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헤어미용 종사자의 비언어적 소통이 고객만족과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신수진 남부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헤어미용 종사자의 비언어적 소통이 고객만족과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신수진 지도교수: 박철호 남부대학교 대학원 향장미용학과 본 연구는 헤어미용 종사자의 비언어적 소통이 고객만족과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미용현장의 고객만족을 향상시킴으로서 미용산업 발전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test 및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한 결과이다. 사후검정 방법으로는 Duncan test를 실시하였다. 전반적인 비언어적 소통은 '신체외형'(M=4.09)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연령에 따라서는 비언어적 특성의 하위요인별 의사언어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5), 49세 이하의 경우 50세 이상에 비해 상대적으로 의사언어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재방문 의도는 결혼여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5), 기타의 경우 미혼이나 기혼에 비해 상대적으로 재방문 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헤어미용 종사자의 비언어적 소통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63.4%이고,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F=103.859, p<.001). 독립변수별로는 신체외형(β=.423, p<.001), 신체언어(β=.259, p<.001), 공간행위(β=.134, p<.05)가 고객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언어적 소통의 하위요인별 신체외형, 신체언어, 공간행위가 높아지면 고객만족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고객만족을 위하여 헤어미용 종사자의 깔끔한 외모와 유니폼 착용으로 전문가 다운 이미지를 가지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고객과의 대화 시 밝은 표정, 시선 맞춤과 주변 시설과 인테리어가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헤어미용 종사의 비언어적 소통이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57.2%이고,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F=80.252, p<.001). 독립변수별로는 신체외형(β=.358, p<.001), 신체언어(β=.320, p<.001), 의사언어(β=.177, p<.01)가 재방문 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언어적 소통의 하위요인별 신체외형, 신체언어, 의사언어가 높아지면 재방문 의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재방문의도를 높이기 위하여 헤어미용 종사자의 깔끔한 외모와 전문가 다운 이미지를 가지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고객과의 대화 시 밝은 표정, 시선 맞춤과 함께 고객과의 대화 시 적당한 톤과 속도로 대화하면서 적절한 "네∼∼", "아∼∼" 같은 동의 표시가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헤어미용 종사자의 고객만족이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72.2%이고,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F=630.849, p<.001). 독립변수로서 고객만족(β=.850, p<.001)은 재방문 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고객만족이 높아지면 재방문 의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고객의 재방문은 직접적으로 매출을 향상시키고, 긍정적인 추천으로 이어져 신규 고객확보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기존 고객의 만족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 BSC기반의 축제평가 연구 : 장성 황룡강 노란꽃잔치 축제를 중심으로

        신수진 조선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47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surge in local festivals in the short term, resulting in problems with the maintenance and continuation of the festival. For a festival to continue developing without its nature being damaged, an objective and efficient evaluation system that can evaluate the entire process of the festival is needed.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problems and limitations of the existing festival evaluations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cases where those tools were used and examines the introduction of the BSC (Balanced Scorecard)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as a new alternative to overcome them. BSC consists of four perspectives: finance, customer, internal process, and learning and growth. These four perspectives are not independent and closely interrelated, so it is helpful for comprehensive evaluation. In order to apply the BSC to the festival evaluation in this study, the financial perspective was replaced with a 'performance perspective' to understand the degree of achievement of regional economic effects and socio-cultural benefits. In addition, as the festival should give high satisfaction to visitors, so the customer point of view was replaced with the visitor point of view, and the internal process point of view was applied as it is since the festival organization maintains processes such as planning and operation, just like general companies. Lastly, the learning and growth perspective was applied as the same because learning for continuous growth and development is a prerequisite for regional festivals. As a result, first, while the existing festival evaluation was limited to the quality of the festival, which was represented by the visitor survey, festival evaluation using BSC expanded the scope with four perspectives on the festival. Second, the four factors of the festival - performance perspective, visitor perspective, internal process perspective, and learning and growth perspective - are not limited to individual evaluation results, but can maintain a balance between each other and measure the performance of the festival in many ways by identifying organic casual relationship among them. Third, the evaluation point is not limited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but with the future perspective, the festival can be evaluated comprehensively through the potential of growths and prediction. However, even if the merits of the BSC are fully utilized and reflected in the evaluation of the festival, it is difficult to expect any positive effect unless the festival's unique motive,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are taken into account within the evalu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festival evaluation from the consideration of the festival itself, and for this purpose, the festival itself must be accurately defined and analyzed. Festival evaluation using BSC has not yet been fully introduced in domestic festival evaluation. However, if the evaluation system that reflects the unique characteristics and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 festival itself can be made in the future, then a new alternative to solve the remaining tasks left by prior researches related to the existing festival evaluation can be suggested. 최근 단기간에 지역축제가 급증하면서 축제의 유지 및 존속 등에 대한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축제가 본연의 모습을 훼손당하지 않으면서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축제의 전반의 모든 과정을 평가할 수 있는 객관적이고 효율적인 평가체계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축제평가의 선행연구 및 활용 사례를 통해 기존 축제 평가의 문제점과 한계를 점검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대안으로 BSC 균형성과 평가제도의 도입을 검토하였다. BSC는 재무, 고객, 내부프로세스, 학습과 성장 등 4가지 관점으로 구성되는데 이 4가지 관점은 독립적이지 않고 서로 밀접한 관계를 지니고 있어 종합적인 평가에 유용하다. BSC를 본 연구의 축제평가에 적용하기 위해 재무적 관점을 지역의 경제적 효과와 사회문화적 편익 제고의 달성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성과관점’으로 대체하였다. 또 고객관점에서 볼 때 축제는 방문객의 만족도가 높아야 하므로 고객관점을 방문객 관점으로 대체하였고, 내부프로세스 관점은 축제조직도 일반기업과 마찬가지로 기획과 운영 등의 프로세스를 유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내부프로세스 관점을 그대로 적용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습과 성장관점에서 지역축제는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을 위한 학습이 전제되어야 하므로 학습과 성장관점 역시 그대로 적용하였다. 결과적으로 BSC를 활용한 축제평가는 첫째, 기존의 축제평가 대상이 방문객의 만족도 조사로 대표되는 축제의 품질에 국한되었던 것에 반해, 축제를 둘러싸고 있는 4가지 관점의 영역을 확대하였다. 둘째, 축제의 성과관점, 방문객 관점, 내부프로세스 관점, 학습과 성장관점의 4가지 요인들이 개별 평가 결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상호 간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고, 유기적인 인과관계를 규명하여 다각적인 축제의 성과를 측정할 수 있다. 셋째, 평가의 시점이 과거에서 현재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미래시점에서 성장 가능성과 예측을 통해 축제를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BSC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여 축제의 평가에 반영하더라도 축제 고유의 개최 동기 및 배경, 특성 등을 고려한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축제평가에 대한 고찰은 축제 자체의 고찰에서 비롯되어야 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축제 자체를 정확하게 규정하고 분석하여야 한다. BSC를 활용한 축제평가는 아직 국내 축제평가에서 본격적으로 도입되지는 않았지만, 향후 축제 자체가 지닌 고유 특성과 장단점 등을 충분히 파악하여 이를 반영한 평가체계를 만들 수 있게 된다면 기존 축제평가와 관련된 선행연구가 남긴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대안으로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FEM Analysis of Heat Transfer in a 3D TABS with Hollow Spheres Containing PCMs

        신수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건축물 에너지의 소비가 증가하면서 그에 따른 에너지 사용 절감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난방을 위한 에너지 사용은 건축물에서의 에너지 사용 부문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따라서 난방에너지 절감을 위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난방에너지 관리의 일환으로, 두 가지의 기술이 결합된 시스템을 모델링하여 실현가능성을 검증하였다. 첫 번째 기술은 잠열에너지를 이용한 축열기술인 상변화물질 이용 기술이다. 상변화물질이란 특정 온도에서 상이 변하면서 잠열의 형태로 많은 양의 열을 방출하거나 저장하는 물질로서 건축물에 적용되었을 경우 축열 및 방열성능으로 인한 냉방 및 난방의 피크부하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두 번째 기술은 중공체를 포함한 구체축열시스템의 적용이다. 구체축열시스템은 복사냉난방시스템의 하나로 건축물의 콘크리트 구조체를 직접 축열체로 이용한다. 콘크리트 구조체에 열을 공급하는 열원으로는 슬래브 내부에 설치된 냉온수 배관을 주로 사용한다. 콘크리트의 축열기능은 시간지연효과에 따라 냉난방 피크부하 절감에 도움을 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기본적인 구체축열시스템에 덧붙여 슬래브 중량 저감을 위하여 슬래브 내부에 중공체를 적용하였다. 중공체를 슬래브 내 냉온수 배관 바로 위에 위치시킴으로써 슬래브 내부의 일부를 비우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슬래브의 중량, 시공시 필요한 콘크리트의 양을 저감시켜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건축물 구현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중공체 적용에 따른 슬래브 내 콘크리트 양 감소는 구체축열시스템의 열용량 감소를 동시에 야기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상변화물질을 중공체 내에 적용하여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새로운 시스템의 건축물에너지관리에 따른 적용타당성 조사를 위해 열전달 문제를 고려한 전열 성능을 분석하였다. 이 시스템 내의 열전달 현상은, 중공체 및 배관의 복잡한 형상에 따라 3차원적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또한 상변화물질의 비열이 온도에 매우 민감한 의존도를 보이기 때문에 비선형적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러한 3차원, 비선형 열전달 문제를 해석하기 위해 유한요소법(FEM)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본 시스템의 실현가능성을 전열 성능 측면에서 검증하기 위하여 다양한 구조와 변수를 고려하였다. 우선 상변화물질의 유무에 따라 중공체를 적용한 3차원 구체축열시스템의 전열 성능 분석을 수행하였다. 상변화물질의 종류는 헵타데칸(heptadecane)으로 선정하였다. 배관으로 유입되는 온수의 공급시간은 세 가지로 구분하여 고려하였으며(12, 6, 3 시간), 이에 따른 시스템의 방열량을 온수공급 중일 때와 멈춘 후부터 24시간일 때로 나누어 계산하였다. 또한 시스템의 방열지속시간을 계산하여 온수공급에 따른 실내 난방의 지속효과에 대해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열지속시간은 온수공급이 멈춘 시간으로부터 방열측정지점의 온도가 20.5℃로 떨어질 때까지로 계산하였다. 결과적으로, 콘크리트로 모델링한 중공체 뚜껑의 위치에 따라 상변화물질의 효과가 달라짐을 확인하였다. 중공체의 뚜껑을 밑에서 닫은 경우, 온수공급이 멈춘 후 24시간 동안의 평균 방열량은 상변화물질을 적용한 경우가 상변화물질이 없는 경우에 비해 약 1.2배 증가하였다. 방열지속시간 역시 상변화물질이 있는 경우에 약 한 시간이상 증가하였다. 다음으로, 상변화물질의 열용량 증가에 따른 시스템 성능의 개선가능성을 분석하였다. 상변화물질의 양을 늘린 경우는 중공체 내 상변화물질 층의 두께를 25 mm로 지정하였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15 mm로 지정하였다. 두 가지 경우를 비교하였을 때, 평균방열량의 차이는 미미하였으나, 방열지속시간의 경우에는 뚜껑을 밑에서 닫은 중공체에 25 mm의 상변화물질 층을 적용하였을 때, 15 mm의 상변화물질 층을 적용한 경우보다 약 40-50분 정도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덧붙여, 상변화물질의 종류를 바꾸어 적용했을 때의 시스템성능을 분석하였다. 헵타데칸과 비교하기 위해 상변화온도가 24℃인 도데카놀(dodecanol)을 선정하였다. 평균방열량은 상변화물질의 종류에 큰 영향을 받지 않았다. 12시간의 온수공급이 멈춘 후 24시간동안의 방열지속시간은 도데카놀을 적용한 경우에 헵타데칸을 적용한 경우보다 증가하였다. 그러나 6시간과 3시간의 온수공급이 멈춘 후 24시간동안의 방열지속시간의 경우에는 감소하였다. 방열지속시간 결과 중 두 가지의 예외적 또는 특이한 사례가 발견되었으며, 이를 이해하기 위해 중공체 내부의 상변화물질의 온도를 계산하였다. 첫번째 사례는 뚜껑을 위에서 닫은 중공체에 25 mm의 상변화물질 층을 적용한 경우의 방열지속시간이 15 mm의 상변화물질 층을 적용한 경우보다 짧다는 것이다. 중공체 내부 상변화물질의 온도를 분석하여, 25 mm의 상변화물질의 온도가 15 mm의 상변화물질의 온도보다 낮은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것은 배관으로부터 중공체 내부로의 열침투가 상변화물질의 열용량과 중요한 관련성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두번째 사례는 온수공급시간이 12시간인 경우에만 도데카놀 적용에 의하여 방열지속시간이 증가하였다는 점이다. 역시 중공체 내부 상변화물질의 온도를 분석하여, 온수공급시간이 12시간인 경우에만 도데카놀의 온도가 상변화온도인 24℃를 넘은 것을 확인하였고, 온수공급 6, 3시간의 경우에는 도데카놀의 온도가 24℃부근 또는 그 이하에 주로 머물렀음을 확인하였다. 이로부터 상변화물질의 상변화온도와 온수공급시간의 선정이 시스템 성능에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추가로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상변화물질을 적용할 경우에 중공체 내부로의 열침투에 따라 상변화물질의 잠열에 따른 축열 효과가 달라지고 결국 시스템의 전체 전열성능에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다양한 구조와 변수를 고려해봄으로써 중공체 내부로의 열침투에 따른 상변화물질의 열용량 효과뿐만 아니라 적절한 온수공급시간에 따라 상변화온도가 긍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을 확인하였다. 모델링을 통한 시스템의 성능에 영향을 끼치는 중요한 인자들을 분석해봄으로써 그에 맞는 최적화된 시스템을 설정한다면 건축물 난방에너지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시스템의 적용가능성은 긍정적일 것이라고 판단된다. In order to reduce the building energy consumption, which is one of the largest energy-consuming sectors, there has been a strong demand for efficient building energy management. In this study, the feasibility of combining two different technologies of building energy management, i.e., the latent heat energy storage with phase change materials (PCMs) and the thermally activated building system (TABS) with hollow spheres, is investigated. PCMs are typically used to store thermal energy, which is later ejected when the condition is changed, mitigating peak demands in space heating. The TABS consists of pipes embedded in concrete slabs between stories of buildings. The concrete slab stores heat and transfers heat to the residential space at a different time, shifting the peak load to an off-load time. The hollow spheres in a TABS naturally reduces the slab weight and hence results in structural and economic benefits, but it may reduce the heat capacity of the TABS. PCMs appli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hollow spheres act as a supplementary module of heat storage in this system, increasing the overall heat capacity of the TABS with hollow spheres. In order to analyze the thermal performance of the TABS with hollow spheres containing PCMs, one needs to analyze the associated heat transfer problem. The problem here becomes three-dimensional (3D) and nonlinear, due to the complex geometry of the system and the temperature-dependent characteristics of materials properties. Therefore, the 3D nonlinear heat transfer problem of the proposed system is numerically solved, using a FEM (finite element method) software package. The thermal performance of the TABS is analyzed, as its geometries and parameters vary, in order to fully investigate the potential of the combined approach of building energy management. First of all,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3D TABS with hollow spheres with and without a PCM is analyzed. Heptadecane is first chosen as the PCM. With three different durations of hot water supply (12, 6, and 3 hours), various cases characterized by geometric differences, e.g., whether the hollow sphere is capped at the top or at the bottom, are analyzed. We estimate thermal outputs from the TABS during the duration of hot water supply and for the next 24 hours after the end of the hot water supply, and also the duration time of thermal output, assuming that the thermal output is ineffective for heating the residential space when the temperature of the slab surface drops below 20.5℃. As the result, the case with PCM inside the hollow sphere capped at the bottom is increased about 1.2 times in the average thermal output for the next 24 hours after the end of the hot water supply of 12 and 6 hours over that without PCM. In the all three hot water supply durations, the duration times of thermal output in the cases with PCM is increased more than or about one hour compared to those in the cases without PCM. Considering the amount of the PCM, we analyze the possibility of increasing the performance of the system by an increased load of the PCM inside the hollow sphere. The thickness of the PCM layer inside the hollow sphere is set to be 25 mm. Otherwise, the thickness of the PCM layer is set to be 15 mm. The average thermal output does not show much difference between the two cases. The duration time of thermal output in the case with the PCM layer of 25 mm inside the hollow sphere capped at the bottom is increased by 40-50 minutes after the hot water supply of 12 and 6 hours over that with the PCM layer of 15 mm. In addition, we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type of PCM on the performance. Dodecanol is considered as an alternative to heptadecane. The average thermal output exhibits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 two cases. The case with dodecanol inside the hollow sphere capped at the bottom shows an increase in the duration time of thermal output after the hot water supply of 12 hours over the case with heptadecane. In the duration of hot water supply of 6 and 3 hours, the case with dodecanol shows a decrease in the duration time over the case with heptadecane. In the study of the duration times, we find two exceptional or notable behaviors. The first finding is that the case with a PCM layer of 25 mm inside the hollow sphere capped at the top exhibits a duration time lower than that of the case with a PCM layer of 15 mm. The other finding is that the case with dodecanol inside the hollow sphere capped at the bottom shows an increased duration time compared to the case with heptadecane only for the case with the hot water supply duration of 12 hours, while the duration times with dodecanol decrease for the cases compared to those with heptadecane for the other hot water supply durations (6 and 3 hours). To understand these results, the temperature of PCM inside the hollow sphere is calculated at several internal points. We find that the temperature inside PCM of 25 mm in the hollow sphere capped at the top is actually lower than that inside PCM of 15 mm, and that the temperature inside dodecanol in the hollow sphere capped at the bottom is higher than the melting point of the dodecanol in the hot water supply for 12 hours. In the duration of hot water supply for 6 and 3 hours, the temperature inside dodecanol is near or below the melting point. Consequently, the result presents that the thermal performance of the system with PCM is improved compared to that without PCM. The thermal output is critically affected by whether the hollow sphere is capped at the top or at the bottom. The heat transfer from the pipes into the hollow sphere, which is enhanced by thermal conductivity of the capping material, affects thermal energy storage of PCM. Especially, the effectiveness of the extra heat storage capacity is closely related to the penetration of heat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hollow spheres. Both the heat storage capacity and the heat penetration are important factor to control the performance of the system. Besides, the result shows that the appropriate choice of the melting point of PCM and the hot water supply duration is important to optimize the system.

      • 또래상호작용 중심의 과업 기반 문법 수업이 초등 저학년 영어 문법 습득에 미치는 영향

        신수진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describes and compares the effects of peer interaction centered task-based language teaching(TBLT) and teacher centered TBLT on English grammar acquisition in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low fluency.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13 Korean first-yea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y were separated into two groups; 9 students in an output-based group, worked in pairs or in small groups and 4 students worked with the teacher as a whole class in an input-based group. Four grammar items were taught; present progressive, articles and plural nouns, past regular, and third-person singular verbs. Each grammar item was taught in two lessons in a week, in a total of four week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utcomes of post tests indicated that the peer interaction centered output-based tasks were more effective on English grammar acquisition. In the input-based group, It was difficult to judge that grammar acquisition occurred due to the lack of improvement except for the present progressive lesson. In the output-based group, there was a steady improvement in scores as participants got used to the tasks. Although the accuracy of spoken and written tasks were higher in the input-based group, analysis of language-related episodes(LRE) indicated that noticing on form, negotiation of meaning, and repairs occurred more in the output-based group which led to English grammar acquisition. It was found that the input repeatedly provided by a teacher to complete the tasks did not seem to effectively affect the acquisition of grammar. Grammar acquisition occurred better when the participants asked for the input to solve the parts that they did not know. Finally, the learner's interest, self-directedness, and confidence were observed to measure affective domain. The interest was higher in the input-based group as the participants were eager to do tasks and sometimes asked the instructor if they could do more tasks in upcoming lessons, while participants in the output-based group sometimes showed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s. Output-based tasks were comparatively challenging to participants but once they got used to the tasks, laughter and enjoyment were found. Self-directedness was mainly measured and observed by survey and LRE analysis for how much the participants concentrated. The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nts in the output-based group showed higher concentration, they encouraged each other to concentrate and complete the tasks on time. However in the input-based group, the frequency of off-task small talk occurred more than output-based group. Participants' confidence started very low but got better as the tasks went on in the output-based group,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fluctuation in the input-based group. Based on the results observed through this study, the possibility and effectiveness of peer interaction in output-based TBLT in learning English grammar for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found, even though learners’ fluency is low. Therefore, it is hoped that further researches on peer interaction centered on TBLT in grammar teaching of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uld be conducted extensively. 다양한 영어교육 환경에서 과업 중심 교수(Task-Based Language Teaching, TBLT)를 통한 영어교육의 긍정적인 효과가 입증되고 있다. 다만 이것이 유창성이 낮은 어린이 학습자들에게 교사중심의 입력 기반 과업 수업이 더 효과적이라는 주장과 또래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한 출력 기반 과업 수업으로도 습득 가능하다는 주장이 맞서고 있다. 이에 영어 어휘 습득을 위한 과업 중심 교수에서는 또래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한 출력 기반 교수의 효과가 입증되고 있다. 어린이 학습자들에게도 앞으로 영어 읽기, 듣기, 말하기, 쓰기 영역을 골고루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어휘력 증진뿐만 아니라 학습자들의 눈높이에 맞춘 문법 교육이 필요하므로 또래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한 출력 기반 영어 교수를 문법 습득까지 확장할 수 있는지 연구를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과업 중심의 영어 문법 수업에서 교사중심의 입력 기반 과업을 진행하는 입력중심집단과 또래상호작용을 통한 출력 기반 과업을 진행하는 출력중심집단의 영어 문법 습득 여부를 비교하고 분석한다. 둘째, 교사와 학습자, 혹은 학습자 간의 의사소통을 면밀하게 관찰하여 중요한 문법 요소를 주목하거나 과업 중 오류를 바로잡아주는지, 문법 습득을 위한 의미 있는 상호작용을 일어나는지를 관찰한다. 셋째, 입력, 출력 기반 과제 수행 시 학습자들의 정의적 영역인 흥미도, 자기주도성, 그리고 자신감이 어떤 수업에서 긍정적으로 나타나는지 관찰한다. 연구를 위해 서울 목동 소재의 E학원 남, 여 학습자 13명을 출력중심집단과 입력중심집단으로 나누어 구성하였다. 출력중심집단은 또래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한 출력 기반 과업을, 입력중심집단은 교사중심의 입력 기반 과업을 수행하도록 했다. 네 가지의 문법 항목을 주 2회, 총 4주간 실시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업 중심 접근법에서 입력 기반, 출력 기반의 과업을 수행한 후 어린이 학습자들의 문법 습득 여부를 사전, 사후 시험을 통해 분석한 결과 출력중심집단에서 문법 습득이 더 잘 이루어 졌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교사와 학습자, 혹은 학습자들 간의 의사소통을 언어지식 에피소드(language-related episodes, LRE)를 통해 면밀하게 관찰한 결과, 교사가 과업 완수를 위해 반복적으로 제공하는 입력보다는 학습자들이 모르는 부분을 해결하기 위해 지원 요청을 했을 때 제공되는 입력이 문법 습득을 더 잘 일으킴을 알 수 있었다. 오류 교정 혹은 자발적 수정을 위한 유의미한 상호작용 또한 입력중심집단보다 출력중심집단에서 더 빈번하게 나타났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셋째, 각각의 수업에서 어린이들의 정의적 영역을 관찰하고 수업이 끝난 후 어린이들의 눈높이에 맞춘 설문을 통해 분석한 결과 정의적 영역의 흥미도는 대체로 입력중심집단에서 높았다. 다만 학습자들의 집중도를 측정하기 위한 자기주도성 영역은 언어지식 에피소드 분석 결과 출력중심집단에서 조금 더 집중력이 좋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자신감의 경우 입력중심집단에서는 큰 동요가 없었으나 출력중심집단에서는 과업에 익숙해질수록 자신감이 높아지는 모습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관찰된 결과를 토대로 문법 습득에 있어 또래상호작용 중심의 과업 기반 교수의 가능성과 그 효과를 확인했으며, 앞으로 어린이 학습자의 문법 교수에 관한 연구가 확장적으로 이루어지길 바란다.

      • 한국.일본의 공중화장실 디자인 사례에 관한 연구

        신수진 숙명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I intend to view the co-relationship between architecture and nature, one between architecture and man, and one between man and nature from many aspects, and to apply these to design in this study. And I want to suggest the improvement direction to square the purpose of architect with one of user and to keep the balance between functional aspect and aesthetic aspect. I compare the toilet case of Korea with one of Japan and draw the problem of improvement business of public toilet in the presence and recognize the improvement direction, basing on it. Next, I illuminate the problem of public toilet and grope for its solving plan. 1. Approaching into the toilet is hard because the obstacle around the entrance of toilet and admission road is constructed and the toilet doesnt have the introduction mark. Because the architect intend to transmit the information of public toilet through the shape of space and arrangement of space. The solving plan is to make an obligation to construct the introduction and lead facilities Handicapped persons have trouble to approach in the case of park because there is the height from admission road to toilet space. Lift facilities or upward slop should be set up to solve it. 2. It should be in harmony with nature, using peripheral environment properly. Ventilation window and ceiling window should be made so that nature light may shine well, and window and door should be installed properly for smoothly ventilation. 3. We should make effort for recycling of resources, recycling and protection of nature. Toilet water for irrigation should be used, using water conduit, microorganism should be put for first-purifying in itself in septic tank, and foreign material should not be thrown in the toilet stool. 4. Handicapped persons, old persons, children, pregnant women, patients, foreigners, etc. have discomfort in using public toilet space and facility because the plan on it is based on general adult men women. Universal design should be used actively to solve it. Inner space should be widened and doorknob for handicapped persons should be equipped. And the toilet space for children and one for mother and child should be prepared. 5. The custody space to take custody of management goods is not considered and so, the goods for management is placed in users space. A architect should make the space for managers from the step of designing. 6. Danger factors happening in public toilet is the danger of crime, safe accident by facilities, etc. and we should grope for the way to change for the better. 7. Direct exposure of refuse may give displeasure to users. And we feel uncleanliness in due to offensive odor in many cases. The wastebasket should be covered with the lid to prevent offensive odor or breeding of fly. 우리 인류는 평생 살아가면서 먹고 배설하는 행동을 반복한다. 이는 어느 누구도 피할 수 없는 당연한 것이다. 이것을 인정하면서도 우리나라 사람들은 배설이라는 것을 (과거부터 화장실을 뒷간이라 부르는 것에서 알 수 있듯이) 남에게 감추고 싶은 것, 지저분한 것으로 생각하는 의식이 자리 잡고 있었다. 당연히 정부차원에서 해결해야할 문제이지만, 회피하고 개인적인 문제로 돌려서 소홀히 해왔던 것이 사실이다. 70년대 새마을 운동을 계기로 농촌에 근대화란 이념 아래 수세식 화장실이 등장하게 되었고 정화조를 개선하는 등의 대대적인 보수가 이뤄졌다. 하지만 여전히 공공장소에 공중화장실이라는 개념은 도입되지 않았다. 그러던 것이 ‘88 서울올림픽’이라는 국제 대회를 개최하면서 공중화장실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80년대에 들어서야 화장실에 대한 의식변화가 이루어졌고, 공중화장실의 양적 증가와 질적 향상도 이루어졌다. 90년대에는 80년대에 늘어났던 공중화장실의 관리와 보수가 제대로 되지 않아 외국에 비춰지는 우리나라에 대한 시각이 좋지 않았던 것도 사실이다. 외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국 여행 시 불편사항을 조사한 결과 2000년의 경우 15.4%가 화장실의 불결함을 꼽았다고 한다. 98년도 21.1%, 99년도 17.1%로 점점 나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90년대 후반이 되면서 자각에 의해 조금씩 개선되어지고 있던 것이 ‘2002년 한일 월드컵’의 개최로 공중화장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공중화장실의 개선사업이 급물살을 타게 되었다. 이런 사회적 분위기와 함께 각 지방자치 단체에서는 화장실 개선사업에 뛰어들었다. 과거의 일률적인 공중화장실이 아닌 개성적인 디자인의 다양한 화장실들이 세워지게 되었다. 그러나 이들 공중화장실의 개선사업은 화장실의 청결성, 도구의 갯수, 편의용품의 유무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공간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행태나 생태학적인 입장에서의 자원의 재활용 문제, 자연환경과의 조화 등의 문제는 소홀히 다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축과 자연, 건축과 인간, 인간과 자연 간의 상호작용을 다각도에서 바라보고 이를 디자인에 적용하고자 한다. 그리고 건축가와 사용자의 목표가 일치하고 기능적인 면과 미적인 면이 균형을 이루도록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한국과 일본의 화장실 사례를 비교하여 현제 공중화장실의 개선 사업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선방향을 정리한다. 다음은 공중화장실의 문제점을 조명하고 그의 해결방한을 모색한 것이다. 첫째, 화장실 입구와 진입로 주변에 장애물이 설치되어 있고, 안내표지가 되어있지 않아 화장실로의 접근이 어렵다. 건축가는 공간의 형태 및 공간배치를 통해 공중화 장실의 정보를 전달하려고 하기 때문이다. 해결방법으로는 안내 및 유도시설의 설치를 의무화해야한다. 공원의 경우 진입로와 화장실공간까지의 높이가 달라 장애인이 접근하기 어렵게 되어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리프트시설이나 오르막을 설치해야 한다. 둘째, 주변 환경을 적절하게 이용하여 자연과 하나가 되도록 해야 한다. 화장실 디자인에 있어서 빛과 바람과 풍경을 적절히 이용한다. 자연광이 잘 들어오도록 통창과 천창을 달고, 통풍이 잘되도록 창과 문을 적절하게 설치해야한다. 셋째, 자원의 재활용, 리사이클링, 자연환경의 보호를 위해 노력을 해야 한다. 중수도를 연결하여 화장실 용수로 사용하고, 자체적으로 정화조에서 1차 정화가 되도록 미생물을 정화조에 넣어주고, 화장실 변기에 이물질을 넣지 못하도록 해야 한다. 넷째, 공중화장실 공간 및 시설계획이 일반 성인 남녀를 기준으로 하고 있어 장애인, 노약자, 어린이, 임산부, 환자, 외국인 등이 사용하는데 불편함을 느낀다. 이의 해결방법으로는 유니버설디자인을 적극적으로 시켜야한다. 내부공간을 넓히고 장애인을 위한 손잡이를 설치해야 한다. 그리고 아동을 위한 화장실 공간과 모자를 위한 공간을 마련해야한다. 다섯째, 관리물품 보관공간을 고려하지 않고 설계하여 관리를 위한 물품이 이용자의 공간에 보관이 되어 있다. 건축가가 설계단계에서부터 관리자를 위한 공간을 만들도록 해야 한다. 여섯째, 공중화장실에서 발생되는 위험요소로 범죄의 위험과 시설물에 의한 안전사고 등이 있는데 이에 대한 개선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다섯째, 쓰레기의 직접 노출이 이용자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다. 그리고 악취로 인해 불결함을 느끼는 경우도 많다. 쓰레기통에 뚜껑을 달아서 악취나 파리를 막도록 해야 한다. 일곱째, 화장실 이용의 목적과 행동을 분석해보면 여성이 남성보다 화장실에 머무르는 시간이 길고, 이용목적도 다양하다. 그래서 시설물의 개수를 남녀화장실에 균등하게 설치하게 되면 이용대기 시간이 길어져서 여성화장실은 항상 붐비게 된다. 이를 고려해서 적정수준의 시설물을 설치하도록 해야 한다. 여덟째, 관리자는 빈번한 청소를 위해서 청소물품을 시설물 가까이에 두고 관리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건축가는 청소도구를 보관하는 공간을 화장실 내에 두지 않아서, 관리자가 화장실 칸막이 공간을 점유하거나, 세면대 근처에 둠으로 해서 이용자에게 불결함을 느끼도록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화장실 공간에 청소물품 보관함을 설치해주어야 한다. 아홉째, 교통지역이나 상업지역의 화장실에서는 옷을 갈아입는 일이 많다. 그러나 탈의 공간이 설치되어있지 않아 화장실공간에서 탈의를 해야 하므로 이용자에게 기다리는 시간을 더욱 길어지게 한다. 그러므로 화장실에 탈의공간을 설치한다. 열번째, 그래픽, 사인계획에 있어서 통일성이 있어야 한다. 한국의 경우 아직까지 사인과 그래픽 계획에 있어서 통일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아 외국인이나 내국인 모두에게 혼돈을 주고 있다. 그러므로 정보전달이 잘 될 수가 없다.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기능적인 면과 미적인 면 그리고 건축과 인간과 자연과의 관계성을 모색하여 적절한 상호작용과 균형을 이루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 Blended Learning 적용에 따른 효과성 연구

        신수진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e knowledge information age of 21C by developed, information communication and the internet technologies, not only economy and culture but also the educational is changing in various aspects. One of important educational method in this era, e-Learning, is developed and diffused. In the studying contents and methods, personalized and various demands are required. Therefore, a new educational model which is mixing traditional classroom studying and e-Learning must be applied and analysed. Blended learning is kept attention as a new education method to overcome the limit of e-Learning. e-Learning is a strive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time and space in the traditional classroom education. Blended Learning is a strategic educational method to maximize educational effects by synthesizing the merits of both traditional classroom education and e-Learning. In this stud, a educational method for analyzing the effects of applied Blended Learning on English and computer topics is designed. The effects compared with normal e-Learning also analyzed. An important results shows that the proposed blended educational method shows apparent educational achievement effect of students. Blended Learning by connecting on-line and off-line study, become the strategic direction which is suitable in the changing education environment. 21세기, 지식정보화시대를 맞아 정보통신과 인터넷의 눈부신 발전에 따라 사회, 경제, 문화에서 뿐만 아니라 교육전반에 걸쳐서도 다양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변화에 부응하여 e-Learning이 발전되고 확산되고 있다. 학습내용 및 방법에 있어서도 개별화된 다양한 요구가 추구되는 경향에 따라 교실수업과 사이버학습을 연계시킬 수 있는 새로운 관점의 교수학습모형의 적용이 필요하다. Blended Learning은 e-Learning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관점의 학습형태로 주목받고 있다. e-Learning은 전통적인 교육이 갖고 있는 시간과 공간의 한계를 극복하려는 노력이다. Blended Learning은 한걸음 더 나아가, e-Learning에 전통적인 교육이 가지고 있는 장점을 결합함으로써 학습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교육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영어 및 컴퓨터 교과목에 대하여 Blended Learning을 적용하기 위해 교육방안을 설계하고, 이의 효과를 분석한다. 기존의 e-Learning기반의 교육에 비해 어떠한 효과가 달라지는지도 비교 분석 한다. 연구결과 본 연구가 제시하는 Blended Learning은 학업성취도가 증가하는 효과가 있음을 보여준다. 온라인과 오프라인 수업의 연계를 통한 Blended Learning은 변화하는 교육 환경 요구에 적합한 전략적 방향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명화를 활용한 교육연극 프로그램 개발 : LCE 심미적 체험원리에 기반한 발문 활용

        신수진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educational drama program with masterpeice paintings for fif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and to examine its positive effects on and implications for students. For these purposes, the researcher selected a group of masterpeice paintings by analyzing elementary Art textbooks and developed an educational drama program by applying the D.I.E inquiry process and using questions based on the LCE aesthetic experience principles. The program was implemented and analyzed based on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s. The research questions are: First, how to devise an educational drama program with masterpeice paintings for elementary fifth graders? Second, what are the effects of an educational drama program with masterpeice paintings for the elementary fifth graders? Finally, what are the implications of developing an educational drama program with masterpeice paintings for the elementary fifth graders? Therefore, this research program was conducted for 5th grade students of B Elementary School in Siheung, Gyeonggi Province, and progressed to the 12th stage of the 6th time. During the study, the participants were recorded and observed in activities. Data was collected and analyzed from the photographs, on-site video recordings, in-depth interviews, and student journal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learners acquired values of masterpiece paintings for D.I.E lessons by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That is, they were able to experience ‘joy of physical activities’, ‘expression of emotions and thoughts,’ ‘new me,’ ‘experience of immersion and imagination,’ and ‘experience of painting and me becoming one.’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D.I.E program activities based on famous paintings went further from the simple appreciation of famous paintings and had impacts on the holistic development and enhancement of the participants, such as developing aesthetic discernment, enhancing sympathy to understand others, and expanding the expression of physical activities; secondly, the learners were further immersed in the D.I.E program based on masterpeice paintings according to questions based on the LCE aesthetic experience principles, experiencing an emotional agreement with objects and characters and promoting their imagination; finally, the learners exhibited the attitude of an active appreciator to explore and express masterpeice paintings on their own and learned to appreciate works of art autonomously. From these research results, this research is positive that the D.I.E program that uses masterpieces for learners not only appreciates masterpieces, but also forms an aesthetic eye through masterpieces, and improves the ability to empathize with others' thoughts and feelings. I know it made a big impact. there were. Through questions based on the LCE Aesthetic Experiential Principle, the learners experienced an emotional match with things and people, and their imagination was enhanced. This is because the learners could be deeply immersed in the masterpieces through the utterances in which the elements of the LCE aesthetic experiential principle and the inquiry process were appropriately applied. Finally, I discovered that the learners became subjective and active viewers of masterpieces and explored masterpieces. In this sense, educational drama experiences offer implications by promoting the development of personalities, emotions, and sociality including cooperation in peer relations among upper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in the beginning of adolescence. The researcher proposes to expand the D.I.E program with masterpieces paintings to various areas of art and further the entire domain of art to be incorporated into an educational drama program and spread such a convergent educational method to more diverse subjects. The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 convergence program between masterpieces paintings and educational drama.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come an example of learners enhanced artistic eye formation and cognitive and emotional development. 본 연구는 초등학교 5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명화를 활용한 교육연극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고, 이 프로그램이 학습자에게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과 그 시사점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미술 교과서 분석을 통해 명화를 선정하고, D.I.E 탐구과정을 적용 및 LCE 심미적 체험원리에 기반한 발문을 활용하여 교육연극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프로그램은 질적 사례연구를 기반으로 실행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5학년 대상 명화를 활용한 교육연극 프로그램은 어떻게 구성되는가? 둘째, 초등학교 5학년 대상 명화를 활용한 교육연극 프로그램은 참여자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초등학교 5학년 대상 명화를 활용한 교육연극 프로그램 개발은 어떠한 시사점을 지니는가? 따라서 본 연구 프로그램은 경기도 시흥의 B 초등학교 5학년 학생 대상으로 총 6회기 12차시로 진행하였다. 질적 사례연구의 방법을 바탕으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동안 참여자의 활동 모습을 기록하며 관찰하였다. 또 관찰한 모습 사진, 현장 녹화자료, 심층 인터뷰, 활동 소감문 수집 등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했다. 첫째, 본 프로그램의 참여를 통해 학습자는 우선 명화가 지닌 ‘D.I.E 수업’의 가치를 체득하였다. 즉 학습자가 ‘신체 활동의 즐거움’, ‘감정과 생각의 표현’, ‘새로운 나의 모습’,‘몰입과 상상력의 경험’,‘그림과 내가 하나가 되는 경험’ 등을 체험할 수 있었다. 이는 명화를 활용한 D.I.E 프로그램 활동이 단순히 명화 감상에 그치지 않고 미적 안목 형성 및 타인을 이해하는 공감 능력 향상, 신체 활동 표현의 확장 등 전인적 발달 향상에 영향을 끼쳤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학습자가 LCE 심미적 체험원리에 기반한 발문으로 인해 명화 D.I.E 프로그램에 더욱 몰입하여 사물, 인물과의 감정적 일치를 체험하며 상상력이 증진되었다. 셋째, 학습자가 명화를 주체적으로 탐구하고 표현하는 능동적 감상자의 자세를 보였으며 자주적인 미술 감상 방법을 획득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학습자에게 명화를 활용한 D.I.E 프로그램이 단순히 명화 감상에 그치지 않고 명화를 통해 미적 안목 형성과 더불어 타인의 생각과 느낌을 공감하는 능력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끼쳤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학습자는 LCE 심미적 체험원리에 기반한 발문을 통해 사물, 인물과의 감정적 일치를 체험하며 상상력이 증진되었다. 이는 LCE 심미적 체험원리 및 탐구과정의 요소가 적절히 적용된 발문으로 학습자가 명화에 깊이 몰입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끝으로 학습자가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명화 감상자가 되어 명화를 탐구하는 모습을 발견하였다. 이런 점에서 교육연극의 경험이 사춘기 초입에 있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인성과 정서, 나아가 또래 관계의 협동심 향상과 같은 사회성 발달을 도모했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남긴 것으로 평가된다. 이에 연구자는 명화를 활용한 D.I.E 프로그램에 다양한 미술 영역, 나아가 예술 영역 전체로 확장하여 교육연극 프로그램과 접목할 필요성이 있다는 점, 이러한 융합적 교육 방법이 더 다양한 대상자들로 확대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명화와 교육연극 접목의 융합 프로그램으로 개발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지닌다. 따라서 본 연구가 학습자의 고양된 미술적 안목 형성 및 인지적, 정서적 발달의 사례가 되기를 기대한다.

      • 심근경색환자의 회복과정에 대한 근거이론연구

        신수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박사

        RANK : 247631

        ‘풍요의 질병’, ‘생활습관병’이라 불리는 성인병 중 허혈성 심장질환이 최근 10년간 두드러지게 증가하고 있다. 이중 심근경색은 심장발작으로 인한 심장사로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이며 급성기 이후 회복기에도 지속적인 감시와 관리가 필요한 질환이다. 심장재활 분야에 대한 연구들은 주로 심장재활프로그램 적용 후 단기적으로 환자의 기능적 상태 평가 및 생활양식 변화에 대한 효과, 심리적 효과에 대해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운동처방 중심의 심장재활프로그램의 문제는 의료인 중심으로 개발되고 적용 및 평가된다는데 있다. 따라서 환자의 입장을 배제한 프로그램은 환자 입장에서 보기에는 자신의 경험과 불일치한다는 평가를 하게하므로 환자입장에서의 질병 및 회복과정에 대한 이해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근거이론적 접근을 사용하여 심근경색을 경험한 대상자의 회복과정을 확인하고 그에 대한 실체이론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참여자는 중재적 시술 및 약물 치료를 받은 후 외래를 통해 추후관리를 하고 있는 심근경색환자 15명이었다. 연구 자료는 심층면담과 참여관찰 및 참여자의 의무기록 등을 사용하여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trauss와 Corbin(1998)의 근거이론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개방코딩 과정에서 63개의 개념과 27개의 하위범주, 11개의 범주가 도출되었으며, 심근경색증 환자의 회복과정은 ‘일상을 파고든 한계상황에 직면함’, ‘질병 심각성 인식’이라는 인과적 조건과 ‘차별화된 회복신념’의 맥락적 조건에 영향을 받아 나타나는 ‘건강한 삶을 찾고자 함’이라는 중심현상에 대해 ‘경제적 부담증가’, ‘사회지지망의 지원’의 중재적 조건에 영향을 받으면서 ‘자기조정 시도하기’, ‘자기관리 강화하기’의 전략을 사용하는 ‘건강궤도 조정하기’ 과정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간 흐름에 따른 회복과정은 건강궤도 붕괴 인식기, 건강궤도 조정시도기, 건강궤도 재건기, 건강궤도 적응기의 4단계로 나타났다. 첫 번째 단계인 ‘건강궤도 붕괴 인식기’에서 참여자들은 자신이 생각지도 못했던 심근경색이라는 진단을 받고 생명에 위협을 느끼면서 일상 속에서 한계상황에 직면한다. 심근경색은 완치가 되지않는 만성질환임을 알게 되고 건강한 삶을 다시 찾으려는 의지를 갖게 된다. 두 번째는 ‘건강궤도 조정시도기’이다. 참여자들이 기력을 조금씩 회복해가면서 일상생활에 참여하기 시작하고 원인에 대한 조정을 시도한다. 이때 자기조정 시도하기 전략을 사용하며 ‘사회지지망의 지원’과 ‘경제적 부담 증가’의 영향을 받는다. 세 번째 단계는 ‘건강궤도 재건기’로 자기조정에 대한 변화를 평가하고 회복과정에서 관계의 중심이 의료진에서 자신으로 옮겨오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치유의 주체가 자신임을 인식한다. 따라서 자기조정에 대한 결과를 스스로 평가하고 정보력을 강화하면서 다양한 방법을 병행하고 자기방식대로 건강한 삶을 향한 길에 진입하는 자기관리 강화하기 전략을 사용한다. 심근경색 회복과정에서 마지막 단계는 새로운 건강궤도 적응기로 이 단계에서 참여자들은 자기조정을 통해 건강궤도를 재건하고 건강한 삶을 위해 가야할 길인 건강궤도에 진입하였으며 이후 건강궤도를 유지하는 다양한 유형을 나타냈다 ‘건강궤도 조정하기’의 유형은 자기주도형, 현실안주형, 수용형의 세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자기주도형은 회복신념이 긍정적이므로 자기조정을 시도함에 있어 능동적이고 참여가 적극적이다. 자기관리 강화하기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며 빠른 회복을 위해 다양한 방법을 병행하면서 자기만의 방식으로 관리하면서 조절력을 획득하여 살아가게 된다. 현실안주형은 회복신념이 긍정적이나 심근경색으로 인해 달라진 건강궤도에 진입하면서 자기조정 시도하기가 소극적이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기관리 강화하기가 적극적이나 지속되지 못하여 불안한 일상으로의 회귀를 경험한다. 수용형의 참여자들은 자신이 경험한 심근경색이라는 상황을 스스로 조절해 나갈 수 없는 상황으로 받아들이며 회복신념이 부정적이고 자기조정을 시도함에 있어 수동적이고 일시적이다. 처방에 의지하여 수동적으로 치유되기를 기대하기 때문에 자기관리 강화하기가 일시적이고 소극적으로 일어나며 운명적으로 받아들이고 살아가게 된다. 이상의 결과는 생의 위협요인을 알고 살아가야 하는 환자들이 여러 맥락요인들의 영향을 조절하면서 적정 중재전략을 활용하여 건강을 유지하도록 하는 ‘건강궤도 조정하기’ 과정 및 유형에 따른 간호중재의 방향을 제시하고 실질적인 간호중재를 개발하고 적용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Ischemic heart diseases, also known as ‘diseases of affluence’ and ‘diseases of life-style,’ have shown a prominent increase in its prevalence over the past decade. Of these, myocardial infarction is an illness that threatens life through heart attacks followed by cardiac arrests and requires continuously to monitor and care after recovery from its acute stage. Cardiac rehabilitation studies have concentrated on effects of cardiac rehabilitation programs, their short-term functional status evaluation, and their effects on life-style changes and psychology of the patients. However, the shortcoming of the excercise prescription-centered cardiac rehabilitation is that they are developed and evaluated in a medical service provider centered manner. Thus, patients will evaluate such programs as lacking the understanding of the patients and dissociated with his or her personal experiences. Thus, this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the disease and its recovery process from the view point of the patients. This study will utilize a grounded theory approach in order to disclose the recovery process of those who have experienced myocardial infarction and develop a substantive theory with regards to these finding. 15 participants receiving follow-up care for myocardial infarction, after intervention procedure and pharmacological treatment, from an out-patient basis were studied. The data were retrieved through in depth interview, participant observation, and medical records of the patients. Collected information was analyzed through grounded theory of Strauss and Corbin(1998). As a result, 63 concepts, 27 subcategories, and 11 categories were deduced from the open coding process. The recovery process of myocardial infarction showed to be a process of 'Controling healthy track' utilizing 'self-control efforts' and 'self-care strengthening', affected by 'increase in economic burden' and 'social network support' regarding the phenomenon of 'willingness to recover healthy life' affected by causal conditions of ‘facing critical condition that has penetrated the daily life’ and ‘recognition of the severity of the disease’ and contextual conditions of ‘differentiated recovery belief. Chronological recovery process was a four-step process of recognition of disruption of healthy track, healthy track control efforts phase, healthy track reconstruction phase, and adaptation to the new healthy track phase. During the first stage of ‘recognizing the disruption of healthy phase,’ the participants face a critical situation in their daily lives after being diagnosed with myocardial infarction, something that they had not anticipated upon. After realizing that myocardial infarction is a chronic illness that cannot be fully cured, they acquire the conviction to recover their healthy lives. The second stage is the ‘healthy track control efforts phase.’ During this stage, the participants begin to recover their energy, participate in the daily activities, and attempt to control the causation factors. Here they tend to utilize the self-control efforts strategy and are affected by the ‘social network support’ and ‘increase of economical burden'. The third stage is the ‘healthy track reconstruction phase’ where the participants are able to evaluate the changes in self-control and the center of relationship of the recovery process moves from the medical service providers to oneself. During this stage, the patients realize that the principal body of cure is oneself. Thus, one begins to utilize a self-care strengthening process through self-evaluating the results of self-control, strengthening the information capability and leading to paralleling various methods in order to reenter the healthy life of ones own. The final stage of recovery from myocardial infarction is the adaptation to the new healthy track phase, where the participants tended to show various types in sustaining ones healthy track after its recovery, a process necessary for healthy life, through self-control. ‘Controling healthy track’ had three types of self-initiation, contention of reality, and acceptance. Self-initiation types are positive in recovery belief and are active in making efforts of ones self-control and tend to be active in participation. They show constant self-control strengthening and parallel various methods of ones own for fast recovery and learn to acquire control over their lives. Contention of reality types are positive in recovery belief, and although they make efforts in self-control after entering the healthy process altered by myocardial infarction, they tend to be passive and as time goes by, although once active, self-control strengthening is discontinued and tends to experience an unstable return to daily activities. Participants of acceptance type tend to accept the experience of myocardial infarction as a condition that one has no control over and are negative in recovery belief and are passive and temporary in self-control efforts. They tend to depend on prescriptions and expect to cure in a passive manner. Thus, their self-control strengthening is temporary and passive in nature and continue to live while accepting the experience as fate. The results present an aim of nursing intervention depending on 'Controling healthy track‘ process, which allows patients living with potential threats to their lives to maintain health through controlling the various contextual conditions and utilizing appropriate intervention strategies, and its different types and provides basic information for developing and applying substantive nursing interventions.

      •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Op.110의 분석 연구 : 후기 피아노 소나타의 특징을 중심으로

        신수진 경성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his later piano sonatas, Beethoven shows a transitional form, breaks free from traditional form, and uses his own free and original compositional technique. In Beethoven’s piano sonata Op.110, we can see that Bach’s fugue form, Haydn and Mozart’s strict sonata form, Schubert’s song-like melody and theme application method, Chopin’s bel canto style, and Schumann’s frequent modulation and use of syncopation, are intricately combined. The researcher has studied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Beethoven’s later piano sonatas, an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decided to analyze and research Beethoven Piano Sonata No.31 in A♭Major Op.110.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ter piano sonatas are comprised of complex organization, frequent modulation, melodizing of base, restructuring by using the melody of folk music, variation of rhythm, use of long trills, use of fugue, use of thematic variation, use of frequent una corda, and the continuity between the parts within the movement and the movements. The result of analyzing and researching Op.110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are as follows. The first movement uses a free sonata form of A♭Major and a 3/4 beat, where development is reduced. The sonata starts with Moderato instead of Allegro, which was used as a more general compositional technique at that time. Also, the melody, which appears in the first introduction, is spread among the development, recapitulation, and the fugue melody of the third movement, therefore revealing that each part is connected in systematic flow. The second movement was composed in f minor, 2/4 beat and in Allegro instead of traditional slow movement, which shows an innovation in movement arrangement. Also, the melody of this movement is distinctive in that it was restructured by using the folk music melody and the melody connects to the third movement using attacca. The third movement, in b♭minor, 4/4, is a complex structure of introduction; introduction that includes Recitativo, two arias, and two fugues. The introduction begins with una corda and frequent modulation appears. In the recitativo, the beat becomes vague, creating a free feeling. In this part, through the Bebung effect (the making of vibration on clavichord by alternatively increasing and decreasing the finger pressure on the keys) the tempo increases and a unique rhythm effect-of free and improvisational characteristic-is made. The aria part is distinctive because of the tension created by syncopation and rest, and the fugue has a looser structure than Bach’s fugue, as its main melody appears modified and expanded. The researcher intend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Baroque elements such as the fugue form, Classicism elements such as sonata form, and Romanticism elements such as frequent modulation, theme application method, variation of rhythm and frequent use of una corda shown in Beethoven’s later piano Sonata Op.110. This research can help musicians play this piece with stronger appeal and thereby communicate even better with their listen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