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시민참여교육 프로그램 요구분석 : 수원시민을 대상으로

        안주현 아주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에서 포괄적으로 다루어져 왔던 평생교육프로그램에서 시민참여교육영역의 프로그램이라는 하나의 세부적 연구 맥락에서 다루었다. 이를 위해 김진화 외(2010), 정윤재 외(2009), 이해주(2010)에서 다루었던 시민참여교육 영역을 시민 책무성 프로그램 9개 문항, 시민리더역량 프로그램 10개 문항, 시민참여활동 프로그램 7개 문항으로 총 26개 문항, 3개 영역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시민참여교육프로그램의 우선요구를 도출하기 위하여 수원시에 거주하는 대학생 이상의 일반성인 25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설문 응답이 불완전한 경우 19명을 제외하고, 총 233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평생교육의 확대로 평생교육 프로그램이 양적‧질적으로 다양해지고 학습자의 학습에 대한 다양한 요구들이 발생됨에 따라 시민참여교육 영역의 평생교육프로그램에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현재수준과 필요수준의 차이를 통해서 구체적인 시민참여교육에 대해 우선순위를 알아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번 연구에서 조대연(2009)의 설문지기법을 활용한 우선순위 결정과정을 활용하여 다음과 같은 요구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t검증을 통해 전체 시민참여교육 프로그램과 성별, 시민참여교육의 3가지 영역에 대한 현재수준과 필요수준의 차이를 파악하였다. 둘째, Borich의 요구도 공식에 의해 요구도 값을 산출하여 가중치에 따른 우선순위를 나열하였다. 셋째,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통해 4개의 평면에 항목들의 위치를 결정하였다. The Locus for Focus 모델은 2개의 축으로 구성되었으며, X축의 중앙값은 중요 수준의 평균값이며 Y축의 중앙값은 현재수준과 중요수준의 차이정도의 평균값을 의미한다. 넷째, The Locus for Focus 모델의 1사분면에 포함된 항목수를 파악하여 그 수만큼 Borich 요구도의 우선순위에 포함된 항목들을 결정하였다. 다섯째, Borich 요구도 우선순위 항목들과 The Locus for Focus 모델의 1사분면에 제안된 항목의 중복성을 확인하여 중복된 상위 우선순위에 해당되는 항목을 최우선순위 요구로 결정하였다. 두 방법 중 하나에만 해당되는 항목은 차 순위 항목으로 분류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분석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시민참여교육에서 전체 문항 중 최우선 순위에 포함된 항목은 자주대화하고 소통하는 교육과정인 대한민국 선진화와 시민리더십 문항으로 시민리더역량 프로그램 요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남자, 여자의 성별에 따라서 요구하는 시민참여교육 프로그램이 서로 상이하였다. 남자는 시민참여활동 영역의 토론 능력을 통한 갈등해소의 의사소통프로그램에 대한 요구가 높았으며 여성은 자주대화하고 소통하는 교육과정인 시민리더역량 영역의 대한민국 선진화와 시민리더십프로그램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나 두 집단 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시민참여교육 영역 중 시민 책무성 프로그램에서는 생태적 삶의 실천인 자원봉사나 사회적기업의 운영이 시민리더역량 프로그램에서는 대한민국 선진화와 시민리더십이, 시민참여활동 프로그램에서는 갈등해소를 통한 의사소통에 대한 요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자유학기제를 위한 수학기반 융합형 수업 자료 개발 및 적용

        안주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자유학기제의 추진목적과 기본방향에 부합하는 수학기반 융합형 수업 자료를 개발하고, 이를 자유학기제 공통과정 수학 수업시간에 적용함으로써 학생들에게서 관찰 가능한 핵심역량을 분석하는 것이다. 자유학기제의 추진목적은 지식과 경쟁 중심 교육을 자기주도 창의학습 및 미래지향적 역량 함양이 가능한 교육으로 전환하고, 공교육 변화 및 신뢰회복을 통해 학생이 행복한 학교생활을 제공하는 것이다. 기본방향은 교과별로 특성에 맞게 학생 참여·활동 중심 교육을 강화하고,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다양한 수업방법을 마련하는 것이다. 또한 특정 기간에 집중하여 실시하는 중간·기말고사 등 지필시험을 실시하지 않고, 형성평가, 자기평가 등 다양한 평가 방법을 통해 학생의 성취 수준을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교수·학습 및 평가 자료는 자유학기제가 시행되고 있는 중학교 1학년 2학기 작도와 합동 단원을 선정하여 미술, 사회 과목과 융합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자료의 설계 과정과, 실행 과정을 구체적으로 진술하였으며, 자유학기제의 교수·학습 및 평가 자료로 적합한지 확인하기 위해 분석하였다. 또한 수업 자료를 실제 수업에 적용했을 때, 미래사회에서 요구하는 핵심역량을 증진하는데 효과적인지에 중점을 두고 연구하였다. 융합 프로그램의 개발은 김진수(2012)가 제시한 PDIE 모형의 절차를 바탕으로 준비, 개발, 실행, 평가 단계로 진행하였다. 준비 단계에서는 문헌과, 선행 연구를 살펴보고, 자유학기제가 시행되고 있는 1학년 2학기 수학, 미술, 사회 과목의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수업 진행에는 한국과학창의재단(2012)에서 제시한 융합인재교육의 학습준거를 바탕으로 상황 제시, 창의적 설계, 감성적 체험의 3단계로 구성하였다. 연구대상은 1학년 2학기 자유학기제를 채택한 광주 소재의 K중학교 1학년 한 학급을 선정하였다. 개발 단계에서는 ‘나만의 국기 디자인하기’를 주제로 각 차시별 활동주제와, 활동과제의 수업목표를 선정하여 총 4차시로 구성하였으며, 이를 구체적으로 하여 교수·학습 과정안을 작성하였다. 개발을 한 뒤, 박현주 외(2012)가 제시한 융합 프로그램 수업 설계 준거 틀을 활용하여 점검하였다. 실행 단계에서는 개발한 수업 자료를 실제 수업에 적용하는 단계로, 1차시에는 모둠별로 국기를 분류해보고, 국기 내에서 사용된 도형과 수학적 성질을 살펴보았으며, 국기 내에 도형과 색의 의미를 찾아서 정리하여 발표하는 활동을 진행하였다. 2차시에서는 기본적인 작도법과, 분할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 연습하였으며, 3-4차시에는 태극기를 작도해보고, 나만의 독창적인 국기를 디자인하는 활동을 한 후 발표를 진행하였다. 평가 단계에서는 본 연구의 문제를 분석하는 것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 대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발한 수업 자료가 자유학기제의 공통과정 수학 수업으로 적합한지 알아보기 위해 학생들의 대화와 행동, 산출물, 평가지 및 교사·학생과의 면담 자료를 바탕으로 자유학기제의 목적과 기본방향을 정리한 틀을 근거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창의력, 의사소통 능력 등 미래지향적 역량이 드러났으며, 수업에서의 전반적인 활동이 학생들의 주도적인 참여에 의해 전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동료평가, 자기평가 등 다양한 평가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자유학기제의 평가 방안으로도 적합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개발한 수학기반 융합형 수업 자료가 자유학기제의 목적과, 기본방향에 상당 부분 부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수학기반 융합형 수업을 적용했을 때 드러나는 학생들의 핵심역량을 알아보기 위해 실제 수업에서 학생들을 관찰하고, 산출물, 평가지, 면담 자료를 활용하였다. 그 근거로 2015 개정에 따른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수학 교과에 대한 핵심역량과, 이광우 외(2008)가 제시한 미래 사회 한국인의 핵심 역량을 참고하여 분석틀을 제시하였다. 모둠 활동, 개인 활동에서 학생들은 다양한 아이디어를 제시하였고, 그 중에 최적의 아이디어를 선택하고 표현하는 활동에서 문제 해결 역량이 드러났다. 여러 가지 작도법을 익힌 후 학생들은 연역적, 귀납적으로 사고하는 과정에서 추론 역량을 보였다. 자신만의 국기를 디자인하는 과정에서 과제집중력, 자발성을 보였으며, 독창적이고 정교한 표현을 통해 창의·융합 역량이 드러났다. 수업의 전반적인 활동에서 대화와 발표를 통해 자신의 의견을 말하고, 상대방의 의견을 들어줌으로써 의사소통 역량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인터넷을 활용하여 다양한 정보를 찾아 선별하였으며, 여러 정보를 활용하는 모습에서 정보처리 역량이 드러났다. 마지막으로 학생들 스스로 학습을 계획하고 관리하여 실행하였으며, 다른 사람을 존중해주고, 서로 도와주는 모습을 통해 태도 및 실천의 역량을 확인하였다. 위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자유학기제의 추진목적과 기본방향에 부합하는 수업으로 융합형 수업은 한 가지 방법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융합 수업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며, 교사들의 관심이 필요하다. 둘째, 교사의 일방적인 강의식 수업으로 발견할 수 없었던 다양한 역량을 이번 학생 참여중심의 수업을 통해서 발견할 수 있었다. 미래사회에서는 인지적인 부분뿐만 아니라 다양한 역량을 강조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도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므로 우리나라에서도 이에 맞춰 자유학기제를 활용한다면 학생들로 하여금 다양한 역량을 배양시킬 수 있다. 셋째, 자유학기제에서는 수업을 학생들의 참여·활동 중심으로 하되, 교사는 안내자 및 수업의 중심을 잡아주는 역할을 해야 한다. 학생 참여 중심의 수업에서는 교사의 일방적인 수업보다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자칫하면 어수선해 질 수 있으므로 교사가 중심을 잡아줘야 한다. 또한 자유학기제의 수업시간에 예상하지 못한 변수가 생길 수 있으므로 교사는 융통성과 전문성을 발휘하여 수업을 조절해야 한다.

      • 에너지 환경 빅데이터 기반 실시간 에너지 진단 프레임워크 설계

        안주현 경희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에서는 에너지 비용의 급격한 변동 및 인상에 따른 비용절감이 필요함에 따라, 에너지 환경 빅데이터(Bigdata) 기반 실시간 에너지 진단 프레임워크 설계를 통해 에너지 절감 방안의 토대를 마련하고, 하둡(Hadoop) 플랫폼의 활용 및 서비스의 확대를 통해, 에너지 IT 분야의 미흡한 빅데이터 실시간 처리 기술 개발을 극복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연구목표를 에너지 분석 기반 하둡 플랫폼, 실시간 에너지 분석 및 검증 그리고 에너지 데이터 설비운영 분석엔진으로 나누어 진행하였으며, 에너지 분석 기반 하둡 플랫폼에서는 PC급 저비용 클러스터 및 상용 건물에너지 플랫폼을 구축하여 기존 서버 대비 유지비용을 1/10수준으로 낮추었다. 이를 기반으로 대규모의 에너지 이종데이터를 수집․변환․적재․분석․관리하기 위한 하둡 서버 클러스터를 구축하였다. 실시간 에너지 분석 및 검증에서는 서버에서 추출되는 실시간 발생 데이터에 대해 고속 안정적으로 처리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였으며, 그래프DB를 활용한 고속 분석엔진을 통해 데이터를 고속으로 분석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에너지 데이터 설비운영 분석 엔진에서는 에너지 소비요인에 의한 현재 상태와 설정 온도에 의한 타겟 상태를 정의하여, 실시간 분석을 위한 대규모 데이터 초고속 검색엔진을 구축한다. 이를 기반으로 네비게이션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설비 운영 방안 예측을 진행하게 된다. 본연구의 결과물인 빅데이터 기반 실시간 에너지 진단 프레임워크를 설계를 통하여, 건물 내․외부에서 발생하는 에너지․환경 빅데이터를 통한 에너지 소비원인을 분석하기 위한, 에너지․환경 빅데이터 수집․저장, 분석,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파이프라인을 최종적으로 구축하였다. 추후 상용화를 위한 실증사이트를 확보하여 본 기술들을 적용하고, 에너지 빅데이터 산업의 경쟁력 확보 및 시장 확산에 기여하고자 한다. Abstract Designing Real-time Energy Diagnosis Framework Based on Energy Environment Big Data In this research, as the cost reduction due to the rapid change and increase of energy cost is needed, the foundation of energy saving method is laid by designing the real-time energy diagnosis framework based on energy environment big data. Through the expansion of utilization and service, research was conducted to overcome the development of insufficient big data real-time processing technology in energy IT field. The research goals were divided into energy analysis-based Hadoop platform, real-time energy analysis and verification, and energy data facility operation analysis engine. In the energy analysis-based Hadoop platform, PC-level low-cost clusters and commercial building energy platforms were established to maintain maintenance costs compared to existing servers. Lowered to 1/10 level. Based on this, Hadoop server cluster was established to collect, transform, load, analyze and manage large-scale energy heterogeneous data. In the real-time energy analysis and verification, we built a system that can process the real-time generated data extracted from the server at high speed and stability, and can analyze the data at high speed through the high-speed analysis engine using the graph DB. The energy data facility operation analysis engine defines the current state due to energy consumption factors and the target state based on the set temperature, and builds a large-scale data high-speed search engine for real-time analysis. Based on this, the navigation algorithm is used to predict the facility operation plan. Through the design of big data based real-time energy diagnosis framework, the result of this study, energy, environmental big data collection, storage and analysis to analyze the causes of energy consumption through energy and environment big data generated inside and outside the building. Finally, the data pipeline for the service was finally built. Applying these technologies by securing a demonstration site for future commercialization, and contribute to securing competitiveness and expanding the market of the energy big data industry.

      • 조선시대 언간의 음운 현상에 대한 계량적 연구

        안주현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39

        The present thesis sheds light on the phonological changes appearing in vernacular letters (eongan), which were written throughout the Modern Korean period and provides one of the materials for Korean language history research, by applying a quantitative research methodology. Vernacular letters have been approached in terms of decipherment and interpretation with great precision thus far and linguistic research achievements based on the decipherment of vernacular letters abound. Nonetheless, there are little studies focused on compiling and quantitatively analyzing the vernacular letters of the Joseon dynasty. The value of this thesis lies in that it copes with such shortcomings by building a corpus of the Joseon vernacular letters based on which a phonological study has been carried out and it contributes to Korean phonological history by expanding data for Korean language history and applying a new methodology. This study is based on 1,422 vernacular letters written between the late 16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These letters were first deciphered and then compiled into the Joseon Eongan Corpus, which consists of 148,052 words. In order to analyze the phonological phenomena appearing in the letters, a problem-oriented annotation was conducted on the eojeol (Korean word units) related to phonological phenomena. The Noble Families’ Eongan Corpus, which consists of nine large-scale types of vernacular letters, and the Royal Family’s Eongan Corpus, solely composed of the letters written by members of the royal family, were further compile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research. Chapter 2 establishes the quantitative research methodology for the study of the vernauclar letters of Joseon dynasty and examines the literary characteristics of the vernacular letters, the method for analyzing phonological changes in vernacular letters, and the building process of the Joseon Eongan Corpus. First, in terms of literary characteristics, the vernacular letters can be described by their orality and their formality. Although the vernacular letters are written in Hangul, language conception needs to be considered along the language medium as they belong to a genre consisting of everyday tidings. However, particular attention is needed when analyzing phonetic changes based on written characters because letters constitute a type of data where the formality of the contents may vary depend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nder and the receiver. Secondly, th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phonological changes entails the understanding of the causes and processes of phonological changes, the phonetic realizations following the progressive stages of phonological changes, and the lexical diffusion based on the notations that reflect phonological changes as prerequisite. This thesis argues that the speaker’s articulatory mechanism and the listener’s perceptual changes are crucial factors in phonological changes. The chapter also explores how the lexical diffusion of a phonological change through notation can be analyzed when the phonological change is not directly reflected in the notation. Thirdly, the Joseon Eongan Corpus compiled by the present author is a corpus of historical Korean wherein the annotation of phonological phenomena has been added to the raw corpus once the manuscripts of the letters were deciphered. Furthermore, it was made into an ‘annotated corpus’ by adding markup information, such as letter category, sender, receiver and writing date, was added to each eojeol for more efficiency in the analysis of the phonological phenomena. Chapter 3 presents the analysis results yielded by applying the research methodology developed in Chapter 2 and provides an interpretation of these results through the lens of historical phonology. The phonological phenomena under study in the present thesis are concerned with three typical changes of the Modern Korean period, namely the change of ㆍ, the ㄷ palatalization, and the ‘ㅡ>ㅜ’ vowel rounding. Each section of Chapter 3 consists of three or four subsections. The first one reviews the phonological issues related to each relevant phonological phenomenon. The second subsection focuses on the phonological issues that have been highlighted in previous studies and presents the phonological change patterns in the Joseon Eongan Corpus by classifying them by vernacular letter types and by sociolinguistic variables. Finally, the third subsection proposes a phonological interpretatio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from the Joseon Eongan Corpus and develops the present author’s argument on each phonological phenomenon.

      • 1970-1980년대 '기독교 민중가요'에 나타난 개신교 역사의식 연구

        안주현 숭실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1970-1980년대에는 사회 각계각층에서 반독재와 민주화를 향한 열망으로 민주화 운동이 활발히 일어났다. 민주화 운동에 참여한 이들은 주로 중·고등학생과 대학생, 민주화 운동의 일환으로서 노동해방을 외친 노동자였다. 즉, 민주화 운동은 청년들에 의해 주도되었으며 그 여파는 일반 민중에까지 이르게 되었다. 민주화 운동에 참여한 이들은 그 어떤 무기보다도 강력한 호소력과 공감을 불러일으키는 ‘노래’, 곧 민중가요를 통해서 1970-1980년대라는 암흑과 같은 긴 시기를 참고 견딜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민주화에 대한 희망찬 미래도 꿈꿀 수 있었다. 지금까지 민중가요는 일반적으로 운동노래이자 쟁의 등의 성격을 띤 노래로서 인식되어 사회·역사·음악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다루어져 왔으나, 민중가요를 역사의식과 이어보려는 접근은 시도되지 않았다. 더욱이 기독교와 민중가요의 연관성에 대한 논의는 피상적인 것에 한정되어왔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민중가요는 기독교인들의 노래운동 참여여부와 상관없이 그들의 의식을 반영하고 있다는 것이다. 1970-1980년대 ‘기독교 민중가요’에 나타난 개신교인의 역사의식을 연구하기 위한 이 논문은 총 5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1장 서론은 본 논문의 목적과 의의 및 연구 방법과 범위를 소개한다. 본 논문의 목적은 1970-1980년대 개신교 공동체의 의식을 살핌으로 현재 기독교의 의식을 정립·민주운동사에 있어 기독교에의 역사의식을 재구성하는 데 있다. 제 2장 본론은 1970-1980년대 민중가요와 기독교의 연관성을 내·외적 관점에서 논의한다. 제3장은 ‘기독교 민중가요'의 개념화를 시도하고, 주제 분류를 통해서 민중가요의 주제별 특징을 분석한다. 제4장은 가사분석을 통하여 ‘기독교 민중가요'에 나타난 개신교의 역사의식이 ‘민주주의’, ‘민족 현실과 통일’, ‘고난 받는 자와 연대’임을 증명한다. 제5장 요약 및 결론은 지금까지의 연구를 요약하고, 개신교의 역사의식이 개인구원의 차원에 머무르는 것이 아닌 신앙인으로서 사회적 책임감을 가지고 정의와 공평이 가득한 세상을 만드는 데 적극적으로 참여하는데 있음을 재확인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Protestant Christianity's historical consciousness embedded in the 1970s-1980s Christian Protest Songs. In the 1970s-1980s, anti-dictatorship and democratization movements occurred frequently in all social strata. The massive pro-democracy movements consisted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college students, and workers demanding better labor environment. It means that these movements led by the young men and women came to spread gradually over people.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movements could not only endure the long dark period of the 1970s-1980s but also have a dream of a hopeful future for democracy through songs, ‘Protest songs’ which were of stronger appeal to people than any other weapon. So far, ‘Protest songs' have been widely dealt in a variety of field including sociology, history and musicology, perceived as dispute-driven activist songs. However, an approach to linking ‘Protest songs' to a historical consciousness has never been tried. Besides, the relation between Christianity and ‘Protest songs' has been superficially discussed. Yet, ‘Protest songs' still reflect the consciousness of Christians regardless of whether they participated in the chanting movement or no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stablish the current Christian consciousness by looking closely into the consciousness of Protestant Christian community of the 1970s-1980s and reconstruct the Christianity's historical consciousness in the history of pro-democracy movement. This paper consists of five chapters. <CONTENTS> CHAPTER l(Prefatory and Introduction): First, Chapter 1 introduces the aim and significance of this paper and clarifies the methods and scope of study. CHAPTER 2(Main Subject): Chapter 2 discusses the relation between Protest songs and Christianity of the 1970s-1980s in the internal and external point of view. CHAPTER 3: Chapter 3 makes an attempt to conceptualize the Protest songs and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ubject by classifying the songs according to subjects. CHAPTER 4: Chapter 4, through the analysis of the lyrics, proves that Protestant Christianity's historical consciousness is comprised of three main parts as follows: 1) ‘democracy', 2) ‘national reality and unification', 3) ‘solidarity with sufferers'. CHAPTER 5(Summarization and Conclusion): Last concluding Chapter 5 summarizes the study up to now and reconfirms that the historical perception of Protestants pursued the community salvation, not staying at personal salvation, which means Christians should shoulder a social responsibility by enthusiastically participating in making the world a better place filled with justice and impartiality.

      • 다문화 가정 학습자의 ‘학습 한국어’ 어휘 교육 방안 연구

        안주현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concept and necessity of CALP(Cognitive Academic Language Proficiency) of Korean for the improvement of academic skills of student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to analyze the CALP of Korean vocabulary based on The KSL(Korean as a Second Language) curriculum and to present the education plan. This study started with the recognition that the cause of the phenomenon that the number of student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s increasing but their attendance rate is decreasing and the school drop rate is increasing. In fact, student from multi-cultural families have no difficulty in communicating in everyday life as the grade increases, but it turns out that they are having difficulty in studying as the content of learning becomes more difficult and the usage of the concept and conjecture word increases. Therefore, it is essential that student from multi-cultural families learn CALP of Korean to help them understand key concepts and contents in curriculum or out of curriculum time to solve the problem of poor learning and to adapt to school life. However, such education is not done well in actual school field. Even studies on CALP of Korean education are only being conducted on the necessity and the list of vocabulary, and research on teaching methods of how to teach CALP of Korean is hardly done. Learning CALP of Korean education is needed in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to solve the problem of the learning underachievement of student from multi-cultural families, because the Korean language course is a curriculum that teaches a language as a tool for learning various subjects and a necessary subject for them to adapt to public education. Starting from awareness of this problem, the study presents an effective way to educate CALP of Korean vocabulary that can effectively help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o improve their academic ability, and based on this education method, the study finally aims to lay the foundation for CALP of Korean vocabulary education. However, this study examines the educational methods by CALP of Korean vocabulary lists presented in the KSL curriculum revised in 2015, since the KSL curriculum revised in 2017 has not presented CALP of Korean vocabulary lists yet.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nature, concepts, goals and system of content of CALP of Korean by not only the KSL curriculum published in 2012, but also the KSL curriculum revised and published in 2017, and this study revealed the significance of CALP of Korean for improving academic ability of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n, a systematic education model of CALP of Korean vocabulary was presented by analyzing CALP of Korean vocabulary and referring to existing Korean language teaching methods and vocabulary education models. According to the class guidelines, the contents and methods of CALP of Korean vocabulary education were designed in order to enable practical education. Among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middle school students were targeted at the education, and the aim was to help them improve their academic ability by learning CALP of Korean vocabulary. The method of education was to utilize the after-school classes for student to prepare regular classes in advance, and to provide education by dividing the list of CALP of Korean vocabulary lists presented in the KSL curriculum by subject. The study conducted around the above processes has significance in three aspects. First of all, the study suggests an educational model of CALP of Korean vocabulary and concrete education methods. While studies have so far raised the importance of CALP of Korean to improve the academic ability of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concrete education methods have been insufficient. Thus, the education models and methods suggested in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oncrete educational methods for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o learn CALP of Korean vocabulary effectively. Second,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CALP of Korean vocabulary with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applied them to the education model for effective education.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or the importance of CALP of Korean lanaguage, but there haven’t been many studies to analyze these characteristics and apply them to education models for CALP of Korean vocabulary education. In this regard, suggestion on education models and methods can be seen as taking a step forward in realizing effective education for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ird, by presenting a CALP of Korean teaching-learning strategy as a model, it can be applied not only to the vocabulary presented in the existing the KSL curriculum, but also to the education of CALP of Korean vocabulary newly introduced in the revised curriculum, and it can be applied to lesson units of various subjects in each school. Although this study limited CALP of Korean in Korean educ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 it would be applicable to CALP of Korean education in different grades and various subject based on this model and each teaching-learning strategy. It is expected that student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ill be able to improve their academic ability. Keywords : student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KSL curriculum, Cognitive Academic Language Proficiency, CALP of Korean, CALP of Korean vocabulary, Teaching Methods vocabulary. 이 연구는 다문화 가정 학습자들의 학업 향상을 위한 학습 한국어의 개념 및 필요성을 밝히고, 한국어(KSL)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학습 한국어 어휘를 분석하여 그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최근 다문화 가정 학습자들은 증가하고 있지만, 그들의 취학률은 낮아지고 학업중단율도 높아지고 있는 현상의 원인이 무엇일까라는 문제 인식에서 출발하였다. 실제로 다문화 가정 학습자들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일상생활에서의 의사소통에는 큰 문제가 없지만, 학습 내용이 어려워지고 개념어와 추상어 등의 사용이 많아짐에 따라 학업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것이 밝혀졌다. 따라서 다문화 가정 학습자들이 교과 학습 부진을 해결하고 학교생활에 적응을 잘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교과시간 혹은 교과 외 시간에 주요 개념 및 내용 이해에 도움이 되는 학습 한국어를 익힐 수 있는 시간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하지만 실제 학교 현장에서는 그러한 교육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학습 한국어 교육에 대한 연구들마저도 그 필요성과 어휘 목록 등에 대한 연구만 진행되고 있을 뿐 학습 한국어를 어떻게 교육할 것인지 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국어과는 여러 교과 학습의 도구가 되는 언어를 가르치는 교과로서 다문화 가정 학습자들이 공교육에 적응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교과이므로 다문화 가정 학습자들의 학업 부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어과에서 학습 한국어 교육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이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이 연구에서는 다문화 가정 학습자들의 학업 향상에 실질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학습 한국어 어휘를 효과적으로 교육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습 한국어 어휘 교육의 토대를 마련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하지만 아직 2017 개정 한국어(KSL) 교육과정에서는 학습 한국어 어휘 목록을 제시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2015 개정 한국어(KSL)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학습 한국어 어휘 목록을 적합한 기준으로 분류하여 교육 방안을 연구해보았다. 따라서 2012년 고시된 교육과정뿐만 아니라 2017년 개정 고시된 교육과정에서의 학습 한국어의 성격, 개념, 목표 및 내용 체계까지 분석하고, 다문화 가정 학습자들의 학업 능력 향상과 관련하여 학습 한국어의 의의를 밝혔다. 그 후 학습 한국어 어휘를 분석하고 기존의 한국어 언어 교수법 및 어휘 교육 모형을 참고하여 체계적인 학습 한국어 어휘 교육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실질적인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수업 지도안 양식에 맞게 학습 한국어 어휘 교육 내용 및 방안을 설계하였다. 다문화 가정 학습자들 중 중학생을 교육 대상으로 삼았고, 그들이 학습 한국어 어휘를 교육받음으로써 학업 능력을 향상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을 목적으로 두었다. 교육 방법은 학습자들이 정규 수업시간 외에 그 수업을 위한 예습 단계로 학습할 수 있도록 방과 후 수업 시간을 활용하며, 한국어(KSL)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학습 한국어 어휘 목록을 주제별로 나누어 교육할 것으로 계획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중심으로 수행된 이 연구는 다음의 세 가지 측면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먼저, 학습 한국어 어휘 교육 모형과 구체적인 교육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이다. 지금까지의 연구에서 다문화 가정 학습자들의 학업 능력 향상을 위한 학습 한국어의 중요성은 대두되고 있지만 구체적인 교육 방안 제시는 미흡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제시한 교육 모형과 교육 방안이 다문화 가정 학습자들의 효과적인 학습 한국어 어휘 교육을 위한 구체적인 교육 방안 연구의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더욱 효과적인 교육을 위해 다문화 가정 학습자들과 학습 한국어 어휘의 특징을 분석하여 교육 모형에 적용했다는 점이다. 기존의 연구를 살펴보면 다문화 가정 학습자들의 특징에 대한 연구 혹은 학습 한국어의 중요성에 대해 다루는 연구는 많았으나 이러한 특징을 분석하고 학습 한국어 어휘 교육을 위해 교육 모형에 적용한 연구는 많지 않았다. 이러한 점에서 이 연구의 교육 모형 및 방안 제시는 다문화 가정 학습자들의 효과적인 교육 실현에 한 걸음 더 나아갔다고 볼 수 있다. 셋째, 학습 한국어 교수-학습 전략을 모형으로 제시함으로써 기존의 한국어(KSL)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어휘뿐만 아니라 개정된 교육과정에서 새롭게 제시할 학습 한국어 어휘의 교육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각 학교에서 교과목별로 수업할 단원에 맞게 적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 연구에서는 중학교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 국어 교육에서의 학습 한국어로 한정했지만 이 모형과 각 교수-학습 전략을 바탕으로 다른 학년 및 다양한 교과에서의 학습 한국어 교육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고, 이를 통해 다문화 가정 학습자들의 학업 능력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한국 전통 향로를 응용한 콘크리트제 향기(香器) 연구

        안주현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현시대 향의 사용은 개인적 유희, 미용, 심신의 치유 등의 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것은 현대인들의 생활공간 안에서 이루어지는데 좀 더 건강한 삶을 영위하기 위함이다. 오랜 세월 동안 향의 사용과 향문화의 변천은 다양한 형태로 이어져오고 있다. 현대의 향 사용과 향기(香器)는 전통을 따르는 의례용으로 쓰이면서 일상에서는 서양식 형태의 향기를 사용한다. 한국은 종교의식과 의례용으로 향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삼국시대를 거쳐 고려시대에 이르러 향기의 쓰임이 다양해지고 고배형 향완과 합의 형태가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조선시대는 고려시대의 것을 계승하면서 일반 생활품으로서 향기의 변화가 생겼다. 전 시대보다 청동, 은, 철 등의 다양한 금속의 활용도가 보이며 서민 생활품의 향기 제작이 많아졌다. 근대화를 거치면서 서양문물의 유입으로 서양식 향기 사용이 활발해지며 서양식 형태나 저가의 대량 생산품으로 변화가 생겼다. 한국 전통 향로의 쓰임새가 의례용에서 일반 생활 용품으로 많이 사용되기 바라는 점과 화기를 다루는데 있어서 콘크리트 소재, 특히 내구성 및 내열성에서 장점을 극대화하여 한국적이면서 현대적인 향기를 제작할 수 있었다. 연구에서는 전통의 향로의 쓰임과 형태를 현대적인 향기로서 건축물 구조 형태성과 산업 소재인 콘크리트와 접목하여 제작되어 다음의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전통 향로의 형태적 조형성이 다양하여 현대 향기에 모티브로 활용하기에 장점이 많으며 의례용으로 쓰이는 향로를 일상의 향기로 발전시킬 수 있다. 둘째, 친환경적 콘크리트(프롬시멘트)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서 소재의 적합성 및 제작 과정을 통하여 큰 건축 구조물뿐만 아니라 생활 용품 및 제품으로 활용성이 발전가능하다는 점을 작품에 의도하였다. 셋째, 특히 전통 향로 중 삼족형 형태와 현대 건축물의 다리나 문의 형태적 요소 조합이 작품의 형태적 완성도 및 구조의 독창성을 도출 하였다. 연구에서 전통과 현시대의 조합에 중점적으로 의도하였으며 소재의 독특함과 제작과정의 용이성이 실용적이고 창의적인 향기 디자인 개발의 계기가 되길 바란다.

      • 한국사 교과서를 활용한 탈인습적 기독교교육 연구

        안주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paper aims to proposes an alternative Christian education for young Christian learners, to help them enjoy their 'Christian life' not only inside but also outside the church. Students in Modern society undergoes changes such as th globalizatio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cultural pluralism. Therefore, Christian education should provide learners with an educational experience that reflects these social changes and daily experiences. Based on the Revised Correlational Model proposed by David Tracy, I attempt to help young learners integrate their lives and faith. The revisionist model is a Christian education method that interactively connects the learner's daily life (Common Human Experiences) with the Christian text. Therefore, this study applies the Korean history curriculum in the place of the learner's daily experiences and the post-conventional Christian education in the place of Christian texts, and uses both educational methods as the source of research. The 2015 Korean history curriculum is an Students-centered curriculum that allows learners to construct their own knowledge schemes. Korean history textbooks adopt Problem-Based Learning (PBL) to help learners find and construct knowledge directly related to their lives. The post-conventional Christian education presented by Hyunsuk Kim pursues a conversation-centered education. Both the Korean history curriculum and the post-conventional Christian education regard the learner as the subject of learning. This education pursues three objectives: the Relationality, th Equality, and the Openness. the Relational education raises learners' critical social awareness, and the equality education awakens learners' sense of social responsibility. And the education of openness teaches learners democratic communication skills. To realize these purposes, this model applies the method of problem-based learning (PBL). Therefore, this model provides Christian learners with complex and unstructured problems that can be solved through cooperative learning, and encourage learners to solve the problems based on Korean history textbooks and their post-conventionality. In order to run these programs, Instructors who perform this model should avoid lecture-style classes and try to become a learning companion, coordinator, and facilitator. Learners should have positive interactions with fellow learners and participate in cooperative learning with responsibility. In addition, A conversation-oriented educational environment should be provided. And teachers should give their students feedbacks after evaluating them. Consequently, “A Study of the Post-conventional Christian Education Using Korean History Textbooks” can support the Christian young learners in establishing their self-identity. Also, it can help young learners to practice post-conventionality through daily experiences. 본 연구는 청소년 학습자가 교회 안팎의 삶에서 기독교적 삶을 영유하도록 돕는 데에 목적이 있다. 현대 사회는 세계화의 진전, 기술 정보의 발달, 문화적 다원화 등의 변화를 겪는다. 그러므로 기독교교육은 이와 같은 사회 변화와 일상적 경험을 반영한 교육 경험을 학습자에게 제공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데이비드 트레이시(David Tracy)의 수정주의적 상관관계 모델(Revised Correlational Model)을 연구 방법론으로 사용하여, 학습자의 삶과 신앙을 합일하는 교육모형을 제시한다. 수정주의 모델은 학습자의 일상적 경험(Common Human Experiences)과 기독교적 텍스트를 쌍방향적으로 잇는 기독교교육방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한국사 교육과정과 탈인습적 기독교교육을 연구의 원천으로 사용하여 두 교육의 상관관계를 비판적으로 연구한다. 현행 한국사 교육과정은 지식을 고정적으로 여기는 항존 주의에서 벗어나 학습자가 직접 지식체계를 구성하도록 하는 학습자중심교육과정이다. 한국사 교과서는 문제기반학습(PBL)을 채택하여, 학습자들이 직접 자신의 삶과 연관된 지식을 찾고 구성하도록 돕는다. 김현숙에 의해 제시된 탈인습적 기독교교육은 교사와 학습자, 학습자와 학습자 간의 대화를 강조하는 교육이다. 한국사 교육과정과 탈인습적 기독교교육은 모두 학습자를 학습의 주체로 여긴다는 공통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교회 및 기독교교육 현장에서 한국사 교과서를 활용하여 탈인습적 기독교교육을 시행하는 대안적 기독교교육 모형을 제시한다. 교육 모형은 교육 목적 및 목표, 교육 내용과 방법, 교수자와 학습자, 환경과 평가 등의 요소로 구성된다. 먼저, 본 연구가 제시하는 모형의 교육 목적은 학습자에게 관계성, 평등성, 개방성의 탈인습성을 가르치는 것이다. 관계성의 교육은 학습자의 비판적 사회 인식을 제고하며, 평등성의 교육은 학습자의 사회적 책임의식을 일깨운다. 그리고 개방성의 교육은 학습자에게 민주적 의사소통능력을 가르친다. 본 모형은 문제기반학습(PBL)을 활용하기 위해서 탈인습적 글쓰기학습, 탈인습적 극화학습, 탈인습적 체험학습 등의 구체적 교육방법을 제시한다. 교회 및 기독교교육 현장의 학습자에게 협동학습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를 제공하고, 한국사 교과서와 탈인습성을 활용하여 해결하도록 한다. 본 모형을 수행하는 교수자는 강의식 수업을 지양하고, 학습의 동반자, 조력자, 촉진자가 되도록 노력해야 한다. 학습자는 동료학습자와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나누며 책임의식을 갖고 협력학습에 참여하는 등 능동적 학습 태도를 지녀야 한다. 또한 본 모형은 교수자와 학습자의 친밀한 대화를 지원할 수 있는 자연 친화적 공간과 대화 친화적 환경을 제안한다. 아울러, 교수자는 예술적 감식안을 갖고 학습자의 활동을 평가하며 학습의 개선을 위해서 충분한 피드백을 제시해야 한다. 본 연구가 제시한 탈인습적 교육 모형은 다음과 같은 의의를 지닌다. 첫째, 학습자의 지속적인 성장을 추구하며, 둘째, 학습자에게 대화의 경험을 제공하고, 셋째, 학습자의 자아정체감 확립을 돕는 교육 과정을 제시했다는 점이다. 궁극적으로, 학습자가 일상의 경험을 통해서 탈인습성을 실천하고 성장하도록 돕는 교육 방법을 제시했다는 데에 본 연구의 의의를 둔다.

      • 운동요법이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수면에 미치는 효과 : 체계적 고찰 및 메타분석

        안주현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60세 이상 경도인지장애 노인을 대상으로 한 운동요법의 무작위 실험연구에서 주요결과인 인지기능, 부가적 결과인 우울, 수면의 효과를 체계적으로 고찰하고 메타분석을 시행하여 통합적 효과크기를 파악하고 최상의 운동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체계적 문헌고찰을 위한 핵심질문 PICO-SD는 60세 이상 경도인지장애 노인(P), 운동요법(I), 운동요법을 하지 않는 무처치, 일상생활, 레크레이션 활동 등(C), 1차적 결과는 인지기능, 2차적 결과는 우울, 수면(O), 무작위 실험연구(SD)이며 문헌 검색은 미국 국립의료도서관에서 제시한 COSI 모델에 근거하여 RISS, KMBASE, KISS, NDSL, KISTI, Pubmed, EMBASE, Cochrane library, CINAHL, SPORTDiscus, PsycINFO 뿐만 아니라 미출간 논문인 학위논문으로 NAL, ProQuest Global을 추가로 검색하였고 Google scholar, 참고문헌의 관련 저널 수기검색을 병행하였다. 이에 최종 선정된 22개의 문헌을 대상으로 ROB 2의 개별연구 오류 위험을 평가한 결과 11편은 ‘낮은 위험’, 11편은 무작위 배정과정의 오류가 있어 ‘일부 우려’로 최종 평가하였고 다음으로 R 프로그램을 이용한 메타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변수인 인지기능, 우울, 수면에 미치는 효과크기 파악을 위해 이질성을 예측할 수 있어 평균효과크기는 임의효과 모형으로 산출하였으며 모두 연속형 자료임을 감안하여 개별연구의 효과크기는 표준화된 평균차이(Standardized mean differance, SMD)로 산출하였다. 또한 이질성을 판단하기 위해 forest plot을 통한 시각적 검사, 통계적 검정으로 Q값을 산출하고 카이제곱 검정을 실시하고 I² 값을 산출하였으며 조절효과 분석으로 운동유형, 운동시간, 운동강도, 대상자의 평균연령에 대한 메타 ANOVA, 운동기간, 운동빈도에 대한 메타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출간오류 분석을 위한 forest plot, funnel plot, Egger's 회귀분석, 연구결과의 신중한 해석을 위한 민감성 분석을 시행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운동요법이 인지기능에 미치는 전체 효과크기는 0.65 [95% CI: 0.39 to 0.91]로 인지기능 향상에 효과가 있었고, 우울의 전체 효과크기는 -0.38 [95% CI: -0.63 to -0.12]로 우울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면의 전체 효과크기는 -1.48 [95% CI: -3.26 to 0.30]로 수면개선에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운동유형에서 유산소 운동이 0.79 [95% CI: 0.40 to 1.18]의 효과크기로 저항성 운동 0.70 [95% CI: 0.05 to 1.34]보다 인지기능 향상에 조금 더 효과가 있었고 복합성 운동과 신경근 운동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인지기능 향상 효과가 없었다. 또한 운동시간은 회당 30∼40분이 0.86 [95% CI: 0.41 to 1.31], 운동강도는 중강도가 0.97 [95% CI: 0.51 to 1.43]로 인지기능 향상에 효과가 가장 좋았다. 그리고 본 연구는 60세 이상 경도인지장애 노인을 대상으로 하였지만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65세 이상이었으며 모두 인지기능 향상에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 또한 운동기간의 회귀계수 β = -0.019 (Z = -2.56, p = .011)로 운동기간이 증가할수록 인지기능의 효과가 감소하였고, 운동빈도는 회귀계수 β = 0.244 (Z = 3.59, p < .001)로 운동빈도가 증가할수록 인지기능의 효과가 증가하였다. 다음으로 이질성 검증 결과를 보면, 인지기능의 효과는 I² = 85% (τ² = 0.2752, Q = 129.15, p < .01)로 이질성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에 시행한 메타 ANOVA에서 운동유형, 운동강도, 운동시간, 대상자의 평균연령 중 평균연령만이 그룹 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이질성의 원인이었고, 메타 회귀분석에서 운동기간, 운동빈도가 이질성의 원인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두 변수의 비교 결과 운동빈도만이 유의한 영향이 있으며, 운동빈도가 증가할수록 효과크기가 0.207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며 이질성 57.8%의 설명력으로 운동빈도가 인지기능의 평균 효과크기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최종 확인하였다. 우울의 이질성은 I² = 22% (τ² = 0.0152, Q = 3.83, p = .28)로 낮은 수준이었지만, 수면의 이질성은 I² = 98% (τ² = 2.3788, Q = 82.62, p < .01)으로 이질성이 큰 수준으로 나타나 이질성 원인의 파악이 필요했지만 연구 수의 부족으로 확인할 수 없었다. 마지막으로 운동요법의 인지기능 효과크기에 대한 출간오류 분석 결과 출간오류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결과의 일관성 검증을 위해 실시한 민감성 분석에서 효과크기의 일관성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60세 이상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기능 향상, 우울 감소에 운동요법이 효과적임을 확인하였고 특히 인지기능 향상에 유산소 운동이 다른 운동보다 더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운동요법에서 운동시간은 회당 30∼40분, 운동강도는 중강도가 가장 효과적이며 운동빈도가 인지기능 향상의 효과크기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운동빈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가장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systematically reviewed the main results of cognitive function, additional results of depression, and sleep in a randomized experimental study of the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over 60 years of age, and conducted meta-analysis to identify the integrated effect size and provide evidence for the best exercise. Key questions for systematic review of literature PICO-SD is for the elderly over 60 years of age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P), exercise therapy (I), no treatment without exercise therapy, daily life, recreational activities, etc. (C), the primary outcome is cognitive function, secondary outcomes were depression, sleep (O), and randomized experimental study (SD). The literature search was conducted based on the COSI model of the National Medical Library of the United States. For the finally selected 22 literatures, the bias of individual studies was evaluated with the ROB 2 tool and meta-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R program. The average effect size was calculated using a random effect model because heterogeneity could be predicted to determine the effect size on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nd sleep. Considering that all data are continuous data, the effect size of each study was calculated as standardized mean difference (SMD). In addition, in order to determine heterogeneity, Q values and chi-square tests and the I² value was calculated. Meta ANOVA for exercise type, exercise time, exercise intensity, and average age of the subject by analyzing the moderating effect, Meta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exercise duration and exercise frequency. Finally, forest plot, funnel plot, Egger's regression analysis for publication bias analysis, and sensitivity analysis were conducted. The abov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overall effect size of exercise therapy on cognitive function was 0.65 [95% CI: 0.39 to 0.91], which was effective in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and the overall effect size of depression was -0.38 [95% CI: -0.63 to 0.12], reducing depression. In addition, the overall effect size of sleep was -1.48 (95% CI: -3.26 to 0.30), indicating that it was not effective in improving sleep. In detail, aerobic exercise was a little more effective in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than resistance exercise 0.70 [95% CI: 0.40 to 1.18] in exercise type, and multicomponent exercise and neuromotor exercise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gnitive effect. In addition, 30 to 40 minutes per session was 0.86 [95% CI: 0.41 to 1.31], and the moderate intensity of exercise was 0.97 [95% CI: 0.51 to 1.43], which was most effective in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in addition, this study targeted the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ged 60 or older, but the average age of the subjects was 65 or older, and all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In addition, the effect of cognitive function decreased as the exercise period increased with the regression coefficient β = -0.019, and the exercise frequency decreased with the regression coefficient = 0.244. Next, looking at the results of heterogeneity, the effect of cognitive function was found to be high in heterogeneity with I² = 85% (Q = 129.15, p<.01). In meta-ANOVA, only the average age among the exercise type, exercise intensity, exercise time, and average age of the subjec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and in meta-regression analysis, exercise period and frequency were identified as the causes of heterogeneity. In particular,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two variables, only the frequency of exercise has a significant effect. As the frequency of exercise increases, the effect size increases by 0.207,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57.8% of heterogeneity finally confirmed that the frequency of exercise is the variable that most affects the average effect size of cognitive function. The heterogeneity of depression was low I² = 22% (Q=3.83, p=.28), but sleep heterogeneity was high I² = 98% (Q=85.62, p<0.01), indicating that heterogeneity was necessary, but could not be confirmed due to a lack of studies. Therefore,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exercise therapy was effective in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and reducing depression in the elderly over 60 years of age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aerobic exercise was more effective than other exercises in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Also, in exercise therapy, exercise time is 30-40 minutes per session, and moderate intensity is the most effective. and exercise frequency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effect size of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indicating that increasing exercise frequency is the most import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