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유산소운동과 근력운동이 노인의 하지근력과 통증, 균형에 미치는 영향

        안성자 ( An Seongja ),안소윤 ( Ahn Soyun ) 대한통합의학회 2017 대한통합의학회지 Vol.5 No.2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people aged 65 and over by reducing musculoskeletal pain and increasing balance and muscular strength in their lower-extremities through aerobic exercises and the use of Thera-Bands and gym balls. Method : Fifteen out of 30 women who used a welfare center for the elderly in C City performed exercises using Thera-Bands and gym balls, and the remaining 15 elderly women did aerobic exercises. Both groups performed their respective exercises three times a week over a four-week period, for 50 minutes each time. Pain (VAS), balance (TUG), and lower extremity muscular strength were measured as evaluation tool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tatistical software SPSS 18.0 for Windows. The Wilcoxon signed-rank test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differences within each group, and the Mann- Whitney U test was used to compare the two groups in terms of their differences both before and after the participants` respective exercise programs. Results : No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although there were some differences within each group in terms of levels of pain, muscular strength, and balance. Conclusion : The aerobic and muscle strength exercise programs had positive effects on all variables, including pain, balance, and muscular strength in the lower extremities. Therefore, the combination of aerobic and muscle strength exercises may be effective in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elderly people.

      • KCI등재

        인공지능 기반 ‘한 학기 한 권 읽기’ 지원 웹서비스(‘책열매’) 개발 연구

        김종윤 ( Kim Jongyun ),이재진 ( Lee Jaejin ),이경남 ( Lee Gyoengnam ),이소라 ( Lee Sora ),최소영 ( Choi Soyoung ),박보경 ( Park Bokyung ),안소윤 ( Ahn Soyun ),전성균 ( Jeon Seongkyun ) 국어교육학회 2021 國語敎育學硏究 Vol.56 No.4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통합적 독서교육을 지원하기 위하여 ‘한 학기 한 권 읽기’를 교육 내용에 포함함에 따라, 교육부와 17개 시도교육청은 한 학기 한 권 읽기와 관련하여 초등학교 3~6학년 학생들과 교사의 독서교육을 지원하기 위한 웹서비스 개발 연구를 위탁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인공지능(AI)을 활용하여 초등학교 교사들이 한 학기 한 권 읽기에 활용 가능한 도서 목록 및 교수·학습 자료를 쉽게 검색·이용·공유할 수 있는 플랫폼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 학기 한 권 읽기 활동 지원 도서 검색 및 추천을 위해 기존 도서 및 신간 도서 정보로 구성된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 검색 빈도, 선호도, 독서 후기, 도서 랭킹 등의 사용자 데이터를 분석하여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도서 추천 시스템을 설계·개발하였다. 더불어 교사가 책열매에서 제공하는 기본적인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수업을 설계하도록 도서 검색 후 책에 관한 교수·학습 정보를 한눈에 활용할 수 있는 내용과 형식으로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고 공유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국어교육학계에서 최초로 시도하고자 하는 인공지능(AI) 활용 시스템 개발 및 그 성과를 공유하고 앞으로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In order to support students’ integrated reading education (reading one book in a semester) in the 2015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17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entrusted a web service, “Book Fruit” (https://ireading.kr) with development of study to support reading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The main goal was to develop a platform to aid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earching for, using, and sharing books and instructional materials that can be used for a semester’s reading curriculum. To achieve this goal, AI based book recommendation system was designed and developed by analyzing user data such as user search frequency, preferences, reading reviews, and book rankings based on metadata comprising existing and new book information. Additionally, instructional materials for teachers and reward systems for students were provided. In conclusion, the significance and the future direction of this study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