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내러티브와 메타포의 교육적 적용 가능성 탐구

        노진규,김수영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024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Vol.12 No.1

        본 연구는 내러티브와 메타포의 차원에서 교육적 적용 가능성을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언어, 예술, 정치와 경제 등의 인간 삶의 한 부분에서 내러티브와 메타포의 의미를 탐색하였고, 그 결과 내러티브와 메타포가 인간의 삶의 다양한 영역에서 작동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후 교육적 적용 가능성으로 교육의 담론 형성 및 교수-학습 과정에서 개념의 형성 과정, 정체성 형성 과정 및 연구 방법 측면에서 내러티브와 메타포 활용으로서 교육의 인지지도 확장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내러티브는 인간의 삶을 서사적 구조로서 재구성하며, 메타포는 이 과정에서 내러티브 생성을 위한 상상의 도구로서 역할을 수행한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교육이 인간을 대상으로 하고, 그들의 바람직한 삶을 돕기 위해서는 교육 언어에 대한 내러티브와 메타포의 이해 및 작동 양상에 대한 심층적 이해가 필요하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ducational applicability of the dimensions of narrative and metaphor. For this purpose, the meaning of narrative and metaphor was explored in one part of human life, such as language, art, politics, economics and the results showed that narrative and metaphor operate in various areas of human life. Then, in terms of educational applications, we examined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the cognitive map of education by utilizing narratives and metaphors in terms of discourse formation in education, concept formation process in teaching and learning, identity formation process, and research methods. The results of the study confirmed that narratives reconstruct human life as a narrative structure, and metaphors play a role in this process as imaginary tools for narrative creation. If education is to target human beings and help them live desirable lives, a deeper understanding of how narrative and metaphor are understood and operationalized in the language of education will be necessary.

      • KCI등재

        듀이 실험학교 역사성에 기반한 초등학교 통합 교육과정 운영의 시사점 탐색

        노진규 안암교육학회 2023 한국교육학연구 Vol.2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mplications of the Dewey‘s Laboratory School for the opera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from the perspective of integration. The Laboratory School is the place where Dewey's experiential philosophy was experimented. And as a life, we can know ideas related to students' experiences, continuity of experiences, interaction and growth, and the gradual organization of experience and subject matter. In this study, the implications of the curriculum of the Laboratory School for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from an integrated perspective were explored. As a result, first, the meaning of experience as life, second, internalization of experience as story, and third, possibility of transfer of story and expansion of life could be presented. It can be seen that the experiences of students at school are settled in the minds of students in the form of a story, and narrative act as an important mechanism in the expansion of experiences in life. 실험학교는 Dewey 경험철학이 실험된 장으로서 학생들의 경험, 경험의 계속성과 상호작용 그리고 성장, 경험과 교과 사이의 점진적 조직과 관련한 다양한 아이디어가 어떻게 실천되었는지 살펴볼 수 있는 좋은 사례가 된다. 본 연구는 실험학교의 역사성에 기반하여 초등학교 교육과정 운영의 방향과 방법을 재검점 할 수 있는 중요한 논거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가치가 있다. 이러한 취지하에 본 연구에서는 실험학교의 교육과정 운영 방식을 기반으로 통합적 관점에서 초등학교 교육과정 운영에 주는 시사점을 철학적 탐구 중심의 논의 방식을 채택하여 탐색하였다. 그 결과 첫째, 정반합의 원리로서 경험과 교과의 통합적 가능성 둘째, 이야기로서 교과 경험의 내면화와 삶으로 전이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학교에서 학생들의 경험이 하나의 이야기 형태로 마음에 자리 잡고, 경험의 확장 및 삶의 전이에서 내러티브가 중요한 기제로 작동한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브루너 내러티브 사고의 교육적 함의

        노진규,강현석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022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Vol.10 No.1

        본 연구는 사고교육의 측면에서 기존 학교 교육의 한계를 지적하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 브루너가 강조하는 내러티브 사고에 기초하여 그 교육적 함의를 논의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브루너가 설명하는 내러티브 사고의 특징을 그의 저서 및 관련 연구 문헌 등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이 과정에서 논의의 초점으로 내러티브와 깊은 관련성을 가지는 언어와 사고의 관련성, 뇌 과학 측면에서 내러티브 사고의 가능성을 탐구한다. 내러티브 사고는 기존 주류 관점의 패러다임적 사고와는 다르게 교육의 대상인 인간이 자연스럽게 구현하는 사고양태로서 교육학(교육과정) 분야에 새로운 가능성을 가진다. 하지만 내러티브 사고양식에 대한 그간의 교육과정의 연구와 실천은 중요성이 상대적으로 미흡한 실정이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교육 연구와 실천에서 내러티브 사고의 교육적 가능성을 제안하고 교육적 함의를 모색하고자 한다.

      • KCI등재

        초등교육의 원형으로서 내러티브 케어의 가능성 탐구

        노진규,강현석 한국초등교육학회 2023 초등교육연구 Vol.3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narrative care as a prototype of elementary education. Elementary education is an important time to form values and thinking habits that support life. In particular, experiences and languages are elaborated by thinking within the culture to which students belong. In this study, the growth process of students is understood narratively, and the need to care for life can be raised in their narrative. Narrative plays an important role in narrating the experienc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caring for their thinking about life. As a result of this study, narrative care as the prototype of elementary education emphasizes the subject as narrative creation, second, possibility of a new direction of curriculum operation as narrative care, and third, new possibilities for learning and life as narrative care. 본 연구는 초등교육의 원형으로서 내러티브 케어의 가능성을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등교육 학습자들의 존재, 과정, 삶의 문제에 주목하고자 한다. 초등교육은 국민으로서 기본 소양과 중・고등교육을 위한 기초를 형성하는 중요한 시기다. 특히 이 시기의 가치관과 사고는 평생 그들의 삶을 지탱하는 중요한 토대가 된다. 그런데 사고는 학생들이 속한 문화 안에서 경험과 언어로서 정교화된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성장 과정을 서사적으로 이해하며, 그들의 서사에서 삶을 케어 해야 하는 필요성을 학습자 존재, 교육의 과정, 삶의 지속 차원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강조하는 내러티브 케어는 관리적 케어, 행동 조형의 케어, 기준 도달의 수행적 케어와는 질적으로 상이한 철학을 추구한다. 내러티브는 초등학생들의 경험을 서사화하고 그들의 삶을 대하는 사고를 케어 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본 연구 결과 초등교육의 원형으로서 내러티브 케어는 내러티브 생성으로서 주체의 강조, 둘째, 내러티브 케어로서 교육과정 운영의 새로운 방향 가능성 셋째, 내러티브 케어로서 학습과 삶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창의성 교육에서 개념 기반 탐구학습의 재개념화 -브루너의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노진규,강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22 敎員敎育 Vol.38 No.5

        연구목적 본 연구는 창의성 교육에서 잘못 이해되고 적용되고 있는 탐구의 문제에 주목하여 개념 기반탐구학습을 브루너의 내러티브에 기초하여 재개념화 하고 거기에 비추어 교원교육에의 시사점을 논의하는데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신토피컬 리딩 방식에 기초한 문헌 리뷰 방법으로, 기본적인 논의방식은 Short(1991)의 철학적탐구 방법 중의 하나인 확장적 비평(ampliative criticism)이다. 이 통합적 비평을 통하여 창의성 교육에서내러티브에 기초한 개념 기반 탐구 학습의 재개념화를 논의한다. 연구결과 개념 기반 탐구 학습은 개념을 기반으로 하는 탐구와 질문으로 학생들의 진정한 이해를 촉진한다. 학생들의 개념 형성 과정과 의미 생성, 전이 문제는 내러티브로서 의미를 만들고, 삶에 적용하며, 주체로서학생들이 성장하는 과정과 유사점이 많다. 본 연구는 브루너의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창의성 교육에서 학생들의 개념 탐구 과정을 재개념화 하고자 한 것이다. 결론 내러티브를 기반으로 한 개념 기반 탐구 학습은 내러티브 사고와 내러티브 도식, 내러티브 자아로개념 기반 탐구학습을 재개념화 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이 과정에서 브루너의 내러티브는 창의력교육의 중요한 기제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 KCI등재

        브루너 내러티브 페다고지가 초등학교 통합교과 교육과정에 주는 시사점 탐구

        노진규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022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Vol.1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브루너 내러티브 페다고지가 초등 통합교과 교육과정에 주는 시사 점을 탐구하는데 있다. 초등학교 통합교과 교육과정은 제4차 교육과정부터 시작되었을 만큼 오랜 역사를 가진다. 그런데 최근 교육과정의 흐름을 살펴보면 주제 중심 통합이라 는 통합교과 교육과정 설계 방식은 매우 타당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내 러티브 페다고지로서 설명하려 하였다. 내러티브 페다고지는 지식을 내러티브로서 학습 자의 마음에 의미 있게 구성하며, 이는 결국 통합교과 교육과정이 지향하는 바이기 때문 이다. 지식과 경험은 분절의 대상이 아니라 통합의 대상이며, 내러티브로서 학습자의 마 음에 다가설 수 있다.

      • KCI등재

        울릉도에 근무하는 초등학교 교사 삶의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노진규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023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Vol.11 No.3

        This study is a narrative inquiry of the lif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living on Ulleungdo. There are also people living as teachers at Ulleungdo Elementary School on the eastern end of Korea. Why are they teaching in Ulleungdo, and what are they hoping for?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ir lives from the perspective of teachers living on Ulleungdo from a narrative perspective and interpret them in terms of time, space, and personal and social relations. As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time as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on Ulleungdo has meaning as a symbol connecting the past and the future. Ulleungdo means a space where a complex harmony of time and relationship occurs along with its own symbolism. Various resources shared within Ulleungdo Island in the past and present are harmonized and reorganized for a better direction in the future. At the relationship level, Ulleungdo has the potential to change between individuals and individuals, and at the social level. The liv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living on Ulleungdo may not represent the lives of all teachers, but at a time when various stories in the school field are changing recently, it may be a structure of a story that expresses the aspirations of past teachers, or a structure of a story that disappears in the changing educational reality. And through this study,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 lives of Ulleungdo teachers. 본 연구는 울릉도에 살아가는 초등학교 교사의 삶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이다. 대한 민국 동쪽 끝 울릉도 초등학교에도 교사로서 삶을 살아가는 이들이 있다. 그들은 왜 울릉도라는 지역에서 교사 생활을 하고 있으며, 무엇을 바라고 있는 것인가. 본 연구는 울릉도에 살아가는 교사의 입장에서 그들의 삶을 내러티브 관점으로 살피고, 이를 시간 과 공간, 개인적・사회적 관계 측면에서 해석하고자 하였다. 초등학교 교사로서 울릉도 에서 살아가는 삶의 의미를 탐색한 결과 울릉도에서 초등학교 교사로서 시간은 과거와 미래를 연결하는 상징으로서 의미를 가진다. 울릉도는 그 자체의 상징성과 함께 시간과 관계의 복합적 어울림이 발생하는 공간을 의미한다. 과거와 현재 울릉도 안에서 공유하 는 다양한 자원은 미래 더 나은 방향을 위해 융화되고 재편된다. 관계 차원에서 울릉도 는 개인 자체의 변화와 개인과 개인 사이, 그리고 사회 차원에서 변화 가능성을 가진다. 울릉도에 살아가는 초등학교 교사의 삶이 모든 교사들의 삶을 대변할 수 없겠지만 최근 학교 현장의 다양한 이야기가 변화해 가는 상황에서 어쩌면 지난 교사들의 열망을 표현 하는 한 이야기의 구조, 혹은 변화해 가는 교육 현실 안에서 사라져 가는 이야기의 한 구조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연구를 통해 그들만의 소서사로서 삶의 단면을 살펴 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내러티브 이론에 기반한 한국 교육에서의 학습 전환

        노진규,김수영,강현석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3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auses of problems in Korean school education and to suggest alternatives based on narratives. In Korean school education, learning can point out problems of learning separated from the context, problems of linear learning, and problems that are separated from learning and learners' lives. Recently, there have been attempts to solve this problem with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but in this study, a narrative is presented as a solution. In particular, Bruner carefully examines the construction of the human mind as a narrative. Learning based on narrative presents a new possibility of constructing the human mind by experiencing knowledge as a narrative. The narrative suggests the possibility of transforming learning in Korean education. 본 연구는 한국 학교 교육의 문제로 지적되는 학습의 과정이나 양상에 주목하여 그 문제의 원인을 탐구하고, 내러티브에 기반하여 대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 학교 교육에서 학습은 탈맥락적 학습의 문제, 선형적인 학습의 문제, 학습과 학습자 삶과 유리된 문제를 지적할 수 있다. 최근에는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으로서 이 문제를 해결하려는 시도가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근원적인 해결로서 내러티브를 제시하는 것이다. 특히 브루너의 내러티브로서 인간 마음의 구성 문제를 학습의 차원에서 주의 깊게 들여다본다. 내러티브 이론에 기반한 학습은 지식을 내러티브로서 경험화하여 인간의 마음을 구성하는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다. 내러티브는 한국 교육에서 학습의 대안적 관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 KCI등재

        내러티브로서의 이야기 기반 초등학교 통합교과 교육과정 운영 가능성과 교육과정적 의미 탐색

        노진규,강현석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23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내러티브로서의 이야기 기반 초등학교 통합교과 교육과정 운영 가능성과 교육과정적 의미를 탐색하는데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통합교과 교육과정 운영의 기저로서 이야기의 교육적 가치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통합교과 교육과정 운영에서 이야기는 학생들의 경험과 지식에 대한 내면적 통합, 삶-경험-지식을 연결하는 교육과정 운영의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를 구체화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이야기와 실재 구성 의미와 이야기 기반 통합교과 교육과정 운영의 실제 예로서 Moon(1999)의 모형과 Lauritzen, Jaeger(1997)를 통하여 현장의 실천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통합교과 교육과정 운영은 학생들이 주제를 중심으로 이야기 전체를 구성하기 시작하며 자신과 삶의 이야기를 확장한다는 중요한 교육적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urricular meanings of stories as a narrative in the operation of an integrated subject curriculum. To solve this problem, the educational value of the story was examined as the basis for the operation of the integrated subject curriculum. In the operation of the integrated subject curriculum, stories play an important role for the internal integration of students' experiences and knowledge, connecting to life-experience-knowledge. In this study, as a practical example of composition of reality and the operation of an integrated story-based curriculum, Moon’s (1999) model and Lauritzen & Jaeger(1997) were examined for the possibility of practice in the fiel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operation of the integrated subject curriculum has an important educational meaning that it expands the story of oneself and life by starting to organize the entire story around the subj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