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울시 청소년수련관 운영현황 분석 및 관리개선 방안

        박순애 한국행정연구원 2002 韓國行政硏究 Vol.11 No.4

        본 연구는 현재 민간위탁방식으로 운영중인 서울의 시립 및 구립 청소년수련관의 현황 및 문제점을 비교·분석하고, 수련관의 관리운영에 대한 개선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거주하는 청소년이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시립 및 구립(區立)의 14개 민간위탁 청소년수련관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조사, 수련관 종사자 및 담당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심층면접조사, 설푼조사, 그리고 현장조사를 병행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청소년수련관을 민간에 위탁관리함으로써 보다 전문적이고 양질의 서비스와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긍정적인 효과도 있었지만, 직영체제에 비해 수익성 추구에 더 집착하는 등 문제점도 발견되었다. 주요 분석결과 및 정책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수련관의 설립목적에 비추어볼 때 청소년대상 프로그램의 확충함으로써 청소년이용률을 높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지역의 청소년들의 접근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새로운 수련관 신설은 시설의 근접성을 고려하여 설립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민간위탁 운영의 효과성 향상을 위해 이용료와 강습료를 현실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 넷째, 관련 기관간의 긴밀한 협조체제를 구축하여 시설운영의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 청소년수련시설은 미래의 주역이 될 청소년의 건전육성과 복지증진이라는 목적하에 설치·운영하고 있으므로, 비록 시설을 민간부문에 위탁하여 운영·관리한다 할지라도 이러한 본래의 설립목적을 소홀히 해서는 안될 것이다. 이는 민간위탁을 통한 시설관리와 운영체제를 유지한다 할지라도 공공성은 최대한 확보되어야 한다는 의미이며, 전문적이고 능력 있는 수탁기관에 의해 청소년수련관의 설립취지에 부합하는 고유의 목적사업에 충실해야 하는 것은 위탁관리의 본래 의도와도 부합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취지에 충실하기 위해서는 위탁운영의 효과성이 극대화되는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Administrative PR is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public. And there are direct and indirect way communication in PR. The mass media, even though it is an indirect one, is the best and biggest communication means. Therefore, the importance of the mass media is tremendous in PR. The mass media should satisfy the public's right to know by informing government's policies in more aggressive ways than before. Furthermore, it should make the public take part in policy making by analyzing the policies, finding problems and suggesting solutions. It should make efforts to reflect the public's opinions in the government's policies. The role of the mass media will become bigger and bigger. Because its influence on both the government and the public, especially in the field of administrative PR, will grow significantly, its publicness will become a very important issue. Therefore, the mass media should take the lead as a public medium of communication for the interest of the common goo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of youth centers and the administrative difficulties they face, in order to seek ways to advance their service quality and efficiency. Most youth centers are currently managed by the third sectors such as non-for-profit organizations and youth institutions, while their owners are the City and Ku government. This method of operation is also known as contracting out and is a form of privatized management. The methods of analysis for this study include literature reviews, interviews with employees and public officials, and survey and field research. Important findings and policy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youth centers that are managed by the third sector provide better services by optimizing their expertise but generally are driven by profit-oriented motives rather a desire to enhance service quality. Thus, through the expansion of youth programs, youth participation should be increased. Second, to enhance the accessibility of youth centers to local youths, the location of new facilities should take into consideration the distribution of the youth population. Third,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management, the actual adniinistrativc costs should be reflected in fees. Finally, through a mutual-cooperation among youth centers, the efficiency of facility utilization should be maximized. This study searched for what could be a right policy approach for risk management. A model for decision-making about evacuation during the explosion of the LPG gas recharge factory in the urban residential area was tested by a logistic modeling. The important assumption was that the social experience of risk cannot be confined to the technical definition of risk, i.e., the product of probability and magnitude. What human beings perceive as threats to their well-being may be influenced by various factors such as their values, attitudes, social influences, and cultural identity. However, in such a imminent hazardous situation people's behavior are functioned more by psychological factors rather than by economic calculations in the rational choice framework. Emergency risk communication system, for instance, was found to be a very important variable helping peoples' decision-making in that case. Likewise, the results shows that evacuation behaviour seems to be shaped by various socio-economic factors, i.e., income, education, dwelling pattern, ect..

      • KCI등재

        일본의 한류소비자 성향과 내셔널리즘

        박순애 한중인문학회 2009 한중인문학연구 Vol.27 No.-

        일본에서의 한류는 한국인의 자긍심을 상당히 높이는 결과를 가져왔다. 본 연구에서는 한류라는 문화수출로 인하여 우리문화에 대한 새로운 발견과 한국문화콘텐츠 개발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기 위하여 일본에서의 한류의 현상과 소비자층을 분석하였다. 일본에서의 한류 붐은 40년간의 문화지도 속에서 꽃피운 결실이다. 한류의 소비자로써는 중장년층의 여성소비자가 주류를 이루었지만 남성과 젊은 층으로 확산되어 가는 조짐도 파악할 수 있었다. 일본에서의 한류는 드라마뿐만이 아니라 특히 한국어의 학습에 대한 열의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일본의 우경화 경향으로 일본인의 반한감정을 부추기는 대중적 가치관이 노출되기도 하였는데 그 대표적인 예가 ‘만화 혐한류’의 출판이었다. ‘만화 혐한류’의 분석에 의하여 한일간 역사인식 문제를 비롯하여 복잡한 양국관계 속에서 한류의 일본진출에 있어서 문화내셔널리즘의 측면이 작용하는 그 실태를 부각시키고자 하였는데 결국 혐한만화에 이용되는 소재는 ‘혐+한류’라기보다는 ‘혐한+류’로 표현되는 것으로 한국에 대한 반한 감정의 표출이었고 직접적으로 한류에 대한 비판이 아니었다. This paper examines the cultural consumption phenomena of the Korean wave(Hallyu) pop culture boom in Japan and Japanese anti-Korea nationalism. The Korean wave has taken three or four decades to become established in Japan. The Japanese have generally enjoyed Korean mass culture such as K-pop, K-cinema, K-drama and Korean food. Japanese middle-aged women have been the main consumers of the Korean wave, but it is slowly spreading to Japanese middle-aged men and young people. The study results confirmed that Japanese fans of the Korean wave are interested not only in K-drama but also in studying Korean language. One the other hand, anti-Korea feeling has appeared due to the increase in Japanese nationalism. In fact, the anti-Hallyu phenomenon is not unique to Japan. A comic book series called-HyumHallyu (‘Hate Korean wave’) has been published in japan. This series describes Japan’s historical recognition and its Japanese cultural nationalism against the globalization. Nevertheless, the contents of this series are not anti-Korean wave but a kind of anti-Korea.

      • KCI등재
      • KCI등재

        조선총독부의 영상매체 정책

        박순애 한중인문학회 2012 한중인문학연구 Vol.37 No.-

        본 연구는 대중문화의 성립과정과 조선총독부의 영상매체통제와의 사이에 어떤 현상이 일어났는가에 대한 연구이다. 영화매체 대중이 형성되어 가는 과정, 그리고 대중문화로서 영화가 수용되어지는 과정에서 총독부의 영화통제가 조선인의 영화 관람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 영화는 조선인에게 어떤 매체였는가, 그리고 조선총독부의 정책은 어떻게 달성되었는가에 대한 과제를 문화적인 분석을 중심으로 접근한 고찰이다. 이 연구에서는 영화가 어떻게 조선인의 대중문화로 다가오게 되며 일본통치기 조선인이 많이 관람할 수밖에 없었을 것으로 인식된 일본영화는 오히려 조선인에게 환영받지 못했던 사실 들을 확인했다. 초기영화 관람은 도시하층민이 즐기는 외래문화로 아방가르드적인 전위예술과 같은 것이었다. 전문영화관의건설로 인하여 영화는 대중문화로 점차 자리 잡게 되었고 조선의 대중은 서양영화를 즐겼다. 일본의 시대극들은 조선인 취향이 아니었다. 그러나 조선인의 오락으로서의 서양영화는 조선총독부의 국산영화 의무상영이라는 통제 하에 쇄락하여 갔으며 토키시대의 도래로 이전보다 훨씬 많은 영화 팬이 형성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아이러니컬하게도 토키영화의 도래는 오히려 조선인으로부터 영화오락을 빼앗아가는 결과를 가져온다. 총독부의 일본어 상용정책은 서양영화에 일본어자막을 넣도록 했고 일본어를 모르는 조선인에게 영화는 오락이 아니었다. 그러나 토키시대의 도래는 영화관의 현대화를 가져왔고 그 결과 엘리트, 교사, 학생들과 같은 지식층에게는 쾌적한 환경에서 영화를 즐길 수 있는 대중문화로 부각하게 된다. 그런 의미에서 보면 식민지 영화정책에서 총독부의 미디어믹스정책은 성공하였다고 볼 수 있다. 일본어사용, 전쟁동원을 위한 내용 등으로 만들어진 일본영화를 지식층에게 자발적으로 즐기게 하는 오락으로 받아들여지게 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조선인의 80%는 농민이었고 소수의 도시인을 제외한 조선인의 대부분이 영화는 물론이고 문화라는 것으로부터 소원(疎遠)한 상태에 있었다고 할 수 밖에 없다. This research analyzed the establishment process of mass culture in modern Korea. Specifically, it examined the analysis of the process of forming a public movie, what kind of things were influences for the film control of th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how the media policy of th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was accomplished, and the analysis as to the type of entertainment the movie was for the Korean society. In this study, it became clear how movies became the mass culture in Korea. The early movies were like avant-garde art, a foreign culture that city’s tag, rag, and bobtail enjoyed. With the construction of the movie theater, movies gradually became a mass culture. Since the Japanese historical movie was not a preference for the Koreans, the Korean public primarily enjoyed Western movies. However, Western movies, which became the entertainment for Koreans, were declined under the control known as the domestic film duty screening of th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Though much more movie fans were formed by the arrival of the talkie times than ever before, ironically, the arrival of the talking film times brought a result rather to take the movie entertainment away from the Koreans. As the Japanese superimposed on Western movies via their Japanese use policy, the governor-general’s office forced the Western movies out, and consequently, movies were no longer forms of entertainment for the Koreans who did not know Japanese language. However, the arrival of the talkie times brought about the modernization of the movie theater and as a result, movies were highlighted as mass culture enjoyed by intellectuals, such as elites, teachers, and students. In a comfortable environment, they were able to enjoy movies that were produced for war mobilization. 80% of Koreans were farmers, and therefore, most Koreans, with exclusion of a few citizens, were in a state that was remote from the movie culture. Judging from such circumstances, it may be stated that the media policy of the governor-general’s office succeeded in its movie policy in the Korean colony.

      • KCI등재

        국제화시대의 황실외교

        박순애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2013 일본비평 Vol.- No.9

        이 글에서는 주로 헤이세이 시기를 중심으로 일본 황실외교의 양상과 황실외교의 정치적 이용에 대해서 고찰했다. 상징천황제에서 황실외교는 헌법이 정한 천황의 국사 행위(国事行為)이며 공 적 행위에 해당한다. 외국 대사와 공사의 접수는 헌법이 정한 국사 행위이며 외국 요인과 회견, 국 빈의 환영 행사나 궁중 만찬회, 외국 공식 방문 등은 공적 행위다. 이 공적 행위에 대해서는 내각 이 책임을 지는 활동으로 각의(閣議)의 정치적 결정이 필요한 행위다. 원래의 황실외교는 국제친 선을 위한 것이지만, 특히 외국의 공식 방문은 각 정권의 이해관계에 의한 정치적 판단에 좌우되 었다. 1960년대의 대미 안보외교를 비롯해 1980년대 제3세계로의 자원외교, 1990년대의 중국시장 확보를 위한 경제외교 등에 황실외교가 이용되었던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1980년대부터 30년간 진행되어 온 일본 천황의 한국 방문 문제는 아직도 전후 처리 문제와 함께 현안으로 남아 있다. 황실의 방한 문제가 실현되기 어려운 배경에는 일본의 내셔널리즘이 강하게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This article considers an aspect of Japanese Imperial diplomacy of the Heisei period and the political use of Imperial diplomacy since the 1990s. Under the symbolic emperor system, Imperial diplomacy is considered as state affairs and it is also a public matter under the provision of Japanese constitution. In other words, the acceptance of foreign ambassadors and ministers is state affairs, while interviews with high foreign officials, welcoming events for state visitors, hosting of Imperial Court banquet, and formal visits to foreign countries are considered public acts. The Cabinet bears responsibility for such public acts and makes political decisions at cabinet meetings, which are required for the execution of Imperial activities. Originally, the purpose of Imperial diplomacy is to enhance international goodwill; however, Imperial diplomacy, particularly the official visits to foreign countries by the Imperial Family, is highly colored by the political judgment which reflects the interest of each government. This study shows that the Imperial diplomacy of the 1960s was used in relevance to the issues surrounding U.S.-Japan Security Treaty; In the 1980s, it was utilized for the acquisition of natural resources in the Third World; And in the 1990s, the Imperial diplomacy became tinged with economic diplomacy reflecting the expansion of the Chinese market. In terms of the political use of Imperial diplomacy, it is possible to draw a conclusion that it was indeed successful. And yet, even though Korea-Japan Normalization negotiation took place more than 30 years ago, the Japanese Emperor’s visit to Korea is still a pending issue, as the postwar handling of the consequences of the aggressive war remains controversial.

      • KCI등재

        조선총독부의 사상동원과 만화매체

        박순애 한중인문학회 2010 한중인문학연구 Vol.31 No.-

        본 연구는 매일신보의 시사만화의 분석을 통하여 조선총독부의 사상동원의 일면을 부각 시키고자 한 것이다. 식민지 통치에 있어서 영화나 문학, 또는 대중가요 등은 구체적인 이용 정책이 있었고 연구자들의 관심도 많았기 때문에 식민지시기 연구를 통하여 일정수준의 역할 이 밝혀지고 있다. 그러나 만화를 통한 동원이나 여론형성 등에 대해서는 본 연구가 처음으로 만화매체로 인한 프로파간다에 대한 성격을 규명하였다고 본다. 본 연구는 역사 속에서 대중 문화로서의 만화의 역할이 중층적이었음을 밝히는 것을 통하여 사상동원의 실태를 분석하는 역사문화적 연구임을 입증하려고 한 것이다. 1940년대 태평양전쟁시기에 인적, 물적, 사상동 원까지 싹쓸이 동원을 감행했던 시기에 만화라는 오락적 매체를 이용하여 한국인의 정신세계 까지 놀이적 감각으로 사상동원을 꾀했던 실상을 면밀하게 분석하고자 한 것이다. 역사학과 연계된 기여도로서 만화는 그 시대를 각인시킨 증인으로서 분석할 가치가 있다. 신문이나 잡 지가 역사를 말하는 자료로서 취급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만화도 또한 저널리즘의 한 형태로 고찰되어져야 한다. 다만 만화는 객관적 사실이나 사건의 진상을 밝히는 것이 아니라 그 시대 의 사람들의 마음가짐, 사건과 풍조에 대해 받아들이는 방법이나 반응을 그림으로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대국적으로 보면 세계관이나 사상과 통한다고 하더라도 만화가 직접 표현하는 것은 각각의 구체적인 장면이나 사건에 있어서 사람들의 상황파악과 사회적인 심리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식민지정책 수행자의 의도와 피수행자 사이의 상황파악과 심리상태의 변천 을 분석하는 것을 통하여 정신문화까지 동원시키는 사상동원의 실태를 연구하는 의의를 갖는 다. The meailsinbo(the Korean Daily Newspaper) was an organ of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of Korea and the only Korean-language newspaper after 1940. Though Japan controlled almost all of the Korean language press at that time, the government printed the meailsinbo until the end of the Second World War. Most researchers studying Japanese colonial mass communication policy have concentrated on film, literature, and popular songs. From 1940 to 1945, the government published the meailsinbo with an inserted cartoon, which had the aim of unifying the Korean people for war mobilization. This essay examines Japanese wartime propaganda and mobilization efforts through analysis of political cartoons, in the context of the meailsinbo in Korea. Though all comic strips in Korea were included in a press ban from the letter half of the 1930's to the end of WWII, the meailsinbo carried cartoons for mobilizing human resources, material and for thought control. The majority of this cartoon's contents featured war mobilization, such as conscription, rationing, gathering metals for making weapons, purchasing war bonds, and thought control, for whipping up the Japanese Imperialist spirit such as learning to speak Japanese, studying Japanese swordsmanship, etc. In addition to that many other things are to describe comic wit through contents of war playing. Cartoon content in this era was injurious to the Koreans' spirits, especially those of the children.

      • KCI등재

        『삼국유사』 해탈설화에 나타난 하층민의 형상

        박순애 대동한문학회 2013 大東漢文學 Vol.39 No.-

        This study is to inquire into how the lower class people were shaped in the six nirvana tales of Samkukyusa. In order to attain the goal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check out the social status and the conflict situations of the speaker. In case of the conflict situations, the conflicts were shown mixedly due to the conflict in the difference of social status, the conflict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and the conflict between ideal and reality, which is related with the shaping method of character. The writer, Ilyeon, shaped up the characters by the ingredients such as voice, appearance, behavior, environment, according to a three-dimensional way. The lower class people were characterized as an active, confident and rebellious person, a person with a superior ability than a higher class people, a person who pursues an ideal life than a present life. Ilyeon shaped up the helpless lower class people as an ideal character more or less, which is related with his social consciousness. The nirvana tales showed a tough situation of life and also tried to show an ideal world which transcends it, which perhaps leads to a factor that ideological narrative presses character narrative. However, the nirvana tales of lower class people features the vividness of lower class people in character narrative. 본고는 『삼국유사』 소재 설화 여섯 편을 통해 하층민이 어떻게 형상화되고 있는가에 대해 논의하려는 목적으로 작성된 것이다. 하층인의 형상을 살피기 위해 먼저 화자의 신분과 갈등 상황을 점검해 보았다. 갈등 상황은 빈부의 갈등, 신분의 갈등, 현실과 이상의 갈등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갈등 양상이 드러나는 것은 인물의 형상화 방법과 연관이 있다. 일연은 인물의 형상화 방법으로 목소리, 외모, 행동, 주변 환경을 입체화의 원리에 따라 구성요소별로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드러난 히층인의 모습은 적극적이고 반항적인 모습, 당당하고 상층민보다 더 우월한 능력을 지닌 모습, 현실의 삶보다는 이상적 삶을 추구하는 모습 등이다. 현실적으로 무력한 하층민에 대해 일연은 다소 이상적인 모습으로 하층민을 형상화하였다. 이는 일연의 사회의식과 관련이 있다. 『삼국유사』의 하층민 해탈설화는 각박한 삶의 현장을 보여주면서도 이를 초월하는 이상세계를 보여주고자 하였다. 이러한 사회의식으로 인해 하층민 해탈설화에서는 이념 서사가 인물 서사를 압박하는 형국이 되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물 서사에서 하층민의 형상이 발랄하게 살아나는 것이 하층민 해탈설화의 특징이라 할만하다.

      • KCI우수등재

        규제인식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기업특성을 중심으로

        박순애,손지은 한국행정학회 2016 韓國行政學報 Vol.50 No.4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firm characteristics on business perceptions of regulation. Given that the constraining effects of regulations on business behavior and location decisions differ across regions, we evaluated differences in business perceptions of regulation between firms in the capital and those in other regions using the Tobit Model.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twofold. First, business perceptions of regulation were generally more negative in the capital region than in other regions. In particular, characteristics of firms such as longer-term management and the construction industry influence these perceptions more positively than shorter-term planning and other industries. Second, business perceptions of regulatory reform were generally more negative in the capital region than in other regions. Specifically, in the case of firms in the capital region, while larger firms had more positive perceptions toward regulatory reform, those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had more negative perceptions. On the other hand, among firms in other regions, larger firms had more negative perceptions toward regulatory reform, whereas firm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and with longer-term management had more positive perceptions. In addition, a regulatory agency (government) factor, included as a control variable in our model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se perceptions. There are two implications of this study. First, since firm characteristics significantly affect business perceptions of regulation, in the regulatory policy making process, government should consider regulatory impact analysis and regulatory design that take into account firm characteristics. In particular, for regulation compliance, accounting at the policy level must be performed for new firms and SMEs weak in internal resources. Second, to facilitate business-level access to regulation processing, related support, and regulation information, the pertinent administrative institution’s capacity to respond must be strengthened, and officials governing regulations must show active efforts. 본 연구는 기업의 특성이 규제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수도권 규제는기업의 행위 및 입지에 대한 주요한 제약요인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수도권 소재 기업과 비수도권 소재 기업의규제인식차이 및 규제인식의 영향요인을 토빗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로는 첫째, 전반적인 규제환경에 대한 인식은 수도권 지역에 소재한 기업이 비수도권 지역에 소재한 기업보다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인식에는 기업의 특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는데, 특히 사업기간이 길수록 규제인식이 긍정적인 것으로 분석되었고, 건설업에 속하는 기업은 그렇지 않은 기업보다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규제개혁에 대한 인식 역시 수도권 소재 기업이 비수도권 소재 기업보다 부정적인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수도권과 비수도권 지역에 소재한 기업들의 규제개혁 인식에는 각기 다른 기업 특성이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분석되었다. 우선, 수도권 지역에 소재한 기업들의 규제개혁에 대한 인식은 기업규모가 클수록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건설업의 경우 여타 업종보다 부정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비수도권 지역에 소재한 기업들의 규제개혁 인식은 기업규모가 클수록 부정적인 것으로 분석되었고, 건설업은 여타 업종에 비해긍정적인 것으로, 또한 사업기간이 오래된 기업일수록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통제변수로 설정한규제집행기관 요인 역시 규제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주요 시사점으로는 첫째, 기업의 특성은 규제인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정부의 규제정책 수립 시 이러한 기업특성에따른 규제영향 분석과 규제 설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특히 규제준수를 위한 내부 자원 보유가 취약한 신생기업과 중소기업들에 대한 정책적인 고려가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규제 사무 처리와 관련한지원, 규제관련 정보를 기업들이 쉽게 접할 수 있도록 관할 행정기관의 대응역량 강화와 더불어 규제담당 공무원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