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의 ‘우주공간’ 활용과 군사혁신: 시진핑 시기를 중심으로(2013~2021)

        문장권 세종연구소 2023 국가전략 Vol.29 No.1

        This article examines how China has recognized, interpreted, and utilized "space" after China's founding especially analyzing how China's use of space was projected into the "military innovation" of Xi Jinping's era. The military innovation of the Chinese military during the Xi Jinping period, presented concepts, Active Defense Strategy, to support national strategies, developed and utilized satellites, rockets, and space weapons in terms of military technology, and carried out such as enhancing control of the Central Military Commission, reorganizing theater level, and established strategic support units. In other words, it is argued that the military innovation being carried out in China during the Xi Jinping era is being more actively and integrated through the use of outer space. It is argued that such military innovation being carried out in China during the Xi Jinping period is taking place through the use of space. The implications of China's military innovation for the Korean military are, first, enhancing space war and cyber warfare capabilities in preparation for future wars, and second,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scale, capabilities, and operation of Chinese military forces on the Korean Peninsula in case of emergency. Third,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mechanism for cooperation between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the Joint Chiefs of Staff, and the Army, Navy, and Air Force to reach a common opinion on the use of space. 이 글은 중국이 건국 이후 ‘우주공간’을 어떻게 인식해 왔으며, 해석 및 활용했는지를 검토하고 있다. 이와 함께 중국의 우주공간 활용이 시진핑(習近平) 시기 ‘군사혁신’에 어떻게 투영되었는지를 분석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특히 시진핑 시기 인민해방군의 군사혁신은 전략/교리 측면에선 ‘적극방어 전략’을 필두로 국가전략을 뒷받침하기 위한 개념들을 발전시키고 있으며, 군사기술 측면에선 위성, 로켓, 우주무기 등을 개발‧활용하고 있고, 조직/편성 측면에선 중앙군사위원회 통제력 제고, 전구 중심 개편, 전략지원부대 설립 등을 단행했다. 즉 시진핑 시기 중국에서 단행되고 있는 군사혁신이 우주공간 활용을 통해 더욱 적극적이고 통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주장하고 있다. 이러한 중국의 군사혁신이 한국군에 주는 시사점은 첫째, 미래전쟁 대비 우주전‧사이버전 능력 제고이며, 둘째, 유사시 한반도에 투입될 수 있는 중국 군사력의 규모 및 능력, 운용 모습에 대한 분석 필요하다. 셋째, 국방부, 합참, 육·해·공군 간 우주공간 활용에 대한 공통된 의견을 도출할 수 있는 협력기제 마련이 필요하다.

      • KCI등재

        탈냉전기 북한의 핵정책 결정요인 연구 : 정치적 동기설을 중심으로

        문장권 세종연구소 2018 국가전략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olitical motives played the primary determinants in the NK's nuclear policy in the post Cold-War. For that purpose, though it is very important to figure out the North Korea's real motives and intentions to develop the nuclear, the previous studies have not given enough explanations about their motives, because they have taken their approaches largely from the broad prospective. The results from trying the test in the logical way by putting it into the development process of NK's nuclear policy in the post Cold-War are as follow ; The determinants of the NK's nuclear policy in the post Cold-War included the political motives in primary, beside which security and economic motives played the secondary determinants. Specifically, the political motives played the primary determinants in the NK's nuclear policy in the post Cold-War. In each period, NK decided their nuclear policies under the objects of 'sovereignty protection' , 'sovereignty reinforcement', and then 'sovereignty stabilization', which means that in the last 1st, 2nd, and 3rd NK nuclear crisis the political motives affected their decisions as the critical variables. 본 글은 탈냉전기 북한의 핵정책 결정요인중 정치적 동기가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를 규명하기 위해 “탈냉전 이후 북한의 핵정책은 정치적 동기요인이 주된 결정요인이며, 이러한 핵정책은 북한의 대내외적 안정성을 추구하는 핵심 정책수단이다.”는 가설을 탈냉전기 북한의 핵정책 전개과정에 대입시켜 논리적으로 검증을 시도하였다. 기존연구에서 탈냉전기 북한의 핵정책 결정에 있어 정치적 동기가 주된 결정요인으로 작용하지 않았다는 가설로는 북한의 핵정책 관련 인식과 행위에 대한 종합적인 설명이 어렵다는 점에 주목하며, 정치적 동기가 주된 결정요인이라는 논리적 증거를 제시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탈냉전기 북한 핵정책의 주된 결정요인으로 정치적 동기가 작용하였으며, 각 시기별로 북한은 ‘자주권 수호’ → ‘자주권 강화’ → ‘자주권 공고화’ 라는 목표 하에 핵정책을 결정했다. 다시 말해 북한은 지난 제1·2·3차 북핵위기 시핵정책 결정에 있어 정치적 동기가 핵심 변수로서 영향을 미쳤다.

      • KCI등재

        김정은 시대 북한의 핵·미사일 전력증강에 대한 연구

        문장권,김현식,이한우 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2023 통일연구 Vol.27 No.2

        본 연구는 북한의 핵⋅미사일의 전력증강 과정에 대한 역사적 궤적을 추적하면서 어떻게 변화해 왔으며, 어떠한 능력과 전략을 가지고 있는지에 주목하고자 한다. 특히, 김정은 시대 북한의 핵⋅미사일을 개발⋅생산⋅배치⋅운용에 대한 변화과정을 자세히 들여다봄으로써 북한의 핵⋅미사일 전력증강에 대해 종합적인 이해를 모색하고자 한다. 이에 더해 김정은 시대 북한의 핵⋅미사일 전력증강을 통해 어떠한 핵인식을 가질지에 대해 그리고 어떠한 군사전략으로 연결시킬 것인지에 대해 엿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에 대해 우리는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에 대한 함의를 제공해 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closely examine the transformation and evolvement of North Korea’s nuclear and missile capabilities, shedding light on the strategies and advancements that have occurred over time. Our focus is to trace the historical trajectory of North Korea’s journey towards enhancing its nuclear and missile capabilities. In particular, by looking closely at the process of change in the development, production, deployment, and operation of North Korea’s nuclear and missile capabilities during the Kim Jong-un era, we would like to seek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North Korea’s nuclear and missile capabilities. In addition, we will be able to examine what kind of nuclear perception North Korea will have and what military strategy it will connect with its nuclear and missile power reinforcement during the Kim Jong-un era. And it will provide implications on what we should prepare for this.

      • KCI등재

        전통적·비전통적 안보 문제와 군사혁신 방안 연구 : 합동 신속 대응부대 창설 시 효과 분석

        문장권 육군군사연구소 2020 군사연구 Vol.- No.150

        This article examined the effects of establishing "Joint Rapid Response Force" that can actively and comprehensively respond to crises that emerge in traditional and non-traditional security fields due to future changes in the security environment. By analyzing the rapid response forces operating in advanced countries, specific points of consideration were identified for the Korean Army, and based on these points, this article predicts the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f establishing a joint rapid response force based on the three elements of military innovation, namely "strategy/doctrines", "military technology", and "organization/ formation". We can consider establishing a "Joint Rapid Response Force" as part of an effective response to the security environment on the Korean Peninsula, and we should prepare it step by step to maximize the positive effects of such a force while offsetting any negative consequences. The Korean security environment includes the direct threat of North Korea, as well as the potential for latent threats to emerge. In such an environment, distributing military power across all areas could require the investment of immense financial resources and efforts, putting the nation in a situation that is not effective as a whole. In addition, strenthening cooperation through the creation of a joint rapid response force is one method of several alternatives to effectively carry out the crucial task of protecting the nation and safeguarding the lives and property of its citizens while securing a certain amount fo resources for the defense sector in a post-cold war age where the demands of the public are focusing around welfare and the economy. 본고는 미래 안보 환경 변화에 따른 전통적 안보 분야와 비전통적 안보 분야에서 위기가 발생 시 포괄적, 능동적으로 대처 가능한 ‘합동 신속 대응부대’ 창설 시 어떠한효과가 나타날지 고찰해 보았다. 특히, 선진 국가에서 운용하고 있는 신속 대응부대의 분석을 통해 한국군 고려사항을 도출했으며, 이를 토대로 합동 신속 대응부대 창설 시 군사혁신 구성요소 세 가지인 ‘전략 / 교리’, ‘군사기술’, ‘조직 / 편성’ 분야로 구분하여 예상되는 긍정적 효과와부정적 효과를 분석했다. 미래 불확실성이 증대되는 한반도 안보환경에서 이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일환으로 ‘합동 신속 대응부대’ 창설 방안을 고려해 볼 수 있겠으며, 만약 창설 시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는 긍정적 효과를 극대화 하고 부정적 효과를 상쇄토록 차근차근 준비해 나가야 한다. 한반도의 안보환경에서 북한이라는 직접적인 위협이 존재하고, 잠재적 위협이 야기될 수 있는 상황에서 모든 분야에 전력을 배비한다는 것은 많은 재원과 노력이 투자되어 국가 전체적으로는 효과적이지 못한 상황에 놓이게 될 수 있다. 이에 더해 탈냉전이후 국민들의 요구가 경제 및 복지 분야에 비중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서 국방 분야에 대한 일정한 재원을 확보한 가운데서 국가를 수호하고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중차대한 임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여러 대안 중의 하나가 ‘합동 신속대응부대’ 창설을 통해 합동성을 강화하는 것이다.

      • KCI등재후보

        미래전 패러다임 변화와 육군의 부대구조 발전방안 : 유·무인 혼합 보병대대 창설 시 효과 분석

        문장권(Moon, Jang kwon) 대구과학대학교 국방안보연구소 2021 사회융합연구 Vol.5 No.2

        4차 산업혁명을 필두로 과학기술의 발전은 미래전 패러다임 변화를 추동하고 있다. 그 가운데서도 가장 두드러진 변화양상은 기존 유인 전투체계 중심의 전투임무 수행이 무인 전투체계와 혼합되는 모습으로 바뀌어 가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모습은 외국군 전술제대의 유·무인 혼합 개념을 적용한 현대화 과정과 전투수행 모습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토대로 육군의 부대구조 발전방안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와 더불어 미래 유·무인 혼합 보병대대 창설 시 예상되는 전투수행기능별 효과에 대해 SWOT 분석 기법을 활용해서 제시함으로써 미래전을 대비한 육군의 부대구조 발전방안을 모색함에 있어 여러 함의를 제공해 주고 있다. The development of science spearheaded b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leading a radical shift in the paradigms of future warfare. Among them, the most remarkable aspect of change is that the performance of combat missions centered on the existing manned combat system is changing into a form that is mixed with the unmanned combat system. Such a transition can be most readily observed in foreign armed forces, which have modernized tactical echelons through the application of mixed manned/unmanned concepts. On the basis of these foreign developments, it is possible to ascertain points of implication for the Korean Army s plans for improving unit organization. Furthermore, by presenting the expected effects of implementing manned/unmanned infantry units for each combat function through the use of SWOT analysis, the study explores methods of improving unit organization in the Korean Army and offers points of implication as it prepares for the warfare methods of the future.

      • KCI등재후보

        미래 유⋅무인 혼합 보병부대 전투수행기능별 핵심요소 우선순위 비교 연구: AHP 기법 활용을 중심으로

        이정열,문장권,김상준 광운대학교 방위사업연구소 2021 선진국방연구 Vol.4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esent the development plans for the future manned/unmanned infantry troops in order to respond to the changes in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along with the wind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 to prepare for future war changes. Above all, key elements by combat performance function of future mixed infantry troops could be identified and implications could be derived by comparing priorities by element using Analytical Hierarchy Process(AHP). In particular, a survey of current military policy departments, educators, field personnel, and indirectly related officers whose group consists of 190 (rank range: from the first lieutenant to lieutenant colonel, age range: from 20 to 40) out of 250 regard of effectiveness was conducted to identify which areas should be developed first for each combat function (command control, information, maneuver, fire, protection, operation sustainability support). In the formation of a mixed infantry troop, command control was able to identify battlefield information, reinforce information on battlefield visibility, strengthen maneuvering forces, strike strategic targets, share enemy attack situations, and maintain operations.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의 바람과 더불어 첨단과학기술의 변화에 부응하고 미래전쟁 변화에 대비하기 위한 미래 유⋅ 무인 혼합 보병부대의 발전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무엇보다도 미래 유⋅ 무인 혼합 보병부대의 전투수행기능별 핵심요소를 식별하고 분석적 계층화 과정(AHP : Analytic Hierarchy Process) 기법을 활용하여 요소별 우선순위 비교를 통해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특히, 현재 육군 내 정책부서 및 교육사 그리고 야전부대를 비롯하여 유ㆍ 무인 혼합 부대에서 근무한 간부 및 간접적으로 연관된 간부 집단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250명에서 190명(계급 분포 : 중위∼중령, 연령 : 20∼ 40대)의 설문응답을 토대로 분석한 결과, 전투수행기능별(지휘통제, 정보, 기동, 화력, 방호, 작전지속지원) 미래 유ㆍ 무인 혼합 보병부대 편성 시 지휘통제는 전장정보 파악, 정보는 전장가시화 보강, 기동은 부대기동력 보강, 화력은 전략표적 타격, 방호는 적 공격(기습)상황 공유, 작전지속지원은 환자 구조 및 후송 분야를 우선적으로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는 인식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Viewing the Implications of the U.S. Indo-Pacific Strategy on South Korea Security through IRT : One Region, Three Lenses

        박동휘,문장권 한국동북아학회 2022 한국동북아논총 Vol.27 No.4

        The competition between the U.S. and China in the Indo-Pacific region significantly impacts ROK's national security. In this context, ROK should find clues about setting up ROK-US relations, ROK-China relations, and inter-Korean relations.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the clues using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ies for the future of South Korea. Thus, this article found three main implications for achieving South Korea national security. In terms of realism, the ROK-U.S. alliance must be strengthened to pursue security and stability in the region. In terms of liberalism, ROK must maintain a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China. In terms of constructivism, Inter-Korean relations should be fostered with the goal of recognition of the other party through meetings and negotiations.

      • KCI등재

        전투실험을 통한 미래 유·무인 혼합 보병분대 부대구조 보완방향 연구

        이한우,정민섭,박상혁,문장권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2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8 No.2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의 변화와 더불어 첨단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른 해당 기술을 접목한 미래 유·무인 혼합 보병분대 운용 시 전투효과를 전투실험 기법을 적용하여 도출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과거 인간 및 수동적 기술을 활 용한 전쟁 수행방식에서 무인·자동화·정보화 등 디지털 기술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부응하고 미래 전쟁에 대비하기 위해 육군의 가장 기본 조직이자 직접적인 전투를 수행하는 분대의 부대구조를 보완하는 방안을 모색해 본 다는 측면에서 전투실험을 통해 미래 유·무인 혼합 보병분대의 전투효과를 측정했으며, 일정 부분 효과가 있음을 확 인 할 수 있었다. 미래 유·무인 혼합 보병분대 부대구조 발전을 모색할 시 여러 전투상황 속에서 AWAM 모델을 이 용하여 실험한다면, 좀 더 최적화된 미래 유·무인 혼합 보병분대 부대구조를 찾는데 도움을 줄 것이라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combat effect by applying combat experiments when operating a future manned/unmanned mixed infantry squad that combines the technology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along with changes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ontrary to conventional battles involving humans and manually-operated weaponry, modern-day warfare relies on unmanned, automated and intelligence technologies. In order to respond to these changes and prepare for future warfare, the combat effect of future manned and unmanned mixed infantry squads through combat experiments in terms of finding ways to supplement the structure of the squad that conducts direct combat as the most basic organization of the army was measure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n effect to a certain extent. When seeking the development of the future manned/unmanned mixed infantry squad unit structure, if the AWAM model is used in various combat situations, it will help to find a more optimized future manned/unmanned mixed infantry squad unit structure.

      • KCI등재

        새로운 전장환경 메타버스의 군사적 활용방안 연구

        정민섭,송재중,박상혁,문장권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2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8 No.2

        우리 사회는 정보통신기술 발달로 온라인 가상세계와 현실 세계가 융합하여 새로운 세계가 창조되는 메타버스 로 인해 새로운 전환기에 접어들고 있다. 엔터테인먼트 분야에 치중되었던 메타버스의 영역은 친교 활동, 교육, 상거 래 등 일상의 영역으로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전투원에게 실제 전장과 같은 가상훈련 환경을 제공하고, 사격과 기동, 통신, 방호 등 군사분야에서 활용성도 커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메타버스의 개념과 핵심유형, 발전 동향과 군사 분야에서의 활용성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Society is entering a new transition period due to the metaverse, where a new world is created by the fusion of the online virtual world and the real world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realm of Metaverse, which was focused on entertainment, is gradually expanding into everyday areas such as fellowship activities, education, and commerce. Its application is also increasing in the field.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discuss the concept, core type, development trend, and future application of the metaverse in the military fie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