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17∼19세기 중국 유학자의 타자 인식: 「안남기유(安南紀游)」와 『해남잡저(海南雜著)』비교

        안재연(Ahn, Jaeyeon)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20 동북아시아문화학회 국제학술대회 발표자료집 Vol.2020 No.10

        This thesis aims to compare two writings of "Annam jiyu" and Hainan zazhu, two Chinese personal records of drifting from Qing dynasty. The main purpose of the comparison is not to pay attention to the changes or developments of the same Vietnam visited with a lag of about 150 years. Rather, it attempts to analyze whether the Qing Dynasty"s sino-centered view continues to strengthen and repeat despite the passage of time. To this end, we will compare the texts of two authors on two themes: description of Han-Chinese centered history on one hand, and that of Vietnamese women and foreign customs and institutions on the other hand. In conclusion, although the male authors were fascinated by the mysterious and savage scenery of foreign countries, the Han-Chinese, male-centered world view is reproduced through the late Qing period as seen these two texts.

      • 시공간 연결형 문화콘텐츠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모델 연구

        안재연(Jaeyeon Ahn),서주희(Juhee Suh),김하연(Hayun Kim),김선혁(Sunhyuck Kim),김정화(Jungwha Kim) 한국HCI학회 201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12

        국내 문화유산 기관의 폐쇄적이고 관리중심 체계인 데이터베이스는 디지털 시대에 등장한 문화유산 영역의 새로운 요구를 충족하지 못하였다. 관리 중심, 공급자 중심의 데이터 베이스에서 다양한 서비스로 활용가능한 서비스 중심, 문화유산 영역의 다양한 생산자를 위한 수요자 중심으로의 전환이 요구된다. 이러한 필요성에 근거하여 케이컬쳐 타임머신 연구는 여러 기관들의 다양한 문화콘텐츠들을 시간과 공간이 연결된 새로운 융·복합 문화콘텐츠로 구조화하고, 구조화된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술을 개발함으로써 정보중심으로 축적된 현 문화유산 콘텐츠를 시맨틱한 맥락화를 통해 활용자 중심의 플랫폼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서비스 단계에 앞서 우선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문화유산 데이터의 통합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모델을 고찰한다. 이를 위해 유럽 전역의 문화유산기관으로부터 디지털화 된 문화유산자원을 제공받아 통합서비스를 제공 하는 문화유산 통합 서비스 포털인 유로피아나(Europeana)의 사례를 바탕으로 국내문화유산정보 통합서비스 구축의 가능성을 검토해보고자 하였다. In recent years, databases of domestic cultural heritage institutions have not implemented new needs in digital age because of its closeness. It needs to change from individual management centered database to open and integrated database for diverse contents producer in cultural heritage domain. Therefore we propose ‘K-Culture Time Machine’ research as a platform. This platform will function as aggregator of various cultural heritage resources and provider of the resource connecting it semantically with other cultural heritage resources. In this research we consider structure of data model to incorporate resources from many databases that have distinct metadata formats. Refer to the case of Europeana Data Model (EDM), we come up with the semantically connected database model and explore the possibilities for future of the ‘K-Culture Time Machine’ research.

      • KCI등재

        팬데믹 시대 무장애 전시 콘텐츠 및 서비스에 관한 사례 연구 -「아시아의 표해록」전을 중심으로

        안재연 ( Jaeyeon Ahn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 시대 강화된 디지털과 온라인 기반 전시에서 무장애(배리어 프리) 서비스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아시아의 표해록(漂海錄)」(2019; 2020) 전시에서 시도되었던 무장애 전시 콘텐츠와 서비스이다. 연구방법은 크게 무장애 전시 공간 및 콘텐츠 제작과, 무장애 서비스 둘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연구내용은 첫째, 점자 체험존을 도입하여 시각장애인의 전시 감상을 도왔다. 둘째, 평면 2D 회화인 「범사도(泛槎圖)」를 디지털 동영상으로 제작, 공감각적인 콘텐츠를 제공하였다. 셋째, 점자 리플렛과 도록 제작, 수어 전시해설 동영상 및 VR 영상 배포, 장애인 관람 서비스, 촉각형 배 모형과 책갈피 문화상품 개발, 오디오북 제작 등과 같은 무장애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연구 결과 「표해록」전이 디지털 기술을 적극 활용하면서도 장애인과 상호작용함으로써 향후 배리어 프리 전시의 발전 방향을 시사하는 한 사례로 제시하였다. 제언은 첫째, 디지털 매체와 문화의 융합을 적극적으로 반영한 새로운 배리어 프리 전시의 개발 필요성이다. 둘째, 무장애 상호작용성(barrier-free interactivity)에 기반한 배리어 프리 서비스의 확장과 재정의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barrier-free services in enhanced digital and online-based exhibitions in the pandemic era.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he barrier-free exhibition content and services that were attempted in the exhibition Asian Drifting Records (2019; 2020). The research method was largely divided into two; barrier-free exhibition zone and content production, and barrier-free services. The conten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ntroduction of the Braille experience zone helped the visually impaired to appreciate the exhibition. Second, a flat 2D painting, Beomsado (The Drifting Boat), was produced as a digital video to help the synesthetic appreciation. Third, barrier-free services such as production of Braille leaflets and catalogs, an distribution exhibition videos in sign language and VR video, viewing services for the disabled, tactile ship models and bookmarks, and audio books were provided. As a result of the study, Asian Drifting Records was presented as an example suggesting the future direction of barrier-free exhibitions by actively utilizing digital technology and interacting with the disabled. Overall, two conclusion are suggested; first, the need to develop a new barrier-free exhibition that actively reflects the convergence of digital media and culture. Second, it is necessary to expand and redefine barrier-free services based on barrier-free interactivity.

      • KCI등재
      • KCI등재

        광주화인 음식문화와 메타버스형 가상박물관

        안재연(Jaeyeon Ahn),박진홍(Jinhong Park)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10

        본고의 목적은 지역 역사문화 콘텐츠를 기반으로 한 메타버스형 가상박물관 사례를 제시하는 것이다. 메타버스형 가상박물관은 COVID-19 이후 새로운 전시와 소통 플랫폼으로 급부상했으나 대부분 국보급유물과 문화유산, 명작 콜렉션을 보여주는데 치우쳐 있다. 이에 광주 화교의 역사와 음식 문화 콘텐츠를 제작하고, 광주화교소학교를 배경으로 하는 메타버스형 가상 공간에 구현한 전시사례를 제시했다. 결론으로 지역 역사 문화 아카이빙, 문화기술을 통한 정보콘텐츠 제공, 다문화교육 등이라는 긍정적 효과를 꾀할 수 있으나, 개인화와 공유는 아직 만족할 만한 정도에 이르지 못한 한계를 지적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case of a metaverse-based virtual museum based on local history and cultural content. Metaverse type museums have emerged as new platforms for exhibition and communication, especially after COVID-19. However, most of them have been limited to transferring offline exhibitions to the online space or showcasing institutional collections. In this study, we analyze a case that involves creating history and food culture content related to the overseas Chinese community in Gwangju and implementing it in the Gwangju Overseas Chinese Elementary School. In conclusion, it can bring positive effects such as local cultural archiving and multi-cultural education. However, it also points out the limitations in terms of personalization and sharing, which have not yet reached a satisfactory lev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