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심의 정도와 식생의 유무에 따른 인공습지 토양 내 유기탄소와 질산염의 공간적 분포

        서주영,송근예,강호정 한국습지학회 2010 한국습지학회지 Vol.12 No.2

        습지는 식생과 수위 정도에 따라 다양한 물리 화학적 특성을 보이는 생태계로 작은 공간내에서도 다양한 생지화학적 반응이 일어날 수 있다. 특히, 용존유기탄소와 무기질소는 습지 내 생물학적 반응 정도를 결정하는 주요 인자로 탄소와 질소의 동태를 파악하고, 습지 환경의 변화 즉, 식생과 수위 및 계절변화에 따른 시공간적 패턴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실험을 위해 인공적으로 건설, 운용되고 있는 인공습지에서 식생유무 와 수심정도, 계절에 따라 토양시료를 채취, 분석하였다. 그 결과, 용존유기탄소와 질산염의 함량이 식생이 있는 지역에서 모두 높게 나타났다. 용존탄소는 식생이 있는 경우, 수심이 깊은 지역에서는 평균 0.37 mg·g-1, 수심 이 낮은 지역에서는 0.31 mg·g-1로 나타나 수위 정도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이는 식생에서 제공되는 뿌리 삼출 물의 증가와, 미생물의 유기물 분해작용의 복합적인 영향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질산염 함량은 수심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이는 식생의 유무가 수심보다 질산염의 동태에 주요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볼 수 있다. 본 연구결과, 습지의 환경조건, 특히 수심이나 식생의 유무에 따라 탄소와 질소의 양적, 질적인 차이가 나타나며, 이는 습지 내에서 진행되는 생지화학적 반응의 시공간적 패턴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제물론(齊物論)>에 대한 현학(玄學)과 송학(宋學)의 해석 비교

        서주영 영남중국어문학회 2018 중국어문학 Vol.0 No.79

        This article compares annotations of the scholars of Song Dynasty and Wei Jin Guo Xiang’s annotations about the Zhuang Zi·The Adjustment of Controversies. Scholars of Song Dynasty wanted to discover Confucianism meaning form Zhuang Zi, and wanted to establish new annotation works on “the Creator”·“Those of Heaven”·“judgments of the predetermined mind” ·“bringing the (proper) light (of the mind) to bear on them”, which can be differentiated form Guo Xiang’s annotations. Guo Xiang’s metaphysics argued that it was necessary to take a stance in the nature-designated region in order to avoid the obsession, also to accomplish free and unfettered status. But the Song Dynasty Scholars, as they are called as literati and officialdom, intended to define so called “the principle of heaven” in the Zhuang Zi, as the creation and ruling of all things. They believed that people only through the recognition of “the principle of heaven”, the argument against each other can be resolved, and the harmonization with social rules can be achieved. The reason why Song Dynasty Scholars had this view, is that they believed scholar must actively do something to accomplish world`s harmony, which is established by Cosmic Order, so they wanted to find these things in Zhuang Zi. As they are half-literati, and half-officialdom, and it is hard for them to admit Guo Xiang’s theory, which is regarded as suitable means for nobleman’s way of live, who lived in Wei Jin Dynasty. Although we can give our approval to Song Dynasty Scholar’s constructive criticism about Zhuang Zi, which propagates running away from social duty, but it is not fair to define his book as an extreme individualism, regarding other people as resource to achieve one’s own goal. It is better to interpret his work as a resistant to totalitarianism to protect the value of the individual.

      • KCI등재

        쓰기장애 위험학생과 일반학생의 쓰기 하위영역별 읽기 변인과의 관련성 비교

        서주영,김자경 한국특수교육학회 2015 특수교육학연구 Vol.5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writing-reading relationship of elementary students at risk for writing disabilities. A total of 96 children(Grades 1~6) of elementary students in the region of P-city were participated. In this sample, 41 children were identified as students at risk for writing disabilities and 55 children were identified as typical students. For the purpose, we examined the writing skills-writing fluency, spelling and composition- and reading related variables-reading fluency, word identification and reading comprehension-. Then we analyzed associations between writing skills and reading related variables and influence of the reading on writ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lower grade elementary students at risk,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all of the writing skills and reading related variables. Second, in the upper grade elementary students at risk,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for writing fluency and spelling. Writing fluency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reading fluency and spelling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word identification, reading fluency and reading comprehension. But there was no correlation for composition. Third, in the lower grade elementary students at risk, reading fluency accounted for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unt of variance in writing fluency. Reading fluency and word identification accounted for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unt of variance in spelling. And reading fluency accounted for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unt of variance in composition. Finally, in the upper grade elementary students at risk, reading fluency accounted for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unt of variance in writing fluency and work identification accounted for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unt of variance in spelling. In conclusion, the results show that there is writing-reading relationship. And there are different reading related variables for writing skills among the groups. Our finding is useful to develop instruction for the students at risk for writing disabilities.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is that we examined only reading related variables. So future research is needed to include other variables.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쓰기장애 위험학생과 일반학생의 쓰기 하위영역별 읽기 변인과의 관련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쓰기장애 위험학생과 일반학생을 각 학년수준별로 나누어 그 차이를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저학년 쓰기장애 위험학생의 경우 쓰기의 각 하위영역과 모든 읽기 관련 변인이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쓰기 유창성에는 읽기 유창성이 설명력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고, 철자쓰기에는 읽기 유창성과 단어 인지가 설명력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작문에는 읽기 유창성이 설명력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저학년 일반학생의 경우 쓰기와 읽기가 부분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쓰기 유창성에는 읽기 이해가, 철자쓰기에는 단어인지가 설명력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 고학년 쓰기장애 위험학생의 경우 쓰기의 각 하위영역과 읽기 관련 변인이 부분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쓰기 유창성에는 읽기 유창성이 설명력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고, 철자쓰기에는 단어 인지가 설명력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고학년 일반학생의 경우 작문과 읽기 이해만이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작문에 대해 읽기 이해가 설명력 있는 변인으로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쓰기의 각 하위영역과 읽기와의 관련성이 입증되었으며, 이러한 관련성은 쓰기장애 위험여부와 학년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추후 쓰기장애 위험학생들에게 읽기와 관련한 효과적인 교육적 중재를 제공하는데 토대가 될 것이다.

      • KCI등재

        지체장애성인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응, 문해 능력 간의 관계

        서주영,김자경,신혜정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4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7 No.4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evels of self-esteem, social adjustment and literacy ability of adul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For the purpose, the adul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in the region of P-city were survey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elf-esteem of adul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was above normal. There was no difference in gender, age, and educational level. Self-esteem of adul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was higher than that of adults with brain lesion. Second, the level of social adjustment of adul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was generally good. No difference was found on gender, age and educational level. Social adjustment of adul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was higher than those with brain lesion. Third, literacy ability of male was higher than female on factual literacy, inferential literacy and overall literacy. Those below than 30's or with high school graduate showed the highest on every area. Literacy level of adul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was better than that of adults with brain lesion. Fourth,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social adjustment of adul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However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self- esteem/social adjustment and literacy.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지체장애성인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응, 문해 능력 간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P지역 장애인 복지관, 여성 장애인 연대 및 장애인 체육회에 참여하고 있는 지체장애성인 34명에게 자아존중감과 사회적응 및 기초 문해 검사지를 배부하여 조사·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체장애성인의 자아존중감은 전반적으로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배경변인별 통계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자아존중감 총점으로 살펴본 결과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며, 연령, 학력별 차이도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유형별로는 지체장애 집단이 뇌병변장애 집단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체장애성인의 사회적응은 대체로 높은 편으로 나타났으며, 배경변인별로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 사회적응 전체 총점으로 살펴본 결과 여성 집단과 남성 집단 간 큰 차이는 없었으며 연령별로는 50대 집단이 가장 적응도가 높았고, 30대이하 집단이 가장 적응도가 낮았다. 학력별로는 중졸이하 집단이 가장 높은 적응도를 나타냈으며. 유형별로는 지체장애 집단이 더 높은 적응도를 나타냈다. 셋째, 지체장애성인의 문해 능력은 남성 집단이 여성 집단에 비해 모든 영역에서 높은 수준을 나타냈고, 연령별로는 모든 영역에서 30대이하 집단이 가장 높았다. 학력별로는 고졸 집단이 가장 높은 수준이었고 중졸이하 집단이 가장 낮은 수준이었으며 유형별로는 지체장애 집단이 뇌병변장애 집단보다 모든 영역에서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넷째, 지체장애성인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응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자아존중감과 문해 능력, 사회적응과 문해 능력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를 토대로 후속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 KCI등재

        루쉰의 고향 공간에 대한 小考 - 소설 「고향」을 중심으로 -

        서주영,권응상 중국인문학회 2021 中國人文科學 Vol.- No.78

        본 논문 루쉰의 소설 「고향」에 나타난 고향 공간을 『외침』의 내적 서사와 관련지어 고찰한 것이다. 「고향」의 고향 공간은 고향을 상징하는 서정적 공간, 또는 계몽적 인식과 대립하는 후진적 고향으로 해석됐으며, 룬투는 자아와 고향의 관계 또는 낙후된 농민 현실을 상징하는 인물로 고찰됐다. 본 논문은 기존의 해석을 보다 확장하여, 「고향」에 나타나는 고향 공간을 동년의 ‘나’와 룬투가 함께 형성했던 신비감이 가득한 행복한 유년 시기 꿈의 공간, 적막과 쓸쓸함이 꿈을 집어삼킨 현실 공간, 그리고, 이 현실을 극복하고 후속 세대를 위한 “나의 길”에 대한 자각 통해서 새롭게 확장된 희망 공간의 세 가지로 구분하고, 이들의 상호 관계가 『외침』에 서술된 꿈과 적막, 그리고 희망이라는 자전적 서사와 관련이 있음을 고찰하였다. 또한, 룬투를 고향 공간에 꿈을 형성하고, 다시 적막에 의해 파괴되고, 마지막에는 희망으로 승화되는 고향의 세 공간을 관통하는 존재로서 파악하였다.

      • KCI등재

        함순(咸淳)의 생애에 대한 고찰

        서주영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9 嶺南學 Vol.0 No.68

        This paper examines the life of Ham Sun and his evaluation of his personality in the study of the existing Koryo bamboo forest clan. Ham Sun was a person of Koryo Jongjong and Hyeongjong period in Koryo Dynasty, but we can not know about his biography because of lack of data. Therefore, Ham sun has been recognized as a person with the same order and tendency as Lee In-Ro · Yim Chun. However, this grave name of the Goryeo Dynasty, known as the "Ham Su`s memorial inscription", was actually the cemetery of Ham sun. Through these data, we could get a better understanding of Ham sun in previous studies. This paper examines the contents of "Ham Su`s memorial inscription" by comparing it with the records of Lee In - ro 's collection of works, and Im chun' s collection of works; and shows that Hamshun was a different class from Lee In - ro. This paper focuses on the outline of Ham sun 's character and literature in the literature. 이 글은 기존의 고려(高麗) 죽림고회(竹林高會)에 대한 연구 가운데 함순(咸淳)의 일생과 그에 대한 평가를 고찰한 것이다. 함순은 고려 명종과 신종시기의 인물로 고려 죽림고회(竹林高會)에서 활동했으나, 전해지는 자료가 부족하여 그의 생평에 관해서는 잘 알 수 없었다. 그래서 함순은 대체로 이인로·임춘과 동일한 계층과 성향을 가진 사람으로 인식되어왔다. 하지만 <함수묘지명(咸修墓誌銘)>으로 알려진 이 고려시대 묘지명은 함순의 묘지명이다. 이 자료를 통해 함순에 대하여 기존의 연구에서 좀 더 나아간 내용을 고찰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은 우선 그에게 씌워진 “반골”이라는 추론을 부정하고, 그의 일생을 <함수묘지명>의 내용과 이인로의 <파한집>, 임춘의 <서하집>의 기록과 교차시켜 고찰함으로써, 함순이 죽림과 인연을 맺게된 동력과 죽림의 형성에 끼친 그의 역할을 추론하였다. 그리고 함순에 대한 당시의 기록을 통해 그의 인물상을 그려보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