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반적인 인지기능 평가 검사로서의 Mini-mental state examination과 Hasegawa's dementia scale의 특성 비교:문항반응이론의 적용 : 문항반응이론의 적용

        박아람 翰林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item and test characteristics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 Folstein & McHugh, 1975) and the Revised Hasegawa's Dementia Scale (HDS-R; h-nai & Hasegawa, 1994) based on the item response theory. The MMSE and the HDS-R have been widely used in the clinical and research fields as general cognitive assessment scales. For this study, the Korean version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K-MMSE Kang, Na, & Han, 1997) and the Korean version of Revised Hasegawa's Dementia Scale (K-HDS-R Kang, Na, Son, Jung, & Lee, 1999) were used. The subjects were 567 community-dwelling elderly (CE), 55 Alzheimer's disease patients (AD), and 61 vascular dementia patients (VaD). Among the CE, 358 were randomly selected as a comparison group (CG) to be compared with the dementia patients. The CG, AD, and VaD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in mean age or years of education. The seventies of dementia assessed by Clinical Dementia Rating (Hughes, Berg, Danziger, Coben, & Martin, 1982) were not different between AD and VaD. BILOG-MG (Zimowski, Muraki, Mislevy, & Bock, 1996) was used for the analysis. The estimation of item parameters was done using 2-parameter logistic model and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method. It was found that most items of the K-MMSE and the K-HDS-R were included in "easy level" in the item difficulty and "appropriate level" in the item discrimination, indicating that the both scales are sensitive to discriminate the low range of ability. The test information curves of the K-MMSE and the K-HDS-R also showed that both scales measured the low range of ability (about -1.0 on the continuum of ability) most accurately without measurement error. These results suggest that both the K-MMSE and K-HDS-R are good measures for screening the dementia patients.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the K-HDS-R is sensitive to detect both the AD and the VaD, while the K-MMSE is sensitive to detect only the AD. The test characteristic curves showed that although both scales maintained the linearity in the low and the middle range of ability, their linearity was weaker in the high as well as the very low range of ability. The linearity of the K-HDS-R was a little bit stronger than that of the K-MMSE. In sum,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K-HDS-R would be more useful for screening the dementia patients than the K-MMSE, although the K-MMSE and the K-HDS-R were very similar in the item and the test characteristics. 본 연구는 문항반응이론(Item Response Theory: IRT)을 사용하여 임상 및 연구 장면에서 널리 사용되는 선별검사인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 Folstein, Folstein, & McHugh, 1975)과 Revised Hasegawa's Dementia Scale(HDS-R: Imai & Hasegawa, 1994)의 문항 및 검사 특성을 분석하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판 점사인 Korean version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K-MMSE: 강연욱, 나덕렬, 한승혜, 1997)과 Korean version of Revised Hasegawa's Dementia Scale(K-HDS-R: 강연욱, 나덕렬, 손귀령, 정진상, 이광호, 1999)이 사용되었다. 연구에 참가한 피검자는 지역사회 노인 567명, 알쯔하이머병 치매환자(이하 AD라 칭함) 55명, 혈관성 치매환자(이하 VaD라 칭함) 61명이었고, 지역사회 노인 중에서 AD 집단 및 VaD 집단과 연령 및 교육년수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368명의 "지역사회노인 비교집단"을 무선표집하여 치매집단과 비교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치매집단에게 Clinical Dementia Rating(CDR; Hughes, Berg, Danziger, Coben, & Martin, 1982)을 실시한 결과 치매의 심각도에서 AD 집단과 VaD 집단 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과분석을 위하여 BILOG-MG(Zimowski Muraki, Mislevy, & Bock, 1996)를 사용하였고 2모수 로지스틱 모형과 최대우도추정법을 사용하여 문항모수를 추정하였다. 연구 결과, K-MMSE와 K-HDS-R의 대부분의 문항들이 쉬운 수준의 난이도와 적절한 수준의 변별도를 나타내는바 두 검사 모두 하위 능력수준을 잘 변별하고 있다고 사료되었다. 또한 K-MMSE와 K-HDS-R의 검사 정보 곡선을 검토한 결과, 두 검사가 모두 낮은 능력수준(능력 연속체에서 -1에 해당)을 측정의 오차 없이 가장 정확하게 측정하고 있다고 판단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K-MMSE와 K-HDS-R이 치매환자를 선별하기 위한 선별도구로서 적합하다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결과는 K-MMSE가 AD 집단의 변별에만 민감한 것에 반하여, K-HDS-R은 AD 집단과 VaD 집단 모두의 변별에 민감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선형적 측정 특성과 관련하여 검사 특성 곡선을 검토한 결과는 두 검사 모두 낮은 능력 범주에서는 선형적인 측정이 이루어졌으나 아주 낮은 능력 범주와 상위 능력 범주에서는 선형성이 약화된다는 점을 나타냈고, K-MMSE보다 K-HDS-R이 보다 선형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요약하면, 이러한 결과는 두 검사들이 보이는 문항 및 검사특성이 상당히 유사하지만, 치매 환자를 선별하는데 있어서K-MMSE보다 K-HDS-R이 유용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 평가염려/개인기준 완벽주의성향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 인지적 정서조절방략의 매개효과

        박아람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평가염려 완벽주의, 개인기준 완벽주의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를 알아보고, 완벽주의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방략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 지역 3개의 4년제 대학교의 대학생 39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고, 총 350명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은 PASW statistics 18.0과 Mplus 5.0을 활용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의 유의성은 부트스트랩(Bootstrap) 방식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평가염려 완벽주의는 인지적 정서조절방략, 심리적 안녕감과 유의미한 부적 관계가 있는 반면, 개인기준 완벽주의는 인지적 정서조절방략, 심리적 안녕감과 유의미한 정적 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인지적 정서조절방략은 심리적 안녕감과 유의미한 정적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한 분석결과 인지적 정서조절방략은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부적으로, 개인기준 완벽주의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는 정적으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트스트랩 검증에서 인지적 정서조절방략의 간접효과가 유의미하여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심리적 안녕감, 개인기준 완벽주의와 심리적 안녕감을 부분 매개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완벽주의의 차원에 따라 심리적 안녕감의 수준이 다를 뿐만 아니라 완벽주의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방략이 매개함을 확인해 주었다. 이는 상담 및 임상현장에서 완벽주의성향에 따라 적절한 인지적 정서조절방략을 사용하도록 개입할 근거를 제시하였고, 이를 통해 심리적 안녕감이 향상될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과 의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 국내 플라워카페 디스플레이의 감성 선호도 분석 연구

        박아람 경희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possibility of future flower cafe and basic materials of flower cafe display by conducting a comparative study on the present conditions of display, preference, and the language of sensibility adjectives targeting flower cafes, located in Gangnam-gu, Seoul. It chose study methods of field research, literature survey, and questionnaire survey. Put simply, it identified the present condition of flower cafe display by choosing flower cafe, located in Gangnam-gu through visit survey, and used experimental films as materials for a questionnaire survey. In the first place, literature survey on domestic academic journals, dissertations, and magazines, and preliminary research on flower cafe executives, florists, and instructors were conducted. Experimental slides for the study were under the standards of <Facade>, <Window>, <Product display>, <Color>, <Lighting>, <P.O.P>, <Props> based on composing factors of indoor and outdoor space display, presented in the 'Display Marketing' by Sim Nak Hun (2010). Based on these things, it proceeded study methods by using 5-Point Likert Scales and 7-Point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Data, obtained by questionnaire surveys were analyzed and schematized by using statistical programs (Excel, SPSS 18.0). It collected data in regard to the recognition on flower cafe, demographic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measuring views about display, display preference by using experimental slides, and mean value on the analysis of sensibility language. In addition, it conducted a difference verification, a factor analysis, and a comparative analysis of groups in regard to regression analysis. Analysis results on the recognition about flower cafe demonstrate that most subjects knew flower cafes and they responded that display would affect sales. The most intriguing thing is that subjects tended to prefer production display to other display factors. In particular, they predicted operation possibility of flower cafe positively. Most subjects took a considerably high interest in flower cafe, and their preference for a visit was improved. The most preferred display factor was <props> presented by C cafe, which is one of general groups, and sensibility language was 'wide-narrow' by B cafe, which is the latent user group. The lowest preferred display factor was <props> by E cafe, which is the expert group, and sensibility language was 'wide-narrow' by C cafe, which is the latent user group. It is demonstrated that subjects showed differences in preference of props and sense of size. The mean value of preference of the expert group and the user group appeared to be low in comparison with general people and latent users. In particular, expert user group had a strong tendency of preferring a particular cafe to other study subjects. Difference verification on display preference and sensibility language was conducted. Study results of this verification were consistent with the hypothesis that preference of the expert group is low in comparison with general group because the expectation of the expert group on flower cafe is higher than that of general group. In addition, distinct difference of groups was seen in factor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is demonstrates that the perspectives of exert group rather than general group, and user group rather than latent user group on flower cafe display are different.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visual preference in flower cafe display. It was evaluated that <P.O.P> of the expert group has a more visual effect on flower cafe display relatively. To identify the effect on sensibility languag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Analysis results show that <Factor of size>receives more visual attention on flower cafe. <Factor of size> is comprised of 11 variables: affluent-destitute, strong-weak, colorful-plan, fresh-stale, dynamic-static, modern-traditional, wide-narrow, romantic-realistic, luxurious-vulgar, refined-rustic, and female-masculine. Therefore, systematic plan on flower cafe that can attract the customer satisfaction is required in terms of coziness and convenience of space, which belong to <factor of size> and sensibility as well as promoting the using rate and consumption of flower cafe in planning of flower cafe display. In addition, appropriate plan of operation is required to improve the qualitative level of shop by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display, expressing the individuality of flower cafe, delivering the information of product, and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P.O.P>, which can play the role of advertisement. 본 연구는 서울시 강남구에 위치한 플라워카페 중에서 디스플레이에 대한 현황 및 선호도와 감성 형용사 언어를 비교·분석하여 향후 플라워카페의 가능성과 디스플레이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현장 방문조사와 문헌조사, 설문조사의 방법을 실시하였다. 현장 방문조사를 통하여 강남구에 위치한 플라워카페 디스플레이 현황을 파악하고 실험용 슬라이드를 촬영하여 설문조사를 위한 자료로 사용되었다. 설문조사는 국내 학술지 및 학위논문과 잡지를 통한 문헌조사와 플라워카페 경영자, 플로리스트, 강사 등 예비 조사를 실시한 후 본 연구를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를 위한 실험용 슬라이드는 심낙훈(2010) ‘디스플레이 마케팅‘에서 제시한 실내외 공간 연출의 구성요소를 바탕으로 <파사드>, <윈도>, <상품연출>, <색채>, <조명>, <P.O.P>, <소품>을 기준으로 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5단계의 리커트 척도(Likert Scale)와 7단계의 의미 분별 척도(Semantic Differential Scale : SD scale)를 이용하여 연구방법을 진행하였으며, 설문을 통하여 얻어진 데이터는 통계프로그램 (Excel, SPSS 18.0)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도표화·도식화 하였다. 플라워카페의 인지도 및 인식, 디스플레이에 대한 견해를 측정한 인구통계학적 분석과 신뢰도 분석, 실험용 슬라이드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선호도와 감성 언어 분석에 대한 평균치를 집계하고 차이검증 분석, 요인분석, 회귀분석에 대한 군집간의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플라워카페에 대한 인지도를 분석한 결과, 피험자 대부분이 플라워카페에 대해 알고 있었으며 디스플레이가 매출에 영향을 미칠 것 이라고 응답하였다. 가장 흥미 있는 디스플레이 요소는 상품연출을 선호하였으며, 플라워카페의 운영가능성을 긍정적으로 예측하였다. 피험자 대부분은 플라워카페에 대한 관심이 많았으며 방문에 대한 선호도가 향상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최고의 선호를 보인 디스플레이 요소는 일반인그룹의 C카페의 <소품>으로 나타났고, 감성 언어는 잠재이용자 그룹의 B카페 ‘넓은-좁은’ 으로 나타났다. 최저의 선호를 보인 디스플레이 요소는 전문가그룹의 E카페의 <소품>으로 나타났고, 감성 언어는 잠재이용자 그룹의 C카페 ‘넓은-좁은’ 으로 나타났다. 피험자는 소품과 규모감에서 선호의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일반인과 잠재이용자보다 전문가와 이용자 그룹의 대한 선호도 평균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요소별로 다양한 카페를 선호하는 일반인·잠재이용자 그룹과는 달리 전문가·이용자 그룹은 연구 대상지 중 특정카페를 선호하는 경향이 강했다. 디스플레이 선호도와 감성 언어에 대한 차이검증을 실시한 결과, ‘일반인 집단 보다 전문가 집단이 플라워카페의 기대치가 더 높을 것으로 예상하기 때문에 선호도가 낮게 측정될 것 이다’라는 가설설정과 일치하였고 요인분석과 회귀분석에서도 집단 간의 상이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일반인그룹보다 전문가그룹이, 잠재이용자그룹 보다 이용자그룹이 플라워카페 디스플레이를 보는 관점이 다른 것으로 판단된다. 플라워카페 디스플레이에 시각적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문가 그룹의 <P.O.P>가 플라워카페 디스플레이에 대한 시각적 영향을 상대적으로 더 미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감성언어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문가 그룹의 <규모감 인자>가 플라워카페에 대한 시각적 관심을 더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규모감 인자>는 ‘풍부한-빈곤한’, ‘강렬한-연약한’, ‘화려한-소박한’, ‘신선한-신선하지 않은’, ‘동적인-정적인’, ‘현대적인-전통적인’, ‘넓은-좁은’, ‘낭만적인-현실적인’, ‘고급스러운-저급스러운’, ‘세련된-촌스러운’, ‘여성적인-남성적인’ 으로 11가지 변수로 이루어졌다. 따라서 플라워카페 디스플레이 계획 시, 경영자는 플라워카페의 이용률과 소비를 증가시키는데 도모하고 <규모감 인자>에 해당하는 공간의 쾌적성과 편리성, 감성을 고려하여 정서적으로 소비자에게 만족도를 이끌어 낼 수 있도록 플라워카페의 체계적인 계획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또 디스플레이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매장의 개성을 표현하며 플라워카페와 상품의 정보를 전달하고 광고의 역할을 하는 <P.O.P>의 특성을 반영하여 보다 쉽게 구입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매장의 질적 수준이 소비자를 만족시키도록 적극 반영하는 운영계획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 초등 신규교사의 학급경영 관련 실천적 지식 형성에 대한 자서전적 성찰

        박아람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교사는 복잡한 교실 상황에서 학급을 경영할 때, 책이나 강의를 통해 쌓아온 이론적 지식을 그대로 적용하기 보다는 현재의 상황에 맞도록 구성된 자신만의 지식을 사용하게 된다. 즉, 그 지식은 교사 자신이 자신의 경험과 가치관, 교육관 등을 종합하여 재구성한 교사 자신의 실천적 지식이라고 할 수 있다. 신규교사는 교실이라는 고립된 공간 안에서 자기 사회화를 거쳐 실천적 지식을 구성해 나가며, 신규교사가 경험하고 얻게 되는 처음 한 두 해 학급경영 관련 실천적 지식은 교사의 교직 생활 전체의 학급경영에 영향을 줄 만큼 영향력이 크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자서전적 성찰을 통해 초등 신규교사가 학급경영과 관련하여 실천적 지식을 습득하고, 그것을 활용하는 경험의 실체를 드러내는데 있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제시하였다. 첫째, 초등 신규교사의 학급경영에 대한 실천적 지식은 무엇인가? 둘째, 초등 신규교사의 학급경영에 대한 실천적 지식을 형성하는 원천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 사용한 연구방법은 Pinar의 자서전적 연구방법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후향, 전향, 분석, 종합의 네 단계를 거쳐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주된 연구 자료는 연구자가 2011년-2012년 2년 동안 학급경영을 하면서 작성한 학급경영 일지이며, 연구 자료 분석은 전사, 내용별 범주화 및 범주 주제 생성, 주제 성분에 대한 설명 세 단계를 거쳐 수행되었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타당도 및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해 ‘삼각측정법’ 중 연구자의 통합 방법을 활용하였다. 자서전적 연구방법을 통해 도출된 연구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신규교사의 학급경영에 대한 실천적 지식은 다음과 같다. 연구자는 처음 학급을 경영할 때 실천적 지식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었으며 어려움의 실체를 규명하고자 자서전적 연구방법에 의해 학급경영 일지를 분석했다. 그 결과 어려움은 크게 네 가지로 분석되었다. 첫째, 연구자는 ‘나만의 색깔을 내는 학급을 만들고 싶은 욕심’으로 인해 통일된 문화를 지향하는 동료 교사와 마찰을 겪었으며, 둘째, 학생들의 발달 단계를 인식하지 못하여 학생들을 이해하지 못하였다. 셋째, 항상 모든 측면에서 완벽한 반이 되고자 노력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마지막으로 학급경영과 행정업무를 병행하는 과정에서 과중한 행정업무로 인해 학급경영 시간을 침해 받는 문제를 겪기도 하였다. 연구자는 어려움 극복을 위해 다음과 같은 노력을 하였다. 먼저 연구자는 어려움이 생길 때마다 동료 교사에게 도움을 요청하여 해답을 얻고자 하였다. 그리고 연구자는 부족한 부분이 있을 때마다 관련 연수를 받았으며, 연수 시 얻은 지식을 학급경영에 적용하려고 노력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자는 학급경영 일지를 기록하며 연구자의 실천적 지식을 분석하고 반성하는 시간을 가짐으로써 보다 나은 교사가 되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위와 같이 어려움을 극복하려고 노력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실천적 지식을 형성하였다. 연구자의 실천적 지식을 학급경영 영역별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자가 형성한 교수·학습 영역에 대한 실천적 지식은 ‘학생들에게 새로운 배움의 기회를 제공해 주기 위해, 교사는 정규 교육과정 외에 다양한 활동을 기획하고 진행하여야 한다’이다. 생활 지도 영역에 대한 실천적 지식은 ‘학생들의 행동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시키기 위해 교사는 학생들을 긍정적인 시선으로 바라보아야 한다.’와 ‘교사는 학생 스스로 협의에 의해 규칙을 정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이다. 특별 활동 영역에 대한 실천적 지식은 ‘교사는 학생들이 특별 활동 행사에 참여할 때, 활동의 의미를 배우고 즐겁게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야 한다.’이다. 학급 사무 영역에 대한 실천적 지식은 ‘교사는 행정업무 시간과 학급경영 시간을 분리하여 운영해야 한다.’이다. 마지막으로 대인 관계 영역에 대한 실천적 지식은 ‘교사는 학생의 교육적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가정과 연계하여 지도를 해야 한다’이다. 둘째, 초등 신규교사의 학급경영에 대한 실천적 지식을 형성하는 원천은 다음과 같다. 연구자는 실천적 지식의 원천을 McCutcheon(1995)이 분류한 개인적인 삶, 교수적 맥락, 교수경험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연구자의 실천적 지식형성에 영향을 준 실천적 지식의 원천 중 개인적인 삶 부분은 가정배경, 연구자의 성격, 학창 시절의 경험, 직전교육, 대학원 교육이다. 그리고 교수적 맥락 부분에서는 학교 경영 방침 및 동료 교사의 실천적 지식이 실천적 지식의 원천으로 작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자는 신규교사로 교수경험이 부족하기 때문에 교수경험 부분에서는 주로 학급경영일지 작성을 통한 자기반성 부분이 실천적 지식의 원천이 되었다. 본 연구에서 살펴 본 신규교사의 실천적 지식의 형성과정 및 원천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내용을 논의하였다. 첫째, 연구자의 실천적 지식 경험은 초등 신규교사의 실천적 지식의 경험으로 확

      • 북한은 어떻게 핵을 보유하게 되었나? : 핵 확산 전략이론을 중심으로

        박아람 북한대학원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은 북한이 어떻게 핵을 보유하게 되었나? 라는 질문에 대해 ‘핵 확산 전략이론’을 통해 구조적으로 분석하여 답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핵 확산 전략이론’은 한 국가가 핵무기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핵무기 개발에 대한 ‘의지’뿐만 아니라 ‘기회’가 주어져야 가능하다고 설명한다. 이 글에서는 2003년 4월과 6월을 북한의 드러난 ‘의지’의 시점으로, 제네바 합의 이탈과 NPT 탈퇴를 ‘기회’의 시점으로 선정하고, 핵 확산 전략이론의 ‘안보위협의 정도’, ‘상대적 힘’, ‘동맹공약의 수준과 신뢰성’의 전략변수를 통해 북한 핵 보유 이전시기 안보적 환경을 설명했다. 본 논문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1. 적국으로부터 느끼는 위협인식이 높아졌지만 이를 완화하기 위한 자체적 힘이 부족하고 동맹 또한 이를 해결해 주지 못할 때 북한은 핵무기 개발에 대한 ‘의지’를 가진다. 2. 북한이 의지를 가지고 핵무기를 추구하는 상황에서 핵 비확산을 목표로 한 적대국이 고려해야 하는 예방전쟁의 비용이 높아 예방전쟁을 선택하지 못할 경우 북한은 핵무기 개발에 대한 ‘기회’를 갖는다. 이렇게 ‘의지’와 ‘기회’라는 두 요인이 충족될 때 북한은 핵을 보유할 수 있다. ‘의지’의 구조는 탈냉전에 따른 위협의 증대로부터 설명 가능하다. 탈냉전으로 인하여 공산주의 진영이 붕괴됨에 따라 1989년 전후 북한에게 가중된 안보위협은 상당했다. 북한의 적화통일의 대상인 남한의 성장은 지속됐고 이에 따라 상대적인 국력 차는 점점 벌어지게 됐다. 뿐만 아니라 「한미상호방위조약」을 통해 맺어진 한미동맹은 미국의 안보적 지원에 더해 핵 억제까지 보장되는 강력한 동맹관계였다. 반면 탈냉전으로 한소, 한중수교가 맺어짐에 따라 북한은 소련·중국으로부터 이전과 같은 동맹의 지원을 받지 못하게 됐다. 소련으로부터는 탈동맹화 되었으며 중국은 여전히 지원을 유지했지만 한미동맹에 상응하는 ‘핵우산’을 제공받지 못하게 됐다. 따라서 핵개발을 통한 안보이익이 북한이 핵을 개발하는 데에 들어가는 핵 프로그램 비용보다 높아지게 되며 북한은 핵 보유에 대한 ‘의지’를 갖게 됐다. ‘기회’의 구조는 미국의 예방전쟁 비용에 대한 고려를 통해 설명 가능하다. 미국의 입장에서 북한의 핵 확산을 막을 수 있는 군사적 방법은 선제타격이었다. 그러나 선제타격 시 북한의 보복전쟁으로 인한 한미의 막대한 피해와 더불어 북한의 동맹국인 중국의 개입으로 인한 예방전쟁 비용의 증가 때문에 미국의 선제타격에 대한 실효성을 낮추게 됐다. 이는 미국이 고려해야 하는 비확산에 따른 이익보다 예방전쟁 비용이 더 커지는 것이었고 북한은 핵 개발에 대한 ‘기회’를 얻게 됐다. How did North Korea acquire nuclear weap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answer the question structurally through 'a Strategic Theory of Nuclear Proliferation'. This theory explains that proliferation only happens when a state satisfies both 'willingness' and 'opportunity' constraints. In this study, April and June of 2003 were selected as the point of view of North Korea's willingness. And the separation of the Agreed Framework and the withdrawal of the NPT were selected as the point of opportunity. Accordingly, This study explained the security environment DPRK has to face prior to the moment of nuclear acquisition through strategic variables such as "Level of security threats", "relative power" and "Level and reliability of allied commitment".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 When DPRK faces a serious security threat from the adversary, but there is not enough strength or that are not protected by a reliable ally, it has the 'willingness' to develop nuclear weapons. 2. In the pursuit of nuclear weapons with the willingness, the adversary aiming at nuclear nonproliferation should consider the cost of preventive wars so costly, and if the preventive war can not did, DPRK will have an 'opportunity' to develop nuclear weapons. Together, these two conditions result in nuclear acquisition. The structure of 'willingness' can be explained from the increase in threats in the post-Cold War era. When Soviet Union collapsed, marking the end of the Cold War in 1989, DPRK faced serious security threats from the adversary. South Korea, the target of reunification of DPRK, continued to grow, and the relative national power gap became more widespread. In addition, the ROK-U.S. alliance, established through the ROK-U.S. Mutual Defense Treaty, was a 'close' alliance that guaranteed both U.S. security Assistance and nuclear deterrence for South Korea. On the other hand, since the Cold War and the Soviet Union-South Korean rapprochement, and the China-South Korea rapprochement, DPRK is no longer supported by the Soviet Union and China. It was abandoned by the Russia and China was still supporting DPRK, but it was not provided with a "nuclear umbrella" equivalent to that of the U.S.-ROK alliance. Therefore, the security interests of nuclear development will be higher than the cost of the nuclear program that DPRK will use to develop its nuclear weapons, and DPRK will have the "willingness" to acquire nuclear weapons. The structure of 'opportunity' can be explained by considering the cost of preventive war in the United States. From the standpoint of the United States, the military way to prevent North Korea's nuclear proliferation was a surgical strikes. However, if the U.S. implements the surgical strikes, South Korea and the U.S. will suffer enormous damage by the North Korean retaliatory war. Moreover, if China, North Korea's strong ally, intervenes, the cost of preventive war will increase and the credible of the U.S. preemptive strike will be reduced. This meant that the costs of preventive war were greater than the interests of nonproliferation that the U.S. should consider, and DPRK got an 'opportunity' for nuclear development.

      • 퍼스널 컬러 시스템을 활용한 주얼리 색채교육 프로젝트 프로그램 개발 연구 : 고등학교 미술교육 중심으로

        박아람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무수한 시각적 이미지가 범람하는 정보화시대에서 사람들에게 색채와 시각 이미지가 미치는 영향은 간과할 수 없다. 시각적 이미지를 이루는 조형요소 중 대표적인 색채는 사람들에게 시각적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그들의 생각과 느낌을 나타낼 수 있는 힘을 지니며 감정 또한 지배할 수 있다. 자신에게 가장 어울리는 색채가 무엇인지에 대한 관심과 색채를 적재적소에 조화롭게 활용하는 능력은 자신뿐만 아니라 타인에게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는 큰 힘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외모와 자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기 시작하는 청소년기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신의 인체 색과 가장 잘 어울리는 퍼스널 컬러(Personal Color)와 이미지를 찾고, 조화로운 배색을 통해 자신의 고유한 매력을 아름답게 돋보일 수 있도록 돕기 위한 색채교육 프로그램이다. 학생들에게 다양한 재료와 색채의 조화로 제작된, 아름다운 광채를 지닌 조형물인 주얼리(Jewelry)를 활용하여 색채교육과 디자인교육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이에 따라 우선 퍼스널 컬러 시스템(Personal Color System)을 활용한 주얼리 색채교육의 연구 목적 및 내용을 밝히며, 전체 프로젝트의 내용과 진행단계를 서술하였다. 더불어 본 연구가 수업 현장에서 실물로 활용하기 어려운 주얼리를 수업자료로 활용한 색채교육이라는 것에 대한 제한점을 언급하여, 전체 프로젝트에서의 파워포인트(PowerPoint)를 시각 자료로 활용한 것에 대한 정당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제 2장에서는 퍼스널 컬러를 이해하기 위하여 개념 및 유형에 대해 선행 연구 및 문헌 조사를 토대로 기술하였다. 그리고 미술교육과정과 학교현장 및 학생의 측면에서 바라본 주얼리 색채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언급하고 색채와 주얼리의 색채 선호 현황을 조사하여 본 프로그램 개발의 배경을 마련하였다. 퍼스널 컬러 시스템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제 3장에서는 연구 대상과 연구 방법을 제시하고, 색채 계열별·사계절 유형별 주얼리 색채 분류를 하였다. 그리고 학습 목표, 내용 체계, 교수·학습 방법과 모형을 서술하여 프로그램의 개발 근거를 마련하였다. 주얼리를 활용한 색채교육 프로젝트는 크게 ‘진단’과 ‘색채 이미지 분석’ 그리고 ‘적용’의 3단계로 구성하였다. 퍼스널 컬러 시스템, 색채 분류, 배색을 통해서 색채에 대한 이해도를 상승시킬 수 있도록 4차시의 학습 프로그램으로 세분화하여 구성하였다. 퍼스널 컬러 진단을 통해 학습자에게 어울리는 색채와 이미지를 알고, 조화로운 배색을 통해 자신만의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론에서 감상, 팔찌를 제작하는 표현활동으로 이어지는 프로그램은 학습자들이 퍼스널 컬러에 적응함과 동시에 색채교육으로서의 효과를 발휘하게 되었다. 색채교육 프로젝트의 교육적 효과는 4장에서 분석하였는데, 색채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색채 이미지 구축은 학습자 본인의 자아정체성을 이해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그들의 미적 감각을 상승시키고 자신감을 가지게 해준다. 미술과 디자인, 공예의 공통분모로서의 색채교육은 학습자가 각 분야에 대해 관심을 가질 수 있는 계기가 될 뿐만 아니라, 진로와 취업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준다. 이어, 프로젝트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언하였다. 이는 한국인에게 적합한 퍼스널 컬러 시스템의 개발과 주얼리 색채에 대한 체계적 이론의 바탕이 마련되어 미술교육과정으로의 도입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또 주얼리 색채교육이 주얼리 코디네이션으로도 확장되고, 전문기관의 지원과 연계 지도를 통해 활성화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색채와 주얼리 분야의 표기법 불일치현상을 통일시켜야 하며 색채에 대한 표준이 보편화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색채를 이해한다는 것은 말처럼 쉽게 하루아침에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색채에 대한 꾸준한 관심과 지속적인 노력을 통해 자신만의 구심점을 마련해야할 것이다. 학습자의 적극적인 동기 유발을 위한 프로그램의 업데이트가 이루어진다면 자신을 이해하고 표현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퍼스널 컬러 활용에 대한 색채 지도는 학습자의 정체성을 생성하고 자아를 외부 세계로 확장함에 있어 큰 일조를 하리라 본다. In the present information-oriented age that is overflowing with countless visual images, it is impossible to overlook the effect of colors and visual images on people. Color, which is the representative of all the crude elements in visual images, not only gives people visual information, but, as it also has the power to express people's thoughts and feelings, also can control their emotions. It is possible to say that having interest in which color most suits oneself and the ability to harmoniously put together colors has the great power to plant a good image not only to oneself but also to others. This study is a color education program that helps the subjects, who are teenage students who are starting to have an increasing interest in themselves and their appearances, find the image and Personal Color that best suits their body's color, and make their unique charm look beautiful through a harmonious arrangement of colors. The program was organized so that design and crafts education could be possible syntagmatically by allowing students to use various materials and jewelry which have a beautiful light. As such, first we revealed the goal of the study of jewelry color education, which used the Personal Color System, and expressed the entire project's context and steps of procedure. Furthermore, this study mentions its limitation of giving color education by using jewelry, which is hard to use in actual classes, and tried to justify the use of PowerPoint as a visual reference throughout the entire project. In order to understand the Personal Color System, Chapter 2 states the concept and type of Personal Color based on advanced studies and literature survey. Also, we mention the need for jewelry color education program from the perspective of students, scene of a school, and art curriculum, preparing a foundation, which was made by conducting surveys on what color and the color of jewelry people favor, on which this program can be developed. On the basis of an understanding of the Personal Color System, the subject and the procedure of the study were explained on Chapter 3, and colored jewelry were sorted according to color tones and seasonal colors. Also, we prepared a foundation for the program to be developed by describing the aims of the lesson, system of content, teaching-learning method, and the model. The color education projection that uses jewelry mainly consists of three steps, which are 'diagnosis', 'analysis of the color image', and 'applica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understanding of colors through the Personal Color System, color classification, and arrangement of colors, the program was departmentalized so that the education program would proceed over four sessions. Throughout the process, the students could know the color and image that suits themselves through Personal Color diagnosis and create a unique image through arrangement of colors, and the program which incorporates theory, appreciation, and expression activities making bracelets the learners has the effect of color education and helps their adaptation to Personal Color at the same time. The educational effects of the color education project was analyzed in Chapter 4, and through creating a color image with the color education program, the student can understand their self-identity, while also allowing their aesthetic tastes and self-confidence to increase. As a common denominator of art, design, and crafts, color education not only allows the learner to become interested in each field, but can also offer information on occupations and employment. Furthermore, we also offered suggestions for the vitalization of the project. Using the development of the Personal Color System that is suited for Koreans and systematic theories about jewelry colors as a foundation, it needs to be implemented into the art curriculum. Also, jewelry color education must be extended to Jewelry Coordination and vitalized to the support and connected guidance of specialized institutions. Lastly, the mismatch phenomenon of notations in the color and jewelry fields must be unified, and the norm for colors must become generalized. Understanding of colors is not something so easy all of a sudden. Only through persistent interest in color and continuous efforts can create a pivot. Along with updates of programs to continuously motivate students, Color education using Personal Color, which has an effect on understanding and expressing of themselves, will help the learners create an identity and extend their egos to the outside world.

      • 카카오톡 음성인식 기능을 활용한 중재가 말소리장애의 조음개선에 미치는 효과

        박아람 대구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카카오톡 음성인식 기능을 활용한 중재가 말소리장애의 조음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만 6세에서 7세의 말소리장애 아동 10명 중 5명씩 두 그룹으로 나누어 12회기 동안 진행하였으며 카카오톡 음성인식 기능을 활용한 중재와 전통적 기법을 활용한 중재를 사전과 사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카카오톡 음성인식 기능을 활용한 중재는 아동이 훈련단어를 발화 한 후 채팅창에 자신의 말소리가 문자로 변환되어 진 것을 즉각적으로 확인하고 스스로 오류음을 수정해 나갈 수 있는 중재 방법이며, 전통적 기법은 하위 기법 중 조음점 지시법을 이용하여 아동의 정확한 조음 위치와 호흡 기류의 올바른 사용을 유도하였으며, 목표음에 대한 조음방법과 위치, 조음기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중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카카오톡 음성인식 기능을 활용하여 말소리장애 아동에게 중재를 실시한 결과 전체자음정확도, 조음방법, 음소위치, 음절유형에서 개선이 있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조음위치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전통적 기법을 사용하여 말소리장애 아동에게 중재를 실시한 결과 전체자음정확도, 조음방법, 조음위치, 음소위치, 음절유형에서 개선이 있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카카오톡 음성인식과 전통적 기법 두 그룹간에 조음개선정도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와 같이 본 연구의 결과들을 종합하여 보면, 카카오톡 음성인식 기능을 활용한 중재가 전통적 기법과 같이 말소리장애의 조음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카카오톡 음성인식 기능의 시각적 피드백을 통해 말소리장애 아동들의 흥미 및 동기유발에 도움을 주었고 접근성이 용이하며 사용이 쉽다는 다양한 장점을 발견 할 수 있어 치료프로그램으로 효과적이며, 말소리장애의 새로운 중재 방법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intervention utilizing voice recognition of kakaotalk on articulation improvement of the voice disabled. To do this, it has progressed for twelve sessions, by dividing into two groups by five persons among ten voice-disabled children with ages from six to seven. Also, we investigated the intervention utilizing kakaotalk voice recognition and intervention utilizing traditional technique, dividing it into ex ante-ex post. The intervention, which uses voice recognition of kakaotalk, is the method which child can recognize that the own voice is changed into text in the chat window immediately and correct the error voice by oneself, after speaking training words. Moreover, the traditional technique is to induce child to use the position of articulation and breathing current correctly, using the direction of articulation point among sub-techniques, and it has intervened by providing articulation method and position for target sound, information for articulation organs. The result in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has improved the accuracy of whole consonants, articulation method, position of phoneme, and syllable type, and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osition of articulation, as a result of utilizing voice recognition of kakaotalk and implementing it to the voice-disabled. Second, it has improved the accuracy of whole consonant, articulation method, position of articulation, position of phoneme, and syllable type, and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s a result of using traditional technique and carrying out intervention to the voice-disabled. Third,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rticulation improvement for both groups of kakaotalk voice recognition and traditional technique. Suppose it synthesizes the results of this study like so, it shows that intervention utilizing voice recognition of kakaotalk has a positive effect on articulation improvement of the voice-disabled like traditional technique. Also, it is considered as effective for treatment program and new method of intervention for the voice-disabled, since it helps to cause interest and incentive for the voice-disabled via visual feedback of voice recognition of kakaotalk, and is easy to access and to use.

      • 소아 감염성 심내막염의 임상양상 및 예후에 관한 연구

        박아람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639

        감염성 심내막염은 주로 구조적 심장질환이 있는 환자에서 발병하는 후천성 심장질환으로서 예방 및 치료법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심각한 합병증과 사망을 초래할 수 있어 임상적으로 매우 중요시되고 있다. 근래 우리 나라에서도 소아 심장학 및 심장 외과학의 발전으로 많은 환자들이 완치되거나 일부 환자에서는 잔존 심질환을 가지고 생존하고 있어 이 질환의 발병 잠재력을 가진 환자들의 분포 형태가 변화되어 가고 있다. 그러나 우리 나라에서는 소아의 경우 이 질환에 대한 충분한 임상적 연구가 이루어져 있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저자는 우리 나라에 있어서 소아 감염성 심내막염의 임상 양상, 원인 균, 치료 결과, 그리고 예후 등을 알아봄으로써 이 질환의 치료 및 예방 대책의 수립에 도움을 얻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1987년 1월부터 2000년 6월까지 전남대학교 병원 소아과에서 감염성 심내막염 으로 진단 받고 입원 치료를 하였던 1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심장 수술을 받지 않은 환자에서 발병한 환자군(group Ⅰ)과 심칠환에 대한 수술을 받은 환자에서 발병한 환자군(group Ⅱ)으로 나누어 소인 및 원인 균, 임상양상, 치료 결과 등을 조사하였다. 총 15례의 환자 중 Group Ⅰ이 9례, Group Ⅱ가 6례 였고, 남아가 5례 여아가 10례로서 여아에서 많았으며 환자의 연령은 0.1-15년(평균 7.1±5.6년)이었다. 총 15례의 환자 중 13례(86.1%)에서 구조적 심질환이 존재하였는데, 심실 중격 결손이 7례로 가장 많았고 수술후 발병군(Group Ⅱ)에서는 6례 모두 잔존 심질환을 가지고 있었다. 혈액배양 검사 결과 원인균은 15례 중 7례(46.7%)에서 발견되었으며 포도상 구균이 가장 많이 분리되었다. 전체 환자 15례 중 9례(60%)에서 선행요인이 확인되었는데, 감염이 5례로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다. 증상으로는 발열이 14례(93%)로 가장 많았으며 호홉곤란, 기침, 구토 순이었다. 이학적 소견으로는 간종대가 9례(60%), 새로 출현한 심잡음은 6례(40%), 비종대가 5례(33.3%)에서 관찰되었다. 검사소견상 빈혈이 66.7%, 혈소판 감소증이 20%에서 발견되었다. 심초음파 검사상 13례에서 증식물(vegetation)이 발견되었는데 승모판과 삼첨판을 침범한 경우가 각각 5례씩으로 나타났다. 합병증은 15례 중 13례 (86.7%)에서 관찰되었으며, 이들 중 중추신경계 합병증이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다. 전체 환자 15례 중 7례가 사망하여 46.7%의 사망률을 보였으며, 내과적 치료만을 시행한 경우 10례 중 6례가 사망하여 60%의 사망률을 보였고, 외과적 치료를 시행하였던 경우는 5례 중 1례가 사망하여 20%의 사망률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소아에 있어서 감염성 심내막염은 집중적인 치료에도 불구하고 높은 사망률과 심각한 합병증을 일으키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특히 내과적 치료만으로는 높은 사망률을 보이고 있어 환자에 따라 보다 적극적인 외과적 치료를 병행함으로써 치료 성적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Infective endocarditis (IE) remains an important cause of morbidity and mortality in children with structural heart disease. We reviewed 15 cases of IE to identify the recent changes in the pattern of clinical spectrum, causative organisms, and outcome. The clinical records of children diagnosed as IE at th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1987 through June 2000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Duke criteria was applied for diagnosis. Cases were categorized into group I and II; among 15 cases of IE developed, 10 patients with IE developed in children with no previous cardiac surgery were classified as Group I, 6 patients with IE developed in children with history of previous cardiac surgery as Group II. There were 5 boys and 10 girls whose average age was 7.1 ± 5.6 years. Preexisting heart diseases were identified in 13 cases (86.7%); ventricular septal defect was identified in 7 cases, being the most common structural heart disease. Causative organisms were identified in 7 cases (46.7%); Staphylococcus aureus was most commonly identified. Among the 15 cases of IE, preexisting events were identified in 9 cases (60%). Fever was the most frequent symptom appeared in 14 cases (93%). Hepatomegaly (60%) was the most common sign appeared in 9 cases, followed by new cardiac murmur, 6 cases (40%). On laboratory findings, anemia (66.7%) and thrombocytopenia (20%) were presented. Vegetation was detected in 13 cases (86.7%) and the mitral valve was the most frequent site (5 cases). Complications were detected in 13 cases (86.7%); central nervous system complications were most commonly identified in 9 cases. The overall mortality rate was 46.7%. Mortality in group with only medical treatment was higher than that with medical and surgical treatment (60% versus 20%). Despite the intensive treatment and prophylaxis, the mortality and morbidity of infective endocarditis has been remained still high in children. A more aggressive consideration for operative management may improve the treatment results.

      • 종합병원 입원환자 간병인의 감염관리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 건강신념 모델을 기반으로

        박아람 한국교통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종합병원 내 주돌봄자인 간병인을 대상으로 감염관리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이들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실시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C시 소재 3개의 종합병원에 입원한 환자를 돌보기 위해 환자 또는 가족에 의해 고용된 간병인 159명이었다. 2022년 9월 30일부터 10월 11일까지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감염관리 지식 22문항, 건강신념 하위 개념 30문항(지각된 민감성 8문항, 지각된 심각성 4문항, 지각된 유익성 6문항, 지각된 장애성 8문항, 자기효능감 4문항), 감염관리 수행 15문항, 일반적 특성 13문항의 총 80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29.0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계산하였고, 독립 T-검정(independent t-test), 일원 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 사후검정은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Cronbach's α 값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감염관리 지식 정답률은 전체 평균 90.5%, 총 점수는 22점 만점에 19.90점으로, 대상자의 건강신념 하위 개념은 5점 만점에 자기효능감이 4.37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지각된 심각성이 4.03점, 지각된 유익성이 3.98점, 지각된 민감성이 3.77점, 지각된 장애성이 3.74점 순이었다. 대상자의 감염관리 수행 총 점수는 60점 만점에 51.66점, 평균 점수는 4점 만점에 3.70점으로, 하위 영역인 환경관리 및 린넨이 3.77점으로 가장 높았고, 호흡기 에티켓(3.75점), 개인 보호장구(3.68점), 손위생(3.56점) 순이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감염관리 지식의 차이는 근무시간(F=3.34, p=.038)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집단별 차이를 보기 위한 Scheffé test에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신념 하위 개념의 차이에서 지각된 민감성은 요양보호사 자격증(t=-3.03, p=.003), 근무시간(F=5.53, p=.005), 간병 형태(t=-2.04, p=.046), 감염환자 간병 경험(t=3.14, p=.003), 질병 전파 매개체 가능성(F=9.15, p<.001), 감염관리 관심도(t=-2.95, p=.006), 감염관리 교육 필요성(t=-2.65, p=.023)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다음으로 지각된 심각성은 최종학력(F=3.27, p=.023), 요양보호사 자격증(t=-2.37, p=.021), 근무시간(F=6.70, p=.002), 감염환자 간병 경험(t=2.76, p=.006), 질병 전파 매개체 가능성(F=4.92, p=.008), 감염관리 관심도(t=-4.35, p<.001), 감염관리 교육 필요성(t=-4.04, p<.001)이, 지각된 유익성은 성별(t=-3.07, p=.002), 연령(F=3.11, p=.047), 근무경력(F=3.22, p=.024)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환산한 지각된 장애성은 성별(t=-2.08, p=.040), 근무경력(F=2.98, p=.034), 요양보호사 자격증(t=-2.91, p=.004), 근무시간(F=6.47, p=.002), 감염환자 간병 경험(t=-2.02, p=.045), 질병 전파 매개체 가능성(F=4.52, p=.012)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자기효능감은 최종학력(F=2.68, p=.049), 요양보호사 자격증(t=-2.23, p=.027), 근무시간(F=7.04, p=.001)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감염관리 수행은 요양보호사 자격증(t=-3.30, p=.001), 감염환자 간병 경험(t=4.27, p<.001), 질병 전파 매개체 가능성(F=3.08, p=.049), 감염관리 관심도(t=-3.23, p=.003), 감염관리 교육 필요성(t=-5.65, p<.001)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감염관리 수행은 감염관리 지식(r=.32, p<.001), 건강신념 하위 개념인 지각된 심각성(r=.30, p<.001), 자기효능감(r=.18, p=.022), 지각된 유익성(r=.16, p=.049)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감염관리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감염환자 간병 경험(t=4.65, p<.001), 감염관리 교육 필요성(필요하다)(t=2.51, p=.013), 감염관리 지식(t=2.01, p=.046), 지각된 민감성(t=-4.95, p<.001), 지각된 심각성(t=4.30, p<.001)이었으며, 설명력은 40%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종합병원에서 일하고 있는 간병인의 감염관리 수행을 높이기 위해서는 감염관리 관심을 높이기 위한 교육 체계를 마련하고, 감염환자 간병 경험, 감염관리 교육 필요성, 감염관리 지식, 지각된 심각성 등 간병인의 다양한 특성을 고려해 감염관리 수행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had affected the performance of infection control of inpatients caregivers based on Health Belief Model. The participants were 159 caregivers who were employed by patients or their families to care for patients admitted to three general hospitals in Cheongju-si. Data were collected using a questionnaire from September 30 to October 11, 2022.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22 questions on infection control knowledge, 30 questions on health belief(8 questions on perceived susceptibility, 4 questions on perceived severity, 6 questions on perceived benefits, 8 questions perceived barriers, 4 questions on self efficacy), 15 questions on infection control and 13 questions general characteristics. Da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29.0 program to calculate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post hoc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Cronbach's α.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correct answer rate of partcipants’ infection control knowledge was 90.5% overall, the total score for infection control knowledge was 19.90 points out of 22. Sub-concept of health belief was the highest with 4.37 points for self-efficacy, followed by 4.03 points for perceived severity, 3.98 points for perceived benefits, 3.77 points for perceived susceptibility, and 3.74 points for perceived barriers. The total score for infection control was 51.66 points out of 60 and the average score was 3.70 points out of 4, followed by environmental management and linen with 3.77 points, followed by respiratory etiquette(3.75 points),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3.68 points), and hand hygiene(3.56 point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knowledge of infection control and working hours(F=3.34, p=.038).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performance of infection control and certification of nursig care workers(t=-3.30, p=.001), experience of caring for infected patients(t=4.27, p<.001), possibility of disease transmission mediators(F=3.08, p=.049), interest in infection control(t=-3.23, p=.003 and need for infection control education(t=-5.65, p<.001).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and perceived severity(r=.30, p<.001), self-efficacy(r=.18, p=.022), and perceived benefits(r=.16, p=.049), and infection control knowledge(r=.32, p<.001). Factors affecting infection control of inpatients caregivers were the experience of caring for infected patients(t=4.65, p<.001), need for infection control education(necessary)(t=2.51, p=.013), knowledge of infection control(t=2.01, p=.046), perceived susceptibility(t=-4.95, p<.001), and perceived severity(t=4.30, p<.001). These factors explained 40% of variance of infection control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prepare an education system to raise interest in infection control and develop and apply programs to improve infection control by considering various characteristics of caregivers, such as nursing experience, infection control knowledge, and perceived severity.

      • 해설서비스 제공에 따른 공원이용자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를 중심으로

        박아람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2013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는 박람회라는 형식을 통해 다양한 정원문화을 전시하는데 그치지 않고 정원해설을 통해 정원에 대한 방문자의 이해를 돕고 아울러 행사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고자 하는 점에서 특징을 들 수 있다. 박람회장은 일정 기간 동안 운영된 행사공간이지만 공간구성에서는 주제공원의 일종으로 볼 수 있으며, 정원박람회를 통해 이루어진 해설서비스에 대한 분석과 그에 대한 만족도는 다른 주제공원이나 자연공원의 해설서비스에 일반화 시킬 수 있는 사례가 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순천정원박람회 정원해설의 내용과 체계를 분석하고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해설물을 통해 해설서비스 유형과 해설내용에 따른 만족도, 해설서비스 이용자 만족도와 공원 재방문과의 관계 등을 분석하여 공원에서와 해설과 관련하여 시사할 수 있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박람회장 전체의 해설상 공간 중요도에 대해 해설자와 이용자간의 인식차이 정원해설사와 이용자가 전체 공간 중에서 해설상 중요하거나 선호하는 공간에서는 인식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자들은 박람회장의 다양한 정원들 중 정원의 디자인 의도나 디자인 자체에 대한 설명으로 구성되어있는 작가정원을 더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정원해설사들은 한국정원 등 국가별 정원의 유형을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였다. 일반인들에게 역사적인 부분이나 생태적인 내용은 다소 딱딱하고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디자인해설은 정원의 구성을 직관적으로 확인하고 응용해 볼 수 있다는 점에서 흥미를 느낀 것으로 볼 수 있었다. 국가별 정원들을 설명할 때 디자인 요소들을 해설내용에 접목시키는 내용 구성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2. 해설서비스에 대한 공원이용자의 만족 다양한 프로그램에 의해 양성된 정원해설사들의 해설내용은 이용자들에게 무리없이 잘 전달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자연생태 분야의 해설내용에 대한 만족도가 다른 해설과 비교했을 때 낮은 것으로 나타나 자연생태 해설프로그램에 대해서는 해설내용의 전문성, 해설내용의 구성상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설에 의한 해설에서 안내문은 내용적으로는 어렵지 않게 전달되고 있었지만 글씨의 크기나 시설물의 높이 등 2차적인 요인에서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두해설을 이용하지 않고 안내시설만을 이용한 이용자는 자유롭게 경로를 선택하여 관람할 수 있다는 점을 중요시하고 있었다. 이러한 점은 이용자에게 궁금한 점이 있을 때 선택적으로 해설이 공급되도록 해설자가 다양한 공간에 배치되어, 이용객들이 예약 부담없이 자유롭게 산책하듯이 관람하고 싶어 하는 수요에 대응하는 유연한 방식이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그와 같은 서비스를 위해서 해설사, 자원봉사자, 직원들의 유니폼을 역할에 따라 구분하여 공원 이용자들이 해설사들을 일반안내원과 구별하여 알아보기 쉽도록 할 필요성이 있다. 3. 박람회 형태의 이벤트성이 아닌 정원해설이 주가 되는 공원프로그램의 도입가능성 해설서비스의 만족도는 재방문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이 공원을 방문하도록 추천하는데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아울러, 이용자들은 조경이나 정원과 관련된 공공적 이벤트를 다양하게 접하고 싶은 욕구를 보여주었고, 이는 순천정원박람회의 성공적인 결과에서도 나타난 바와 같이 공원이용 프로그램 활동이나 공원의 공공이벤트가 확대될 가능성으로 볼 수 있었다. 4. 금후 연구의 필요성 정원박람회의 해설시스템이나 제공된 정보를 통해 수요자 입장에서 실제로 선호하는 이용패턴이나 정보의 종류는 공원공간계획상의 중요도와는 차이가 나는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이에 대해서는 금후의 연구를 통해 정원해설 기법이나 시스템에 대해 더 연구할 필요성을 보여주었다. 행사형 정원이나 주제공원에서의 특징적인 해설의 이용을 통해 분명하게 이용자들은 방문한 목적을 표현하였고, 따라서 일반적인 안내해설 이상으로 공원이용자의 만족도를 강화시킬 수 있는 해설의 효용성을 확인하였다. 이용자들은 해설사들을 통해 정원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 받는 가운데 조경 산업이나 식물의 구입, 조경시설의 설치 등 많은 질문과 의견들을 주고받는 경우가 많았다는 점에서, 해설을 통해 어떻게 사회적 수요로 활용할 것인가를 연계시키는 것도 금후의 연구과제로 볼 수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