paintings of them. Though some literati have argued that they had reason to enjoy shinuhua paintings when such works also functioned as New Year's paintings, when they had didactic meaning, or when they were the work of master painters of the past, none of those reasons seem to apply to the nine shinuhua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collection. This paper therefore proposes that these nine shinuhua paintings were most likely accepted as romanticized images from the classical painting tradition, arguing that this album was probably intended to represent copies of the Song paintings popular in the late Ming period. 국립중앙박물관에 ‘전김시필 산수풍속도’라는 표제로 함께 수장되어 있는 27점의 채색 산수인물도 중에는 9점의 사녀도가 포함되어 있다. 수목과 괴석이 배치된 잘 다듬어진 정원에서 편지를 쓰거나 악기를 연주하거나 혹은 어린 아들을 돌보는 여성을 그린 그림들로서 다채로운 채색과 금니를 사용하여 정교하게 그린 작품들이다. 인물을 중심으로 한 구성과 공간감, 그리고 비수차가 큰 필선의 사용 등이 조선 중기 절파 화풍의 소경산수인물화 유형을 띠고 있어서 제작 시기는 17세기로 추정되는 작품들이다. 이는 현존하는 사녀도 중 시기가 가장 이르고, 한 화가에 의해 아홉 점이 일괄로 제작된 세트로서 다양한 도상의 仕女像을 보여주는 귀중한 회화 자료이다. 이들 사녀도의 도상을 검토해보면 그림 속 여인은 떠난 사랑에 대한 그리움과 갈망, 원망을 품고 있다. 주제 및 회화 양식에 있어서 중국 宋代에 발달했던 閨怨을 주제로 한 사녀도의 연장선상에 있는 것이다. 그러나 표현 양식에 있어서는 명대에 유행한 미인도 양식을 보인다. 명 중기 구영의 미인도가 17세기에 조선에 전래되었음은 문헌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화풍에 있어서도 깊은 관련성을 살필 수 있다. 그런데 이들 사녀도가 아름다운 여성의 용모를 담아내어 성적 매력을 대상화하였음을 부인할 수 없다. 군자로서 ‘성색을 멀리해야한다’는 절제의 준칙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던 조선의 선비들은 이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감상하였을까. 이에 조선의 문사들이 사녀도 감상을 합리화하기 위해 내세웠던 이유를 짚어보았다. 첫째, 歲畵이기에 완상하였고, 둘째, 故事圖로서 감계의 효능을 지녔기에 완상하였으며, 셋째, 중국으로부터 입수된 대가의 명품이기에 완상하였다.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9점의 사녀도의 제작과 감상은 어떻게 이해할 수 있을까. 이들 작품은 宮怨詩를 시각화한 송대 사녀도를 연상시킨다는 점에서 명말 臨宋人畵帖의 제작 및 유행과 관련이 있다고 여겨진다. 그런 의미에서 국립중앙박물관의 채색사녀도를 ‘고전적 미인도의 재현’이라 일컬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文姬別子圖>에 대한 조선후기 문사들의 인식

        유미나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2 石堂論叢 Vol.0 No.52

        This is a study on the Chinese painting entitled, 'Farewell of Wen-chi' which was brought into Korea by one of the scholar officials, Kim Sang-heon金尙憲, who was taken and retained in Shenyang瀋陽 in Manchuria after the Manchu Invasion in the mid 17th century. The painting is not extant but there are written records which provide information about it; one is a colophon by Song Si-yeol宋時烈 in 1675 and another a documentation by Seong Hae-eung成海應 from the early 19th century. With the help of these written materials and a look into the extant paintings of the theme, it is possible to get a glimpse of what the painting actually looked like. This study also tries to find out how the literatis of Joseon considered the painting, and how it was connected with the social aspects of Joseon after the Manchu Invasion. ‘Farewell of Wen-chi’ deals with the story of Cai Wen-chi(Cae Yan蔡琰's zi字), daughter of one of the celebrated scholars, Cai Yong蔡邕, who was herself a noted literary person and musician from Later Han dynasty. She was taken captive by the Huns and was freed after twelve years in the Steppe region. According to the above mentioned written records, ‘Farewell of Wen-chi’ was painted by Chao Meng-fu趙孟頫 from Yuan dynasty, and had been among the Ming imperial collection with Emperor Shen-zong's collection seal on it. The work 'Farewell of Wen-chi' attributed to Chao Meng-fu in the collection of Smith College Museum of Art in the United States is presumed to be the closest to one that Kim Sangheon had. The painting depicts grief-stricken Wen-chi, her children, her husband, Zuoxianwang左賢王, and attendants lined up in front of a nomad tent. The figures are elaborately represented, as it was pointed out in the written materials. The literatis of late Joseon period held multilateral viewpoints toward the painting, 'Farewell of Wen-chi.' Most of all, they valued the fact that the painting had previously been in Emperor Shenzong's imperial collection, and that it bore emperor's collection seals. They cherished it as representing the theory of fulfilling the obligation to Ming, China. In fact, the painting delineates Wen-chi's pathetic story; her sorrow as she was detained for many years in the bleak land of the Barbarians, and yet another painful anguish she suffered as she had to leave her own children when at last chance came for her to head back home. Kim Sangheon seems to have sympathized with Wen-chi when he was also detained in Shen-yang瀋陽, which is reflected in one of his poems. Also, during the time of turmoil when Qing replaced Ming in China, many Chinese suffered disruption of their family and home. One of the ladies from a respectable family named Jiwenlan季文蘭 who was also taken to Shen-yang by the Manchus wrote her story on the wall of an inn in Zhenzidian榛子店. The scholar officials from Joseon who read the story on the wall on their way to Shenyang were touched by her story and composed poems in sympathy comparing her circumstances with that of Wen-chi. However, it is noteworthy that they were rather cold to the women of Joseon in the same situation. The confucian scholars considered a ‘loss of fidelity’ to be the worst disgrace, and Wen-chi was recognized as the symbol of ‘infidelity.’ Seong Hae-eung's documentation shows that the ‘Farewell of Wen-chi’ became a painting for moral lesson to avoid such a disgrace. 이 연구는 병자호란 후 심양에 억류되어 있었던 척화파 문신 김상헌이 그 곳에서 입수하여 조선에 귀국할 때 가져온 중국 그림 <문희별자도>에 대한 것이다. 지금은 우리나라에 전해지지 않지만, 송시열이 1675년에 쓴 발문과 19세기 초 성해응의 관련 기록, 그리고 해외 소장의 중국 작품을 토대로 <문희별자도>가 구체적으로 어떤 모습이었는지를 알아보고, <문희별자도>에 대한 조선 문사들의 시각과 병자호란 후 조선의 사회상과의 연관성을 짚어본 연구이다. ‘문희가 아들과 헤어지다’는 뜻의 <문희별자도>는 중국 후한말의 학자 채옹(蔡邕)의 여식이자 뛰어난 문학가이고 음악가이기도 하였던 채염(蔡琰, 字는 文姬)이라는 여인이 흉노에 포로로 잡혀갔다가 돌아온 이야기를 다룬 그림이었다. <문희별자도>는 원나라 때의 서화가 조맹부(趙孟頫)가 그렸고 명나라 황제인 신종(神宗)의 인장이 찍혀있는 황실소장품이었음이 기록으로 전한다. 그림에 대해 구체적으로 묘사한 기록 내용과 현존하는 작품들을 대조하여 미국 스미스대학미술관에 소장된 조맹부 전칭작인 <문희별자도>가 조선에 전해졌던 그림에 가까운 것이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광활한 산수를 배경으로 유목민의 천막 앞에 문희와 아이들, 남편 좌현왕(左賢王), 시자(侍者)들이 이별을 슬퍼하는 모습을 그린 축(軸) 그림이다. <문희별자도>를 바라보는 조선 후기 문인들의 시각은 다중적이었다. 우선 그 작품이 명의 신종황제가 애장했던 작품으로 그의 인장이 찍혀있는 점을 중시하며, 임진왜란 때 원병을 보내주었던 명나라에 대한 의리를 표상하는 작품으로 보았다. 물론 <문희별자도>는 문희가 오랜 세월 이민족 땅에서 포로로 지내며 고향을 그리워한 애절한 심경과 이후 속환되어 마침내 그리던 고향에 돌아가게 되었으나 이제는 타향에서 낳은 두 아들과 헤어져야 하는 아픔을 그린 것이었다. 즉, 이민족과 그 문화에 대한 이질감과 부적응, 고국과 문명사회에 대한 회귀 열망, 그리고 모자간의 이별의 아픔이 핵심이다. 김상헌이 심양에서 지은 시 중에는 낯선 오랑캐 땅에 억류된 처지에서 문희의 심경을 떠올리며 공감한 면도 엿보인다. 또한 명청 교체기의 중국에서도 명나라의 양갓집 규수가 청의 침략으로 집안이 전복되고 심양으로 끌려간 일이 비일비재하였는데, 그 가운데 진자점(榛子店)의 한 객사에 벽서로 사연을 적은 계문란(季文蘭)이라는 여인에 대해서는 조선의 사행원들이 그의 사연을 문희에 비유하며 저마다 시를 지어 동정하였던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조선의 문사들은 병자호란으로 인하여 같은 아픔을 겪었던 조선의 피로(被虜) 부인들에 대해서는 냉정하였다. 실절(失節)은 성리학자들에게 최대의 오욕으로 간주되었고, 문희는 실절의 대명사로 인식되어 비판의 대상이 되기도 하였다. 성해응의 기록에는 <문희별자도>가 경계를 위한 감계화로 자리 잡았음을 보여주었다.

      • KCI등재

        캡스톤디자인 활성화를 위한 공학교육 빅데이터 분석 및 활용 방안

        유미나,조설희,김재희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3 교육연구 Vol.8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big data accumulated in the ‘Engineering education bigdata platform’ for the activation of capstone design, to analyze the trend of changes in capstone design topics, induscty-academia cooperation status, and changes in the topics of submitted projects, and to propose a plan for the advancement of the platform along with a plan for the activation of capstone design in the future.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analyzed the big data of capstone design projects from 2014 to 2022, the year that the ’Engineering education bigdata platform’ started managing data on capstone design data. As a result of the study, we analyzed the status of capstone design projects by year, the status of topics, the status of industry-academia cooperation, and the changes in the keywords and topics of the project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implications of the changes in capstone design were suggested, and the future suggestions to activate capstone design and the development of the ‘Engineering education bigdata platform’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공학교육 빅데이터 플랫폼’의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캡스톤디자인 주제 및 키워드 변화 추이, 산혁협력 현황을 분석하고, 캡스톤디자인 활성화와 공학교육 빅데이터 플랫폼 발전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4년부터2022년까지 공학교육 빅데이터 플랫폼에 축적된 캡스톤디자인 프로젝트 빅데이터를수집⋅분석하였다. 연도별 캡스톤디자인 프로젝트 출품작 현황 분석 결과 IoT, 로봇, 미래차 분야 등 4차 산업혁명 주요 기술관련 주제가 주를 이루었고, 2019년부터 특허출원 건수도 증가하였다. 출품작 키워드 분석 결과, 2017년 지진, 2020년과 2021년COVID와 같은 사회적 이슈와 관련된 키워드가 상위 순위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바탕으로 캡스톤디자인 발전 방안에 대한 함의를 제시하고, ‘공학교육 빅데이터 플랫폼’의 활성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深河戰鬪의 名將 金應河와 『忠烈錄』 판화

        유미나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1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12 No.1

        This is an art-historical look into the woodblock prints of the Chungnyeollok published in memory of Kim Eung-Ha who was killed in action in the Sarhu Battle against Later Jin(後金) in 1619. The first edition of Chungnyeollok was published in 1621 to justify the fact that Joseon had been reluctant in sending reinforcements to Ming, and to defend the fact that Joseon troops led by Kang Hong-Nip(강홍립) surrendered to Later Jin. Meanwhile, the second edition of Chungnyeollok published in 1798 was a full synthesis of the all the efforts throughout Later Joseon Period to praise Kim Eung-Ha.In fact, the praise for Kim Eung-Ha was in close connection with the Theory of Fulfilling the Obligation to Ming (對明義理論) the Theory of Zhou-centered World (尊周論), and coincided with the identity of Joseon since the 17th Century. It was an effort to stay faithful to the fallen Ming, former ally, and to maintain at least in spirit the Ming-centered cultural order in East Asia. In such an intention, Joseon continued to praise the war dead, the loyal retainers, and the patriots who were victimized in Imjinweran(壬辰倭亂) or in Byeongjahoran(丙子胡亂) war. That was because they were considered contributors to defending the regime and the state. Especially after the defeat in Byeongjahoran(丙子胡亂) and the humiliating incident when Joseon king surrendered to Qing, China, Joseon people began to raise voices for revenge against Qing. The death of Kim Eung-Ha in the Sarhu Battle who had fought against Later Jin(Qing), got to carry greater meaning.The first and the second editions of Chungnyeollok each contains a portrait of Kim Eung-Ha, and four pieces of woodblock prints describing Kim Eung-Ha’s military actions, which are noteworthy examples of war painting. The prints in the first edition of Chungnyeollok were designed after the Jeongchungnok, the book about the patriotic deeds of Yue-Fei (岳飛) of Southern Sung, China. The Jeongchungnok, which was published between 1522-1566 was imported to Joseon in 1584, and was republished in Joseon at the order of King Seonjo. Unlike the the books, Donggukshinsok Samganghaengsildo(東國新續三綱行實圖) or Hangeuishinpyeon (抗義新編) which also deal with the war veterans of Imjinweran, the fact that Chungnyeollok took Chungnyeollok as a model can be because they both praised the generalwho fought against the Jurchi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