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박정희 잔재의 사회적 기원에 관한 연구

        문상석 ( Moon¸ Sangseok ) 동양사회사상학회 2021 사회사상과 문화 Vol.24 No.1

        박정희는 개인의 변화가 조선의 부국강병을 이끌 수 있다고 믿었던 일제 강점기 사회진화론자와 개량주의자들이 한국인에 대해서 갖고 있었던 부정적 인식을 공유했다. 해방과 한국전쟁 그리고 4⋅19 혁명을 거치면서 한국 사회를 근본적으로 바꿀 수 있었던 기회는 박정희의 통치와 더불어 사라졌다. 박정희의 집권은 일제 강점기 일본인으로 사회화된 한국인 부역자들이 한국의 저발전을 한국인 탓으로 책임을 전가하며 한국인 스스로의 힘에 의지하는 대신 외세에 기댄 채 일본식 근대화를 추진하는 역사적 전환점이 되었다. 가난과 저발전의 사회 구조적 요인은 배제되었고 개별 한국인들의 열등성이 한국의 저발전의 주요인으로 비난 받으면서 인간개조의 바람이 일었다. 박정희는 한국인을 개조하여 근대화를 추진하고 그것을 통해서 자신의 집권과 통치의 정당성을 확보하려고 하였다. 이 연구는 인간개조를 위해 박정희가 도입한 정량 중심의 성과주의, 무한 경쟁, 서열과 위계 등의 방식이 만들어낸 결과와 박정희 방식의 식민지 기원을 설명한다. 한국 사회구조의 깊은 층위를 이루는 물질주의, 개인 이기주의, 그리고 집단주의는 사실상 박정희 잔재를 구성하는 주 요소이다. 일제 강점기처럼 다수 한국인들의 정치 참여의 기회는 축소되었다. 일상을 지배하는 정치와 의사결정 과정에서 국민들이 배제당하며 파편화되었다. 성과중심의 과도한 경쟁 사회가 만들어지면서 국민 탈정치화가 일어나, 국민들은 자신들의 물적 욕망을 추구하기 위해서 활용 가능한 집단주의를 발전시키었다. 박정희에 의해 시작된 한국인을 위한 인간개조는 경쟁에서의 승리에 적합한 인간이 되는 것과 승리한 사람 중심으로 보상체계를 구성하는 연공서열의 위계 구조를 고착화시켰다. 한국인들의 강력한 성공 욕구와 추진 동력은 타인과 성공의 과실을 공유하지 않고 배제하는 파편화되고 원자화된 개별 한국인을 만들게 되었다. 공동체는 해체되었고 결사도 허용되지 않은 상태에서 근대화를 경험한 한국사회에서 박정희 잔재는 다수의 한국인들의 사고와 행동 방식에 영향을 미치며 존재한다. 일제 강점기는 그 시대를 살았던 모든 한국인들에게 전과 너무나 다른 사회를 만들었고 그 속에서 사회화를 경험한 박정희는 일제 강점기의 조선인에 대한 왜곡된 이미지를 그대로 학습하였으며 해방 이후 혼란을 조선인들의 탓으로 돌리면서 강제화한 사회를 만들어 인간을 통제하려고 하였다. 박정희가 만들어낸 이데올로기와 제도들이 박정희 지배 기간보다 더 오래 남아서 한국인들은 개조하였다. 이 연구는 한국인들의 문화 속에 남아 지배적인 위치를 형성한 사회구조의 특성을 정의하고 박정희가 한국인들에게 빼앗은 결사, 보편성, 공공영역의 시민사회 특성을 되살리는 것이 박정희 잔재를 제거하는 것임을 주장할 것이다. It is a difficult job and to find the vestige of Park Chung Hee in modern Korean society. Park Chung Hee shared with social Darwinists and reformists who tried to change the Korean society by changing and reforming in humanity because they believed that changing in humanity would bring national prosperity and strong military power. The social causes of poverty were not regarded as the main independent factors but Koreans without power and wealth became the scapegoat for Korean underdevelopment in modern. Park Chung Hee started to reform humanity by making humans modern, to consolidate the system of dictatorship. This research aims at exploring the social consequences of the competition system, goal-oriented competition, seniority, and rank system, which Park Chung Hee introduced to reform humanity. The social consequences are materialism, self-oriented egoism, collectivism that Koreans are forced to follow in their everyday lives. The chances of Koreans’ participation in politics were lessened gradually because Park Chung Hee excluded the majority of Koreans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Depoliticised Koreans got on the endless race of material success. The exclusive, closed social relationship between Koreans developed and made Koreans atomized. The vestige of Park Chung Hee is three layers of social structure; collectivism, self-interest-oriented egoism, the materialism of Koreans society.

      • 학벌과 불행: 한국청소년의 주관적 행복도

        문상석 ( Sangseok Moon ),염유식 ( Yoo Sik Youm ) 연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2010 현대사회와 문화 Vol.31 No.-

        한국사회는 학력 사회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 사회다. 한국사회에서 학력(學歷)은 사회를 살아가는 개인들에게 좋은 기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누군가를 판단하는 척도가 되기도 한다. 즉, 서로에게 사회적 압력을 강요하는 중요한 도구인 것이다. 사람들이 어떤 누군가를 만날 때 가장 먼저 질문하는 것이 그 사람이 학생인 경우 공부를 잘 하는가에서 만일 직장인이라면 어느 대학교를 졸업했나를 질문하곤 한다. 최근에는 외고를 졸업 했는가 혹은 아닌가에 대한 질문을 하게 되는 경향이 있었다. 이럴 경우 우리는 한국사회를 학력주의(學歷主義)에 근거한 학벌사회(學閥社會)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런 사회 구조 속에서 언제나 자신의 사회 이동을 추구하도록 강요받는 개인들은 최대한 자신들에게 이익이 되는 지점을 찾아가도록 한다. 가장 최대한으로 자신의 집단을 올리기 위한 수단은 학력 취득이다. 이런 학벌 중심의 사회에서 부모는 자신들의 부를 재생산하기 위해서, 한 단계 높은 수준으로 자신들의 아이들의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 자녀들에게 학력을 취득하고 좀 더 명문대, 명문대를 위한 명문고, 명문고를 위한 명문 중학교를 찾아다니도록 강요한다. 소위 외고열풍은 한국사회의 이런 특징을 잘 보여준다. 이는 부르디외의 부모의 문화적 자본이 높아질수록 자녀의 문화적 자본이 높아진다는 것이 한국의 연구들에서 나타난다. 다시 말하면, 부모의 학력이 높아질수록 자녀들의 하력도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방정환 재단에서 한국 어린이-청소년 행복지수의 구축과 국제 비교연구조사를 2009년, 2010년 연속적으로 실시했다. 이 연구에 따르면 경제협력개발기구(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이하 OECD)국가들의 청소년들과 비교했을 때, 한국사회에서 청소년들이 비록 객관적 환경 측면에서 물질적 행복, 보건과 안전, 교육 및 가족과 친구 관계, 및 건강관련 행위 등의 항목에서도 중간 이상의 행복을 위한 좋은 조건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주관적 행복지수에 있어서는 다른 경제협력개발기구 국가들의 학생들보다 보다 낮은 수치를 보여주고 있다. 이 글에서는 이런 원인을 학업 및 학교의 교육 환경에서 찾고자 한다. 한국 사회가 학벌 획득을 강요하는 사회 구조이고 이런 구조 속에서 학생 개개인들은 하력의 신장을 위해서 지속적으로 공부에 내몰리게 된다. 이때, 학생들의 부모들은 이런 것들이 자녀들의 미래 행복의 조건이라고 믿기 때문에 이런 구조 속에서 자신들의 자녀들이 스스로를 잃어버리고 소위 말하는 소외된 공부를 하도록 용인하거나 강요하게 된다. The Korean society is so-called a society of credentialism. Degree is a great and important criterion with which people are going to judge or evaluate others. Therefore, most of Koreans are pursuing the degree of some prestigious universities. This social phenomenon has been built by the tradition that Koreans have tried to succeed in their society. This tradition is connected to the modern education system in Korea and has its strong impact on individuals` future of Koreans. Therefore, achieving educational degree at prestigious universities has become a means of success, which make the Koreans join in endless competition to get those prestigious degrees. Under this social structure, element,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re experiencing social pressures to compete with one another to achieve the educational success getting admission from only a few prestigious university. So everyday, they are studying at their schools, private tutor institutes and their homes. The subjective Indices of well-being of Korean children and students are relatively lower than ones of other Organization of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countries, even though their objective conditions for their well-being are not low or even higher than ones of OECD children and students, This research aims at explaining the reasons of relatively low self-reliance and well-being with social structure which makes the Korean actors join in endless competition to achieve credentials. This strong social structure makes children and students feel unhappy and not satisfied with their lives.

      • KCI우수등재

        정당공천제도와 지방정치 변화에 대한 고찰

        문상석(Sangseok Moon),김범수(Beomsoo Kim),서정민(Jeongmin Seo) 한국정치학회 2017 한국정치학회보 Vol.51 No.1

        본 연구는 민주적 지방정치 발전을 목적으로 도입된 정당공천제가 도입의 의도와 달리 중앙당에 의해 임명된 지역위원장에 의해 전용이 되어 지방정치구조의 식민화를 구조화하고 있음을 시기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심층면접을 통해서 진행된 연구는 지방정치에서 가장 아래 층위를 구성하는 기초의원 공천 과정에서 지역위원장을 중심으로 하는 제도적 전용 현상이 발생하여 제도의 역기능이 발생한 것을 다루었다. 세부 규정없이 도입된 정당공천제도는 다양한 방식으로 지역위원장 중심의 지배구조를 강화하였고 이에 따른 문제점들이 대두되었다. 제도의 역기능에 대처하기 위하여 도입된 상향식 공천규정도 근본적인 처방이 되지 못하여 새로운 형태의 제도 전용이 발생하여 중앙정치에 자원(표와 돈)을 제공하는 식민지로서 지방정치가 구조화되고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근본적 처방은 정당공천제도를 폐지하는 것이 아니라 제도의 완전성을 높이고 지역위원장의 권력을 견제하는 제도권력을 강화한다면 지방정치 발전을 도모할 수 있음을 주장한다. This paper aimed at analyzing the process of dysfunction of an political institution, which was introduced for better development of democratic self-governing in local politics. A party nomination system for municipal council elections was introduced to separate local power elites from local democratic self governing. However, the institution made an unexpected outcome that a chairman of district constituencies appropriated the system of nomination and monopolized local political power. The institution was, therefore, modified to meet problems that it had made, after many debates over the institution’s dysfunctions. However, those modified ways were soon utilized by chairmans of local constituencies. Generally the institution functions as a means to make central political wills penetrate local constituencies and maximize the interests of central politics. As a result of the institution, local politics became a colony of central politics which provides political resources such as money and votes(people) for general elections or presidential elections. In order to prevent political appropriation, we should try keep improving institution to complete it. Moreover, the established central politics oriented political system must be questioned and should be realigned for balanced relationship between both.

      • KCI등재
      • KCI등재

        박 정희와 민족주의

        문상석(Sangseok Moon)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18 현상과 인식 Vol.42 No.1

        박 정희는 한국인을 인간개조 하여 국민 만들기를 시도하고 이를 수단으로 자신의 독재권력을 영구화하려고 했다. 박 정희는 민족은 궁극의 존재이고 국가는 민족을 보호하는 수호자라는 인식을 국민들에게 믿게 만들고자 했다. 자신의 군사 쿠데타를 정당화하기 위해서 자신의 집권 이전 역사를 비판하면서 정치를 비판하고, 새로운 정치 질서를 구축하려고 했다. 경제성장은 정당화를 위한 도구였으며 이에 필요한 한국인들을 재사회화 하는 것은 인간 개조였다. 박 정희는 한국의 역사 속에서 자신에게 필요한 소재를 취사선택함으로써 자신의 쿠데타, 독재를 정당화하고자 하였다. 역사 비판은 새로운 역사 만들기로, 인간개조는 국민만들기로 이어졌다. 역사는 박 정희 독재를 정당화시키는 데 사용되는 단순한 도구로 전락했다. 박 정희는 이 과정에서 민족주의를 자신의 독재 체제와 일치시키도록 만들었다. 박 정희에게 필요했던 역사는 다시 호출되고 변형되었다. 변형된 민족의 역사는 독재 미화와 연계되는 상징체계를 구성하였다. 당시 박 정희 동원에 참여했던 한국인들은 민족주의를 내재함으로써 계급을 잃어버리고 민족의 구성원으로 재탄생되었다. 결국 박 정희의 민족주의는 박 정희 개인 독재를 유지하는 데 기여하는 도구적 성격을 띠게 되었다. Park Chung Hee tried to make his dictatorship permanent which was possible by making of kookmin, whose humanity must be re-engineered with modern ideas. Park tried to make Koreans believe that Korean nation should be a ultimate being and the state should be a great guardian to protect the nation. To obtain legitimate his military coup d’etat, Park criticized politics in Korean history and constructed his own political structure in Korea. Park also tried to develop Korean economy and provide better economic condition for poor Koreans. To achieve both goals, Park tried to invent nationalism and history, and also re-engineered Korean’s humanity. Criticizing old Korean history led to remaking new Korean hitory by making new nation for the Republic of Korea. Re-engineering humanity led to making Koreans of kookmin. History and nationalism became an instrument for Park. In this process, Park tried to identified his dictatorship with Korean nationalism, which was a new symbolic system for Park’s dictatorship. At that time, Koreans who participated in national development movements identified themselves with nationalism that Park invented. Finally Koreans lost their class consciousness but held Korean nationalism. They were reborn as a member of Korean nation only for the Republic of Korea.

      • KCI등재

        군사쿠데타와 국민국가 형성

        문상석(Sangseok Moon)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14 현상과 인식 Vol.38 No.1·2

        1961년 군사쿠데타와 군정체제는 대한민국이 형식적으로 성장한 것을 질적으로 성장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군사정부는 쿠데타의 촉발원인이 되었던 군부 내의 부패 구조와 진급적체등과 같은 것보다는 자신들의 쿠데타 승리에 기여한 정권의 무능과 사회불안의 요소를 국가기구의 제도적 변화와 시민사회에 대한 국가중심주의적 식민화를 통해서 한국사회를 근대화 시키려고 노력하였다. 이를 위해서 먼저 국가기구를 능률적으로 변화시키고 공무원에 대한 해고와 훈련을 통해서 국가 공무원제를 확립하였다. 또한 경제적으로 국가와 재벌의 지배연합체제를 공고히하기 위해서 국가 억압력을 증대시켰는데 중앙정보부의 출현은 억압적 국가강화로 이어졌다. 사회적으로 시민들을 인간개조하여 국민으로 만들기 위하여 각종 통제장치를 마련하였다. 언론통제, 정치참여 제한, 지방자치 연기, 전문적 노동분업화와 탈정치화, 국가적 행사에 동원 등은 사실상 시민을 국민으로 만드는 주요한 요소였다. 이를 통해서 시민들은 국민으로 정체성을 확립하게 되었고 대한민국은 휴전선 이남을 경계로 하여 중심성과 분화된 행정체제, 억압력의 독점 등과 같은 제도적 근대국민국가에 기초하여 국민을 형성함으로써 한반도의 남쪽에서 출현하게 되었다. Military Coup in 1961 provided a chance to substantially develop modern nation state in Korea for the state. Both personnel congestion, corruption structure as pulling factors were soon forgotten and pushing factor such as social problems, economic and social underdevelopment, political incapacity and disruption were mainly focused after success of the military coup. Therefore, the military government tried to make state institutions capable and able, and to make Koreans minds modernized by reforming humanity. The military government tried to make Korean society modernize based on the state centered colonization over civil society. Military government first established bureaucrats system and state system to run the government. Economy and state connection system as a ruling system was established and to protect the system, to build the ability of state repression apparatuses, the military government established Korean Central Intelligence Agency, which increased the ability of the state repression. Through the ideological state apparatuses like mass media, by limiting political participation of people, professional division of social labour and depoliticization, mobilization of people in state development programs, the military governmen tried to make people a national subject. Koreans now began to identify themselves as a state citizen. The military government could give Korean society a chance a modern national state by forming a state citizen as well as the demarcated border within DMZ (de-militarized zone), centralization, differentiated state apparatuses, monopolization of physical violent means.

      • KCI등재

        국가 다시 보기

        문상석(Sangseok Moon) 한국사회이론학회 2018 사회이론 Vol.- No.54

        이 글은 정의 세움에 사람 사이 ‘관계’와 ‘정치’가 필요함을 밝히고자 한다. 부르주아와 프롤레타리아와 같은 보편적 계급이 정치에 참여하면서 근대는 보편의 시대에 접어들었다. 그러나 부르주아 중심의 지배집단이 사회 자원과 잉여를 독점하기 시작하면서 그들만의 특수한 이해관계가 보편주의를 대체하였으며, 보편의 이름으로 정의가 상대적으로 정의되기 시작했다. 탈정치화된 보편 계급은 정치영역에서 배제되고 부르주아 이해관계에 기여하는 소수가 정치를 독점하게 되면서 사회적 자원분배 체계를 왜곡시키고 정의를 특수한 영역에 한정시켰다. 부르주아를 위한 특수주의는 일상 속에서 개인들의 행위를 규제하거나 동기를 자극하는 제도를 만들어 사회에 개입하는 국가를 보편의 계급으로부터 멀어지게 만들었다. 특수주의가 지배하는 사회 속에서 불평등은 심화되고 정의롭지 못하다는 인식아래 구성원들의 정의에 대한 열망이 높아져가지만 개인들은 정의롭지 못한 상태에서 살아갈 수밖에 없다. 정의 세우기는 정치의 재구성 과정을 통해서 보편성이 지배적일 띨 때 가능하게 된다. 보편성은 국가에 의해 보편이익이 제도화되고 그것이 일상에서 작동하게 되면 그 사회의 중요한 사회적 사실로 개인들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정의에는 정치와 관계에 시민이 더해져야 온전해진다. 시민은 시민권의 재정립 과정에서 형성되기 시작할 수 있다. 사회 자원이 투입되는 시민권 재정립에는 많은 도전과 저항이 발생한다. 극복해야 하는 어려운 과정에 정치교육이 역할을 할 수 있다. 소수 지배집단이 지배하는 토양에서 모두를 포괄하는 새로운 시민권 확립은 소수 중심의 지배질서에 저항하고 보편 시민을 위한 정의 형성에 기여하는 첫걸음이 될 것이다. This paper aims at revealing relation and politics to restore Justice. The era of universality has come as the universal class like bourgeoisie and proletariat began to participate in politics. Particularism soon had, however, replaced universalism of Justice as ruling class began to monopolize social resources and surplus, and universal justice became relative in the name of universalism. The universal class who was de-politicized were excluded in politics and few ruling class in number who monopolized politics distorted social resource distribution system, finally made universal justice to particularism. Particularism made the state separated from the universal class, who were regulated and provoked by the state’s institutional intervention in everyday life. Since individuals are aware of inequality and injustice, individuals’ longing for justice grows and grows but they should live in this society where particularism rules and inequality is prevalent. The restoration of justice and of universality should be composed by making politics reshaped. Universality should start with institutionalization everyday life and function for all people, then can work as social facts of their society. Politics and relation need citizens as well as one another for universal justice. Citizenship needs institutionalizing universality. The formation of citizen in Korea will be possible by institutionalizing citizenship, which should include every condition for human right to live as a human. In the global era, citizenship should be considered with global and multi-cultural context. It would be very tough to achieve. It will be the first step for us to make this society just.

      • KCI등재

        시장과 국가에 배태된 저널리즘의 위기와 전망

        문상석(Sangseok Moon)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20 현상과 인식 Vol.44 No.3

        대중의 불신에서 시작된 저널리즘의 위기는 다양한 뉴미디어들이 등장하면서 자본축적의 문제로 본격화되었다. 변화를 시작한 저널리즘은 위기를 극복하려고 하지만 요원해 보인다. 저널리즘의 위기의 근본적인 요인을 찾지 못한 상태에서 시작한 변화는 오히려 저널리즘 위기를 촉진하고 있다. 국가와 시장에 배태된 저널리즘이 현재 위기의 근본 요인이다. 근대 저널리즘이 출현할 때 국가와 시장의 확대는 중요한 환경이었다. 새롭게 등장하는 시민들의 적극적 호응과 그들의 욕구를 충족시켜주던 저널리즘은 산업화가 가파르게 진행되면서 새롭게 등장한 대중에게 자리를 내주었다. 민주주의가 발전하고 자본주의가 생산에서 소비로 무게중심이 이동하면서 저널리즘이 더욱 성장할 수 있는 토대가 형성되었다. 한편 저널리즘은 소규모의 다양한 주체들이 중심이 되어 자신들의 이야기를 전달하는 매체에서 시작했다. 그러나 시간이 흐를수록 자본이 집중되고, 권력과 관계에서 의존성이 더욱 확대되어 이윤 추구를 보장해주는 국가와 시장에 의존하였다. 사회변동으로 개인주의화가 진행되었고 개인들은 그들의 욕구를 충족시켜주지 못하는 기존 저널리즘 매체를 불신하고 새로 등장한 뉴미디어들을 선택했다. 저널리즘의 위기는 기술발전, 개인주의에 따른 환경 변화가 있었음에도 중앙집권화된 기존 매체들이 자본과 권력에 의존적인 구조에 변화를 주지 못하고 그것을 강화하면서 발생했다. 저널리즘 위기 극복은 신뢰 회복에 필요한 배태성을 극복하고 전통 저널리즘이 잃었던 대중 즉 시민과 관계를 회복하는 것에서 시작해야 한다. The crisis of Journalism triggered by mass distrust has caused the problems of accumulation of Journalism capital, since new media emerged. Journalism’s efforts to overcome crises seem to be far from being successful enough, because journalism can not figure out what made those crises. The key cause is the embeddedness of Journalism in market and state. The development of state and market was a major factor for the emergence of modern Journalism. The new mode of productions, new classes, and political citizens, and finally the emergence of the modern national state were important backgrounds to explain the emergence of Journalism. However, as Journalism developed, it has been soon embedded in market and state to maximize profits. As national states developed and capitalism was dominant in modern society, Journalism became more dependent upon state and market. Even though individualization happened by social change, Individuals kept being alienated by mass media. Just in time, new media emerged with the development of IT industrialization. Alternatives of the established Journalism put Journalism into real crises. Although diastrophism in Journalism seems to be caused by IT development and industrialization, it was inherent due to embeddedness structure in market and state, which made modern journalism flourish. Overcoming those crises should start to restore the relationship with citizens who are subjects of modern Journalism back to the beginning and to bring people the subject in back to the journalism arena.

      • KCI등재

        한국전쟁, 근대국민국가 형성의 출발점

        문상석 ( Sangseok Moon ) 한국사회사학회 2010 사회와 역사 Vol.0 No.86

        한국사회에서 민족과 국가는 다른 의미를 지닌다. 한 민족으로서 두 개의 국가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며 식민지를 경험하고 전쟁을 겪으면서 두 개의 강한 국민국가를 형성했기 때문이다. 이때 민족주의는 국민주의 혹은 국가주의와 구별되어야 하며 대한민국은 민족국가의 형태보다는 국민국가로 이해되어야 한다. 민족과 국가가 다른 의미를 지닌 한반도 내에서 한국전쟁은 따라서 대한민국이 한반도의 남쪽지역에서 홀로 굳건히 설 수 있는 하나의 분기점을 제공해주었다. 전쟁을 통해서 대한민국은 물리적 폭력 수단의 독점, 명확히 구분된 영토, 분화된 행정기구 및 체제 그리고 반공주의와 자본주의로 한국인들을 국민화하기 위한 작업을 시작할 수 있었다. 특히 전쟁 기간 중에 물리력의 집중과 폭력 수단의 무차별적 사용은 국가로 하여금 피지배층에 공포심을 심어주었고 이는 국가에게 더욱더 강한 물리력을 사용할 수 있는 정당성을 제공하였다. 이 과정에서 내부적으로 대한민국은 여타 다른 사회 조직이나 제도보다도 강력한 존재로 출현하였다. 다른 한편으로 볼 때, 대한민국은 대외적으로는 매우 약한 존재로 나타났다. 왜냐하면 전쟁기간중 대한민국은 절대량의 전쟁 자원의 추출을 외국에 의존하였기 때문이다. 대전협정을 통하여 군대의 통수권을 넘긴 대한민국은 전쟁 기간 내내 외국의 작전 명령을 수행하였다. 통수권의 이전으로 대한민국은 전비의 조달에서 어느 정도 자유로울 수 있었고 군대의 훈련 및 무장에 관한 한 외국에 의존하였다. 그러나 자원 추출의 외부 의존은 도리어 내부적으로 강한 국가의 출현을 도왔다. 내적으로 국가는 자원추출을 위하여 시민사회와 타협할 필요가 없어졌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성장한 국가기구는 자원추출을 위해서 더욱더 강력한 물리력을 다시 사용할 수 있게 된것이었다. 이 두 상반된 듯 보이는 대한민국의 특징은 대한민국이 민주화 혹은 시민화되는 과정에서 다시 등장하였다. The Korean War was a turning point that the Republic of Korea could stand alone in the territory of the Southern Korean peninsula. Through the war, the Republic of Korea could monopolize the means of physical violence, have demarcated boundaries, differentiated administration system and begin to nationalize Koreans with anticommunism and capitalism. Above all, while it was waging a war against the North communists, it could wield military power at its disposal and then, could imprint the terror of the state against civilians and peasants. This was the building of the state who was stronger than any other civilians organizations and institutions internally. However, the Republic of Korea could not mobilize all necessary resources for the war. It had to depend on foreign forces like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Nations for the recourse mobilization. This dependent characteristic that the republic held at that time caused it to be relatively weaker to international forces. Ironically, the characteristic of dependency on foreign forces could p romote the desp otic p ower o f the Rep ublic of Korea much more because, it did not have to negotiate with civil society to mobilize social resources. Two intertwined features which the republic held made it a very distinctive state institutionally, which would influence on future Korea for civilization and democratization

      • KCI등재

        식민지 지배와 저항의 사회적 공간과 조선 지식인들의 사회학 인식

        문상석 ( Moon Sangseok ) 한국사회사학회 2016 사회와 역사 Vol.0 No.110

        식민지시기 일제지배가 태동시킨 급격한 사회 변동 속에서 조선 지식인들은 변동을 학문적으로 연구함과 동시에 조선의 미래를 위해서 사회 변동에 부합하는 새로운 질서를 구축하려 하였다. 큰 틀에서 볼 때, 이들의 노력은 기존 질서의 전면적 폐지를 통하여 사회진보를 추구하려한 혁명적 방법과 연계되거나 계몽되지 못한 전근대 조선인들을 근대의 합리적 인간으로 개조함으로써 사회진보를 추구한 개량적 방법으로 연계되어 나타났다. 혁명과 개량의 사조 속에서 사회학은 근대학문으로서 과학적 연구방법을 통해서 조선 사람들에게 자신들을 돌아볼 수 기회뿐만 아니라 미래의 비전을 제시해줄 수 있는 학문으로 인식되었다. 수용된 사회학적 지식은 서구와 일본의 발전에 비해 정체되었던 조선사회 모순의 원인을 파악하여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여 조선 사회의 미래 운명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학문으로 여겨진 것이다. 같은 방식으로 조선인들이 지닌 방종, 사치, 낭비, 사행, 이기심 등의 문제점을 파악, 해소하여 조선인을 근대형 인간으로 만들 수 있는 근대 학문으로 인식되었다. 콩트의 사회학 이론에 나타난 사회동학과 사회정학의 관점은 식민지 지배 아래 조선에서 거시적 사회변동을 이해하고 미래 진보의 방향을 예측하려 했거나, 사회의 도덕과 법칙에 의해서 개인의 욕망과 탐욕을 통제하려 시도했던 지식인들의 지적 의도를 충족시켜줄 수 있을 것이라고 믿어졌다. 이 연구는 식민지 지배의 사회적 공간이었던 조선에서 혁명 혹은 개조의 입장을 가졌던 조선 지식인들의 사회학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기 위해 신문과 잡지에 실린 글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조선지식인들의 사회학 수용이 식민지 지배와 저항의 공간이었던 조선 사회의 근대를 위한 방법론과 연계되었음을 밝히고 한국 사회학 발달의 토양이 이미 식민지시기에 숙성되고 있었음을 지적하고자 한다. Sociology emerged in the age of revolution in the West. Auguste Comte, who wanted to restore and rebuild social order through social forces, created sociology. Comte wanted to achieve social progress for human beings as well. Creating social order requires progress. Scientific knowledge provided the necessary objective and rational methodologies for sociology. The modernization Japan introduced produced rapid social change in Korea. Colonial domination and modern social change led Korean intellectuals to respond with a two-track method. One side hoped to promote revolutionary thought in Korea. The other was set on reformist thoughts. The revolutionary thinkers set out to simultaneously destroy capitalist order and traditional chains as means of ultimately achieving progress in Korea. The reformists tried to achieve the greatest level of progress by remodeling humanity of Koreans. Sociology in colonial Korea could provide objective, holistic, scientific methods for Korean intellectuals. Each intellectual group recognized sociology as an academic discipline, which could provide methodological justification for either revolution or remodeling humanity of Korea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