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아담 스미스의 경제사상에 관한 연구 : 『국부론』을 중심으로

        백승수 단국대학교 경영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의 세계적인 금융위기는 경제학의 위기라고 할 만큼 전 세계에 크나 큰 충격을 주었다. 전 세계에 걸쳐 초유의 마이너스 성장과 극심한 실업률의 증가가 나타나면서 1980년대 초부터 현재까지 지속되어 온 아담 스미스 고전학파의 현대판 적자인 신자유주의(Neoliberalism) 경제학이 지니고 있는 패러다임에 대한 비판도 가속화되었다. 그리하여 경제위기를 극복하기 위하여 각국 정부는 속속 경제개입을 강화하는 등 케인즈주의로 회귀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스미스가 국부증진의 요인으로 본 분업의 확대와 자본축적 등은 모두 이기심의 확대에 의해 가능한 것으로, 그는 경제발전의 원동력이 이기심에 있음을 분명히 밝히고 있다. 또한 스미스는 이기심의 발로를 통한 경제발전을 위해 대내적으로는 자유방임적 경제정책을, 대외적으로는 자유무역을 주장하였다. 즉 스미스의 철저한 경제적 자유주의는 「보이지 않는 손」의 작용을 방해하지 않기 위한 시민계급의 경제적 자유주의였다. 그러므로 그는 「작은 정부론」을 주장하고 독점과 규제 등을 비판하였다. 스미스의 자유주의 경제사상은 1930년대의 이른바 자본주의의 일반적 위기라고 불리어지는 1930년대의 대공황 직전까지 경제사상사를 지배해 왔으나, 실업과 공황의 원인을 유효수효의 부족 때문이라고 생각한 케인즈에 의해 스미스의 자유주의 경제사상은 도전을 받게 된다. 그러나 케인즈 경제사상은 금융·재정정책에 의한 과도한 정부의 간섭과 정부지출로 인해 민간경제의 자동적 활동능력의 축소를 가져오게 되면서 스미스 경제사상에 대한 복귀운동이 일어나게 되는데, 이러한 사상적 조류는 1980년대 이후의 신자유주의(Neoliberalism)와 WTO체제의 구축으로 나타나게 된다. 그러나 최근 미국에서 촉발된 세계금융위기로 인해 자유방임의 경제사상이 도전받기에 이르렀다. 그리하여 재차 정부의 적절한 경제개입을 요구하는 케인즈 경제사상이 빛을 보기 시작했다. 역사에 영원한 패자와 승자가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경제사상도 윤회하고 있음에 틀림없다. 요컨대 현재의 금융위기를 벗어나기 위한 일환으로서 정부의 경제개입이 효과를 발휘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나, 이것이 만병통치약은 아닌 것으로 생각된다. 과도한 정부의 경제개입이 부작용을 가져올 경우에는 언제라도 스미스 경제사상은 부활하여 그 주어진 역할을 다 할 것으로 보인다. There has been a so-called global monetary crisis in recent years with minus economic growth and severely increasing unemployment all over the world and the criticism over the paradigm of Neoliberalism regarded as a legitimate successor of Adam Smith's Classical school was also accelerated. Thereafter to overcome economic crisis, each government has turned to Keynesian paradigm with some positive government intervention into its economic activities. According to Adam Smith, Division of labour and capital accumulation capable of working by each individual's selfishness was the main causes of national wealth. He also advocated laissez-faire economic policy domestically and free international trade. Namely Adam Smith's economic thought was characterized by economic liberalism of civil class which did not interfere the function of 'invisible hand'. He carried his point of 'Cheap Government' and criticized monopoly and various kinds of regulation. Since 1980s Adam Smith's economic thought has been revived as a form of Neoliberalism and WTO system was established in 1995. This tendency was an counteraction of keynesian economic policy to intervene economic activity with inappropriate and excessive manner. But Neoliberalism itself was also attacked recently and there is a movement to depend on Keynesian economic thought. As we have known well there was no eternal winner and loser in the world, economic thoughts themselves also transmigrated in adapted forms. If adverse effects by excessive government intervention happen, Adam Smith's economic thought will inevitably resurrect with pompous manner.

      • 내부마케팅 요인이 내부고객만족, 조직신뢰,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 내부고객만족이 조직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백승수 위덕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내부마케팅의 중요성과 더불어 내부마케팅을 이용한 종업원의 만족도를 높이는 것이 고객만족(지향성)에 효과적이라는 연구결과가 다양하게 발표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제조업 기반의 중소기업들도 내부마케팅 요인, 내부고객만족, 조직신뢰, 고객지향성에 상호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을 통하여 제조업 기반의 중소기업도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 연구하고, 그 결과를 도출하여 증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특징은 기존의 연구에서는 내부마케팅과 고객지향성에 관한 연구에서 내부고객만족과 조직신뢰를 각 각의 변수 및 부분적으로 사용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이를 통합하여 사용하였으며, 특히 내부고객만족에서 조직신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가 아직 국내에서는 초보적 수준으로 본 연구에서 관계규명을 시도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내부마케팅 요인 중 교육훈련, 보상시스템, 내부커뮤니케이션이 높을수록 내부고객만족이 높다는 가설은 채택되었지만, 경영층지원 및 권한위임의 영향관계는 기각되었다. 이는 기존연구에서 일반적으로 제시되었던 가설검정의 결과로서 본 연구에서 재확인된 것이다. 둘째, 내부마케팅 요인 중 권한위임이 높을수록 조직신뢰가 높다는 가설은 채택되었으나, 교육훈련, 경영층지원, 보상시스템, 내부커뮤니케이션이 높다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이는 설문대상 기업의 대부분은 중·소기업의 종업원으로 82.8%가 10년 미만의 근속기간과 80.8%가 대리 이하의 직급으로 종사하는 기업에 대한 조직신뢰를 갖는 것에 대한 한계가 있을 것이다. 셋째, 내부고객만족이 높을수록 조직신뢰가 높다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이는 현재까지 내부고객만족 변수와 조직신뢰 변수의 상관관계를 연구한 논문이 국내에는 보기 드문 연구로써 조직신뢰를 높이는 효과적인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넷째, 내부고객만족이 높을수록 고객지향성이 높다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이는 지금까지의 연구들에서 일반적으로 수용되는 결과로서 본 연구에서도 재확인된 것이다. 다섯째, 조직신뢰가 높을수록 고객지향성이 높다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이 역시 지금까지의 연구들에서 조직신뢰가 고객지향성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일반적으로 수용되는 결과로서 본 연구에서 재확인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내부마케팅 요인들의 내부고객만족, 조직신뢰, 고객지향성에 대한 간접효과를 추가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내부커뮤니케이션, 보상시스템, 교육훈련은 조직신뢰에 간접효과의 영향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내부커뮤니케이션, 권한위임, 교육훈련은 고객지향성에 간접효과의 영향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경영층 지원은 어떤 변수에도 유의미한 간접효과를 갖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내부고객만족은 고객지향성에 유의미한 간접효과를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diverse results of many recent studies have shown that, in addition to the importance of internal marketing itself in managing businesses, internal marketing is very instrumental in enhancing customer satisfaction (or customer orientation) through the improved employee satisfaction.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analyze the interrelationships among internal marketing elements, internal customer satisfaction, organizational trust, and external customer orientation for the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SMBs) engaged in manufacturing industry, and to suggest the policy implications for the SMBs. In contrast to the existing researches that have employed a partial approach to analyzing the effects of internal marketing elements on external customer orientation, this study has integrated and analyzed the internal customer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trust in a single unified model. Especially, this study, for almost the first time in the literature, analyzes the effect of internal customer satisfaction on organizational trus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it is shown that, among internal marketing elements, training and education, reward system, and internal communication have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internal customer satisfaction. However, the effects of managerial support and delegation of authority on internal customer satisfaction turned out to be insignificant.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ose of previous studies. Secondly, it is found that the delegation of authority positively affect organizational trust. But the other internal marketing elements do not have any significant effects on organizational trust. One of the reasons for these results are as follows: most of the respondents in this study work for the SMBs. Also 82.8 percent of the respondents work for their companies for less than 10 years, and 80.8 percent of them have positions of the acting section chiefs or below. Accordingly it might be presumed that most of the respondents do not have sufficient time and experience of employment with their companies to build up organizational trust. Thirdly, it is confirmed that internal customer satisfaction is positively related to organizational trust, meaning that internal customer satisfaction is one of the effective variables that could enhance organizational trust. This is a novel result of this study that has not been fully sought by any previous domestic studies. Fourthly, the hypothesis that the higher level of internal customer satisfaction leads to the higher level of external customer orientation is accepted,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Fifthly, the hypothesis that the higher level of organizational trust leads to the higher level of external customer orientation is accepted, which is also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Finally, this study analyzes the indirect effects of internal marketing elements on organizational trust and external customer orientation. Also this study analyzes the indirect effect of internal customer satisfaction on external customer orientation. It is confirmed that internal communication, reward system, and training and education have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on organizational trust, and that internal communication, delegation of authority, and training and education have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on external customer orientation. Furthermore, internal customer satisfaction have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external customer orientation. However, it is found that managerial support does not have any indirect effects on either organizational trust or external customer orientation.

      • 의료 정보 공유 환경에서 환자 익명성 보존 프레임워크에 대한 연구

        백승수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In this paper, I have dealt with the issue of information security for medical information sharing. The leakage of the medical information can lead to serious social prejudice and disadvantage to an individual. In this paper, we firstly classify the environment into two categories: information security in a centralized cloud environment and information security based on a blockchain. In addition, I have analyzed not only academics but also some industrial research trends and analyze the threats and threats originating from actual incidents and derive reasonable health information sharing security requirements through the need for medical information security required by law. Next, I propose a cloud-based mobile medical information sharing scheme that guarantees the anonymity of the patient. The scheme uses a wireless cellular network to approach the network unlike the existing research. This has highlighted security issues at the network level rather than at the application level. Last, I suggest a medical information sharing framework that guarantees the privacy of patients by using a blockchain network. The proposed scheme highlighted the issue of information sharing in physician-patient unlinkability by using stealth addresses. And it guarantees the integrity and transparency of the medical record by medical blockchain. The scheme used CP-ABPRE allows the patient to have detailed access control on the medical records and to transfer the access control right even in cases of emergency such as emergency situations. Therefore, this study can help to improve the security of the medical information sharing with several environments.

      • Mossbauer 분광법에 의한 Ni_(0.8)Zn_(0.2)Fe_(2)O_(4)의 물성 연구

        백승수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A ferrite system has a high permeability, a low coercive force, and a small area of hysteresis. Therefore it has been applied a magnetic core and a transformer in an electric circuit. Recently intensive studies have been focused on ferrites which have high magnetic loss due to the increasing need for the prevention of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 A return loss determines characteristics of electromagnetic wave absorber of ferrite. It depends on complex permeability, complex dielectric constant, frequency, and thickness. It is known that a complex permeability and dielectric constant are changed by synthesised conditions. So recent studies were focused on properties of electromagnetic wave absorption according to change the annealing temperature, not much studied on magnetic properties. In this study, because Ni_(0.8)Zn_(0.2)Fe_(2)O_(4) among Ni-Zn ferrites has low initial permeability, it was investigated to synthesis conditions and magnetic properties of ferrite by annealing temperatures. Each sample was synthesised with a various annealing temperatures. As increasing annealing temperature, all of the intensities of XRD peaks for NiO, ZnO, and Fe_(2)O_(3) were reduced, but intensities of XRD peak of spinel ferrites were increased. The coercive field was decreased but magnetization saturation was increased. At annealing temperature 1100℃, good Ni-Zn ferrite was obtained.

      • 한국 고등교육의 교양교육과정 재구조화 연구

        백승수 성균관대학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liberal arts education in Korean higher education has been undergoing lots of changes since 2000s to the extent of being called ‘Liberal Arts Education Movement’. The demands of the state, the market, and the changes of the university itself are being discussed as the background factors of those changes. The state demands social relevance of liberal arts curriculum through policies on regulatory reform and competition promotion as propounding financial support projects on the front. The market strongly influences liberal arts curriculum by suggesting survey on the satisfaction for a university education and the right people for companies. As accepting the demands of the state and the market, the university restructures liberal arts curriculum under the pretext of the enhancement of university competitiveness as a great cause. The mechanism facilitating the restructuring liberal arts education curriculum is developed as orienting towards the values such as generalization of competition, commercialization of university, efficiency of education, and practicality of liberal art education. The state and the market, and the university itself share a mutual understanding of the enhancement of competitiveness and the improvement of excellence in education, and they objectify and lead liberal arts education. The aspects of the restructuring liberal arts curriculum of Korean universities prove their pursuit of specialization within the frame of isomorphism. The isomorphism of liberal arts curriculum is revealed by structure, contents, object, implementation of liberal arts education. First, the domain of liberal arts curriculum is consisted with almost identical domains such as domains of instrumental subjects, distribution requirement subjects, basic major subjects, general education subjects. Second, instrumental and practical subjects occupy significant importance in terms of contents. Third, the object of liberal arts curriculum shows similar tendency. Fourth, a separate organization in charge of liberal art education is established for implementing liberal arts curriculum. Korean universities, meanwhile, pursue the specialization of liberal arts education. The types of specialization can be classified into discipline-centered liberal arts curriculum and general education-based liberal arts curriculum pursuing liberal subjects, and vocational education-centered liberal arts curriculum and competency-based curriculum pursuing practical subjects. The discipline-centered liberal arts curriculum is typical liberal arts education implemented by most universities. The general education-based liberal arts curriculum reinterprets the values of general education which is the prototype of liberal arts education, and applies them into the current situation. The vocational education-centered curriculum reflects realistic situation which utilizes graduate employment rate as a key indicator of judging the achievement of a university education.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being emerged lately applies a competency discourse to liberal arts education of universities as the concept of competency as regarded overall abilities for successful life in a modern society is getting the spotlight. The aspects of restructuring liberal arts education of Korean universities reveal several limits although liberal arts education movement is arising and the restructuring liberal arts education is being variously progressed. First, the ideology of restructuring liberal arts education is insufficient. The intensive academic studies on the idealized direction and model of liberal arts education are not sufficient. Second, the soundness and integrity for the subject of restructuring liberal arts education in universities are not secured. The philosophy and mind of liberal arts education should be established by the university itself prior to the demands of the state and the market. Third, there is ‘double misunderstanding of category’ of liberal arts education in universities. Confusing major curriculum and liberal arts curriculum, and mixing up ‘liberal arts education in higher education’ and ‘liberal education in secondary education’ cause serious problems. Fourth, the restructuring should be developed under the consideration of securing educational condition for realizing the purpose of liberal arts education. Fifth, the restructuring liberal arts education should be activated by the direction of creating alternative model in terms of future-oriented liberal arts education. The restructuring liberal arts curriculum should be developed in the direction of establishing new paradigm for 21st century liberal arts education of Korean universities. Also, unique liberal arts education should be created by the restructuring liberal arts curriculum of Korean universities as pursuing universal ideology of a university education. Key words : Liberal arts education, Restructuring of liberal arts curriculum, Restructuring mechanism, Isomorphism, Specialization, higher education 2000년대 이후 한국 고등교육의 교양교육과정은 ‘교양교육운동’이라고 일컬을 정도로 많은 변화를 겪고 있다. 그 변화의 배경으로 논의되고 있는 것이 국가와 시장의 요구이며 대학 자체의 변화이다. 국가는 고등교육 재정지원 사업을 전면에 내세우고 규제개혁 정책과 경쟁촉진 정책을 통하여 교양교육과정의 사회적 적실성 제고를 주문하고 있다. 시장은 대학교육 만족도 조사, 기업체가 바라는 인재상 등을 제시하면서 교양교육과정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대학은 국가와 사회의 요구를 수용하면서 대학 경쟁력 제고라는 대의를 앞세워 교양교육과정을 재구조화하고 있다. 이러한 교양교육과정의 재구조화를 촉진하는 메커니즘은 경쟁의 일반화, 대학의 상업화, 교육의 효율화 그리고 교양의 실용화의 가치를 지향하면서 전개된다. 국가와 시장 그리고 대학 자체가 경쟁력 강화와 교육 수월성 제고를 위한 의지를 투합하면서 교양교육과정을 대상화하여 이끌어가고 있다. 한국 대학에서 나타나고 있는 교양교육과정 재구조화의 양상구조는 동형화의 틀 속에서 특성화를 지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양교육과정의 동형화는 교양교육과정의 구성, 내용, 목표, 운영 등의 측면에서 나타난다. 첫째 교양교육과정 영역을 기초적인 도구과목영역, 배분이수영역, 전공기초영역, 일반교양과목영역으로 대동소이하게 구성하고 있다. 둘째, 내용적인 측면에서 도구과목, 실용과목이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셋째, 교양교육과정 목표에 있어서도 유사한 경향을 나타낸다. 넷째, 교양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별도의 교양교육과정 담당기구를 설치하고 있다. 한편으로는 한국 대학들은 교양교육과정의 특성화를 추구한다. 특성화 유형은 자유로운 교과를 지향하는 학문중심교양교육과정과 자유교육기반교양교육과정, 유용한 교과를 지향하는 직업교육중심교양교육과정과 역량기반교양교육과정으로 유형을 구분할 수 있다. 학문중심교양교육과정은 대부분의 대학에서 운영하고 있는 대표적인 교양교육과정이다. 자유교육기반교양교육과정은 교양교육의 원형인 자유교육의 교육적 가치를 현대적 상황에 맞게 재해석하여 적용하려는 교육과정이다. 직업교육중심교양교육과정은 대학교육의 성취를 가늠하는 지표로써 졸업생 취업률이 제 1 순위로 활용되고 있는 현실적 상황을 반영한 교육과정이다. 최근 부각되고 있는 역량기반교양교육과정은 현대 사회의 성공적 삶을 위한 총체적 능력으로 역량 개념이 각광을 받으면서 대학교양교육에 역량 담론을 적용하는 경우이다. 교양교육운동이 발흥하고 교양교육의 재구조화가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지만, 한국대학교양교육과정의 재구조화 양상구조는 여러 한계를 노정하고 있다. 첫째, 교양교육 재구조화의 이념이 빈곤하다. 교양교육이 나아갈 방향과 바람직한 모델에 대한 치열한 학문적 탐구가 부족하다. 둘째, 교양교육과정 재구조화의 주체에 있어서 건강성과 건전성을 확보하고 있지 못하다. 국가와 시장의 요구 이전에 대학 자체적으로 교양교육의 철학과 정신을 정립하여야 한다. 셋째, 대학교양교육과정에 대한 ‘이중의 범주 착오’가 일어나고 있다. 전공교육과정과 교양교육과정을 혼동하고 고등 교양교육과 중등 교양교육을 혼동하는 경우로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넷째, 교양교육과정 목적 실현을 위한 교육여건 확보 측면을 함께 고려하는 재구조화가 되어야 한다. 다섯째, 교양교육과정의 재구조화는 미래지향적인 교양교육의 관점에서 대안적 모델을 창출하는 방향으로 적극화되어야 한다. 교양교육과정의 재구조화는 한국 대학의 21세기 교양교육 패러다임을 구축하는 방향으로 나가야 한다. 대학 교육의 보편적 이념을 지향하면서 한국 고유의 대학교양교육과정을 창출해 나가야 할 것이다. 주제어 : 고등교육, 교양교육과정, 교양교육과정 재구조화, 동형화, 특성화

      • 중학교 체육수업에서의 스포츠맨십 내면화 과정 및 요인 탐색

        백승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학생들은 스포츠클럽, 정규 체육수업 등 다양한 방식을 통해 스포츠에 입문하게 된다. 스포츠에 입문하는 학생들은 스포츠에 내포되어 있는 ‘경쟁’이라는 요소에 대해 ‘승리’의 가치만을 추구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스포츠에의 입문은 옳지 않은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교육적 노력이 필요한데, ‘스포츠맨십 교육’이 하나의 해답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스포츠맨십이 내면화된 상태를 알아보고, 그 상태에 이르는 과정을 살펴본 후, 그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수업 방법상의 요인을 탐색해보고, 내면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남학생과 여학생 간의 차이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사중심적 통합적 접근 방식의 다양한 수업 방법을 적용하여 학생들의 스포츠맨십 내면화 과정을 살펴보고, 각 수업 방법 요인들이 내면화 과정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알아보았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스포츠맨십이 내면화된 상태란 무엇인가?, 둘째, 학생들에게서 보여 지는 스포츠맨십의 내면화는 어떠한 과정으로 이루어지는가?, 셋째, 스포츠맨십 내면화에 영향을 미치는 수업 방법상의 요인은 무엇인가?, 넷째, 스포츠맨십 내면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남학생과 여학생 간의 차이는 무엇인가? 의 네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의 해결을 위해 스포츠맨십의 덕목을 선정하고, 그것을 실천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들을 준비하였다. 거시적 수업 방안으로써 ‘학습화․운동화․사회화의 방안’들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학생들이 스포츠를 배워나가는 상황을 설정하였으며, 그에 따른 미시적 수업 기법으로 습관화를 위한 ‘지시, 반복설명, 칭찬카드’, 인지화를 위한 ‘실천록, 가치토론’, 심성화를 위한 ‘솔선수범, 행동판단, 분위기, 영상자료, 읽기자료’를 통하여 수업을 진행하였다. 연구자 본인의 수업을 지속적으로 관찰 및 촬영하였고, 연구 참여자 4명과 지속적으로 비구조화된 면담과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개방형 설문지를 통하여 수업을 듣는 다른 학생들(220명)의 의견을 수집하였으며, 서사중심적 통합적 접근 방식의 수업자료(보기자료, 읽기자료 등)를 통해 나타난 자료(스포츠맨십 실천록, 스포츠맨십 UCC, 사진 등)를 수집하였다. 자료는 지속적으로 분석하고 해석하여, 연구 참여자 및 전문가와 함께 검토의 과정을 거쳤다. 이상의 연구 과정을 통해 얻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포츠맨십이 내면화된 상태란 스포츠맨십의 의미를 이해하고, 스포츠맨십의 적용 영역을 확장하며, 스포츠맨십의 행동양식을 개념화하고, 내적동기에 의한 실제적 실천이 이루어지며, 모든 곳에서의 실제적 실천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둘째, 스포츠맨십의 내면화는 ‘비인식기 - 개념화기 - 실천화기 - 내면화기’의 과정을 거쳐서 이루어진다. 스포츠맨십의 내면화는 ‘비인식기 - 개념화기 - 실천화기 - 내면화기’의 과정을 통해서 나타나지만, 이것이 순차적인 과정은 아니다. 스포츠맨십 교육에 의해 스포츠에 재입문하게 되어 개념화기, 실천화기, 내면화기에서의 내적 반응들이 서로 영향을 주어 각 시기의 특징들을 강화해주는 비연속적이며, 상호보완적인 과정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스포츠맨십의 내면화 과정은 거시적 수업 방안과 미시적 수업 기법에 영향을 받는다. 각각의 거시적 수업 방안들과 미시적 수업 기법들은 내면화 과정에 영향을 주어 내면화 과정에서의 특징들 - 개념화기(스포츠맨십의 의미 이해, 스포츠맨십의 적용 영역 확장, 실천을 위한 동기부여), 실천화기(실제적 실천, 내적 동기의 향상, 일상생활에서의 실천), 내면화기(관계의 형성, 공동체에 대한 생각) - 을 형성해나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스포츠맨십 내면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남학생과 여학생의 차이는 거시적 수업 방안에서는 운동화와 학습화 방안에서, 미시적 수업 기법에서는 솔선수범과 칭찬카드에서 나타났다. 스포츠맨십 내면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남학생과 여학생은 거시적 수업 방안에서 모두 ‘사회화 방안’이 가장 도움이 된다고 하였으며, 그 외의 방안에 대해서 여학생은 ‘학습화 방안’이, 남학생은 ‘운동화 방안’이 스포츠맨십 내면화에 더욱 도움이 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미시적 수업 기법에 대해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영상자료’가 스포츠맨십 내면화에 가장 도움이 된다고 하였으며, 그 외의 기법에 대해서 남학생은 선생님의 ‘솔선수범’이, 여학생은 보상으로서의 ‘칭찬카드’가 스포츠맨십 내면화에 많은 도움이 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 및 논의를 바탕으로 스포츠맨십 교육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스포츠맨십의 각 가치덕목이 어떻게 형성되는가를 알아볼 필요가 있다. 둘째, 스포츠맨십 교육을 위한 다양한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스포츠맨십을 가르치는 데 필요한 교사의 자질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봐야 할 것이다. 넷째, 스포츠맨십을 내면화하는 남학생과 여학생의 차이에 관한 심층적인 이해가 필요하다. 다섯째, 스포츠맨십 교육을 위한 정책적 지원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 제조업 협력사업장의 재해예방 활성화를 위한 연구 : 안전문화에 따른 근로자의 안전행동을 중심으로

        백승수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사고사망만인율은 2021년 기준 0.43‱로 8년째 0.4~0.5‱ 수준에서 정체되고 있으며, 매년 800명 이상이 사고로 사망하고 있다. 이 중 건설업과 제조업에서 중대재해의 72.6%가 발생하고 있으며, 원·협력사업장 관계 에서 협력사업장의 사망사고가 약 40% 수준(2017~2021년 기준)을 차지하고 있다. 사 고의 유형별은 추락(42.4%), 끼임(11.5%), 부딪힘(8.7%)이 사고전체의 62.6%를 차지하 고 있으며, 지난 20년간 50~60%로 고착화 되어있다. 이런 재해는 기본적인 안전수칙 준수만으로 예방할 수 있는 재해로, 아직도 현장에서는 기본적인 안전수칙이 잘 지 켜지지 않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중대재해를 감축시키기 위해서는 재해가 다발하는 건설업과 제 조업에 대하여 집중하여야 하며, 그 중 원청에 비해 열악한 환경을 가질 것으로 예상 되는 협력사업장에 대하여 중대재해를 어떻게 감축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Rouse 등의 연구에 따르면 현장의 산업재해는 다수가 휴먼에러에서 발생되고 있다 (Rouse & Rouse, 1983). 따라서 소속 근로자가 안전수칙을 준수하는 등 안전행동이 이루어져야하나, 일반적인 근로자의 행동은 개인적인 특성이 반영되므로 바꾸기 어렵다. 그러나 조직 내의 개인적인 특성은 그 조직문화의 영향을 받아 변하게 된다. 근로자의 안전행동도 조직의 안전문화의 영향을 받아 개인적인 특성의 영향 정도가 약해지기 때문에 안전문화 활성화로 인한 근로자의 안전행동을 유도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에서 실시한 『2021년도 산업안전보건 실태 조사』를 통하여, 협력사업장의 안전문화의 하위개념인 경영진의 리더십, 안전소통, 교육 및 제도가 근로자의 안전행동에 주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특히, 협력사업장의 안전문화가 소속근로자의 안전행동수준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현장에서 사업장 의 생산과 관련되는 업무와 그 소속 직원을 직접 지휘ㆍ감독하는 관리감독자의 역 량, 사업장 스스로 유해·위험요인을 파악하고 위험성을 낮추기 위해 적절한 조치 를 마련하고 실행하는 위험성평가의 개선노력도, 그리고 원청의 협력사업장에 대한 안전지원 정도가 작용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협력사업장의 안전문화, 위험성평가 개선노력도 및 관리감독자의 역량은 소속 근 로자의 안전행동에 정(+)의 영향을 주었으며, 협력사업장의 안전문화가 소속 근로자의 안전행동에 영향을 주는데 있어, 위험성평가 개선노력도와 관리감독자의 역량은 매개작용을 하였다. 원청의 안전지원은 협력사업장의 안전문화, 관리감독자의 역량 및 소속 근로자의 안전행동에 정(+)의 영향을 주었으며, 원청의 안전지원이 소속 근로자의 안전행동에 영향을 주는데 있어, 협력사업장의 안전문화와 관리감독자의 역량은 매개작용을 하였다. 따라서, 협력사업장의 재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협력사업장의 안전문화가 활성화 되어야 하며, 위험성평가에 따른 유해·위험요인의 개선과 관리감독자의 역량 강화 등 안전보건역량을 강화하여야 한다. 또한 원청의 협력사업장에 대한 안전지원은 협력 사업장 안전문화 활성화에 도움이 될 뿐 아니라, 관리감독자의 역량 강화에 도움이 되어, 협력사업장 소속 근로자의 안전행동 강화에 따른 재해예방 효과가 발 생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협력사업장의 특성 분석과 안전문화와 안전행동의 연구를 통해 협력사업장의 재해예방에 작은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 Keywords : 협력사업장, 안전문화, 경영진의 리더십, 안전소통, 교육 및 제도, 안전행동, 관리감독자의 역량, 위험성평가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