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푸코의 근대성 비판-합리성의 불연속성과 구성성에 대해-

        오규진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3 서강인문논총 Vol.- No.66

        본 논문은 근대성에 대한 푸코의 비판을 합리성의 불연속성과 구성성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해명한다. 근대성의 특징은 인식의 연속성과 순수성에서 확인될 수 있다. 이성에 합치하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을 구분한다는 점에서 합리성은 이성이 수행하는 참과 거짓에 대한 인식이 드러내는 성격이라고 할 수 있는데, 근대 계몽주의가 이성을 완전성에 이를 수 있는 근원적 힘으로 간주함에 따라, 참과거짓의 인식에 대한 근대적 관점은 인식을 인간 본성 자체의 발현에 따라 순수하게 이루어지며 언젠가 획득될 완전한 인식에 이를 때까지 연속적으로 참을 축적해 나가는과정으로 간주하기 때문이다. 그 결과 근대적 합리성의 특성은 인식의 연속성과 순수성으로 드러난다. 이에 대해 푸코는 참과 거짓의 구분이 불변하는 이성이라는 기준에근거하지도 않고 인간 보편 본성에 기반해 순수하게 이루어지지도 않는다는 것을 보임으로써 합리성에 대한 근대적 전제를 비판한다. 합리성의 불연속성과 구성성으로정리할 수 있는 푸코의 이성 비판은 담론에 대한 구체적인 역사적 분석에 적용됨으로써 계몽주의가 상정한 근대의 성격을, 즉 완성을 향해 점진적으로 나아가는 ‘진보’를부정한다. 이러한 푸코의 근대성 비판은 비판을 철저화하는 것으로, 우리 자신의 현재를 정당화하는 근거를 찾는 것을 넘어서 우리 자신의 현재를 가능하게 하는 조건 자체를 드러내 문제삼는 작업이 된다.

      • KCI등재

        Electrical and optical properties of Si-doped indium tin oxides as transparent electrode and anti-reflection coating for solar cells

        오규진,이경수,김은규 한국물리학회 2015 Current Applied Physics Vol.15 No.7

        We have studied the electrical and optical properties of Si-doped indium tin oxides (ITSOs) as transparent electrodes and anti-reflection coatings for Si-based solar cells. The ITSO thin films were obtained by co-sputtering of ITO and SiO2 targets under target power control. The resistivity of the ITSO thin films deposited at 0.625 in terms of power ratio (ITO/SiO2) were 391 Ucm. In this condition, the ITSO thin films showed very high resistivity compared to sputted pure ITO thin films (1.08 × 10-3 Ucm). However, refractive index of ITSO thin films deposited at the same condition at 500 nm is somewhat lowered to 1.97 compared to ITO thin films (2.06). The fabricated graded refractive index AR coatings using ITO, ITSO, and SiO2 thin films kept over 80% of transmittance regardless of their thickness varing from 97 nm to 1196 nm because of their low extinction coefficient. As the AR coating with graded refractive indices using ITO, ITSO, and SiO2 layers was applied to general silicon-based solar cell, the current level increased nearly twice more than that of bare silicon solar cell without AR coating.

      • KCI등재

        청동기시대 주거지 복원 및 실험 - 전기주거지를 중심으로 -

        오규진,허의행 한국문화유산협회 2006 야외고고학 Vol.0 No.1

        최근 주거지 조사방법과 관련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면서 복원의 사례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취락연구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개별 유구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명확한 인식이 우선 되어야 한다. 이러한 인식의 바탕위에 개별유구에 대한 분석 및 해석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진 후, 취락 내 주거지 및 기타 유구 등의 배치상태와 기능적 공간 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필자들은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청동기시대 주거지를 복원하고 내부에서 몇 가지 실험을 실시하여 조사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복원의 대상은 청동기시대 전기의 세장방형 주거지로 결정하였다. 복원된 주거지 내부에서는 온습도 측정과 기타 노지와 관련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복원 결과 용마루의 설치 유무와 중앙 기둥 구멍의 판단에 다른 해석을 시도하였으며, 주거지 상면 및 기둥간의 결구 방식 등을 추정할 수 있었다. 무엇보다 화재폐기 주거지의 세심한 관찰을 통한 복원의 필요성을 역설하였다. 실험결과 주거지 내부에서 노지의 운용은 1-2기 정도를 통해서도 충분히 가능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으며, 노지 평단면의 관찰을 통해 일시적인 사용과 지속적인 사용의 확인방법을 추정하였다. 또한 바닥 점토 다짐과 숯의 이용을 통한 바닥의 경화처리 방식 등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주거지 노지에서 사용되는 땔감의 양을 추정하고 이의 확보공간(면적)을 추정하여 보았다. 그 결과 백석동 유적을 비롯한 취락 들은 땔감의 확보공간을 인식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Recently, as studies related to the method for researching into dwelling site have been actively progressed, cases of restoration is increasing. Firstly, the most important thing in studies on settlement is to clearly recognize the function and the construction of individual remains. Based on the recognition, in priority, the analyses and the interpretations of individual remains should be performed. After that, we should specifically study on residences in settlement, other remains, and their arrangement, functional spaces. Realizing the process of the study, we restored residential area in the Age of Bronze to make use of the results from the experiments in that place. The object to be restored was decided for long rectangular residences in the early age of Bronze. In the restored dwelling site, we measured the temperature, and carried out the experiments of the ground. After restoration, we try to differently understand the existence or non-existence of the ridge of roof, the holes in the middle pillars, and then presumed the upper side of residences and the constructive methods between pillars. Above all, it is necessary to restore the residential which had been destroyed by fire, after observed carefully. From the result, we found that it had been possible to use ground by 1-2gi, and also traced the verifying method of temporary or lasting uses. We understood the method of hardening ground by using clay and charcoal. Through above experiments, we presumed the volume of firewood and the space for it. The result was that settlements including remains in Baekseok-dong site had recognized that they needed to secure the space for firewood.

      • KCI등재

        깊이영상을 이용한 나이와 성별인식을 통해 캐릭터 플로팅 홀로그램 구현

        오규진,권순각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19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Vol.22 No.2

        In this paper, we propose a character floating hologram system using the user’s gender and age. The proposed system recognizes the gender and age of the user through depth images and color images. The depth images are used to find and normalize facial position. Next, by using facial color images, the age and gender are estimated through an verified database-based model of CNN. Finally, the estimated age and gender are expressed to a character for the floating hologram. The proposed system can be used in a variety of areas, including marketing, advertising, and exhibition events using gender or age.

      • KCI등재

        가상현실(VR)과 고고학 - 해외사례를 중심으로 -

        오규진 한국문화유산협회 2024 야외고고학 Vol.- No.49

        이 글은 고고학과 가상현실(VR)의 교차점에 대해 논의하며, 주로 해외 사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또 한 이 글은 가상현실이 고고학 발굴, 연구, 해석, 의사소통에 새로운 방법을 제공하는 방식에 대해 논의한다. 가상현실이 고고학자가 고고학 유구와 유물의 3D 모델을 만들고 조작하게 하고, 가상현실 환경 내에서 변수나 조건을 변경하여 다양한 이론과 가설을 테스트하게 하며, 시간에 따른 변화를 시뮬레이션하여 고고학 유적과 경관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관찰하게 하는 방식에 대해 강조한다. 또한 논문은 시각적 인식뿐만 아니라 인지도 포함된 이미지를 보는 과정의 개념을 강조한다. 이는 우리가 이미지를 볼 때 시각적 정보를 수동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뇌가 이 정보를 적극적으로 처리하여 우리가 인식하고, 생각하고, 결정을 내리도록 유도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시각적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3D 모델이나 유적의 상세 3D 맵을 보여주면 사용자는 즉시 다양한 유구의 형태와 상대적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과 고고학의 교차점을 탐구하며, 이를 통해 고고학 유구와 유물의 3D 모델링, 가상현실 환경에서의 이론 및 가설 테스트, 고고학 유적의 시간에 따른 변화에 대한 시뮬레이션 등 다양한 측면을 제시한다. 그리고 가상현실이 고고학적 데이터 분석을 넘어서 더 많은 작업으로 확장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고고학자로 하여금 고고학 유구나 유물의 3D 모델과 상호작용하고 시간에 따른 변화를 관찰할 수 있게 하므로, 이 데이터를 보다 몰입적이고 직관적인 방식으로 분석할 수 있게 한다. 이와 더불어 3D 환경 개발에서 고고학적, 역사학적 정확성의 중요성 또한 강조한다. 런던 헌장과 세비야 원칙 등 국제적인 기준들이 문화유산의 3D 시각화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며, 이러한 기준들은 고고학 데이터의 불확실성을 인정하고 이를 고려하여 3D 모델을 생성하는 것을 요구한다. 또한 실제 데이터와 가설 데이터를 명확히 구분하고, 이를 통해 과거의 특정 시대나 지역을 더욱 사실적으로 표현하는 가상현실 환경을 구축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는 가상현실 환경의 진정성을 보장하고, 사용자에게 이 시대의 역사에 대한 교육적 가치를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This article discusses the intersection of archaeology and virtual reality (VR), focusing primarily on international cases. It also discusses how virtual reality provides new methods for archaeological excavation, research, interpretation, and communication. Virtual reality allows archaeologists to create and manipulate 3D models of archaeological artifacts and relics, change variables or conditions within a virtual reality environment to test various theories and hypotheses, and simulate changes over time to observe how archaeological sites and landscapes have changed. The paper also emphasizes the concept of viewing images that include not only visual perception but also cognition. This means that when we look at images, we do not passively receive visual information, but our brains actively process this information to induce us to perceive, think, and make decisions. This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visual communication, and when users are shown 3D models or detailed 3D maps of relics, they can immediately grasp the various forms and relative positions of the relics. It also explores the intersection of virtual reality and archaeology, presenting various aspects through this, such as 3D modeling of archaeological relics and artifacts, theory and hypothesis testing in a virtual reality environment, and simulation of changes in archaeological sites over time. It also shows that virtual reality can be extended to more tasks beyond archaeological data analysis. This allows archaeologists to interact with 3D models of archaeological relics or artifacts and observe changes over time, allowing them to analyze this data in a more immersive and intuitive way. It also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archaeological and historical accuracy in 3D environment development. International standards such as the London Charter and Seville Principles provide guidelines for 3D visualization of cultural heritage, and these standards require the recognition of the uncertainty of archaeological data and the creation of 3D models considering this. It also clearly distinguishes between actual data and hypothetical data, and presents a way to build a virtual reality environment that more realistically represents a specific era or region of the past. This ensures the authenticity of the virtual reality environment and will help provide educational value about the history of this era to us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