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인공지능 기반 ‘한 학기 한 권 읽기’ 지원 웹서비스(‘책열매’) 개발 연구 = The Development of an Artificial Intelligence (AI) Based Web Service (“Book Fruit”) Supporting “Reading One Book in a Semester”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통합적 독서교육을 지원하기 위하여 ‘한 학기 한 권 읽기’를 교육 내용에 포함함에 따라, 교육부와 17개 시도교육청은 한 학기 한 권 읽기와 관련하여 초등...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통합적 독서교육을 지원하기 위하여 ‘한 학기 한 권 읽기’를 교육 내용에 포함함에 따라, 교육부와 17개 시도교육청은 한 학기 한 권 읽기와 관련하여 초등학교 3~6학년 학생들과 교사의 독서교육을 지원하기 위한 웹서비스 개발 연구를 위탁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인공지능(AI)을 활용하여 초등학교 교사들이 한 학기 한 권 읽기에 활용 가능한 도서 목록 및 교수·학습 자료를 쉽게 검색·이용·공유할 수 있는 플랫폼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 학기 한 권 읽기 활동 지원 도서 검색 및 추천을 위해 기존 도서 및 신간 도서 정보로 구성된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 검색 빈도, 선호도, 독서 후기, 도서 랭킹 등의 사용자 데이터를 분석하여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도서 추천 시스템을 설계·개발하였다. 더불어 교사가 책열매에서 제공하는 기본적인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수업을 설계하도록 도서 검색 후 책에 관한 교수·학습 정보를 한눈에 활용할 수 있는 내용과 형식으로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고 공유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국어교육학계에서 최초로 시도하고자 하는 인공지능(AI) 활용 시스템 개발 및 그 성과를 공유하고 앞으로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order to support students’ integrated reading education (reading one book in a semester) in the 2015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17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entrusted a web service, “Book Fruit” (...

      In order to support students’ integrated reading education (reading one book in a semester) in the 2015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17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entrusted a web service, “Book Fruit” (https://ireading.kr) with development of study to support reading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The main goal was to develop a platform to aid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earching for, using, and sharing books and instructional materials that can be used for a semester’s reading curriculum. To achieve this goal, AI based book recommendation system was designed and developed by analyzing user data such as user search frequency, preferences, reading reviews, and book rankings based on metadata comprising existing and new book information. Additionally, instructional materials for teachers and reward systems for students were provided. In conclusion, the significance and the future direction of this study are discuss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교육부, "한 학기 한 권 읽기 지원 웹 서비스: 책으로 열리는 매일(홍보자료 PIM 2021-12)"

      2 교육부, "초등학교 한 학기 한 권 읽기 수업 지원을 위한 인공지능 활용 웹서비스 ‘책열매’ 전면 개통"

      3 김태호, "초등학교 통합 교육과정 실천 방안으로서‘한 학기 한 권 읽기’" 한국인격교육학회 15 (15): 49-66, 2021

      4 최소영, "초등학교 교육용 어휘 등급화와 등급 보정 절차 연구" 국어교육학회 55 (55): 223-254, 2020

      5 김은영, "중학교 ‘한 학기 한 권 읽기’ 교과서 단원 분석과 수업 구성 요인에 관한 연구" 한중인문학회 (69) : 189-216, 2020

      6 임희석, "자연언어처리 바이블" 휴먼싸이언스 2019

      7 전국초등국어교과모임, "온작품읽기" 휴먼에듀 2017

      8 한철우, "미시적 독서 지도의 한계와 극복" 5 : 1-24, 2003

      9 이경화, "‘한 학기 한 권 읽기’의 오적용 양상과 개선 방안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초등교육연구원 30 (30): 79-99, 2019

      10 서수현, "‘한 학기 한 권 읽기’의 실행 양상과 개선 방안 - 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 우리말교육현장학회 13 (13): 35-65, 2019

      1 교육부, "한 학기 한 권 읽기 지원 웹 서비스: 책으로 열리는 매일(홍보자료 PIM 2021-12)"

      2 교육부, "초등학교 한 학기 한 권 읽기 수업 지원을 위한 인공지능 활용 웹서비스 ‘책열매’ 전면 개통"

      3 김태호, "초등학교 통합 교육과정 실천 방안으로서‘한 학기 한 권 읽기’" 한국인격교육학회 15 (15): 49-66, 2021

      4 최소영, "초등학교 교육용 어휘 등급화와 등급 보정 절차 연구" 국어교육학회 55 (55): 223-254, 2020

      5 김은영, "중학교 ‘한 학기 한 권 읽기’ 교과서 단원 분석과 수업 구성 요인에 관한 연구" 한중인문학회 (69) : 189-216, 2020

      6 임희석, "자연언어처리 바이블" 휴먼싸이언스 2019

      7 전국초등국어교과모임, "온작품읽기" 휴먼에듀 2017

      8 한철우, "미시적 독서 지도의 한계와 극복" 5 : 1-24, 2003

      9 이경화, "‘한 학기 한 권 읽기’의 오적용 양상과 개선 방안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초등교육연구원 30 (30): 79-99, 2019

      10 서수현, "‘한 학기 한 권 읽기’의 실행 양상과 개선 방안 - 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 우리말교육현장학회 13 (13): 35-65, 2019

      11 이지영, "‘한 학기 한 권 읽기’의 실천에서 드러난 초등교사의 딜레마 탐색"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4) : 71-102, 2019

      12 김영란, "‘한 학기 한 권 읽기’의 교육적 함의" 한국독서학회 (51) : 251-282, 2019

      13 김라연, "‘한 학기 한 권 읽기’의 교육적 적용 사례 분석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1249-1269, 2018

      14 염나리, "‘한 학기 한 권 읽기’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65) : 141-162, 2018

      15 장은섭, "‘한 학기 한 권 읽기’에 대한 중학생들의 인식 및 실태 조사 연구"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8) : 105-133, 2019

      16 손균옥, "‘한 학기 한 권 읽기’에 관한 교사의 인식과 실행-초등학교 교사를 중심으로" 41 : 32-69, 2020

      17 권이은, "‘한 학기 한 권 읽기’ 운영 방안 연구 - 책 선택과 독자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 리터러시 학회 10 (10): 261-292, 2019

      18 박세준, "XGBoost와 Word2Vec을 이용한 온라인 쇼핑 패턴 기반 하이브리드 협업 필터링" 한국정보기술학회 18 (18): 1-8, 2020

      19 박세준, "Word2Vec의 다차원 특징을 이용한 머신러닝 기반 추천 정확도 개선" 한국정보기술학회 19 (19): 9-14, 2021

      20 Abdollahpouri, H., "The unfairness of popularity bias in recommendation" 2019

      21 Barkan, O., "Item2vec: Neural item embedding for collaborative filtering" 2016

      22 Mikolov, T., "Efficient estimation of word representations in vector space" Workshop Track Proceedings 2013

      23 Le, Q., "Distributed representations of sentences and documents" 2014

      24 교육부,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및 각론 확정·발표"

      25 이소라,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한 학기 한 권 읽기’ 반영 양상 분석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807-830,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 1 1.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2 1.22 1.606 0.4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