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용수의 관객인지에 따른 상태불안 및 공연효과

        손주희 강원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survey dancers’ audience recognition and to analyze their state anxiety and performance effect according to their audience recognition, and by doing so, to obtain basic materials for maximizing dancers’ communication through their performances and performance effect. For this purpose, we surveyed 255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dance, of whom 108 were Korean dance students, 72 ballet students and 75 contemporary dance students, on their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audience recognition, state anxiety, and performance effect, and drew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by major, audience recognition and performance effect were highest in ballet students, and next in order of Korean dance students and contemporary dance students, but the differences were not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state anxie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contemporary dance students, and next in order of Korean dance students and ballet students. Second, by school year, audience recognition was highest in sophomores, but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State anxiety was highest in sophomores, and next in order of freshmen, seniors, juniors and graduate students, and the differences were significant. By school year, performance effect was highest in graduate students, and next in order of seniors, juniors, sophomore and freshmen, and the differences were significant. Third, by the frequency of performance, audience recognition and performance effect were highest in once a month, and next in order of once in every six months, once a week, and once a year. On the other hand, state anxiety was highest in once a week, but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Fourth, by preferred audience, audience recognition was highest in those who preferred university students, and next in order of those preferred elementary and secondary students, and those preferred ordinary adults, but the differences were not significant. Fifth, by the size of theater, audience recognition was highest in large?size theaters with around 2000 seats, and state anxiety was highest in theaters with 500~700 seats, but the differences were not significant. Performance effect was highest in large?size theaters with around 2000 seats, and next in order of large?size theaters with around 1000 seats, medium?size ones with 500~700 seats, and small?size ones with 200~300 seats, and the differences were significant. Sixth, in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on audience recognition, state anxiety and performance effect,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observed. In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sub?factors of audience recognition and state anxiety, “dancer?centeredness” and “conversation with audience” of audience recogni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ension of state anxiety, “conversation with audience” on stability of state anxiety, and “dancer?centeredness” of audience recognition on hypertonicity of state anxiety. In addition, in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sub?factors of audience recognition and performance effect, “exchange with audience” of audience recogni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of performance effect, “dancer?centeredness” and “conversation with audience” of audience recognition on flow of performance effect, and “conversation with audience” and “exchange with audience” of audience recognition on the sense of mutual exchange of performance effect. In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sub?factors of state anxiety and performance result, “stability” and “hypertonicity” of state anxie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of performance effect, “stability” of state anxiety on flow of performance result, and “stability” of state anxiety on the sense of mutual exchange of performance effect. In the effect of simple regression analysis on state anxiety according to audience recognition, audience recognition appeared to have an effect of 4.3% on state anxiety, and in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performance effect according to audience recognition and state anxiety, audience recognition appeare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f 20.2% on audience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dancers’ audience recognition has an effect on their state anxiety and performance result. Therefore, in order for dancers to be relieved from anxiety, to have psychological stability and to be absorbed in performance with confidence, they need to attune themselves to audience and exchange with them through regular performances at least once a month. Furthermore, students majoring in dance should have more opportunities to meet audience even if not in theater performances. What is more, in addition to surveys and analyses like this study, there should be research on the consciousness of performers and audience in order to popularize dance art among the public, to improve the quality of dance performances, and to provide materials for dance performances to awaken audience to their latent possibilities. 본 연구의 목적은 무용수들의 관객 인지정도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상태불안과 공연의 효과를 조사 분석하여 공연작품의 소통과 공연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무용 전공 대학생들과 대학원생 한국무용 108명, 발레 72명, 현대무용 75명 총 255명을 대상으로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관객인지, 상태불안 공연효과를 조사 및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 하였다. 첫째, 전공별 관객인지와 공연효과는 ‘발레’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한국무용, 현대무용 순으로 나타났으나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한편 상태불안에서는 ‘현대무용’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한국무용, 발레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년별 관객인지에서는 ‘2학년’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 상태불안에서는 ‘2학년’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1학년, 4학년, 3학년, 대학원 순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학년별 공연효과에서는 ‘대학원’생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4학년, 3학년, 2학년, 1학년 순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셋째, 공연 횟수에 따른 관객인지와 공연효과에서는 ‘월 1회’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6개월에 1회, 주1회, 1년에 1회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상태불안에서는 ‘주 1회’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넷째, 관객의 선호 성향에 따른 관객인지에서는 ‘대학생’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초중고 학생, 일반인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태불안과 공연효과에서는 ‘대학생’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다섯째, 극장 크기에 따른 관객인지에서는 ‘2000명 내외 대극장’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상태불안에서는 ‘500~700명 중 극장’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공연효과에서는 ‘’2000명 내외의 대극장‘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1000명 내외의 대극장, 500~700명 중 극장, 200~300명 소극장 순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 여섯 번째, 관객인지, 상태불안, 공연효과와의 상관관계와 회귀분석에서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고 있으며, 관객인지 하위요인에 따른 상태불안은 관객인지의 “무용수 중심”요인과 “관객과 대화”요인이 상태불안의 긴장감에, 관객인지의 “관객과 대화”요인은 상태불안의 안정감에, 관객인지의 “무용수 중심”요인은 상태불안의 과긴장에 유의한 영향력을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관객인지 하위요인에 따른 공연효과에서 관객인지의 “관객과 교류”요인이 공연효과의 만족감에, 관객인지의 “무용수 중심요인”, “관객과 대화요인”이 공연효과의 몰입감에, 관객인지의 “관객과 대화”요인과 “관객과 교류”요인이 공연효과의 상호 교류감에 유의한 영향력을 나타내고 있었다. 상태불안 하위요인에 따른 공연효과에서 상태불안의 “안정감”요인과 “과긴장” 요인이 공연효과의 만족감에, 상태불안 “안정감”요인은 공연효과의 몰입감에, 상태불안의 “안정감”요인은 공연효과의 상호 교류감에 유의한 영향력을 나타내고 있었다. 관객인지에 따른 상태불안의 단순회귀분석 결과 관객인지는 상태불안에 4.3%의 영향력을 나타내고 있으며, 관객인지와 상태불안에 따른 공연효과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관객인지는 공연효과에 20.2%의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는 변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이와 같이 무용수들의 관객인지 정도는 상태불안과 공연의 효과에 영향을 줌으로 소극장이라도 공연을 월1회 정도 자주하여, 관객과 호흡하고, 교류할 수 있는 심리적 안정감을 갖게 함으로써 불안을 해소 할 수 있고, 공연에 대한 몰입감과 자신감을 갖게 해야 할 것이다. 또한 무용 전공학생들도 극장 공연이 아니더라도 관객과 호흡할 수 있는 기회를 자주 갖게 해야 할 것이다. 더불어 이와 같은 연구는 조사하고 분석하는 것에 머물러 있지 않고, 무용예술이 더욱 대중화 되고, 공연의 질적 향상과 더불어 관객의 잠재적인 가능성을 인식하게 하는 예술 공연의 발달과 중요한 사회문화 기초 자료가 될 수 있는 공연자와 관객의 의식 조사가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 미용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법에 관한 연구

        손주희 동덕여자대학교 산업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미용사의 직무스트레스 정도와 대처 실태를 파악하여 미용사를 위한 적절한 스트레스 관리방안을 모색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서울 시내에 소재한 프랜차이즈 미용실에 근무하는 원장, 수석 미용사, 미용사, 중상 미용사, 보조 미용사 310명을 대상으로 자기 기입식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자료 수집 기간은 2000년 4월 3일부터 4월 22일까지 실시되었다. 미용사의 스트레스 측정도구는 김매자·구미옥 등이 개발한 간호사 업무스트레스에 사용하였던 것을 미용사에 맞게 내용을 수정하여 사용하였고, 스트레스 대처방법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Lazarus & Folkman 대처방법 척도에 김정희·이장호가 표준화한 척도를 수정하고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AS를 이용하여 전산 통계처리 하였으며 연구목적에 따라 빈도, 백분율, 평균값,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미용사가 인지한 직무스트레스는 최고 3.61에서 최소 2.84로 평균평점 3.36으로 나타나 보통 이상의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었다. 가장 직무스트레스가 높은 영역은 ‘부적절한 대우와 보상’(3.61)이었으며, 가장 낮은 영역은 ‘업무량 과중 및 신체적 부담’(2.84)으로 나타났다. 2. 미용사의 요인별 직무스트레스를 사회 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분석한 결과 성별 직무스트레스 정도에서는 업무량 과중 및 신체적 부담(p<0.001), 휴일 근무(p<0.05), 긴 근무시간(p<0.01), 동료와의 갈등(p<0.001), 부적절한 대우와 보상(p<0.001), 상사와의 갈등(p<0.05)이었으며, 전체적으로 여자가 스트레스를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결혼상태별 직무스트레스는 휴일 근무(p<0.05) 와 부적절한 물리적 환경(p<0.05)영역에서 차이를 보였다. 직위별 직무스트레스에서는 업무량 과중 및 신체적 부담(p<0.05)영역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임금별 직무스트레스에서는 전문지식 및 기술의 부족(p<0.05)에서 차이가 있었다. 근무인원에 따라 스트레스에 차이가 있었던 영역은 업무량 과중 및 신체적 부담(p<0.05), 전문직으로서의 역할갈등(p<0.001), 전문지식 및 기술의 부족(p<0.05), 부적절한 대우와 보상(p<0.001), 미용의 한계에 대한 심리적 갈등(p<0.01), 상사와의 갈등(p<0.01)이었다. 근무시간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에서는 휴일 근무(p<0.05), 전문직으로서의 역할갈등(p<0.001), 전문지식 및 기술의 부족(p<0.001), 긴 근무시간(p<0.01), 고객과의 갈등(p<0.05), 부적절한 대우와 보상(p<0.001), 부적절한 물리적 환경(p<0.01), 미용의 한계에 대한 심리적 갈등(p<0.05), 상사와의 갈등(p<0.01) 영역에서 차이를 나타냈고, 미용 선택동기별 직무스트레스 정도는 업무량 과중 및 신체적 부담(p<0.05), 휴일 근무(p<0.05), 긴 근무시간(p<0.05), 고객과의 갈등(p<0.01) 영역에서 차이를 나타냈다. 직업 만족도별 직무스트레스는 업무량 과중 및 신체적 부담(p<0.01)과 긴 근무시간(p<0.05)영역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미용직 종사 예정기간별로 분석한 스트레스 정도는 업무량 과중 및 신체적 부담(p<0.01), 휴일 근무(p<0.05), 부적절한 대우와 보상(p<0.05), 상사와의 갈등(p<0.05)으로 나타났다. 3. 미용사의 스트레스 대처방법 점수는 평균 3.16이었으며, 영역별로는 문제중심적 대처방법이 3.34점이었고 정서 중심적 대처방법이 2.99점으로 나타났다. 가장 많이 사용하는 영역은 ‘그 일에 대해 좀더 알아보려고 한다’(3.69), 가장 적게 사용하는 영역은 ‘전문가에게 도움을 청하거나 상담을 받는다’(1.98)로 나타났다. 4. 미용사의 사회 인구학적 특성과 스트레스 대처방법과의 분석 결과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문제 중심적 대처방법과의 관계는 연령(p<0.05), 학력(p<0.05), 미용경력(p<0.001), 직위(p<0.01), 근무인원(p<0.001), 직업만족도(p<0.001) 등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정서 중심적 대처방법과의 관계는 미용선택동기(p<0.05)에서만 차이를 나타냈다. 5. 미용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문제 중심적 대처방법 간의 상관관계는 r=.2138(p<0.001)이며, 정서 중심적 대처방법 간의 상관관계에서는 r=.1197(p<0.05)으로, 문제중심과 정서중심 모두에서 순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 요인별 직무스트레스와 문제 중심적 대처방법과의 상관관계가 나타난 부문은 전문직으로서의 역할갈등 r=.2020(p<0.001), 전문지식 및 기술의 부족 r=.2838(p<0.001), 동료와의 갈등 r=.2211(p<0.001), 부적절한 대우와 보상 r=.2412(p<0.001), 부적절한 물리적 환경 r=.2319(p<0.001), 미용의 한계에 대한 심리적 갈등 r=.1515(p<0.01), 상사와의 갈등 r=.2436(p<0.001)이었으며, 정서 중심적 대처방법 간의 상관관계에서는 동료와의 갈등 r=.1423(p<0.05), 부적절한 대우와 보상 r=.1279(p<0.05), 부적절한 물리적 환경 r=.1511(p<0.01), 미용의 한계에 대한 심리적 갈등 r=.1289(p<0.05)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프랜차이즈 미용실에 근무하는 미용사의 가장 큰 스트레스 요인은 고객 및 동료와의 인간관계, 부적절한 대우 및 보상으로 나타난바 일반 미용실에 근무하는 미용사의 직무스트레스 연구 결과와 유사점이 있었다. 이는 미용실 규모의 대형화나 인테리어의 고급화로 인해 미용실의 수준이 높아져 물리적 환경은 어느 정도 개선되었으나, 미용실 경영 시스템 정비에만 집중 투자하고, 직원들의 근로 조건 및 환경 조성이나 복지후생에는 등한시하는 경향이 있는 바, 미용실 근로조건 정비 도모에 있어서는 기존 미용실과의 큰 차별성이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소규모 조직의 장점을 살린 빈번한 강습회, 업소 자체의 소모임 등을 활성화하여 자유로운 대화정책을 실시하고, 구성원들의 직무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구체적인 보상 체계를 확립하므로서 인간관계 및 임금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감소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또한 미용사의 직무스트레스 대처방법은 문제 중심적 대처방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정서 중심적 대처도 많은 기여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황에 맞는 적절한 대처방법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스트레스 증상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도록 사회적 지원 및 조직 내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를 수행하면서 얻은 결과를 토대로, 미용사의 직무스트레스 감소 및 적절한 대처방안 모색을 위해 몇 가지 측면에서 제언하고자 한다. 1) 미용사의 직무스트레스 연구를 위한 표준화된 도구개발과 함께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2) 미용사의 직무와 관련된 스트레스 이외의 생활사건 스트레스를 조사하여 업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3) 소규모 조직인 미용실의 특성과 여건에 맞는 구체적이고 실효성 있는 스트레스 해소에 관한 프로그램 개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essential information for the beauticians to cope with their stress properly through estimating the degree of their work stress and the current situation of their confrontation. 310 beauticians including head beauticians, cub beauticians, and trainee beauticians who are working at the franchised beauty shops located in Seoul were chosen for the survey which was done during the period of April 3, 2000 to April 22, 2000. The survey for the nurse method revised from Kim Mae-ja and Goo, Mi-ok's was used to measure the degree of work stress. To estimate the method beauticians used to cope with the stress, Lazarus & Folkman's method was mainly used along with the revision of Kim, Jung-hee and Lee, Jang-ho's. For the statistics of the results, SAS was adopted to get result of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ere used respectively to meet the purpose of each category of the study.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1. Beauticians Work stress was graded in the range of 2.84 to 3.61 of which the average was 3.36. This means beauticians were under relatively heavier stress than other workers. In the category wise, they were stressed in 'inappropriate treatment and payment'(3.61) most, on the other hand, in 'overwork and physical pain'(2.84) least. 2. The analysis of the causes of beauticians work stress by anthropologic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has shown that the degree of work stress according to the sex varied in 'overwork and physical pain'(p<0.001), 'working on weekends or holidays'(p<0.05), 'prolonged working hours'(p<0.01), 'conflict with co-workers'(p<0.001), 'inappropriate treatment and payment'(p<0.001), and 'conflict with senior'(p<0.05). Women turned out to have more tendency to get stressed than men. The degree according to the marital status found the difference in 'working on weekends or holidays'(p<0.05), and 'inappropriate working atmosphere'(p<0.05). The degree according to the working position found the difference in 'overwork and physical pain'(p<0.05), and the degree according to the amount of payment in 'lack of the technical knowledge and technique'(p<0.05). The degree according to the number of employees found the difference in 'overwork and physical pain'(p<0.05), 'role conflict as a specialist'(p<0.001), 'lock of technical knowledge and technique'(p<0.05), 'inappropriate treatment and payment'(p<0.001), 'burden of knowing one's limitations in the work'(p<0.01), and 'conflict with senior workers'(p<0.01). For the degree according to the working hours, the difference was seen in 'working weekends or holidays'(p<0.05), 'role conflict as a specialist'(p<0.001), 'lack of technical knowledge and technique'(p<0.001), 'prolonged working hours'(p<0.01), 'conflict with customers'(p<0.05), 'inappropriate treatment and payment'(p<0.001), 'inappropriate working atmosphere'(p<0.01), 'burden of knowing one's limitations in the work'(p<0.05), and 'conflict with senior workers'(p<0.01) and for the degree according to the motivation they chose the job with, in 'overwork and physical pain'(p<0.05), 'working on weekends or holidays'(p<0.05), 'prolonged working hours'(p<0.05), and 'conflict with customers'(p<0.01). For the degree according to the satisfaction to the work, the difference was seen in 'overwork and physical pain'(p<0.01), and 'prolonged working hours'(p<0.05), and for the degree according to the predication for one's working years, in 'overwork and physical pain'(p<0.01), 'working on weekends or holidays'(p<0.05), 'inappropriate treatment and payment'(p<0.05), and 'conflict senior workers'(p<0.05). 3. The average point in the frequency at which beauticians used the method to cope with the work stress was 3.16. In the method wise, 3.34 was for the method of problem analysis and 2.99 was for that of emotional approach. The method used most frequently was 'try to get more information about the work'(3.69), on the contrary, 'ask professionals for help or consult them'(1.98) was used least. 4. In the study of the correlation between beautician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method they used to cope with their work stress, the correlation between anthropologic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and the method of problem analysis found the difference in 'age'(p<0.05), 'school career as a beautician'(p<0.001), 'working position'(p<0.01), 'the number of employees'(p<0.001), and 'satisfaction degree to the work'(p<0.001), However the results show the difference only in 'motivation they chose the job with'(p<0.05). 5.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beauticians work stress and the method of problem analysis was r=.2138 (p<0.001),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ir working stress and the of emotional approach was r=.1197 (p<0.05). Both methods appeared to be in direct proportion to the work stress. 6. Among the causes of work stres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the method of problem analysis with 'role conflict as a specialist' was r=.2020 (p<0.001), and r=.2838 (p<0.001) was with 'lack of technical knowledge and technique'. r=.2211 (p<0.001) was with 'conflict with co-workers', r=.2412 (p<0.001) was with 'inappropriate treatment and payment', r=.2319 (p<0.001) was with 'inappropriate working atmosphere', r=.1515 (p<0.01) was with 'burden of knowing one's limitations in the work' and r=.2436 (p<0.001) was with 'conflict with senior workers'. The correlation of the method of emotional with 'conflict with co-workers' was r=.1423 (p<0.05), and r=.1279 (p<0.05) was with 'inappropriate treatment and payment', r=.1511 (p<0.01) was with 'inappropriate working atmosphere' and r=.1289 (p<0.05) was with 'burden of knowing one's limitations in the work' According to the survey, the relationship with customers and inappropriate treatment and payment were the most responsible factors to the beauticians work stress. Therefore it would be desirable to give workers beauty classes frequently which is easily accessible to the small working places as beauty shops and to give workers the opportunity to speak out their opinions by holding small meetings in the shop. And the stress from inappropriate payment could be reduced with concrete payment systems designed to increase beauticians satisfaction. To cope with work stress, currently, the method of problem analysis is used more frequently, the method of emotional approach, however, has also shown considerable contribution. As a result, the support from both society and employers is definitely needed for the beauticians to apply an efficient coping method suitable for the situation after finding out the stress in the early stage. Here are some suggestions to decrease work stress and find out the proper method to cope with it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1. Developing standardized method for the study on beauticians work stress is needed and the research on the stress must be continued. 2. Study on the causes and effects of beauticians other stresses than work stress is needed. 3. Study on the concrete programs to reduce efficiently complying with the characteristics and circumstances of the beauty shop as a small working place must be done continuously.

      • 한국 체류 난민의 사회적응에 관한 연구 : 난민지원정책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손주희 성결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 체류하고 있는 난민의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하여 난민지원정책의 효율적 방향성과 정책적 제언을 하는 것이다. 난민은 본인의 의사와 상관없이 본국의 상황으로 공포와 박해를 피해 비자발적으로 입국한 사람을 의미한다. 현재 한국에는 2001년 첫 난민인정을 시작으로 2,200여 명의 난민이 법적 보호를 받고 있다. 국제적으로 난민신청이 매년 급증하고 있는 상황에서 2010년 이후 난민신청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한국의 현실은 난민문제가 단순히 인권 보호적 접근을 넘어 이민정책 차원에서 다루어야 할 국가적 과제가 되었음을 시사한다. 난민을 한국사회 공동체 일원으로 인식한 사회통합관점의 정책 모색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는 한국사회에의 적응을 어렵게 하는 요인들을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난민에 대한 정확한 이해 없이 적절한 난민 대응책은 만들어지기 어렵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 하에서 난민들의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요인이 무엇인지 밝히고자 하였다. 인구사회학적 요인, 개인적 요인, 환경적 요인이 사회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 정책수혜 집단을 대상으로 난민지원정책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수도권 지역에 거주하는 난민들에게 설문지를 배포하고,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여 연구가설을 검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적 요인 중 자기효능감은 경제적 적응에만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반면 스트레스는 경제적, 사회·문화적, 심리적 적응 모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환경적 요인과 사회적응과의 영향관계 검증 결과 사회적 자본의 하위요인인 네트워크는 경제적 적응에, 사회적 차별은 사회·문화적, 심리적 적응에 유의미한 영향관계를 보였다. 셋째, 난민지원정책은 난민의 개인적, 환경적 요인과 적응과의 관계에 있어 경제적, 사회·문화적, 심리적 적응 모두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정책과제를 정리하면 첫째, 난민을 지원함에 있어 인도적 관점에서의 건강권 보장과 난민의 특수성을 배려한 정신적·심리적 건강에 주목한 교육과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난민의 자조모임 활성화와 정보 공유, 내국인을 대상으로 한 난민에 대한 사회적 인식개선 등 사회통합을 이룰 수 있는 체계적 구축이 필요하다. 셋째, 난민정책의 효율적 지원을 위해서는 민간, 지방정부, 중앙정부가 함께 협력하는 체계가 필요하다. 각 지역에 협력기관을 두어 교육, 취업, 상담 등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지원을 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난민의 한국사회 적응의 영향요인을 밝혀 정책 방향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는 한국사회가 인종이나 체류자격에 있어 다양화 되어가고 있는 현실에서 사회통합적 접근뿐만 아니라 정책의 효율성 제고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가 향후 난민정책의 수립에 있어 이러한 영향요인들을 고려한 난민지원정책의 근거자료로 활용되고 난민의 처우관련 연구자료 등 다각도로 의미 있게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nfluencing factors of social adaptation of the refugees staying in Korea and to propose effective orientation and policy recommendation on policy for refugee support. A refugee means a person who entered other country involuntarily regardless of one's own will to avoid fear and persecution in their home country. Currently 2,200 refugees are under legal protection in Korea since 2001 when the first refugee was accepted. Considering the rapid international increase of asylum seeker, the refugee problem in Korea where the refugee application has been increasing since 2010 is suggested to become a national challenge that must be dealt in the level of immigration policy beyond just the human rights protection. It is necessary to seek a policy in the view of social integration that recognizes refugees as members of Korean society and this requires the identification of the factors that preventing the refugees from adaptation to Korean society because the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situation the refugees are facing is essential to develop a proper plan to deal with refugee proble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refore, to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of social adaption of refugees by analyze the effects of demographic, pers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social adaptation and test the moderating effect of policies for refugee support focusing on policy beneficiary group.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administered to refugees living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 research hypotheses were tested by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using such statistics as associ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elf-efficacy from personal factors has effect only on economic adaptation while the stress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economic, sociocultural, and psychological adaption. Second, the analysis of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factor and social adaptation showed that the network, a subfactor of social capital, has effect on economic adaptation and that social discrimination has significant effect on sociocultural and psychological adaptation. Third, the policy for refugee support has moderating effect on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and economic, sociocultural, and psychological adaptations. The policy implications based on thes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from a humanitarian perspective to protect the health right of refugees in process of supporting them, and to provide education and support focusing on their mental and psychological health and considering their special situat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ystem for social integration such as revitalization of refugee self-help groups, sharing of information, and improvement of social awareness of refugees by Korean. Third, for the effective support for refugee policy, a system promoting cooperation of civil, local and central governments is necessary. Cooperative organizations should be established in each region to provide concrete and practical support such as those for education, employment, and counseling. This study intends to provide data which are helpful in determining policy direction by identifying influencing factors of adaptation of refugees to Korean society. Considering the current situation that the constituting races and types of foreigner is becoming diverse, it is very important not only in social integration approach but also in improving the efficiency of policie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in meaningful way in proof source of policy for refugee support reflecting these influencing factors in developing refugee policies and other aspects such as studies on treatment of refugees. Key words: Refugee, Asylum Seeker, Humanitarian Status Holder, Recognized Refugees, Social Adaptation, Economic Adaptation, Sociocultural Adaptation, Psychological Adaptation, Policy for Refugee Support.

      • 부동산중개업 시장에서 서비스품질이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서울·경기지역을 중심으로

        손주희 경기대학교 서비스경영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부동산중개업의 서비스품질이 중개업 방문자들의 서비스가치 및 고객만족도,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검정하고, 부동산중개업의 서비스품질을 통하여 고객의 서비스가치와 고객만족도, 고객충성도가 향상되었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서울, 경기지역에 한정된 중개업의 방문한 고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가설검정을 위한 변수는 서비스품질(물리적 환경품질, 상호작용품질, 결과품질), 서비스가치, 고객만족도, 고객충성도 총 4개의 변수를 추출하여 최종 연구모형을 구성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21.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유의수준 .05를 기준으로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동산중개업의 서비스품질이 서비스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서비스품질의 요인 중 물리적 환경품질과 상호작용품질을 제외한 결과품질이 서비스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결과품질(“이자율 및 수수료”, “성공적인 거래” 등)이 서비스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중개서비스 전달과정이 끝난 후에 소비자에게 결과적으로 남는 결과품질이 중개업의 서비스가치를 평가하는 중요한 영향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부동산중개업의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서비스품질의 요인 중 물리적 환경품질을 제외한 상호작용품질과 결과품질은 고객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상호작용품질의 경우는 “종업원의 전문성”, “친절성”, “업무능력” 등을 통해 고객이 만족을 느끼고 있으며, 결과품질의 경우는 “목적 달성”, “수수료” 등 소비자의 요구에 충족하는 서비스로부터 만족을 느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부동산중개업의 서비스품질이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서비스품질의 요인 중 물리적 환경품질을 제외한 상호작용품질과 결과품질은 고객충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상호작용품질에서 “종업원의 행동”, “태도” 등의 수준이 높을수록, 결과품질에서 “성공적인 거래”, “수수료” 등의 효과가 높을수록 부동산중개업 방문객들의 고객충성도가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서비스가치가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서비스가치가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고객만족이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중개업 방문자가 서비스가치를 높게 지각할수록 고객만족도가 증가하며, 나아가 고객만족과 서비스가치를 통하여 고객충성도(재구매 의도, 추천의도 등)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부동산중개서비스업의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고객의 부동산거래 전체 과정에 대한 고품질의 서비스와 서비스가치, 고객만족도, 고객충성도가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중개시장의 환경변화와 소비자의 요구 및 필요에 적응하기 위하여 고품질의 부동산서비스 시스템을 개발하고, 평생회원으로 고객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을 갖추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부동산의 특정한 중개상황을 즉각적으로 판단하고, 고객의 유형별 특성에 따라 부동산중개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등에 대한 체계적인 중개사 교육프로그램(시장분석, 권리분석, 자산관리서비스 등)을 개발해 나가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service quality of real estate brokerage services on service value,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of brokerage visitors, and examines whether service quality,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are improved through service quality of real estate brokerage business.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visitors of brokerage firms in Seoul and Gyeonggi area. The variables for the hypothesis test were service quality (physical environmental quality, interaction quality, result quality), service value, Customer loyalty, and total customer loyalty.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tested using the SPSS 21.0 program with a significance level of .05.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analyzed the effect of service quality of real estate brokerage on service value. As a result, it was found out that the quality of service quality had positive (+) effect on the service value, excluding physical environment quality and interaction quality. This means that the quality of the results ("interest rate and commission", "successful transaction", etc.)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service value. As a result, Which is an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the evaluation. Second,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the service quality of the real estate brokerage on the customer satisfaction showed that interaction quality and result quality except the physical environment quality had positive (+) influence on the customer satisfaction. Respectively. In the case of interaction quality, customers feel satisfied through "employee's professionalism", "kindness", "work ability", etc. In case of the result quality, "consumer satisfaction" I was satisfied with the service I was satisfied with. Third, analyzing the effect of service quality of real estate brokerage on customer loyalty, interaction quality and result quality except for physical environment quality have positive (+) influence on customer loyalty . This is because the higher the level of "employee behavior" and "attitude" in interaction quality, the higher the effect of "successful transaction" and "fee" in result quality, Intention) is increased. Fourth, the effect of service value on customer satisfaction, the effect of service value on customer loyalty, and the effect of customer satisfaction on customer loyalty were all positive (+). This result shows that customer satisfaction increases as customers perceive service value of intermediary visitors, and customer loyalty (intention of repurchase, recommendation intention) increases through customer satisfaction and service value. In order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real estate brokerage services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it was found that high quality service, service value,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are important factors for the whole real estate transaction process of custome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high quality real estate service system to adapt to the environment change of the intermediary market and the needs and needs of consumers, and to have a system for customer management as a lifetime member. Also,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ystematic broker education program (market analysis, rights analysis, asset management service, etc.) about the method of instantly determining the specific brokerage situation of real estate and providing real estate brokerage servic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client.

      • 다문화 미술교육 활동이 초등학생의 가족 의미 구성에 미치는 영향 : 가족을 소재로 한 그림책 활동을 중심으로

        손주희 서울교육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가족 형태 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다문화 미술교육 활동이 학생이 구성하는 가족의 의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각각 한부모가족, 재혼가족, 조손가족, 국제결혼가족, 입양가족을 다룬 그림책을 활용하여 그림읽기와 그림책 만들기 활동 중심으로 다문화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실제 교육현장에 적용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소재 3학년 초등학생 한 학급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설문의 방법을 활용한 ‘가족 형태에 대한 인식 검사’, ‘가족 형태에 대한 수용도 검사’를 사용하여 정량적 분석을 하였으며, 면접의 방법을 활용한 ‘가족 형태에 대한 태도 검사’를 사용하여 정성적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그림책을 활용한 다문화 미술교육 활동이 가족의 의미 구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ulticultural art education activities involving picturebooks of different types of families on the constructing the meaning of family. Multicultural art education activities were programmed focusing on reading pictures and making picturebooks of different types of family, and applied to actual training site. The subjecs of this research were a third-grade class in the elementray school loceted in Seoul. The analyzing tools on awareness and acceptance of family types were used for quantitative analysis. Attitudes to family types were analyzed by way of interview and used for qualitative analysis. As the result of the study, multicultural art education activities involving picturebooks of different types of families had positive effects on constructing the meaning of family.

      • 노숙자 쉼터(임시보호시설) 이용 만족도에 관한 연구

        손주희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1997년 IMF관리체제 하에 우리 나라 경제는 극도로 침체되고, 사회적으로 불안정했다. 구조조정으로 인한 실업자 급증, 실업으로 인한 가정 해체, 생계형 범죄 증가 등 여러 가지 사회문제가 대두되었는데, 특히 거리 곳곳에 급격히 증가한 노숙자에 대한 문제는 가장 시급히 해결되어야 할 사안으로 인식되었다. 이에 정부는 1998년 초부터 노숙자 지원사업을 추진하게 되었고 현재까지도 진행중이다. 하지만 노숙자 지원사업이 시작된 지 2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법적근거나 체계적인 지원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1998년 초부터 시작된 우리 나라 노숙자 지원사업에 대한 평가의 일환으로 쉼터 운영사업에 대한 이용자들의 만족도와 욕구를 조사하여 효과적인 노숙자 쉼터 운영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을 위한 자료는 수도권의 22개 쉼터에 생활하고 있는 성인남성 노숙자 272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 조사를 통하여 수집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 8.0의 통계패키지를 사용하여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발견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 분석결과 연령, 종교, 학력, 주민등록증 소지여부 등 일반적인 특성은 기존 연구와 별 차이가 없었다. 직업관련 질문에서는 직업이 있다고 한 응답자가 50.9%에 불과했고, 직업의 종류를 살펴보면 일용·노동직과 공공근로사업으로 대표되는 불안정 고용형태가 전체 82.5%로 나타났다. 평균 월소득은 75.7%가 99만원 이하로 일반적인 저소득층임을 알 수 있고, 75.7%가 소득을 모두 사용한다고 응답하여 소득관리 교육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둘째, 쉼터 입소전 생활실태에 대한 조사에서, 응답자의 대부분이 거리노숙, 친척집, 친구집 등 불안정한 주거 생활을 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71.5%가 쉼터 입소전 거리노숙, 친척집, 친구집, 일터 등에서 생활했고, 그 곳에서의 거주기간이 1년 미만이라고 응답한 경우가 70.6%로 나타나 대부분이 불안정한 주거생활을 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쉼터 생활에 대한 조사에서, 응답자의 대부분은 불편한 점이 없다고 응답하였으나, 상담원과의 상담이 좀더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95.6%가 외출, 외박이 자유롭다고 응답하였고, 78.2%가 상담원의 상담을 통해 개선되는 점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하지만 21.9%는 상담을 거의 못하거나 해도 개선되는 점이 없다고 응답하였는데, 이는 상담원의 업무 과중과 담당인원(1인당 50명)이 비현실적으로 많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넷째, 쉼터 생활만족도에 대한 조사에서, 응답자의 대부분이 전반적인 쉼터 생활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87.1%가 쉼터 생활에 만족한다고 응답하였고, 유사한 도움이 필요한 친구에게 쉼터를 추천할 것인지에 대한 질문에 74.2%가 추천하겠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다시 도움이 필요하다면 다시 이용하겠냐는 질문에 81%가 다시 이용하겠다고 응답하였다 다섯째, 쉼터 생활계획 및 욕구에 대한 조사에서, 정부의 행정적 재정적 지원과 잘못된 사회인식이 개선되어야 한다고 응답하였으며, 쉼터 이용시 사회적 낙인과 사생활 정보 누출 등 인권과 관련한 사항에 대해 걱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우선적으로 변해야할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질문에 54.6%가 정부의 행정적·재정적 지원이, 32.6%가 잘못된 사회인식이 우선적으로 변해야한다고 응답하였다. 54.7%가 사회적 낙인이, 21.1%가 개인신상이나 정보의 누출을 걱정된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쉼터 입소기간과 퇴소후 생활계획에 대한 상담과 쉼터 입소기간을 알고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49.1%가 모른다고 응답하였고, 알고 있는 입소기간에 대한 편차도 아주 크게 나타났다. 입소기간이 6개월 이상 1년 미만이라고 응답한 응답자가 40.7%로 가장 많고, 1년이상 2년 미만이라고 한 응답자도 38.1%로 나타났다. 현재 알고 있는 입소기간이 부적절하다고 응답한 노숙자를 대상으로 한 입소 희망기간에 대한 조사 결과, 38.5%가 1년이상 2년이하의 기간이, 21.1%가 2년이상 3년미만의 기간이 적절하다고 응답했다. 쉼터에서 언제까지 생활할 계획인지에 대한 질문에 56.8%가 안정된 직업을 구할 때까지라고 응답하였고, 10.6%가 공공근로사업 기회가 제공되지 않을 때까지라고 응답하였으며, 기타 의견의 대부분이 안정된 직업과 잠자리를 마련할 때까지라고 응답하였다. 그 시기가 언제쯤일 것 같은지에 대한 질문에 33.8%가 6개월 이상 1년 미만이라고, 23.6%가 1년이상 3년미만이라고 응답하였다. 퇴소시 거주지가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44.8%가 돌아갈 거주지가 없다고 응답하였고, 돌아갈 곳이 있다고 한 응답자들도 가족 또는 친척집이나 쪽방, 여인숙으로 돌아 갈 예정이어서 퇴소한다하더라도 불안정한 주거형태를 계속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가장 시급하게 제공되어야 할 서비스로 57.3%가 일자리 제공이라고 응답하였고, 15%가 직업교육, 13.9%가 재활프로그램 운영이라고 응답하였다. 직업 유무와 쉼터 만족도와의 관계를 교차분석을 통해 알아본 결과, 직업이 있다고 응답한 노숙자의 만족도가 직업이 없다고 응답한 노숙자의 만족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조사 결과를 통하여 다음과 같이 노숙자 쉼터 운영방안을 제언한다. 첫째, 노숙자의 욕구의 대부분이 직업과 연관되어 있고, 자활을 위해서도 안정된 직업은 필수적이므로 계속적인 직업교육과 일자리 제공이 필요하다. 현재 제공되고 있는 공공근로사업은 일시적일 뿐만 아니라 작업이 단순하여 근로 의욕을 오히려 저하시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어 노숙자의 능력에 맞는 직업교육, 자활공동체사업 등으로 사업 방향을 전환하는 것을 제안한다. 뿐만 아니라 일자리 제공과 함께 소득관리방법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도 강조된다. 둘째, 노숙자의 욕구와 쉼터의 특성에 맞는 유형화가 필요하다. 현재 노숙자 쉼터는 일률적이고, 생계유지를 위한 응급조치 수준에 그치는 것이 현실이지만 지금부터라도 노숙자의 자활을 지원하는 전문 기관으로서의 역할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 현재 50명당 1명으로 배치되어있는 상담원 배치 기준을 현실화하여 사례관리가 가능하도록 하여야겠다. 셋째, 지역사회와의 연계가 필수적이다. 지역사회와의 격리는 현 사회복지시설의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고, 사회복지대상자의 사회복귀나 자활에 큰 장애요인이 되며, 예산상으로도 비효율적이다. 현재 노숙자 쉼터는 외출 및 외박은 자유롭지만 지역사회와의 연계사업이나 사회복귀프로그램이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노숙자 지원사업의 체계화와 법제화가 필요하다. 노숙자 지원사업이 시작된 지 2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법적 근거나 공식적으로 발표된 장기 대책이 없다. 이 때문에 실무자들이 안정적으로 맡은 일에 전념할 수 없으며, 거리 노숙자 지원에도 많은 한계가 있다. 또한 기존 사회복지사업과의 협조와 역할 조정도 중요한 과제이다. The Korean economy crashed suddenly under the crisis of exchange in 1997 and was thrown into confusion in many areas, and new social problems began to emerge. Especially, the homeless people have increased rapidly and become most serious social problem. Thus Korean government planned and carried out the homeless assistance policy. Although the homeless assistance policy succeeded in the emergency measures, it needs to be evaluated and modified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homeless population no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needs of the homeless shelter users in order to evaluate the homeless assistance policy in Korea and propose the effective management of the homeless shelters. Data were gathered through the survey method from 272 male shelter users in 22 homeless shelters and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and cross-tab metho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no difference in gener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age, religion, schooling, etc. between previous researches and this. Many respondents are in unstable employment(82.9%) and low-income earners(75.7%). Second, regarding the life before they entered the shelters, many respondents lived in unstable housing situation(71.5%). Third, regarding living in shelters, majority of respondents have no discomfort in shelters, but they want the counseling with the shelter counselors. Fourth, in regard of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majority of respondents are satisfied with the overall living in shelters and services. Fifth, about the life plan and needs, they need more governmental assistance services and want the change in public attitudes toward themselves. Also, they are concerned about stigmas and the release of private information. And they demand the service about a plan of life after they leave the shelters. Finally, respondents demand the job-hunting service(57.3%), job training program(15%), and rehabilitation programs(13.9%). Based on these findings, suggestions about the management of the homeless shelters are as follows. First, it is demanded to provide effective job-hunting and job training services which can be delivered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homeless people. Second, there is a need of specialization and diversification of shelters for the homeless people. Third, it is necessary to make local association for advocacy and better service for the homeless people. Finally, there is a need of the homelessness legislation and more professional services which help the rehabilitation and independent living of the homeless people continuously.

      • 대학생의 노인 접촉경험과 공감이 노인에 대한 편견에 미치는 영향

        손주희 대구가톨릭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mpathy reduces prejudice towards the elderly and empathy has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lderly contact and elderly prejudice. The subjects were 415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Results foun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quantitative contact with an elderly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reduction of elderly bias. Second, qualitative contact experiences with an elderly reduced the prejudice against an elderly. Third, the higher the level of empathy showed lower prejudice against an elderly. Finally, the moderating effects of empath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lderly contact and elderly prejudice was not significant. The reason for this result is that the deviation level of empathy of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very small and showed fairly homogeneous empathy levels. It is assumed that if subjects with high or low sympathetic receptors were sampled in various ways, more effective results would be obtained.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significance. First, in spite of the fact that the Korean society has an average age of life expectancy and an aging society, research on elderly prejudice is rare. The study of elderly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is hard to find. In this respec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the elderly and youth and the elderly in the social integration. Second, research studies that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contact and the effects of empathic research are rare. In particular, research that reveals the effects of association with age-related prejudice. Although the level of empathic deviations in this study has not proven to be effective, it is said that the increase of empathy is effective for the reducement of prejudice.

      • 달크로즈 교수법을 활용한 음악교과 학습지도의 연구방안 : 고등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손주희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음악교육은 창의성 발달에 직접적으로 기여하며, 음악을 수단으로 한 심미적 체험에 그 목표를 두고 있다. 과거의 음악교육은 음악적 지식과 가창기능을 중심으로 또한 음악적 기술을 강조하는 교육이 주를 이루었다. 1970년대 이후 미국 음악교육의 영향이 점차적으로 들어오기 시작하며 1990년 이후에는 교사가 일방적으로 가르치는 수업이 아닌, 학생 스스로가 자기에게 의미 있는 것을 찾고 경험하는 수업으로 바뀌어 가면서 교사들은 음악 교육에 대해 연구하고, 여러 다양한 이론과 모형을 실제 수업에 적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학생들에게 음악과 동작을 연결하여 학생들의 신체를 통해 표현되는 경험을 통한 수업이 음악 이해력, 표현력에 미치는 효과가 어떠한지 알아보기 위하여 심도 있게 연구하였다. 또한 달크로즈 교수법을 활용한 수업 모형을 개발하여 수업안의 예를 제시하고 있으며, 이 수업을 통하여 학생들은 음악에 대하여 떠오르는 자신의 느낌들을 움직임과 즉흥연주로 표현해 보는 경험을 하였다. 달크로즈는 인간의 신체를 통하여 인간의 모든 감정은 표현될 수 있다고 생각하였고, 유리드믹스, 솔페즈, 즉흥 연주 세 교수법이 서로 연계되어 한 가지 방법에 치중되지 않은 방식으로 수업이 이루어진다. 학생들이 처음 접하는 이 수업에 대하여 첫 시간에는 대다수의 학생들이 움직임 자체를 힘들어 하였고 발로 박을 걷고 손으로 리듬을 표현할 때는 손과 발이 따로 움직이지 않아 힘들다고 하였다. 또한 음의 높낮이를 확실히 구별하지 못 하였고, 즉흥연주를 할 때 악기로나 몸으로 표현하는 것 자체를 힘들어 하였다. 그러나 1차시보다는 2차시에서, 2차시보다는 3차시에 자신들 만의 몸짓 언어로 음의 높낮이를 구별하였고, 즉흥연주를 통해 소리를 몸짓으로, 몸짓을 소리로 표현하는 활동들을 통하여 감정들을 표출하며 점차 움직임이 자연스러워지고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하여 즐거워하는 모습들을 보였다. 에릭슨(Erik H. Erikson)은 청소년기의 발달과업 중 자아정체감 확립이 중요하다고 강조하였고, 체험 또한 중요하다고 하였다. 교사는 학생들에게 독창적인 표현과 지식의 역할을 불러 일으켜 주어야 한다. 좌뇌를 많이 사용하는 학생들에게 우뇌를 자극해주는 학습 또한 필요하다. 그 나이 때 누릴 수 있는 감성적 경험들을 음악 시간에 활동적인 수업으로 활발히 진행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타 교과에 비해 절대적으로 적게 운영되는 고등학교 음악시간을 위한 효과적인 수업 지도안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며, 달크로즈 수업의 경험이 없는 학생들의 수준에 맞춰 난이도를 조정하여 교육현장에서 적용이 가능한 단계적이고 구체적인 방법이 활발히 연구되어 적절히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Music education directl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and it aims at aesthetical experience through music. In the past, the music education was mainly about musical skill such as musical knowledge and vocalism. Since 1970, it has started to be affected by American-style music education gradually and then after 1990, the education method trend has been changed from one-way teaching to participatory class that students find things meaningful for themselves and experience them. Accordingly, teacher have researched on music education methods and have applied various theories and model cases into actual classes. This study has investigate how experimental class that is expressed by connecting music and motion affects students' understanding and expressiveness of music. Also, it suggests a class plan by developing class model from the teaching method of Dalcroze. Students have experienced to express their feelings of music by improvisation and motion through this class. Dalcroze believed every feeling of human beings can be expressed by human body, and the class was carried out by the teaching methods: eurhythmics, solfege, improvisation that are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and are well-balanced, not focused too much on one method. At first, most students had a difficult time in making motion and they confessed that it was very difficult to express rhythm by using their hands and feet as those did not move separately. In addition, they could not distinguish high and low of sound and had difficulties in expressing with instruments or their bodies when improvising. As the class was repeated, they started to distinguish high and low of sound and to express their feelings by their motions and sounds better. Their motions gradually became natural by performing the activities turning sound into motion and vice versa though improvisation. They also started to actively participate and enjoy the class. Erik H. Erikson emphasize the importance of establishment of identify while achieving developmental tasks during adolescence. Also, he put value on experience. Teachers should give students inspiration for creative expression and the roles of knowledge. The students who use left brain more often requires the class that stimulates right brain. It is believed the emotional experiences that can be enjoyed at their age should be provided actively through active music education.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for high school music class should be developed as the music class is absolutely less operated compared to other classes. The levels of difficulty should be adjusted to suit the students who do not have any experience in the teaching method of Dalcroze. An applicable and detailed method of teaching should be researched and applied to the education field in stag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