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트겐슈타인의 보임에 관한 윤리교육 관점에서의 연구 : 키에르케고르의 간접전달과 비교하여

        변영진(Young-Jin Byun) 한국도덕교육학회 2016 道德敎育硏究 Vol.28 No.3

        이 글에서는 비트겐슈타인의 「논리-철학 논고」와 ‘윤리학에 관한 강의’을 고찰함으로써, 윤리의 보임이 어떻게 가능할 수 있는지 제시하고자 한다. 그를 통해 궁극적으로 키에르케고르의 사상과 비견할 만한 윤리의 간접전달 방법을 밝힐 것이다. 비트겐슈타인은 뜻 있는 언어(명제)의 한계규정을 논리적 문법을 통해 수행한다. 명제의 모든 구성요소들이 구문론적으로 적법하게 사용되는 한, 그것은 뜻 있는 명제이다. 그러한 경우에만 그것은 정당하게, 가능한 사태를 말할 수 있는 명제이다. 반면 명제 속 어떤 구성요소가 구문론적으로 적법하게 사용되지 않았다면, 그것은 가능한 사태를 말할 수 없는 무의미한 명제이다. 우리는 윤리 명제를 통해 절대적 가치를 말하고자(표현하고자) 하지만, 그것은 언어의 오용에 기인한 무의미한 명제이다. 윤리 명제는 절대적 가치를 정당하게 전달하지 못한다. 그러나 절대적 가치는, 우리의 우연적인 삶을 기술하는(말하는) 뜻 있는 명제를 통해 보여질 수 있다. 어떤 명제는 우선 그것이 표현하는 내용, 즉 우리의 우연적인 삶의 모습을 직접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그런데 그 명제는 뜻을 갖기 위해 특정한 필연적인 요소를 내재하고 있어야 한다. 절대적 가치는, 바로 명제가 우연적 삶의 모습을 정당하게 표현하기 위한 필연적 요소이다. 그러므로 우리의 우연적인 삶을 기술하는(말하는) 명제는, 윤리 진술이 표현하고자 하는 절대적 가치를 간접적으로 전달할 수 있을 것이다. By considering Wittgenstein s writings, Tractatus-logico philosophicus and ‘A Lecture on Ethics’ this paper tries to present how the ethics cannot be said by proposition, but only can be shown by it. I will ultimately suggest Wittgenstein s showing of the Ethics is comparable to Kierkegaard s indirect communication of it. Wittgenstein defines the limits of language(proposition) by the logical grammar. He thinks the proposition has sense, so far its all components are used synthetically. If any component of the proposition is synthetically misused, it is the nonsensical proposition. The ethics proposition by which you want to say(express) abut the absolute value is nonsense because of the misuse of language. Therefore you can not communicate the absolute value by the ethics proposition. But the absolute value you want to express(say) in the ethics can be shown by the propositions which can say(express) the accidental aspect of life. The proposition which says some accidental aspect of life has sense. On the one hand you can communicate directly by this proposition what it says(expresses), namely some accidental aspect of life. And on the other hand you can communicate indirectly by it what it must assume in order to have sense, that is to say some absolute value. The showing of the ethics means that it can be communicated only indirectly by the proposition which has sense.

      • KCI등재

        스미스의 도덕감정론에 나타난 도덕법칙

        변영진 ( Byun Young-jin ) 한국윤리학회(구 한국국민윤리학회) 2017 倫理硏究 Vol.112 No.1

        도덕법칙의 근원에 대한 스미스의 논의와 의무감에 대한 그의 논의는 서로 다른 관점, 즉 각각 경험론과 이성론에서 이루어진다. 이 글에서는 그 점을 문제로 삼고 그의 도덕법칙에 대한 적절한 해석을 제시하려고 한다. 스미스는 도덕법칙이 경험을 통해 형성된 결과라고 생각한다. 도덕 감정은 경험에 의해 성립되고, 그 바탕에서 귀납적 일반화를 통해 도덕법칙이 형성된다. 그렇지만 그는 동시에 도덕법칙에 대한 존중, 즉 의무감 규정을 경험론이 아니라 이성론에 따라 탐구한다. 도덕법칙은 결국 신의 명령으로 봐야 하므로 그에 대한 의무감은 절대적이라는 것이다. 그것은 일반적인 스미스 사상 이해와는 다른 낯선 주장이다. 우리는 스미스가 전형적인 경험론자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의 이성론 관점의 주장이 도대체 어떤 이유에서 이뤄진 것이지 스미스 그 자신은 어떠한 해명도 하지 않았다. 이 글은 도덕 감정에 기초한 스미스의 도덕법칙이, 경험론을 통해서는 확증할 수 없는 절대적 효력의 성격을 지니고 있음을 밝힐 것이다. 도덕법칙의 절대적 효력은 그에 대한 절대적 의무감을 요구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그리고 스미스는 절대적 의무감을 그의 이론에서 바탕으로 삼고 있는 이신론과 연계하여 합리적 추론을 통해 도출하려 했음을 보일 것이다. Smith`s discussion of the origin of moral rules and his discussion of the sense of duty are taken from different perspectives, namely empiricism and rationalism. In this article, I will take this point as a problem and present an appropriate interpretation of his moral rules. Smith thinks that the moral rules are the result of experience. Moral sentiments are formed by experience, and on the basis of that, moral rules are formed through inductive generalization. However he explores the respect for moral rules, the sense of duty not by empiricism but by rationalism. Moral rules are ultimately to be viewed as a divine command, so the sense of duty to it is absolute. It is an unfamiliar claim to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Smith`s thought. We generally think that he is a typical empiricist. But Smith did not make any clear explanation of why such an insistence of rationalism is made. I present in this paper that Smith`s moral rules based on moral sentiments have the absolute validity that can not be confirmed through empirical theory. I insist that the absolute validity of moral rules implies the absolute sense of duty. And I argue that Smith tries to derive the absolute sense of duty by rational reasoning in connection with deism based on his theory.

      • KCI등재

        스피노자의 이성주의 윤리와 자유: 칸트의 사상과 연관하여

        변영진 ( Byun Young Jin ) 한국윤리학회 2022 倫理硏究 Vol.137 No.1

        도덕성에 대한 칸트 특유의 이해는 자유의지 개념에서 드러난다. 그가 생각하기에, 우리는 감성의 구속을 극복하고 의지를 통해 이성의 명령에 따름으로써 비로소 자유로울 수 있다. 그러나 비판적 관점에서, 감정이 무시된 도덕기준이 우리 삶에 충분히 적용될 수 있을까? 이 글은 스피노자의 사상에서 해결책을 찾고자 한다. 이성 중심에서 감정도 함께 고려되는 그의 이성주의 윤리학을 논의하겠다. 스피노자의 생각은 궁극적으로 규범윤리가 아니라 덕 윤리로 표출된다. 자유인의 덕성은 정념을 극복할 수 있는 이성적 지혜뿐만 아니라 그와 조화로운 능동감정들로 구성된다. Kant is at the pinnacle of modern rationalist ethics, which is revealed in the concept of free will. In his opinion, you can be free only by overcoming emotional restraints and obeying the commands of reason through the will. But from a critical point of view, can a moral standard that ignores emotions be fully applied in our lives? This article seeks to find a solution in Spinoza's thought. I will discuss his rationalist ethics in which emotions are also considered in the center of reason. Spinoza's thought is ultimately expressed not as normative ethics but as virtue ethics. The virtues of free man consist not only of rational wisdom that can overcome passions(passive emotions), but also active emotions in harmony with him.

      • KCI등재

        아담 스미스의 보편주의와 문화 상대주의 -공정한 관망자를 중심으로-

        변영진 ( Byun Young-jin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8 윤리교육연구 Vol.0 No.50

        이 글에서는, 아담 스미스의 『도덕감정론』에서 보편주의와 문화 상대주의가 함께 드러나고 있음에 주목한다. 스미스는 동일한 저작을 통해, 한편 전통 철학적 관점에서 보편적인 도덕원리를 제시하는 동시에, 또 다른 한편 사회학적 관점에서 문화에 따른 도덕원리들의 상대성을 다뤘다. 한 저작에서 서로 대립되는 두 관점의 주장을 내세우는 것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본고에서는 궁극적으로 이 질문에 답을 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필자는 스미스의 윤리사상에서 도덕성의 기준 또는 도덕원리를 뜻하는 공정한 관망자를 중심으로 탐구할 것이다. 우선 공정한 관망자가 『도덕감정론』에서, 보편주의의 관점 그리고 문화 상대주의의 관점으로 각각 어떻게 이해 될 수 있을지 다룰 것이다. 그리고 상충되는 두 관점을 내포하는 스미스의 윤리사상이 어떻게 종합되어야 할지에 대해 고심하겠다. In this article, we will note that two opposing views, namely, universalism and cultural relativism, are revealed in The Theory of Moral Sentiments written by Adam Smith. He presents in the same writing, the universal moral principles from the philosophical point of view on one hand, and the relativity of moral principles based on culture from a sociological point of view on the other hand. How can we understand the claim of two opposing views in the work? This article will ultimately answer this question. To this end, I explore the impartial spectator which means the standard of morality or the moral principle in Smith's thought. First, I deal with how the impartial spectator in The Theory of Moral Sentiments can be understood in terms of universalism and cultural relativism. And I focus on how Smith's ethical thought, which contains two conflicting perspectives, should be synthesized.

      • KCI등재

        스미스의 도덕감정론에 나타난 유용성과 정의 - 흄의 사상과 연관하여 -

        변영진 ( Byun Young-jin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7 윤리교육연구 Vol.0 No.45

        이 글에서는 스미스의 도덕감정론에 나타난 정의관에 대해 흄의 사상과 연관하여 다룰 것이다. 흄과 스미스에 따르면 행위의 옳고 그름은, 그에 대해 관망자의 관점에서 시인 또는 부인의 감정을 갖는지에 따라 결정된다. 행위의 도덕성 판단의 궁극적 원천은 감정(또는 느낌)에 있다는 것이 그들의 공통된 주장이다. 그런데 정의(정의의 덕)에 대한 도덕 감정(시인의 감정)의 근원을 다루면서 그들의 사상은 확연히 상이한 방향으로 나아간다. 흄은 정의에 대한 시인의 결정적인 근거가 유용성에 있다고 보는 반면, 스미스는 거기서 유용성이 큰 역할을 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논자는 스미스와 흄이 주장하는 도덕 감정으로부터 출발하여, 유용성을 중심으로 양자의 고유한 정의관이 어떻게 형성되는지 고찰하겠다. The starting point of this article is the theory of moral sentiments in Hume and Smith. According to them, the right and wrong of act is determined by whether we have the sentiments of approval or disapproval about the act from the perspective of spectator. Their common assertion is that the ultimate source of moral judgments of act is the sentiments(or feeling). However, their ideas come in distinctly different directions, suggesting the source of moral sentiments about justice(virtue of justice). Hume considers that there is utility(or usefulness) on the basis of the approbation of justice, while Smith thinks that utility does not play a major role there. I deal with the moral sentiments that Smith and Hume argue, and then I discuss what unique justice is developed by both focused on the utility.

      • KCI등재

        비트겐슈타인의 언어 논리와 형이상학

        변영진 ( Young Jin Byun ) 한국논리학회 2013 論理硏究 Vol.16 No.3

        이 글은 비트겐슈타인이 『논리-철학 논고』에서 어떤 언어 논리와 또 어떤 형이상학을 제시하는 지 다룰 것이다. 필자는 궁극적으로 어떻게 그가 언어 논리로부터 형이상학을 근거 짓는 지 밝히려고 한다. 비트겐슈타인이 언어의 한계를 ‘언어 내에서’ 그으려 할 때, 그 언어 논리는 언어의 논리적 구문론이다. 그리고 비트겐슈타인은 논리적 구문론에 대한 사상을 세계의 본질에 대한 이해, 형이상학으로 확장시킨다. 언어(문장)가 가져야 하는 논리적 형식은 세계의 형식(또는 세계의 본질)이고, 그것은 오로지 언어의 논리적 구문론과 더불어서만 확정될 수 있다. 그러나 논리적 형식(세계의 형식)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말 되어질 수 없다’. 왜냐하면 그것을 말하는 명제는 ‘뜻’ 없고, ‘아무것도 말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비트겐슈타인은 논리적 형식(세계의 형식)이 뜻 있는 문장에서 ‘오로지 드러날 수 있다’고 표현한다. 비트겐슈타인이 언어 논리(논리적 구문론)로부터 근거 지으려 하는 형이상학은 신비적일 것이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problem, which logic of language and which metaphysics Wittgenstein suggests in the Tractatus logico-philosophicus. I will ultimately show how he bases the metaphysics on the logic of language. The logic of language by which Wittgenstein sets the limit to the language ‘in the language’ is the logical syntax of the language. And Wittgenstein extends the idea of the logical syntax to the understanding the nature of the world, i.e. to the metaphysics. The logical form the language(proposition) must have is the form of the world(or the nature of the world), and it can be determined only together with the logical syntax of the language. But what is the logical form(form of the world) ‘cannot be said’, since the proposition saying it is devoid of ‘sense’ and ‘says nothing’. Therefore Wittgenstein expresses that the logical form(form of the world) ‘can only be shown’ in the proposition that has sense. The Metaphysics Wittgenstein wants to base on the logic of language(the logical syntax) must be mystical.

      • KCI등재

        흄의 자살론에 대한 윤리적 고찰

        변영진 ( Byun Young-jin ) 한국윤리학회(구 한국국민윤리학회) 2021 倫理硏究 Vol.133 No.1

        자살은 근본적으로 인정할 수 없는 행위일 것이다. 그럼에도 사안에 따라 분명 용인할 수 있는 특정 자살행위가 있지 않을까 생각할 수 있다. 필자는 이에 윤리학적 관점에서 타당한 근거를 제시할 수 있을지 묻고자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흄의 “자살에 관하여” 사상을 본고의 주제로 삼는다. 특히 그의 이전 저작들에 나타난 윤리사상을 통해 “자살에 관하여”에서 자살의 허용가능성을 논의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자살의 도덕적 허용가능성을 두 가지 개념, 즉 자유와 필연의 양립 그리고 덕 윤리에 기초한 도덕 감정을 통해 탐구할 것이다. 필자는 우선 자살이 자유롭고 동시에 필연적인 행위인 경우, 행위당사자에게 그 도덕적 책임을 물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그러나 두 조건(자유와 필연)을 만족한다고 해서 도덕적이라 평가할 수는 없다. 흄의 사상에서 자살의 도덕성은 궁극적으로 시인의 도덕 감정을 통해 결정된다. 특히 자살행위에 대한 시인의 도덕 감정은 당사자의 분별력에 의해 이뤄졌을 때 가능하다는 것이 필자의 주장이다. Suicide would be an fundamentally unacceptable act. Nevertheless, one might think that there are certain suicidal acts that can be tolerated, depending on the case. I would like to ask if you can provide a valid basis for this from an ethical point of view. In this context, I take Hume's thoughts of “Of Suicide” as the subject of this paper. In particular, I discuss the permissibility of suicide through the ethical thoughts shown in his previous works. It is argued that the moral permissibility of suicide can be provided through two concepts, namely the reconciliation of liberty and necessity, and moral sentiments based on virtue ethics. First of all, I think that when suicide is an free and inevitable act, we can hold the moral responsibility of the parties involved. However, satisfying the two conditions(liberty and necessity) cannot be evaluated as moral. In Hume's thoughts, the morality of suicide is ultimately determined through the moral sentiment of approval. In particular, I argue that the moral sentiment of approval toward suicidal behavior is felt when it is achieved by his(or her) prudence.

      • KCI등재

        스미스의 공감과 도덕감

        변영진 ( Byun Young-jin ) 한국윤리학회 2016 倫理硏究 Vol.111 No.1

        이 글에서는 스미스가 공감을 중심으로 도덕감을 어떻게 제시하는지 다룰 것이다. 그를 위해 우선, 도덕감을 가능케 하는 공감 개념을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의미로 구분·정의하겠다. (1) 공감은 타인의 운명에 대한 관심이다; (2) 공감은 타인의 감정에 대한 동료의식 즉, 그 자체로 정념이다; (3) 공감은 타인의 감정과 일치시키고 싶은 욕구 또는 그 욕구의 실현이다. 그런데 스미스에 따르면 도덕감, 즉 시인감과 부인감은 행위의 원인뿐만 아니라 결과 관점에서 종합되어 형성되는 감정이다. 그리고 행위를 발생시키는 근원은 정념(감정)이므로, 행위의 원인과 결과 관점이란 그러한 행위를 불러일으키는 정념의 원인과 결과 관점을 말한다. 따라서 행위의 원인 관점에서 형성되는 시인감과 부인감은 각각 타인의 정념과 일치 또는 불일치, 즉 공감의 성립여부에 뒤따르는 감정을 뜻한다. 다시 말해 시인감은 공감으로 인해 타인의 행위를 적정하다고 느끼는 감정이고, 부인감은 공감이 성립되지 않음으로써 타인의 행위를 부적정하다고 느끼는 감정이다. 그리고 행위의 결과 관점에서 시인감은 감사의 감정인데, 그것이 정당한 시인감이 되기 위해서는 간접적 공감뿐만 아니라 직접적 공감이 필요하다. 또 행위의 결과 관점에서 부인감은 분개의 감정인데, 그것이 정당한 부인감이 되기 위해서는 간접적인 공감이 요구되고 동시에 직접적 공감은 성립되지 않아야 한다. In this paper I will show Smith`s thought, `how moral sentiments are formed by the sympathy`. To this end first of all, I try to propose the various meanings of Smith`s sympathy as follows. (1) the sympathy is the interest in the fortune of others; (2) the sympathy is the fellow-feeling for the feeling of others, that is to say the sympathetic passion; (3) the sympathy is the desire for the coincidence with emotions of others. Then further I try to show that the sympathy plays the crucial role in shaping moral sentiments, namely sentiments of approbation and disapprobation. Smith defines moral sentiments synthetically in two different relations by the sympathy, viz in relation to the cause of action and in the relation of the end of action. In relation to the cause of action, the sentiment of approbation means the positive passion that is realized by accordance with the feelings of others, the sentiment of disapprobation is the negative passion realized by no-accordance with the feelings of others. In the relation of the end of action, the sentiment of approbation means the emotion of gratitude which consists not only in the indirect sympathy but also in the direct sympathy. And the sentiment of disapprobation is the emotion of resentment which consists not only in the indirect sympathy but also in the not-being of the direct sympathy.

      • KCI등재

        스미스의 도덕 판단과 공정한 관망자

        변영진 ( Byun Young-jin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7 윤리교육연구 Vol.0 No.43

        이 글은 스미스의 `도덕 판단`에 관해 `공정한 관망자`를 중심으로 고찰할 것이다. 스미스에 따르면 인간의 행위는 감정에 기인한 결과이다. 그러므로 행위의 옳고 그름은 행위 동기인 감정을 기준으로 판정할 수 있다. 스미스는 도덕감, 즉 시인감과 부인감이 행위를 불러일으키는 감정에 각각 공감함 그리고 비공감함을 통해 형성된다고 생각한다. 우리가 타인의 행위 동기인 감정에 공감한다면 시인의 감정을, 그 감정에 공감하지 않는다면 부인의 감정을 갖게 된다. 도덕감은 도덕 판단의 바탕이 된다. 하지만 그 자체로 행위의 옳고 그름에 대한 도덕 판단이 될 수는 없다. 도덕 판단을 위해서는 공감 또는 비공감의 기준, 즉 공감하거나 비공감하는 주체가 공정한 관망자이어야만 한다. `행위자` 관점에서의 공감(또는 비공감)은 정당한 도덕 판단을 형성할 수 없다. 공정한 관망자는 공감(또는 비공감)에 앞서 도덕 판단을 위해 요구되는 개념이다. 그 개념은 제3자의 입장에서 행위자의 행위를 공정하게 판단할 수 있는 주체를 의미한다. 그러나 공정한 관망자는 사회적으로 합의된 공적 규범에 따르지 않는다. 스미스는 공적인 규범을 도덕성의 기준으로 삼는 관망자를 `외부의 인간`이라 칭하는데, 그것을 통해서는 정당한 도덕 판단에 도달할 수 없다. 구체적 상황에서의 행위에 대한 객관적 판단은 오로지 `내부의 인간`, 즉 공정한 관망자에 의해 가능하다. 나아가 스미스는 `타인의 행위`뿐만 아니라 `자신의 행위`에 대해서도, 그 도덕성을 판단하는 기준은 공정한 관망자에 있다고 생각한다. 공정한 관망자는 우리의 마음속 양심에 해당하지만 그 어떤 형이상학적 개념이 아니다. 그것은 우리 모두가 경험과 습관을 통해 성취할 수 있는 도덕성의 잣대이다. In this article I interpret Smith`s `moral judgment` with `impartial spectator` as its center. According to Smith human action is the result of emotions. Therefore the right or the wrong of actions can be judged based on the emotions which are the motive of actions. Smith thinks that the moral sentiment, namely the feeling of approval or disapproval is formed through sympathy or antipathy(non-sympathy) with the emotions that cause actions. If we sympathize with other`s emotions that motivate the actions, we will have feelings of the approval. And if we do not sympathize with them, we will have that of the disapproval. Though moral sentiment forms the basis of moral judgment, it can not be a moral judgment of the action itself. In order for it to be a correct moral judgment, the criteria of sympathy(or non-sympathy), that is, the subject who is sympathetic(or not sympathetic) must be a impartial spectator. Moral judgments can not be formed through sympathy(or non-sympathy) from the perspective of agent. The impartial spectator is the concept required for moral judgment before sympathy(or non-sympathy). The concept means the subject who can fairly judge the action of the agent from the third position. But the impartial spectator does not conform to the socially agreed public norms. Smith calls to the human being who judges morality by public norms a `man without`, and thinks it can not make a fair moral judgment. The objective moral judgment of an action in a specific situation is only possible by the `man within`, i.e. the impartial spectator. Smith considers the criterion for judging the morality of our own action as well as other`s action to be the impartial spectator. The impartial spectator corresponds to the conscience, but it is not a metaphysical concept. It is a measure of morality that we all can achieve through experience and habi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