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명화감상 통합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양혜경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명화감상의 탐색, 분석, 감상 등 미술활동을 중심으로 음악, 블록, 극 놀이, 신체 활동 등의 다양한 영역과 통합된 명화감상 통합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양주에 소재한 E어린이집 만 4세 유아 15명을 실험집단으로, D어린이집 만 4세 유아 15명을 통제집단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절차는 예비검사,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 순서로 진행하였으며, 실험처치 기간은 2020년 6월 8일부터 9월 25일까지 총 16주간, 실험집단에 매주 3회씩 명화감상 통합 활동을 실시하였다. 통제집단은 담임교사의 지도아래 생활주제에 기초한 표현위주의 미술활동을 진행하였고, 실험이 끝난 후 사후검사는 사전검사와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험내용은 어린이집 유아가 이해하기 쉽고 흥미를 끌기 적절한 명화 16점을 선정하여, 다양한 교육활동(미술영역, 음악영역, 언어영역, 신체영역, 퍼포먼스, 타 활동영역)이 통합된 명화감상 통합 활동을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명화감상 통합 활동 교육과정은 명화탐색-명화감상-화가이야기-미술 표현-통합 활동 순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진행하였다. 유아의 창의성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는 전경원(1999)이 개발한 ‘유아 창의성 검사’를 사용하여 창의성의 하위요소인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상상력과 4개의 소검사로 언어, 도형, 신체영역의 창의성을 파악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문제에 따라 평균·표준편차를 산출하고, 두 집단(실험·비교)간의 사전·사후검사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대응표본 t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명화감상 통합 활동은 유아의 척도별 창의성 하위요인인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상상력 전체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유아의 창의성을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명화감상 통합 활동은 유아의 영역별 언어창의성의 하위요인인 유창성과 도형창의성의 하위요인인 유창성, 독창성 그리고 신체창의성의 하위요인인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상상력 전체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유아의 창의성을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명화감상 통합 활동이 만 4세 유아의 창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실천 및 정책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전국 및 지역의 유아교육기관에서 명화감상 통합프로그램을 활용할 수 있는 교육환경이 될 수 있도록 시군구 및 지자체의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 아이들이 쉽게 접하고 문화적 차이를 쉽게 받아들일 수 있는 매체인 명화를 통해 다문화 사회로 나아가고 있는 한국 사회에 심화교육 프로그램으로 활용을 제언하며, 미술관 또는 박물관을 방문하는 지역사회와 일반 시민을 대상으로 어린이, 청소년, 성인 등으로 구분한 맞춤교육 프로그램으로 운영방안을 제언한다. 또한, 명화감상 통합프로그램은 유아의 자율성과 창의성을 신장하기 위한 유아 중심 교육과정으로 누리과정 프로그램의 활용을 제언한다. 본 연구의 후속연구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만 4세 유아를 대상으로 한 명화감상 통합 활동은 더 낮은 연령과 높은 연령의 유아에게도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장기적인 명화감상 통합프로그램을 본 연구보다 많은 유아를 대상으로 하여 일반화를 위한 연구가 필요하며, 범위를 확대한 전체 영역과 다양한 활동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교사의 역할이 중요한 명화 감상 통합 활동을 교사의 다양하고 개방적인 질문과 적절히 이끌어 줄 수 있는 교수방법과 교수 전략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기 때문에 명화감상 통합 활동이 교육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 이다. 주제어: 명화감상, 통합 활동, 창의성

      • 장자의 수양론에 관한 연구

        양혜경 대구한의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Zhungzi(莊子) is a person who further developed the philosophy of taojia following Laozi(老子). Living during the zhuoguo period(戰國時代) which was politically and socially disoriented, he deeply observed the lives of the people and built up his philosophical system by reflecting on the causes of the misfortunes and happiness of the people. He thought that anxious human mind, poor life situation and pain are all caused by excessive desire and excessive competition to meet that desire. Zhungzi believed that in order to solve various problems that exist in the human world, it is necessary to have time and cultivate mind to reflect on the original nature of human rather than pursuing desire. Thus he raised the cultivation methods called xinzhai(心齋), quanyi(專一) and zuowang(坐忘). He thought that man could be liberated from the various problems when building up the character through cultivation. Zhungzi thought that humans can be classified into two kinds based on the problem of cultivation: ordinary people so called zhongren(衆人), shuren(庶人), shiren(世人), xiaoren(小人) and cultivating people called shengren(聖人), zhiren(至人), zhenren(眞人). Zhungzi thought that ordinary people of both are people who live in the confused mundane world and constantly pursue desire and cultivating people who live in the mundane world but are not disturbed by desire, but are interested only in the world of truth. So ordinary people are surrounded by suffering, but cultivating people are free from pain. Nonza studied the problem of what contents should be cultivated to become an ideal cultivator Zhungzi mentioned. In particular, he examined the concrete meaning of the cultivation method called quanyi, xinzhai, and zuowang. And he confirmed that such a cultivation method defeated false knowledge and desire and resides only in the world of truth. And he confirmed that it is to understand and realize true self, not putting the ultimate goal of life in pursuit and fulfillment of desire. This Zhungzi's cultivation method is still important today. Due to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modern society is the age when a convenient and comfortable life that can not be compared with the past is possible. The age of modernity, which is rich in materials and liberated from the threat of nature, is the age when individual freedom and human rights are politically better accepted than ever. Modern people no longer suffer from the oppression of dictators or the exercise of arbitrary power, so it is thought to be the age of achieving the ideal of humanity. However, since the many accomplishments of modern life have greatly altered our lives, it is now almost impossible for us to live without these things. We also had to pay the price in the process of modern achievements. Many things are destroying the happiness of modern people, including serious environmental problems, deterioration of human relations, heightened internal anxiety, and the prevalence of extreme materialist culture, and in turn, these are threatening the survival of civilization. In particular, the evil influence that modern civilization has on our spiritual side is very serious. The collapse of personality caused by the loss of confidences and doubt about their life is happening all over the place. Faceless terrorism is being carried out toward many and unspecified persons, and various phenomena that deny human dignity are revealed in the form of self-loss. Zhungzi's cultivation method will help to heal various pathologies caused by modern materialism and human - centered thinking. In this regard, the message that Zhungzi conveys can be regarded as a great idea that aims for freedom and equality of all mankind as well as simply spiritual and ideological freedom and preservation of life. 莊子는 老子에 이어 道家 哲學을 한층 발전시킨 인물로서, 당시의 백성의 삶을 깊이 관찰하고, 人間의 불행과 행복의 원인에 대해 깊이 성찰하여 자신의 철학체계를 구축한 인물이다. 그는 당시의 상황이 매우 열악하고, 백성이 고통스러운 상황에 빠진 것은, 우리 人間이 많은 욕망에 사로잡혀 있고, 또 서로 간에 경쟁한 데 그 원인이 있다고 보았다. 마음이 늘 불안하고 고통스러운 것은 과도한 욕망과 그 욕망을 충족하기 위한 경쟁 때문이라고 여겼다. 莊子는 人間을 세상 속에 파묻혀 사는 일반인이고, 다른 하나는 유위를 초월한 이상적 인격이다. 莊子는 일반인을 衆人, 庶人, 世人, 小人으로 말하고, 이들과는 다른 의식을 가진 사람을 聖人, 至人, 眞人이라고 하였다. 양자의 차이는 현실을 어떻게 이해하느냐로 구분하였다. 특히 성인, 지인, 진인은 잘못된 지식과 욕망으로부터 벗어난 존재로 보았고, 그들이 그러한 높은 경지에 이른 것은 心齋, 專一, 坐忘 등의 수양을 하였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논자는 莊子의 사상 체계가 지닌 적극적이고, 실천적인 면모를 확인해 보고자 한다. 또한 奇行에 가까운 그의 삶이 자신의 관념적 세계를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가 자신의 가치관을 어떻게 실천하였는지를 검토해 보고자 한다. 또한 전일, 심재, 좌망이라는 수양을 통해 그 결과로서 人間고통의 원인을 벗어나는 지극한 행복에 이를 수 있는 길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현대 사회는 참으로 많은 것을 성취한 시대이다. 과학과 기술의 발달에 인해, 우리는 예전과 비교할 수 없을 만큼 편리하고 안락한 삶을 누리고 있다. 물질적으로 풍요롭고 자연의 위협으로부터 해방된 현대는 그야 말로 인류의 이상을 성취한 시대로 생각될 수도 있다. 많은 국가들은 개인의 자유와 인권이 보장되는 민주적 정치 제도를 확립하였으며, 현대인들은 더 이상 독재자의 압제나 자의적인 권력의 행사로 인해 고통받지 않는다. 여성들의 사회적 지위나 인권의 보장이라는 면에서도 커다란 진전이 있었다. 현대가 이루어 낸 많은 성취들이 우리들의 삶을 크게 바꾸어 놓았기 때문에 우리들은 이제 이러한 것들 없이 살아가는 것이 거의 불가능한 지경에 이르렀다. 그런데 현대의 성취를 이루는 과정에서 우리들은 많은 대가를 치러야만 했다. 심각한 환경 문제, 人間관계의 악화, 내적 불안의 고조, 극단에 이른 물질주의 문화의 팽배 등을 포함해서 많은 것들이 현대인의 행복한 삶을 위협하고 있으며, 나아가 그것들이 문명의 존속을 위협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특히 현대의 문명은 정신적으로 많은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자신의 삶에 대한 懷疑와 자신감의 상실에서 오는 인격의 파탄 현상이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다. 불특정한 다수를 향해 얼굴 없는 테러가 자행되고 있며, 人間에 대한 존엄성을 부정하는 갖가지 현상들이 자기상실의 모습으로 드러나고 있다. 또한, 현대사회가 안고 있는 물질만능의 분위기로 인해 人間은 점점 더 이기적으로 변해 가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 직면한 우리들은 그 해결점을 찾기 위해 많은 가능성을 모색해 보아야 한다. 그러한 방편의 하나로 과거의 역사 속에서 논의 되었던 莊子의 修養論을 한번쯤 되새겨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莊子의 修養論이 물질만능주의와 人間중심적인 사고로 인해 발생하는 많은 현대적 병리현상을 치유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논자는 이러한 莊子의 메세지가 단순히 정신적이고 관념적인 자유나 생명의 보존뿐만 아니라 전 인류의 자유와 평등을 지향하는 위대한 사상이라고 본다. 莊子는 참으로 복잡하고 다양한 삶을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삶의 궁극적인 목적이 무엇인가?’ 하는 문제를 떠올릴 것을 주장한다. 욕망을 추구하고 충족시키는 것에 궁극적인 삶의 목적을 두는 현대적인 삶과는 달리, 莊子는 ‘참된 자기’를 깨닫고 실현하는 것이야말로 우리들의 삶의 궁극적인 목적이라고 주장한다. 이러한 莊子의 견해는 현대인들에게 새로운 삶의 방향을 만드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 프로젝트 학습을 기반으로 한 방과후학교 로봇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양혜경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교육분야에서 로봇은 지식정보시대에 요구되는 창의성, 문제해결력 등의 고차원적인 사고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도구임을 여러 연구에서 입증하고 있다. 이로 인해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방과후학교 수업에서 로봇 관련 강좌가 개설되어 활발히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지난 10여년간 방과후학교에서 실시된 로봇 교육에서는 항상 컨텐츠 부족과 학습자의 수준과 특성을 고려한 프로그램의 부족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의 목적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운영중인 방과후학교 로봇교실의 각 교구사별 교육 프로그램을 선별하여 각각의 특징을 비교․분석해 봄으로써 문제점을 찾는 등 방과후학교 로봇교실의 교육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 둘째, 문헌고찰을 통해 프로젝트 학습과 로봇교육의 관계성을 파악하고 프로젝트 학습 기반 방과후학교 로봇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셋째, 프로젝트 학습 기반 로봇 교육 프로그램을 현재 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학생들에게 적용해 봄으로써 효과를 검토할 수 있다. 이 연구는 대전광역시 A초등학교 8명(5학년 7명, 6학년 1명)과 B초등학교 3명(5학년 2명, 6학년 1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2013. 9월~11월간 진행하였고 자료수집은 교사가 수업자인 동시에 관찰자의 위치에서 프로젝트 학습 활동에 참여하여 활동 과정에서 일어나는 사건 및 학생들의 반응을 관찰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이 연구에서 나온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운영되고 있는 방과후학교 로봇 교육 프로그램은 로봇 기술 소양 교육에 치우쳐 기계적․기구적 동작원리에 대한 이해와 순차적 처리를 위한 단순한 프로그래밍 위주의 교육 내용으로 진행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므로 방과후학교 로봇 교육 프로그램을 다양화하여 학생들의 능동적 참여와 폭넓은 사고적 접근과 창의적 발상을 유도해 내기 위해 프로젝트 학습을 기반으로 한 교육 방법이 대안이 될 수 있다. 둘째, 프로젝트 학습을 기반으로 한 방과후학교 로봇 교육 프로그램은 학생의 자발성과 책임감을 길러주고, 집단 과제를 통하여 협동심을 신장시키고, 교과에서 배운 지식과 기능을 통합하는 경험을 제공하므로 방과후학교 로봇 교육 분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방과후학교의 로봇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하는 방법의 하나로 프로젝트 학습을 활용하면 학습자의 확실한 동기 유발, 자주성과 책임감 고취, 생활을 통한 실제적인 문제 해결의 기회 제공, 인내심과 성취감의 고취, 창조적․연구적 태도를 기르는 것과 협동정신, 지도정신, 희생정신 등 많은 사회적인 덕성을 함양하는데 교육적 효과가 나타난다.

      • 동판 Etching기법을 이용한 금속 조형 작품에 관한 연구

        양혜경 전주대학교 문화산업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장르를 해체하는 하는 의도에서 출발하였다. 순수미술과 응용미술, 평면과 입체의 이분법적 구분에 연연하지 않고 양자의 유연한 융합을 하는데 의미가 있다. 일종의 도식적으로 분할된 미술의 영역을 교차시켜 봄으로써 창작의 다양성을 환기시키고자 한다. 형식적인 면에서 조형적 변주를 시도하고자 했다. 인장(印章)으로 찍어낸 꽃의 이미지에 동판으로 단조(鍛造)한 오브제를 부착시킨 평면부조 그리고 동으로 만든 입체 화병이 그것이다. 이러한 실험들은 다양성, 실험성, 예술성과 같은 문맥들과 적극적으로 관계하면서 공예의 실용적 기능위에 예술적 평가의 일정부분에 목적이 있다. 또한 평면과 입체에 동원되는 재료들을 아크릴 물감, 수채, 유화, 동, 은, 에칭 등으로 다양화했다. 뿐만 아니라 작업의 과정에서는 물감의 색과 농도를 조절하여 의도하는 간단한 문양을 인장기법으로 연속적인 찍기를 반복했다. 그리고 동을 단조하여 용접과정을 거친 후 완성된 오브제를 유산에 담고 세척하였다. 또한 유황착색의 과정과 지나 회화 이미지에 관한 오브제를 조화시켜서 조형미에 중점을 두었다. 이런 형식적인 면을 통해 연구자 작품을 분석하였다. 작품들을 관통하는 주제는 음(音, 소리)이다. 연구자는 2013년 개인전 서문에서 “소리는 눈에 보이지가 않습니다. 귀에 들릴 뿐입니다. 귀에 들리니까 무엇이 있다는 것을 알 수는 있는데 보이지를 않습니다. 있기는 있는데 그 있는 것을 확인할 수가 없습니다. 소리는 보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손에 잡히지도 않습니다. 공간을 점유(차지)하고 있는 것도 아닙니다.” 라고 표현하였다. 공기는 눈에 보이지 않지만 공간을 점유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공간을 차지하고 있는 작품들을 통해 다양한 소리들을 듣고 비교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I have started to write down this thesis with the intent of overcoming the boundaries of genres. I have attempted to combine both pure and applied arts, and plane and cubic arts in order to avoid a dichotomous classification of them. I intended to awake diversity of creation through combination of segmented art forms like a kind of diagram. I attempted figurative variations on art forms. Examples include plane art attached to forged objects made of copper plate on the image of flowers stamped by seals and a three-dimensional copper vase. These experiments constantly combine diversity, experimental nature and artistic value, reflecting certain states of artistic impression across the practical prospect of crafts. In addition, I diversify materials which are utilized for both plane and cubic arts such as acrylic paints, watercolors, oil paints, copper, silver, etching, etc. Furthermore, I continuously stamp intended simple patterns over and over, using stamp techniques with adjusted color and concentration of paints. I forge copper, through welding processes, place completed object into acid, clean, and go through a sulphur coloration process. I harmonize picture images, taking into account the aesthetic value of a sculpture. I would like to closely examine my own pieces through various art forms. The penetrated theme of pieces is sound. “Sound is invisible. It is audible. We know there is something because we can hear but we can not see anything. There is something existing but we can not be sure. It is not only invisible but also fugacious. It does not occupy any space.” Air is invisible but it occupies space. In this thesis, I would like to listen to various sounds through several pieces which occupy space.

      • 초등학교 방과 후 학교 수학 수업의 운영 실태 및 개선 방안

        양혜경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방과 후 학교’는 학교 교육기능 보완, 교육복지의 실현, 사교육비 경감, 학교의 지역사회화라는 목표로 누구나 학교에서 최고의 다양한 교육을 받게 하고 사교육 수요를 학교로 흡수한다는 비전을 가지고 있다. 평생교육의 시대에 방과 후 학교는 사회교육의 일환으로 학교 교육을 보완하고 미래 사회의 주도적 역할을 담당할 창의적이고 심신이 건강한 인재 육성을 위하여 마련된 것으로 2012년 현재 전국의 초·중·고등학교에서 대부분이 방과 후 학교를 운영하고 있으며, 많은 학생들이 이에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이 진행되면서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방과 후 학교가 보다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초등학교 수학과 방과 후 학교 교육의 운영실태 와 학생의 인식 및 만족도를 설문조사하여 그 결과로 방과 후 학교 현장에서 효과적인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조사는 광주광역시 동구, 서구, 남구, 북구, 광산구에 위치한 10개교의 초등학교에서 방과 후 학교 수학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학생들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여 방과 후 학교 수학수업에 대한 학생의 인식 및 만족도를 설문 조사한 연구의 결과, 방과 후 학교 수학 수업은 주 2, 3회 1회 수업시 40분∼1시간 정도로 수업하고, 교재는 문제집을 수준별로 사용하고 있었다. 학생들의 방과 후 학교 수학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를 조사한 결과, 학생들의 요구는 주 3회 1회 수업시 40분 수업을 가장 선호하고 있었으며, 가장 먼저 개선 할 점으로는 다양한 프로그램이었으며, 희망하는 수업내용으로 게임중심으로 하는 교과 중심 프로그램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이러한 방과 후 학교 수학 수업의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는 수업시간, 수강료, 수강인원, 지도교사, 프로그램, 교재 등의 보통 이상의 수준은 높게 나타났다. 방과 후 학교에서는 수요자의 만족도가 중요한 정책 지표로 설정되어 있으며 운영 철학이 수용자 중심을 지향하고 있는 만큼 수요자의 요구에 맞는 프로그램 발로 인해서 부모님의 권유에 의해서가 아닌 학생 스스로가 흥미 느낄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로 인해 방과 후 학교 활성화에 중요한 지침이 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방과 후 학교 수요자인 학생의 인식으로 인한 가장 시급한 문제의 개선점을 제시 할 목적으로 흥미 유발을 위한 수업을 위하여 교구, 조작, 게임을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 유사 유명인모델의 사용이 모델의 공신력과 브랜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 제품 관여도 차이에 따른 효과분석을 중심으로

        양혜경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일반인에게 널리 알려진 유명인들의 목소리나 행동 등을 모방한 닮은꼴 인물들이 엔터테인먼트계에서 활약한 지는 꽤 오랜 시일이 지났지만, 이들이 본격적으로 광고계에 얼굴을 내민 지는 그리 오래 되지 않았다. 국내 광고계에 유사 유명인모델이 등장한 것은 1998년 기아자동차의 슈마 광고에 다이애나비를 닮은 유사 유명인모델이 선보인 것이 효시로 여겨지고 있으며, 이들이 가장 활발히 광고계에 등장한 것은 2001년부터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유사 유명인모델들이 광고계에 등장하고 있는 것은 실제 유명인모델보다 적은 제작비로 쉽게 광고를 제작할 수 있으면서도 유명인모델의 광고효과를 살릴 수 있다는 등의 이점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소비자들에게 친근감을 불러일으키며 진짜와 가짜를 가려내는 재미 등을 부가적으로 제공하기도 한다. 그러나 유사 유명인모델의 사용이 이점만 있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실제인물이 아닌 유사인물이라는 것이 소비자들에게 인지될 경우 브랜드 등에 대한 부정적인 소비자태도를 형성하거나 지나친 희화화로 실제 유명인모델과의 마찰을 불러일으킬 소지도 적지 않다. 또한 일반적으로 유명인모델과 유사 유명인모델의 광고효과를 비교할 때 유명인모델이 유사 유명인모델보다 더 효과적이라는 인식이 널리 퍼져 있고, 이문석(2002) 등의 선행연구에서도 이러한 인식이 그리 잘못된 것이 아니라는 것이 증명되고 있다. 그렇지만 제품관여도 등이 개입되더라도 마찬가지의 결과가 나올 것인지 등의 진척된 연구결과는 아직 나오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명인모델과 유사 유명인모델의 광고효과를 모델의 공신력과 브랜드 이미지 측면에서 살펴보되 제품관여도가 개입되지 않았을 때의 유명인모델과 유사 유명인모델 간 모델의 공신력과 브랜드 이미지의차이, 제품관여도가 개입됐을 때의 모델의 공신력과 브랜드 이미지의 차이를 검증하고자 했다. 그리고 보다 세밀한 검증을 위해 모델의 공신력은 진실성, 전문성, 매력성, 유사성의 4가지 측면에서, 브랜드 이미지는 기능적이미지, 상징적 이미지의 2가지 측면에서 유명인모델과 유사 유명인모델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실험제품은 저관여제품으로 펜, 고관여제품으로는 사전실험을 통해 자동차를 선정했으며 대학생 160명(남자 90명, 여자 70명)을 대상으로 각각 40명씩 저관여.유명인모델, 저관여.유사 유명인모델, 고관여.유명인모델, 고관여.유사 유명인모델로 구성된 4개 그룹으로 나눠 실험을 실시했다. 실험결과 저관여제품에서는 유명인모델과 유사 유명인모델 간에 p<.05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드러나지 않았으나, 고관여제품에서는 유명인모델이 유사 유명인모델보다 모델의 진실성, 전문성, 매력성과 기능적 브랜드이미지, 상징적 브랜드 이미지에서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앞으로 유명인모델과 유사 유명인모델의 기용방향을 제시해 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모델기용시 제품관여도에 유의해야 함을 알 수 있다. 즉 저관여제품에서는 모델의 공신력과 브랜드 이미지에서 유명인모델의 효과가 유사 유명인모델과 의미있는 차이가 없으므로 유명인모델의 대체모델로 유사 유명인모델을 기용하는 것도 하나의 좋은 방법으로 제시될 수 있다. 그러나 고관여제품에서는 유사 유명인모델보다 유명인모델을 기용하는 것이 모델의 공신력과 브랜드 이미지 측면에서는 보다 효과적인 만큼 유사 유명인모델보다 유명인모델의 기용을 적극적으로 고려해보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는 특정 제품, 특정 모델, 특정 실험집단에 국한돼 일반화하기에는 여러 한계점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앞으로 유사 유명인모델의 다양한 광고효과를 검증하고 보다 효과적인 광고모델의 기용방법을 모색하는 데 하나의 단초가 될 것으로 믿는다. These days, it is expected that the impersonator-advertising will increasingly appear in advertisements, especially commercials. Because impersonator-ads can eliminate the high cost of the famous celebrity. They have cost the same effect as celebrities with low fees. Especially, the social trend to block the imitation of products and impersonators is changing and some people even enjoy these things. What are the differences of the effects between celebrity-ad's and impersonator-ad's? This study focuses on exploring the effect of impersonators on model credibility and brand image, when compared to celebrities when the same parameters are involved in. One parameter is product involvement, which consists of low involvement and high involvement. This study is also based on the premise that a model's credibility is organized into trustworthiness, expertise, attractiveness, similarity and brand image consisting of a functional image and a symbolical image. Based on these, this study experimented on 160 Yonsei University freshmen, divided into four groups. These four groups are the low involvement-celebrity group, the low involvement-impersonator group, the high involvement-celebrity group and the high involvement-impersonator group. The results of experiment are as follows: In low involvement,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a model's credibility between celebrity and impersonator ads. But in high involvemen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credibility between celebrity and impersonator ads. That means celebrity is more effective in trustworthiness, expertise, attractiveness than impersonator ad, save the similarity. There i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imilarity between celebrity and impersonator ads even if the involvement is high. The results concerning brand image also show that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elebrity and impersonator ads when involvement is low. Bu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when involvement is high. That is, celebrity ads are more effective than impersonator ads in the areas of functional and symbolical brand image when involvement is high. From these results, we can see that product involvement affects a model's credibility and brand image and we must consider product involvement when employing a celebrity or an impersonator for an ads.

      • 창작무용 프로그램이 근긴장이상형 뇌성마비 성인의 균형, 보행 및 일상생활동작 기능에 미치는 영향

        양혜경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창작무용 프로그램이 근긴장이상형 뇌성마비 성인의 균형 능력, 보행 기능과 일상생활동작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관련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S시에 거주하는 근긴장이상형 뇌성마비 성인 중 자발적으로 참여를 원하고 본 연구에서 제시한 선정기준에 부합하는 사람 10명을 모집하였다. 실험군(N=10)은 S시에 위치한 복지관 강당에서 12주간 총 24회, 120분의 창작무용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대학교 IRB(1901-002-006)승인을 받아 진행되었다. 모든 연구 참여자는 사전과 사후에 동일한 환경 및 방법으로 균형 능력 (CoP, BBS, TUG)과 보행 기능(DGI)을 측정하였고, 일상생활동작기능 (K-MBI, K-ABC)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모든 자료는 Window SPSS 23.0 version을 이용하여 대응표본 t-검정(Paired t-test)과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Wilcoxon’s signed-ranks test)법으로 실시하여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통계적 유의수준은 p<.05로 설정하였다. 이상의 연구 절차를 거쳐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군의 균형능력의 동적 균형(TUG)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둘째, 실험군의 균형능력 중 정적 균형(CoP)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보였으며, 눈을 떴을 때 압력중심점의 이동 거리 및 면적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눈을 감았을 때 CoP 이동 거리 및 면적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나지 않았으나 사후 측정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실험군의 균형능력 중 기능적 균형(BBS)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실험군은 기능적 보행(DGI)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다섯째, 실험군의 일상생활동작기능 중 K-MBI와 K-ABC 설문조사 결과 실험군 참여자들이 자각하는 수정바델지수(K-MBI)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일상생활의 균형 자신감(K-ABC)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본 연구에서 실시한 창작무용 프로그램으로 인한 효과를 규명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본 연구는 창작무용 프로그램이 근긴장이상형 뇌성마비 성인의 균형 능력, 보행 기능 및 일상생활동작기능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12-week 24 session creative dance program on balance ability, gait function and daily living function of adults with dystonic cerebral palsy. Ten adults with dystonic cerebral palsy who met the inclusion criteria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experimental group (N=10) participated in a creative dance program for 120 minutes, 24 times in 12 weeks, in the auditorium of the welfare center located in S city. The study got the approval from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IRB) of Seoul National University(1901-002-006) to be proceeded. The balance ability (CoP, BBS, TUG) and gait function (DGI) of all participants were measured in the same environment and method. The participants also completed the survey of the activity of daily living function (K-MBI, K-ABC) before and after.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vention program was statistically analyzed by the Window SPSS 23.0 version.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above research procedures are as follows. First, the dynamic balance (TUG) of the balance abil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Second, the Center of Pressure (CoP) of the static balance abil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and the distance and area of the perturbation from the pressure of center point were decreased when the eyes were opened.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istance and area of the CoP when the eyes were closed, the post-measurement showed an increasing tendency. Third, there were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s in functional balance (BBS). Fourth,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functional gait ability (DGI). Fifth, according to the Korean-Modified Barthel Index(K-MBI) and Korean-Activity of Balance Confidence (K-ABC) surve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K-MBI that the participants of the group were aware of, but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K-ABC emerg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creative dance program conducted in this study.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study assures that creative dance program can effectively enhance the balancing ability, gait function, and daily living function of the adults with dystonic cerebral pals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