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식물생장촉진 근권미생물 Bacillus subtilis JS 경엽처리가 실내식물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서윤경 서울시립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현대인들에게 실내식물의 공기정화 효과 및 심미적, 심리적, 치료적, 경제적 효과는 여러 연구를 통해서 많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 필요에 따라 실내식물을 공간배치를 하더라도 온습도 유지에 요구되는 광, 관수, 생육 및 활력에 요구되는 시비 등 관리의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이로인해 실내식물들은 쉽게 고사되기도 하고, 바이러스나 곰팡이 혹은 병원체로 인한 병해충의 피해로 실내식물을 꾸준히 관리하여 그 효과를 장기적으로 하는 일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이러한 실내식물의 관리에 있어 겪게 되는 문제점등을 해결하는 방법으로서 식물생장촉진 근권미생물(Plant growth promoting rhizobacteria, PGPR)과 미생물제재를 사용하여 생육 향상을 꾀하고자 수종의 실내식물에 PGPR의 일종인 Bacillus subtilis JS를 경엽 처리하여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B. subtilis JS의 경엽처리에서는 Epipremnum aureum의 초장, 절간장, 엽수를 무처리와 비교한 결과 약간의 증가폭이 있었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한편 Schefflera arboricola와 Plectranthus tomentosa에서는 이들의 증가가 관찰되지 않았다. 대조구로서 처리한 아미노산 영양액(BIOLEMIN(JAPAN)) 경엽 분무처리 에서는 Schefflera arboricola의 엽수, 초장 및 엽폭이 다소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이 또한 통계적인 유의성을 보이지는 않았다. Plectranthus tomentosa에 있어서는 B. subtilis JS 경엽 분무처리나 아미노산 영양액 경엽 분무처리가 공히 생장의 증가를 보이지 않았다. B. subtilis JS경엽 분무처리는 Plectranthus tomentosa의 지하부 근계 발달에도 영향을 주지 않았다. 따라서 실내식물에 근권미생물 B. subtilis JS의 경엽 분무처리는 생장촉진 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며, 근권미생물은 상토에 혼합 또는 관주 처리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라고 판단된다. A number of comprehensive studies have been reported on the effects of indoor plants on the environmental and economical improvement. Indeed, these plants are apt to wither easily due to the difficulties in management of their environment such as the regulation of the temperature, moisture and light, watering and fertilization and the control of diseases and pests, and such environmental parameters cause the hardness of indoor plants to sustain the prolonged effect. As a tactic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 managing the indoor plants, the use of effective microorganism such as a plant growth promotion rhizobacteria (PGPR) has been tried. This experiment were conducted to prove the effect of the foliar application of Bacillus substilis JS, a kind of PGPR, on the growth in several indoor plant species. Plant height and leaf number of Epipremnum aureum were increased gradually with the time period even under the indoor environment and those of the values in B. substilis application were a little higher even though the difference was not meaningful statistically. Furthermore, the length of internode was not different among the treatments. On the other hand, the above phenomena were not observed in the foliar application of B. substilis JS to Schefflera arboricola and Plectranthus tomentosa. BIOLEMIN, a commercialized nutrient containing some amino acids, promoted the elongation of plant height, increased the number of leaves, and enlarged the width and these results were investigated on the second fully-expanded leaf from the top without statistical importance in Schefflera arboricola and such effect was not revealed in the other plant species. Chlorophyll content investigated in the upper leaves was not also changed both the foliar treatment of B. substilis JS and BIOLEMIN, which were tested for all the plant species in this experiment. Foliar application of B. subtilis JS did not affect for the development of root system of Plectranthus tomentosa. From the results, the growth promotion effect by the foliar application of B. sbstilis Js is not expected and its mixing with the soil or watering on the surface of pot seemed to be more effective for the application of B. substilis JS as the other PGPR.

      • 부모의 소비자행동이 청소년 소비자행동에 미치는 영향

        서윤경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청소년의 성장과정에서 부모의 소비자행동이 청소년의 소비자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밝히는 것을 통해 부모님의 역할의 중요성을 재인식시키는 것이다. 본 연구는 설문지 조사와 자료 분석을 위한 통계처리는 SPSSWIN 12.0을 사용하였다. 먼저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사항에 대해 살펴보기 위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부모님의 소비자행동, 청소년 소비자 행동, 소비자 태도, 소비자 교육 경험에 대한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살펴보기 위하여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조사대상자의 가계의 사회 경제적 특성에 따른 청소년 소비자의 소비태도에 대한 경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t-test, 일원변량분석(one way-anova)를 실시하였다. 부모님의 소비자행동, 청소년 소비자 행동과 소비자 태도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부모님의 소비자행동 요인이 청소년의 소비자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기 위하여 회귀 분석(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소비자의 소비 태도에 대한 차이 결과, 아버지의 연령, 아버지의 직업, 아버지의 학력, 어머니의 학력, 학교 성적에 따라서 청소년의 소비 태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소비자의 소비자행동 차이 결과, 소비자 행동 중 계획·구매 행동은 아버지의 연령, 아버지의 학력, 어머니의 학력, 성별, 학교 성적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소비자의 소비자행동 중 사용 행동은 아버지의 직업, 아버지의 학력, 어머니의 학력, 성별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아버지 직업이 무직인 경우가, 청소년 소비자의 사용 행동이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버지 학력, 어머니 학력이 높을수록 청소년 소비자의 사용 행동이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청소년소비자의 소비자행동 중 처분 행동은 아버지의 학력, 어머니의 학력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청소년의 소비자의 행동 중 계획·구매 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소비자의 교육 경험, 부모의 계획·구매 행동이 청소년의 소비자 행동 중 구매 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소비자의 교육 경험이 많을수록, 부모님의 소비자 행동 중 계획·구매 행동이 높을수록 청소년의 소비자 행동 중 구매 행동이 높아진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여섯째, 청소년의 소비자의 행동 중 사용 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소비자의 교육 경험, 부모의 계획·구매 행동, 부모의 사용 행동이 청소년의 소비자 행동 중 사용 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소비자의 교육 경험이 많을수록, 부모님의 소비자 행동 중 계획·구매 행동, 사용 행동이 높을수록 청소년의 소비자 행동 중 사용 행동이 높아진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일곱째, 청소년의 소비자의 행동 중 처분 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소비자의 교육 경험, 소비자 태도, 부모의 처분 행동이 청소년의 소비자 행동 중 처분 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부족했던 부분들을 되돌아봄으로써 후속연구에서 보다 질 높은 연구들이 수행될 수 있도록 몇 가지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을 세분화하여 실시하지 않고, 수도권 지역 중학생에 한정되어 임의적 표집을 하였으므로, 그 결과를 일반화 하는 데는 무리가 있다. 따라서 향후 후속 연구에서는 실시 대상과 지역을 확대하여 연구하면 연구의 설명력을 높이는 것이 보다 효과적인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소비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부모 소비 행동, 경험, 소비 태도로만 국한하여 살펴보았으나, 향후 후속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의 소비 행동에 대한 요인을 보다 세분화 하여 살펴보고, 소비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좀 더 폭넓은 구체적인 연구가 시도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향후 후속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이 합리적인 소비 행동(계획·구매 행동, 사용 행동, 처분 행동)을 하기 위한 방법이나,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도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ave a new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ce of parents' role, through clarifying what effects parents' consumer behavior has on their adolescent children's consumer behavior during the process of the adolescent children's growth. This study used SPSSWIN 12.0 for the statistical processing of a questionnaire survey and data analysis. First,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subjects' general matter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mean values and standard deviations with regard to parents' consumer behavior, adolescent consumer behavior, consumer attitude, and consumer education experience. Next, t-test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tendency of adolescent consumers' consumption attitude according to the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survey subjects' household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correlation among parents' consumer behavior, adolescent consumer behavior, and consumer attitude. Lastly,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arents' consumer behavior factor on adolescents' consumer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differences in adolescent consumers' consumption attitude, it was found that adolescents' consumption attitude show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father's age, father's occupation, father's educational background, mother's educational background, and school records. Secondly, as a result of differences in adolescent consumers' consumer behavior, it was found that the planning & purchasing behavior among consumer behavior show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father's age, father's educational background, mother's educational background, gender, and school records. it was found that using behavior among adolescent consumers' consumer behavior show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father's occupation, father's educational background, mother's educational background, and gender. That is, it was found that an adolescent consumer's using behavior is positive in case a father is unemployed, and that the higher a father's or a mother's educational background, the more positive an adolescent consumer's using behavior. Fourthly, it was found that disposition behavior among an adolescent consumer's consumer behavior show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a father's educational background and a mother's educational background. Fifthly, as for factors having influence on the planning & purchasing behavior among adolescents' consumer behavior, a consumer's education experience and parents' planning & purchasing behavior have positive (+) effects on the purchasing behavior among adolescents' consumer behavior. That 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ore a consumer's education experience and the higher the planning & purchasing behavior among parent's consumer behavior, the higher the purchasing behavior among adolescents' consumer behavior. Sixthly, as for factors having influence on the using behavior among adolescents' consumer behavior, it was found that a consumer's education experience, parents' planning & purchasing behavior, and parents' using behavior have positive (+) effects on the using behavior among adolescents' consumer behavior. That is, the more a consumer's education experience and the higher the planning & purchasing behavior and the using behavior among parents' consumer behavior, the higher the using behavior among adolescents' consumer behavior. Seventhly, as for factors having influence on the disposition behavior among adolescents' consumer behavior, it was found that a consumer's education experience, consumer attitude, parent's disposition behavior have positive (+) effects on the disposition behavior among an adolescent's consumer behavior. Reviewing insufficiencies in the abov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for higher quality researches in follow-up studies. First, this study did not subdivide its subjects, but conducted random sampling restricted to the capital area; and so there is some unreasonableness in generalizing the results. Therefore, follow-up studies will be able to achieve more effective results, if they expand their target subjects and areas, and so heighten their explanatory power. Secondly, as factors having influence on adolescents' consumer behavior, this study restricted its examination to parents' consumer behavior, experience, and consumption attitude; however, in the future follow-up studies, the factors having influence on adolescents' consumption behavior should be subdivided in more detail, and more extensive and concrete studies on factors influencing consumption behavior should be attempted. Thirdly, it will be meaningful if the future follow-up studies provide useful information through developing methods, education or programs for adolescents' rational consumption behavior (planning & purchasing behavior, using behavior, disposition behavior).

      • 아동학대 신고의무자의 신고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서윤경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evel of reporting intention and perception factors related with reporting intention of the reporting obligators against the child abuse as described in the Child Welfare Law. It is also to explore the influences of the preception level on the reporting intention of the child abuse. To achieve the objectives, total number of 271 child abuse reporting obligators were subjected to this study, who worked for various institutions from kindergartens, nursing rooms, schools, social welfare centers, hospitals, village offices(dong office), and district offices. To examine the perception on the seriousness of the child abuse, the measure used in the child abuse perception survey report in 2003 b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Central Child Abuse Prevention Center, was modified as 5 point measure and used for this study. To measure the reporting effectiveness and obstacles thereof, Ahn Jaejin(2002) Measure was used. In addition, SPSS statistic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materials of this study. First,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were examined in order to inspect the respective perception level of child abuse reporting intention, seriousness of the child abuse, effectiveness of the reporting, and obstacles against reporting. Logistic regressive analysis was made in order to examine influences of seriousness of the child abuse, effectiveness of the reporting, and obstacles against reporting, regarding the reporting intention. Major results found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re than 80 percent of the reporting obligators subjected to this study answered that they had intention to report when they discovered child abuse case, indicating significantly high level of reporting intention as a whole. Second, the reporting obligators subjected to this study had significantly high level of perception on the seriousness of the child abuse and effectiveness of the reporting, whereas they had relatively low level of perception of the obstacles against the reporting. Third, the perception of the seriousness of the child abuse was high in general, however, such perception did not influence on the actual reporting intention of the child abuse. On the other hand,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the effectiveness of the child abuse reporting was,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the reporting intention was, and the lower the perception of the reporting obstacle, the higher the reporting intention of the child abuse. Regard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perception of the child abuse seriousness was not directly led to the reporting intention thereof. Thus, it was an implication that the media report and education heavily inclined to seriousness of the child abuse should be overcome, through the mass media and child abuse prevention education. Ultimately, the public relations and education contents that were focused on the seriousness of the child abuse should be overcome, instead, the effectiveness of the child abuse reporting should be emphasized, and eliminating fear and anxiety to report child abuse as obstacles should be emphasized. It is anticipated for this study to be utilized as basic materials necessary to devise practical plans to elevate the low reporting rate of the child abuse reporting obligators of Korea, in order to prevent, detect earlier and treat the child abuse cases. 본 연구는 아동복지법에 명시된 신고의무자들의 아동학대에 대한 신고의도와 신고의도에 관련되는 인식 요인들의 수준을 알아보며, 이러한 인식 수준이 아동학대 신고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시 10개 지역구, 경기도 4개 직할시에 소재한 유치원, 어린이집, 학교, 사회복지관 및 병원, 동사무소, 구청 등의 각 기관에 근무하는 아동학대 신고의무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총 271명을 최종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아동학대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기 위하여 보건복지부ㆍ중앙아동학대예방센터에서 2003년 조사한 아동학대인식조사보고서에서 사용한 척도를 5점척도로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아동학대 신고의 효과성과 장애물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안재진(2002)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분석은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먼저 연구 대상자들의 아동학대 신고의도, 아동학대의 심각성, 신고의 효과성, 신고의 장애물 각각의 인식수준 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알아보았으며, 아동학대의 심각성, 신고의 효과성, 신고의 장애물이 신고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연구대상자인 신고의무자들의 80%이상이 아동학대사례를 발견했을때 신고의사가 있다고 대답해 이들의 전반적인 아동학대 신고의도는 상당히 높은 수준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본 연구에서 연구대상자인 신고의무자들은 아동학대의 심각성에 대한 상당히 높은 인식과 신고의 효과성에 대한 비교적 높은 인식, 그리고 신고의 장애물에 대한 비교적 낮은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셋째, 연구대상자들의 아동학대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은 전반적으로 높은 편이었으나, 이러한 인식이 실질적인 아동학대의 신고의도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아동학대 신고의 효과성에 대한 인식은 아동학대 신고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는데, 아동학대 신고의 효과성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아동학대의 신고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학대 신고의 장애물에 대한 인식도 아동학대 신고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아동학대 신고의 장애물에 대한 인식이 낮을수록 아동학대 신고의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아동학대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은 곧바로 아동학대의 신고의도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이는 대중매체와 아동학대 예방교육을 통해 아동학대의 심각성에 치우쳐 보도하고 교육하는 단계를 넘어서야 함을 의미하고 있다. 결국 홍보와 교육의 내용에 있어서 아동학대의 심각성에 대한 내용위주의 전달에서 탈피하여, 아동학대 신고의 효과성을 각인시키고, 아동학대 신고의 장애물에 대한 두려움과 불안함을 해소시키는데 중점을 두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앞으로의 아동학대 예방과 조기발견 및 치료를 위한 우리나라 아동학대 신고의무자들의 낮은 신고율 문제를 제고하기 위한 실천적 방안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 커피 교육에 따른 커피 선호 및 역량변화에 관한 연구 : Brewing 교육을 중심으로-

        서윤경 忠南大學校 産業大學院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내 커피산업의 발전과 함께 커피 교육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증가하며 커피를 배울 수 있는 교육기관의 확대와 다양한 채널이 함께 성장하고 있다. 초창기 커피 교육의 성장 배경으로는 바리스타 직업의 관심과 함께 창업과 취업을 목적으로 하는 학습자들이 증가하면서 바리스타 자격 취득과정이 커피 교육의 주를 이루었다. 하지만 커피를 즐기는 일반 소비자들이 실제 커피를 음용하는데 필요한 도구의 사용과 다양한 커피를 경험하기 위해 학습하려는 욕구로 변화하며 학습을 통해 취미와 교양을 높이는 목적으로 커피 브루잉(coffee brewing)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으며 이것으로 인해 교육장을 찾는 성인 학습자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렇듯 커피 소비자에게 알고 마시기 위한 커피 교육의 목적이 형성되고 욕구에 맞게 커피를 교육함으로써 커피 맛의 선호변화와 향상된 커피역량을 확인하여 커피 브루잉 교육의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세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일반 성인 학습자의 전반적인 커피 음용 동기와 커피 브루잉 교육프로그램 참여 목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둘째, 커피 브루잉 교육참여 전과 후 커피 선호의 변화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셋째, 커피 브루잉 교육을 이수한 소비자의 역량 강화에 대한 주관적 인식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상의 문제를 규명하기 위하여 2018년 07월부터 2019년 11월까지 성인 남녀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커피 브루잉 교육프로그램을 설계하여 교육을 진행하였다. 교육을 운영한 장소는 대전지역으로 한정하였고 평생학습센터, 문화센터, 사설 교육장에서 이루어졌으며 주 1회 2시간씩 총 12회 과정으로 교육을 진행하였다. 본 조사는 커피 브루잉 교육을 완료한 학습자들에게 네이버 오피스 폼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2019년 11월 17일부터 11월 18일까지 총 2일에 걸쳐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총 136부를 유효 분석 데이터로 확보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t-test를 실시하였으며 교육프로그램을 이수한 학습자 10명에게 프로그램 교육과정에 대한 개선방안을 주관식 문항으로 구성하여 서술형으로 응답을 받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 성인 학습자의 전반적인 커피 음용 동기를 확인한 결과 대부분 항목별로 높은 음용 동기를 나타냈으며 그중에서 가장 중요한 동기를 형성하는 것은 맛있는 커피를 마시기 위한 목적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소비자들이 커피의 맛을 알고 마시고 있으며, 맛있는 커피를 음용했을 때 높은 만족도를 나타낼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다음으로 커피 교육프로그램 중 커피 브루잉 교육에 참여한 동기를 확인한 결과 7가지 항목 중 가장 높은 동기를 형성한 것은 다양한 커피를 맛보기 위한 동기이다. 이처럼 커피 교육에 참여한 학습자들은 능동적인 학습 태도를 보이며 커피에 대한 높은 관심과 다양한 커피를 경험하기 위해 커피를 학습하려는 목표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커피를 마시는 음용 동기와 함께 커피 교육을 받는 목적을 파악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둘째, 커피 브루잉 교육 전후 자주 이용하는 커피 종류 중 선호의 변화를 확인한 결과 브루잉 커피의 선호가 가장 높은 변화를 나타내었다. 이는 커피 교육을 받은 후 브루잉 커피를 경험하고 이해하게 되면서 긍정적으로 변화된 선호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커피 음용 장소의 선호도 변화를 확인한 결과 가정에서 고품질의 커피를 직접 추출하여 음용하는 상황이 가장 높게 변화된 것을 확인하여 교육 후 직접 커피를 추출할 수 있는 역량이 변화된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커피 맛의 선호도 변화를 확인한 항목에서는 신맛, 쓴맛, 바디감, 향미, 선호하는 생산지의 커피 중 커피맛을 구성하고 있는 다양한 향미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나며 이는 다양한 커피를 경험하면서 훈련을 통해 복합적인 향미를 느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커피 브루잉 교육을 이수한 소비자의 역량 강화에 대한 주관적인 인식을 조사한 결과 지식, 기술, 태도를 구분하여 변화된 인식을 확인하였다. 지식수준의 변화에서는 로스팅의 정도에 따른 커피 맛의 변화가 가장 높은 이해도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는 교육을 통해 로스팅을 직접 체험해 본 후 다양한 변수를 확인하여 물리적, 화학적 변화로 인해 커피 맛이 달라질 수 있음을 인식한 결과이다. 기술의 변화에서는 커피를 추출할 수 있는 브루잉 도구를 사용하여 추출기술을 교육하였으며 학습자들에게 가장 높은 기술의 역량을 나타낸 것은 투과식 도구를 사용하여 추출하는 방식으로 높은 선호도를 확인할 수 있다. 태도의 변화에서는 학습자들은 커피를 추출하는 사람에 따라 맛이 달라지는 변수에 대해 높은 태도를 형성하였는데 브루잉 교육을 통해 다른 학습자들이 추출한 커피를 함께 맛보고 평가하여 비교함으로써 추출의 변수를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임을 나타내고 있다. 마지막으로 커피 교육의 효과측정 및 만족도를 확인한 결과 10개 항목 모두 높은 평균점수를 나타내고 있으며 교육을 참여한 후 커피를 더 잘 즐기게 된 항목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게 평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반 성인 학습자들이 커피 브루잉(coffee brewing) 교육프로그램의 참여를 통해 커피의 선호도 및 변화된 역량을 확인하였고, 이로 인해 커피 시장의 중요한 주체인 소비자가 커피에 대해 높아진 지식과 함께 변화된 태도를 연구하여 커피산업의 문화를 발달시킬 수 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주요어 : 커피, 커피교육, 커피교육 프로그램, 커피교육효과, 커피브루잉, 핸드드립, 커피소비자 With the development of the domestic coffee industry, consumers’ interest in coffee education is increasing, and the expansion of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various channels for learning coffee are growing together. The background of the growth of coffee education in Korea is that the barista qualification process has become a major part of coffee education as the number of learners aiming for start-up and employment has increased along with the interest in barista as a job. However, the general public who enjoys coffee has changed into a desire to learn to experience various coffees by using the appropriate tools and the interest in coffee brewing has increased the purpose of growing the hobby and culture. These have led to increase number of adult learners seeking institutions. The purpose of coffee education is formed for coffee consumers to know and drink by educating coffee according to the desires and to identify the change in one’s preference in coffee taste and improved coffee capacity to present significant implications of coffee brewing education. Three research issues were set up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First is to understand the overall motivation for drinking coffee for adult learners and the purpose of participating in the coffee brewing training program. Second is to identify changes in coffee preference before and after participating in coffee brewing training. Third is to understand the subject perception of empowerment of consumers who have completed coffee brewing training. From July 2018 to November 2019, coffee brewing programs for adult male and female learners were designed and taught. The location of the training was limited to the Daejeon area, the lifelong learning center, cultural center, and private training center, and the training was conducted once a week for two hours in a total of 12 courses.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two days from November 17 to November 18, 2019 using the Naver Office Form program for those who completed coffee brewing training, and as a result I obtained a total of 136 copies of effective analysis data. Data analysis using the SPSS 24.0 program was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technical statistic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t-test. Ten students who completed the training program were organized into subjective questions on how to improve the program curriculum, and responded in a narrative format. Based on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checking the general coffee drinking motives of adult learners, most of the categories showed high rank drinking motives, and the most important motives among them can be identified as the purpose for drinking delicious coffee. This means that consumers know the taste of coffee and it is confirmed that it shows high satisfaction when drink delicious coffee. Next,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coffee brewing class among the coffee education programs, the highest motivation among the seven categories is the motivation to taste various coffees. The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the coffee education showed an active learning attitude, it can see the high interest and the goal of learning coffee to experience various coffee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compose the program by identifying the purpose of receiving coffee education along with drinking motives for drinking coffee. Second, the result of checking the change of preference among the types of coffee frequently used before and after coffee brewing education, the preference of brewed coffee showed the highest change. This can confirm positively changed preferences as they experience and understand brewed coffee after receiving coffee training. In addition,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change in preference of the coffee drinking place, it can be seen that the capacity to brew coffee directly after training has changed and the situation of extracting and drinking high quality coffee directly from home changed the highest. Third, Investigating subjective perceptions on the empowerment of consumers who have completed coffee brewing education, the results were divided into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to identify changed perceptions. In the change of knowledge level, the change in the taste of coffee according to the degree of roasting shows the highest understanding, which is that the taste of coffee can be changed by physical and chemical changes by confirming various variables after experiencing roasting. In the change of technology, the brewing tool to brew coffee was used to educate the extraction technique and the learners showed the highest skill level by using the penetrating tool. In the change of attitude, learners formed a high attitude toward the variable that varies according to the person who brews the coffee. Brewing education shows that it is an important factor to identify the variables of extraction by taste, evaluation and comparison of coffee extracted by other learners. Finally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of coffee education, all 10 categories showed high average scores and the satisfaction with categories that enjoyed coffee better after participating in education was the highest. Therefore, this study confirmed the general preference and changed capacity of coffee through participation of coffee brewing education program. And as a result, it is expected that consumers, who are the major players in the coffee market, will be able to use it as a basic data to develop the culture of the coffee industry by studying the changed attitude along with the increased knowledge about coffee. Keyword : coffee, coffee education, coffee education program, coffee education effect, coffee brewing, hand drip, coffee consumer

      • 근로소득자의 기부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서윤경 한양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우리나라는 복지 수요의 양이 확대되고, 서비스의 전문성과 다양성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사회복지의 정부 의존적 재정난 해소를 위해 근로자들의 기부참여 필요성과 중요성이 점점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근로소득자의 기부행동에 관한 연구는 어느 정도의 수준에서 기부활동을 전개하고 있는지에 대해 체계적인 연구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실제로 우리나라의 경제 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과거에 비해 양적인 성장에서 삶의 질적인 향상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변화되었으며, 복지에 대한 요구 및 수요가 크게 증가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어느 정도의 기부행동을 전개하고 있는지, 그리고 근로소득자들의 기부행동에 어떠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근로소득자의 기부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소득이 일정하고 안정적인 근로소득자들을 대상으로 시간을 투자하는 자원봉사활동 보다는 금전적인 기부행동에 바탕을 두고 근로소득자들이 기부 할 경우에 기부를 결정짓는 요인들이 무엇이며, 그 요인들 가운데 어떤 요인이 기부행동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경제적 요인과 기부동기 요인을 독립변수로 하고, 기부경험 요인을 매개변수로 설정하였으며, 기부행동 요인을 종속변수로 구성하였다. 자료는 서울의 강남과 강북지역, 경기 북부와 남부지역의 근로소득자에게서 219명에 대한 설문을 수집하였고, 신뢰성과 타당성은 요인분석과 내적일관성 분석방법을 실시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T-test, ANOVA, 단순 및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근로소득자들의 특성에 따른 기부행동에서는 결혼여부, 연령, 학력수준, 종교, 직업별 분포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성별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혼여부에서는 미혼자 보다 기혼자들이 기부행동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그동안 생활하면서 자신이 받아온 혜택에 대하여 사회에 환원하려는 행동이 더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령은 높을수록 기부에 더 적극적으로 행동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학력에 따라서는 학력이 높을수록 기부에 더 적극적으로 행동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종교를 가지고 있는 응답자가 기부에 더 적극적으로 행동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직업에 따라서는 서비스직이나 회사원, 노무직 보다는 교직원들이 기부행동에 더 적극적이었다. 또한, 월 평균소득이 높은 응답자가 기부에 더 적극적으로 행동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경제적 요인과 기부동기 요인이 기부경험에 미치는 영향에서 기부동기 요인은 기부경험 요인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나, 경제적 요인은 기부경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부경험 요인이 기부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경제적 요인과 기부동기 요인이 기부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기부동기 요인은 기부행동 요인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나, 경제적 요인은 기부행동 요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근로소득자의 기부행동은 기부동기와 기부경험이 기부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우리나라의 전체 근로소득자들을 대상으로 체계적인 표본을 추출하였어야 하는데, 시간과 공간 등의 제약으로 수도권의 일부지역에 한정하여 표본을 추출하였다는 점과 기부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좀 더 폭넓은 요인들을 다루지 못한 점도 아쉬움으로 남는다. 따라서 이러한 한계점들을 좀 더 보완하여 심층적으로 후속 연구에 임한다면 좀 더 훌륭한 연구 성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한빛깔 만들개를 이용한 광전효과 실험

        서윤경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Photoelectric effect israc a phenomenon that electron is emitted from the metal surface by irradiation of light and is known to be typical important experiment to prove the particlelike property of light. The typical experimental method for this is to use an incandescent bulb for light source and a color filter for selecting monochromic beam. It is difficult to get the precise results since color filter does not give the light with narrow spectral bands. The object of this experiment is to observe the photoelectric effect and precisely measure the very important fundamental constant of Planck's constant and work function for cathode materials through photoelectric effect experiment. To do this, we constructed the new experimental device by replacing color filter to monochromator which gives very narrow spectral bands. With our new experimental device, it could be confirmed the linearity of relation between the light frequency and the maximum kinetic energy for photoelectron, and the Planck's constant of 6.599×10-34J·s within the relative error of 0.41%. Additionally, the work function for cathode material used on photoelectric tube was measured by . In the photoelectric effect experiment using the visible light source, it is widely used the cathode material with small work function such as a semiconductor BaO showing 1.5∼1.8 of work function. Measured work function suggested that BaO was used as the cathode material from the fact that the measured work function was within the upper limit value of 1.92, which is corresponding to the longest wavelength 630nm of visible light used in this experiment. In summary, precise Planck's constant and the work function of cathode material can be obtained by only using the light with small line-width of spectrum, entering photoelectric tube.

      • 대학생의 성역할정체감과 자아탄력성, 대인불안과의 관계

        서윤경 건양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성역할정체감과 자아탄력성, 대인불안 세 요인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대학생의 바람직한 성역할 정체감 형성 방향을 탐색하고 올바른 사회적 대인관계와 적응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중부권 소재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444명을 대상으로 성역할정체감 척도(KSRI)와 자아탄력성 척도, 대인불안 척도(IAS)로 자료를 수집하여 Windows용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의 목적에 따라 χ²검증, t-검증,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여 보면, 첫째,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성역할정체감에 차이가 있는가? 라는 연구문제 1에 대한 결과는 18-20세, 21-24세는 여성성 유형이 많이 분포되었으며, 25세 이상은 양성성 유형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대학생의 연령이 20대 후반일수록 변화하는 환경에 대한 심리적, 사회적 적응이란 관점에서 우세하며 바람직한 양성성의 특성이 많아진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성별에 따라 자아탄력성, 대인불안은 차이가 있는가? 라는 연구문제 2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대상을 남녀 집단으로 나누어 자아탄력성과 대인불안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자아탄력성에서는 남녀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대인불안에서 역시 남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성역할정체감에 따라 자아탄력성, 대인불안은 차이가 있는가? 라는 연구문제 3에 대한 결과를 보면 자아탄력성에서 성역할정체감과 자아탄력성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양성성 유형은 남성성, 여성성, 미분화 유형에 비하여 자아탄력성 점수가 높아 양성성 유형은 다른 세 유형에 비해 자아탄력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성역할정체감과 대인불안 간에도 역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양성성 유형이 남성성, 여성성, 미분화 유형에 비하여 대인불안 점수가 낮아 다른 세 유형에 비해 대인불안이 낮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전통적인 성역할을 벗어나 양성적 성역할정체감을 발달시켜야 하며 양성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증진시키기 위해 관련한 프로그램이 개발 및 발달이 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또한, 본 연구가 가지고 있는 몇 가지 제한점을 인식하여 다양한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students by examining a relationship among the type of Gender-role identity, Ego-Resiliency and Interpersonal Anxiety in order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development of a program helping psychological adaption. For this study has performed one-wa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to its purpose by using a program SPSS 18.0 for Windows, collecting materials of Korean Sex role Inventory(KSRI), Ego-Resiliency Scale and interaction anxiousness scale(IAS) with target of 444 college students attending a four-year college located in the Chungnam-region. The result of data analysis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dividing each group according to gender-role identity of each study object, if found that the percentage of androgyny type was the highest as 33persons (46.5%) over 25 years old, followed by feminity, undifferentiated personality, masculinity types. Furthermore, the difference of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gender-role identity group ha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age item. Second,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ego-resiliency and interpersonal anxiety according to gender. Thir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ego-resiliency and interpersonal anxiety according to the type of gender-role identity. The Students who belongs to the androgyny type group have significantly higher ego-resiliency scores than those of the students who belongs to the masculinity, feminity and undifferentiated personality type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interpersonal anxiety according to the type of gender-role identity. Likewise, the Students who belongs to the androgyny type group have significantly lower interpersonal anxiety scores than those of the students who belongs to the masculinity, feminity and undifferentiated personality types. In conclusion, Androgyny type have higher ego-resiliecy, and lower interpersonal anxiety than other type. Therefore,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may be necessary to develop programs which can improve gender-equal attitude and behavior. gender-role identity self-consciousness training program proved to be effective could help a student to grow as an androgynous person that adaptable to radically changing social deman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