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 Quantile 회귀분석에 의한 접대비의 경영성과 기여도 차이 분석

        안학수 경남대학교 경영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begins with the assumption that the impact of corporate entertainment expenses on corporate performance differs by the level of corporate performance. Generally, it can be assumed that the firm with high level of performance has spent entertainment expenses which are more relevant to their profit generating activities and thus have higher level of impact to the performance. At the same time, it can be assumed that the firm with low level of performance has spent entertainment expenses which are less relevant to their profit generating activities and have lower level of impact to the performance. In other words, the firm’s performanc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which the entertainment expenses are relevant to their profit generating activitie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how the impact of corporate entertainment expenses on corporate performance differs among the firms with different levels of corporate performance. Previous studies for the corporate entertainment expenses have used typical OLS regression analysis which assumes that the regression coefficients are constant throughout whole sample firms with different levels of performance. Therefore, it was not feasible to find the differences of the regression coefficients which imply the relevance of entertainment expenses to the firm’s profit generating activities by using the typical OLS regression analysis and therefore could not be used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is of this study. This study used the quantile regression analysis which allows to estimate the differential impacts of the covariates(entertainment expenses) along the conditional distribution of the response variable(the firm’s performance). To test the hypothesis that the impact of corporate entertainment expenses on corporate performance differs among firms with different levels of performance, 0.25 quantile and 0.75 quantile of the firm’s performance was used in quantile regression analysis. In addition, these tests were performed to the samples for small and medium sized firms and for large sized firms, separat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 in OLS regression analysis, the regression coefficient of corporate entertainment expenses implied the effects of corporate entertainment expenses on corporate performance as 0.977 throughout whole sample firms, while in Q50 quantile regression analysis, it was 1.329 throughout whole sample firms. Therefore, Q50 quantile regression analysis tends to show higher level of the relevance of entertainment expenses to the firm’s profit generating activities than the typical OLS regression analysis. Second, in Q25 quantile regression analysis for companies with low level of performance, it showed a very high regression coefficient of corporate entertainment expenses, that is, 2.202. In Q75 quantile regression analysis for companies with high level of performance, it showed a very low regression coefficient, that is, 0.068, which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The test result of the difference between Q25 quantile regression coefficient and Q75 quantile regression coefficient was significant at 1% level. This result confirmed to the hypothesis that the impact of corporate entertainment expenses on corporate performance differs between firms with different levels of performance. This result, however, showed that companies with low level of performance have spent entertainment expenses which are more relevant to their profit generating activities, while companies with high level of performance have spent entertainment expenses which are less relevant to their profit generating activities. So this result showed the opposite relations to the assumption this study made. Third, for the case of control variables, company size and debt ratio showed consistent results with entertainment expenses. On the other hand, discretionary sales and management expenses, and foreign ownership rate showed opposite result from entertainment expenses. Welfare expenses of employees showed constant regression coefficient for all firms except for the extreme low or the extreme high performance firms. Fourth, the results from the large sized firms were almost consistent with that of whole sample firms. Finally, The results from the small and medium sized firms were not consistent with the result from whole sample firms and from the large sized firms. In the case of the small and medium sized firms, for the firms with mid-level performance, the regression coefficients of corporate entertainment expenses which imply the impacts of corporate entertainment expenses on the firms’ performance were the highest, while for the firms with low and high performance level, the regression coefficients were low and were not different. The results from the control variables showed similar results with that of whole sample firms and from the large sized firms. Taken together,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corporate entertainment expenses have heterogeneous impact on the firms’ performance depending on the level of firms’ performance and size of the firms. 본 연구는 ‘기업의 경영성과에 따라 지출된 접대비의 경영성과 기여도가 다를 것이다’라는 가정에서 출발한다. 일반적으로 경영성과가 높은 기업은 업무관련성이 높은 접대비 즉, 경영성과 기여도가 큰 접대비를 지출한 결과에 기인하는 반면, 경영성과가 낮은 기업은 접대비 지출은 있으나 업무관련성이 낮은 접대비 즉, 경영성과 기여도가 낮은 접대비를 지출한 결과라고 예상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기업의 경영성과는 접대비 지출의 업무관련성 즉, 경영성과 기여도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경영성과가 높은 기업의 접대비 기여도와 경영성과가 낮은 기업의 접대비 기여도가 차이를 보이는 지를 고찰하는데 있다. 기존의 접대비에 관한 연구에서는 대부분 전형적인 회귀분석을 사용하므로 표본에 포함된 경영성과가 높은 기업과 경영성과가 낮은 기업 모두가 동일한 접대비 기여도를 가정하게 되어 이러한 가설을 검증할 수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평균값만을 예측하지 않고 다양한 분위수에 대해서도 예측치를 제공하는 Quantile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경영성과가 높은 기업의 접대비 기여도와 경영성과가 낮은 기업의 접대비 기여도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즉, 0.25 분위의 경영성과와 0.75 분위의 경영성과에 있어서 접대비의 경영성과 기여도를 비교함으로써 접대비의 경영성과 기여도를 검증하였다. 접대비의 경영성과 기여도 차이 검증은 전체 표본에 대해서만 아니라 대기업과 중소기업을 세분하여 각각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OLS 회귀분석의 경우, 접대비 1원의 경영성과 기여도는 0.977인 반면, 경영성과가 중간인 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Q50 Quantile 회귀분석의 경우, 접대비 1원의 경영성과 기여도는 1.329로 나타나 Quantile 회귀분석의 경우 조금 더 높은 경영성과 기여도를 보여 주었다. 둘째, 경영성과가 낮은 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Q25 Quantile 회귀분석의 경우, 접대비 1원의 경영성과 기여도는 2.202원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지만, 경영성과가 높은 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Q75 Quantile 회귀분석의 경우, 접대비 1원의 기여도는 0.068원으로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둘의 차이는 1% 수준에서도 유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접대비의 경영성과 기여도가 일정하지 않고 경영성과 수준에 따라 달라진다는 본 연구의 가설과는 일치하는 것이나, 경영성과가 낮은 기업이 오히려 높은 기여도를 보여 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가설과 정반대의 결과를 보여주었다. 셋째, 통제변수의 경우에는 기업규모와 부채비율에 있어 접대비와 동일하게 경영성과가 낮은 기업에서 높은 기여도를 보여 주는 반면, 재량 판매비와 관리비와 외국인보유율에 있어서는 경영성과가 높은 기업에서 높은 기여도를 보여 주었다. 이에 반해 복리후생비는 양극단을 제외하고는 기여도가 일정하였다. 넷째, 대기업 표본에 동일한 검증을 실시하였으나 전체 표본에서의 결과와 거의 동일한 결과를 보여 주었다. 다섯째, 중소기업 표본에 동일한 검증을 실시한 결과 접대비의 경우 전체 표본 및 대기업 표본과 다른 양상을 보여 주었다. 중소기업의 경우 경영성과가 중간인 기업에서 접대비의 기여도가 가장 높았으며, 경영성과가 낮은 기업과 경영성과가 높은 기업에서는 기여도가 차이가 나지 않는다는 결과를 보여 주었다. 접대비를 제외한 다른 통제변수들의 경우에 있어서는 전체 표본 및 대기업 표본과 유사한 결과를 보여 주었다. 이를 종합하면, 본 연구의 결과는 접대비의 경영성과 기여도가 경영성과 수준과 기업 규모에 따라 달라진다는 실증적 증거를 제시하고 있다는 것이다.

      • 포도의 꽃떨이(花振) 防止에 關한 硏究 : 生長調整物質이 포도의 꽃떨이와 果實의 크기에 미치는 影響...

        원세호 東國大學校 1965 국내박사

        RANK : 248587

        切接을 행할 때 接穗 및 接着部의 乾操를 防止하여서 癒合組織의 形成을 良好하게 하기 위하어 從來 切接施行後 接穗의 끝이 若千 보일 程度로 土壞으로서 被覆하거나 接着部를 接獵으로 被覆하거나 하였으나 接着部를 미리 비닐을 가지고 被覆하고 그위를 비닐로 結?하면 作業이 簡便할 뿐아니라 經費도 적게 들을 것 같아서 本試驗을 행한 結果는 다음과 같다. 1) 接獵이나 비닐로 接着部를 被覆하여 接穗및 接着部의 乾燥를 防止한 試驗區는 活着率이 良好하였다. 따라서 切接에 있어서는 作業面 및 經濟面으로 보아 비닐로 接着部를 미리 被覆하고 비닐로 結?하는 것이 가장 經濟的 實用的 方法이라고 할 수 있다. 2) 崩芽期, 展葉期 및 그 後의 生育에 었어서는 各區보다 差異를 認定할 수 없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