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팬데믹 시대 무장애 전시 콘텐츠 및 서비스에 관한 사례 연구 -「아시아의 표해록」전을 중심으로 = A Case Study of Barrier-free Exhibition Content and Services in the Pandemic Era -Focusing on the Exhibition Asian Drifting Record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720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 시대 강화된 디지털과 온라인 기반 전시에서 무장애(배리어 프리) 서비스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아시아의 표해록(漂海錄)」(2019; 2020) 전시에...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 시대 강화된 디지털과 온라인 기반 전시에서 무장애(배리어 프리) 서비스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아시아의 표해록(漂海錄)」(2019; 2020) 전시에서 시도되었던 무장애 전시 콘텐츠와 서비스이다. 연구방법은 크게 무장애 전시 공간 및 콘텐츠 제작과, 무장애 서비스 둘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연구내용은 첫째, 점자 체험존을 도입하여 시각장애인의 전시 감상을 도왔다. 둘째, 평면 2D 회화인 「범사도(泛槎圖)」를 디지털 동영상으로 제작, 공감각적인 콘텐츠를 제공하였다. 셋째, 점자 리플렛과 도록 제작, 수어 전시해설 동영상 및 VR 영상 배포, 장애인 관람 서비스, 촉각형 배 모형과 책갈피 문화상품 개발, 오디오북 제작 등과 같은 무장애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연구 결과 「표해록」전이 디지털 기술을 적극 활용하면서도 장애인과 상호작용함으로써 향후 배리어 프리 전시의 발전 방향을 시사하는 한 사례로 제시하였다. 제언은 첫째, 디지털 매체와 문화의 융합을 적극적으로 반영한 새로운 배리어 프리 전시의 개발 필요성이다. 둘째, 무장애 상호작용성(barrier-free interactivity)에 기반한 배리어 프리 서비스의 확장과 재정의가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barrier-free services in enhanced digital and online-based exhibitions in the pandemic era.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he barrier-free exhibition content and services that were attempted i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barrier-free services in enhanced digital and online-based exhibitions in the pandemic era.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he barrier-free exhibition content and services that were attempted in the exhibition Asian Drifting Records (2019; 2020). The research method was largely divided into two; barrier-free exhibition zone and content production, and barrier-free services. The conten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ntroduction of the Braille experience zone helped the visually impaired to appreciate the exhibition. Second, a flat 2D painting, Beomsado (The Drifting Boat), was produced as a digital video to help the synesthetic appreciation. Third, barrier-free services such as production of Braille leaflets and catalogs, an distribution exhibition videos in sign language and VR video, viewing services for the disabled, tactile ship models and bookmarks, and audio books were provided. As a result of the study, Asian Drifting Records was presented as an example suggesting the future direction of barrier-free exhibitions by actively utilizing digital technology and interacting with the disabled. Overall, two conclusion are suggested; first, the need to develop a new barrier-free exhibition that actively reflects the convergence of digital media and culture. Second, it is necessary to expand and redefine barrier-free services based on barrier-free interactivi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보름, "포스트 코로나 시대 뮤지엄 온라인 전시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산업학회 20 (20): 95-104, 2020

      2 이양희, "시각장애인의 전시예술품 관람 욕구조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9 (9): 457-466, 2019

      3 김진영, "시각장애인의 미술관 관람 증진방안 : 감상보조수단과 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4 박경빈, "시각장애인의 미술 작품 감상 접근성을 높이는 다중감각 인터랙션의 설계 및 평가" 한국감성과학회 23 (23): 41-56, 2020

      5 홍태림, "시각장애인을 위한 전시예술품 비시각 정보전달 인터페이스 개발 및문화향유권 권리확대를 위한 당사자 관점 연구의 가능성 및 개선방향 연구" 288-293, 2019

      6 김인철, "시각장애인을 위한 전시공간의 스마트기술 적용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3 (23): 55-62, 2007

      7 김선희, "시각장애인 당사자관점에 기초한 베리어프리 전시감상환경 연구" 한국융합학회 10 (10): 265-276, 2019

      8 오선애, "박물관의 정보 전달을 위한 촉각 다이어그램에 관한 연구 - 시각장애인 관람자 중심으로 -"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2 (12): 617-625, 2012

      9 변윤정, "문화플랫폼으로서 온라인 박물관의 방향성 연구"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학회 8 (8): 37-48, 2021

      10 양연경, "뉴노멀 시대의 문화 접근성 취약계층을 위한 온라인 전시 감상 서비스의 효과적인 융합 다이내믹스 연구"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39 (39): 269-288, 2021

      1 김보름, "포스트 코로나 시대 뮤지엄 온라인 전시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산업학회 20 (20): 95-104, 2020

      2 이양희, "시각장애인의 전시예술품 관람 욕구조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9 (9): 457-466, 2019

      3 김진영, "시각장애인의 미술관 관람 증진방안 : 감상보조수단과 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4 박경빈, "시각장애인의 미술 작품 감상 접근성을 높이는 다중감각 인터랙션의 설계 및 평가" 한국감성과학회 23 (23): 41-56, 2020

      5 홍태림, "시각장애인을 위한 전시예술품 비시각 정보전달 인터페이스 개발 및문화향유권 권리확대를 위한 당사자 관점 연구의 가능성 및 개선방향 연구" 288-293, 2019

      6 김인철, "시각장애인을 위한 전시공간의 스마트기술 적용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3 (23): 55-62, 2007

      7 김선희, "시각장애인 당사자관점에 기초한 베리어프리 전시감상환경 연구" 한국융합학회 10 (10): 265-276, 2019

      8 오선애, "박물관의 정보 전달을 위한 촉각 다이어그램에 관한 연구 - 시각장애인 관람자 중심으로 -"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2 (12): 617-625, 2012

      9 변윤정, "문화플랫폼으로서 온라인 박물관의 방향성 연구"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학회 8 (8): 37-48, 2021

      10 양연경, "뉴노멀 시대의 문화 접근성 취약계층을 위한 온라인 전시 감상 서비스의 효과적인 융합 다이내믹스 연구"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39 (39): 269-288, 2021

      11 통계청, "e-나라지표: 장애인 현황"

      12 ICOM, "The Future of Museums-Recover and Reimagine"

      13 NEMO, "Survey on the impact of the COVID-19 situation on Museums in Europe"

      14 UNESCO, "Museums around the World in the face of COVID-19"

      15 UNESCO, "Museums after Pendemic"

      16 Paardekooper, R., "Experience instead of Event: Changes in Open-Air Museums Post-Coronavirus"

      17 오선애, "COVID-19 이후 뮤지엄의 온라인 전시유형분류와 향후 대응 방향성에 관한 연구" 대한전시디자인학회 18 (18): 63-71, 2021

      18 Candlin, F., "Blindness, Art and Exclusion in Museums and Galleries" 22 (22): 100-110, 2003

      19 조준동, "ArtTouch: 시각장애인을 위한 다중감각 예술 체험전시" 대한전시디자인학회 17 (17): 41-54, 2020

      20 보건복지부, "2020 장애인 실태조사"

      21 부경대학교, "2020 아시아의 표해록전 VR 영상"

      22 부경대학교, "2020 아시아의 표해록전"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