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축구동호회 참여와 프로축구 관람요인 및 관람 후 행동의 관계

        안나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축구동호회 참여와 성별에 따른 프로축구 관람요인 및 관람 후 행동의 관계를 분석하여 축구 관람행동을 규명하는 것이다. 설문조사는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축구동호회 동호인, 일반인들 중 24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미 회수된 설문지와 불성실한 응답지를 제외한 총 227부의 설문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을 이용하여 설문 문항의 신뢰도 및 타당도 분석, 빈도분석, 일변량 분산분석, 공변량 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와 같은 연구 절차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과 연령에 따른 관람요인 및 관람 후 행동의 차이는 성별과 연령에서 모두 경기상황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연령에서 남자 집단과 여자 집단 모두 40대가 경기상황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축구동호회 참여여부에 따른 관람요인 및 관람 후 행동의 차이에서 남자 집단은 관람비용, 시설환경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비참여자가 참여자보다 높게 나타났다. 반면, 여자 집단은 관람 후 행동에서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참여자가 비참여자보다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축구 관람행동에 있어서 경기상황이 다시 관람하고자 하는 관람 후 행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프로축구의 경기력, 스타플레이어 등의 강화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축구동호회 동호인과, 일반인을 대상으로 프로축구 관람요인을 파악하는 것은 참여스포츠 증가와 함께 관람스포츠로 연결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football participation and attendance factors of professional football and post-spectating behavior. The sample of this study consisted of individuals who are involved (participants) and not involved (non-participants) in football activity. Among 240 questionnaires that were distributed, a total of 277 responses were used in the study. SPSS 20.0 Version for windows using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one-way ANOVA and one-way ANCOVA were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formance factors depending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sex and age. Second, the underlying differences between attendance factors and post-spectating behavior depending on actual participation in football were price and facility factors in men whereas post-spectating behaviors in women. Discussions were provided with managerial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 상상력 학습에 의한 미적 감수성 함양 : 초등미술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안나영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사람들은 보통 예술을 나와는 다른 세계의 특별한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오늘날 예술작품의 대중화로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으며 국가의 적극적인 정책으로 다양한 예술교육프로그램이 활성화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예술교육에서 벗어나지 못한 이벤트성 수업으로 여전히 사람들의 선입견과 무관심을 변화시키지 못하였고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예술교육 또한 기능 교육 중심으로 학생들로 하여금 어릴 때부터 예술이란 자신의 생활과 동떨어진 재능 있는 사람들만 누리는 것으로 생각하게 하였다. 이러한 부정적인 선입견은 자신의 삶 속에서 아름다움을 찾고 향유할 수 있는 미적 감수성을 길러주는 것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데 이에 가장 적합한 교육방법이 맥신 그린의 상상력 학습이다. 본 연구에서는 미적 감수성을 함양하기 위하여 상상력 학습에 의한 미술 수업을 개발하고 학교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상상력 학습의 핵심활동인 질문하기, 맥락적 정보 수집하기, 창작하기, 성찰하기를 바탕으로 수업 지도안을 구성하여 실제로 적용해보고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먼저 문헌조사를 통해 상상력 학습과 미적 감수성의 연관성에 대하여 알아보고 설계원칙을 도출하여 수업을 설계한 후 수업 지도안 및 자료를 개발하였으며 총 9차시의 수업을 2016년 9월~10월까지 경기도 화성시 A초등학교 6학년 24명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그리고 사전•사후 마인드맵, 설문지, 성찰일지, 활동지, 교사의 관찰일지, 면담자료를 수집하고 상상력 학습에 의한 미술 수업이 미적 감수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미적 감수성의 핵심개념인 지각, 소통, 연결의 성취기준에 따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첫째, 지각 능력은 사물을 대상으로 자신의 감각을 활용하여 탐색하고 특징을 발견하는 능력으로 예술작품에 대한 질문하기 활동을 통해 작품을 탐색하는데 집중하고 흥미를 가지게 되었으며 상상력을 발휘하여 새롭고 다양한 느낌과 생각을 표현하게 되었다. 둘째, 소통 능력은 다른 사람들의 의견에 반응하고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는 능력으로 서로의 생각을 진지하게 듣고 긍정적으로 반응하여 그것을 바탕으로 자기 의견을 적극적으로 표현하게 되었으며 협동학습을 통해 협력과 책임감에 대하여 깨닫게 되었다. 셋째, 연결 능력은 다른 교과의 내용과 방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미술을 생활화하는 능력으로 수업이 이루어지는 동안 각자 자신의 선지식과 경험을 활용하였으며 수업 후에도 배운 것을 실천하고 지식을 학교 밖으로 연결하여 확장시켰다. 본 연구는 상상력 학습에 의한 초등 미술교육 사례를 제시하고 미적 감수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미적 감수성의 성취기준을 바탕으로 수집 자료를 분석한 결과 상상력 학습이 학생들의 지각 능력, 소통 능력, 연결 능력을 향상시키기에 적합한 수업 방식임을 알려주었다. 미적 감수성은 교육으로 충분히 길러낼 수 있는 능력으로 학생들이 세상을 좀 더 아름답고 재미있게 바라보고 일상생활에서도 얼마든지 예술을 향유할 수 있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Art is often thought of as a special domain, unconnected with the lives of ordinary people. But today through the popularization of art works, art is becoming more easily accessible in everyday life. Concurrently with this trend, the government of Korea has been implementing a variety of arts education programs. However, because of the present 'event-oriented' lesson structure in Korean schools from which arts education has not escaped, art in the classroom still cannot change people's prejudices and indifferences. Furthermore, arts education in schools has also been centered on 'functional education', which has led students to think that art can be enjoyed only by talented people different from themselves. These negative preconceptions can be transformed into aesthetic sensibilities for the enjoyment of art in one's life. In the service of this goal, Maxine Greene's approach to developing imaginative capacity in students is the best instructional method.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question of how students' development of aesthetic sensibilities might be effected by participation in arts lessons, the teaching plans of which were designed around the idea of 'Imaginative Learning' and its core activities; questioning, contextual information and research, art making and reflection.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imaginative learning and aesthetic sensibility as explored in the literature was investigated. After deriving from this literature the relevant design principles, the lesson plans and materials were developed. These lessons were carried out in nine sixth grade classes with a total of 24 students in an elementary school in Hwaseong City, South Korea from September to October 2016. Mind maps, questionnaires, reflection logs, activity sheets, teacher observation logs, and interview materials were gathered before and after the classes were conducted. These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achievement criteria of Perception, Communication, and Connection, which are the core concepts of aesthetic sensibility, as follows. 'Perception' is the ability to search for objects and discover their characteristics using one's own senses. Through inquiring about works of art, students were able to focus on exploring art works, become interested in them, and express their own thoughts and feelings about them. 'Communication' refers to the ability to respond to the opinions of others and contribute one's own thoughts. By listening to each other's thoughts seriously, reacting positively, and expressing opinions positively, students were able to cooperate responsibly while learning. 'Connection' is actively utilizing the contents and methods of other subjects in order to make the art relevant to life. During the lessons, students used their own preconceptions and experiences. After class, they practiced what they learned and extended their knowledge to life outside of the school. Thus, this study supports the inclusion of 'Imagination Learning' in public school art education as a method suitable for improving students' perception, communication, and connection skills. Aesthetic sensibility can be positively influenced by education, and students can be encouraged to enjoy art in everyday life.

      • 유아체육 프로그램이 발달장애아동의 사회적응행동발달에 미치는 효과검증

        안나영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Effects of Early Childhood Physical Education Program on the Social Adjustment Behavior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 Na-young Major in Sports for All Graduate School of Social Education Myongji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preschool P.E. program on the social adjustment behavior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how to construct early childhood P.E. programs in a more efficient manner.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preschoolers with the 1st-, 2nd- and 3rd-grade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a daycare center for the disabled only in the city of P. After a P.E. program was conducted for a 16-week period of time, the instrument that reorganized KISE developmental scale to suit their social ages was employed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program.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liability of the instrument was tested by using Cronbach alpha coefficient in the six categories of social adjustment behavior development, and the instrument turned out highly reliable: .949 in the category of self-care skills, .901 in socioemotional function, .979 in verbal skills, .978 in cognitive function, .968 in gross motor function, and 916 in fine motor function. As for validity test,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as carried out to verify the factor validity of the instrument. Second, independent-samples t-test was conducted to look for intergroup gaps in underwater activities and physical activities that made up the early childhood P.E. program. As a result, the underwater activities served to raise their averages in self-care, verbal, cognitive, gross motor and fine motor functions better than the physical activities. The physical activities increased their averages only in socioemotional function. Although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ergroup disparities, the underwater activities had a tendency to be more effective than the physical activities. Third, paired-samples t-test was utilized to track intragroup gaps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scores in the underwater activities and physical activities that made up the preschool P.E. program. In terms of the underwater activities, there were significant intragroup differences just in fine motor function(p<.001), an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ragroup gap was found in self-care, socioemotional, verbal, cognitive and gross motor functions. In the event of the physical activities, there were significant intragroup disparities in self-care(<.01), gross motor function(p<.001) and fine motor function(p<.001) only, an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socioemotional, verbal and cognitive functions. Fourth, when the posttest scores of the students were compared in the underwater activities and physical activities that made up the early childhood P.E. program, the underwater activities let them get higher mean scores in self-care, gross motor and fine motor functions than the physical activities, and the latter tended to boost their averages better in socioemotional, verbal and cognitive functions than the former. But only the differences in socioemotional function(p<.01) tended to be significant, and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sparities in self-care, verbal, cognitive, gross motor and fine motor functions. 국문초록 유아체육 프로그램이 발달장애아동의 사회적응행동발달에 미치는 효과검증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사회체육학과 안 나 영 본 연구는 유아체육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아동의 사회적응행동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 어떠한 유아체육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아동에게 더 효과적이고 바람직한지를 검토하기 위하여 P시에 위치한 장애전담 어린이집 아동 중 발달장애 1급, 2급, 3급 아동을 대상으로 16주간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KISE 발달척도를 발달장애 아동의 사회적 연령에 맞게 재구성한 검사도구를 이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그에 따른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검사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사회적응행동발달의 6개영역을 Cronbach's α계수를 이용하여 나타난 결과, 생활자립 기능 발달검사 .949, 사회·정서적 기능 발달검사 .901, 언어적 기능 발달검사 .979, 인지적 기능 발달검사 .978, 대근육 운동기능 발달검사 .967, 소근육 운동기능 발달검사 .916과 같이 매우 높은 신뢰도를 나타냈으며 검사도구의 타당도를 검사하기 위해 주성분분석을 이용한 인자타당성을 실시하였다. 둘째, 유아체육 프로그램인 수중활동과 신체활동의 두 집단 간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한 결과 수중활동에서는 생활자립기능, 언어적 기능, 인지적 기능, 대근육 운동기능, 소근육 운동기능이 신체활동 보다 평균적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냈고, 신체활동은 사회·정서적 기능에서만 평균적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냈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수중활동이 신체활동 보다 더 효과적인 경향을 나타내었다. 셋째, 유아체육 프로그램인 수중활동과 신체활동 사전·사후의 두 집단내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한 결과, 수중활동에서는 소근육 운동기능(p<.001)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생활자립 기능, 사회·정서적 기능, 언어적 기능. 인지적 기능, 대근육 운동기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신체활동에서는 생활자립 기능(p<.01)과 대근육 운동기능(p<.001), 그리고 소근육 운동기능(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사회·정서적 기능, 언어적 기능, 인지적 기능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유아체육 프로그램인 수중활동과 신체활동의 사회적응행동 발달검사의 사후활동을 비교한 결과 생활자립 기능과 대근육 운동기능, 그리고 소근육 운동기능은 수중활동이 신체활동보다 평균적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냈고 사회·정서적 기능, 언어적 기능, 인지적 기능에서는 신체활동이 수중활동 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내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사회ㆍ정서적 영역(p<.01)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는 경향을 보이고 있고 나머지 생활자립 기능, 언어적 기능, 인지적 기능, 대근육 운동기능, 소근육 운동기능에서는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 집단미술치료가 감정노동자의 감정부조화와 소진에 미치는 효과 : 보육교사를 중심으로

        안나영 한양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감정노동자의 감정부조화와 소진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치료 대상은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보육시설을 방문하여 교사들을 사전 인터뷰하였으며 감정부조화와 소진이 많은 보육교사 총 8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 4명과 통제집단 4명으로 구성하였다. 연구 기간은 2017년 6월 16일부터 9월 28일까지 주 1회, 90분씩, 총 24회기에 걸쳐 I시의 보육시설에서 실시하였으며,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집단미술치료가 감정노동자의 감정부조화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집단미술치료가 감정노동자의 소진에 미치는 효 과는 어떠한가? 2-1) 집단미술치료가 감정노동자의 감정고갈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2-2) 집단미술치료가 감정노동자의 비인격화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2-3) 집단미술치료가 감정노동자의 개인성취감 저하에 미치는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연구도구는 양적 분석도구로 감정부조화 와 소진 척도(MBI)를 사용하였고, 질적 분석도구로는 빗속의 사람 그림검사(PITR: Person-In-The-Rain)와 KFD를 인용한 동적 직장생활화 그림검사(KOD: Kinetic Office Drawing)를 사전·사후 실시하여 비교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집단미술치료를 진행한 결과 보육교사의 감정부조화의 전체점수가 감소하여 유의미한 변화를 나타내었다. 둘째, 보육교사에게 집단미술치료를 진행한 결과 소진 하위유형인 감정고갈의 전체점수가 감소하여 보육교사에게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셋째, 집단미술치료가 보육교사의 비인격화 현상에 유의미한 변화와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넷째, 보육교사에게 집단미술치료를 진행한 결과 보육교사의 개인적 성취감 이 증가하여 전체점수가 상승하였다. 다섯째, 회기별 분석을 통해 나타난 실험집단의 언어적 표현과 행동 변화 등을 분석한 결과 보육교사의 감정부조화와 소진의 회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 결과 집단미술치료가 감정노동자의 감정부조화와 소진 회복에 치료적 효과성이 있음을 증명하였다. 집단미술치료가 감정노동 현장에서 감정노동자의 심리적, 정신적 보호와 예방 차원에서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임상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미술치료에서 감정노동자의 감정부조화와 소진에 관한 연구가 전무한 상황에서 처음으로 연구되었으므로 차후 지속적인 연구에 기초적 자료로 제공될 수 있다.

      • 수지요법이 척추 마취 제왕절개술 후 자가 통증 조절기를 가진 환자의 오심과 구토 및 통증에 미치는 효과

        안나영 차의과학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Purpose : To examine the effect of Korean hand acupressure therapy on nausea, vomiting and pain after Cesarean section with Patient Controlled Analgesics after spinal anesthesia. Methods : Fifty patient undergoing Cesarean section with Patient Controlled Analgesics after spinal anesthesia were sequentially assigned to either an experimental group(n=25) or a control group(n=25).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Korean acupressure intervention at the sites of K-9, F-4, M-3, M-4, I-38, L-4, H-2, H-3, H-7, and J-2 by attaching Seoambong from immediately after surgery to 48hours after C-section. The effects of the intervention on nausea, vomiting and pain were assessed by Opioid-related symptom distress scale and pain VAS scale(0-10) just after C-section, at the time of 60 minutes, 90minutes, 120minutes, 24hours, and 48hours after C-section. The total scores of frequency(0-4), severity(0-4), and bothersome(0-5) of nausea and vomiting were measured respectively during 48 hours after C-section. The sum of abdominal pain(0-10) and back pain(0-10) during 48 hours were scored. Data was analyzed by t-test and chi-square test using the SAS program. Result : 1) In the experimental group, incidences of the nausea and vomiting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2) In the experimental group, frequency, severity and bothersome of the nausea and vomiting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3)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number of administered antiemetics and analgesics were decreased than those of control group. 4)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scores of pain of abdomen and back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Korean hand acupressure therapy have effects on reduction of nausea, vomiting and abdomen and back pain. Therefore Korean hand acupressure therapy can be considered an independent nursing intervention for reducing nausea, vomiting and pain at the clinical settings. Keywords : Korean hand acupressure, Spinal anesthesia, Patient controlled analgesics, Cesarean section, Nausea, Vomiting, Pain. 본 연구는 척추마취 제왕절개 수술 후 자가 통증 조절기를 가지고 있는 산모를 대상으로 고려수지요법이 수술 후 오심과 구토 및 통증 감소에 효과가 있는지 확인할 목적으로 시도되었으며 연구 결과 고려수지요법은 척추마취 제왕절개 산모에서 척추마취와 자가 통증 조절기 약물로 인한 오심과 구토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었고 또한 수술절개부위의 통증과 자궁수축 통증으로 인한 복통과 요통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임상실무에서 적용할 수 있는 간호중재임이 확인되었다. 2012년 5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C 대학병원 산부인과 병동에서 척추마취 제왕절개술 후 자가 통증 조절기를 가진 환자들을 대상으로 고려수지요법을 적용한 실험군 25명과 고려수지요법을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 25명에게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 사후 시차 설계를 이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척추마취 제왕절개술을 받기 위해 산부인과 병동에 입원한 환자의 명단을 매일 수집한 후 무작위로 대조군을 선정하였고 연구의 사전 동의를 얻은 후 수술 전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술 직후, 수술 후 60분, 90분, 120분, 24시간, 48시간 시점에서 오심과 구토 및 통증을 측정하였다. 대조군의 자료 수집기간이 종료된 후 입원 환자의 명단을 매일 수집하여 무작위로 실험군을 선정한 후 연구 사전 동의를 받았고 실험전 자료 수집을 하였다. 수술 직후부터 48시간 동안 K-9, F-4, M-3, M-4, I-38, L-4, H-2, H-3, H-7, J-2 지점에 서암봉을 적용하였으며 수술 직후, 수술 후 60분, 90분, 120분, 24시간, 48시간 시점에서 오심과 구토 및 통증을 측정하였다. 오심과 구토 발생 유무, 빈도와 정도 및 불편감 점수는(Opioid-related symptom Distress scale, Apfelbaum et al, 2004) 48시간 동안의 총합으로 제시하였다. 복통과 요통 점수는 시각적 상사척도로 측정하여 48시간 동안의 총합으로 제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AS Program(Version 9.2)을 이용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의 특성에 대한 실험전 동질성 검정은 t-test와 χ²-test 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실험군과 대조군의 차이는 t-test를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지요법을 적용한 실험군의 오심과 구토의 발생률은 대조군에 비해 낮았다(all p's<0.01). 2) 수지요법을 적용한 실험군의 오심과 구토의 정도, 빈도, 오심과 구토와 관련된 불편감 점수가 대조군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all p's<0.05). 3) 수지요법을 적용한 실험군의 항구토제와 진통제 사용 횟수가 대조군에 비해 적었다(all p's<0.05). 4) 수지요법을 적용한 실험군의 복통과 요통 점수가 대조군에 비해 낮았다(all p's<0.01). 본 연구 결과 고려수지요법은 자가통증 조절기를 가진 척추마취 제왕절개 산모의 오심과 구토 및 통증을 감소시킬 수 있는 간호 중재임을 확인하였으므로 간편하고 효과적인 간호중재 방법의 하나로 고려수지요법을 임상 실무에서 적용할 것을 제언하는 바이다.

      • 다니엘 아라스의 미술사 방법론 연구 : 아나크로니즘 개념의 기원과 적용을 중심으로

        안나영 조선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다니엘 아라스(Daniel Arasse)의 ‘아나크로니즘(Anachronisme)’ 개념을 20세기 이후 프랑스 역사학과 미술사학의 맥락에서 검토하고, 이를 ‘통제된 아나크로니즘(anachronisme contrôle)’ 이라는 미술사 방법론으로 소개한다. 역사학에서 ‘아나크로니즘’ 개념은 시간과 시대를 적합하게 대입하지 못하는 오류인 ‘시대착오’로 간주되어왔다. 미술사 연구에서도 아나크로니즘은 과거에 탄생한 미술작품에 현대적 이론을 도입하는 오류를 뜻하였다. 그러나 아라스는 ‘아나크로니즘’을 “미술작품에는 다양한 역사적 지층이 장기적으로 지속되며 뒤섞여 있다”라고 재정의한다. 더 나아가 그는 이 개념을 ‘통제된 아나크로니즘’이라는 미술사 방법론으로 정립하여 기존의 연구 방법을 보완하고자 하였다. 20세기 이후의 미술사가들은 미술작품의 다층적이고 응축된 시간성을 사유하였다. 그들은 전통적인 미술사의 방법에 변화를 주기 위해 미술작품과 시선(regard)의 시간성에 대한 이론적인 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아라스는 이를 수용하여 미술작품과 시선의 시간성에 대한 사유를 ‘아나크로니즘’ 개념과 연결한다. 그는 이 개념을 작품의 다층적인 시간성을 분석할 수 있는 미술사 방법론으로 활용하게 된다. 미술사 방법론으로서 ‘통제된 아나크로니즘’은 ‘시대착오를 수정’하고, ‘의도적으로 아나크로니즘을 일으키는’ 두 방법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는 이 방법을 확장하여서 벨라스케스의 <시녀들(Las Meninas)>, 미켈란젤로(Micheangelo Buonarroti)의 <모세(Moise)>, 안셀름 키퍼(Anselm Kiefer)의 작품들을 분석하는 사례로 정리하였다. 이 사례들은 시간의 방향과 순서를 재배치하는 ‘통제된 아나크로니즘’이 다양한 미술작품에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통제된 아나크로니즘’은 한 작품 안에 중첩된 여러 시대의 개념들을 분석해냈으며, 고전 미술 속의 현대적 요소나 현대 미술 속의 고대적인 특징들을 잡아내었다. 아라스는 미술사를 ‘시선의 역사(histoire du regard)’로 간주한다. 더 나아가 역사적 시선들은 미술작품을 ‘다르게 보는 방법’을 가르쳐주는 ‘시선의 문화(culture de regard)’로 확장된다. 시선의 문화는 미술작품, 관람자, 미술사가, 철학자들이 생산한 모든 담론들이 상호작용하는 장이다. 시선의 문화 속에서 고대에서 현재까지 지속되어 온 시선들은 시대를 초월하여 공유된다. 이 시선의 문화는 기존 미술사의 틀을 확장시키고, 배제된 것, 이질적인 것, 비동시대적인 것을 사유할 수 있는 ‘반성적 미술사’를 지향한다. 아라스가 제안한 방법론은 미술작품 속 시간의 응축과 차이를 검토함으로써 기존의 미술사 연구 방법을 보완하며 연구의 지평을 확장시켜 줄 것이다.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Daniel Arasse’s concept of Anachronism as a method of art history by re-contextualizing it within the works of French historians and art historians after the twentieth century. Anachronism in historical studies has often been conceived as referring to the misapplication of certain historical time or age to the event not belonging there. In art history, the term has been used to describe the misuse of current theory to the works created in the past. On the other hand, in Arasse’s redefinition, anachronism means a state of artworks in which “various historical strata have been overlapped and sedimented for a long durée.” Developing this new understanding further to what he calls “controlled anachronism,” Arasse suggested a new method in art history to revise the previous approaches. There were some art historians whose theoretical frameworks for the temporalities of artworks and their embedded gazes(regard) have provided the means to speculate about the multi-layered temporalities condensed in artworks, which have largely been marginalized by the traditional methods of art history. In line with these efforts, Arasse related the concept of anachronism to his speculation about the temporality of artworks and gazes and suggested it as a method of art history to analyze the multilayered temporalities involved with artworks. As a method for art history, the ‘controlled anachronism’ can be understood as a twofold process: one for correcting a mismatched-timeframe, another for intentionally creating this mismatch. In this research, Diego Velázquez’s Las Meninas, Michelangelo Buonarroti’s Moise, and Anselm Kiefer’s works are analyzed by this twofold process as the cases to demonstrate the applicability of the controlled anachronism’s experimental rearrangement of temporal directions and orders to a variety of artworks from different times. Through controlled anachronism, some elements typical for contemporary arts are detected from the classical while certain classical features are found from the contemporary, showing that the concepts from different ages could be overlapped in a single artwork. From these cases, this research draws the possibility of the ‘controlled anachronism’ as the method to reveal the multilayered temporalities condensed in artworks. For Arasse, art history is a history of the gaze (histoire du regard). Furthermore, the historical gazes for him are also what could be developed into the culture of the gaze (culture de regard) that teaches us ‘how to look differently’ at artworks. The culture of the gaze is where artworks, audiences, art historians, philosophers, and all discourses they create ar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The culture of the gaze is to share the gazes that have lasted transcending time, from the ancient to contemporary. Expanding the previous frameworks of art history, the culture of the gaze intends a “reflective art history” that allows us to re-think something excluded, different, and asynchronous.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widen the current methodology of art history by providing an alternative method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temporalities condensed in artworks.

      • 의식 상승 과제 활동을 통한 한국어 연결 어미 교육 연구 : '-(으)ㄴ/는데'를 중심으로

        안나영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의식 상승 과제 활동을 활용한 한국어 연결 어미 교육 방안을 제시해 보고 의식 상승 과제 활동이 한국어 학습자의 연결 어미 습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과제 중심 교수 모형을 토대로 의식 상승 과제 모형을 설계하여 한국어 연결 어미 교육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또한 의식 상승 과제 모형으로 설계한 교육 방안이 실제 교육 현장에서 의미가 있는지를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1장에서는 한국어 연결 어미 교수에 관한 선행 연구와 형태 초점 의사소통 접근법의 하나인 의식 상승 기법에 관한 선행 연구를 검토하여 의의와 한계점에 대해 고찰해 보고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기술하였다. 2장에서는 형태 초점 의사소통 접근법에 관한 이론을 살펴본 후 그것의 여러 가지 기법들 중 하나인 의식 상승 기법의 이론을 살펴봄으로써 ‘의식 상승’의 개념을 정의하고 문법 연습 활동과 비교해 보면서 의식 상승의 활동 내용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3장에서는 한국어 연결 어미 ‘-(으)ㄴ/는데’를 선정하여 그것을 ‘배경’, ‘비교’, ‘대조’, ‘제안’의 네 가지의 용법으로 나누고 그 용법별로 과제 중심 학습 모형에 따라 의식 상승 과제 활동을 활용한 연결 어미 교육 방안으로 제시해 보았다. 4장에서는 3장에서 제시한 교육 방안이 유의미한 활동인지를 실험을 통해서 그 결과를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어 중급반 학생들을 대상으로 사전 평가를 실시하여 통제반과 실험반으로 나눈 후, 통제반은 교사 주도적인 설명 위주의 수업을 진행하였고 실험반은 의식 상승 과제 활동을 활용한 수업을 진행하여 2주 후의 사후 평가 결과의 차이를 비교해 보았다. 그리고 사전ㆍ사후 평가에 나타난 오류 양상을 분석하여 의식 상승 과제 활동을 활용한 한국어 연결 어미 교육의 교육적 함의를 찾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의식 상승 과제 활동은 학습자들의 능동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의사소통의 기회를 부여하기 때문에 목표어 습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사후 평가에서 의식 상승 과제 활동으로 교육을 진행한 실험반이 그렇지 않은 통제반보다 더 높은 성취 결과를 보였고, 특히 실험반이 통제반보다 오류율이 현저히 낮았던 것으로 보아 의식 상승 과제 활동을 통해 습득한 연결어미 ‘-(으)ㄴ/는데’는 2주 후의 사후 테스트에서도 계속 유지가 된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수준별 통제반과 실험반의 사전ㆍ사후 평가 결과 사전 평가에서 정답률이 약 40% 가량 큰 차이를 보였던 반면 실험 이후 사후 평가에서는 약 2%로 근소하게 정답률 차이를 좁힌 것으로 보아 의식 상승 과제 활동은 한국어 연결 어미 습득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국어 연결 어미는 복잡한 형태와 다양한 의미 그리고 많은 제약들을 가진다는 점에서 연결 어미의 특성에 맞는 교수법을 제안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으)ㄴ/는데’의 용법과 특성에 맞게 의식 상승 과제 활동을 활용하여 교수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것과 한국어 학습자의 능동적인 참여를 유도하며 목표어의 의사소통 기회를 학습자들에게 부여할 수 있는 의식 상승 활동 과정을 제안하였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고 본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Korean linker ending education methods using consciousness raising tast activities and to find how consciousness raising task activities influence learning of linker ending of Korean language learners. This study designed consciousness raising problem models based on task-oriented teaching method to suggest Korean linker ending education methods. Also, it aimed to examine if teaching methods designed with consciousness raising task models are meaningful in actual teaching sites. In Chapter 1, precedent studies on Korean linker ending teaching methods and consciousness raising method as one of focus on forms were examined to consider their meanings and limits, and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were stated. In Chapter 2, focus on form theories were examined and consciousness raising method theory as one of focus on form theories to define the concept of 'consciousness raising' and to investigate consciousness raising activities compared with grammar practice activities. In Chapter 3, in order to suggest Korean linker ending education methods using consciousness raising task activities, consciousness raising task activities were suggested based on task-oriented study models. Also, a linker ending, '-(으)ㄴ/는데', was selected and divided it into four usages: 'background', 'comparison', 'contrast' and 'suggestion'. Then, teaching methods using consciousness raising task activities were suggested for each usage. In Chapter 4, the teaching methods suggested in Chapter 3 were verified of their significances. For the verification, intermediate Korean language learning students were tested preliminarily to divide them into two groups: control group and experiment group. The control group took lessons based on explanations led by teachers, and the experiment group took lessons using consciousness raising task activities. After 2 weeks, differences of results of two groups were compared. Also, by analyzing errors shown in evaluations before and after lessons, educational implication of Korean linker ending education using consciousness raising task activities were discussed. Through this study, consciousness raising problem activities induce active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chances of learners, and therefore they influence learning of target words positively. Also, the experiment group given consciousness raising task activities showed better accomplishment than control group in the evaluation after the lessons. Especially, the experiment group showed clearly low error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t can be interpreted that linker ending, '-(으)ㄴ/는데', learned through consciousness raising task activities were remembered in evaluation test taken after two weeks from the lessons. Also, the differences in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of two groups were about 40% in evaluation before the lessons, but the differences reduced to about 2% in evaluation after the lessons. Consciousness raising task activities positively influenced learning of Korean linker ending. Since Korean linker endings have complicated forms, various meanings and many limits, there should be teaching methods developed considering their characteristics. Thus,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suggested teaching methods using consciousness raising task activities considering usages and characteristics of '-(으)ㄴ/는데', and because it suggested consciousness raising task activities that induces active participation of and provides communication chances using target words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 유아의 기본생활습관과 신체적 발육발달에 관한 연구

        안나영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research studied about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infants' life pattern, physical development and motor ability development through special features of their fundamental habits and physical growth. Besides, it questioned on how the early physical education program would bring affect to their fundamental habits and physical growth. In order to find out the answer, both the survey questioning the fundamental habits(life pattern and eating habits) and the measurement in physical formation (height and weight) relating to the physical growth and motor ability development (balancing capacity, reacting ability of upper and lower body, muscular endurance, agility, flexibility and controlling ability), were carried out targeting the age of 3 to 4 kindergarteners and children in sports groups located in B region, throughout 12 weeks. Within that period, 4 weeks regular measurement were conducted twice, and the result came out as follows. First of all, from the result of t-experiment, which was to find out the special features of the infant's fundamental habits(life pattern and eating habits), the outcome of the life pattern at each infant's educational institute(kindergartens and sports groups) showed statistical attentive differences in home time(p<.001) and the amount of sleeping hours(p<.01), but not attentive differences in gender(boy or girl) and age(3years or 4 years). Besides, the outcome of the eating habits at each infant's educational institute(kindergartens and sports groups) showed statistical attentive differences in meat ingestion during weekdays(p<.05) and dairy ingestion during weekdays(p<.01), but not attentive differences in the age. Secondly, from the result of t-experiment, which was to find out the special features of the infant's physical development(physical formation and motor ability development), the outcome of the physical formation at each infant's educational institute(kindergartens and sports groups) showed statistical attentive differences in height(p<.05) and weight(p<.05), but not attentive differences in gender(boy or girl). However, the age(3years or 4years) showed very attentive differences in height(p<.001), weight(p<.001) and obesity rating(p<.001). The outcome of motor ability development at each infant's educational institute(kindergarten and sports groups) showed statistical attentive differences both in balancing capacity(p<.01), lower body reacting ability(p<.001), upper body reacting ability(p<.001), agility(p<.05), flexibility(p<.05), controlling ability(p<.05) and exercise capacity rating(p<.01), but at the class of gender(boy or girl) showed attentive differences in reaction ability of upper body(p<.001). However, at the class of ages(3years or 4years) showed statistical attentive differences in balancing capacity(p<.001), reaction ability of lower body(p<.001), reaction ability of upper body(p<.001), agility(p<.001), flexibility(p<.05), controlling ability(p<.001), and exercise capacity rating(p<.001), except, muscular endurance. Thirdly, in order to find out the changes and affection in fundamental habits(life pattern and eating habits) and physical growth(physical formation and motor ability development) from the execution of the early physical educational programme, 2 way analysis of variance was conducted. The result was that the life pattern at each infant's educational institute(kindergartens and sports groups), from the execution of the early physical educational programme or before, showed statistical attentive differences both in the bedtime(p<.01), school hours(p<.01), time to come home(p<.001), hours of sleep(p<.01). The examination period at each infant's educational institute did not show much difference in the statistics. Besid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ife style for reciprocal actions of the infant's educational institute X examination period in physical activities of home(p<.05). Among the categories of gender(boy or girl), attentive differences were made in the hour of waking up of gender(p<.05). the life pattern for reciprocal action of the examination period of gender and gender X examination period did not reveal significant difference in statistics. The hour of waking up(p<.05) and the bedtime(p.<05) show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ife pattern of different age. The life pattern for reciprocal action of the examination period of difference age and age X examination period did not show much difference. The result of two-way ANOVA to see the eating habits at its transformation of each infant's educational institute, before and after the execution of the early physical educational programm showed statistically attentive differences in instant noodle ingestion of weekdays (p<.05), weekday's meat ingestion (p<.05). The eating habit for reciprocal action of the examination period of each infant's educational institute and each infant's educational institute X examination period did not show much difference. Besides, the result at eating habit's transformation of gender also showed at attentive differences in gender of soft drink ingestion, but attentive differences were not shown at eating habit for reciprocal action of the examination period of each infant's educational institute and each infant's educational institute X examination period. the change of age-specific eating habit does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and examination period or age X examination period. The result of physical formation before or after the execution of the early physical educational programme showed statistical attentive differences in the infant's educational institute of height(p<.05), the infant's educational institute of weight(p<.001), the infant's educational institute of obesity rating(p<.001). Height(p<.001), obesity(p<.01) showed difference in the examination period of each infant educational institute. All physical formation did not show difference in reciprocal action of the examination period of each infant's educational institute and each infant's educational institute X examination period The result at transformation of physical formation in gender did not show at attentive difference. The examination period of physical formation in gende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spection period of height(p<.001), inspection period of obesity rating(p<.001). Reciprocal action of gender X the examination period according to gender at all physical formation did not show much difference. and also, at transformation of physical formation in the age(boy or girl) statistical attentive differences were shown in the age of height(p<.001), weight (p<.001), the age of obesity rating(p<.001). The reciprocal action did not show much difference at any physical formation by to age X examination period according to age. The result of the motor ability development at the transformation in the motor ability development of each infant's educational institute(kindergartens and sports groups), from the execution of the early physical educational programme or before, showed statistical attentive differences in the infant's educational institute of balancing ability(p<.05), reaction ability of lower body(p<.001), reaction ability of upper body(p<.01), muscular endurance(p<.01), agility(p<.01), capacity for[power of] locomotion (p<.001). Besides, there were reciprocal actions showing development distinction in the infant's educational institute and inspection period of reaction ability of lower body(p<.01), muscular endurance(p<.05) and agility(p<.001). Besides, the result at the transformation in motor ability development in gender also showed at attentive differences in reaction ability of lower body(p<.01), reaction ability of upper body(p<.001), muscular endurance(p<.05), flexibility(p<.01), capacity for[power of] locomotion(p<.05). At the period of examination according to balance (p<.01), reaction ability of lower body(p<.001), reaction ability of upper body(p<.001), agility(p<.01), modification ability (p<.001), showed difference. The reciprocal of gender x examination period of development of capacity for[power of] locomotion according to gender shows difference in muscle endurance(p<.05). The result at the transformation in motor ability development of the age also showed at attentive differences in the age of balancing capacity(p<.001), the reaction ability of lower body (p<.001), reaction ability of upper body(p<.001), agility(p<.001), inspection period(p<.001), the age of controlling ability(p<.001), At the age of inspection of capacity for[power of] locomotion shows difference in balancing(p<.001), reaction ability of lower body(p<.001), reaction ability of upper body(p<.001), agility(p<.001), controlling ability(p<.001), level of capacity for[power of] locomotion(p<.001). in the examination period according to age, development of capacity for[power of] locomotion shows difference in balancing(p<.05), reaction ability of lower body(p<.001), reaction ability of upper body(p<.01), agility(p<.001), controlling ability(p<.001). the reciprocal of age X examination period development of capacity for[power of] locomotion according to age shows difference in agility(p<.001), flexibility(p<.01), controlling(p<.05), level of capacity for locomotion(p<.05). muscle endurance did not show much difference. The result shows that basic living habit and physical activity is successful in the infant's educational institution but it was not effective at home. The result reveals to us when infant has good development of physical formation infant has good development of capacity for[power of] locomotion. We should continually encourage infants to have good eating habit and physical activities to help physical development. Henceforth, the necessity of the research is to develop objective schedule for 24 hours for infant. There should be the study of eating too much fruit related to physical development because there might be connection between obesity and fruit which has lots of sugar. instead of studying the trend of eating style, there should be the study of formula for recommended daily requirement and attitude of eating. Flexibility which is the category in development of capacity for[power of] locomotion in physical development has been difficult to be measured. There should be the study to develop objective measurement of flexibility. Lastly, It is very difficult for infants to have better health unless there is the change of attitude about the importance of physical health when the society focuses so much on academics. It should be opportunity for kids to have physical activities. For example, infant physical activity should be mandatory class in kindergarten regardless of age. Also, I think the government should develop physical activity programs including parents so that there can be physical activity at the house too. 본 연구는 유아의 기본생활습관과 신체적 발육발달의 특징을 통하여, 유아들의 생활패턴과 식생활습관, 형태발육과 운동능력발달의 특징과 그 문제점을 검토하고, 유아체육프로그램 실시 전·후에 따라 유아의 기본생활습관 및 신체적 발육발달의 변화는 어느 정도인가의 교육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B지역에 위치한 만3세∼만4세 유치원, 스포츠단유아를 대상으로 기본생활습관(생활패턴, 식생활습관)에 관한 설문지와 신체적 발육발달에 관한 형태발육(신장, 몸무게) 및 운동능력발달(평형능력, 하지순발력, 상지순발력, 근지구력, 민첩능력, 유연능력, 조정능력)의 측정을 12주에 걸쳐 1차 검사와 2차 검사를 각각 4주간 측정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기본생활습관(생활패턴, 식생활습관)의 특징을 알아보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한 결과, 생활패턴에 있어서는 유아교육기관별(유치원, 스포츠단)에 따라 하원시각(p<.001)과 하루수면시간(p<.01)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 성별(남아, 여아)과 연령별(만3세, 만4세)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식생활습관에 있어서는 유아교육기관별(유치원, 스포츠단)로는 육류섭취(p<.05), 주중유제품섭취(p<.01)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 성별(남아, 여아)에 따라서는 육류섭취(p<.05)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연령별(만3세, 만4세)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유아의 신체적 발육발달(형태발육, 운동능력발달)의 특징을 알아보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한 결과, 형태발육에 있어서는 유아교육기관별(유치원, 스포츠단)에 따라 신장(p<.05)과 몸무게(p<.05)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 성별(남아, 여아)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연령별(만3세, 만4세)에 따라서는 신장(p<.001), 몸무게(p<.001), 비만등급(p<.001)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운동능력발달에 있어서는 유아교육기관별(유치원, 스포츠단)에 따라서는 평형능력(p<.01), 하지순발능력(p<.001), 민첩능력(p<.05), 유연능력(p<.05), 조정능력(p<.05), 운동능력등급(p<.01)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 성별(남아, 여아)에 따라서는 상지순발능력(p<.001)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연령별(만3세, 만4세)에 따라서는 근지구력을 제외한 평형능력(p<.001), 하지순발능력(p<.001), 상지순발능력(p<.001), 민첩능력(p<.001), 유연능력(p<.05), 조정능력(p<.001), 운동능력등급(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유아체육프로그램 실시 전·후에 따른 기본생활습관(생활패턴, 식생활습관)과 신체적 발육발달(형태발육, 운동능력발달)의 변화를 검토하기 위해 이원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아교육기관별 생활패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생활패턴은 취침시각(p<.01), 등원시각(p<.01), 하원시각(p<.001), 하루수면시간(p<.01)이었으며, 유아교육기관별의 검사시기에서는 모든 생활패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 유아교육기관×검사시기의 교호작용을 나타낸 생활패턴은 주중 가정에서 신체놀이정도(p<.05)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성별의 생활패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생활패턴은 기상시각(p<.05)에서만 나타났고, 성별의 검사시기와 성별×검사시기의 교호작용을 나타낸 생활패턴은 모두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연령별 생활패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생활패턴은 기상시각(p<.05)과 취침시각(p<.05)에서 나타났고, 연령별의 검사시기와 연령×검사시기의 교호작용을 나타낸 생활패턴은 모두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유아체육프로그램 실시 전·후에 따른 식생활습관의 결과는 유아체육프로그램 실시 전·후에 따른 식생활습관의 변화를 검토하기 위해 이원분산분석을 한 결과, 유아교육기관별 식생활습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식생활습관은 주중 라면섭취(p<.05)와 주중 육류섭취(p<.05)이었으며, 유아교육기관별의 검사시기와 유아교육기관×검사시기의 교호작용을 나타낸 식생활습관은 모두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지 않았다. 성별의 식생활습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식생활습관은 주중 탄산음료(p<.05)에서만 나타냈고, 성별의 검사시기와 성별×검사시기의 교호작용을 나타낸 모든 식생활습관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지 않았다. 연령별 식생활습관의 변화는 연령과 검사시기, 연령×검사시기의 교호작용을 나타낸 식생활습관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유아체육프로그램 실시 전·후에 따른 형태발육의 결과는 유아교육기관별에 따른 형태발육의 변화에서 신장(p<.01), 몸무게(p<.001), 비만등급(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 유아교육기관별의 검사시기에서는 신장(p<.001), 비만등급(p<.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유아교육기관별에 따른 유아교육기관별×검사시기의 교호작용은 모든 형태발육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성별에 따른 형태발육은 신장, 몸무게, 비만등급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 성별에서의 검사시기는 신장(p<.001)과 비만등급(p<.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성별에 따른 성별×검사시기의 교호작용은 모든 형태발육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연령별 형태발육에서의 변화는 신장(p<.001), 몸무게(p<.001), 비만등급(p<.001),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 연령별의 검사시기에서는 신장(p<.001), 비만등급(p<.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연령별에 따른 연령×검사시기의 교호작용은 모든 형태발육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유아체육프로그램 실시 전·후에 따른 운동능력발달의 변화를 검토하기 위해 이원분산분석을 한 결과, 유아교육기관별에서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운동능력발달은 평형능력(p<.05), 하지순발능력(p<.001), 상지순발능력(p<.01), 근지구력(p<.01), 조정능력(p<.01), 운동능력등급(p<.001)에서 나타났고, 검사시기에서의 유아교육기관별에 따른 운동능력발달은 하지순발능력(p<.001), 상지순발능력(p<.05), 민첩능력(p<.001), 조정능력(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유아교육기관별에 따른 운동능력발달의 유아교육기관×검사시기의 교호작용은 하지순발능력(p<.01), 근지구력(p<.05), 민첩능력(p<.001)에서 나타났다. 성별에서의 운동능력은 하지순발능력(p<.01), 상지순발능력(p<.001), 근지구력(p<.05), 유연능력(p<.01), 운동능력등급(p<.05)에서 나타났고, 검사시기에서의 성별에 따른 운동능력발달은 평형능력(p<.05) 하지순발능력(p<.001), 상지순발능력(p<.01), 민첩능력(p<.001), 조정능력(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성별에 따른 운동능력발달의 성별×검사시기의 교호작용은 근지구력(p<.05)에서만 나타났다. 연령별에서의 운동능력은 평형능력(p<.001), 하지순발능력(p<.001), 상지순발능력(p<.001), 민첩능력(p<.001), 조정능력(p<.001), 운동능력등급(p<.001)에서 나타났고, 검사시기에서의 연령별에 따른 운동능력발달은 평형능력(p<.05) 하지순발능력(p<.001), 상지순발능력(p<.01), 민첩능력(p<.001), 조정능력(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연령별에 따른 운동능력발달의 연령×검사시기의 교호작용은 민첩능력(p<.001), 유연능력(p<.01), 조정능력(p<.05), 운동능력등급(p<.05)에서 나타났다. 근지구력은 연령, 검사시기, 연령×검사시기의 교호작용의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러한 종합적인 결과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는 기본생활습관과 신체활동은 비교적 성공적인 반면, 가정에서 이루어지는 생활패턴과 특히 식생활습관은 개선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하고, 유아의 신체적 발육발달은 ‘운동능력발달이 좋은 유아는 형태발육이 좋다. 역으로 형태발육이 좋은 유아는 운동능력발달도 좋다’라는 결과를 가져왔다. 비만등급을 감소시키고, 운동능력발달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올바른 식생활습관과 더불어 지속적인 유아체육활동을 참여하여 신체발달을 촉진시킬 수 있도록 하여야한다. 향후 연구과제는 먼저 유아에게 맞는 객관화 된 권장형 24시간 일과주기표를 연구개발 할 필요가 있고, 채소보다 과일에 비중이 많고 고당도가 많은 과일일 경우 비만과 상관이 있다고 사료되어 향후, 과일의 과다섭취와 형태발육에 관한 검증이 필요하며, 현재 진행 중이거나 트랜드에 집중한 식생활습관을 연구하기 보다는 식사태도에 관한 연구와 간편하고, 알기 쉬운 식단표에 관한 일일권장량 계산법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신체적 발육발달에서 운동능력발달 측정 항목 중 하나인 유연성은 아이들의 공포감이나 교사가 개입하여 스스로의 측정이 이루어지지 못 한 부분을 개선하고자 좌전굴로 실시하여야 된다고 사료되며, 마지막으로 우리나라 사회분위기가 학습위주인 상황에서는 부모나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인식 전환과 개선 없이는 유아들이 건강해질 수 없다. 운동경험을 줄 수 있도록 사회적 제도가 필요하며, 그 일환으로는 유아체육을 유치원과정에서 연령과 상관없이 필수교육과정으로 대폭 포함시켜야 하고, 가정에서도 지속적인 신체활동이 이루어 질수 있도록 부모와 함께 하는 신체활동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계몽할 수 있도록 국가가 나서야 한다고 사료된다.

      • 황칠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Streptozotocin 유발 당뇨 흰쥐의 항당뇨 효과에 미치는 영향

        안나영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ntidiabetic effects of leaves and stems in the Dendropanax morifera Leveille (DML) hot Water extracts and ethanol extracts in the diabetic rats. Diabetic experimental model was established by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streptozoticin (STZ) into male ICR mice. DML hot Water and ethnol extracts were concentration of 100 mg/kg and 200 mg/kg were administered orally in diabetic rats. Body weight, blood glucose levels were recorded for 14 days and serum insulin levels and urinalysis and histopathological observation of pancreatic islets were measured at the day 14. oral administration of DML extracts reduced significantly body weight in DW-200 groups. The blood level of glucose was decreased in the dose-dependent manner than DC group; 37.3% in the STZ+DW-200 group, 37.3% in the STZ+DE-200 group, 32.4% in the STZ+DW-100 group, and 19.3% in the DE-100 group. The serum level of insulin was improved 1.9 folds in the STZ+DW-200 group and 2.3 folds in the STZ+DE-200 group compared to the DC group. The urine level of glucose was improved 3.8 folds in the STZ+DW-200 group and 11.4 folds in the STZ+DE-200 group compared to the DC group. Immunohistochemical stainig for insulin clearly showed that pretreatment with DW-200 group and DE-200 group blocked the STZ-induced islets destruction and restored the number of islet cells that secreted insulin to the level of the control. The contents of total polyphenol and total flavonoids in 1g dry mass of DML extracts(DLW, DML leaves hot Water extracts; DLE, DML leaves ethanol extracts; DSW, DML stems hot Water extracts; DSE, DML stems ethanol extracts) were DLW (19080.51㎍), DLE (12561.03㎍), DSW (12207.18㎍), DSE (10266.66㎍) of gallic acid equivalents and DLW (1018.90㎍), DLE (803.79㎍), DSW (228.83㎍), DSE (220.68㎍) of quercetin equivalents,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antioxidant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DML extracts IC50 were DLE (243.33㎍/㎖), DLW (212.70㎍/㎖), DSW (308.30㎍/㎖), DSE (317.07㎍/㎖). These results imply the intake of DML hot Water extracts could contribute to attenuate clinical symptoms of diabetes mellitus and improves β-cell proliferation and prevents the death of β-cells in STZ-induced diabetic ra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