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각디자인 전공 학생들을 위한 글로벌 캡스톤디자인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서연화 ( Yeon Wha Sur ),심현애(교신저자) ( Hyeon Ae Sim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각디자인 전공 학생들을 위한 글로벌 캡스톤디자인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프로그램 운영 효과성 분석 및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거시적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개발연구방법론을 적용하고,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S대학교와 미국의 B대학교 디자인전공 학생들을 위한 교과목 기반 글로벌 캡스톤디자인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2015년 1월부터 9월까지 운영한 프로그램 진행과정을 제시하였다. 둘째, 프로그램에 참여한 S대학교 학생 14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의 참여 효과에 대해 분석하였다. 글로벌 마인드는 프로그램 참여 후에 주도적 적응성과 배려행동 요인이 유의미하게 높아졌고, 협력적 자기효능감 중 의견통합 요인이 유의미하게 높아졌다.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는 프로그램별 평가 및 운영항목별 평가 결과 3.89부터 4.22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 만족도는 4.07로 만족하는 수준이었다. 셋째, 프로그램 개선방안으로 학생들은 음식과 통역에 대한 개선 필요성이 제시되었고, 프로그램을 개발·운영했던 교수자는 학생 참여중심 프로그램 확대, 현지 학생과의 초기 만남에서 아이스브레이킹 활동 추가, 온라인 툴 활용 능력을 갖춘 교수자의 참여가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그밖에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purposed to develop a global capstone design program for students majoring in visual design, to analyz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operation and to seek its improvements. For this study, a development research methodology for educational program development was applied macroscopically and an experiment research method was applied to verify the effect of program.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 curriculum subject-based global capstone design program was developed for students majoring in visual design at S University in Korea and at B University in the U.S. and the program processes operated from January to September 2015 were presented. Second, the effect of program was analyzed in 14 students at S University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As a result, leading adaptability and solicitous behavior of global mind significantly increased and opinion integration of cooperative self-efficacy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program participation. Program satisfaction ranged from 3.89 to 4.22 in program evaluation and operation item evaluation and overall satisfaction was 4.07. This means most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the program. Third, students replied there was a need to improve food and interpretation of program and the teaching staff, who developed and operated the program, replied that a student-centered program should be expanded, an ice-breaking activity should be added in the first meeting with local students and participation of teaching staff with online tool application capabilities was important. In addition, proposals for further research was suggested.

      • KCI등재
      • KCI등재

        비주얼내러티브의 유형별 특성 사례연구

        서연화(Sur, Yeon Wha)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6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23 No.-

        본 연구의 배경 및 목적은 다음과 같다. 미디어와 미디어 간, 플랫폼과 플랫폼 간에 경계가 사라지는 컨버전스 컬쳐(Convergence culture)의 가속화로 매체 전환에 의한 정보전달 및 콘텐츠의 공유가 일상화되는 트랜스미디어의 시대이다. 이에 디자이너들은 대중이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정보를 전달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그 방법은 명확해져야 할 필요가 있다. 시각언어로 표현되는 비주얼내러티브는 정보들이 유기적인 인과관계로 연결되어 있어 하나의 이해하기 쉬운 메시지로 바꾸어주며 수용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이야기를 완성시키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공간디자인 환경 속에서 더욱 중요한 의의를 갖고 있다. 공간스토리텔링에 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전개되어왔으나 이에 따른 비주얼내러티브의 특성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비주얼내러티브 유형별 특성도출을 위한 연구방법 및 내용,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문헌 조사를 통해 비주얼내러티브의 유형을 정적 비주얼내러티브, 동적 비주얼내러티브 그리고 상호작용적 비주얼내러티브로 분류하였다. 유형별 비주얼내러티브가 공간에 적용된 사례들을 조사하고 수용자와 상호작용하며 이야기를 전달하는지 내러티브적 특성을 알아보았다. 정적 비주얼내러티브는 이미지는 정지되어 있지만 수용자는 작품을 감상하고 이해하기 위한 외현적 행동이 발생하며 이야기 해석에 관객의 능동적인 참여가 요구된다는 점이 특징이다. 동적 비주얼내러티브는 영화나, 텔레비전, 비디오와 같은 동영상이 대표적인 예로 현실재현능력이 가장 높아 관객들에게 스펙터클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반면 촬영, 편집 등을 통해 창작자의 의도가 가장 많이 반영될 수 있어 이야기해석은 수동적이라고 할 수 있다. 상호작용적 비주얼내러티브는 사용자의 수용형태를 가장 능동적으로 전환시키고 있으며 이를 통해 수용자에게 몰입을 할 수 있는 가상공간을 제공한다. 이야기의 발단, 전개, 절정, 결말구조에 비주얼내러티브의 유형별 특성과 장점을 활용해 통합적으로 사용한다면 공간의 목적과 성격을 명확히 하며 정서적 효과가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비주얼내러티브를 유형별로 분류하고 사용자들에게 확장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공간비주얼내러티브의 특성을 알아보았다. 트랜스미디어화가 진행되고 있는 지금 획일적인 내러티브가 아닌 각각의 매체별 특성에 부합되는 이야기 구조 개발 및 비주얼내러티브의 적용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공간디자인의 기획 단계부터 효율적 매체계획 및 시각화 설계를 위한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이야기 구조에 적용할 수 있는 유형별 비주얼내러티브의 활용가능성의 방법에 대한 연구가 뒤따라 할 것이다. The backgrounds and Purpose of the study is as follows. As the borders between media and between platforms vanish, the convergence culture accelerates in this age of transmedia to the extent that the conventional forms of communication collapse whilst information forwarding and content sharing by media conversion have become part of daily routines. As information becomes complex and quantitatively increases, designers need to deliver information in such forms that the general public can understand. Therefore, the relevant methods should be clarified. Visual narratives represented via visual language are significant in space design environment in that such narratives are characterized by the organic causality of information, which enables turning lots of information into an understandable message, and by the completion of stories via interactions with receivers. Studies on space storytelling have been carried out constantly, but there is a shortage of study on visual narrative characteristics. The research methods of extracting visual narrative characteristics each type of, and contents and results are as follows. Based on literature review, types of visual narrative were classified into static visual narrative, dynamic visual narrative and interactive visual narrative. The cases of spatial application of each type of visual narrative and narrative characteristics regarding interaction with recipients were examined. The static visual narrative develops stories by the medium of space, where images are stationary while receivers turn the pages to complete the stories and take physical actions to see creative works. Also, in the static visual narrative, the audience is required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interpretation of stories. The dynamic visual narrative refers to recording the stationary images over time exemplified by films, TV programs, videos and animations. The dynamic visual narrative best represents the reality and provides the audience with spectacular experiences. Still, the interactions of story interpretation in the dynamic visual narrative can become passive in that filming and editing allow creators to reflect their intentions more than in any other type of narratives. The interactive visual narrative converts the reception of users most actively, and thus provides the settings which they can become committed to. It was found that an integrated application of characteristics and strengths of each type of visual narrative to the beginning, development, climax and end of a story clarified the purpose and properties of space and increased emotional effects. Given the ongoing trend of transmedia,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visual narratives that match the nature of each medium in lieu of a uniform narrative. The present study classifies the types of visual narratives and highlights the characteristic of visual narratives that give receivers extended experiences. The present findings may be used as reference data for designing the medium-specific features and visualization for efficient storytelling from the early planning stage of space graphics. In addition, further research will need to study methods of applying each type of visual narrative to a variety of story struct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