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해방 이후 북한의 역사학계와 박시형: 혁명적 역사학의 조건들

        심희찬(Shim, Hee-Chan) 고려사학회 2021 한국사학보 Vol.- No.83

        이 글에서는 식민지기부터 1960년 무렵까지를 대상으로 박시형의 생애와 역사인식을 검토하고, 북한 사학사의 한 측면을 살펴본다. 박시형은 경성제국대학에서 조선시대의 전세제도를 연구했지만, 식민지주의적 프레임을 벗어나지는 못했다. 감옥에서 해방을 맞이한 박시형은 조선공산당에 가입하고, 월북하여 김일성종합대학의 교수가 된다. 북한에서 박시형은 집체적 연구와 토론을 통해 유물사관을 단련시켜나갔다. 여기서 그는 혁명적 역사학의 조건들을 발견했다. 50년대 중반부터는 삼국시대의 사회구성체에 관한 논쟁에 참가하여 세계사적 보편성과 아시아적 특수성을 결합시키는 관점을 제시했다. 각 정치적 종파 사이의 권력투쟁이 심화되는 와중에서도 박시형은 유물사관에 대한 신념을 버리지 않았다. 그러나 그는 60년대 이후 발해사 연구를 예고하면서 역사연구의 방향 변화를 암시한다. This article examines Park Si-hyung"s life and historical perception from the colonial period to around 1960 and examines one aspect of North Korean history. Park Si-hyung studied the tax system of the Chosun Dynasty at Kyungsung Imperial University, but did not escape the colonial frame. After being liberated from prison, Park Si-hyung joined the Chosun Communist Party, fled to North Korea, and became a professor at Kim Il-sung University. In North Korea, Si-hyung Park trained his materialistic historical view through collective research and discussion. Here he discovered the conditions of revolutionary history. From the mid-50s, he participated in the debate on the social structure of the Three Kingdoms era and presented a perspective that combines the universality of world history with Asian specificity. In the midst of intensifying power struggles between political denominations, Park Si-hyung did not give up his belief in the materialistic historical view. However, he predicted the study of Balhae history after the 1960s, suggesting a change in the direction of historical research.

      • KCI등재

        근대역사학과 식민주의 역사학의 거리 : - 이마니시 류今西龍가 구축한 조선의 歷史像 -

        심희찬(SHIM, Hee-Chan) 한국사학사학회 2013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28

        In the present paper I examine two public institutions that supported the development of colonial history, the Korean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and the Keijō Imperial University, focusing on the research of Korean history by Imanishi Ryu, who worked at both institutions. The paper considers the ambiguous relationship between modern history and colonial history. Korean history studies in postwar Japan and in post-liberation Korea constructed their identities through removing the history of their colonial past, defining themselves through its otherness. In other words, colonial history was discarded from the territory of modern history; but can we actually draw a line between these two terrains? This is the basic question addressed by this paper. For example, Hatada Takashi, who revived Korean history studies in postwar Japan, pointed out that the major flaw of pre-war Korean history studies was the lack of “love for its object of study”, and he stressed that the mission of researchers in Korean history from that moment onwards was to eliminate colonial “distortions” from the “pure territory of scholarship”. Yet “distortion” and “love” are not opposed elements but rather each is part of the structure of the other; consequently, without “distortions” there would not be “pure scholarship”. This paper analyzes Imanishi Ryu´s research on Korean history from this point of view. In short, it examines the layers of relationships that exist between modern history and colonial history through the works of Imanishi. Imanishi, who thought of himself as “a son of Korea” and wrote in many places, “I love Koreans”, made ancient Korean history the main theme of his research. In Imanishi´s ancient history, the Korean people (from Silla, Baekje and Gaya) and the Japanese people joined hands, competing over and over against the powerful northern peoples (from Goguryeo). He called this association a community of nations. This community of nations operated as a scheme that fixed and explained, back to its origins, the present historical state of colonial government. Imanishi tried to establish this scheme as the key element of a general history of Korea. Through the writing of general history in this way, Imanishi could arrange the events of the past in the form of a chronicle that extended to the present, laying the foundations of a Korean history that could unify the Korean and the Japanese people. What Imanishi repeatedly stressed here was the “love” from the Japanese towards the Korean people, and this was how he validated from the distant past the roots of his own feelings. Imanishi worked hard to oust Dangun´s legend, a northern peoples´ myth, from the foundations of his work. At the time, Dangun was erupting as the new national and historical subject of the Korean people and his rejection by Imanishi was, needless to say, plain colonialism. However, in this way Dangun became a “vanishing mediator”, acting as an intermediary between modern history and colonial history. This was somewhat paradoxical, since Dangun´s rejection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establishment of modern history in colonial Korea. Incidentally, the inscription on the Gwanggaeto stele, while supporting some of Imanishi´s theories, also helped them to collapse. It was like a bone struck in the throat; that is to say, it was an external existence that troubled Imanishi but one which he had to swallow against his will. This is perhaps one metaphor against modern history. May we not have a glimpse of those colonialist actions, so frequently occurring in the discipline of history, that swallow the other into oneself? 이 글은 식민지조선에서 ‘식민주의 역사학’을 지탱하던 두 군데의 공적 기관, 조선사편수회와 경성제국대학에서 각각 수사관과 교수로 근무했던 이마니시 류의 조선사연구를 검토하고, 근대역사학과 식민주의 역사학의 양가적인 관계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방 후 한국의 한국사 연구와 일본의 조선사 연구는 식민주의 역사학을 타자로 배제함으로서 자신들의 아이덴티티를 확립해왔다. 이는 다시 말해 식민주의 역사학을 근대역사학의 영역에서 추방하는 작업인 것인데, 과연 이 양자를 구별하기란 가능할 것인가, 라는 점이 이 글에서 묻고자 하는 가장 핵심적인 주제이다. 가령 패전 후 일본의 조선사 연구를 새롭게 출범시킨 하타다 다카시는 대상에 대한 사랑이 없다는 점에 제국주의 시절 일본의 조선사 연구의 커다란 결함이 있다고 지적하고, 순수한 학문의 영역에서 식민주의적인 일그러짐을 제거하는 것이 새로운 조선사 연구의 사명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일그러짐과 사랑은 상반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서로가 서로를 구성하는 요소이며 따라서 일그러짐이 없으면 사랑에 근거한 순수한 학문도 존재할 수 없다. 이 글에서는 이와 같은 시각에 입각하여 이마니시의 조선사 연구를 분석한다. 즉, 이마니시를 통해 근대역사학과 식민주의 역사학이 구성하는 층위를 검토하는 것이다. 자기 자신을 한국의 아이라 여기고 한인에 대한 사랑을 글로 남긴 이마니시는 주로 한국고대사를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다. 이마니시가 본 한국고대사는 한민족(신라, 백제, 가야 등)과 일본민족이 손을 잡고 강대한 북방민족(고구려)와 경쟁을 반복하는 것이었으며, 그는 이를 Community of nations라 이름 지었다. 이 Community of nations란 식민지지배라는 작금의 역사적 현실을 그 기원으로 소급하여 확정하는 도식, 곧 통사의 시도였다고 볼 수 있다. 이마니시는 과거의 여러 사건들을 연대기 위에 올려놓음으로서 현재에 연결시키고, 한민족과 일본민족을 통괄할 수 있는 토대를 구축하고자 했다. 여기서 이마니시가 거듭 강조한 것이 한민족에 대한 일본민족의 사랑이었으며, 이는 또한 자신의 감정의 근원을 머나먼 과거에서 추인하는 작업이기도 했다. 이마니시는 이와 같은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북방민족의 신화인 단군전설을 자신이 구축한 토대에서 내몰았다. 당시 한민족의 새로운 민족적, 역사적 주체로서 등장하고 있던 단군을 부정하는 것은, 물론 식민지주의적 폭력에 다름 아니거니와 이를 통해 단군은 사라지는 매개자가 되어 근대역사학과 식민주의 역사학을 중개하는 존재가 되었다. 이마니시의 단군부정은 도리어 근대역사학이 식민지조선에서 확립하는 결정적인 계기를 제공했던 것이다. 그런데 광개토대왕비의 기사는 이마니시가 구축한 토대를 지탱하면서 무너트리는, 말하자면 목에 걸린 가시라는 타자적 존재로서 이마니시를 괴롭혔고, 이마니시는 이를 억지로 삼키기에 이른다. 이러한 과정은 근대역사학에 대한 일종의 비유가 아닐까? 여기에는 타자를 자신 안에 삼켜버리는 식민지주의적 행위가 바로 역사학의 근원적 성격임을 보여주는 알레고리가 존재하는 것이다.

      • KCI등재

        식민사학 재고 - 과학 담론과 식민지주의의 절합에 대해 -

        심희찬 ( Shim Hee Chan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인문학연구 Vol.- No.63

        이 글은 주로 다음 두 가지 분석을 통해 일제 시기 한국에서 역사학이 분과 학문으로 자리 잡는 과정 및 그 구체적 내용을 살펴보려고 하는 것이다. 첫째, 식민사학의 모태를 이루는 일본 근대역사학과 실증주의의 관련을 검토한다. 둘째, 과학의 외피로 무장한 일본의 근대역사학이 식민지조선에 건너오는 양상을 고찰한다. 서구의 과학 담론에 고증학을 조합하는 형태로 구성된 일본의 근대역사학은 국가나 당파보다 역사의 인과관계와 진리를 중시한다는 역사가의 아이덴티티를 창출했다. 정사편찬기구, 제국대학, 사학회라는 세 가지 축을 중심으로 성립한 근대 역사학의 바탕에는 과학적 연구를 통해 역사를 파악할 수 있다는 맹목적인 믿음이 존재했다. 이후 필화사건 등을 거치면서 공적인 공간에서 역사가 개인의 의견을 진술하는 행위는 금기시되었고, 일본의 독특한 역사서술법인 <사료> 편찬만이 무해한 실증주의적 방법으로서 살아남았다. 일제가 한국을 병합한 이후, 일본의 실증주의 역사학은 본격적으로 식민지조선에 침투했다. 특히 1919년 3.1운동 이후 제국대학의 <사료> 편찬 방식이 식민지조선에 그대로 도입되었다. 1938년에 완성된 전 35권의 『조선사』가 그 성과였는데, 역사가의 사론을 완전히 배제하고 오직 강문과 사료의 나열로만 이루어지는 『조선사』의 구성은 식민지조선에서 조영된 실증주의의 극단이었다. 이와 동시에 경성제대가 설립되어 역사연구자를 재생산하는 구조가 만들어졌고, 식민지조선의 지식 네트워크를 총합하는 청구학회가 조직되면서 분과 학문으로서의 근대역사학이 그 진용을 갖추게 되었다. 역사를 수집하고(공적 아카이브), 교육하고(대학), 연구하는(학회) 세 가지 거점이 성립하면서 역사의 연구를 세간에 표현하는 방식도 일정한 형식을 공유하게 되었다. This paper mainly attempts to consider the process of establishment of history as a discipline in colonial Korea and its concrete contents through the following two analyses. One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odern Japanese history and positivism, which is the mother of colonial history. Two, consider how modern Japanese history, armed with scientific discourse, is transmitted to colonial Korea. Japanese modern history, which is composed of Western scientific discourse combined with Kozunghak(考證學), has created the identity of a historian who values the causal relationship and truth of history more than the state or party. Behind the modern history, which was established around the three axes of the organization that compiles the official history, the Imperial University, and the Sigakukai(史学会), there was a blind belief that history could be grasped through scientific research. After that, historians were prohibited from expressing their opinions in public spaces, leaving only the compilation of Siryo(史料), which is a unique historical narrative method in Japan. After Imperial Japan colonized Korea, Japan's positivism began to permeate Korea in earnest. In particular, the compilation of Siryo(史料) from Imperial University was introduced directly into colonial Korea. At the same time, Keijo Imperial University was established, a structure to reproduce historical researchers was put in place, and the Cheong-gu academic Society(靑丘學會) was organized to solidify the foundation of modern history as a discipline.

      • KCI등재

        일선동조론의 계보학적 검토를 위한 시론 - 일본사의 탄생과 타자로서의 조선 -

        심희찬(Shim, Hee-Chan) 한일관계사학회 2019 한일관계사연구 Vol.65 No.-

        ‘일선동조론(日鮮同祖論)’은 일제의 대표적인 식민주의 이데올로기로 잘 알려져 있으나, 그 내용과 외연에 관해서는 여전히 명확한 정의가 내려지지 않았다. 이 글은 사학사상사의 관점에서 일선동조론의 계보를 그려보는 작업을 통해 ‘일본사’가 탄생하는 과정과 조선인식의 양상을 검토하고, 지금까지 계속되고 있는 은폐된 식민지주의의 존재를 지적한다. 일본 근대역사학과 일본사의 탄생과정에서 일선동조론은 중요한 계기로 기능했다. 그 계보는 근세 ‘히노카미’ 논쟁에서 비롯된 유학자와 국학자의 대립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이것이 메이지 이후 정사편찬의 주도권을 둘러싼 대립으로 반복되었다. 유학 계열을 계승하는 제국대학 국사과 교수들은 일선동조론의 아시아주의적 측면을 이용하여 일본사의 우수성을 강조하고자 했다. 그러나 양날의 검이 되어 일본사의 고유성에 균열을 일으키기도 하는 일선동조론에 대해 국학자와 신도가들은 경계를 거두지 않았다. 결국 필화사건이 벌어졌고 역사학자들은 과학을 내세워 일본사와 조선사의 관계를 모호하게 덮어둠으로써 일선동조론을 피해가려고 했다. 이러한 역사학자들의 자세는 근대역사학과 일본사가 폭력적인 식민지주의를 내포한다는 사실을 잊게 만들었다. The theory of Japan and Joseon(Korea) sharing the same ancestry(日鮮同祖論) are well known for its representative colonialism, but there is no clear definition of its content and form. This article depicts the genealogy of theory of Japan and Joseon(Korea) sharing the same ancestry from the point of view of History of thought, and review the process of the birth of Japanese history and the aspects of the awareness of Joseon. This analysis points to the concealed colonialism that has been going so far. In the course of the birth of Japanese modern historical studies and Japanese history, Joseon served as an important occasion. The genealogy dates back to the confrontation between Confucian scholars and Japanese national scholars arising from the contemporary Hinokami(日の神) debate, This was repeated in a confrontation over the initiative of the post-Meiji period. Professors from the Imperial University of Japan who succeeded to Confucian scholars wanted to emphasize the excellence of the Japanese history by using the Asian aspect of theory of Japan and Joseon(Korea) sharing the same ancestry. However, neither the Japanese national scholars nor the people who believe in Shinto have withdrawn the feelings of wariness, which is a double-edged sword that also causes cracks in the uniqueness of Japanese history. Eventually, a white terror took place, and historians tried to avoid the theory of Japan and Joseon(Korea) sharing the same ancestry by putting science into ambiguity 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apanese and the Joseon history. This attitude of historians has made us forget that modern historical studies and Japanese history implies violent colonialism.

      • KCI등재

        다시「근대사학사의 필요에 대해」를 묻다 - 메이지유신 전후 일본의 고증학과 계몽사학 -

        심희찬(SHIM, Hee Chan) 동아시아일본학회 2024 일본문화연구 Vol.- No.89

        이 글은 메이지유신을 전후한 일본 근대역사학 성립기에 등장한 고증학과 계몽사학의 특징 및 의미를 분석한 것이다. 일본의 전후역사학을 주도했던 이시모다 쇼의 논의를 기반으로 오늘날 ‘근대사학사’ 연구는 무엇일 수 있는지를 아울러서 생각해보고자 한다. 먼저 일본의 근세적 역사서술을 대표하는 3종의 사서『본조통감』,『대일본사』,『사료』를 검토하고, 그 단절과 연속으로서 고증학과 계몽사학이 새로운 역사서술의 방법론으로 나타나는 과정을 살펴본다. 다음으로 고증학과 계몽사학이 역사서술의 주도권을 장악하기 위해 협업하는 양상, 그리고 그 전제로서 식민지주의가 존재했음을 밝힐 것이다. This article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Archaeology and Enlightenment Historiography that emerged during the establishment of modern Japanese history around the Meiji Restoration. Based on the discussion of Ishimoda Sho, a leading postwar historian in Japan, I would like to consider what the study of “modern history” can be today. First, I will examine three books representing modern Japanese historical writing, “Honcho Tsukan”, “History of Great Japan”, and “Saryo”, and examine how Archaeology and Enlightenment Historiography emerged as a new methodology for historical writing, both in discontinuity and continuity. Next, I will show how Archaeology and Enlightenment Historiography collaborated to seize control of historical writing, and the existence of colonialism as a premise.

      • KCI등재

        미시나 쇼에이[三品彰英]의 신화연구와 근대역사학 식민주의 역사학의 사상사적 재구성

        심희찬 ( Shim Hee Chan ) 역사문제연구소 2016 역사문제연구 Vol.20 No.2

        This paper discusses the research on Korean and Japanese myths that was conducted by Mishina Shoei, the most representative historian of colonial histor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modern historical science in Japan from the Meiji period to the postwar period. The problem with colonial history, which has been disputed at length by historians since the time of Korea`s independence, is that colonial history has always been defined, only vaguely, as “history for the sake of colonial government.” In other cases, critiques towards colonial history often resulted in the reinforcing of modern or ethno-nationalistic histories. However, skepticism towards modern historical science is currently growing, and a fundamental re-examination of colonial history is pressing. This paper analyzes modern and colonial history using Mishina Shoei`s investigation of Korean and Japanese myths as resource material. It will argue that contrary to being at odds with each other, the two histories share many common elements. Modern Japanese historical science emerged absorbing violently Korean history as a parergon through the theory of the common ancestry of Japan and Korea, but Mishina tried to liquidate that distorted form of modern history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mythology. The arguments that were used were those of the then leading Japanese historians such as Tsuda Sokichi or Shiratori Kurakichi. The original colonial history built by Mishina subsequently leaned towards fascism. Moreover, the investigation on Korean and Japanese myths by Mishina incorporated aspects of national history found in the study of the history in postwar Japan, increasing its violence and self-righteousness. This is an example that any critique towards colonial history must be always directed towards the deconstruction of modern history.

      • 일본 근대역사학의 성립 발전과 · ‘조선’의 위상

        심희찬(Shim, Hee-chan) 계명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동서인문학 Vol.0 No.52

        이 글은 일본 근대역사학의 성립 및 발전의 과정을 ‘조선사’ 연구와 그 인식이라는 측면을 통해 살펴본 것이다. 일본 근대역사학은 일반적으로 고증학의 기반 위에 독일 실증주의 사학이 접목되면서 시작되었다고 하는데, 사실 그 과정에는 ‘일선동조론’ 이라는 폭력적 관점이 새겨져있었다. 이는 일본 근대역사학이 조선사와의 관계 설정을 통해 성립되었다는 점을 시사한다. 그간의 일본사학사에서 이와 같은 문제가 주목을 받는 경우는 거의 없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 글에서는 일본 근대역사학과 조선사라는 문제를 다음 세 가지 시기로 나누어 설명한다. 즉 1880년대부터 1910년대에 이르는 근대역사학의 여명기, 1910년대부터 1930년대까지의 실증주의의 성숙기, 그리고 1945년의 패전에 이르는 파시즘적 역사학의 시기로 나누어 고찰한다. 이를 통해 근대역사학이 내세우는 실증주의가 실은 중대한 폭력성을 포함하고 있는 점, 그리고 그 임계점에 천황이 존재하고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이러한 문제는 제국일본의 역사학에 나타나는 특수한 문제라기보다는 실증주의 자체가 내포하는 문제로 보아야할 것이다. In this paper, I analyze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modern historical science in Japa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esearch and understanding of Korean (Joseon) history. Modern historical science in Japan is said to have started after German positivism was grafted onto the basis of textual criticism of Chinese origin (kōshōgaku 考証学); however, the violent view that Japan and Korea shared the same ancestry was already present. This indicates that modern historical science in Japan was formed establishing a link with Korean history. This point has never been addressed in any historiography of Japan. This paper addresses the point that Japanese modern historical science was formed establishing a link with Korean history. I approach this task in three different periods: the dawn of modern historical science from the 1880s to the 1900s; the maturity of positivism from the 1900s to the 1930s; and the period of fascism in Japan from the 1930s to 1945, when Japan was defeated in war. Through this, I will clearly show that violence included in the positivism adopted by the modern historical science, and the existence of the emperor as its critical point. This kind of problem is more of a problem with positivism itself than it is an inherent problem of prewar historical science.

      • KCI등재

        이기백의 일본유학과 역사주의 수용 : 사학사의 관점에서

        심희찬(Shim, Hee-Chan)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19 亞細亞硏究 Vol.62 No.2

        이 글은 이기백 역사학의 특징과 의미를 일본유학 및 역사주의 이론의 수용을 통해 고찰한 것이다. 이기백은 식민지지배를 위한 이데올로기로 기능했던 일제의 ‘조선사’연구를 비판하고 새로운 ‘한국사’의 수립에 평생을 바쳐 노력했다. 그리고 이를 위한 이론적 토대를 역사주의를 통해 마련했다. 그는 일본유학 시절 습득한 역사주의의 이론과 방법론을 통해 인간의 자유와 진리를 중시하는 역사관을 형성했다. 나아가 한국사를 관통하는 자유민주주의의 확대과정을 보편성의 관점에서 그려낸다. 이와 같은 이기백 역사학의 특징은 일국사적 시점을 넘어서는 사학사연구를 통해서 파악할 필요가 있다. 다만 이러한 이기백의 역사관은 대한민국의 모든 역사를 긍정하는 낙관적인 자세를 낳고 말았다. 분단시대 이후의 새로운 역사인식을 위해서도 이기백 역사학의 사학사적 의미를 상세히 살펴볼 필요가 있겠다. This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the LEE Ki Baek’s study on Korean history through the acceptance of the theory of historicism and studying Japan. He criticized the ‘history of joseon’, which served as ideology for Japanese colonialism, and devoted his life to establishing a new Korean history. And the theoretical basis for this was laid through historicism. The theory and methodology of historicism that he acquired during his studies in Japan, he formed a history view that emphasizes human freedom and truth. Furthermore, it draws from the viewpoint of universality the process of enlargement of liberal democracy through Korean history. It is necessary to grasp the characteristic of LEE Ki Baek’s study on Korean history through the historiography studies beyond the view point of the national history. However, this view of history has produced an optimistic attitude that affirms all the history of the Republic of Korea. In order to understand the new history after the era of division, it is necessary to examine in detail the historical meaning of LEE Ki Baek’s study on Korean his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