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서주영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9 嶺南學 Vol.0 No.68
This paper examines the life of Ham Sun and his evaluation of his personality in the study of the existing Koryo bamboo forest clan. Ham Sun was a person of Koryo Jongjong and Hyeongjong period in Koryo Dynasty, but we can not know about his biography because of lack of data. Therefore, Ham sun has been recognized as a person with the same order and tendency as Lee In-Ro · Yim Chun. However, this grave name of the Goryeo Dynasty, known as the "Ham Su`s memorial inscription", was actually the cemetery of Ham sun. Through these data, we could get a better understanding of Ham sun in previous studies. This paper examines the contents of "Ham Su`s memorial inscription" by comparing it with the records of Lee In - ro 's collection of works, and Im chun' s collection of works; and shows that Hamshun was a different class from Lee In - ro. This paper focuses on the outline of Ham sun 's character and literature in the literature. 이 글은 기존의 고려(高麗) 죽림고회(竹林高會)에 대한 연구 가운데 함순(咸淳)의 일생과 그에 대한 평가를 고찰한 것이다. 함순은 고려 명종과 신종시기의 인물로 고려 죽림고회(竹林高會)에서 활동했으나, 전해지는 자료가 부족하여 그의 생평에 관해서는 잘 알 수 없었다. 그래서 함순은 대체로 이인로·임춘과 동일한 계층과 성향을 가진 사람으로 인식되어왔다. 하지만 <함수묘지명(咸修墓誌銘)>으로 알려진 이 고려시대 묘지명은 함순의 묘지명이다. 이 자료를 통해 함순에 대하여 기존의 연구에서 좀 더 나아간 내용을 고찰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은 우선 그에게 씌워진 “반골”이라는 추론을 부정하고, 그의 일생을 <함수묘지명>의 내용과 이인로의 <파한집>, 임춘의 <서하집>의 기록과 교차시켜 고찰함으로써, 함순이 죽림과 인연을 맺게된 동력과 죽림의 형성에 끼친 그의 역할을 추론하였다. 그리고 함순에 대한 당시의 기록을 통해 그의 인물상을 그려보았다.
현대 한·중 리얼리즘 영화의 사회적 시선 -≪기생충≫과 ≪천주정≫의 갈등과 폭력-
서주영,이미경 영남중국어문학회 2020 중국어문학 Vol.0 No.83
This paper analyzes the conflict and violence of “Parasite” and “Touch of Si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ocial realist view. “Parasites” comically but delicately portrays the immoral behavior taken by the struggling lower class, and the violent and inhuman contempt of the upper class. “Touch of Sin” shows how the basics of human society such as social fairness, family, human dignity and feelings are broken due to the current Chinese socio-economic system. In “Parasites”, the conflict, which is based on ‘the survival of the family’ and ‘the desire toward wealth’, forms a conflict among the classes. The “Parasite” structure forms a horizontal and vertical structure, and the nature of violence has internal, external, power and emotional properties, and the issue of ‘human dignity’ is thrown into the buzzword. The conflict in “Touch of Sin” is caused by social contradictions, and forms a conflict structure between society and the individual, and the violence caused by this is characterized by the tension between ‘individual legitimacy’ and ‘social criminality’. These two attributes are mutually exclusive, but at the same time, form a martial artic tragic beauty.
지체장애성인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응, 문해 능력 간의 관계
서주영,김자경,신혜정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4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7 No.4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evels of self-esteem, social adjustment and literacy ability of adul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For the purpose, the adul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in the region of P-city were survey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elf-esteem of adul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was above normal. There was no difference in gender, age, and educational level. Self-esteem of adul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was higher than that of adults with brain lesion. Second, the level of social adjustment of adul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was generally good. No difference was found on gender, age and educational level. Social adjustment of adul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was higher than those with brain lesion. Third, literacy ability of male was higher than female on factual literacy, inferential literacy and overall literacy. Those below than 30's or with high school graduate showed the highest on every area. Literacy level of adul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was better than that of adults with brain lesion. Fourth,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social adjustment of adul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However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self- esteem/social adjustment and literacy.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지체장애성인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응, 문해 능력 간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P지역 장애인 복지관, 여성 장애인 연대 및 장애인 체육회에 참여하고 있는 지체장애성인 34명에게 자아존중감과 사회적응 및 기초 문해 검사지를 배부하여 조사·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체장애성인의 자아존중감은 전반적으로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배경변인별 통계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자아존중감 총점으로 살펴본 결과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며, 연령, 학력별 차이도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유형별로는 지체장애 집단이 뇌병변장애 집단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체장애성인의 사회적응은 대체로 높은 편으로 나타났으며, 배경변인별로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 사회적응 전체 총점으로 살펴본 결과 여성 집단과 남성 집단 간 큰 차이는 없었으며 연령별로는 50대 집단이 가장 적응도가 높았고, 30대이하 집단이 가장 적응도가 낮았다. 학력별로는 중졸이하 집단이 가장 높은 적응도를 나타냈으며. 유형별로는 지체장애 집단이 더 높은 적응도를 나타냈다. 셋째, 지체장애성인의 문해 능력은 남성 집단이 여성 집단에 비해 모든 영역에서 높은 수준을 나타냈고, 연령별로는 모든 영역에서 30대이하 집단이 가장 높았다. 학력별로는 고졸 집단이 가장 높은 수준이었고 중졸이하 집단이 가장 낮은 수준이었으며 유형별로는 지체장애 집단이 뇌병변장애 집단보다 모든 영역에서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넷째, 지체장애성인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응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자아존중감과 문해 능력, 사회적응과 문해 능력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를 토대로 후속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서주영,백정원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24 청소년상담연구 Vol.32 No.1
본 연구는 비장애 대학생의 장애에 대한 메타포 분석을 통해 주관적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장애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 소재 대학에 재학 중인 비장애 후기청소년들로부터 메타포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174개의 대표 메타포가 3개의 범주(사회적 존재로서의 장애인, 관념으로서의 장애인, 장애인으로서의 삶), 13개의 주제(돌봐주어야 할 존재, 우리와 똑같은 사람, 다양성의 인정, 어울림과 수용, 편견 없이 이해해야 하는 존재, 깨달음을 주는 존재, 편견과 차별의 대상, 관심을 갖지 않으면 알 수 없는 것, 노력과 극복, 누구에게나 생길 수 있는 것, 예측불허, 위태롭고 고단한 삶, 특별함과 잠재력을 지닌 존재)로 범주화되었다. 둘째, 연구 대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메타포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학년과 장애인 이해 관련 과목 수강 경험 유무에 따라 범주와 주제별로 차이를 나타내었다. 연구 결과를 통해서 비장애 대학생이 장애에 대해 장애인과 장애에 대한 관념, 장애인의 삶의 측면에서 다차원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앞으로 비장애인의 장애 인식 개선을 위한 교육 및 정책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undergraduate students without perceive disability, using a metaphor analysis. For Data collection, a short interview form was courses to reveal the perspectives of undergraduates in disability they have metaphorically identified in their minds. Data were collected from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undergraduate students enrolled in two universities in Busan in South Korea. The metaphors were reviewed and then gathered similar concepts. Specifically, metaphors concerning disability were categorized into 174 metaphoric concepts, 13 themes, and 3 categories. Undergraduates at upper grade levels and those who took courses related to community service, personality, and special education had more positive perceptions on disability compared to those who were at lower grade levels and who did not take the above-mentioned courses. To foster positive perceptions on disability among undergraduates, topics such as equality, potential, and harmony, should intentionally be addressed in their education, which will help build up positive social perception and attitudes on disabilities and further help develop services and policies tailored to those with disabilities.
쓰기장애 위험학생과 일반학생의 쓰기 하위영역별 읽기 변인과의 관련성 비교
서주영,김자경 한국특수교육학회 2015 특수교육학연구 Vol.5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writing-reading relationship of elementary students at risk for writing disabilities. A total of 96 children(Grades 1~6) of elementary students in the region of P-city were participated. In this sample, 41 children were identified as students at risk for writing disabilities and 55 children were identified as typical students. For the purpose, we examined the writing skills-writing fluency, spelling and composition- and reading related variables-reading fluency, word identification and reading comprehension-. Then we analyzed associations between writing skills and reading related variables and influence of the reading on writ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lower grade elementary students at risk,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all of the writing skills and reading related variables. Second, in the upper grade elementary students at risk,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for writing fluency and spelling. Writing fluency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reading fluency and spelling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word identification, reading fluency and reading comprehension. But there was no correlation for composition. Third, in the lower grade elementary students at risk, reading fluency accounted for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unt of variance in writing fluency. Reading fluency and word identification accounted for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unt of variance in spelling. And reading fluency accounted for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unt of variance in composition. Finally, in the upper grade elementary students at risk, reading fluency accounted for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unt of variance in writing fluency and work identification accounted for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unt of variance in spelling. In conclusion, the results show that there is writing-reading relationship. And there are different reading related variables for writing skills among the groups. Our finding is useful to develop instruction for the students at risk for writing disabilities.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is that we examined only reading related variables. So future research is needed to include other variables.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쓰기장애 위험학생과 일반학생의 쓰기 하위영역별 읽기 변인과의 관련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쓰기장애 위험학생과 일반학생을 각 학년수준별로 나누어 그 차이를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저학년 쓰기장애 위험학생의 경우 쓰기의 각 하위영역과 모든 읽기 관련 변인이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쓰기 유창성에는 읽기 유창성이 설명력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고, 철자쓰기에는 읽기 유창성과 단어 인지가 설명력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작문에는 읽기 유창성이 설명력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저학년 일반학생의 경우 쓰기와 읽기가 부분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쓰기 유창성에는 읽기 이해가, 철자쓰기에는 단어인지가 설명력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 고학년 쓰기장애 위험학생의 경우 쓰기의 각 하위영역과 읽기 관련 변인이 부분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쓰기 유창성에는 읽기 유창성이 설명력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고, 철자쓰기에는 단어 인지가 설명력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고학년 일반학생의 경우 작문과 읽기 이해만이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작문에 대해 읽기 이해가 설명력 있는 변인으로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쓰기의 각 하위영역과 읽기와의 관련성이 입증되었으며, 이러한 관련성은 쓰기장애 위험여부와 학년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추후 쓰기장애 위험학생들에게 읽기와 관련한 효과적인 교육적 중재를 제공하는데 토대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