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도서관 데이터의 상호운용성 개선을 위한 지식그래프 적용방안

        송채은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도서관은 정보적 기능, 교육적 기능, 문화적 기능을 담당하고, 사회공동체와 함께 발전하는 기관이다. 도서관에서 생성되고 관리되는 데이터는 외부 자원과 공동으로 활용할 수 있는 주요 데이터로 인식되고 있다. 도서관 데이터는 도서관이 보유한 서지 정보부터 연구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고, 다양한 데이터 포털에서 개방되고 있다. 본 논문은 19개 데이터 포털을 대상으로 총 4,848건의 도서관 데이터를 수집하고, 도서관 데이터의 최신성과 유용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한다. 데이터 최신성은 등록일, 수정일, 업데이트 주기를 활용하고, 데이터 유용성은 데이터의 조회 수 대비 다운로드 수 비율을 계산해 평가한다. 한편, 다양한 출처의 도서관 데이터는 기술적 메타데이터(Descriptive Metadata)와 데이터 분류체계가 일치하지 않아 데이터 활용을 위한 상호운용이 어렵다. 도서관 데이터의 접근성과 사용성을 높이기 위해 지식그래프 기반의 데이터 지식 모델을 적용해 데이터 사이의 연관관계를 구축해 연계한다. W3C의 권고 표준안을 검토하고, 이종의 데이터 포털을 의미적 연결하기 위해 데이터맵 어휘를 설계한다. 지식그래프로 변환한 도서관 데이터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SPARQL 질의를 통한 활용 방안을 제안한다. Libraries are institutions that fulfill informational, educational, and cultural functions, and support the growth of the social community. The data generated and managed in libraries is recognized as valuable and can be integrated with external resources. Library data, which includes bibliographic information and research data, is available through various data portals. A total of 4,848 library data from 19 data portals were collected, up-to-dateness and usefulness. Data is based on registration dates, revision dates, and update cycles, and data usefulness is evaluated by calculating the ratio of the number of downloads to the number of views of the data. However, the lack of standardization in the descriptive metadata and classification of library data from various sources hinders interoperability for data utiliza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accessibility and usability of library data, a knowledge graph-based data knowledge model is applied to establish relationships between data. The W3C's recommended standards are investigated, and the Datamap vocabulary is designed to semantically link heterogeneous data portals. A utilization plan is proposed through SPARQL queries so that library data converted into knowledge graphs can be reused.

      • 朝鮮後期 覽勝圖 및 觴詠圖 硏究 : 『覽勝圖詩帖』, 『八仙臥遊圖』, 『觴詠圖集』, 『大東觴詠圖』를 중심으로

        송채은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고는 조선 후기 覽勝圖 및 觴詠圖를 통해 창작된 시문을 모은 책인 『覽勝圖詩帖』, 『八仙臥遊圖』, 『觴詠圖集』,ᅠ『大東觴詠圖』의 구성과 내용을 분석하여 이들 놀이가 가지는 문학적 특징을 밝히고, 더 나아가 문화사적 의의를 구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覽勝圖란 특정 장소가 적힌 도판을 두고 주사위를 던져 나오는 숫자에 따라 놀이 말을 이동하는 판놀이로 다양한 종류의 도판이 전하며 도판마다 세부적인 놀이 규칙은 다르다. 조선 시대 문인들은 물리적인 한계로 인해 산수 유람이 자유롭지 않은 상황 속에서도 간접적으로나마 자연을 체험하고자 石假山, 山水畵, 臥遊錄과 같은 臥遊 문화를 형성하였는데 도판에 적힌 유람처에 따라 가상의 여행을 떠나는 남승도 놀이도 와유의 한 방법으로 볼 수 있다. 와유 문화에 해당하는 놀이로 남승도 외에 觴詠圖를 들 수 있다. 남승도와 상영도는 모두 ‘유람’을 주제로 하는 판놀이로 유람처가 적힌 도판, 역할 말, 주사위를 놀이 도구로 사용한다는 점에서는 같으나, 상영도의 경우 80곳의 고정된 유람처가 적힌 도판을 사용하며 각 유람처에 대한 배경 지식을 제공하는 정보서가 공유된다는 점에서 다양한 변주가 행해진 남승도와는 구별된다. 2장에서는 예비적 검토로 남승도와 상영도의 역사적 전개 및 국내자료 현황 등을 살펴보았다. 이에 3장과 4장에서는 위 문헌의 구성과 내용에 대해 놀이 참여자, 판본, 놀이 규칙, 수록 작품, 본문의 구성 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각 문헌의 특징을 도출하여 각 문헌에 수록된 작품을 통해 각각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우선 남승도 놀이를 통해 편찬된 『팔선와유도』는 유람처와 관련된 주석이 자세하지 않으며 『남승도시첩』에는 어떠한 주석도 달려 있지 않다. 또한 놀이 규칙에 맞게 창작한 시문을 딱 1편씩만 수록하고 있는 상영도류 시문집과는 달리 남승도류 시문집은 보다 자유로운 작품 수록 양상을 보인다. 『팔선와유도』에는 해당 유람처와 관련된 작품이라면 놀이와 상관없이 개인적으로 창작한 작품과 지정된 시문의 양식으로 짓지 않은 것까지 모두 수록되어 있다. 『남승도시첩』의 경우 다른 3종의 시문집과 달리 오직 한시 작품으로만 구성되어 있으며 269수 중 266수 모두 하루 동안 남승도 놀이를 하며 지은 작품이다. 반면 상영도 놀이를 통해 편찬된 『상영도집』과 『대동상영도』의 경우 유람처마다 지정된 시문의 양식, 역할 등을 적고 주석으로 유람처와 관련된 고사나 작품을 설명한 다음 정해진 시문의 양식에 맞게 창작한 작품 1편을 수록하였다. 이러한 본문 구성 방식은 『觴詠圖譜』, 『觴詠圖註』, 『觴詠圖攷』와 같은 상영도 관련 주해서와 매우 유사한 형식인데 이는 『상영도집』과 『대동상영도』의 놀이 참여자가 소장하고 있었던 상영도 도판과 주해서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남승도시첩』, 『팔선와유도』, 『상영도집』, 『대동상영도』의 구성 및 내용 분석을 바탕으로 남승도류 시문집과 상영도류 시문집의 특징을 귀납적으로 도출하였으며 『남승도시첩』 수록 269수, 『팔선와유도』 수록 126편, 『상영도집』 수록 80편, 『대동상영도』 수록 80편의 작품 중 각 문헌의 특징이 잘 드러나는 작품을 선별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남승도 및 상영도가 가진 놀이의 측면 외 문학적 의의를 밝히고 더 나아가 이들 자료에 내포된 공간의 의미와 같은 문화사적인 가치 또한 알아볼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인공지능을 활용한 이모티콘 디자인 수업이 중학생의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송채은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modern society where every field is facing rapid digital transformation include economy, society, and education, ways of communication are also gradually diversifying. In particular, teenagers perceive communication as a broad concept that encompasses online situations as well as traditional face-to-face conversations. And they use emoticons as a means to supplement nonverbal elements, which poorly expressed in online conversation situations. As methods of communication are diversified, cultivation of communication skills become more important to live and communicate autonomously. Communication skills are a capacity to convey one's opinion and accept others’ by properly utilizing verbal and non-verbal elements depending on the situations and contexts of the conversation. Therefore, understanding not only verbal but also nonverbal elements is essential for effective communication. Art is an appropriate subject to learn both verbal and nonverbal elements of communication since students can experience nonverbal communication based on various visual images as well as verbal communication. Especially, emoticon is a visual image developed to supplement nonverbal expressions in non-face-to-face communication situations, and a suitable class topic to make students experience communication using visual images. Also, goals of art education is to solve life problems through convergence with other various fields, it is necessary to utilize various digital media, including artificial intelligence, reflecting the contemporary tren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emoticon design classe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on middle school students’ communication skills and its sub-areas. Study methods to achieve the purpose are as follows. First,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were derived from referring literature related to artificial intelligence and education, communication skills, and emoticon design. Second, it looks into the possibility of connecting emoticon design classes with communication skills and the need to use artificial intelligence by analyzing the 2015 revised middle school art curriculum, the 2022 revised middle school art curriculum draft, and contents related to emoticons in art textbooks. Third, a teaching-learning program with the theme of emoticon design classe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was designed by integrating theoretical consideration, analysis of middle school art curriculum and textbooks. Fourth, 205 students in the 9th grade of G Middle School located in Gangdong-gu, Seoul, were selected as subjects for the study, and a pre-test was conducted using the communication skill measurement tool developed by the KEDI(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in 2003. Fifth, after implementing eight periods of experiment class from August to October 2022, the post-test, class satisfaction survey, self-evaluation,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Sixth, the pre-and-post test were quantitatively analyzed using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Ver 29.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after conducted reliability analysis and paired sample t-test. After that, post-test, class satisfaction survey, self-evaluation, and contents of the interviews were qualitatively analyzed. Finally, by putting the results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together, a conclusion was drawn on the effects of emoticon design clas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on communication skills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moticon design clas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has meaningful effects on improving the communication skills of middle school students. By the results of the pre-and-post test conducted to find out the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skills, it was shown that communication skills increased by 0.42 points, which represents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Second, emoticon design clas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has meaningful effects on improving the communication skills sub-areas of middle school students. Compared to the pre-and-post test scores of five sub-areas of communication skills showed overall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Third, the result of qualitative analysis which include class results, class satisfaction, self-evaluation, and interview, students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process of creat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expressed their ideas effectively, and used their own emoticons for communication. It was shown that satisfaction was high in the areas of ‘change in percep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recognition and interest in emoticons’, ‘change in perception of communication’, and ‘satisfaction with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In particular, there is high satisfaction i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programs during emoticon production process, and using emoticons they created in conversations. This study aimed to help middle school students grow up into active communication subjects who can communicate effectively by utilizing verbal and nonverbal elements in various communication situations through emoticon design clas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help present the direction of future art education at this point that various attempts have begun to utilize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n education and verify educational effects because of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media. 경제, 사회, 교육 등 모든 분야에서 급속도로 디지털 전환을 맞이하고 있는 현대 사회에서 의사소통의 방식 또한 점차 다양해지고 있다. 특히 청소년들은 의사소통을 전통적인 면대면 대화 상황뿐 아니라 온라인을 포괄하는 넓은 개념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비언어적 요소를 표현하기 어려운 온라인 대화 상황에서 이를 보완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모티콘을 사용하고 있다. 소통 방식이 다양화됨에 따라 주체적으로 소통하며 살아가기 위한 의사소통능력의 함양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의사소통능력은 대화의 상황과 맥락에 따라 언어적 요소와 비언어적 요소를 적절히 활용하며 자신의 의견을 전달하고 타인의 의견을 수용하는 능력이다. 따라서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언어적 요소뿐 아니라 비언어적 요소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다. 미술은 언어적 소통과 함께 다양한 시각 이미지를 기반으로 한 비언어적 소통을 경험할 수 있으므로 의사소통의 언어적 요소와 비언어적 요소를 모두 학습하기에 적절한 과목이다. 특히 이모티콘은 비대면 의사소통 상황에서 비언어적 표현을 보완하기 위해 등장한 시각 이미지로, 시각 이미지를 활용한 소통을 경험하기에 적합한 수업 주제이다. 또한 미술은 다양한 분야와의 연계 및 융합을 통해 삶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과목이므로 동시대의 흐름을 반영하여 인공지능을 비롯한 다양한 디지털 매체를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공지능을 활용한 이모티콘 디자인 수업이 중학생의 의사소통능력과 의사소통능력 하위 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 내용과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공지능과 교육, 의사소통능력, 이모티콘 디자인과 관련된 문헌을 살펴보며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둘째, 현재 교육 현장에서 적용되고 있는 2015 개정 중학교 미술과 교육과정과 곧 도입될 2022 개정 중학교 미술과 교육과정 시안, 그리고 이모티콘 관련 미술 교과서 내용 분석을 통해 이모티콘 디자인 수업과 의사소통능력의 연계 가능성 및 인공지능 활용의 필요성을 살펴보았다. 셋째, 이론적 고찰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인공지능을 활용한 이모티콘 디자인 수업을 주제로 한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넷째, 서울특별시 강동구에 위치한 G 중학교 3학년 8학급의 학생 205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고, 한국교육개발원(2003)에서 개발한 의사소통능력 측정 도구 검사지를 사용하여 사전검사를 실시하였다. 다섯째, 2022년 8월부터 10월까지 총 8차시의 수업을 진행한 후 사후검사와 수업 만족도 조사, 자기평가, 수업 소감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여섯째, 사전·사후 검사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Ver 29.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신뢰도 분석과 대응표본 t-test를 시행하고 양적으로 분석하였다. 이후 수업 결과물, 학생들의 수업 만족도 조사, 자기평가, 수업 소감 인터뷰 내용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양적 분석과 질적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인공지능을 활용한 이모티콘 디자인 수업이 중학생의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공지능을 활용한 이모티콘 디자인 수업이 중학생의 의사소통능력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의사소통능력의 향상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사전·사후검사 결과 의사소통능력이 0.42점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인공지능을 활용한 이모티콘 디자인 수업이 중학생의 의사소통능력 하위 영역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의사소통능력의 5가지 하위 영역 모두 사전검사에 비해 사후검사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셋째, 수업 결과물, 수업 만족도, 자기평가, 학생 인터뷰 내용에 대한 질적 분석 결과 학생들은 인공지능을 활용한 창작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구상한 아이디어를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완성된 수업 결과물을 의사소통에 활용하였다. ‘인공지능에 대한 인식 변화’, ‘이모티콘에 대한 인식 및 흥미’, ‘의사소통에 대한 인식 변화’, ‘교수학습 만족도’ 영역 모두 만족도가 높았으며, 특히 이모티콘 제작 과정에 인공지능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것과 자신이 만든 이모티콘을 대화 상황에서 활용해보는 경험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인공지능을 활용한 이모티콘 디자인 수업을 통해 중학생 학습자들이 다양한 의사소통 상황에서 언어적 요소와 비언어적 요소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며 의사소통할 수 있는 적극적인 의사소통의 주체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인공지능 매체의 발달로 교육에서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고 교육적 효과를 검증하려는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기 시작한 현시점에서 미래 미술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본 연구가 일조하기를 바란다.

      • 8주간의 기구필라테스 프로그램이 갱년기 여성의 코어 안정화에 미치는 영향

        송채은 창원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갱년기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8주간 기구필라테스가 코어 안정성, 즉 Plank, Teaser, Stabilizer 유지 시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1. 기구필라테스 프로그램은 갱년기 여성의 Plank 유지 시간은 집단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p>.05) 시점별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또한 집단과 시점간의 상호작용효과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01), 이에 대한 사후검증에서 실험집단의 Teaser 유지 시간은 사전에 비해 사후에 유의한 증가를 보였고(p<.05), 시점별 독립 t검정 결과, 사후에는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2. 기구필라테스 프로그램은 갱년기 여성의 Teaser 유지 시간은 집단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p>.05) 시점별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또한 집단과 시점간의 상호작용 효과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01), 이에 대한 사후검증에서 실험집단의 Teaser 유지 시간은 사전에 비해 사후에 유의한 증가를 보였고(p<.001), 사후에는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3. 기구필라테스 프로그램은 갱년기 여성의 Stabilizer 유지 시간은 집단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p>.05) 시점별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또한 집단과 시점간의 상호작용 효과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01), 이에 대한 사후검증에서 실험집단의 Stabilizer 유지 시간은 사전에 비해 사후에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001),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8주간 기구필라테스 프로그램은 Plank, Teaser, Stabilizer 유지 시간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기구필라테스 프로그램 운동이 신체적으로 가장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는 갱년기 여성들의 횡격막, 복횡근, 다열근, 골반기저근의 코어 안정화에 효과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 칼세인-망간(II) 착물을 기반으로한 피로인산염 선택적 형광 신호화 시스템의 특성

        송채은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피로인산염 이온을 선택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칼세인-망간(II) 착물을 근간으로 하는 신호화 시스템의 특성을 연구하였다. 칼세인 화합물은 망간 이온에 의하여 완전한 소광 특성을 나타내어 가장 효율적인 피로인산염 선택적 신호화 특성을 가진다는 것을 관찰하였다. 칼세인-망간(II) 착물은 100 % 수용액 상태에서 다른 음이온들에 대해서 큰 영향을 받지 않았고 피로인산염 이온에 대해 선택적인 형광 증가를 보였다. 또한 피로인산염 이온에 대한 선택적인 ‘off-on’ 형의 형광 신호화 특성은 다른 음이온들 존재 하에서 영향을 받지 않았다. In this study, a novel pyrophosphate(PPi) selective fluorescence signaling system was developed based on the calcein-Mn(II) complex. Fluorescence of calcein was effectively quenched by the presence of Mn(II) ions. Thus obtained calcein-Mn(II) system showed largely enhanced fluorescence enhancement selectively toward PPi over other commonly encountered anions. In addition, the selective off-on type fluorescence signaling was possible in the presence of other anions as background.

      • 군 진성리더십의 구성요인 탐색

        송채은 우석대학교 국방정책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Considering the recent social atmosphere that values the authenticity of leaders and the trend of research related to military organizations, Jinseong leadership is currently being introduced in many for-profit and non-profit organizations, but research on the constituent factors of Gunseong leadership is still insufficient. Looking at previous studies, the constituent factors and measures of authentic leadership used in general situations are used,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mponents of authentic leadership suitable for the special organization of the county. First, in order to explore the constituent factors of military leadership, an open survey was conducted on a total of 100 executives (vice officers) who served in the military for more than two years and 55 reserve soldiers discharged from active duty. In addition, the original data were collected by conducting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with five incumbent executives who served in the military for more than two years. A total of 930 raw materials were derived through open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and the raw materials collected through inductive analysis were categorized into detailed and general areas. As a result, four factors of the military spirit for balanced command and leadership, formation of private human relationships, self-development, and transformation were deriv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intended to help understand and sympathize with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urrent and previous generations of soldiers enlisted, and to verify the necessity and effectiveness of military leadership in the field. In addition, as leadership in the military organization is more important than any other organization, genuine leadership spreads to the field and has a certain meaning in nurturing many sincere executives. 최근 리더의 진정성을 중요하게 보는 사회 분위기와 군 조직 관련 연구의 동향을 살펴볼 때 진성리더십은 현재 많은 영리 및 비영리조직에서 도입되고 있으나 아직 군조직에 맞는 군 진성리더십의 구성요인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상태이다. 선행연구를 살펴봐도 일반적인 상황에서 사용되는 진성리더십의 구성요인과 척도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으로 본 연구는 군이라는 특수한 조직에 맞는 진성리더십의 구성요소를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먼저, 군 진성리더십의 구성요인을 탐색하기 위해 군에서 2년 이상 복무한 간부(부사관) 45명과 현역으로 전역한 예비역 55명 총 100명에게 개방형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2년 이상 군 복무를 한 5명의 현직 간부를 대상으로 반 구조화된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원자료를 수집하였다. 개방형 설문과 심층면접을 통해 총 930개의 원자료가 도출되었으며, 귀납적 분석을 통해 수집된 원자료를 세부영역과 일반 영역으로 범주화하였다. 그 결과 군 진성리더십의 구성요인으로는 균형 있는 지휘통솔, 사적인 인간관계 형성, 자아발전, 그리고 변혁을 위한 군인 정신 4 요인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현재 입영하는 병사들의 세대와 이전 세대의 다름을 이해하고 공감하며 현장에서의 군 진성리더십의 필요성과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덧붙여 어느 조직보다 군이라는 조직에서의 리더십이 중요한 만큼 현장에 진성리더십이 전파되어 많은 진정성 있는 간부들을 양성하는데 일정한 의미를 갖는다.

      • 재구매 의사 예측을 위한 고객데이터 분석 머신러닝 모델 비교 연구

        송채은 국민대학교 소프트웨어융합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최근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 분야의 머신러닝 기법을 이용하여 고객 구매 리스트로부터 탐색적으로 고객들의 구매에 관한 거래를 분석하고 재구매에 영향을 주는 변수를 생성하여 단일 기법 예측 모델과 앙상블(Ensemble) 기법을 적용한 예측 모델을 각각 생성 후 비교하여 재구매 예측을 위한 최적의 방법론을 찾고 전문가의 도메인 지식을 활용하여 머신러닝의 성능을 강화하는 방안을 제안하며 모델 성능 향상의 방향성을 제시한다. 키워드 : 머신러닝, 도메인 지식, 앙상블 기법 This paper uses machine learning techniques in the field of artificial intelligence, which has been actively researched recently, to exploratory analyze customer purchase transactions from the customer purchase list. By creating a variable that affects repurchase, a single technique prediction model and an ensemble technique prediction model are created and compared respectively. Therefore, it finds the optimal methodology for repurchase prediction, proposes a method to enhance the performance of machine learning by using the domain knowledge of experts, and presents the direction of model performance improvement. Keywords: Machine Learning, Domain knowledge, Ensemble model

      • Mikhail Glinka의 Viola Sonata in d minor에 관한 연구

        송채은 목포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글린카(Mikhail Ivanovich Glinka, 1804~1857)는 러시아 민족음악의 선두자로서, 러시아 음악 발전에 많은 공헌을 한 작곡가이다. 그의 초기 활동에 만들어진 Viola sonata in d minor는 그의 유일한 비올라 소나타이자 그가 민족주의적 성격을 갖기 전 작품으로서, 그가 러시아 민족음악을 위해 관심을 가지고 나아가지 전까지의 그만의 색채가 담긴 곡이다. 현재까지도 비올리스트들의 레퍼토리로 애용하는 Viola sonata in d minor의 작품을 통해 국민악파였던 글린카의 시대적 배경, 음악적 특징과 소나타 작품에 대해 분석하였다. 1 .2 악장만으로 이루어진 미완성 형태로, 작곡을 마치지 못하고 그가 타계하여, Vadim Borisovsky에 의해 2악장이 완성되었다. 1악장은 소나타형식, 2악장은 변형된 론도 형식으로 진행된다. 제 1악장은 피아노에 의해 주제가 제시되면, 비올라가 같은 선율로 재현하는 형태로 주로 두터운 슬라브적 선율이 주를 이루며, 애틋함이 많이 묻어난 악장이다. 제 2악장은 변형된 론도 형식이다. 론도 소나타형식에 C가 생략되고, A- B -A′- B′ - A- B′-A 의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글린카의 작곡기법 보다 Vadim Borisovsky의 주관적 경향이 나타나 당시 시대의 낭만파적인 부분이 나타나며 고전과 낭만을 아우르는 악장이다. 1악장에 비해 주제의 수가 적으나, 리듬의 변형을 통해 곡의 발전을 이루고 사랑스러운 분위기가 묻어난 악장이다. Mikhai Glinka viola sonata in d minor은 러시아의 민족주의 음악으로 향하던 발자취 중 하나로, 가장 순수한 Glinka 만의 순수한 색깔이 담긴 Viola Sonata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글린카 비올라 소나타의 시대적 배경 전반적인 특징, 악장의 구성 형식, 리듬 , 선율적 흐름 등 곡의 특징을 분석 연구하고자 하였다. Mikhail Ivanovich Glinka(1804-1857) was a pioneer of Russian nationalism in music, as well as a composer who made great contributions to the development of Russian music. Viola sonata in d minor, which was composed in the early stage of his activities, is his only viola sonata and the work before he came to have the nature of nationalism. This work contains his own note before he moved forward with an interest for Russian nationalism in music. An analysis was conducted into the time period, musical characteristics and the work Sonata by Glinka known as a pioneer of musical nationalism through the work Viola sonata in d minor being preferred by violists' repertoire even at present. This Viola sonata consists of only the first and second movement but never completed and he passed away. The second movement was completed by Vadim Borisovsky. The first movement runs in the form of sonata and the second movement in the form of a modified rondo. The first movement, once a subject is suggested by the piano, allows viola to reproduce the same melody, consisting mainly of thick slavic melody, to deliver an intense feeling of ardent love. The second movement is a form of modified rondo. C is left out in the rondo sonata form, consisting of A- B -A′- B′ - A- B′-A form. The second movement, showing Vadim Borisovsky's subjective tendency more than Glinka's techniques of composition, represents romantic aspects during that time, embracing classic and romance. It has a smaller number of subjects than the first movement but achieves the development of music through a rhythm modification, creating a lovely atmosphere. Mikhai Glinka viola sonata in d minor, one of the trace heading towards Russian nationalism in music, can be regarded as Viola Sonata containing the purest note of Glinka's own. This study aimed to analyze and work on the time period and overall characteristics of Glinka's Viola Sonata, along with musical characteristics including a composition form of a movement, rhythm and melodic flow.

      • 菊花(Chrysanthemum morifolium Ramat.) 꽃잎의 Anthocyanin 特性에 관한 硏究

        송채은 전남대학교 대학원 1997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새로운 천연식용색소의 이용가능성을 검토할 목적으로 국화 '애정'의 꽃잎에서 anthocyanin의 추출, 분리 및 정제방법을 통해 anthocyanin 특성을 구명한 다음 pH, 온도, 당, 유기산, 무기염, 금속이온 및 ascorbic acid에 따른 anthocyanin의 안정성을 검토하였다. 1. Anthocyanin은 ferulic acid를 함유한 peonidin-3-glucoside와 malvidin-3, 5-diglucosides 그리고 malvidin-3-glucoside와 peonidin-3-glucoside로 나타났고 이때 주색소는 malvidin-3, 5-diglucosides 이었으며 함량은 생체중 1g당 0.61mg 이었다. 2. pH에 따른 anthocyanin의 안정성은 낮은 pH(1-3)에서 높았으나 pH 증가에 따라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그리고 pH가 증가함에 따라 최대흡수파장이 장파장으로 이동되는 양상을 보였다. 3. 저장 온도에 따른 anthocyanin의 안정성은 저장온도 4℃에서 높았으나 anthocyanin의 분해는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가속화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4. 유기산의 종류 및 농도에 따른 anthocyanin의 안정성은 서로 상이한 결과를 보였는데 그 중 maleic acid가 가장 좋은 경향을 보였으며 malonic acid에서는 오히려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5. 당류 및 농도에 따른 anthocyanin의 안정성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색소의 분해속도가 중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당류에 따른 분해속도는 상이한 결과를 보였다. 6. 무기염류 및 농도에 따른 anthocyanin의 안정성은 상이하게 나타났는데 sodium chloride, sodium perchlorate는 높았으나 sodium phosphate monobasic, sodium sulfate는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7. 금속이온 중 Ag^(2+), Cd^(2+), Hg^(2+), Fe^(2+), Zn^(2+)은 안정성을 증진시켰으나 CU^(2+), Mn^(2+)은 오히려 색소의 분해를 촉진시켰다. 8. Ascorbic acid 처리에 따라 anthocyanin의 분해속도는 증가하였으나 thiourea를 처리함으로서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그리고 질소충진처리는 산소충진처리 보다 anthocyanin의 안정성을 증가시켰다. 1. The identified pigments were peonidin-3-glucoside with ferulic acid, malvidin-3, 5-diglucosides with ferulic acid, and malvidin-3-glucoside, peonidin-3-glucoside. Malvidin-3, 5-diglucosides was the most abundant pigment of petals. The amount of total anthocyanins was 0.61mg/g fresh weight of petals. 2. The color of anthocyanins in chrysanthemum petals was remarkably influenced by the pH and was intense and stable at the low pH, from pH 1 to pH 3. The stability of anthocyanins was decreased as increasing pH from 1.0 to 7.0, and the color of anthocyanins changed as the pH increased. The anthocyanins showed characteristic bathochromic effect. 3. The protective effect of anthocyanins appeared only at 4℃ of storage temperature and anthocyanins degraded greatly as increasing the storage temperature. 4. Among organic acids tested, most of organic acids effectively maintained the color of anthocyanins. Especially maleic acid enhanced higher than control on the stability of anthocyanins, while malonic acid greatly degraded anthocyanins. The hyperchromic effect of anthocyanins appeared and the stability of anthocyanins increased as increasing concentration of organic acids. 5. Among sugars tested, most of sugars effectively maintained the color of anthocyanins, while sucrose and fructose greatly degraded anthocyanins. Anthocyanins had the hyperchromic effect and the stability of anthocyanins decreased as increasing concentration of sugars. 6. Inorganic salts tested in this experiment had hyperchromic effect in anthocyanins. The stability of anthocyanins increased as adding sodium chloride and sodium perchlorate, while sodium phosphate monobasic and sodium sulfate had the effect of degradation in anthocyanins as increasing concentration of inorganic salts. 7. Among the metal ions, Ag^(2+), Cd^(2+), Hg^(2+), Fe^(2+) and Zn^(2+) were found to have protective effect on the stability of anthocyanins but Cu^(2+) and Mn^(2+) induced the anthocyanins degradation. Also the higher the concentration of metal ions added, the greater the stability of anthocyanins reduced. 8. Anthocyanins were remarkably degraded as increasing ascorbic acid under oxygen and nitrogen environments. Anthocyanin degradation was prevented by thiourea treatment. Anthocyanin stability was lower in oxygen environments than that of nitrogen environ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