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해상운송인의 책임에 관한 연구 : 한·중 양국 해상법을 중심으로

        손림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With today's economic globalization and the development of electronic technology, the sophistication of the delivery of services are being conducted. Adelivery capacity of the country's maritime security to ensure that an important part of is also a comprehensive national strength. The trade between Korea and China is increasing rapidly and the two countries have become each other’s the government and people of the two countries work hard together, the bilateral relations are developing rapidly and they have made great success. Because of the expansion of the trade scale between the two counties, it is reality that the mutual exchange is increasing rapidly. The mojority of trade is completed by shipping and the quantity if goods by shipping is also increasing. And sea transport associated laws, the most basic laws known as maritime law, legal disputes associated with the core part of the compensation related to maritime carriers' liability and delivery of material damage. This paper studied on the carrier’s liability under the Korea and Chinese maritime law, and made an analysi sof the carrier’s liability, the subject of liability, the basis of liability, the limitation of responsibility and made a comparison on the carrier’s liability under maritime law in Korea and Chin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few notes about the carrier’s liability for the Korean exporter or importer who uses the vessel to trade with the China which is a great potential parter of Korea in shipping and trade and to prevent misunderstanding and dispute between the parties concerned in the trade.

      • 한국의 전자정부 설립, 경험 및 시사점

        손림 광주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Economic Globalization and Information Globalization not only changed the political and economic fabric of society, but also brought out the brand new environment of Government Governance, and raises new challenges to governments around the world. Against this background, in order to improve the administrative efficiency and promote the government management information, Electronic Government construction, which can realize government's management and service functions, has already become important reform measures of perfecting the existing government management and enhancing government competitiveness. For the traditional bureaucratic system, E-government is not only a new concept, but also a new pattern of the government management. E-government must foster transparency, transform the functions of government, and improve administration efficiency and public services. E-government is the inevitable consequence of information technological progress and rational choice of government reengineering. It is of great social importance and economical to Government philosophy and future directions, functions, organization and operation mode. E-government gives a pushing effect on constructing a service-oriented government, and provides advanced management method for realizing service-oriented government. Since 1980s, Korea constantly advances information construction. The improvement of the government's administrative efficiency and the quality of public service are bound up with the process of E-government construction. On basic of powerful informatization infrastructure construction, Korean E-government has made considerable progress by the local government encouragement in recent years. The successful experiences of Korean E-government provide useful substantiation for government public management. In the construction of E-government, the starting points of China and Korea are the same. But Korea built the E-government system as developed countries in Europe and America in a short time. The Korean E-government not only uses in improving the efficiency of government, operating transparency, improving the public service, and enhancing competitiveness, but also achieved outstanding results in establishing public service government system. “Advice from others may help us overcome our shortcomings”. China and Korea have very similar cultural roots and share similarities in traditional culture. The research on the model and experiences of Korean E-government can be helpful for our government public management reform and construct E-government. The paper is mainly based on electronic government theory, gives some deep thinking on experience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E-government construction, and presents the basic thinking and political recommend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Chinese E-government, anticipating guide the practical work. First the paper introduces the background of the mainly theory used in research, E-government theory. Through the research on the construction of Korean E-government since 1980s, this paper analyses and summarizes experience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E-government construction. It contains Korea attach great importance to E-government, Scientific planning, strategy of the implement, legislation and rules, Information infrastructure, etc. Through the analysis of Korean E-government successful experiences, the paper gives ideas and ways for Chinese E-government constriction, for example : establishing Full-time institution, improving legal regulation and enforcement of the law, reinforcing basic construc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Government Process Reengineering, innovating the mechanism of work process, strengthen the application of E-government, the whole society contribute to the building of the E-government, etc. But as the limited of time and scope, this paper still has some places to improve. The author will study further in future for the improvement.

      • 한국과 중국 일부 지역 대학생의 비만 체형에 대한 인지도 및 식생활 비교연구

        손림 가천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비만은 외형상의 문제뿐만 아니라 다양한 건강문제를 유발시키는 질병의 하나로 간주되며 2004년 세계보건기구(WHO)는 비만은 치료되어야 하는 질병으로 분류한 바 있다. 한국과 중국은 신체 활동량 감소와 서구화할 식생활로 인해 성인 비만 유병률이 증가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산동지역의 식사패턴은 쌀을 주식으로 하는 한국과는 달리 밀가루를 구성한 국수나 빵은 주식으로 하는 다른 식사유형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 지역에서 비만 발생 비율과 대사성 질환의 발병 가능성은 비교적 높다고 볼 수 있다. 대학생은 향후 사회 발전의 주력군이므로 대학생의 건강문제와 관련된 건강 식생활습관과 건강 체형에 대한 올바른 인식의 형성은 매우 중요하다. 한국과 중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건강체형에 대한 인지도가 부족하여 비만이 증가하나 일부 계층에서는 부분별한 체중 감량을 목적으로 한 무리한 다이어트 행동 또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건강을 향상시키기 위한 대학생 대상의 식생활 지도가 요구되며, 지도 후 관리 방향 설정을 위한 평가 연구도 절실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는 한국 대학생과 중국 대학생의 비만에 대한 인지도 및 건강관리에 대한 관심 실태를 파악하고 비교하여 인지와 식생활 사이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중국 대학생의 자신의 체형인지도와 건강 체중에 대한 관심 및 식생활을 조사하여 중국 대학생의 비만 예방을 위한 식생활교육의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 성남지역의 일부 대학생 120명(남 52명, 여68명), 중국 산동지역 대학생 120명(남 52명, 여 68명) 총 240명을 대상으로 대학생의 체격 및 체형, 성별에 따른 체형인식, 식생활 습관 및 행동, 성별, 국가에 따른 체중관리에 관련 내용, 가정사항 등에 의해 분석 비교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조사대상 대학생의 평균 연령은 21.3세이며 성별분포는 남자가 43.3%, 여자가 56.7%로 분포되었다. '가족과 함께 거주' 하는 한국 대학생은 중국보다 유의적으로 높았고, 집안 경제력에 대한 자가평가에서 한국과 중국 대학생 모두가 경제적으로 중류 이상 집단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다. 중국은 음답자가 형제가 없는 단일 자녀 가정이 많았으며 한국 대학생의 형제가 1명 이상인 비율이 높아 유의적인 차이가 관찰되었다. BMI의 양국 대학생의 집단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성별에 따라 평균 BMI은 한국과 중국의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유의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다(p<0.001). 과거 3년의 체중변화정도는 중국 대학생은 한국 대학생보다 과거 3년의 체중증가비율과 체중증가량이 유의적으로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BMI 판정기준을 적용한 결과, 저체중군인 증국 대학생의 비율이 한국 대학생보다 높았으며, 성별에 따라 분류, 한 결과 여학생의 저체중군의 비율이 남자보다 높게 나온 반면 남학생의 경우 과체중 비만비율이 여학생에 비하여 높게 나왔으나, 중국 남학생은 과체중 혹은 비만의 비율이 한국 남학생보다 유의적으로 많게 나왔다(p<0.005). 2.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이상 체형인지 정도에 따라 개인의 비만 정도의 관련성에 대한 분석 결과, 여학생은 정상체형을 건강 체형으로 인지하는 비율이 남학생보다 높았으며, 남학생의 경우 이상 체형은 다소 통통한 유형을 건강 체형으로 인지하는 비율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정상체형과 마른 체형을 희망체형으로 원하는 여학생의 비율이 남학생보다 높았고, 이에 비하여 남학생은 과체중이나 비만 체형을 희망체형으로 원하는 비율이 여학생보다 높았다. 중국 남학생은 과체중 및 비만체형을 희망체형으로 답하는 비율이 한국보다 높았으며, 한국 여학생은 마른 체형을 희망체형으로 응답하는 비율이 중국대학생보다 높았다. 이 결과로 볼 때 중국 대학생은 한국 대학생에 비하여 선호 체형 유형이 저체중보다 과체중 체형을 선호하는 경향을 나타낸다고 사료되었다. 3. BMI 판정 기준에 따른 체형인식의 분석 결과, 과체중군인 대학생은 28.0%가 실제 체형을 보다 더 비만 체형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러한 경향은 한국 대학생의 35.7%가 판정 응답하였으며 중국의 경우 18.2%가 응답한 비율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조사되었다. 비만군 대학생의 55.5%가 자신 실제 체형에 비하여 더 날씬한 체형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고 특히 중국 대학생의 경우 66.6%가 이런 경향을 나타내어 한국의 41.7%보다 높는 것으로 조사되었다(p<0.001). 비만군은 건강 체형에 대한 더 비만한 체형을 인식한다고 조사되었으나 특히 중국 대학생은 36.4%가 한국 대학생의 7.1%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비만인 대학생은 정상체형보다 더 비만한 체형을 희망하는 높은 경향이 나타났다(p<0.001). 이에 과체중 비만인 대학생의 경우 정상 체형에 대한 인식이 정상군이나 저체중군에 비하여 더 부족한 경향을 보았으며 한중 대학생 간에도 비만체형에 대한 인지도에 차이가 있었다. 4. 한국과 중국 대학생간에 비만을 유발할 수 있는 식생활행동에 대한 분석 결과, 중국 대학생의 식습관이 한국보다 바람직한 것으로 평

      • <춘향전>과 <옥당춘락난봉부>·<두십낭노침백보상>의 기녀 인물에 대한 비교 연구

        손림 嘉泉大學校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중 고전소설에서 기녀 인물을 주제로 한 작품들이 적지 않다. 양국의 역사 흐름을 보면 봉건사회하에 여성의 사회적인 위치가 거의 하층 계급에 속하여 기녀 제도 산출되었다. 양국의 봉건 사회의 발전과 변화 과정에서 기녀들의 인물 형상은 문학 영역에서도 다양하게 표출되었다. 그래서 본 논문은 한국 고전소설 <춘향전>과 중국 고전소설집『경세통언(警世通言)』중에 있는 <옥당춘락난봉부(玉堂春落難逢夫)>, <두십낭노침백보상(杜十娘怒沈百寶箱)>을 대상으로 삼아 기녀 형상에 대한 비교연구를 진행하였다. 세 작품은 다 기녀 인물을 위주로 전개된 우수한 작품이다. 기녀 제도를 전제로 한국 조선 시대의 <춘향전>과 중국 명나라 시대의 <옥당춘>, <두십낭>은 가까운 시대에 있는데, 세 작품에서 기녀 인물에 대한 묘사가 과연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을지 비교문학적 방법으로 구체적으로 알아보았다. 먼저, 세 작품 중 기녀 형상의 창작배경을 살펴보고 비교하였다. 작품의 창작 의도를 주재하는 직접적인 원인은 바로 당시의 사회배경이라고 생각한다. 사회의 형태와 각종 제도 등 사회 요소가 민중들이 어떤 모양으로 살 것이냐를 결정하기 때문이다. 기녀는 사회의 최하층에 위치하였으며 제일 민감하고 사회 대표성을 독자적으로 갖추고 있다. 세 작품의 여주인공은 다 기녀 신분이며, 춘향의 어머니인 월매는 퇴기이고 옥당춘과 두십낭의 기생어미들도 기녀의 신분이라서 춘향과 옥당춘, 두십낭의 기녀 형상에 대해서 비교 연구를 하며 월매와 옥당춘, 두십낭의 기생어미들과의 비교도 본격적으로 진행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세 작품 중에 기녀 형상을 최대화하여 표현할 수 있는 외모, 성격, 사회적 지위, 의식 및 사상에 대한 여러 가지 서술과 묘사를 통해 많은 측면에서 각자 비교하고 분석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마지막 장에 들어가서 비교 결과를 총괄하여 <춘향전>과 <옥당춘>, <두십낭> 중에 있는 기녀 인물 형상의 비교 내용에 대해서 결론적으로 총정리를 진행하였다. 본 논문을 통해서 비슷한 시기의 한·중 양국은 이 특별한 여성 집단의 특별한 인물 형상들은 양국의 문학 작품에 드러난 상사·부동을 지니고 있다는 것을 알아보았으며 봉건사회하의 한국과 중국은 여성에게 직접적인 반영한 기녀 제도에 대하여 다시 문학적인 각도에서 기녀 인물의 형상을 관찰하여 비교 연구를 응용해서 자세히 살펴보았다.

      • 형태집중을 활용한 경어법 교육 연구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대상으로

        손림 경희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15

        This thesis has been written based on a test taken by Chinese students who are learning Korean. In the process of acquiring the usage of honorific form, the students will be able to learn how to analyze the errors while using it. Through the practice of focus on form education, I plan to use focus on form as my aim, which is to present ways of teaching honorific words effectively. This research has been done to consider the use of honorific form via a lesson plan which is based on three tests, an exam paper and the input enhancement, output enhancement, consciousness-raising intensive education method. The input enhancement, output enhancement, consciousness-raising intensive education was enforced for those Chinese students who didn’t have any progress. Chinese students learning Korean with a different learning period were used as a target. During this process, the usage of honorific form was considered. Through the immediate post-test evaluate not only was focus on form education’s instant effect discovered but also examined the education’s effect through 2 times delayed post-test. Through this test, I drew a conclusion that those students educated about focus on form made less error while using honorific form. On top of that, it was confirmed that the education offered by the input enhancement method has extremely positive effect than the other methods. The result of the delayed post-test proved that the delayed post-test’s errors were more than that of the immediate post-test. However, the Pre-test evaluate still has more errors than the delayed post-test. Out of the four groups, the input enhancement group’s continuation effect showed best results. Not only that the input enhancement method showed best result for learning Korean honorific form but also showed continuation effect. 본 연구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경어법 습득을 살펴보기 위하여 학습자들이 경어법을 습득하는 과정에서 생성하는 오류를 분석하고 이어서 학습자 그룹을 선정하여 입력강화와 출력강화 그리고 의식고양의 세 가지 형태집중 교육을 실시해서 그 효과를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본 연구는 경어법 사용을 고찰하기 위해 중국 D대학교에서 학습기간이 다른(1년 반, 2년 반, 3년 반) 학습자 각 30명을 선정하였다. 담화완성 테스트와 번역 테스트 그리고 오류수정 테스트를 개발하여 학습자들의 경어법 오류를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를 통해 한국어 학습자들이 경어법 학습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으며 경어법의 오류 분포 순서는 객체경어법> 인칭대명사> 주체경어법> 상대경어법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두 그룹 간의 통계 분석을 통해서 학습기간이 2년 반인 그룹2 학습자들이 경어법 사용에 유의미한 집단-간 발전이 보이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경어법 습득에 화석화를 보인 학습기간이 2년 반(그룹2)이 된 학습자를 대상으로 형태집중 교육을 실시하였다. 그 후에, 즉시사후시험, 1차와 2차 지연사후시험을 통해서 교육 효과를 살펴보았다. 입력강화 기법으로 교육된 집단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입력강화집단의 즉시사후시험 결과는 사전시험에 비해서 주체경어법, 객체경어법, 상대경어법과 인칭대명사에 있어서 오류 평균 수치가 훨씬 많이 떨어졌고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집단-간의 분석 결과를 보면 입력강화집단은 통제집단과 비교했을 때도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를 통해 입력강화 기법은 학습자들의 경어법 학습에 긍정적인 향상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1차와 2차 지연사후시험을 본 결과, 집단-내의 분석에서 모두 유의미한 결과가 있었고 통제집단과 비교했을 때는 1차 지연사후시험의 결과는 객체경어법을 제외한 주체경어법, 상대경어법, 인칭대명사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있었다. 그러나 2차 지연사후시험의 결과를 보면 상대경어법에만 유의미한 향상이 보였다. 즉 입력강화 기법으로 제공된 교육이 다른 기법을 비해 더 좋은 교육 효과를 보였으나 시간에 따라 지속 효과가 점점 떨어지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출력강화 기법으로 교육된 집단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즉시사후시험의 결과를 사전시험과 비교했을 때 주체경어법, 객체경어법, 상대경어법과 인칭대명사에 있어서 모두 오류 평균 수치가 떨었지만 유의확률은 상대경어법에만 나타났다. 즉 출력강화 집단은 상대경어법 학습에만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집단-간의 결과를 보았을 때 출력강화집단은 통제입단에 비해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입력강화집단과의 비교 결과에서는 인칭대명사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발생하였다. 또 의식고양집단과 비교했을 때 유의미한 향상을 보이지 않았다. 출력강화 기법은 경어법 학습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지만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출력강화 교육의 지속 효과를 알아본 1차와 2차 지연사후시험에서 출력강화집단은 사전시험과 비교한 결과는 상대경어법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집단-간의 통계 결과는 즉시사후시험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따라서 출력강화가 경어법 학습에만 긍정적인 발전이 충분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의식고양 기법으로 교육된 집단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의식고양집단의 즉시사후시험의 결과를 사전시험의 결과와 비교했을 때 주체경어법과 상대경어법에 오류 평균 수치가 많이 떨어졌고 이 것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집단-간의 결과를 보았을 때 의식고양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서 상대경어법과 인칭대명사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입력강화집단과 출력강화집단과의 비교 결과에서 주체경어법, 객체경어법, 상대경어법과 인칭대명사에 모두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의식고양 기법은 경어법 학습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인다 할 수 있었지만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었다. 두 차례의 지연사후시험에서 출력강화집단은 사전시험과 비교한 결과에서 즉시사후시험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주체경어법과 상대경어법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집단간의 통계 결과는 즉시사후시험의 결과와 달리 입력강화집단과 비교했을 때 인칭대명사에 유의미한 향상이 보였다. 따라서 의식고양 기법으로 제공된 교육은 어느 정도 경어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었다. 즉 세 가지 형태집중 교육 결과를 비효해서 입력강화 기법으로 제공된 교육이 한국어 경어법 학습에 긍정적인 효과 있고 지속 효과도 좋다. 본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들이 어려워하는 한국어 경어법의 오류 분포와 발달 단계를 검토하였고 아울러 경어법에 대한 형태집중의 교육 효과를 알아보았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그러나 연구가 통제된 테스트를 이용해서 측정한 것으로 학습자들의 실생활에서의 한국어 사용과는 차이가 있을 수가 있으며 또한 실험 대상자가 한 교육 기관에만 한정되어 있어서 본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있다. 그러나 진술된 한계점을 반영하여 실험 대상을 중국 각 지역의 학습자로 확대하여 학습자의 구어까지 수집 분석하는 연구가 진행된다면 더욱 정확한 진단과 교육 효과 분석을 기대할 수 있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