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第四期 李光洙의 文學

        朴升圭 호남대학교 1986 호남대학교 학술논문집 Vol.6 No.2

        When World Was Ⅱ came to an end in 1945, Ye Kwang-soo fell into a dilemma of being criticised as a pro-japaness. In spite of this criticism he endeavored to reconstruct nationallism and to resurrect humanism, with a firm belief of Jacob in Genesis who had slept upon " a stone pillow". How A Stone Pillow is a collection of essays with the theme of nationalism and humanism. Meanwhile, Ye Kwand-Soo was repentant of what he had done in the Japanise rule and wrote a historical novol, A Dream, with much regret. But by the passage of Anti-Nationalist Punishment Law with the organization of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he was imprisoned. Fortunately, he became released due to disposition not to institute a public action of the Law and he wrote another historical novel, King Dongmyong of Love, using the materials of the King, the founder of Kokooryo Kingdom. In this novel Ye showed a way which the new-born Republic should go. The stbjects treated in this novel are King Dong-myong's love of woman, his love of his people, and his idea of national identity. Ye was kidnapped to North Korea in 1950 when the Korean War broke out. His works written after 1945 can be grouped into the fourth period of his literature.

      • KCI등재

        ‘지리적 논쟁문제’의 의미 탐색

        박승규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5 사회과교육연구 Vol.22 No.3

        Teaching geography is not concerning what the best way of teaching geography is. Rather, we should have a point of focus for much of our thinking about the nature of geography. Teaching geography is reflected which the epistemological characteristics of geography should be and which the nature of geography should be, rather than not the methodological issue. Thus, we should face the nature of geography when we teach geography in schools. The first step of the paper making progress is to derive the problem identification. Teaching controversial issues in geography is eventually to concern what geography is. In result, we can have belief that teaching well in geography from drawing what controversial issues in geography. Based on the problem identification, new controversial issue in geography was suggested in the present paper over the previous area with controversial issues. Further, teaching geography through the new types of controversial issues is another name of a long journey to seek the identity of geography education. 지리를 가르친다는 것이 ‘지리를 가르치는 최선의 방법이 무엇인지’를 고민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지리는 본래적으로 무엇인가’를 고민해야 한다. 지리를 가르친다는 것이 방법론의 문제가 아니라, 지리학의 어떤 인식론적 특징이 반영되어 있으며, 지리학의 어떤 본질적 특성이 반영되어 있는지에 대해 성찰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렇기에 지리를 가르친다는 것은 지리의 본질에 맞서지 않고는 해결될 수 없는 문제이다. 본 논문은 이같은 문제의식에서 시작한다. 지리교육에서 논쟁문제 교육을 한다는 것이 결국은 지리가 무엇인지를 고민하고, 그 결과로서 지리적 논쟁문제가 무엇인지를 도출해내는 것이 지리교육에서 논쟁문제를 잘 가르칠 수 있다는 신념을 갖게 한다. 이같은 문제의식을 토대로 지금까지 지리교육에서 다루었던 논쟁문제의 범주를 넘어 새로운 지리적 논쟁문제의 유형을 제안하였다. 나아가 이같은 새로운 지리적 논쟁문제의 유형을 통해 지리를 가르친다는 것이 결국은 지리교육의 정체성을 찾아가는 긴 여정의 또 다른 이름임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 KCI등재후보

        이성과 감성의 경계 허물기

        박승규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07 사회과교육연구 Vol.14 No.3

        Dismantling the barriers between reasoning and sensitivity: Reterritorialization of Social studies education, using Nomadic perspectives and Aesthetic reasoning 》본 연구는 ‘유목적 시선’과 ‘심미적 이성’을 토대로 사회과교육의 영토를 재개념화하기 위한 것이다. 유목적 시선과 심미적 이성은 사회과라는 영토에 정착해 살고 있는 정착민이 그려낸 사회과의 지형도에 대해 질문한다. 그들이 그리고 있는 사회과가 끊임없이 생성되고 변화하는 우리의 삶을 반영하고 있는지. 도구적 이성을 통해 합리화의 과정을 거치면서 소외된 아이들의 일상생활을 반영하고 있는지. 이같은 문제의식을 토대로 사회과 교육받은 사람으로서의 ‘시민’에 대해, 사회과에서 다루어지는 교육내용의 가치있음과 없음의 경계에 대해, 그리고 우리 몸이 놓여 있는 ‘지금 이곳’의 상황을 사회과 수업이 담아내고 있는지에 대해 탐구한다. 나아가 전문가의 지식을 전달하는 역할에서 벗어나, 새로운 교육내용을 생산하고 소비하는 프로슈머로서의 사회과 교사의 상을 제안한다. ‘유목적 시선’과 ‘심미적 이성’을 통해 사회과 영토를 재개념화하는 것은 낯익은 대상을 낯설게 인식하는 과정을 통해 사회과의 고유한 가치를 우리 삶에 근거해서 탐색해가는 것이다.

      • KCI등재후보

        푸코의 근대적 권력과 “주체”의 관계에 대한 “문제화”

        박승규 한국윤리학회 2002 倫理硏究 Vol.49 No.1

        이 글은 푸코의 말기 저작과 대담에 나타난 "주체"에 관한 분석이 어떻게 근대 권력을 "문제화"하는지를 알아보고 그 비판적 기능의 타당성을 고찰하는데 있다. 푸코에 관한 논의에서 주로 서구의 언어학자들, 마르크스, 하버머스와 비교적 시각에서 언어학와 권력론을 중심으로 특정인을 상대적으로 손들어 주는 방식으로 많이 논의되다가 이제는 다소 소원한 상태이다. 그러나 푸코가 이 시대 사람들에게 던지는 메시지는 주체의 문제임에 틀림이 없다. 그의 「감시와 처벌」, 「성의 역사 1권」은 근대 권력의 통치성의 확대 과정에서 드러나는 것으로써의 육체를 대상으로하는 "미시권력"의 전략적 작동과 이에 따른 피동적 주체의 형성을 보여준 것이다. 그러한 권력의 전략이 "구별짓기"인 것이다. 그 결과 "광인"이라고 하는 주체가 규정되고, 이들은 사회적 집단으로부터 격리수용되고 추방된다. 푸코는 「성의 역사 2권」, 「성의 역사 3권」, "빠르지아의 문제화"에서 "미시 권력"과 "저항"이라고 하는 구도에서 벗어난 주체의 형성을 그린다. 그것은 근대와 다른 양상으로 전개된 고대 그리스와 헬레니즘 사회에서의 주체 형성의 방법이고, 바로 "진리-말하기"(truth-telling), "빠르지아"(parrhesia)를 통한 윤리적 삶의 실천으로써의 주체의 형성인 것이다. 그것은 근대적 권력을 문제화함으로써 피동적 주체와 능동적 주체를 구분하는 것이다. 그것은 곧 삶의 기교의 문제, 자아의 통치 기술, 진정한 자아의 발견과 실천의 문제가 된 것이다. 바로 이와 같은 "문제화"가 근대적 권력에 대한 강한 비판적 기능을 수행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푸코의 작업은 결국 현대 사회에서 시민적 주체의 형성에서 그 새로운 적용의 길을 모색하는 연구가 활발히 전개되고 있는 것만 보아도 그 연구의 의미는 크다.그러나 이 글에서 논의를 다 못했지만 그의 시대구분의 타당성, 구별짓기에 대한 비판의 가능성은 여전히 논쟁의 대상이다. 그가 '자유인으로서의 윤리적 주체의 실천'을 추구하는 점은 현대 사회에서 이상적인 시민적 주체를 찾고자 하는 그의 또 다른 숨은 노력으로 볼 수 도 있고 이점이 21세기 한 개인으로서 살아가는데 있어서의 고뇌와 희망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감히 말하고 싶다. 이를 비관적으로 보면 또 다른 유토피아가 될 수도 있다는 점이다.

      • KCI등재후보

        푸코에 있어서 “진리 게임”의 의미

        박승규 한국윤리학회 2002 倫理硏究 Vol.51 No.1

        이 글의 목적은 지금까지의 푸코에 대한 담론-권력-지식 중심의 분석에서 벗어나서, 그의 진리 게임을 통해서 권력과 주체가 어떻게 설정되어지는가를 분석해 봄으로써 권력과 주체의 구성에 관한 문제를 새롭게 접근해 보는데 있다. 그의 진리 게임이 전략적으로 지식의 생산, 주체의 실천, 권력 관계, 자아에의 관계를 구성하고 통제한다는 점을 밝혀 줌으로써, 이들의 문제에 대한 근대 인간학적이고 관념론적인 접근에서 벗어나서 근대적 사고의 단절과 주체의 구성에 관한 문제를 새롭게 해 보도록 하는 데 이 글의 의의가 있다. 이상과 같은 분석을 통해서 내릴 수 있는 결론은 다음과 같다. 그는 그의 진리 게임에대한 분석을 통해 진리 게임이 전략적으로 지식의 생산, 주체의 실천, 권력 관계, 자아에의 관계를 구성하고 통제한다는 점을 밝혀 줌으로써, 이들의 문제에 대한 근대적 사고의 한계를 부각시킨다고 보인다. 나아가서 진리 게임을 통한 주체의 자유로운 실천이 능동적 주체를 형성하게 된다는 점을 보여준다. 또한 그가 근대적 주체의 형성을 단절시키고 이를 비판하기 위해 진리 게임이라는 개념을 전개하였다고 보인다. 이를 통해서 그는 근대적 권력 관계에서 "게임"으로 전개되는 "구별짓기"를 폭로한 것이다. 그것은 곧 지금까지 당연한 것으로 주어졌던 특권적 인식을 해체하는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