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기후변화대응 정책방안에 관한 연구

        송경란 조선대학교 정책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Climate change response policy has so much impact on its severity, resoluteness and transmission if it relies on hastily implemented policy system. The world has been irreversibly affected by climate change, which has been causing negative impacts on many regions. Therefore, the analysis of climate change response policy is necessary to solve the global challenges seriously threatening all the creatures and livelihood in the world. This study has a purpose to be aware of this problem and to look into current climate change response policy. The direction of national policy toward climate change is relaxation and adjustment, which could be helpful to reduce the risks of climate change. In this study, the impacts of the governance on climate change response policy were analyzed. Especially, the factors affecting cooperative governance in the central government, betwee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nd between public and private sectors were set as ① policy adjustment system, ② policy linkage, ③ relation with the public, and how each factor affects climate change response policy depending on the governance was examined. As a result of analysis, firstly regarding climate change policy adjustment system, although the Presidential Committee on Green Growth, which was established under direct control of the president in the beginning of 2009, externally looks like it is powerful, it has weak policy adjustment system to makes people have interests or be cooperative since it is not playing a critical and ultimate role. Secondly, in terms of the policy linkage, both of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had weak points. This is because it lacks of a strong transmission system that efficiently solves policy linkage betwee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or cooperation between ministries and offices. Thirdly, the reason might be the weak cooperative governance toward climate change response policy. This can be solved by expanding campaigns against climate change after organizing cooperative networks regarding climate change responses between the government and civilians and by expanding civil movements to cope with the climate change. Thus, the cooperative Green Governance gives an strong impact on climate change response policy since it makes civilians participate in it who could influence people and promotes the policy based on establishment of effective policy adjustment system and policy linkage.

      • 孫昌涉의 50年代 短篇小說 硏究 : 作中 知識人을 中心으로

        宋敬蘭 숙명여자대학교 199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고에서는 손창섭의 50년대 단편소설을 통해 전후현실과 관련된 작중 지식인의 변모양상 및 그 의미를 고찰하였다. 이 연구는 작품 속에 나타난 작가의 현실을 바라보는 다음 두 가지 시각에서 전개되었다. 첫째는 전쟁을 체험한 피해자로서의 운명론적 시각이고, 둘째는 전후 격변기의 소시민적 생활 속에서 현실문제를 인식하고 대응해 나가는 지식인으로서의 변모된 시각이다. 전자의 경우는 한 시대의 사회적 성격이 지식인의 형태를 결정적으로 간섭하고, 이들의 성격과 지식이 사회화되지 못할 때 그들은 수동적 입장에서 현실에 의해 조종될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이는 손창섭의 50년대 중반까지의 작품에서 알 수 있다. 여기서 외부의 힘에 상처 입은 작중 지식인은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더욱 자신의 무기력을 실감한다. 그래서 그들은 자아의 존재적 가치마저 상실한 채, 반복되는 행동과 사유 속에서 퇴행적인 고등룸펜의 모습만을 보이게 되는 것이다. 이는 서술구조상의 문제와도 관련된다. 우선 사건보다는 인물과 배경에 관련된 삽화적 이야기가 많다는 점이다. 또한 서술자가 문제적 상황 속에서 인물의 운명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점들은 작품상의 미비점으로 드러나기도 하지만, 전후의 모순적 현실과 인간문제를 작중인물의 내면적 갈등이나 행동의 한계를 통해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작가의 의도를 입증해 주는 것이기도 하다. 후자의 경우에는 전후 도시 생활 속에서 열악한 환경과 혼란상을 체화한 지식인과 주변인물들의 생태 및 반응이 전망성의 문제와 결부됨을 찾아 볼 수 있다. 50년대 중반부터 손창섭의 작중인물들은 초기의 단독자적 성격에서 벗어나 차차 사회적 존재로서의 모습을 보여준다. 따라서 그들은 관계형성이나 기존 질서·권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불만을 드러내기도 한다. 이들 냉소적인 현대인들은 기존의 것을 거부하는 반면에 애정과 자유가 가능한 새로운 관계를 추구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의도는 현실문제 혹은 대조적인 인물들과 갈등을 빚으면서 번번히 좌절된다. 한편 작가는 교사를 작중인물로 설정하여, 모순된 현실과 일그러진 인물들을 교정하도록 역할을 부여하기도 한다. 사회적 자아로서 현실의 부조리를 자각하는 지식인이, 자신의 주체적 의지에 의해 행동하려는 긍정적 인물로 등장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잉여인간>에서는 시대의 피해자로 남겨진 인물들 중 ‘서만기’를 정신적 지주로 내세워 인간 구원의 가능성을 보이게 되었다. 사실 서만기는 혼자 현실적 문제를 해결할 만큼 유능하지는 못하다. 그러나 그의 헌신적 태도와 의지력, 아내의 사랑과 인간적 유대감 형성으로, 그는 어려운 현실을 극복할 수 있으리라는 전망성을 내포하고 있는 인물로 대두된다. 한편 서술구조적 측면에서, 서술자가 복수적 주인공들이나 대조적인 인물들의 삶과 그 사이의 갈등에 관심을 둠으로써 전반기 소설보다는 직설적인 내용 전달이 비중을 많이 차지하게 되어, 소설적 긴장을 이완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기도 하였다. 이와같이 손창섭의 50년대 단편소설은, 작가의 체험과 동시대 사람들의 내면적 진실의 모습 및 현실문제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방향으로 전개되었다. 즉 그 시대적 요구에 대한 작가의 민감한 반응을 반영한 것이 그의 작품들인 것이다. 따라서 ‘전후현실과 관련된 개인적 삶의 문제’를 일관되게 탐구함으로써, 1950년대 문제상황과 그 극복 가능성을 충실히 묘파하고자한 50년대 대표적 작가로 손창섭을 꼽을 수 있는 것이다. In this thesis, I studied on developing aspects and meanings of intellect who related to postwar reality in Son Chang-Seop's short stories around 1950s. This study was developed by focusing on the following two viewpoints of author about the reality that appeared in his works. For one thing is a fatalistic viewpoint of sufferers who experienced war. For another thing is a transfigured viewpoint of intellect who recognized real problems and intended to settle them in the petit bourgeois's lives of upheaval period after the war. The former case showed that when social traits of the age decisively interfere in intellect's types and their abilities or knowledges is not socialized, they cannot but be regulated according to real situation at the passive position. This fact is proved by Son Chang-Seop's works till middle of 1950s. The intellect of his works who injured by external power feel actually his own lethargy in relation with other beings. So they show figures of retreated high loafer in repeated thinks and actions with existent worth of self losing. This is related to latter of narrative structure. As for this, we can give the fact that his works had many More episodical stories which related to characters and settings than events. Namely narrater is only concerned about the fate of characters who placed in the problematic circumstances. These are proving the fact that writer intended to show real contradiction and human problems occurred from periodical experiences by expressing internal trouble and behavioral limit of characters in his works. In the latter case, we can be well aware that modes of life and reactions of intellect and outside characters, who materialized reality that confusion and absurd was spread in city lives after the war, became connected with problem of perspective. Since the middle of 1950s, characters of Son Chang-Seop's works got out of early individual's character and gradually showed figures of social existing order not to be alienated from society. But they caused complication between difficult real problems and contrasted characters and frequently got discouraged. On the other hand anther created teachers characters of his works, and invested them with roles as to correct the inconsistent reality and distorted human beings. Intellect became conscious of real absurd as social ego, and appeared as affirmative characters who were degirous of acting according to their subjective will. So in <The Surplus Men>, author made Su Man-Gi spiritual support among the characters who left as sufferers of war and it showed possibility of human relief. In fact Su Man-Gi isn't competent to settle real problems. But he is made to have perspective that he can overcome existent problems in postwar reality by his self-devotion and willpower, love of wife and good feelings of human relative. In the side of narration structure, author is concerned about lives of plural protagonists and contrasted characters or aspects of complications between them. And there are much relative importance than his early short stories. So this bring about a result to be slacken fictional tension. Like the above-mentioned, Son Chang-Seop's short stories in 1950s was created by his intention which he Bade to look for contemporary's true figures internally and recognition for the absurd reality through writer's own experiences. Therefore his works was shaped up by sensitive reactions of author to postwar periodic demand. Especially Son Chang-Seop consistently investigated 'problems of individual life related to postwar reality'. So we can admit that he is a representative writer who faithfully intended to grasp and narrate problematic situation after the war and possibility of its overcome. According in postwar literature, his literary world are situated at important location.

      • 1950년대 한국소설의 여성인물 연구 : 현실수용양상을 중심으로

        송경란 淑明女子大學校 2000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1950년대 소설에서 전쟁과 전후상황에 의한 여성인물의 현실수용양상을 살펴봄으로써, 여성의 삶에 미친 전쟁의 폭력성을 읽어내고, 여성이 1950년대 현실에 대해 어떻게 대응하고 인식의 전환을 이루고 있는가를 밝히고자 하였다. 전쟁과 관련된 1950년대 소설은 전쟁이라는 한계상황에서 일어나는 현실문제를 고발하고 이에 반응하는 개인의 현실 대응력을 보여준다. 이러한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서 문학작품과 사회적 현실의 연관관계를 고려하여 전쟁과 전후현실이 1950년대 소설에 어떻게 반영되었는가를 살펴보았다. 또한 여성주의적 시각을 수용하여, 전쟁과 관련된 1950년대 소설 중에서 여성인물이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단편소설 120여 편을 분석하였다. 1950년대 소설의 여성인물은 전쟁상황과 전후상황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인다. 여성인물의 전쟁상황 수용 양상을 살펴본 결과, 여성의 전쟁체험을 다룬 작품은 남성 부재의 현실과 이념선택의 기준 부재, 그리고 피난체험을 통한 절망적인 현실인식을 보여줌으로써, 전쟁의 폭력성이 여성의 삶을 어떻게 변화시키는가를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때 여성은 남성의 죽음을 통해 전쟁의 비극성을 인식하고, 전쟁이 남성의 부재와 생활 기반의 파괴, 정신적 상실감의 원인임을 깨닫게 된다. 또한 여성은 남성 대신 가족을 부양하는 가장역할까지 떠맡음으로써 자기 희생을 강요하는 현실에 순응하기도 한다. 한편으로 절박한 생존문제와 위압적인 좌우이념의 대립 속에서 여성은 이념선택 기준의 부재로 말미암아 수난을 겪기도 하고 이념의 허위성을 깨닫기도 한다. 피난체험을 통해서 여성은 현실에 대한 불안과 절망을 느끼며, 생존을 위협하는 극한적인 현실 속에서 전락하는 삶의 모습을 보이는가 하면, 부조리한 현실을 자각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이처럼 여성인물은 전쟁이라는 극한상황에서 실존적 근거를 상실하고 시련을 극복하기 위해 일탈행위를 서슴지 않는 강인한 생명력을 보이며, 다양한 삶의 양태로 나타난다. 여성의 전후 현실인식과 대응방식을 가장에 대한 인식의 양면성과 성윤리의 변화와 성에 대한 자각, 그리고 여성 정체성의 모색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전후에도 삶의 여건이 여전히 개선되지 않자, 여성은 무능한 가장에 대해 불신하거나 남성을 통해 삶의 안정을 추구하려는 양면적인 태도를 보인다. 또한 여성은 가부장제 사회에서 억압되었던 성을 인식하게 되는가 하면, 생존을 위해 성을 상품화함으로써 자기를 상실하는 모습을 보인다. 성적 도구였던 자신의 성을 통해 자기존재와 성적욕망을 자각하게 되면서 여성의식의 변화를 보여준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여성은 자기의 정체성을 모색하고 건강한 삶을 추구하려는 모습을 보인다. 이것이 소설에서 자아실현의 모색, 모성을 통한 사랑의 추구, 인간의 유대를 통한 현실극복의 의지로 나타난다. 1950년대 소설에서 이러한 여성인물의 자아 정체성 모색은 전쟁으로 손상된 여성성과 상실했던 인간 유대를 회복하려는 모습뿐만 아니라 전후 현실의 극복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하겠다. 이상의 논의 결과, 1950년대 소설에 나타난 여성인물들은 전쟁과 전후상황을 체험하면서 삶을 주체적으로 인식하는 모습뿐만 아니라 극한상황을 극복하고자 하는 강인한 삶의 의지와 생활력을 보여준다. 전쟁상황에서의 현실수용은 생활기반의 상실과 절박한 생존문제 속에서 가장 역할로 인한 책임감과 생존에 대한 몸부림을 보이며 현실에 적응해 나가는 생활력을 보여준다. 전후상황에서의 현실수용은 훼손된 삶과 자아를 회복하려는 의지를 보이며 삶을 주체적으로 인식하고 인간관계의 유대감의 회복이나 성에 대한 인식의 전환을 통해 현실을 극복하려는 의지를 보인다. 그것은 전쟁체험과 전후체험을 형상화하는 소설의 소재적 변화이다. 이는 전쟁을 통해 여성의 정체성 인식이 변화되었음을 반증한다. 폭력적인 전쟁 속에서 생존에 대한 실존적 몸부림을 통해, 여성들이 가장으로서 생활을 책임지게 되고 이에 따라 사회와 직접 대면하게 되면서 이러한 인식의 전환을 가져왔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생존의 방편으로 인한 성의 상품화가 여성으로서의 성적인 자각을 하게 되었고, 이로 인하여 여성의 성인식이 전환되었다고 볼 수 있다. 1950년대 소설을 여성인물의 현실수용양상을 중심으로 살피는 것은 전쟁으로 드러나는 인간 본질의 문제, 특히 여성문제를 파악하고, 여성의식의 전환 계기를 밝히는 작업이라 할 수 있다. 이는 남성 중심으로 전개되었던 1950년대 소설의 논의의 폭을 넓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In this study, I tried to explain the influence of violence of war into a woman's life and how women in the 1950s deal with the reality and alter their consciousness, by studying the ways woman characters accept the reality in . Generally, 1950s' novels tell us problems of reality which occurs in a grenz- situation like war and try to show how people react against it and deal with the reality. Considering the connection between literature and social reality, I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reality of war and post war time in 1950s' novels. In addition, I, partly, adapted the viewpoint of feminism to analyze the works which focused on woman characters among 1950s' novels. I chose about 120 short stories focused on woman characters among 1950s' novels which is related to war. In the 1950s' novel woman characters showed variety of appearances according to war and postwar time. Novels deal with women's war experience are showing how violence of war altered women's life, being a refugee from the war and cognizing the reality with the fact that no existence of men and no criterion of ideology. Women were aware of a tragedy left behind by the war through men's death and perceived that war was the very cause of men's absence in their life, destruction of their living and mental devastation. Moreover, women were getting ruined, suffering from the severe struggle for existence and war hardship. They were all forced to either adjust or sacrifice their lives to support a family and as a head of a family instead of men. Investigating the 1950's novels focusing on how women confront the reality proposes a turning point to study human nature which came out under war time hardness, to get a full understanding of woman's problem and introduce the alter of woman consciousness. From above, at the utmost limits situation called war, women showed a very strong will to live even without any reluctance of deviating to overcome ordeals in aspect of losing basis of existence. I put woman characters' cognition of the reality of post war and the ways they dealt with the reality into small chapters such as ambivalence of cognition for a head of a family, changes of sexual morality and self-consciousness about sex, searching for woman identification. As the result, I found that the woman characters tend to improve their relationships with other people, trying to be out of abnormal life. However, as there had been no significant improvement in living, women showed completely different aspects, they either distrust the head of a family or totally depend on him. Additionally, they showed us the changes of woman consciousness, as they became aware of self-existence and sexual desires through their own sex which had been sexual plaything for a man. In this change, we can see that women tried to find out self-identification and seek for normal life. This is described as searching for self-identification, pursuing love through motherhood and will to over come the reality with humane relationship. These woman characters in the 1950s novels are showing not only their trying to overcome the destroyed feminine and humane relationship, also the possibility to surmount the reality of post war time. As we discussed above, the woman characters in the 1950's novels display that they recognize a life as their own and they also have a very strong will to survive to get over the limits situation with the experience of war and postwar time hardness. The way women accept the reality is showing their will to overcome destroyed life and ego in a war and post war time and they also tried to surmount the reality through recovering humane relationships and altering of sexual consciousness. This is the material change of novel which gives shape to experience of war and postwar time. It is a proof of change of cognition of identification with the experience of war. Struggling to survive under the violent war, women gradually take a responsibility for her family as a head of the family and confront the society and it leads all these changes occurred to them. Besides, prostitution as a part of struggling to survive gave them a idea of sexual cognition and it finally alters woman's sexual consciousness. I expect that this study will be a primary step to widen discussions which have been developed with androcentrism.

      • 돌봄직에 종사하는 중장년 여성의 자기개념명확성과 진로적응성 관계에서 일 의미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 조절효과

        송경란 경기대학교 행정사회복지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돌봄직에 종사하는 중장년 여성의 자기개념명확성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자기개념명확성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일 의미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15개 일자리 기관에서 50대 이상 돌봄 직에 종사하거나, 종사한 경험이 있는 중장년 여성을 대상으로 2020년 9월28일~10월10일까지 약 2주 동안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321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방법은 개인적 특성 위한 빈도분석,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 변인과 변인들 간의 상관분석, 다중 회귀분석, Sobel-test, 위계적 회귀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돌봄직에 종사하는 중장년 여성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진로적응성, 일 의미, 사회적 지지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유의한 차이를 보인 개인적 특성은 가족동거 여부, 종교유무, 경제상태 등이다. 둘째, 돌봄직에 종사하는 중장년 여성의 자기개념명확성과 진로적응성, 일 의미, 사회적 지지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돌봄직에 종사하는 중장년 여성의 자기개념명확성은 진로적응성(긍정적 직무수행, 주도적 자기계발)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돌봄직에 종사하는 중장년 여성의 자기개념명확성과 진로적응성 간의 관계에서 매개변인 일 의미를 검증한 결과 부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매개변인 일 의미(자신에 대한 내면의식, 일에 대한 소명의식)를 통제해도 자기개념명확성은 진로적응성(긍정적 직무수행, 주도적 자기계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자기개념명확성은 일 의미(자신에 대한 내면의식, 일에 대한 소명의식)간 에도 간접적 영향이 있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다섯째, 돌봄직에 종사하는 중장년 여성의 자기개념명확성은 진로적응성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돌봄직에 종사하는 중장년 여성의 자기개념명확성이 진로적응성을 높이는 예측 변인임을 확인하였고 사회적 지지가 자기개념명확성과 일 의미를 향상시켜 진로적응성을 높이는데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주제어 : 돌봄직에 종사하는 중장년 여성, 자기개념명확성, 진로적응성, 일 의미, 사회적 지지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self-concept clarity of middle-aged women engaged in caring work on career adaptability,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work meaningfulness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cept clarity and career adaptability. For this purpose,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with for about two weeks for middle-aged women who are engaged in care jobs or have worked in 15 job institutions located in Kyonggi area from September 28 to October 10, 2020 and finally 321 data were used for analysis. This study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Sobel-test,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etc.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concept clarity, career adaptability, perceived work meaningfulness, and social support to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middle-aged women engaged in caring work.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tha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include family residence, religion existence, and economic status.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concept clarity, career adaptability, perceived work meaningfulness, and social support to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middle-aged women engaged in caring work. Third, the self-concept clarity of middle-aged women engaged in caring work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adaptability(positive job performance, leading self-development). Fourth,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work meaningfulness in relationship between self-concept clarity and career adaptability of middle-aged women engaged in caring work, it was found that there was partial mediating effects. Even if the perceived work meaningfulness (inside consciousness about oneself, vocation consciousness about work) which is a mediating variable, is controlled, self-concept clarit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adaptability(positive job performance, leading self-development) and self-concept clarity has an indirect effect on perceived work meaningfulness (inside consciousness about oneself, vocation consciousness about work). Fifth, the self-concept clarity of middle-aged women engaged in caring work was found to have a moderating effect on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adaptability. Therefore, We confirmed that self-concept clarity of middle-aged women engaged in caring work is a predictor to increase career adaptability. It can be seen that social support is necessary to improve self-concept clarity and perceived work meaningfulness and to improve career adaptability. Key words : middle-aged women engaged in caring work, self-concept clarity, career adaptability, perceived work meaningfulness, social support

      • 서도 입창 中 <앞산타령>의 음악 분석 연구 : 한명순 소리를 중심으로

        송경란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서도입창(선소리) <놀량사거리> 中 두 번째 곡인 <앞산타령>을 한명순 소리 중심으로 분석 연구 하였다. 과거 문헌상 나타난 가사와 현행 전수되고 있는 <앞산타령>의 가사를 비교하며 가사의 역사를 알아보고, 음악분석은 장 3도 올려 채보한 악보를 중심으로 각 단락의 주요 구성음, 시작음, 종지음, 종지 형태를 분석하여 음계와 단락별 전조형식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각 단락을 세분화 하여 선율형식을 분석하여 <앞산타령>의 음악형식을 연구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앞산타령> 가사가 가장 먼저 간행된 문헌 ‘신구잡가(新舊雜歌)’에 나온 가사와 현재 불리는 가사는 과거의 가사에서 생략 된 부분과 순서가 바뀐 부분이 있었으며 내용면에서는 거의 같았다. 또한 <앞산타령>가사에 대한 내용은 장지원의 악보시 평양죽지사와 작자 연대 미상의 황계사에서도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앞산타령>의 단락별 시작음과 종지음, 주요 구성음을 음높이대로 연결하여 특징을 비교 연구 결과, 1단락- ‘솔음계’, 2단락- ‘솔음계’, ‘도음계’, 3단락- ‘솔음계’ 4단락- ‘솔음계’, ‘도음계’ 5단락- ‘라음계’, ‘솔음계’, 6단락- ‘도음계’, ‘솔음계’, 7단락- ‘솔음계’, 8단락- ‘솔음계’, ‘도음계’, 9단락- ‘솔음계’, 10단락- ‘도음계’, ‘솔음계’, 11단락- ‘솔음계’ 총 3가지 음계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앞산타령>의 단락별 전조유형을 비교 연구 한 결과 1단락(후렴)과 3단락(1절 후렴)을 제외한 모든 단락에서 전조유형이 나타났다. 유절구에서는 4가지의 ①단3도 상행하여 전조되는A유형, ②장6도 상행하여 전조되는 B유형, ③같은 거리의 1도 음정으로 자연스럽게 넘어가는 전조의 C유형, ④예비선율 없이 바로 전조되는 D(D')유형이 나타났다. 후렴구에서는 3가지의 ①솔(g′)음이 3마디 연결구로 나온 뒤 전조가 되는 A유형, ②장 2도 상행하여 전조되는 B유형, ③단 3도 하행하여 전조되는 C유형이 나타났다. 넷째, <앞산타령> 큰 단락을 작은 단락으로 나누어 선율형식을 비교 연구 결과 큰 단락별로 맺는 형식이 나오면서 단락이 맺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유절구와 후렴구는 가사가 모두 다르지만 나눌 수 있는 근거는 유절구의 선율반복형식, 후렴구의 선율형식이 서로의 단락에서 반복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지금까지 서도입창(선소리) <놀량사거리> 中 <앞산타령>분석 하였다. 본 연구는 한명순의 소리를 중심으로 하였기 때문에 모든 서도입창 <놀량사거리> 中 <앞산타령>이 이와 같은 음악적 특징을 갖고 있다고 할 수 없다. <앞산타령>의 1절부터 6절까지의 가사가 모두 녹음된 음원을 찾지 못하여 고음반과의 비교분석을 하지 못한 점은 다음 연구 과제로 남는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서도소리에 대한 음악적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바라며 서도소리 연구에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기를 바란다. This thesis analyzes and studies <Absan Taryong>, the second tune of <Nolyang Sakeori>, one of Seodoibchang(Seonsori) focusing on Han Myung Soon's version. Comparing lyrics in old reference and that of the current <Absan Taryong>, its lyrics was studied and for music analysis, focusing on music collected with higher major 3rd, main composition sound, starting sound, ending sound and ending format were analyzed and the scale and transition types by each part were figured out. Finally, each part were fractionated and each melody form was analyzed and the musical form of <Absan Taryong> was studied. The results are following: First, there were omitted part and differently located part in the earliest reference of lyric of <Absan Taryong>, 'Singujabga' in comparison between it and current version while the contents are almost identical. Also, the contents on lyrics of <Absan Taryong> were presented in music poem Pyongyangjukjisa by Jang Ji Won and anonymous Hwanggyesa. Second, results of comparison of features by liking staring sound, ending sound and main composition sounds according to intervals by parts, with part 1 'G scale', part 2 'G scale', part 3 'C scale', part 4 'G scale', part 5 'A scale' and 'G scale', part 6 'C scale' and 'G scale', part 7 'G scale', part 8 'G scale' and 'C scale' and part 9 'G scale', part 10 'C scale' and 'G scale' and part 11 'G scale'. there are 3 kinds of scales. Third, for result of comparison of transition types by parts, except for part 1(refrain) and part 3(verse 1 refrain), every part shows transition. in verses, there are 4 types of transitions ① A type of minor 3 higher, ② B type of major 6 higher, ③ C type of natural transition to 1 in same distance and ④ D(D') type of transition without pre-melody. In refrains, there are 3 types of transitions ① A type of G sound's transition after 3 part connections, ② B type of major 2 higher and ③ C type of minor 3 lower. Fourth, for result of comparison musical form by dividing bigger parts into smaller ones, there is ending form by each bigger parts. Even though verses and refrains have different lyrics, reasons for division are repeated melody in verses and melody in refrain are repeated in each other's part. So far, <Absan Taryong> of <Nolyang Sakeori>, one of Seodoibchang(Seonsori). Because the study focuses on Han Myung Soon's version, every version of the <Absan Taryong> of <Nolyang Sakeori> may not have these musical features. And the fact that a sound source containing all the six verses of <Absan Taryon> was not found and there was no comparison with source from the old record provides a task for future research. Through this study's results, the researcher hopes there will be active studies on Seodosori and this study will be helpful for th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