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보호관찰 청소년의 비행 위험요인 및 보호요인과 학교적응의 관계

        안지현 전남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이 연구는 보호관찰을 받고 있는 비행 청소년을 중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과 비재학중인 청소년을 구별하여 이들의 학교적응을 살펴보고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 보호요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비행 보호요인 및 위험요인 중 학교적응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찾아서 비행 청소년들의 학교적응에 예방적 도움을 주어 학교 탈락률을 낮추도록 하여, 학교에서의 실질적인 개입 지점을 찾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대상은 보호관찰을 받고 있는 G시에 거주하고 있는 비행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할당표집 하였다. 설문지는 총 95부 회수하였으나 불성실한 답을 하는 등 부실한 자료를 제외하고 82부를 분석하였다. 측정도구는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문항들을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for Window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다변량분산분석(MANOVA),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학 중인 보호관찰 청소년 집단이 비재학중인 보호관찰 청소년 집단에 비해 비행 보호요인 전체와 모든 하위요인에서 낮은 평균점수를 나타냈다. 이는 재학 중인 보호관찰 청소년 집단과 비재학중인 보호관찰 청소년 집단 간 비행 보호요인 점수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비행 보호요인의 하위변인 별로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이러한 차이는 학교 보호요인에서 비롯된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는 재학 중인 보호관찰 청소년들이 비재학중인 보호관찰 청소년들에 비해 전반적으로 많은 보호요인을 갖고 있으며, 특히 학교관련 보호요인 측면에서 그 차이가 크게 나타나고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재학 중인 보호관찰 청소년 집단과 비재학중인 보호관찰 청소년 집단 간 비행 위험요인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는 재학 중인 보호관찰 청소년 집단이든 비재학중인 보호관찰 청소년 집단이든 비행 위험요인에 별 차이가 없음을 의미한다. 셋째, ‘재학 중인 보호관찰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비행 보호요인의 4개 하위요인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를 검증하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비행 보호요인의 4개 하위요인 중 개인보호, 가족보호 및 지역사회 보호요인은 유의하지 않았으며, 학교 보호요인만이 학교적응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재학 중인 보호관찰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비행 위험요인의 5개 하위요인 모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를 검증하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비행 위험요인의 5개 하위요인 중 개인위험, 또래위험, 가족위험 및 지역사회 위험요인은 유의하지 않았으며, 학교 위험요인이 학교적응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보호관찰을 받고 있는 비행 청소년의 재학여부에 따라 비행 보호요인 수준이 다름을 알 수 있었다. 재학 중인 보호관찰 청소년 집단의 보호요인 수준이 비재학중인 보호관찰 청소년 집단보다 높았으며, 학교적응에 가장 유의한 영향력을 보이는 비행 보호요인은 학교 보호요인이, 비행 위험요인은 학교 위험요인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를 기초로 보호관찰 청소년의 학교탈락을 방지하고, 보다 넓게는 재 비행을 예방하기 위한 학교에서의 예방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으리라 본다. 비행 보호요인 중 학교요인 즉, 학교에서의 적극적인 지지야말로 이들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확실한 변인이므로 재학 중인 비행 청소년 지도 시 개별적인 교육과정에 대한 지도 ․ 연구와 실제적인 교사지지 증진을 위한 교사의 자기계발 및 비행청소년의 학교흥미를 증진시킬 수 있는 다양한 학교 내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의 적극적인 개발이 필요하다 하겠다.

      • 무용 전공생의 대학원 진학 기대요인과 만족도

        안지현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무용 전공대학원생의 대학원 진학 기대요인을 살펴보고, 대학원 진학 전후를 비교를 통해 진학 기대와 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하여 대학원의 질적 개선 및 발전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 문제들은 1) 무용전공 대학원생의 대학원 기대요인은 무엇인가 2) 무용전공 대학원생의 대학원 기대 및 만족도는 어떠한가를 확인했다. 기대 및 만족도의 경우 일반적 만족도, 기대 대비 만족도, 직업 유무에 따른 만족도로 하위 요인을 구성해 대학원 전반의 기대에 대한 각각의 충족정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 및 경기도 지역 소재의 일반대학원 무용학과 석사 과정 수료생 이상인 27명을 대상이었다. 교육서비스 품질의 일반적 기대 및 만족도와 하위 요인별 기대 및 만족도는 설문지를 실시하였으며, SPSS18.0 프로그램을 통해 빈도분석, 요인 분석, 신뢰도 분석 그리고 기대와 만족 간의 차이를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했다. 질적 연구 질문지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위해 전문가 3인의 집단을 중심으로 구인 타당도를 검증하였고, 질적 연구 결과는 주제 분석을 수행했다. 그 결과, 무용 전공 대학원생은 진학당시 배움요인에대한 기대감이 높았으며, 교육과정의 교과목에 대한 만족도는 전반적으로 실기보다는 이론에 대한 만족감이 높게 나타나 특이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교육서비스 품질 중 대학원생활 지원에 대한 만족감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직장 종사자와 비직장인의 경우 대학원에 만족감을 나타내는 요인에 일부 차이가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무용 대학원에 대한 기대요인 및 기대 정도가 다양한 요인에서 나타남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각 요인별 만족도 향상을 위한 개선방안을 모색하고, 대학원생들의 진로 선택 및 향후 목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교육 서비스를 제공해야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xpected factors of graduate school students majoring in dance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expectations and satisfaction before and after graduate school to suggest ways to improve and develop graduate school quality.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confirmed 1) what are the expected factors of graduate school students majoring in dance 2) what are the expectations and satisfaction of graduate school students majoring in dance. In the case of expectation and satisfaction, sub-factors were composed of general satisfaction, satisfaction compared to expectation, and satisfaction according to job presence,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for each graduate school as a whole was examin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7 students who completed the master's course in the dance department of general graduate school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the general expectations and satisfaction of educational service quality and expectations and satisfaction by sub-factors, and an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conducted on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differences between expectations and satisfaction through the SPSS18.0 program. For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qualitative research questionnaire, construct validity was verified by a group of three experts, and thematic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qualitative research results. As a result, graduate students of dance major had high expectations for learning factors at the time of admission, and overall satisfaction with subjects in the curriculum was higher with theory than with practice. In addition, among the quality of educational services, satisfaction with graduate life support was the lowest, and in the case of office workers and non-workers,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factors indicating satisfaction with graduate school. Although the expectation factors and the level of expectations for the graduate school of dance appeared in various factors, the overall satisfaction with them was low.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necessary to seek improvement measures to improve satisfaction for each factor and to provide educational services that can significantly affect graduate students' career choices and future goals

      • 집단미술치료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안지현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on Children's Self-Regulation and Peer Competenc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impacts of group art therapy on children’s self-control ability and peer competence. The research covers three main topics: 1. What are the impacts of group art therapy on children’s self-control ability? 2. What are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have on peer competence? 3. How do self-control ability and peer competence shown during the group art therapy change over time? This study recruited 12 children with an average score of 80 to 100 by conducting preliminary tests on all 20 5-year-olds at a daycare center located in H, Gyeonggi-do. The recruited children were agreed by parents, and 6 out of 12 children were assigned wirelessly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remaining 6 to the control group. The collective art therapy conducted on the experimental group was conducted once a week for 40 minutes for 12 weeks from March 18, 2021 to June 10, 2021. For data analysis, SPSS 28.0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For research tools, self-control ability evaluation tool and peer competence scale were used. Mann-Whitney U test was performed in order to compare homogeneity between the test group and control group. Wilcoxon signed-rank test was used to compare the pre- and post-effect between the test group and control group. In addition, the changes of individual self-control ability and peer competence were qualitatively analyzed based on the observation log and the recordings of the test group.  The findings from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pre-and post- comparative analysis on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indicates that overall self-control abilities produce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z=-2.20, p<.05). By examining the sub-factors of self-control abilitie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on self-evaluation and emotionality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on self-decision and behavior inhibition. Second, group art therapy has a positive impact on peer competence. By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group art therapy on children’s peer competence, statistically meaningful outcomes were shown on the overall peer competence (z=-2.20, p<.05) as well as specific sub-categories such as sociability, pro-sociability, and leadership. Lastly, changes in the children’s psychological states during the group art therapies were qualitatively positive in respect to self-control ability and peer competence. In the early phase of the experiment, while the participants in the test group were unable to effectively control their emotions and behaviors, their ability to focus and concentrate gradually improved throughout the therapy sessions. Moreover, they were able to improve their emotional stability by learning how to express and diffuse their emotions and to increase peer competence by effectively resolving conflicts between peers and developing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refore, this research concludes that group art therapy produces positive impacts to children on their self-control ability and peer competence, thereby giving opportunities for them to grow into mature citizens of the society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유아의 자기조절 능력과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가 유아의 자기조절 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집단미술치료가 유아의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집단미술치료 과정에서 나타난 유아의 자기조절 능력과 또래 유능성의 변화는 어떠한가이다. 본 연구는 경기도 H에 소재한 어린이집 만 5세 20명 전체에 사전검사를 하여 평균점수 80점~100점 사이의 유아를 12명 모집하였다. 모집된 유아는 학부모의 동의를 받았으며, 유아 12명 중 6명은 실험집단으로 나머지 6명은 통제집단으로 무선배정하였다. 실험집단에 실시된 집단미술치료는 2021년 3월 18일부터 2021년 6월 10까지 12주간에 걸쳐 주 1회 40분씩, 총 12회기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조절 능력 측정 도구와 또래 유능성 척도를 사용하였고 SPSS 28.0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집단 간 동질성 검정을 위해 비모수 검정인 맨 휘트니의 U 검정(Mann-Whitney U Test)을 하였으며 사전·사후 효과성 검증을 위해 윌콕스부호 순위 검정(Wilcoxon signed-rank test) 실시하였다. 또한, 집단미술치료 과정에서 나타난 자기조절 능력과 또래 유능성을 질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유아의 자기조절 능력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전·사후 비교분석 결과 전체 자기조절 능력은 통계적으로(z=-2.20, p<.05)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자기조절 능력의 하위요인을 살펴본 결과 자기평가, 정서성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지만 자기결정과 행동억제 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유아의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전·사후 비교분석 결과 전체 또래 유능성은 통계적으로 (z=-2.20, p<.05)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래 유능성의 하위요인을 살펴본 결과 사회성, 친 사회성, 주도성에서도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났다. 셋째, 집단미술치료 과정에서 나타난 심리적인 변화를 질적으로 살펴보면 유아의 자기조절 능력과 또래 유능성에서 긍정적 변화를 가져왔다. 치료 초기에 유아들은 자신의 감정이나 느낌을 표현하지 못했으나 집단미술치료 과정을 통해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능력이 향상되었으며, 이로 인해 또래 간의 갈등문제를 해결해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여 또래 유능성이 향상된 변화를 볼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유아의 자기조절 능력과 또래 유능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살펴봄으로써, 앞으로 유아가 성장해나가며 이사회의 성숙한 사회인으로 성장해나갈 기회를 제공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 다중 직업 종사자로서 예술가들의 예술 실천 : 시각 예술가의 불안정성과 자율성을 중심으로

        안지현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실제 문화생산 현장에서 행해지는 시각 예술가들의 예술 실천 궤적을 추적함으로써 문화 산업 내 만연한 불안정성에 맞서기 위해 이들이 어떠한 전략을 구사하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간 시각 예술가들은 개인 작업 활동에만 매진하는 반시장 지향적 성향을 가진 존재들로 묘사되어 왔다. 그러나 오늘날 시각 예술가들은 창작 활동, 예술 관련 일, 비예술 일을 모두 착종하며 적극적으로 경제적 이윤 창출 방안을 모색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오늘날 시각 예술가들을 예술의 수월성(excellence) 개념에 고립된 주체로 한정하지 않고 사회 내에서 다양한 전략을 구사하는 다중 직업 종사자로 정의한다. 본 연구는 시각 예술가들이 다중 직업 활동을 병행하게 될 때 직면하는 불안정성의 양상을 드러내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과정에서 새롭게 나타나는 예술 실천의 함의를 밝히고자 하는 것에 연구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중 직업 종사자로서 시각 예술가들이 마주한 불안정성의 유형을 살펴보고, 불안정성의 극복 방안으로서 제시될 수 있는 예술 실천의 전략적 측면을 조명하고자 했다.이를 위해 시각 예술가들의 경험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적합한 분석 틀이 제시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먼저 다중 직업 종사의 배경과 예술가의 불안정성을 다루고 있는 문헌들을 검토하였다. 또한 예술가들이 자율성에 기인한 모순과 긴장을 수반하며 다중 직업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는 사실을 인지함에 따라 피에르 부르디외(Pirre Bourdieu)의 예술 장(field)의 자율성 개념, 창의 노동의 자율성 개념,예술 기업가 정신의 자율성 개념을 종합한 분석 틀을 활용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종합적 관점으로서 제시된 분석 틀을 적용해 다변화된 예술 실천의 발화지점을 밝히고, 예술가들의 자율성이 역동적으로 구성됨에 따라 생산되는 예술 실천의 전모를 알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세 가지로 정리될 수 있다. 첫째, 시각 예술가들은 창작 활동, 예술 관련 일, 비예술 일을 교차하며 중층적인 직업 정체성을 형성하고 있었다. 이들은 창작 활동 중에도 예술 기업가적 행보를 보이며 작품의 유통과 관련한 일을 총괄하고자 한다. 또한 예술 관련 일, 비예술 일로부터 얻게 된 경험을 자신이 활용할 수 있는 자원으로 전환해 새로운 예술 실천의 발판으로 삼고자 하는 움직임을 보였다. 둘째, 다중 직업 종사자로서 시각 예술가들의 경험에서 확인할 수 있었던 불안정성은 경제적 불안정성, 정체성 혼란, 커리어 불안정성으로 정리된다. 특히 경제적 불안정성-정체성 혼란-커리어 불안정성은 모두 긴밀하게 연결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오늘날 시각 예술가들로부터 전개되고 있는 예술 실천은 ‘매개적 실천’의 특성을 가진다. 여기서 ‘매개적 실천’은 다중 직업 종사자인 시각 예술가들이 자신의 불안정성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촉진되었다. 시각 예술가들은 매개적 실천을 통해 미술계 안과 밖 사람들과 교류하며 이들과의 상호 작용을 중시하고자 하는 새로운 자율성을 구성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다중 직업 종사자인 시각 예술가들에 의해 생산되는 새로운 예술 실천의 발화지점과 그 함의를 가시화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궁극적으로 예술가, 정책, 향유자 간의 관계가 호혜적 관계로 도약하는 데 본 연구가 작은 보탬이 되었으면 한다.

      • 아동미술 교육에서 프뢰벨의 놀이교육이 미치는 영향 연구

        안지현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에는 창의적인 사고와 창의적인 발상을 소재로 한 어린이 교육 프로그램들이 홍수처럼 쏟아지고 있는 추세다. 어릴 적 경험하고 느낀 것 들이 밑바탕이 되어 자란다는 것을 많은 문헌과 자료를 통해 이미 입증이 되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유아나 아동을 둔 부모들은 비용의 부담을 안고서라도 더 좋은 환경과 특별한 커리큘럼이 짜여진 유치원을 선호하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필자는 유아나 아동의 감성적인 부분을 헤아릴 수 있는 프뢰벨의 놀이교육을 미술과 접목하여 생각해 보았다. 유아와 아동은 미술활동을 통해서 심미성과 창의성 발달은 물론 신체, 사회, 정서 ,인지 발달을 한다. 그 중 가장 중요한 창의적 발달은 미술활동을 하면서 발생되는 다양한 문제를 남과 다른 방식으로 해결하려고 하면서 창의력은 물론 창의적인 태도가 길러지게 된다. 또한 어떤 재료와 도구를 사용하여 다양한 표현을 할 것인지를 생각하면서 표현력이나 감성이 발달된다. 이런 점이 내가 유아 미술활동을 프뢰벨 놀이교육과 접목시켜 생각하게 된 이유이다. 이번 연구를 통해 가장 기본적인 것에서부터 가베교구들이 창안 되었다는 점이 아동의 성장과정과 매우 흡사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교구들을 살펴보면서 생활에서 얼마든지 착안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들을 아이들이 손쉽게 다루고 부모가 지도하기에 유용한 놀이가 된다는 사실도 조사가 되었다. 최근 유치원미술 교육과정에서의 방향은 유아에게 스스로 기회를 제공하고 스스로 표현하게 하는 창의적인 표현활동을 중심으로 하고 있다. 필자의 이번 논문연구 결과를 통해, 정답이 없는 정답을 찾기 위해서 끊임없이 노력하고 놀이해 온 결과물들을 보고 칭찬해주고 보듬어주는 조력자의 역할을 찾는데 많은 도움이 미치기 바라며 글을 마친다.

      • 관광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에 대한 질적 시스템다이내믹스 분석 : 북촌일대를 중심으로

        안지현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북촌일대의 관광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시도되었다.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본 연구는 관광지의 성장과 한계로 말미암아 ‘관광지는 과연 지속가능할 수 있는가’라는 문제제기를 시발점으로, Butler의 관광지수명주기 개념을 토대로 관광지 진화의 순환적 인과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동태적인 분석을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다이내믹스 기법을 활용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북촌이라는 관광지에서 발생한 젠트리피케이션의 인과순환구조를 밝혀 관광지 시스템의 진화 과정을 규명하는 것이었다. 우선,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젠트리피케이션의 원인은 일반적으로 인구학적 요인, 산업의 구조적 변화, 주택요인, 정책요인이었다. 그러나 다양하고 복잡하게 얽힌 젠트리피케이션의 경우 사례별로 나타나는 현상이 상이하므로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복잡하고 다양해서 여전히 인과관계를 명확히 검증하는데 한계가 있어왔다. 그럼에도 관광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의 사례에서 도출된 보편적인 특징은 지역개발과 급속한 자본의 진입으로 상업화되었고, 상업화를 부추긴 특수계층의 전입으로 원주민들이 전치되었으며, 도심이 삶의 터전으로서의 의미를 상실하고 외부인들을 위한 관광지가 되었다는 점이다. 또한 관광지가 되어가는 과정에서 공간이 변화됨으로 인해 지역의 자원과 정체성이 훼손되어갔고, 결국 지속가능한 관광지로서의 한계를 드러냈다는 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을 통해 고찰된 내용을 종합하여 ‘북촌’의 ‘관광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을 다음과 같이 조작적으로 정의하였다. 즉, 북촌의 관광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은 ‘전통문화유산, 문화예술인과 같은 문화적 고유성이 내재되어 있는 특정 지역이 유명세를 치르며 관광지화 되어가는 과정에서, 그 지역의 잠재적인 투자가치를 인식한 중산층과 관광객이 몰려와 동네의 변화 즉, 공간의 재구조화를 일으키는 복잡하고 역동적인 관광현상’이다. 아울러 관광지의 성장과 한계로 말미암아 Butler의 관광지수명주기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고찰한 결과, 크게 Butler(1980) 이전의 연구, Butler(1980)모형을 적용하거나 응용한 연구, 그리고 Butler(1980)모형의 한계를 비판하며 이론적 확장 및 대체모형을 제안한 연구로 구분할 수 있었다. 많은 연구자들이 다양한 시각과 방법으로 연구를 시도하였지만 여전히 한계가 드러났다. 특히 Butler의 관광지수명주기는 관광지의 지속가능성을 전제로 제시되었다는 점에서, 수명주기 추정뿐만 아니라 각 단계의 과정적 변화에 대한 검증이 주요 화두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다수의 연구에서는 결론적으로 방문객 수만 검토하는 약점이 있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여 복잡하고 동태적인 관광지시스템의 불확실성으로 말미암아 관광지가 성장하고 쇠퇴해가는 과정의 순환적 인과관계를 검증할 수 있는 방법으로, 시스템다이내믹스 기법의 핵심사상인 시스템사고를 활용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북촌일대의 관광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을 이해하고, 수명주기에 따른 관광지의 진화 과정을 시스템사고로 파악하여 관광 젠트리피케이션의 원인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궁극적으로 북촌이라는 복잡한 관광지시스템의 본질적인 구조를 규명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북촌의 관광지수명주기는 전형적인 ‘성장의 한계’ 라는 피드백 원형구조를 보이며, 현재 강화단계에 직면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북촌은 성장보다 균형을 통해 안정을 이루는 음(-)의 피드백 루프를 보이고 있었으며, 전반적으로 지연이 결합된 음의 피드백 구조를 보임으로써 파동을 연상케 하였다. 이에 북촌의 관광지 진화 구조는 ‘관광지수용력’, ‘상업화와 상업화로 인한 공간변화’, ‘자원관리’ 라는 3가지 요인을 중심으로 동태적인 관광지의 순환 구조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관광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의 구조와 원인을 살펴본 결과, 본 연구에서는 ‘관광지수용력의 한계’, ‘상업화와 공간변화로 인한 빈익빈 부익부’, ‘자원관리와 공유지의 비극’ 라는 인과피드백 구조를 도출할 수 있었다. 특히, 북촌의 상업화와 자원관리의 측면은 발전단계에서는 양(+)의 피드백 루프를 보이다가 강화단계에 이르며 음(-)의 피드백 루프로 전환되면서 시스템을 지배하는 피드백 루프가 변했다. 따라서 북촌의 관광지수명주기는 성장을 지속한다거나 균형을 유지하는 정책을 펼치기 어렵고, 성장과 쇠퇴의 반복주기를 나타내며 파동을 보일 가능성이 클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에 대한 논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북촌의 강화단계와 같이 음(-)의 피드백 루프에 시간지연이 결합된 구조는 파동을 보이며 변화에 저항할 수 있음을 제시했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보면 변화를 시도하기보다 안정적이고 자연스러운 흐름에 맡기는 전략이 요구됨을 제시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북촌의 관광지 진화 구조의 성장과 쇠퇴에 있어 수명주기의 티핑 포인트 시기를 파악해볼 필요성을 제안했다. 끝으로 관광 젠트리피케이션의 구조적 원인(‘관광지수용력의 한계’, ‘상업화와 공간변화로 인한 빈익빈 부익부’, ‘자원관리와 공유지의 비극’)을 토대로 정책지렛대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관광지 수용력의 한계는 물리적 수용력과 사회적 수용력을 개선(예를 들어, 화장실과 주차장 증설)시킴으로써 관광지의 수용여력을 개선시킬 수 있다. 그러나 지연이 내재된 음(-)의 피드백 루프의 경우, 이러한 대책이 과잉행동으로 회귀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관광코스에 따라 수용할 수 있는 관광객의 범위를 면밀하게 산출하여 적절히 통제하고 분산시킬 수 있는 방법이 보다 근본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제안했다. 둘째, 상업화와 공간변화에 대한 빈익빈 부익부는 두 개의 양(+)의 피드백 루프가 양극단으로 치우쳐 악순환을 보이는 구조다. 이에 빈익빈 부익부의 매커니즘은 사회구조와 결부된 문제라는 인식 하에 정부의 의도적인 정책개입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울시가 현재 시행하고 있는 대형 프렌차이즈 입점 제한, 북촌지구단위계획 재정비를 넘어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을 신속히 재검토할 뿐만 아니라 사회적인 인식이 함께 개선될 필요가 있음을 제안했다. 셋째, 자원관리와 공유지 비극은 Ostrom(1990)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자발적 협력 즉, 공동체의 자치적인 관리를 통한 자원관리가 이루어질 필요성을 제안했다. 현장연구를 통해서도 정부보다는 오랜 기간 살아온 지역주민들이 북촌의 지역적 상황과 특성에 대한 이해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관광지의 지속가능성이란 주민들의 자발적인 참여와 다양한 분야 간의 협업을 통해 점진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제시했다.

      • 통합적 독서 토의 활동이 읽기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안지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학생들의 읽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독서 토의 활동을 구안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읽기란 글을 읽으면서 독자가 글의 의미를 구성하는 과정으로 읽기 교육에서는 학생들의 의미 구성 과정을 중요시 하여 다른 사람과 작품에 대해 상호 작용하는 활동을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실제 교육 현장에서는 의미 구성 과정보다는 필자의 의미 전달에 치중하고 있다. 의미 구성 과정의 중요성에 따라 이루어지는 독서 토의 활동도 구체적이고 체계화 된 안내 없이 진행되어 작품 이해와는 다른 방향으로 전개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글의 의미 구성과 관련 있는 토의 활동에 대한 선행 연구들은 읽기 교육 중 정의적 영역에 치중하고 있다. 교육의 효과란 정의적 영역에 국한하여 이루어질 수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독서 토의 모형 중 작품에 대한 이해와 해석을 점검하는 활동을 통해 이해력을 높이고, 책 읽기에 자신감을 가지고 즐겁게 활동하게 하는, 읽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통합적 독서 토의 활동을 모색하여 개발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개발한 통합적 독서 토의 활동이 학생들의 읽기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밝힘으로써 글의 의미 구성을 위한 학습이라는 읽기 교육의 본질적 의미를 되살린 방법을 마련하여 보고자 한다. Ⅱ장에서는 학생들의 의미 구성 과정 중 다른 사람과의 상호 작용을 통해 글에서 의미를 획득한다는 사회적 구성주의 이론을 바탕으로 읽기 학습에서 토의 활동이 필요함을 고찰하였다.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통합적 독서 토의 활동의 필요성으로 우선 독서 토의 활동과 읽기 능력을 관련지어 독서 토의 활동으로 글을 깊이 있게 이해하고, 적극적으로 읽는 태도를 가지게 되어 읽기 능력이 향상되었음을 밝혔다. 통합적 읽기 교육과 읽기 능력을 관련지어서는 실제 생활 모습과 비추어볼 때 언어 기능은 통합적으로 교육하는 것이 효과적이고, 특히 읽기는 쓰기와 함께 이루어지면 기능 향상에 효과적이라는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독서 토의 활동 중 학습자 스스로 자신의 이해력을 점검하고 해석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통합적 독서 토의 모형에 대해 탐색하였다. 그리고 그 효과적인 운영을 위해 통합적 독서 토의 활동을 학생 수준에 맞게 구안하였다. Ⅲ장에서는 통합적 독서 토의 활동 후 읽기 능력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연구 대상 및 절차, 검사 도구, 통합적 독서 토의 활동의 교수-학습 모형 등을 다루었다. 연구 대상으로 충주시 ○○초등학교 6학년 한 학급 학생 21명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진행을 위해 통합적 독서 토의 활동을 ‘토의 준비 과정 → 토의 과정 → 작품 내면화 및 평가 과정’ 으로 구체화하였다. 그리고 학생들이 독서 토의 활동을 어려움 없이 할 수 있도록 교사가 제작한 통합적 독서 토의 활동지에 따라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구안한 통합적 독서 토의 활동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읽기 능력을 사전&#8228;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통계 처리하였다. 읽기 능력을 글의 의미를 구성하는데 수행되는 능력으로 정의하여 읽기 이해와 읽기 동기 두 가지 측면으로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양적 결과에서 부족한 부분은 학생들의 활동 결과지와 인터뷰, 통합적 독서 토의 활동에 대한 반응 설문지를 바탕으로 질적 분석도 병행하였다. Ⅳ장에서는 자료 분석 결과와 논의를 정리하였다. 요약하자면 통합적 독서 토의 활동은 읽기 능력에 유의미한 효과를 주었다. 읽기 이해 측면에서는 활동지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통합적 독서 토의 활동 후 학생들의 읽기 이해력이 향상되었고, 그에 따라 읽기 동기도 높아졌다. 읽기 이해 면에는 ‘어휘력’, ‘내용 확인’, ‘추론’, ‘평가 및 감상’의 모든 부분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가져왔다. 읽기 동기 면에는 ‘읽기 도전심’, ‘읽기 호기심’, ‘읽기 효능감’, ‘사회적 상호 작용’ 이 향상되었고, '읽기 회피‘요인을 줄이는 매우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통합적 독서 토의 활동이 읽기 능력에 준 영향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적 독서 토의 활동은 학생들의 읽기 이해 능력을 향상시켰다. 학생들은 소집단별로 작품에 대해 토의하기 위해 작품을 집중하여 읽고, 서로 토의하는 과정을 통하여 읽기 이해력을 키울 수 있었다. 학습자 수준별로 보면 이미 읽기 이해의 모든 하위 기능을 지닌 상위 수준의 학습자는 통합적 독서 토의 활동을 통해서 정교화고 세련된 높은 수준의 읽기 이해력을 갖추게 되었다. 중위 수준의 학습자는 추론과 평가 및 감상력에서 많이 발전된 모습을 발견하였다. 또한 작품 내용을 정확히 이해하게 되면서 비문학 작품 이해력이 향상되었다. 하위 수준의 학습자는 이전의 낮은 어휘력과 내용 확인 능력으로 작품 내용을 이해하지 못하던 모습에서 벗어나 글의 내용 파악을 정확하게 할 수 있는 단계로 발전되었고, 미숙하지만 작품 내용을 추론하고 평가, 감상하려는 노력도 엿볼 수 있었다. 둘째, 통합적 독서 토의 활동은 학생들의 읽기 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학생들은 토의 활동을 통해 개인 수준의 읽기에서는 알 수 없었던 내용들을 친구들과 토의를 통해 알게 되면서 자신감을 얻게 되었다. 학습자 수준별 변화 모습을 보면 상위 수준 학습자의 경우 스스로 글을 잘 읽는다고 생각하는 독자 효능감과 책 읽기 자체의 즐거움으로 독서를 강화시키는 내적 동기가 높아졌다. 또한 다른 사람과 작품에 대해 이야기하고, 읽기 회피 요인을 줄이려는 노력도 보였다. 중위 수준 학습자는 독자 효능감과 책 읽기 자체를 즐거워하는 내적 동기가 향상되었다. 또한 이전에는 교사의 안내에 따라 책을 읽었지만 활동 후 스스로 읽는 방법을 찾는 모습도 발견되었다. 하위 수준 학습자는 낮은 독자 효능감을 극복하려고 노력하는 모습이 발견되었다. 또한 만화 위주의 책이 아닌 긴 글도 읽어 보려하면서 읽기 호기심이 높아진 것을 알 수 있었다. 독서 토의 활동을 통해 글의 의미를 잘 이해하게 된 경험으로 학생들은 읽기에 대한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게 되었다. 하지만 단기간에 이루어진 독서 토의 활동으로 인하여 읽기 교과서에 제시된 작품을 위주로 진행하다 보니 독서에 대한 학생들의 호기심을 실제 독서 활동으로 확대&#8228;발전시키지 못했다. 따라서 장기간 동안, 교과서 밖의 다양한 작품을 통해 통합적 독서 토의 활동이 이루어진다면 본질적인 의미를 되살린 읽기 교육과 학생들의 긍정적인 독서 생활 습관 형성에 가치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항만보안 업무 개선에 관한 연구

        안지현 한국해양대학교 글로벌물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재 우리나라는 코로나-19로 경제적, 사회적, 국제적 관계에서 많은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코로나-19는 우리나라의 경기침체의 위험과 함께 소득의 양극화를 가중 시키며 경제의 불균형을 가져왔다. 과거부터 저출산, 독거노인, 고독사 등 사회적 문제를 가지고 있는 상황에서 찾아온 코로나-19는 사회적 문제들을 더욱 가중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이러한 경기침체 중에도 4차산업, 빅데이터, 언택트, 자동화 등은 상대적으로 더욱 발전하는 기회가 되었다. 코로나-19 팬데믹은 국제적 교류나 물류의 흐름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이는 항만운영에도 직접적 영향을 주었다. 그 동안 세계경제는 미중무역전쟁으로 원활하지 못하였고 코로나-19 팬덱믹 이후 세계 각국의 경제 성장은 마이너스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국제적 물류의 통로인 국제항만 또한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다양한 변화를 맞이하며 기존의 잘못된 관행과 새로운 업무 창출 및 개선의 필요성이 제기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움직임은 항만의 보안을 담당하는 회사들도 예외일 수 없다. 본 연구는 항만보안 업무에 관한 연구로 항만에서 근무하는 직원들과 항만을 운영하는 회사 그리고 항만과 관련한 법률들을 연구하고 문제점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며 항만보안 업무의 공정성과 지속성을 확보하여 코로나-19 이후 항만보안 업무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국제항만의 보안에 가장 중요한 법률인‘국제항해선박 및 항만시설의 보안에 관한 법률’(약칭:국제선박항만보안법)을 2009년 4월 1일 공포하고 시행 하였다. 이 법은 시행 이후 지금까지 수시로 개정 되었으며 현재는 항만보안업무에 주요 법률로 항만의 보안과 발전에 이바지하고 있는 법률이다. 그러나‘국제항해선박 및 항만시설의 보안에 관한 법률’이 생길 당시 이전의 기존 항만보안과 관련한 법률을 정리하지 못하였고 이는 약 17개 부처에서 약 17개 법률에 의하여 항만의 보안업무와 관련한 중복업무를 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이고 북으로는 북한이 있어 사람이나 물류가 타국으로 가기위해서는 바다의 배와 하늘의 비행기를 타는 2가지 방법뿐이다. 그러한 의미에서 항만은 국가의 중요한 시설이고 그 중요성 만큼 관리의 주체도 다양하다. 그리고 국내 경제와 항만은 엄청난 성장을 하고 있는 반면 법률이나 제도는 그에 따라 가지 못하는 한계를 보였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 이전에도 다양한 연구자들이 비슷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항만의 보안업무 개선 사례로 첫째, 인력운영의 효율성을 연구 하였으며 둘째, 기존의 전통적 보안업무와 코로나-19 이후 비전통적 보안업무의 융합에 관한 연구이다. 셋째, 항만보안업무의 독립성에 관한 깊이 있는 연구와 넷째, 기존 여러 법률의 통합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로 인력운영의 효율성은 현재 우리나라의 국제항만에 근무하는 보안요원들이 청원경찰과 특수경비원으로 나누어져 같은 업무를 수행하고 있지만 임금이나 근로조건 면에서 차별이 있으며 특히, 특수경비원은 발전소, 기타공공기관의 관사를 관리하는 업무와 달리 항만보안 업무는 법적으로 업무범위 이상의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는 것이다. 둘째, 기존의 전통적, 물리적 보안과 새로운 비전통적보안의 융합이다. 항만 내 보안사고로 기존의 전통적보안의 테러, 밀수입, 밀입국, 재해예방 등의 업무를 말하며 비전통적보안으로는 바이오테러, 사이버테러, 다수의 인원에게 행하여지는 보안위해 행위 등이 포함된다. 현재의 보안업무는 전통적 보안업무 위주이다. 셋째, 항만보안 업무의 독립성으로 최근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확산된 감천항의 외국인 선원 코로나-19 감염은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되었다. 그러나 더욱 문제가 되는 것은 그 이후로도 반복되어 국내 감염자가 발생한다는 사실이다. 이는 각 기관들 간의 중복된 업무로 전담기관의 부재가 그 원인이라 하겠다. 항만보안과 관련한 업무는 해양수산부산하기관, 항만공사자회사, 경찰청관할, 해양경찰청관할 등의 중복업무에서 벗으나 언젠가는 항만보안 업무를 전담하는 전문기관으로 통합이 필요한 시점이다. 끝으로 시사점은 항만자동화, 스마트항만 등 항만의 자동화에 따른 세계 어디에서나 PC, 모바일 등으로 자동화 항만장비에 대한 해킹테러가 가능하게 되었다. 이에 항만보안을 위한 정보통신의 보안까지 그 영역을 확장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또 빅데이터, 생체인식 등을 통한 항만보안의 자동화와 4차 산업혁명과 관련하여 국제항만 하역업무는 항만자동화를 통해 스마트항만으로 발전을 하고 있지만 항만보안과 관련한 부분은 4차산업으로 전환이 미흡한 실정이다. 그리고 기존 여러 법률의 통합은 현재 약 17개 부처, 약 17개 법률로 나누어져 있는 항만보안 관련 법률의 통합이 시급하다. 밀입국 사건 하나만 보아도 세관, 법무부, 경찰, 해양경찰, 지역방위군 등 밀입국 사건에 대해 모두 관련이 있는 기관이다. 이는 좋은 일은 다 본인들 관할이라고 하는 것이고, 안 좋은 일은 다 본인들의 관할이 아니라고 하는 명분이 된다. 그리고 기관들 간 중복업무로 인한 문제점들도 많이 발생하였다. 이처럼 본 연구 논문은 다양한 분야의 연구를 통하여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국제항만의 보안 업무에 대하여 발전 방안을 연구하고 제시하였다. Currently, Korea is facing many changes in economic, social and international relations due to COVID-19. COVID-19 has caused economic imbalances, adding to the polarization of income along with the risk of a recession in Korea. COVID-19, which has come at a time when people have social problems such as low birthrates, elderly people living alone, and lonely deaths, has contributed to further social problems. Even during this economic recession, the fourth industry, big data, untact, automation, etc. became an opportunity to develop relatively further. The Covid-19 pandemic had a significant impact on international exchanges and logistics flows, which directly affected port operations. In the meantime, the global economy has not been smooth due to the U.S.-China trade war, and economic growth in each country has been negative since the COVID-19 Pandemic. International ports, the conduit of international logistics, also faced various changes with the Covid-19 pandemic, raising the need for existing practices and creating and improving new tasks. The move is no exception for companies in charge of port security. This study was a study of port security work, to study port employees, companies that operate ports, and laws related to ports, systematically analyze problems, and to improve port security work after COVID-19. The International Seaports and Port Facilities Act, which is the most important law for the security of international ports, was promulgated and enforced on 1 April 2009. The Act has been revised frequently since its implementation and is now a major law in port security affairs, contributing to the security and development of ports. However, at the time of the International Sailing Vessels and Port Facilities Act, the previous port security laws were not compiled, which led to the overlapping of the port security operations in about 17 ministries. Korea has three sides of the sea and North Korea, so there are only two ways for people or logistics to go to other countries: a ship in the sea and an airplane in the sky. In that sense, ports are an important facility for the country and as important as they are, there are various management entities. And while the domestic economy and ports are growing tremendously, laws and institutions have shown limitations that cannot go accordingly. In this regard, various researchers conducted similar studies before this study. This study studies the efficiency of personnel operations as an example of improving security operations in ports, and secondly, the convergence of traditional security operations with non-traditional security operations after COVID-19. Third, in-depth research on the independence of port security operations and fourth, research on the integration of existing laws was conducted. First, the efficiency of manpower management is that security guards working at Korea's international ports are divided into security guards and security guards, but discriminate in terms of wages and working conditions. Second, the fusion of traditional and physical security and new non-traditional security. Security incidents in ports refer to traditional security such as terrorism, smuggling, smuggling, and disaster prevention. Non-traditional security includes bio-terrorism, cyber-terrorism, and security hazards to a large number of people. Current security operations are focused on traditional security operations. Third, due to the independence of port security work, the infection of foreign sailors at Gamcheon Port, which has recently spread in the face of the Covid-19 pandemic, has become a major social problem. What is more problematic, however, is the fact that there has been a repeat of cases since then. This is a duplicate work between each agency, and the absence of a dedicated agency is the cause. The work related to port security is removed from overlapping tasks such as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subsidiaries of the Port Corporation, the National Police Agency, and the Coast Guard, but one day it is necessary to integrate into a specialized agency dedicated to port security. Finally, the implication is that hacking attacks on automated anti-tank costs are possible anywhere in the world with PCs and mobile devices due to port automation and smart port automation. This suggests the need to expand its scope to the securit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for port security. In addition, international port loading and unloading operations are developing into smart ports through port automation in connection with the automation of port security and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rough big data and biometric recognition. And the integration of existing laws is urgent to integrate port security laws, which are currently divided into about 17 ministries and about 17 laws. They say that the smuggling case alone is all related to smuggling cases such as customs, justice, police, maritime police, and local defense forces. This is a justification for saying that all the good things are under their jurisdiction, and all the bad things are not under their jurisdiction. And there are many problems caused by overlapping work between institutions. As such, this research paper researched and presented development plans for security operations in international ports after the COVID-19 pandemic through research in various fields.

      • 중환자실 입원환자의 구강간호 프로토콜 개발

        안지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중환자실 입원 환자의 최신의 근거에 기반한 효율적인 구강간호를 수행하는데 지침이 되는 표준화된 구강 간호 프로토콜을 개발하기 위하여 시도된 방법론적 연구이다. 연구 진행 방법은 먼저, 중환자 구강간호 관련 국내외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와 임상지침 또는 프로토콜 등의 분석을 토대로 프로토콜 초안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토콜 초안의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중환자실 경력 5년 이상 전문가 25명의 내용 타당도 검증 및 실제 프로토콜을 사용할 중환자실 경력 1~10년의 간호사 4명을 대상으로 사용자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타당도 검증 과정을 통해 프로토콜 초안을 수정?보완하여 최종 프로토콜을 개발하였다. 최종 프로토콜은 중환자 구강간호의 필요성, 구강간호 준비, 구강 사정, 구강간호 중재, 정리 및 기록을 주 내용으로 구성하였으며 구체적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문헌검색 과정을 통해 국내외 중환자 구강간호 관련 체계적 문헌 고찰 연구 9편과 프로토콜 연구 5편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문헌의 분석을 통해 구강간호 중재 방법에서 치태 제거 및 구강내 균 발생 예방을 위한 화학적 방법으로 클로르헥시딘 용액이, 구강내 치태 제거를 위한 기계적 방법으로는 칫솔이 적절함을 알 수 있었다. 2. 중환자의 구강간호를 위한 프로토콜 초안의 항목은 구강간호 관련 문헌의 내용을 기초로 선정하고 각 항목에 포함된 모든 내용을 바탕으로 프로토콜 초안을 구성하였다. 프로토콜은 중환자실 입원환자 구강간호의 필요성, 구강간호 준비, 구강 사정, 구강간호 중재, 정리 및 기록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3. 중환자실 입원 환자의 구강간호를 위한 프로토콜 초안은 25명의 전문가로부터 내용 타당도를 검증하였으며, ‘구강건조 예방을 위해 2시간 마다 또는 사정결과에 따라 필요할 때마다 물을 면봉 또는 거즈에 적셔 구강 점막에 적용 한다’ 항목을 제외하고 다른 항목 모두 CVI 지수 0.80 이상이 산출되었다. 4. 내용 타당도를 검증한 프로토콜 초안은 전문가의 제언을 토대로 수정한 후, Y 대학병원 심장내과 중환자실의 경력 1~10년 간호사 4명을 대상으로 사용자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프로토콜을 적용한 구강간호의 평균 소요 시간은 8분 30초 이었으며, 프로토콜의 흐름과 수행과정 및 사정내용의 기록과 관련하여 다양한 의견이 제시되었다. 5. 전문가 내용 타당도 검증과 사용자 타당도 검증을 통해 프로토콜 초안을 수정?보완하여 최종 프로토콜을 완성하였다. 최종 프로토콜은 5 단계로 이루어지며 중환자실 구강간호의 필요성, 구강간호 준비와 구강 사정, 간호 중재, 기록 및 평가 항목으로 구성된다. 각 단계별 내용은 구강간호의 필요성 단계에서는 구강간호의 중요성과 목적에 관한 내용으로, 구강간호 준비 단계는 물품 준비, 자세, 손 씻기, 장갑 끼기, 환자에게 절차 설명, 칫솔질시 주의사항에 관한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구강 사정 단계는 BRUSHED-Teeth 구강 사정 도구를 이용한 구강사정과 구강 통증 사정 및 의식 수준 사정, 간호 중재 단계에서는 기관내 삽관 여부에 따라 칫솔질과 0.1% hibisol적용, 구강 점막 건조 예방을 위해 물의 적용, 입술에 바세린 적용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마지막으로 정리 및 기록 단계에서는 물품 정리, 장갑 벗고 손 씻기 및 수행 내용 기록하기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구강간호 프로토콜은 구강간호를 위한 간호 교육의 한 방법으로, 중환자실 환자의 구강건강 상태와 합병증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또한 최신 근거에 기반한 표준화된 간호 중재를 제공하고 평가하여 중환자의 구강 문제와 주요한 합병증인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의 발생률 감소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