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공예의 정치적 가능성 - 시민적 개입과 문화적 참여로서의 공예행동주의
안영주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2023 한국예술연구 Vol.- No.40
This study examines the social status of craft with a focus on craftivism and explores the possibilities of contemporary craft by studying examples of political and creative engagement in craft today. I begin by examining the historical contexts in which craft has functioned as a strategy of resistance by studying Arts and Crafts Movement, the Suffrage Movement, and the Apilera of Chile. Next,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works of representative practitioners of craftivism. While Betsy Greer describes craftivism through the categories of beautification, donation, and notification, Sarah Corbett takes a more activist perspective. Meanwhile, Tal Fitzpatrick argues for the expansion of craftivism into a ‘DIY citizenship’ mode. Finally, I examined the Pink M.24 Chaffee and PM Please Quilt project as examples of craftivism. These examples demonstrate that craftivism engages with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issues, and that it is a uniquely human creative ability to use crafts as forms of resistance. 본 연구는 공예행동주의를 중심으로 공예의 사회적 위상을 고찰하고 오늘날 공예가 갖는 정치적이고, 창의적인 참여활동 사례들을 조명함으로써 동시대 공예의 가능성을 탐구한 것이다. 연구자는 먼저, 스피닝 비즈 운동, 모리스의 미술공예운동, 여성참정권 운동, 칠레의 아필레라 작업을 살펴보고 공예가 국가와 문화, 공동체 내에서 저항의 전략으로 기능해왔던 역사적 맥락을 고찰하였다. 나아가 본 연구는 공예행동주의의 대표적 실천가인 벳시 그리어, 사라 코벳, 탈 피츠패트릭의 논의를 비교분석하였는데, 그리어는 공예행동주의를 미화, 기부, 고지(告知)의 범주로 설명하지만, 코벳은 보다 행동주의적 관점에서 사회 구조적 변화라는 장기적 목표를 공예행동주의의 동력으로 파악한다. 한편, 탈 피츠패트릭은 공예행동주의를 ‘DIY 시민권’ 모드로 확장할 것을 주장하며, 디지털 참여 행위까지 확장시키고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자는 정치적 문제를 알리기 위한 공예행동주의의 대표적 사례로 <핑크 M.24 채피(Pink M.24 Chaffee)>(2006)를, SNS를 활용한 디지털 참여 프로젝트로 <피엠 플리즈 퀼트(PM Please Quilt)>(2015)를 고찰하였다. 이러한 사례는 공예행동주의가 정치, 사회, 문화적 이슈에 개입하고 있으며, 공예를 저항적인 방식으로 사용하는 인간의 창조적 능력임을 보여준다.
인천지역 초등학교 중도·중복장애학급 학생들의 통합교육 실태 및 특수교사, 통합학급교사, 학부모의 만족도 조사
안영주,김수연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14 교육논총 Vol.34 No.2
인천광역시에는 2009년부터 전국 최초로 일반초등학교에 중도?중복장애학급이 신설되어 운영되고 있다. 이 연구는 인천지역 총 5개의 중도?중복장애학급에 속한 학생의 학부모 31명, 중도?중복장애학급을 담당하는 특수교사 5명, 중도?중복장애학생이 포함된 통합학급교사 31명 전원을 대상으로 통합교육 실태 및 만족도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중도?중복장애학급에 속한 학생들은 물리적인 통합 수준조차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통합학급에서 수업하는 시간이 하루에 최대한 1시간을 넘지 않았으며, 5개의 학교 중 2개 학교는 주 1시간 정도만 통합학급 수업에 참여하고 있었다. 기본적인 편의시설은 잘 갖추어져 있었으나 중도?중복장애학생의 학습을 위한 교재?교구의 구비는 미흡한 수준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특수교사, 통합학급교사, 학부모는 중도?중복장애학생의 통합교육에 대해 평균 이상 수준으로 만족하고 있었다. 앞으로 전국적으로 확대되어 설치 될 중도?중복장애학급 운영과 중도?중복장애학생들의 통합교육을 위한 정책적 지원에 대해 논의하였다.
안경광학과 학생들의 현장실습 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 간의 관련성
안영주,권오현,박창원,김효진 대한시과학회 2019 대한시과학회지 Vol.21 No.1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resilience in ophthalmic optics students. Methods :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59 students of ophthalmic optics in Chungnam area. The t-test and one-way ANOVA were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resilience and clinical practice stres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Post hoc analysis was carried out by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resilienc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by stepwise metho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silience on clinical practice stress. Results : Resilienc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s, health status, and human relationship. Clinical practice stress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s, (evaluation of) health status, and the usual human(personal) relationship. Clinical practice stress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control ability (r=-0.313, p=0.016). Also, self-control ability (β=-0.313, p=0.016) of resilience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clinical practice stress. Conclusion : Since the resilience of ophthalmic optics students is an important factor to reduce the clinical practice stres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through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urriculum to increase resilience. 목적 : 안경광학과 학생들의 현장실습 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충남지역에 소재한 안경광학과 학생 5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회복탄력성과 현장실습 스트레스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t-test와 one-way ANOVA를 이용하였고, 사후검증으로는 Scheffe 검증을 실시하였다. Pearson의 상관분석을 이용하여 회복탄력성과 현장실습 스트레스간의관계를 알아보았고, 회복탄력성이 현장실습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stepwise 방식에 의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회복탄력성은 성별, 현장실습 만족도, 건강상태에 대한 평가, 평소의 대인관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현장실습 스트레스는 성별, 현장실습 만족도, 건강상태에 대한 평가, 평소의 대인관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보였다. 현장실습 스트레스는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 중 자기조절능력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313, p=0.016). 또한, 회복탄력성 중 자기조절능력(β=-0.313, p=0.016)은 현장실습 스트레스에 통계적으로 유의한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 안경광학과 학생의 회복탄력성은 현장실습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중요한 요인이므로, 회복탄력성 증가를 위한 교과과정의 개발 및 적용을 통하여 현장수행능력을 향상시켜야 할 것이다.
응급실을 방문한 자살시도 청소년 임상적 특성의 남녀 차이
안영주,백소현,김옥준,김진아,권재현,김민정 대한소아응급의학회 2020 대한소아응급의학회지 Vol.7 No.2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gender differences in suicide attempts in adolescents. Methods: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adolescents (≤ 18 years) who had visited a university hospital emergency department (ED) for suicide attempts from January 2018 through December 2019.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dolescents, details of the attempt, and outcomes wer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were age, gender, the 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previous attempts, and psychiatric history. The details were initial Glasgow Coma Scale, attempt-arrival time, living alone, method, place, and motivation of the attempt, and concurrent use of alcohol. The outcomes included psychiatric consultation, ED length of stay, and ED outcomes. Results: A total of 86 adolescents were included. Their age ranged from 13 to 18 years, and girls accounted for 65.1%. The girls had more frequent psychiatric history than boys (66.1% vs. 30.0%; P = 0.001) withou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vious attempts (55.4% vs. 46.7%; P = 0.442). The most common methods of the attempt in the girls and boys were poisoning and sharp objects (53.3% [16 of the 30 boys] vs. 60.7% [34 of the 56 girls]; P = 0.002), respectively. No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other details of the attempt and in the rate of psychiatric consultation. The girls had a longer ED length of stay (247.0 minutes vs. 186.5; P = 0.033), a lower rate of discharge against medical advice, and higher rates of hospitalization (discharge against medical advice, 53.6% vs. 76.7%; non-psychiatric, 23.2% vs. 3.3%; psychiatric, 12.5% vs. 0%; P = 0.003). Conclusion: Girls may make suicide attempts, usually by poisoning, and undergo relevant hospitalization, more often than boys. In contrast, boys usually use sharp objects, with a higher rate of discharge against medical advice and lower rates of the attempt and hospitalization.
게임 산업전시회 참관객의 추구혜택 시장세분화 연구 - G-STAR 2014의 국내 참관객을 대상으로 -
안영주,현성협,김인신 한국관광학회 2015 관광학연구 Vol.39 No.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benefits sought of G-STAR participation among domestic visitors. It is also to classify the visitors into segmented groups based on their benefits sought. Finally, this study examines differences in online and mobile game involvement and the awareness after participating in G-STAR 2014 among segmented groups. An onsite survey of visitors at G-STAR was conducte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were employed to identify market segments by using data collected from 404 respon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found three segmented groups. The results provided detailed profiles and differences in game involvement and awareness after G-STAR among the identified benefit-based segments. The importance of the development of customized exhibition programs in order to increase the awareness of the industrial exhibition among visitors is stressed. 본 논문의 목적은 G-STAR 참관객을 대상으로 방문추구혜택이 무엇인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방문추구 혜택을 바탕으로 시장세분화를 하고 세분화된 그룹 간의 특징을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세분화된 그룹의 게임관련 성향의 차이와 G-STAR 2014 전시회 참관 후 그룹 간 인식효과는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G-STAR에서 참관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404부의 설문지를 이용하여 탐색적요인분석과 군집분석으로 이용하여 추구혜택을 바탕으로 시장세분화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세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세분화된 군집별로 게임성향과 G-STAR의 인식효과에서 상당히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는 산업전시회 참관객의 인식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세분화된 그룹의 특성을 이용한 차별화된 전시회 프로그램 개발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평창동계올림픽 자원봉사동기, 인정․보상, 연결성, 봉사활동 참가의도와의 관계연구 - 연결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안영주 한국관광학회 2017 관광학연구 Vol.41 No.6
The city of PyeongChang will host the Olympic and Paralympic Winter Games in 2018. The PyeongChang Olympic Games organization strives to recruit and train qualified volunteers and increase the intention to volunteer because approximately 23,000 volunteers are necessary to hold the Olympics from February 9th to the 25th in 201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volunteer motivation, recognition reward, connectedness, and volunteering intention.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volunteer motivation, recognition reward, connectedness, and volunteering intention. This was done using data collected from 232 respon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purposive motivation, leisure motivation, and egoistic motiv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connectedness. Economic recognition and rewards positively influence connectedness. Connectedness has a positive effect on volunteering int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평창 시는 2018년 동계올림픽과 동계패럴림픽을 유치하게 되었다. 올림픽 대회의 성공적인 대회 진행을 위해 약 23,000여명의 자원봉사자들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며 올림픽 기간인 2월 9일부터 25일까지 올림픽 게임 운영에 필요한 활동을 할 예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평창동계올림픽 자원봉사 동기와 인정ㆍ보상을 선행변수로 하여 자원봉사자들의 연결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자원봉사자들의 연결성이 자원봉사 참여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 분석하고자 한다. 온라인설문을 통해 총 232명의 응답자에게 받은 데이터로 구조방정식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목적중심적 동기, 여가적 동기, 그리고 자기중심적 동기는 연결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정ㆍ보상부분에서는 경제적 인정보상이 연결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연결성은 자원봉사참여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자원봉사자 인적관리를 위한 이론적ㆍ실무적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