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 斯繼東의 <逆位> 중‧한 번역

        위기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작품은 斯繼東의 단편 소설 <逆位>를 번역 대상으로 하여 한국어로 번역하였다. 斯繼東은 중국 문단에서도 매우 독특한 작풍으로 유명한데, 심각한 주제를 매우 간단하게 풀어나간다는 평를 받고 있다. <逆位>는 斯繼東의 추억 회상 방식으로 육친의 정 사랑과 우정이 삼관을 둘러싸고 인생이 뒤바뀌는 무질서한 역위를 생동감 넘치는 작풍으로 구현하였다. 심지어 인간관 내면세계를 완전히 흔들어 놓은 구도를 만들었다. <逆位>는 청춘에 관한 에피소드와 다채로운 상황를 구체적으로 묘사하였다. 소설에는 일반적인 청춘 소설에 나오는 밝은 기운이 없고, 저자는 오히려 청춘을 극도로 암울하게 묘사하여 마치 이 소설을 묻어 버리기 위해 쓴 것처럼 느껴진다. 본고는 총 3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은 작가와 작품 및 줄거리와 등장인물 소개로 구성하였다. 제2장에서는<逆位>를 한국어로 번역하였으며, 제3장 결론에서는 작품의 전반적인 번역 상황에 대하여 총괄적인 평가를 하였다. This article recounts the time of University. The protagonist faces the loss of relatives, riends and love. Stephan hides himself as a witness to look back on this youth time. The short story "inverse position" develops a young sequel with three lines of family, love and friendship. The lightness of the novel's external style also comes from a sense of weightlessness of the protagonist inside the text and the inner monologue facing the world that is out of order (inverse position). This thesis is divided into two parts. The first part is research background of thesis and the introduction of author. The second part is translation. The text is translate from A language (Chinese) into B language (Korean).

      • 소규모 공간에 적합한 가구디자인 연구 : 중국 대학교 기숙사 중심으로

        위기 가천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21세기는 기술의 시대이다. 과학기술은 인간을 근본으로 하고 있으며, 모든 과학 기술은 인류에게 더 합리적이고 편한 생존 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과학기술의 지속적인 발전과 사람들의 생활수준이 점점 개선됨에 따라 대학생 기숙사의 조건 또한 끊임없이 개선되고 나아지고 있다. 사용 기능 혹은 심미적 기능에서 보면 대학생 기숙사의 설계는 이 모든 면에서 크게 변화되었다. 현 대학생 기숙사는 더 이상 “숙박”이라는 가장 간단한 본래 기능적 측면에서 멈춰있지 않고 더 개성적인 방향으로 고려하기 시작했다. 사용자들의 이용에서의 필요를 부각시켜 가구 설계를 대학생들의 심미적 요구에 더 부합시켰으며, 이들에게 조화로운 분위기 조성에 도움이 되는 가구 설계를 제공했다. 짧은 기간 내에 개선하기 힘든 주거 환경에 대해 본 연구는 가구 설계 개선을 통해 학생 기숙사의 총체적 주거 품질 향상을 통한 경제적이고 시행 가능한 해결 방법을 찾아 기숙사 가국의 구조, 기능 그리고 스타일 등 방면에서의 단점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본문은 어떻게 현재 중국의 상황에서 경제적이고 시행 가능한 대학교 학생 기숙사 모듈화 가구 설계를 실현하고 대학생들의 생리, 심리 그리고 감정적 방면의 요구를 최대한도로 만족시킬 수 있는지에 관한 문제 해결 방법을 탐구하였다. 본문은 모듈화 설계 방법으로 가구를 융통성 있게 조직하고 기숙사의 주거 공간을 확대함을 통해 표준화와 개성화를 하나로 통일하고자 노력하였다. 본문은 설문지 조사 등의 형식을 통해 대학생 기숙사 가구 설계에 존재하는 문제들을 찾아 이를 종합해 대학생 기숙사 가구 설계에 적합한 필수 조건을 찾으려 하였다. 새로운 형태의 대학생 기숙사 가구 설계의 이론을 통해 오늘날 그리고 미래 5년에서 10년까지의 대학교 생활과 학습 필요를 만족시키고자 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대학교 기숙사 가구 설계를 탐구를 통해 이론과 실전 두 방면을 만족시키고 있다. 본 연구가 새로운 형태의 기숙사 가구 설계를 효율적으로 이끌 수 있다 생각한다.

      • 코로나19에 대한 중국 매체 간 의제설정 연구 : 인민일보 언론보도와 웨이보 포스팅을 중심으로

        Li, Weiqi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13

        During the Chinese Lunar New Year in 2020, an unprecedented infectious disease known as COVID-19 erupted into a widespread pandemic that rapidly spread across the globe. According to the WHO, the number of confirmed cases worldwide had reached approximately 2.4 billion by October 2021. Thu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ole that traditional Chinese media and social media played in public hygiene cases such as COVID-19. Specifically, this investigation seeks to cover the lack of sufficient research conducted on the Chinese media during the viral pandemic during the first major outbreak of COVID-19.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d the topic modeling and semantic network of COVID-19 news in the People's Daily, a newspaper run by the Central Committee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and on Weibo, the social network service with the highest number of Chinese users, during the pandemic's first outburst. In addition, this study conducted a QAP analysis to verify the effect of setting the agenda between the People's Daily and Weibo based on the Network Agenda Setting Theory and the Media Agenda Setting Theory. When deriving and examining the agendas shown in the People's Daily through topic modeling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most of the agendas had a clear orientation in line with the social background of each stage. In other words, the People's Daily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influencing the public's perspective and reactions by delivering specific information, including targeted political meanings, rather than simply functioning as information delivery. This functional agenda-setting method showed the power of media reporting to overcome the COVID-19 incident. Conversely, Weibo provides the public with a new way of expressing their right to speak, offering a virtual space for more diverse agendas than the People's Daily regarding COVID-19. In particular, Weibo played a role in information sharing of the COVID-19 incident through the perspective of actual civilian lives instead of the subjective view of the People's Daily. Looking at the agendas on Weibo, people have continued to pay attention to the cause of COVID-19. At the same time, the agenda for the COVID-19's origin is not clearly explained or explicitly visible in the reports of the People's Daily. Furthermore, many of the agendas that appeared on Weibo were not mentioned in the People's Daily. Therefore, it was assumed that there was no inclination for the People's Daily to report the agenda of social media as an important social agenda during the agenda-setting process. In order to conduct a more in-depth analysis, this study contains a semantic network analysis on the agenda of "COVID-19 Infection Status”, which is a common agenda in the People's Daily and Weibo.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frame contents' composition for the same agenda in both the People's Daily and Weibo. The People's Daily reported in various frames, including medical status, medical response, and crowd response to the agenda of COVID-19. On the other hand, the content of the agenda for the COVID-19 infection situation on Weibo was basic information such as the number of confirmed cases and the status of infection in certain regions. Accordingly, the results show that the People's Daily organized the agenda with a more holistic frame for a specific agenda than Weibo. With the information above in mind, this study can conclude as follows. First, the People's Daily did not report the COVID-19 incident on time at the beginning of the incident. Yet, it did play a proper role in eliminating the fear of the Chinese people and actively respond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situation. Second, related posts appeared on Weibo from the appearance of Wuhan's first unknown pulmonary inflammation patient. During the first pandemic wave of COVID-19, various agendas related to COVID-19 appeared on Weibo, but there was no in-depth discussion on specific agendas. Finally, this study verified the effect of setting a time-series network agenda between the People's Daily and Weibo media for a specific agenda called "COVID-19 infection status" through QAP analysis. Hence, the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can be deemed that the current Chinese society does not form a public opinion by setting a specific agenda unconditionally as the party organization wants. Second, it was verified that similarity and causality exist between networks in setting agendas between media in which traditional and social media interact with each other in the Chinese media environment. Third, the influence of the two-way network agenda-setting effect between traditional Chinese media and social media is most significant in the early stages of public opinion or the People's Daily.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expanded the scope of application of the theory by confirming the applicability of the Network Agenda Setting Theory in the special media environment of a socialist country such as China. Second, this paper integrates a combination of methodologies to analyze the agenda-setting relationship between the People's Daily, which plays a traditional role in information delivery and public opinion formation, and social media, where individuals can have a variety of discussions. Third,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the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analyzing media reports on national crises caused by other infectious diseases in the future. 2020년 중국 음력 춘절을 맞아 중국에서 전대미문의 감염병인 코로나19가 발생하였다. WHO에 따르면 현재 2021년 10월까지, 전 세계 범위의 확진자가 약 2.4억 명을 기록했다. 본 연구는 중국이 코로나19의 첫 대규모 유행지임에도 불구하고 코로나19 대유행 기간의 중국 미디어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는 판단 아래, 코로나19와 같은 공공위생사건과 관련해 중국 전통미디어와 소셜미디어가 어떤 역할을 해왔는지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19년 12월 1일 ‘우한 불명 폐렴’ 환자가 중국에서 처음 출현한 이후 코로나 확진자가 장시간 발생하지 않은 시작일인 2020년 6월 11일까지를 코로나19 중국 1차 대유행 기간으로 설정하고, 해당 기간동안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의 기관지인 인민일보의 언론보도와 중국 사용자수가 가장 많은 소셜미디어인 웨이보에서 나타난 코로나19 관련 포스팅을 대상으로 토픽모델링과 의미망 등의 분석을 진행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네트워크 의제설정이론과 매체 간 의제설정이론을 바탕으로 인민일보와 웨이보 사이의 의제설정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QAP분석도 수행하였다. 토픽모델링 분석결과, 인민일보에서 나타난 의제들은 대부분 각 단계의 사회배경에 따른 명확한 지향성을 가지고 있었다. 즉, 인민일보가 단순한 정보전달의 기능을 하기 보다는 특정한 정치적인 의미를 포함하는 정보를 전달하여 공중들의 반응과 태도 변화에 영향을 주는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기능적인 의제설정 방식은 중국 사회가 코로나19 사태를 극복하는데 큰 힘을 발휘하였다. 웨이보는 공중의 새로운 표현방식으로 코로나19에 대해 인민일보보다 더욱 다양한 의제들이 나타났다. 특히 웨이보에서 인민일보보다 실제 시민 생활과 관련한 의제가 더욱 자주 나타났는데, 이는 웨이보가 코로나19 사태에 대해 사람들이 정보를 공유하는 통로로서의 역할을 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웨이보에서 나타난 의제들을 살펴보면, 이용자들은 코로나19의 발생원인에 대해 지속적으로 관심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에 비해 인민일보는 코로나19의 발생원인에 대한 의제가 뚜렷하게 보이지 않았다. 또한 인민일보에서는 웨이보에서 나타난 많은 의제들이 언급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통해 인민일보가 의제설정 과정에서 소셜미디어만큼 다양한 의제를 비중있게 사회적 의제로 다루지 않았다고 판단할 수 있었다. 의미망 분석결과에 따르면, 인민일보와 웨이보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의제인 ‘코로나19 감염현황’과 관련해서 프레임 내용 구성에서 차이가 있었다. 인민일보는 코로나19 감염현황 의제에 대해서는 의료현황, 의학적인 대응, 군중들의 반응 등 다양한 프레임으로 보도하였다. 이와 달리 웨이보에서 다룬 코로나19 감염현황 의제는 단순한 확진자 수, 특정 지역 감염현황 등 기초적인 정보가 대다수였다. 이는 인민일보가 국가적 위기 상황에서 중국의 당 기관지로서 ‘코로나19 감염현황’이라는 특정 의제에 대해 개인적 미디어인 웨이보보다 더욱 다양한 프레임을 바탕으로 의제구성을 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인민일보는 코로나19 사태 초기에 적극적인 보도를 하지 않았으나, 시간이 지나고 상황이 악화되면서 중국 국민들의 두려움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감염병을 적극적으로 예방 및 대응하는 방역정책을 뒷받침하는 해결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한 것으로 보인다. 둘째, 웨이보에서는 우한에서의 첫 불명 폐렴 환자 출현부터 관련 포스팅이 나타났는데, 코로나19 1차 대유행 기간에 웨이보에서 다양한 의제들이 나타났지만, 상대적으로 ‘코로나19 감염현황’이라는 특정의제에 대한 정보전달과 심층적인 논의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QAP분석을 통해서 ‘코로나19 감염현황’이라는 특정 의제에 대해 인민일보와 웨이보 매체 사이에 시계열적인 네트워크 의제설정효과를 검증하였는데,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금의 중국 사회는 당 기관지가 원하는대로 무조건 특정한 의제가 설정되어 여론을 형성되지는 않는다고 판단할 수 있다. 둘째, 중국 매체환경에서 전통미디어와 소셜미디어가 상호적인 영향을 주고 받는 매체 간 의제설정에 있어 네트워크 사이에 유사성과 인과성이 존재한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셋째, 중국 전통미디어와 소셜미디어 사이에 쌍방향적인 네트워크 의제설정효과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상황에서, 중국 매체는 인민일보 등 당 기관지로부터 받는 영향이 특정 의제의 부각이나 여론화 초기 단계에서 가장 크며, 이를 바탕으로 추가적인 의제를 설정하고 그 과정에서 상호간 영향을 주고 받는다고 추론할 수 있다. 본 연구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사회주의 국가인 중국의 특수한 언론환경에서 네트워크 의제설정이론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함으로써 이론의 적용범위를 확장하였다. 둘째, 전통적인 정보전달과 여론형성의 역할을 하는 인민일보와 개인적이며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지는 소셜미디어 상 의제설정 관계 논의를 복합적인 방법론으로 분석하였다. 셋째,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향후 다른 감염병 등이 초래하는 국가적인 위기상황에 대한 매체의 보도를 분석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중국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작문에 나타나는 오류 분석 연구 : 초급 단계 학습자를 대상으로

        자이웨이치 江南大學校 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7071

        최근의 언어 이론과 외국어 학습이론이 학습자 중심의 교육을 중시함에 따라 외국어 학습에서의 오류를 학습자의 창조적인 언어능력이자 언어학습 전략으로 파악함으로써 오류의 긍정적인 측면을 언어교육에 활용하려고 하는 연구 경향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학습자가 학습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범하게 되는 오류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었다. 학습자의 오류는 그 학습자의 언어 습득 단계를 알려주는 지표가 되며 학습과정의 어려움의 극복과 학습효율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자료가 된다는 점에서 그 의의와 역할이 크다. 오류분석을 통해 학습자들의 오류를 발견하고 외국어 학습자의 학습과정 및 바람직한 언어 교수 방법에 대한 자료와 정보를 제시하고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를 배우는 초급 단계 중국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작문에 나타나는 오류의 유형과 내용 그리고 원인을 분석하여 실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바람직한 지도 방안을 모색하고 한국어를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제2장에서는 우선 이론적 배경으로 오류분석에 대해 살펴보았다. 오류분석의 절차, 오류의 식별, 오류의 분류, 그리고 오류의 원인에 대해도 함께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오류분석 이론에 따라 오류 분석을 시도하였다. 오류 분석을 하기 위해서 중국 산동청년관리간부학원(山東靑年管理干部學院)의 03학번 한국어학과 학생들이 2004년 10월부터 2005년 1월까지 쓴 작문 78편을 분석 자료로 삼고 수정을 하였다. 결과, 총 1640개의 오류가 나타났는데 이 중에서 의미를 전혀 파악할 수 없는 오류 47개를 제외한 나머지 1593개의 오류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분석을 통하여 수집한 오류들은 어휘 오류, 조사 오류, 어미 오류, 표현적인 오류, 성분의 오류, 부정법 오류, 문장호응 오류, 어순 오류 등 나뉘었다. 가장 많이 법하는 오류는 어휘 오류이고 그 다음에 조사 오류, 어미 오류, 표현적 오류, 성분 오류, 부정법 오류, 문장호응 오류, 어순 오류 등이 있다. 어휘 오류 는 506개로 전체 오류의 32%를 차지하였다. 한국어 자체의 어려움에서 오는 오류가 51.48%로 모국어 간섭에서 오는 오류(38.98%)보다 훨씬 높게 나타났다. 유형별로 대표적인 오류 예문들을 제시하고 분석하여 그 원인을 설명하였다. 제4장에서는 오류 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한국어 교사로서 오류를 어떻게 다루고 유형별로 효과적인 지도 방안을 제사하였다. 중국인 학습자의 오류에 대해 어휘오류, 조사오류, 어미오류, 표현적 오류, 성분 오류, 부정법 오류, 문장 호응 오류, 어순 오류 등 빈도순으로 각각 지도 방법을 검토하였다. 학습자가 오류를 통해 자신이 가진 학습상의 난점을 파악하고, 이를 수정해 나가도록 한다면 목표어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학습자들의 오류를 살펴봄으로써 그 오류가 한국어 학습과정에서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한국어 교육에 어떻게 응용할 수 있는지 밝힐 수 있다. 나아가 한국어를 가르칠 때 초점을 두어야 할 부분이 무엇이고, 강조해야 할 내용이 무엇인지 교수 모형에 반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학습자의 학습 진행과정과 앞으로의 학습 내용을 설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학습자가 법하는 오류는 학습자의 언어능력과 선행 학습상의 문제점을 파악하는 자료가 도리 뿐만 아니라 앞으로의 학습 내용과 교수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행한 학습자의 오류 분석, 오류의 유형과 그 원인, 이를 학습 현장에 반영하는 문제 등은 교사 및 언어 교육 관계자들에게 중요한 교육적 의의가 있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language theory and foreign language studying theory of recent times consider the errors of foreign language study as a creative language ability and a creative method of language study. By doing so the recent theory of language education tries to make use of the positive aspect of the errors on foreign language study. The error becomes the index to inform the studying language phase and becomes the important plans that overcome the learning process's difficulty and advance the studying efficiency from point the questionable matter and role is big. The objective of the research is analyzing the type and the content and the cause of the error which appears in the Korean language composition of the Chinese learners of the beginning level and groping the effective guide plan from actual Korean language education site and making the study of the Korean language effectively. Against an error analysis with mail boat objection background it tried to observe from 2nd chapter. It confronted to the cause of classification and error of identification and error of process and error of error analysis and it tried to observe together. From 3rd chapter it followed in error analysis objection and it attempted an error analysis. Result, it made remaining 1593 errors which except 47 errors from in the total 1640 errors appear but it will not be able to grasp meaning entirely in the analysis object. A alysis it led and the errors which collects caused to defecate error, negation law error, sentence response error and the word order error back of vocabulary error, investigation error, last portion error, expression error and ingredient. Most plentifully the error seem likely is an investigation error, a last portion error, an expression error, an ingredient error, a negation law error, a sentence response error and a word order error back to vocabulary error and so on. With 506 vocabulary errors 32% the whole errors hold. The error from the difficulty of the Korean language with 51.48% appeared far highly than that which form the native language' interference with 38.98%. Shedding of type it presented representative error examples especially and it analyzed and the cause it explained. From 4th chapter result of error analysis as the Korean language teacher it treated an error how with base and shedding of type it reeled an effective guide plan especially. If the learners grasp the difficult point which oneself has by error, and to amend and in order to go out, it will be able to improve the target ability. It will observe the error of the studying field from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foreign language and with spring that error will keep what kind of meaning from the Korean language learning process, probably it will apply how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re is a possibility of revealing. From the research which it sees consequently shedding of type and the cause of the studying error analysis which it accomplishes and error, the problem back which reflects to the studying site which will reach as the work which has the education questionable matter which is important will be the possibility of doing in the teachers and the language education offici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