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IS(이슬람국가)에 대한 대안적 이해의 모색: 테러리즘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연구와 정성적 분석을 결합한 IS 공격 연구
손경호 한국치안행정학회 2019 한국치안행정논집 Vol.16 No.3
This study pursues an alternative understanding of Islamic State(IS)’ behavior combining quantitative and macro approaches using database and qualitative methods which have been adopted separately. The quantitative and macro approaches have been good at categorizing IS attacks precisely based on attack types, weapons, and targets using database, however these methods were not able to provide explanations and narratives of IS behaviors. In contrast, qualitative approaches have excellent capabilities to explain IS history from its creation and some of its major offensives, but lack interests in thousands of IS‘ attacks as well as large changes of IS behavior patterns. In this regard,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meaningful periods consisting of IS behaviors based on quantitative and macro approaches using a terrorism database, and to analyze IS intention and narratives of IS attacks relying on qualitative methods. For the terrorism database, this study employs Global Terrorism Database of University of Maryland, and for qualitative analysis the study focuses on local Arabic media reports. Since its declaration of the establishment of a state in June 2014, the IS conducted 3,408 attacks to the end of 2017, when IS practically stopped provocations. IS behaviors can be divided into three periods: thriving, decreasing, and perishing. In general, the IS mainly conducted explosive attacks against civilians in Iraq rather than Syria. However, it is noteworthy that IS actively launched armed assaults against police and governmental forces during the thriving period. The IS selected strategically significant targets. Right after the declaration of the establishment, the IS intentionally attacked politically, geographically and militarily important cities. In addition, the IS organized its operations to maximize effectiveness; after the occupation of Mosul in 2014, the IS moved rapidly to the next cities without delay, and the IS continually conducted terrorism attacks in Bagdad to threaten residents. At the same time, the IS used suicide bombing effectively. Even in battles with governmental forces, the IS mobilized suicide bombing vehicles to penetrate dense defense lines and later enlarged it. The IS, also conducted massive suicide bombings to keep threatening citizens of Bagdad and to divert the pressure of multi-national forces on Mosul. In overall, the IS had high military effectiveness and good sustainability. This can be a sound evidence of the participation of former Iraqi soldiers at the IS. The IS behavior should be regarded as typical model of an insurgency group occupying certain areas and conducting terrorism attacks confronting governmental authority. 이 연구는 IS의 공격 행동을 이해하기 위하여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추세 분석과 정성적인 분석을 결합하였다. 이는 그동안 IS에 대한 각각의 연구가 독립적으로만 이루어져 왔기 때문이다.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한 연구는 수천 건에 달하는 IS의 공격을 유형, 공격 대상, 사용 무기 등에 따라 정치하게 분류할 수 있으나 개별적인 공격의 이유와 맥락을 설명할 수 없었다. 한편 정성적인 분석은 IS의 형성부터 발전 그리고 쇠퇴 과정과 일부 중요한 공격은 설명해 왔으나 IS가 자행한 수많은 공격으로 구성된 전체적인 추세는 외면해 왔다. 이 연구는 이러한 두 가지 다른 방식의 접근 방법을 조화시켜 IS가 행한 공격의 전반적인 추세를 분석하여 의미 있는 시기를 구분하고 각 시기의 중요한 IS 공격을 정성적으로 분석하여 IS 행동의 이유와 맥락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IS 공격을 분석한 데이터베이스로 메릴랜드 주립대학이 제공하는 Global Terrorism Database를 사용하였으며 정성적 분석을 위해 주로 아랍어로 된 현지 언론 보도를 분석하였다. IS는 국가 수립을 선포하여 본격적으로 언론의 집중을 받았던 2014년 6월부터 다국적군의 모술 탈환 작전으로 인해 실질적인 활동이 중단된 2017년 말까지 3,408건의 공격을 감행하였다. 이 시기 IS의 행동은 팽창기, 저조기, 그리고 퇴조기로 구분할 수 있으며 모든 시기에 걸쳐 가장 많이 행해진 공격 형태는 폭발물 공격이었고 그 대상은 민간인이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시리아보다는 이라크에서 주로 공격이 이루어졌다. 이와 같은 IS의 공격 행동 패턴은 거의 전 시기에 걸쳐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팽창기에는 특징적으로 경찰과 정부군에 대한 무장공격이 활발하게 나타났다. IS는 전략적인 관점에서 목표를 선정하였다. 국가 수립을 선포한 직후 공격의 목표는 지리적으로 요충지이면서 정치적으로 중요한 지역, 그리고 군사적 가치가 높은 곳이 선정되었다. IS의 행동은 공격 효과를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조직되었다. 2014년 모술 공격이 성공하자 뒤이어 다른 도시에 대하여 연쇄적으로 공격을 실시하여 이라크 사회에 충격을 안겨준 것과 바그다드에 대한 끊임없는 테러리즘 공격은 이러한 측면에서 이해될 수 있다. IS는 자살폭탄 테러리즘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였다. 정규군 부대와 교전하면서 어려움에 봉착할 경우 IS는 자살폭탄 차량을 활용하여 돌파구를 형성하고 다른 전력으로 이를 돌파하는 형태로 작전하였다. 저조기와 퇴조기에 접어들어 IS는 바그다드에 상시적인 불안을 조성하기 위해 그리고 모술 공격의 압력을 덜기 위해 대규모 자살폭탄 테러리즘을 감행하였다. 전반적으로 IS의 전투력 수준은 높았으며 전투지속 능력 역시 뛰어났다. 이는 이라크의 정규군 출신이 다수 가담한 유력한 증거로 판단된다. IS의 행동은 테러리즘을 자행하는 무장 세력이 특정한 지역을 점령하여 지속적으로 정부군과 대치할 경우 나타나는 행동의 전형으로 이해될 수 있다.
태평양 전쟁 말기 한반도에 대한 미군과 일본군의 의도와 준비: 인식의 일치와 행동의 불일치
손경호 한국미국사학회 2009 미국사연구 Vol.30 No.-
This study attempts to reveal U.S. and Japanese assessments of the Korean Peninsula in terms of military usefulness and military preparations based on the evaluation of the countries during the Pacific War. This paper focused on debates in the U.S. Joint Chiefs of Staffs over Korea for supplementary operations of invasion on Japanese homeland as well as Japanese preparations to defend their homeland in Korea. The United States had conducted the war based on Plan Orange, and made direct attacks on Japan by using submarines to strangle Japanese economy and long-range bombers to cut Japanese will to fight. After landing at the Philippines, the United States decided to invade Japan to end the war on their terms: unconditional surrender. The U.S. planners chose industrial centers in the mainland of Japan as final targets to be obliterated. To make favorable conditions of final invasion, the U.S. Joint Chiefs of Staffs considered launching a supplementary operation. Korea was one of the candidate places for the operation; Kyusyu, instead of Korea, was selected for this operation. At the same time, the U.S. planners began to search another place to support Kyusyu-operation. In this process, the Korean Peninsula had been considered as an appropriate place for the secondary operation. However, the U.S. planners finally rejected the Korean Peninsula for the operations because of Korea’s rugged terrain, lack of good beachheads, and the possibility of massive reinforcement of Japanese troops from China and Japan. The planners were concerned about a long-deferred Korean operation that would undermine efforts for the main operation. Moreover, lack of troops compelled the planners to abandon more operations. Unlike the U.S. planners who considered the whole peninsula as an operational site, Japanese planners devised defensive measures focusing on southern part of Korea, in particular Jeju Island. The Japanese intention was to cut American movement from the South Chinese Sea to Japanese homeland. 본 논문은 태평양 말기 미국과 일본이 한반도의 군사적 가치를 어떻게 평가하고 이에 대해 어떻게 반응하였는지 고찰한 논문이다. 본 논문은 미국의 태평양 전쟁 수행의 전략 전반을 조망하였으며 특히 종전기 미 합참 내부에서 일본 본토 침공 작전을 논의할 때 한반도에 관하여 이루어진 논의를 분석하였고, 일본군이 한반도 그중에서도 제주도에서 행한 전쟁 준비의 실체를 살펴보았다. 본 논문은 미군이 스스로 인식하였던 것과 달리 한반도에 상륙작전을 감행하지 않았으며 일본군은 제주도에서 치밀한 준비를 한 것을 조명하였다. 미군은 태평양전쟁을 수행하면서 오렌지계획에 입각하여 전쟁을 수행해 왔으며 미국이 아시아까지 진출하기 전까지 대일 작전은 잠수함 작전에 의한 봉쇄와 장거리 폭격기에 의한 전략 폭격을 축으로 하여 이루어졌다. 전황이 진행되어 미국이 필리핀을 함락하자 미 합참은 종전 전략으로 일본의 무조건 항복을 받기 위하여 침공을 결정하였다. 미군은 일본의 산업 중심지역인 혼슈를 점령하는 것을 목표로 정하였다. 미군은 일본 혼슈에 대한 공격을 용이하게 진행하기 위하여 중간작전 대상을 선정하였는데 이에는 규슈가 선정되었다. 그리고 규슈의 공격을 위하여 보조작전 지역을 선정할 것을 고려하였다. 미군은 이 과정에서 각 중간작전과 보조작전을 위한 후보지로서 한반도를 심각하게 고려하였다. 이는 미군이 한반도가 일본 공격을 위한 중요한 통로임을 잘 인식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미군은 한반도의 지형이 험난하고 상륙에 적합한 지역이 흔치 않으며 일본으로부터 대규모 증원이 가능하여 주 작전보다 장기전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여 번번이 한반도를 작전 후보지역에서 제외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판단의 배경에는 전반적인 미군의 병력 부족이 자리하고 있었다. 일본군은 미군이 한반도 전역에 대한 작전 가능성을 고려하였던 것과 달리 한반도 남부 특히 제주도에 방어 역량을 집중하였다. 일본군은 본토 방어를 위한 한반도 작전에서 미군이 일본 본토로 향하는 통로를 차단하는데 중점을 두었던 것이다.
실리콘 도파로와 광섬유 사이의 효율적인 광 결합을 위한 아디아바틱 광섬유 테이퍼
손경호,최지원,정영재,유경식 한국광학회 2020 한국광학회지 Vol.31 No.5
In this study we report a wet-etching-based fabrication method for adiabatic optical-fiber tapers (OFTs), and describe their adiabaticity and HE 11 mode evolution at a wavelength of 1550 nm. The profile of the fabricated system satisfies the adiabaticity properties well, and the far-field pattern from the etched OFT shows that the fundamental HE 11 mode is maintained without a higher-order mode coupling throughout the tapers. In addition, the measured far-field pattern agrees well with the simulated result. The proposed adiabatic OFTs can be applied to a number of photonic applications, especially fiber-chip packages. Based on the fabricated adiabatic OFT structures, the optical transmission to the inversely tapered silicon waveguide shows large spatialdimensional tolerances for 1 dB excess loss of ~60 µm (silicon waveguide angle of 1°) and insertion loss of less than 0.4 dB (silicon waveguide angle of 4°), from the numerical simulation. The proposed adiabatic coupler shows the ultrabroadband coupling efficiency over the O- and C-bands.
타의 스팬길이에 따른 면적 변화가 침로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손경호,이경우,김현수,김윤수,하문근,Sohn, K.H.,Lee, G.W.,Kim, H.S.,Kim, Y.S.,Ha, M.K. 대한조선학회 1996 대한조선학회 논문집 Vol.33 No.4
Especially in the case of a full form ship, the stability on course can be considered to become severest among 4 items of criteria in Interim Standards for Ship Maneuverability adopted by IMO in 199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some ideas for the improvement of stability on course through changes in rudder area with reference to span distance. In this paper, we established the formula on the relation between the experimental constants relevant to rudder normal force and hydrodynamic derivatives of hull-propeller-rudder system. We carried out various kinds of captive model test relevant to rudder normal force etc., and evaluated hydrodynamic derivatives of hull-propeller-rudder system, and analyzed the stability on course with the parameter of changes in rudder area. Furthermore, we also discussed effects of changes in rudder area on maneuvering performance including stability on course, based on computer simulation. As a result, it is clarifie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stability on course may become bad through an increase of rudder area. The reason for the bad stability on course is that the void space between the upper edge of rudder and the lower part of stern overhang decreases. This space change exerts a great influence on straightening coefficient of incoming flow to rudder in maneuvering motion, which has close relation to stability on course.
손경호 한국정치정보학회 2019 정치정보연구 Vol.22 No.3
이 연구는 우리나라의 정책 결정자들을 위한 훈련과 교육에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는 정치·군사게임의 가치를 재조명하고 국내의 정치·군사게임이 발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게임은 발생할 수 있는 개연성 높은 위기를 가정하여 참여자들이 위기를 다루고 해결 방안을 모색할 수 있도록 상황을 묘사하여 참여자들이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배양하도록 고안된다. 게임을 통하여 참여자들은 핵전쟁과 같은 현실에서 발생하기 어려운 사건을 접할 수 있으며 현실보다 훨씬 다양한 위기를 맛볼 수 있다. 게임은 그 구조에 따라 일방형 게임과 쌍방형으로 구성할 수 있고 다자가 참여하는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게임에 참여하는 참여자들이 생산적으로 참여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궁리가 필요하다. 게임의 구조가 일방형일 때보다 쌍방형일 때 참여자들은 자신의 결정이 가져오는 결과를 인식함으로 게임에 더 깊이 몰입할 수 있다. 게임의 시나리오를 개연성 있게 작성하되 일상적인 예측의 범위를 넘어서는 구상을 담을 수도 있다. 또한, 참여자들에게 많은 질문을 하는 시나리오를 작성할 수 있으며 조력자들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아울러 참여자들이 사전에 많은 준비를 할 수 있도록 배려하여야 한다.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value of the politico-military game which has been used for trainings for decision makers, and suggests measures for the development of it. Politico-military games include plausible crises making participants feel tension and devise solutions. In this way, the game contributes to the increase of players’ capabilities to deal with real crises. Through out the games, people can understand nuclear war that can rarely happen in the real world and taste various crises than they can feel them usually. The politico-military game structure has participants, control group, scenario consisting of moves in unilateral, bilateral, and multilateral style. To motivate participants, various measures can be considered: bilateral or multilateral rather than unilateral style games enhance the concentration of members by stimulating the sense that their decisions will affect their next situation, scenarios can be devised carefully containing high plausibility even with ideas beyond reality and profound questions, facilitators can help players conduct games correctly, and control group can prepare participants better.
손경호,이수정 한국정보교육학회 2012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6 No.2
컴퓨터와 통신의 발달로 도래된 정보화 사회에서 우리는 정보를 통해 많은 혜택을 얻으며 편리하게 살아간다. 하지만 그 이면에는 정보화 시대의 역기능 현상들이 도처에서 나타나고 있으므로 정보통신윤리교육의 필요성은 점차 커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바람직한 정보사회를 구현하기 위해 구성원들에게 요구되는 덕에 착안하여 덕교육적 접근을 통해 정보통신윤리의식을 함양하고자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명심보감 학습을 9주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명심보감 수업을 실시한 실험반은 인터넷 중독, 채팅 중독과 네티켓 영역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게임 중독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효과를 주지 못하였다. Information-oriented society caused by development of computer and communication has benefited us with a convenient life. However, its side effects are widespread, which increases the need of the educa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thics. In this study, we take an approach of virtue education to cultivat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thics, as virtue is required to make a desirable information-oriented society. Lessons of Myungsimbogam were administered to the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nine weeks. The results demonstrated positive effects in internet addiction, chat addiction, and netiquette for the experimental group. However, no positive effects in game addiction were found.
시뮬레이터 구축을 위한 2축2타선박의 조종운동 수학모델에 관한 연구
손경호,김용민 해양환경안전학회 2001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7 No.3
In view of the fact that marine casualties have more often occurred recently, there is a need for ship-handling simulator as a useful tool for maritime training, safety assessment and so on. Moreover various kinds of hull forms have appeared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ship manoeuvrality. Therefore ship-handling simulator is in need of a database for various ships, and it can make diverse maneuvering simulations possible to apply respective mathematical model to ship-handling simulator. In this paper, we adopted twin-screw and twin-rudder ship and discussed mathematical model of maneuvering motions for her. It was discussed from the viewpoint of hull damping forces at low advance speed and interaction between hull, propeller and rudder. Using this model, maneuvering motion of twin-screw and twin-propeller ship was simulated numerically and her principal manoeuvrability was examined.
풍.파랑중에서 투망중인 트롤어선의 슬립웨이를 통한 갑판침수에 관한 연구
손경호 해양환경안전학회 2000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6 No.1
The slipway, which is one of stern construction, is necessary for stern trawler to let fishing implements, such as fishing net, otter board and warp, go out effectively. It may be doubtable whether there is any possibility for deckwetness to occur because the slipway is obliquely in contact with sea surface. The author discusses any possibility for deckwetness through slipway of stern trawler in wind and waves. A 350 G/T class, ocean-going stern trawler is adopted for the present study. The stem trawler is particularly assumed to drift with fishing implements hung down the slipway due to internal or external accident during fishing operation in real sea. The author considers two factors as possibility for deckwetness to occur through slipway. One is mooring effect of fishing implements hung down the slipway under wind pressure, and the other is relative ship motion in vertical direction in waves. Through the numerical calculation, the author clarifies that there is thin possibility for deckwetness to occur from above two points of view.
韓日両言語의 感覺形容詞의 對照分析 : 意味轉移의 樣相을 중심으로
손경호 일본어문학회 2014 일본어문학 Vol.66 No.-
本稿で取り上げる感覚形容詞は、感覚の経験が語の意味の主であるかを基準とする意味的な分類によるもので、身体の内部または外部からの刺激を受けて、目·耳·鼻·舌·皮膚などの感覚器官を通して感じられた意識内容を表す形容詞である。 韓日両言語における感覚形容詞の一部の語彙を対象にして感覚を表す基本的意味から意味転移されて表す派生的意味を意味特性によって分類すると、未熟、不正、不潔、精通、愉快、不快、寛大、多情などに分類できる。 このような韓日両言語の感覚形容詞の派生的意味の様相をまとめてみると次のようになる。 第一に、具体的なことから抽象的なことへ意味転移する。第二に、時間的なことから抽象的なことへ意味転移する。第三に、意味転移の様相の中では両言語の間に類似点が多いが、特に味覚形容詞の場合は相違点も目立っている。これは言語的な要因だけでなく食文化的な要因も働くためである。
SWAT을 이용한 기후변화의 수문학적 영향평가를 위한 Proxy-basin Differential Split-Sampling 및 Blind-Validation 테스트 적용
손경호,김정곤 한국수자원학회 2008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1 No.10
수문 모형의 발전이 거듭되면서, 최적 수자원의 관리를 위한 적정한 방법으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수자원관리에 있어서 토지이용 변화 및 기후 변화에 따른 수문학적 영향 평가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 영향들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우선 적용된 수문 모형의 강력한 검증이 요구된다. 그리고 수문모형의 적용 시 많은 지점에서 유량이 미 계측 되었거나, 측정된 자료마저 많은 오차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모형의 예측 값을 이용하여 수문분석이 이루어 As hydrological models have been progressively developed, they are recognized as appropriate tools to manage water resources. Especially, the ne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landuse and climate change on hydrological phenomena has been increased, which 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