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역사회 네트워크가 연계협력 성과에 미치는 영향 : 개인간 네트워크와 조직간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손민경 서울시립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inter-individual network voluntarily participated by social workers in the actual field of community welfare on the connected cooperation performance. Community network as a core area of community organization projects has been emphasized for the purpose of meeting clients' desires and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service provision. Even though some local problems were resolved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formal cooperative system between organizations based on the private-public cooperation, it was limited to draw the flexible and open characteristics of private organizations because of the operation led by the public sector and stiff conventional structure while there were nominal networks between private organizations. In order to complement such limitations of inter-organizational network, social workers started having interest in forming inter-individual networks based on trust. The existing researches have mainly focused on understanding the actual status of networks between community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and also on revealing factors having influence on the network growth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Paying attention to the fact that social workers have put lots of efforts into the establishment of autonomous networks based on interest in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service to clients and changing community, exceeding the inter-organizational network frame which was formally built in community social welfare institutions/organizations, this study aimed to verify relations of social workers' inter-personal network with the connected cooperation performance, and also to suggest the formation of efficient network. This study collected data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individual survey. After drawing a research model by setting up factors of satisfaction and efficiency as influence factors of connected cooperation performance that could be changed depending on elements(frequency of contact,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and sustaining factor) of network between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and social workers' inter-individual network through the literature research, it was verified through the survey. Targeting social welfare-related workers in private/public areas, total 122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I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elements(frequency of contact,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and sustaining factor) of inter-individual network and inter-organizational network had influence on dependent variables such as satisfaction with the connected cooperation performance and efficiency. Especially, the frequency of contact of inter-individual network had bigger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with the connected cooperation performance of inter-organizational network and efficiency than the frequency of contact of inter-organizational network.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urvey, the results through community network had bigger influence on the connected cooperation performance between organizations than the connected cooperation performance between individuals. However, as a solidarity-type network based on members' trust through relations with close people, the inter-individual network voluntarily formed by social workers in the process of forming community social capital,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has complemented limitations of inter-organizational network which is a bridge-type network focusing on goals and work as the center of community network. Such results suggest that community network activities are related to each other without being separated as an individual activity, and changes in network attributes are shown depending on each activity as each network has attributes as a connected network. It could be interpreted that the attributes of connected network are shown as there is an intersection between members of social workers' inter-individual network and members of inter-organizational network forming a formal network within community. Contrary to the meaning revealed by this study, to some workers in the public area, the inter-individual network meant a strategic network focusing on work and goals, so that their responses with different interpretation of the survey could have influence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hich was one of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The other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actual connected cooperation performance(assistance, resource, and etc) setting up as an dependent variable could not be clearly measur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structure of network cases which are the results of social workers' voluntary interest and effort in community, and also to focus on social workers' inter-individual network, to complement limitations of inter-organizational network by exceeding the range of inter-organizational network formally established as the center of community network so far. 본 연구는 지역사회복지 실천 현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사회복지사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개인간 네트워크가 실제 연계협력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이다. 지역사회조직 사업의 핵심영역인 지역사회네트워크는 자원부족 문제 해결을 통해 클라이언트의 욕구에 부응하고 서비스 제공의 효율성을 높이는 이유로 강조되어 왔다. 민관협력을 통한 조직간 공식적 협력체계 구축으로 지역 내 존재하는 문제점들이 어느정도 해소될 수 있었으나, 공공주도의 운영형태와 경직된 관행적 구조로 민간이 가진 유연하고 개방적인 특성을 이끌어내지 못한다는 한계점과 함께 민간 조직들간의 네트워크가 명목상으로 존재하고 있음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조직간 네트워크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사회복지사들은 신뢰를 바탕으로 한 개인간 네트워크 형성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였다. 그동안의 연구들은 지역사회의 사회복지 조직간 네트워크 실태를 파악하고, 사회복지 조직의 네트워크 성장의 정도와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밝혀내는 연구들이 많았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 내 사회복지 기관 및 조직들이 공식적으로 구축하고 있었던 조직간 네트워크의 틀에서 벗어나, 사회복지사들이 클라이언트를 위한 서비스 제공과 지역사회 변화를 목적으로 사회자본 형성에 관심을 갖고 이를 위한 방법으로 자생적인 연계망 구축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는 점에 주목함으로써 사회복지사들의 개인간 네트워크를 통한 연계협력 성과와의 관계를 확인하고 효율적인 네트워크 형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문헌조사와 개별설문조사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문헌조사를 통하여 사회복지 종사자들 개인간 네트워크와 사회복지 조직간 네트워크의 구성요소(접촉빈도, 참여동기, 지속요인)에 따라 달라지는 연계협력 성과의 영향요인으로 만족도와 효율성 요인을 설정하여 연구모형을 도출하고 설문을 통해 이를 확인하였다. 주된 자료는 사회복지현장에 근무하고 있는 민간영역과 공공영역의 사회복지 관련 종사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집된 자료들 중 122개의 설문지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 결과 개인간 네트워크와 조직간 네트워크의 구성요소(접촉빈도, 참여동기, 지속요인)는 종속변수인 연계협력 성과 만족도와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확인이 되었다. 특히, 주목할 점은 개인간 네트워크의 접촉빈도는 조직간 네트워크의 접촉빈도 보다 조직간 네트워크 연계협력 성과 만족도와 효율성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역사회 네트워크를 통한 결과로는 개인간 연계협력 성과 보다 조직간 연계협력 성과에 좀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이 되었지만, 지역 내 사회자본을 형성해가는 과정에서 사회복지사들이 자발적으로 형성한 개인간 네트워크는 친밀한 사람들과의 관계를 통해 구성원들의 신뢰가 중심이 되는 결속형 네트워크로써 과거부터 현재까지 지역사회 네트워크의 중심이 되고 있는 목표와 업무중심의 교량형 네트워크인 조직간 네트워크의 한계점을 보완해주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지역 내 존재하고 있는 네트워크 활동들은 각각의 활동으로 나누어져 있지 않고 서로 연관성을 갖고 있으며, 각각의 네트워크가 연계형 네트워크로써의 속성을 지니고 있어 각 활동에 따라 네트워크의 속성 변화를 보여주고 있음을 말해준다. 지역사회 내에 공식적으로 네트워크를 이루고 있는 조직간 네트워크 구성원과 사회복지사들의 개인간 네트워크 구성원의 교집합이 존재함으로써 연계형 네트워크의 속성을 보이기 때문이라 해석될 수 있다. 본 연구의 한계로는 일부 공공영역의 종사자들에게 개인간 네트워크는 본 연구에서 밝힌 의미와는 달리 참여 동기가 업무와 목표 중심의 전략적 네트워크로써 의미하고 있었기 때문에 본 연구의 방향과 다른 설문해석으로 인한 응답이 분석결과에 영향을 미쳤으리라 생각하고, 종속변수로 설정한 네트워크 동력인 연계협력 성과를 실제 주고받은 연계협력 성과(원조, 자원 등)에 대해 명확하게 측정할 수 없었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그동안 공식적으로 구축되어 지역사회 네트워크의 중심이 된 조직간 네트워크의 범위를 벗어나 조직간 네트워크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사회복지사 개인이 자발적으로 갖는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과 노력의 실체인 네트워크 사례들의 구조를 확인하고, 사회복지사들의 개인간 네트워크에 초점을 맞춘 연구라는 점에서 기존의 연구들과 다른 의미를 갖는다.

      • 청소년의 부모와의 의사소통,자아존중감 및 행동문제가 학교생활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손민경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고등학교 2학년 청소년을 대상으로 청소년의 학교생활 부적응이 성과 학교계열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부모와의 의사소통, 자아존중감, 행동문제가 청소년의 학교생활 부적응에 미치는 직·간접적 영향을 남학생과 여학생을 구분하여 파악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청소년의 학교생활 부적응(교사관계, 교우관계, 학습활동영역, 규칙준수 관계, 이성관계)은 성과 학교계열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청소년의 학교생활 부적응에 대한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 학교계열, 부모와의 의사소통, 자아존중감 및 행동문제(외현화 행동문제, 내면화 행동문제)와의 경로는 성에 따라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부산 시에 소재하고 있는 고등학교 4개교에 재학 중인 2학년 고등학생 62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청소년의 학교생활 부적응 척도, 부모와의 의사소통 척도, 자아존중감 척도, 행동문제 척도 및 배경변인을 묻는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예비조사를 거쳐 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 623부를 자료 분석에 사용하였다. SPSS/WIN version 10.0을 이용하여 이원변량분석, Pearson의 적률 상관계수, 중다회귀분석,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남학생은 여학생보다 학교에서의 교사관계, 규칙준수관계, 이성관계에서 더 높은 부적응을 보인다. 또한 실업계 고등학교 청소년은 인문계 고등학교 청소년보다 교사관계, 교우관계, 학습활동영역, 규칙준수, 이성관계 및 전체 학교생활에서 더 높은 부적응을 보인다. 그런데 학습활동영역의 부적응은 인문계 고등학교의 경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높으며, 실업계 고등학교의 경우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높다. 그리고 청소년의 전체 학교생활 부적응은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더 높고, 이러한 차이는 인문계 고등학교 청소년보다 실업계 고등학교 청소년이 더 크다. 둘째, 청소년의 학교생활 부적응을 직접적으로 야기하는 요인은 청소년의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남학생의 경우 외현화 행동문제가 많을수록, 인문계 고등학생보다 실업계 고등학생이, 어머니와의 의사소통이 역기능적일수록 학교생활 부적응이 더 높았다. 이때 학교계열은 어머니와의 의사소통과 외현화 행동문제를 매개로, 어머니와의 의사소통은 외현화 행동문제를 매개로 하여 남학생의 학교생활 부적응을 야기하였다. 여학생의 경우 외현화 행동문제가 많을수록, 인문계 고등학생보다 실업계 고등학생이 학교생활 부적응이 더 높았다. 이때 자아존중감은 외현화 행동문제와 어머니와의 의사소통을 매개로하여, 아버지와의 의사소통은 자아존중감과 외현화 행동문제를 매개로 하여 여학생의 학교생활 부적응을 야기하였다. 셋째, 남학생의 경우 학교생활 부적응에 학교계열이 인과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외현화 행동문제, 어머니와의 의사소통 순으로 남학생의 학교생활 부적응에 인과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여학생의 경우 학교생활 부적응에 외현화 행동문제가 인과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학교계열, 자아존중감, 어머니와의 의사소통, 아버지와의 의사소통 순으로 여학생의 학교생활 부적응에 인과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청소년의 학교생활 부적응에 남학생의 경우 학교계열, 여학생의 경우 외현화 행동문제가 가장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aims at determining if adolescent’s school life maladjustment varies by gender and school type and at discovering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communication with parents, self-esteem, and behavior problems on their school life maladjustment according to gender among eleventh-graders.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problems were made. 1. Does adolescent’s school life maladjustment (in relation to) relations with teachers and peers, school activities, rule observance, dating) vary by gender and school type? 2. How do channels to adolescent’s communication with parents concerning school life maladjustment, self-esteem, and behavior problems (externalized or internalized behavior problems) differ by gender? 623 eleventh-graders from four high schools in Busa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instrument consisted of adolescent’s school life maladjustment scale, adolescent-parents communication scale, self-esteem scale, behavior problem scale, and questions about backgrounds. A prior research was conducted before this study; 623 copies were finally used for data analysis. Two-way ANOVA,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d path analysis were carried out using the SPSS/WIN version 10.0 program. The main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oys showed higher maladjustment than girls in relations with teachers, rule observance, dating, and overall school life.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showed higher maladjustment in relations with teachers and peers, learning activities, rule observance, dating, and overall school life than academic high school ones. Maladjustment in learning activities was higher among girls than boys in academic high schools but higher among boys than girls in vocational high schools. Maladjustment in school life was higher among girls than boys, which was more remarkable in vocational high schools than in academic high schools. Second, immediate causes of adolescent’s school life maladjustment vary by gender. On the male part, school life maladjustment was higher with more externalized behavior problems, among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than academic high school ones, and with more dysfunctional communication with mother. Here, types of school caused their school life maladjustment through communication with mother and externalized behavior problems while communication with mother through externalized behavior problems. On the female part, school life maladjustment was higher with more externalized behavior problems and among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than academic high school ones. Here, self-esteem caused their school life maladjustment through externalized behavior problems while communication with mother and father through self-esteem and externalized behavior problems. Third, school type had the greatest effect causally on school life maladjustment among boys, followed by externalized behavior problems and communication with mother. External behavioral problems had the greatest effect casually on school life maladjustment among girls, followed by school type, self-esteem, communication with mother, and communication with father. As such,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adolescent’s school life maladjustment is school type for males and externalized behavior problems for girls.

      • 고등학교 교과서에 나타난 [춘향전]의 교육내용과 소규모 학습방안 연구 : 7차 국어문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손민경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고전 문학 중에서도 특히 <춘향전>은 우리가 너무나도 흔하게 접할 수 있는 작품 중의 하나다. 그만큼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을 받아 왔으며, 공감을 불러일으킨 작품이다. 고등학교 교과서에서도 1차 교육과정에서부터 6차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한 번도 빠짐없이 실려 춘향전을 교육해 오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그만큼 춘향전이 문학 교육적 가치가 크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실제 수업현장에서 학생들을 지도하다 보면 춘향전이라는 작품은 새로운 흥미 거리를 제공하는 작품으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고 있다. 이미 식상해버린 작품으로 취급되기 일쑤이며, 교사들 또한 춘향전 작품에 관한 많은 연구 성과들에도 불구하고 체계적이고 진취적인 학습보다는 자습서 내용이나 몇몇의 논문 내용을 단편적인 지식으로 소개하는 정도에 그치고 마는 경우가 허다하다. 고전 문학이 이처럼 경시되고 있는 이유는 지금까지 고전 작품에 대한 지도가 도덕적 교훈을 강조한 나머지 올바른 윤리적 가치를 고취시킨다는 목적 하에 주입식으로 교육되어 온 것과, 어렸을 때부터 많은 동화 작품들에서 작품의 본질적인 내용보다는 표면적이고 지엽적인 내용들이 확장되면서 고전 문학은 도덕, 윤리적인 것이라는 선입관이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도덕적 관념의 강조가 고전 작품을 고리타분하고 재미없는 작품으로 받아들여지게 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학생들은 고전 작품을 스스로 찾아 읽기보다는 시험이라는 의무감에서 혹은 교과서에 나와 있으니까 마지못해 학습에 참여하는 피동적인 자세로 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고는 이렇게 따분하게 인식되고 있는 고전 작품을 어떻게 하면 좀더 흥미롭고 가치 있는 것으로 현대에 되살려서 교육할 수 있을까하는 고민을 하며, <춘향전>이라는 작품을 통해 이것을 살펴보려 한다. 국어 교과서와 문학 교과서에 실려 있는 <춘향전> 의 교재수록 현황을 살펴 중요한 학습 요소를 추출하고, 그에 따른 교수-학습 지도안을 작성하여 실제수업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학생들로 하여금 우리 문학에 보다 많은 관심을 갖게 하고 판소리계 소설에 나타난 미적 가치는 물론 언어의 지식과 활용에 있어서도 훌륭한 문화유산임을 확인할 수 있게 하고자 한다. Among many classical literature works, Choon Hyang Jun, in particular, is the one we encounter the most. So many people love it, and many others feel sympathy for the story. In senior high textbooks, Choon Hyang Jun never failed to include itself from the 1st education process to the latest 6th education process. Such facts indicate that Choon Hyang Jun has a significant educational value in the field of literature. But, as you teach students in real-life, you can easily realize that Choon Hyang Jun has lost it's ability to bring in new interests as a piece of work. Too many have become sick of it, and most of the teachers are teaching students the same aspects and facts about the work over and over again, despite the fact that many new and different studies were made of it. The curriculum is not progressive nor systematic, just briefly introducing the most well known thesis, or just teaching by textbooks. Classic literature is treated lightly, because the moral lessons in classic literature were so greatly emphasized that it was "taught" before a student actually got to "choose" it and read it as literature by itself, thus making the students think that classic literature is something to be studied and memorized rather than to be read and enjoyed. Every other person may have different impressions and sentiments when reading a piece of work, but classic literature is being taught before the students actually get a chance to "feel" it. It's not considered as literature, just as something to be studied and memorized for exams. This thesis is about finding a method to change the "boring and dead" recognitions on classic literature and bring it back to "life" in this modern world, letting scholars feel new interest in this field. Choon Hyang Jun, the most popular and well known, is chosen as the specific work to find a way to make the resurrection possible. I extracted the essential teaching elements by surveying various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teaching materials, establishing teaching plans that could be applicable in the real-world classrooms. I strongly hope that I could contribute in bringing about new interests on classic literature, understanding the beauty of Pansori Novel, as well as realizing the value of classic literature as an important cultural heritage, showing us how language could be so beautifully carved and applied in literature.

      • 관광스타트업 기업의 성장과 투자금융의 역할

        손민경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스타트업은 급진적 변화를 촉진하고 특히 새로운 제품이나 서비스를 개발하는데 집중할 수 있고 시장에서의 소비자의 요구를 예측하는데 강점을 가지고 있다. 결론적으로 산업의 지속 가능하고 포용적인 성장을 위한 원동력으로서 혁신적인 관광스타트업에 대한 자금 조달 및 투자가 더욱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해 큰 타격을 입은 산업 중에서도 독보적인 것이 여행·관광 분야다. 팬데믹에 세계 여행은 고사하고 국내 여행조차 쉽지 않아졌다. 코로나19로 촉발된 해외여행 제한 및 사회적 거리두기 관행의 결과로 관광 산업에서도 디지털 전환의 가속화를 목격했다. ‘새로운 경험 그 자체가 가치가 되는’ 관광 분야에서는 더욱이 팬데믹으로 인한 소비자의 기호와 요구를 해결하려고 노력함에 따라 관광산업에서도 디지털 생태계로의 체질 변화가 가치사슬 전반에 걸쳐 진행되면서 디지털화는 더 빠른 속도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발맞춰 본 연구는 국내 관광산업에서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는 관광스타트업의 투자 유치 수준과 현황을 탐색적으로 이해하고 개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관련된 데이터의 수집·분석은 점차 중요해지고 있는 문화·관광 정책 수립에 있어서 보다 체계적으로 시행하도록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궁극적으로 관광스타트업이 성장 및 혁신을 하는데 투자·기술 금융의 역할과 중요성을 강조하고 그동안 부족했던 실증적 증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Startups promote radical change, can focus particularly on developing new products or services, and have strengths in anticipating customer needs in the market. Investment financing in innovative tourism startups are becoming more important as a driving force for the sustainable and inclusive growth of the industry. Among the industries that have hit hard by COVID-19, travel and tourism are unique. In the pandemic, even domestic travel, let alone world travel, has become difficult. As a result of COVID-19 spurred international travel restrictions and social distancing practices, the tourism industry has also witnessed an acceleration of digital transformation. In the field of tourism, where new experience themselves are valued, as efforts are being made to address consumer preferences and demands caused by the pandemic, digitalization is becoming more rapid as the nature of the tourism industry shifts toward a digital ecosystem throughout the value chain. In line with the needs of the times, this study aims to provide an overview and exploratory understanding of the level and current status of tourism startups that are rapidly developing in the domestic tourism industry. In addition, it can be expected that the aggregation, manipulation and analysis of related data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more systematic implementation in the establishment of cultural and tourism policies, which are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Hence this study ultimately emphasizes the role and importance of investment and venture finance in the growth and innovation of tourism startups and aims to present empirical evidence that has been lacking so far.

      • 감정표현불능증에 대한 영화치료프로그램의 효과 : 비전캠프에 참가한 병사들을 대상으로

        손민경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비전캠프에 참가한 병사들을 대상으로 감정표현불능증 감소를 위하여 영화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충청남도에 위치한 비전캠프에 참가한 군부대 병사들 중 감정표현불능증 점수가 49점 이상인 병사를 실험집단에 20명, 대조집단에 10명 통제집단에 20명씩 배정하였고, 처치전후에 사전, 사후, 추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에는 영화치료 프로그램이 실시되었고, 대조집단에는 사이코드라마가 실시되었으며, 통제집단에 대해서는 아무런 처치를 가하지 않았다. 영화치료 프로그램은 8회기로 구성되었으며 각 회기별 120분씩 1일 4회로 2일간에 걸쳐 실시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 여부와 지속성을 확인하기 위해 사후 시점과 추후 시점에서 사전점수를 공변인으로 하는 공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사후 시점에서 영화치료 프로그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감정표현불능증 감소에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으며, 사이코드라마와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추후 시점에서도 유지되었다. 연구결과에 대한 이론적 논의와 상담실제에서의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 영재교육 담당교원 직무연수에 관한 연구

        손민경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식 활용방법을 아는 것보다 활용 가능한 지식을 생산해 내는 것이 더 중요한 시대를 앞두고 교육의 수월성에 대해 자주 언급하고 있다. 그러면서 영재교육의 필요성 또한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영재교육을 이끌어갈 담당교원의 직무연수 분석을 통해 직무연수 연수자 현황은 어떠한지, 직무연수 프로그램은 어떠한지, 그리고 직무연수의 개선점과 영재교육 전반에 관한 개선점은 무엇인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조사연구는 K기관 주관 영재교육 담당교원 직무연수에 참여한 연수자 367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처리하였다. 자료분석을 통해 밝혀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영재를 지도하고 있거나, 앞으로 지도할 가능성이 높은 연수자들 중엔 석·박사 학위 소지자가 상당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교직경력이 10-20년 사이인 연수자가 가장 많았으며, 현재 영재를 지도하는 연수자는 전체의 30% 정도였다. 이들은 수업활동에서 있어서 스스로의 역할에 대해 연구원, 과학자, 교수, 예능가 등 전문가로 인식하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둘째, 직무연수 프로그램에서 실습·분석·사례제시 등 학교현장에 직접적으로 이용 가능한 수업은 높은 호응을 얻은 반면, 이론에 치우친 수업에 대해서는 기피하는 경향이 강했다. 수업현장 참관, 영재아 면담, 모의수업, 심화과정 등을 추가되어야 하는 강의로 손꼽았다. 연수에서 얻고자 기대한 것과 얻은 것은 영재판별도구, 영재교수-학습자료, 영재에 대한 이해, 영재교육정책방향 등이었으며, 대체로 일치하였다. 셋째, 영재수업 참관 기회부여, 이론보다 실습위주의 프로그램, 심화과정 개설, 지필고사 지양, 지역별 토의시간 마련 등을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건의사항으로 제시하였다. 연수 운영 및 지원에 대해서는 지역을 고려한 반배치, 연수일정 사전공지, 연수교재 사전배포 등을 건의하였다. 넷째, 영재교육 담당교원으로서 바라는 우대조치로는 성과급 지급, 수업감면, 승진가산점 부여, 해외연수기회부여 등이 있었다. 영재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것으로는 개방적 분위기, 도전정신, 다양한 경험, 교사능력 등을 손꼽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영재교육 담당교원이 충분한 자격을 갖추기 위해서는 연수자 선정과정에서부터 엄격한 기준이 적용되어, 정말 필요한 교원이 연수를 받도록 하는 체계가 마련되어야 하겠다. 또한, 형식에 치우쳐 이론만을 나열하는 연수보다는 교원 중심의 내실있는 연수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교원에 대한 충분한 보상이 이루어져서 우수 인력을 확보할 수 있는 체계가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The easiness of education is being often mentioned in the era when it is more important to develop knowledge that is able to be utilized than know the way of knowledge utilization. Then the need of gifted education is being raised in these day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alize a trainees' present status in the training program, a management state in training program, and an improvement in the training program and gifted education. The research subjects of this study are the 367 trainees who attend the training program on gifted education.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so as to analyze frequency and to test the significance of differences through one way ANOVA with SPSS-PC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turned out that there are a lot of master's degree, doctor's degree holders among the trainees, who are coaching and will coach the gifted. Most of trainees are what have the teaching experience between 10 and 20 years. The trainees who coach the gifted at the present are occupied 30% of the whole. It apparently also turned out that they acknowledge their role as researchers, scientists, professors, and artists. Second, the trainees are interested in practical lecture, which can utilize on the spot, such as practice, analyzing, and case study. Otherwise they tend to avoid theoretical lecture. The nominated lessons, which should be added, are an interview with the gifted, a Visit of Class, enrichment Process, and simulation etc. What they expected to aid and aided in practice from the training program are policies of gifted education, comprehension on the gifted, resources of teaching-learning. Third, what the trainees requested are strengthening the practice on training program, setting up enrichment course, keeping away from writing test, providing a discussion time, providing opportunity of attendance in gifted class. It was also suggested the classifying in regard with region, informing training program schedule in advance and distributing a textbook in advance. Fourth, the prefential treatments which the trainees request on a point of gifted teachers are payment of piece rate, reduction of school work, allowance of promotion score, allowance of oversea training opportunity. What are the most important on gifted education are open mood, challenge spilit, various experience and teachers' capability. Though these results, the system that can provide a training program to only appropriate teachers must be established, as the strict standard have to be applied. And the substantiality of teachers centered rather than formality are necessary as well. Finally the system that can support enough compensation must be established in order to attract a brilliant human resources.

      • 무용전공자의 완벽주의성향이 자기관리 및 공연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손민경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무용전공자의 완벽주의성향이 자기관리 및 공연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완벽주의성향, 자기관리, 공연성취도를 분석하고, 완벽주의성향이 자기관리, 공연성취도에 어떠한 상관성과 영향이 있는지 규명하는 데에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과 대구 지역에 소재한 예술고등학교와 4년제 대학교에 재학중인 무용전공자, 서울에서 무용을 직업으로 가지고 있는 사회인들에게 총32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회수하였고, 회수된 설문지 중 불성실하게 응답하였거나, 조사내용 중 일부가 누락되어진 무성의한 자료 11부를 제외한 총 309부의 설문지를 최종적으로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빈도분석,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을 위한 요인분석, t-검정, 일원변량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 변인에 따른 완벽주의성향, 자기관리, 공연성취도의 차이에서 성별, 연령, 전공, 경력, 공연횟수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무용전공자의 완벽주의성향에 따라 자기관리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대인관리와 훈련관리에서는 자기지향, 정신관리와 몸관리에서는 자기지향, 사회지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무용전공자의 완벽주의성향에 따라 공연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신체적성취도와 심리적성취도, 기술적성취도 모두 자기지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기관리와 공연성취도의 영향관계를 규명한 결과 신체적성취도에서는 대인관리와 정신관리, 훈련관리에 영향을 미치고, 심리적성취도에서는 대인관리와 훈련관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기술적성취도에서는 대인관리와 훈련관리, 몸관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 메세나 활동이 기업이미지 형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전통음악극과 대중음악극을 중심으로

        손민경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제 문화예술은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원동력이자 시대를 이끌어갈 원 천으로 주목받고 있다.그러나 일찍이 보몰과 보웬의 연구에서 지적되었듯 이 문화예술이 가진 경제학적 한계로 인해 시장에서의 자생력이 부족한 것 이 사실이다.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을 위해 공공지원이 많은 부문에 걸쳐 이뤄지고 있으나,공무원의 비전문성과 지원금 분배의 불균형 등 정부 지 원의 문제점이 드러나기 시작하였다.따라서 민간부문의 지원이 주목받고 있으며,개인 후원문화 정착이 미흡한 국내에서는 특히 기업의 문화예술 지원 활동인 메세나가 기업의 사회공헌 의무화와 함께 더욱 각광받고 있 다.국내에서도 1994년 한국메세나협의회 설립 이후 꾸준히 메세나 활동이 이어져 오고 있으며,외부의 영향을 많이 받던 과도기적 시기를 지나 2003 년부터는 비교적 안정된 지원규모를 보이기 시작했다.그러나 지원 분야에 있어서 미술전시와 서양음악,인프라 부문에 70%이상이 편중되는 문제점 을 안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뮤지컬을 필두로 최근 커지고 있는 국내 공연예술 시장 에 주목하고 대중음악극과 전통음악극에 대한 지원이 기업이미지 제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내의 공연예술 시장 현황을 분석하여 그 규모와 문제점, 발전 가능성을 살펴보았다.또한 국내의 메세나 현황을 분석하여 지원 동 기와 지원 규모,지원 분야별 편중성 정도를 파악하였다.이를 바탕으로 기 업의 이미지 제고에 있어 문화예술에 대한 지원활동인 메세나가 긍정적 영 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하고,실증적 연구를 위한 연구변인과 가설을 설정 하였다.연구 방법은 자기기입식 설문조사 방식으로 이뤄졌으며,뮤지컬과 창극을 관람한 경험이 있는 관람객을 대상으로 실시한 후 T-test와 일원변 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선호도에 있어서 대중음악극인 뮤지컬이 전통음악극인 창극보 다 높게 나타났으나,메세나활동인식과 기업이미지 평가는 전통음악극인 창극의 경우에 높게 나타났다.이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비즈니스 행위요 인 평가의 경우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사회적 행위요인 평가 와 지역사회공헌 행위요인 평가에 있어서 전통음악극인 창극의 경우에 더 높게 나타났다.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기초(순수)예술지원 활동을 통해 기업은 높은 기업이미지 제고 효과를 기대해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문화예술 발전을 도모할 기초(순수)예술에 대한 지원으로 기업 메세나의 공정하고 균등한 지원 정착과 이를 통한 문화예술계의 발전,국민의 문화 예술 향유 기회 확대라는 선순환 구조가 확립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위해서는 ‘메세나활동 지원에 관한 법률안’을 통한 조세 혜택과 함 께 국·공립 공연장의 ‘창작예술쿼터제’도입 등 정책적 지원 역시 함께 이 뤄져야 하겠다. 문화예술계와 메세나 지원을 하는 기업 모두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정확한 대상의 선정과 체계적인 기획으로 메세나 활동을 지속한다면,보다 발전되고 안정된 문화예술 지원이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 배식장소에 따른 서울지역 초등학생의 급식위생 만족도 조사

        손민경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교실배식과 식당배식에 따른 급식 만족도를 분석하기 위해 서울 소재 교실배식 2개교 256명과 식당배식 2개교 224명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2009년 12월 12일부터 12월 18일까지 설문지를 이용하여 실시되었다. 조사항목으로는 급식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 급식음식, 급식환경, 급식위생, 개인위생 수행도에 관한 만족도였고, 급식위생에서는 음식위생, 배식담당자(급식당번·조리종사원) 위생, 급식장소(교실·식당) 위생, 기구 및 설비위생에 관한 만족도였다. 학교급식 전체 만족도와 급식장소에 대한 만족도는 식당배식이 교실배식보다 높았으며 선호하는 급식장소로는 식당으로 나타났다. 학교급식 위생의 중요성은 전체적으로 매우 높게 나타나 급식의 위생을 중요하게 생각함을 알 수 있었다. 학교급식의 가장 중요한 사항으로는 ‘위생적이고 안전한 음식’, ‘음식의 맛과 양’, ‘식단의 다양성’ 순으로 나타났고, 위생에 있어 가장 중요한 사항은 ‘음식의 청결성’ 으로 나타났다. 급식 불만사항 발견 시 대처방법으로는 교실배식과 식당배식 학생 모두 ‘담임선생님께 건의’ 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배식장소별로 급식음식의 만족도는 음식(맛, 양, 온도, 다양성)의 항목인 ‘밥’, ‘국’, ‘반찬’에 대해 식당배식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고, 급식환경의 만족도 항목인 ‘급식시간의 정숙성’은 교실배식이 높게 나타났으며 ‘급식 양 부족시 신속성’은 식당배식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급식위생의 만족도는 ‘음식위생’, ‘배식담당자(급식당번·조리종사원) 위생’, ‘급식장소(교실·식당) 위생’, ‘급식 기구 및 설비 위생’의 모든 항목에서 식당배식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배식담당자의 ‘복장의 청결성’ ‘위생복과 위생장갑의 착용’ ‘배식시 음식을 흘리지 않음’ ‘배식 중 대화 하지 않음’에 대해서는 조리종사원이 배식하는 식당배식이 학생들이 직접 배식하는 교실배식보다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p<0.01) 급식장소 위생의 ‘교실(식당)의 청결성’ ‘책상(식탁)&#8228;걸상(의자)의 청결성’, ‘유해곤충 없음’ ‘환기와 통풍 잘됨’ ‘냉·난방시설 잘됨’에서도 식당이 교실보다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p<0.001). 이러한 결과는 급식의 환경과 위생적인 면을 볼 때 식당이 급식하기에 적합한 장소임을 알 수 있어 식당으로의 전환과 확대가 필요하겠지만 현재 여건상 어려운 점이 있으므로 교실배식에서는 쾌적한 환경과 위생적인 급식이 될 수 있도록 환경조성과 배식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위생지도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In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rom Dec, 12, 2009 to Dec 18, 2009 for 256 elementary students from 2 schools located in Seoul, where classroom meal service is applied, and 224 students from 2 schools of same location, where diningroom meal service is applied, to analyze the satisfaction on the meal services between the classroom meal service and the diningroom meal service using questionnaire. The survey articles asked questions on the satisfactions of the overall perception of the meal service, the food, the meal service environment, the sanitation of meal service and the performance of personal hygiene, and for the meal service sanitation, they asked questions on the satisfactions of the food hygiene, serving assister hygiene, the sanitation of place for meal service (classroom and diningroom), the sanitation of utensil and facilities. It represented that the satisfaction on the diningroom meal service was higher than that of classroom and showed that they preferred the diningroom for the place for meal service. It showed that they place importance on the sanitation in the school meal service, as they represented high in the overall questions. As the most important matters in the school meal service, The hygienic and safe food, "the taste and quantity of the food" and 'the variety of the menu' were indicated in order and the 'cleanliness of the food' was indicated as the most important matter. When there is complaint on the food, they mostly answered 'to suggest to class teachers' as responding measure in both classroom meal service and diningroom meal service. As to the satisfaction on the food by the place for meal service, the diningroom meal service represented high satisfaction in the 'rice','soup' and 'side dishes' which are articles in the category of the food (taste, quantity, temperature and variety). The 'quietness during meal service', the article of the meal service environment category, represented high in the classroom meal service. The swiftness when food is shorted represented high in the diningroom meal service. As to he satisfaction on the sanitation of meal service, the diningroom meal service represented high in all the articles of 'the food hygiene', 'serving assiser hygiene', 'the sanitation of the place (classroom and diningroom) for meal service' and 'the sanitation of the utensil and facilities'. Especially in the articles of 'cleanliness of serving assiser', 'wearing sanitized gown and gloves', 'do not spill food during meal service' and 'do not talk during meal service', high satisfaction represented in the restaurant meal service (p<0.01), and regarding the 'cleanliness of classroom(diningroom)', 'the cleanliness of desks (tables) and chairs(seats)', 'No noxious insects found', 'well ventilated' and 'well equipped with heating and cooling systems', the satisfaction was high in the restaurant than in the classroom (p<0.001). Sinc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diningroom is more adequate place for meal service in the aspects of meal service environment and the hygiene, it requires to change and expand to diningroom meal service, but as currently there are lot of difficulties under the circumstance, it is deemed to be necessary not only to build the pleasant environment and hygienic meal service but also sanitation guidance for the students attending food distribution.

      • 홈쇼핑 방송영상에서 자막에 대한 시청자의 시각적 주의 : NS 홈쇼핑을 중심으로

        손민경 홍익대학교 영상·커뮤니케이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홈쇼핑 방송에서의 자막은 시청자들이 홈쇼핑 방송을 시청하며 제품을 구매할 때 시각적으로 상품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수단 중 하나이며 홈쇼핑 방송화면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하지만 그 중요성에 비해 자막에 대한 평가는 그리 좋지 않은 실정이었다. 최근 학계에서는 홈쇼핑 자막에 대해 다방면으로 연구하고 있지만, 결과에 대한 데이터가 부족하거나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형태의 자막을 실험 자극으로 이용하지 못하는 연구, 혹은 홈쇼핑 자막을 연구했다기보다는 화면 전체의 레이아웃이나 연출 방법 등과 관련된 연구가 대다수였고, 홈쇼핑 자막을 연구한 관련 논문도 많지 않았다. 또한, 기존 홈쇼핑 자막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 가독성 및 선호도에 관한 설문연구가 대부분이라 객관적 데이터를 알기도 어려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홈쇼핑 자막에 대한 객관적 데이터를 얻어 시각적 주의가 높은 자막의 형태를 알아내기 위해 시선 추적 기법을 활용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로 인해 홈쇼핑 자막에 대한 시각적 주의가 어떠한 요인에 따라 높아지고 낮아지는지를 추정할 수 있었다. 홈쇼핑 방송 영상에서 자막에 대한 시청자의 시각적 주의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가 무엇인지 알아내기 위해 홈쇼핑 방송 영상을 피실험자에게 시청하게 한 뒤, 아이트래커로 시선을 추적하여 홈쇼핑 방송자막의 시각적 주의가 높은 자막을 탐색해 군집분석 및 유형화를 진행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따로 가설을 세우지 않았는데, 이는 홈쇼핑 방송의 특성상 화면 내에서 너무 많은 변수가 존재하고 있으며 실험 결과가 어떠한 변수 때문인지 확인이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실험은 2020년 8월 30일 NS 홈쇼핑에서 방송된 삼성 청소기의 방송 영상을 12초 이하로 편집하여 총 18개의 영상으로 진행하였다. 총 14명의 인원이 실험에 참여하였으며 아이트래커인 Tobii Pro X2-30로 피실험자의 Gaze Point의 XY 축을 Microseconds로 출력해 그 하나하나의 값을 비계층적 군집분석으로 분석하였다. 군집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방송자막에 집중된 군집을 AOI로 설정하여 군집을 이루고 있는 Gaze Point의 개수가 700개 이상인 영상과 200개 이하인 영상이 어떠한 특성을 보이는지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하나의 요인만으로 홈쇼핑 자막에 대한 시각적 주의가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요소가 복합적으로 영향을 끼치고 있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자막의 형태는 복잡한 것보다는 단순한 형태의 자막에 시각적 주의가 높게 나타났으며, 내용은 가격정보일 경우 자막에 대한 시각적 주의가 가장 높았고, 프로모션의 경우 자막에 대한 시각적 주의가 가장 낮았다. 영상의 내용은 쇼핑호스트 설명 영상이 자막에 대해 시각적 주의가 가장 높았으며, 시연 영상일 때 자막에 대한 시각적 주의가 가장 낮았다. 총 응시시간도 시각적 주의에 영향을 끼쳤다. 영상이 플레이되는 시간에 따라 점차 피실험자들의 자막에 대한 시각적 주의가 떨어지는 경향이 보였다. 또한, 영상의 내용이 같은 앵글로 한곳을 계속해서 비추거나, 영상의 내용이 변화가 없을 때 자막에 대한 시각적 주의가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영상에서 시선을 가장 많이 끄는 피사체가 움직이는 방향 또한 자막의 시각적 주의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 중의 하나로 보인다. 본 연구는 시선 추적장치를 이용하여 자막의 시각적 주의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들을 분석하고 홈쇼핑 자막의 효과적인 제작 방법과 연출 방법을 제안했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그동안 연구가 미미했던 분야인 홈쇼핑 자막의 시각적 주의가 어떠한 요소들에 의해 변화하는지를 알아냈다는 것이 가장 주목되어질 만한 결과라고 생각한다. 본 연구가 홈쇼핑 자막의 제작 및 연출 방법에 도움이 되며, 앞으로의 홈쇼핑 자막 연구에 초석이 되기를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