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자하 신위의 영물시 연구

        김혜경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3 국내석사

        RANK : 1887

        Jaha Shin Wi(紫霞 申緯) is a literary man who worked mainly in the 19th century, the late Chosen Dynasty(朝鮮). His pen name is Jaha (紫霞) and Kyung Su Dang(警修堂). Jaha's origin is Pyeng-san(平山), and his progenitor is Shin Sung-gyeom(877-927), who played a meritorious role in establishing Goryeo Dynasty(高麗 918-1392). Through 500 years of Chosen Dynasty(朝鮮), Jaha belongs to the literary man who create very much poetry and is great at calligraphy and painting, he is referred to as three perfection(三絶). Jaha left over 4,000 numbers of Korean poetry, and numerous painting and calligraphy. The time when Jaha lived was after the death of King Jeong-jo, thereafter literature society was very depressed and the number of literary men decreased because of party strife and persecution of the Catholic. For that reason, Jaha explored the innate of human nature in very harsh conditions, while engrossed in the pursuit of literary artistry. In 1812, in the age of 44, Jaha went to the Qing Dynasty(淸1616- 1912) and met Weng FangKang(翁方綱 1733-1818) who was the great contemporary scholar. Since then, he made ‘Through Su Shi(蘇軾; Ssu Tungp'o 蘇東坡) to Tu Fu(杜甫)' the basis of the literature. In other words, Jaha learned Su Shi(蘇軾) and tried hard to reach Tu Fu(杜甫). As a writer and painter, Jaha wrote many painting poems not only for his own paintings, but also for others' paintings. Also he was interested in 19th century's bibliographical study. Moreover he investigated thoroughly about objects. He was accurate in sketching and had extraordinary connoisseurship for natural objects. For these various tendencies, he left the poetry of nature beings of which subject matters were various kinds of flowers as well as ‘the Four Gracious Plants’, the moon, the stone and stationery. Jaha left poetries about Buddhism and Zen, because he lost his older brother and bereaved two wives, and in the last years of his life, lost even the cherished eldest son. While Jaha went through the refraction of life, he expressed poetic sentiment of nature beings by gazing objects and contemplating his own life. then the lifetime of classification and thematic contrasts with the most intelligent creatures sought redress. Jaha's poetry of nature beings varies a lot in materials. However, I distinguished flowers including ‘the Four Gracious Plants’, objects of appreciation, small animals and paintings. And then I illuminated the poetic sentiment in each poem of nature beings, comparing with Jaha's lifetime, by doing so, classified his poetry of nature beings thematically. Jaha's poetry of nature beings contains ; The aesthetic viewpoint of nature as a painter, leisurely gusto of Jaha who tied not any faction and enjoyed art, lament and sorrow he felt when he once thrived and retired after leaving the public office, solitude after the death of his brother, wife and first son, and the unification of self and unworldly contemplative world inclined Buddhism and Zen. I focused above features, and developed a discussion centering on the poetry of nature beings which is implicit, pictorial and uniformity of poem and picture. And I found the poems in which Jaha figured ‘the Oneness of Poetry and Zen’ and revealed connotations. The features of literature are as follows. First, he maintained the perspective of poetics, ‘Through Su Shi(蘇軾) to Tu Fu(杜甫)' for a long time. Second, as ‘three perfection’in poetry, calligraphy and oriental painting, picture was inside Jaha's poetry of nature beings. Jaha had poetics of ‘uniformity of poem and picture’, so he created poetry of nature beings projecting implicitly his concise personality, just as expressed with a stroke of the brush on oriental painting. Third, his work implied ‘exquisite awakening’, because he embodied the ‘uniformity of poem and picture' in the poetry and experienced the Oneness of Poems and Zen. In his later days, he naturally inclined to Buddhism, connected the experiencing of implicit reverberations to the state of sudden awakening. Fourth, he unfolded ‘Dharma in Painting’ artistically and expressed the status of awakening by paintings and poetry. Jaha transcended the secular and reached his own state united to the world of the contemplation. Fifth, Jaha thought moral sense very importantly, so he wrote the poetry of nature beings projecting his noble character. He asked to younger scholars that only when one makes up one's mind he can write true poetry, and the poetics ‘People should be inside poetry', ‘Things are rather outside poetry.’ His spirit that had great importance on independent volition was inscribed to the many generations of literary men, and Jaha's sincerity that one must make up one's mind to write a true poetry made his poetry more splendid to the present day. To understand Jaha's paintings, we need his writings. On the other hand, to understand Jaha's writings we need his paintings. As he drew a lot of landscape painting and painting of flowers and birds with his unique aesthetics, he unfolded subject matters in the poetry. Jaha created the poetry of nature beings, contemplating these various things, by which subject had he created. The work should be left for further studies. 자하 신위 (紫霞 申緯)는 주로 19세기에 활동했던 조선 후기의 문사로서, 호는 자하(紫霞)와 경수당(警修堂)이다. 자하의 본관은 평산(平山)으로, 고려의 개국 공신인 신숭겸이 시조이다. 조선 500년을 통해 시 작품이 매우 많은 문사에 속하며 그림과 글씨에도 능하여, 이른바 詩? 書? 畵 三絶이라 일컫는다. 자하가 남긴 한시는 4,000 여수가 넘으며 그밖에 그림과 글씨가 각각 다수 전해지고 있다. 자하가 활동하기 전대에는 정조의 승하 이후 천주교에 대한 박해와 당쟁으로 인한 문학인들의 급감으로 매우 위축되어 있던 상황이었다. 자하 신위는 매우 열악한 여건 속에서 인간 내면을 탐구하면서 문학의 예술성 추구에 몰두하게 되었다. 자하는 1812년, 44세 되던 해에 청나라에 가서 당대 석학 옹방강을 만난 이후 ‘유소입두(由蘇入杜)’를 문학의 근간으로 삼았다. 즉 자하는 소식(蘇軾)을 배워서 두보(杜甫)의 경지에 들어가고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문사이면서 동시에 화가였던 자하는 자신과 다른 이의 그림에 제화시를 많이 써주었으며, 19세기의 고증학에도 관심을 기울였고, 사물을 궁구하는 면모도 강했다. 자하는 그림을 그리는 데에 있어서 사생에 치밀했고 자연물에 대해 남다른 감식안을 지니고 있었다. 이러한 여러 가지 성향 때문에 자하는 다수의 영물시를 남겼다. 자하는 사군자를 비롯하여 다양한 종류의 꽃과 달과 돌과 문구류에 관한 영물시를 남겼다. 자하는 형을 잃고 부인과는 두 번의 사별을 했다. 말년에는 아끼던 장자를 앞세웠던 소인으로 불교와 선에 심취한 시를 다수 남겼다. 이러한 굴곡을 겪으며 자하는 사물을 응시하며 자신의 삶을 관조하여 영물시정을 표출했다. 자하가 즐겨 노래했던 영물의 소재는 다양하지만 사군자를 비롯한 꽃과 완상물과 작은 동물과 그림을 소재로 한 영물시 위주로 분류하였다. 각각의 영물시정을 자하의 일생과 대조하여 주제별로 분류하고 살펴보았다. 자하가 영물시를 지으며 그 안에 담고자 했던 시정은 화가로서 자하가 지녔던 유미주의적(唯美主義的)인 서정, 당파에 얽매이지 않았고 예술을 즐겼던 자하의 유유자적(悠悠自適)한 흥취(興趣), 관직에 진출하여 한때는 번화했으나 자하산방에 은거하게 되며 느꼈던 회한(悔恨)과 애상(哀傷)의 정조, 형을 잃고 부인과 장자를 앞세웠던 고적감(孤寂感)의 표출, 불교와 선에 기울어져 탈속관조(脫俗觀照)의 세계로 자아를 합일했던 시정을 살펴보았다. 필자는 위와 같은 특징을 지닌 자하의 함축적이고, 회화적이며, 시화일률적인 영물시를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했다. 그리고 자하 신위의 시선무경의 관조적인 세계를 형상화한 영물시를 구체적으로 찾아보고 그 안에 함축된 의미를 밝혀보고자 했다. 자하 시문학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소입두론(由蘇入杜論)을 오랫동안 견지했다는 것이다. 둘째, 시서화의 삼절로서 자하의 영물시 안에는 그림이 들어 있었다. 자하는 ‘시화일률(詩畵一律)’의 시화론(詩畵論)을 지니고 있었기에, 수묵화에 필묵으로 표현하듯이 그의 간결한 품성을 함축적으로 투영하는 영물시를 지었다. 셋째, ‘시선일률(詩禪一律)’을 시에 구현하여 작품에 묘오(妙悟)한 점을 지니고 있었으며, 시선무경(詩禪無境)을 표현하였다. 자하는 말년에 불교 사상으로 자연스럽게 경도되어 시 안에서 함축적 여운을 체험하는 것을 돈오(頓悟)의 상태로 연결하였다. 넷째, 화중선리(畵中禪理)를 예술적으로 펼쳐보였으며 득도의 경지를 그림과 시로 함께 표현하였다. 자하는 세속적인 대상을 초월하여 관조의 세계로 합일되는 그만의 경지에 도달했다. 다섯째, 자하는 도의를 중요시하여 고결한 인품이 투영되는 영물시를 썼다. 자기의 뜻을 세워야만 참다운 시를 쓸 수 있고, ‘시 속에 사람이 있어야 한다(詩中須有人)’라는 말과 ‘시 밖에 오히려 일이 있다(詩外尙有事)’라는 시론을 당부하였다. 이러한 자하의 자주적인 의취를 중요하게 여기는 정신이 후대의 많은 문사들에게 새겨졌으며, 뜻을 바로세워야만 참다운 시를 쓸 수 있다는 자하의 진정함이 그의 시작품을 현재에 이르기까지 더욱 빛나게 하였다. 시서화(詩?書?畵)의 삼절(三絶)이었던 자하의 그림은 시가 있어야 알 수 있고, 자하의 시도 그림을 보아야 알 수 있다. 자하는 독특한 심미안으로 물사(物事)를 관조하여 산수도와 화조도를 그렸듯이, 그의 심원한 뜻을 영물시에 펼쳐주었다. 자하의 영물시정을 다양한 제재를 통하여 보다 깊이 궁구하는 작업은 앞으로 남겨둘 과제로 삼아야 할 것이다.

      • 중국 신형인프라(新基建)의 정보기술 배경하의 신소비(新消费) 브랜드의 디지털 마케팅 전략에 대한 연구 : 싼즈송슈(三只松鼠), 희차(喜茶) 사례를 중심으로

        오신위 한양대학교 2023 국내박사

        RANK : 1855

        지난 몇 년 동안 코로나19는 세계의 여러 상황들을 변화시켰는바 중국 및 세계 경제 뿐만 아니라 세계 생산 시스템에도 심각한 영향을 미쳤다. 생산 요소의 흐름은 물론 산업 체인과 공급사슬이 끊기면서 경제 활동이 심각한 쇼크를 겪었고 주요 국가 간에는 부정적 영향이 형성되었다. 5G, 빅데이터, 인공지능, 사물 인터넷 등 첨단기술로 대표되는 ‘신형인프라 (新基建)’는 중국 정부에서 코로나19와 인프라 업데이트의 수요에 적응하기 위해 취한 조치로서 국제적 환경 및 국내 거시적 경제상황하에 추진되고 있다. 새로운 단계에서의 중국 경제 발전은 고품질 발전으로 전환될 것이며 신형인프라는 새로운 에너지 공급을 지속적으로 촉진하고 중국 경제의 디지털 전환 및 업그레이드를 촉진할 것이다. 신형인프라에서의 첨단 기술, 특히 5G,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분야의 급속한 발전으로 전통적인 소비 체인과 공급 체인의 관계가 재구성되었다. 디지털 기술은 생산, 물류, 판매 등에 널리 사용되면서 신소비 브랜드에 과학 기술적환경을 만들어준다. 중국 GDP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소비의 규모도 점점 커지면서 소비는 중국 경제 성장의 가장 큰 원동력이 되었다. 각 브랜드는 신소비 시대의 추세를 파악하여 디지털 기술로 브랜드 마케팅 업그레이드를 이끄는 동시에 소비자의 수요를 충족시키고 새로운 수요를 창출해야 한다. 중국인의 소득은 전반적으로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였고 소비방식이 점차 업그레이드되면서 새로운 시기에 진입했다. 소비의 업그레이드는 신소비 브랜드의 발전에 양호한 사회적 환경을 조성해주었다. 신소비 브랜드는 디지털 기술을 사용하여 높은 홍보 효과를 얻었지만 브랜드 포지셔닝이 불분명하고 브랜드 홍보의 지속성이 부족하며 내부 관리 수준과 디지털 수준이 높지 않고 옴니 미디어(omnimedia)홍보 효율이 낮은 등 문제도 생겨났다. 본 논문은 주로 문헌 연구법, 사례 연구법 및 귀납 총결법 등과 같은 연구방법을 사용했다. 논문을 쓰기 전 먼저 온라인 공개 데이터 등 자원을 통해 조사연구를 진행했고 싼즈송슈(三只松鼠)와 희차(喜茶)의 마케팅 전략을 분석했다. 싼즈송슈와 희차의 소비자 조사에 의거해 제품, 가격, 프로모션, 유통 4가지 측면에서 마케팅 전략의 문제점을 분석했다. 싼즈송슈와 희차의 마케팅 전략 부분의 문제점에 대해 포터의 5요인 모델을 사용하여 산업 환경을 분석하고 구체적인 개선 제안을 제시했다. 싼즈송슈와 희차 두 개의 대표적인 신소비 브랜드의 특성에 따라 PEST 거시 환경 분석법과 SWOT 분석법을 결합하여 정치, 경제, 사회 및 기술 등 4가지 관점에서 신소비 브랜드가 내외부 환경에서 직면하는 기회와 위협을 분석하고 디지털 마케팅 전략을 제시했다. 연구에 따르면 기회를 이용하여 단점을 극복하는 전략(WO전략)이 신소비 브랜드에게 최적의 전략적 선택임을 알 수 있다. 외부 환경 측면에서, 국가 정책 호재, 경제의 고품질 발전, 소비 시장 업그레이드, 신형인프라 기술 지원 등은 모두 신소비 브랜드에 광범위한 발전 가능성을 제공한다. 내부 환경 측면에서 브랜드가 자체의 브랜드 강점과 관리 강점을 가지고 있다고 해도 부적절한 마케팅 방법이 가져오는 부정적인 효과, 취약한 물류 시스템, 불완전한 인재 시스템 등 문제가 여전히 두드러지기에, 먼저 자체의 약점을 극복하고 보완해야만 새로운 강점을 육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신소비 브랜드의 디지털 마케팅 전략은 주로 제품 방면에서의 디지털 연구 개발의 세대교체, 제품 개발 세분화, 디지털 디자인 패키지, 브랜드 IP(Intellectual Property) 구축, 가격 방면에서의 디지털화 차등 가격 책정, 유통 방면에서의 온오프라인 통합 마케팅, 프로모션 방면에서의 맞춤형 마케팅, 브랜드 공동 마케팅, 감성 마케팅을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디지털 인재 확보과 스마트 물류 시스템이 신소비 브랜드의 디지털 마케팅 전략의 실현의 조건을 강조하였다.

      • Characterization and evaluation of PI/PVDF-TrFE composite nanofiber based triboelectric nanogenerators depending on types of electrospinning nozzle systems

        오신위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839

        Characterization and evaluation of PI/PVDF-TrFE composite nanofiber based triboelectric nanogenerators depending on types of electrospinning nozzle systems Xinwei Wu Dept. of Mechanical Design The Graduate School Hanyang University Recently, energy problems have become a hot spot of global concern. In order to solve the energy problem, people have developed a variety of energy harvesters, in which triboelectric nanogenerator (TENG) is a portable energy harvester. It has attracted attention because of its high output power, simple, and low-cost structure.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ENG, many studies have been performed such as increasing the surface charge density and increasing the contact area. In this study, using designed single-nozzle, conjugated-nozzle and multi-nozzle three electrospinning nozzle systems successfully fabricated different forms of PI/PVDF-TrFE composite nanofibers. These three forms of composite nanofibers were made as the dielectric layer of TENG, and the electrical properties of TENG were measured. Among them, multi-nozzle nanofibers showed the highest open-circuit voltage of 364 V and short-circuit current of 17.2 μA, respectively. The power density of TENG made with multi-nozzle nanofibers is 1.18 W/m2. It was able to stably harvest energy during the tapping experiment of 10,000 cycles and even from palm and foot tapping. The M-TENG could be used for various practical applications such as capacitor charging and LED lighting.

      • 불교와 이슬람의 자비복지사상에 관한 비교연구 : 불교경전과 『성꾸란』 및 『하디스』를 중심으로

        신위 동국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1823

        The objective of this thesis is a comparative research on compassion between Buddhism and Islam, focussing on compassionate activities and the merits of compassionate activities. Compassionate activities are religious practice and a major way to salvation in both religions. Not only in Buddhism, but also in the four major world religions that include most people in the world, Compassion is to be accompanied by activities in their religious practice for forwarding to enlightenment or reaching to the highest creator. All the religions seem to have a certain similarity that is interpreted as various theories and truths for each. I will compare compassion and compassionate activities that are referred both in Islam and Buddhism, and also I will mention the meaning and the merits of Compassionate activities. Both two religions started from two men historically distinguished so to speak; Sakyamuni and Muhammad. Islam is the main religion which the Muslims live and also it is the way of living itself for tremendous Muslims. Their living style was recorded in the Islamic bible "Qu’ran". "Qu’ran" is the God`s word revealed through the prophet Muhammad`s mouth by the great Angel Gabriel`s indication. This prophecy started in the early years of 7 B. C. and ended in 632 by the death of this prophet. Generally speaking, "compassion" is the main idea of Buddhism so Buddhism is called as " Compassionate religion". Originally Buddhism is based on "Cause and Effect" ; good cause makes happiness and evil cause makes suffering. Getting out of suffering by "Three kinds of practice (Virtue, Concentration and Wisdom)", gain virtues and at last get into Nirvana. "Compassionate is the main idea that through the whole religious practices in Buddhism. There are embodied ways of compassionate activities as "Six Paramitas (Generosity, Precepts, Energy, Samadhi, Practice and Wisdom)", "Four all-embracing (bodhisattva) virtus" and "Four Illimitable (love, compassion, sympathetic joy and equanimity)". For the research on a comparative study of the welfare thought between Buddhism and Islam, we should refer "What should we look for in Islamic bible?" and "What is there in Islam that matches with this idea of Compassion?" For this study I looked through the main bibles of both two religions as the text, mainly whole sutra from "the Sutra of Hinayana Buddhism" to "the Sutra of Mahayana Buddhism" and also "Holly Qu’ran" and "Hadith" that recorded the prophet Muhammad`s saying and activities that had handed down orally. First I will take out all the parts that refer the idea of compassion in these texts, next compare the similarity and the difference the idea between two religions focussing on compassionate activities and the merits of compassionate activities in both religions and at last I will state the comparative study of the welfare thought between Buddhism and Islam in detail.

      • 본드그래프 모델링에 의한 필터回路網의 周波數應答 表現에 관한 硏究

        신위 東亞大學校 大學院 1989 국내박사

        RANK : 1823

        It requires a long tedius calculations to get frequency responses of filter networks with multi - poles by conventional techniques for network analysis. In order to reduce the amount of computation, a method of obtaining the frequency response of a filter network using bond graph modeling is proposed in this dissertation. The method is based on the bond graph representation of a linear system, suggested by R.C.Rosenberg et al. To utilize the well-known techniques in the linear graph theory, the system's bond graph is first transformed to the gyrobond graph, and then it is further reduced to a linear directed graph, which is called the point graph. The transfer function of the system can be obtained using the gyro - adjacency matrix of the gyrobond graph. The proposed method is applied to two specific canonical problems: determination of the transfer functions of multi - pole butterworth and Chebyshev filters. It turns out that the point graph approach permits easier derivation of the transfer functions than the conventional techniques. We thus conclude that for those who are familiar with the bond graph theory, the bond graph modeling is a simpler and more systematic approach to the calculation of frequency responses of filter networ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