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교 고학년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읽기이해와 마음읽기의 관계

        노지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compare the reading comprehension according to question types(literal questions, inference questions) of cochlear implant(CI) children with those of normal hearing(NH) children, (2) to investigate the performance of each group on mind-reading, (3) to investigate correlation of reading factors(chronological age, receptive·expressive vocabulary, mind-reading ability, age of cochlear implantation, duration of using cochlear implant) and reading comprehension(literal, inference) for each group. and (4) to compare the predicting variables of reading comprehension in CI children and NH children. For these purpose, 16 children with CI aged from 9 to 12 years old participated as subjects and 16 of their NH peers. Children were tested on REVT(Receptive-Expressive Vocabulary Test, REVT, kim et al., 2009), Reading comprehension task(Jung, 2009) and mind-reading task(Song, 2010). The results were revealed as follows: First of all, a 2-way mixed ANOVA result show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main effects between groups. but there were significant main effects for reading comprehension according to questions types(lteral, inference). children performed significantly better in literal reading comprehension. The group and question type of reading comprehension interaction was not significant. Secondly, in mind-reading ability, CI children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NH children. Thirdly, in correlation analysis, on the data from the NH children, their literal reading comprehension score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receptive vocabulary and inference reading comprehension score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mind-reading ability. In contrast to NH children, CI children’s literal reading comprehension scores and inference reading comprehension scores were correlated with expressive vocabulary. Fourthly, th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indicated that the best predictor of literal reading comprehension for NH children was receptive vocabulary and the best predictor of inference reading comprehension for NH children is mind-reading ability. CI children’s best predictor of literal reading comprehension and inference reading comprehension were expressive vocabulary. 인공와우이식 아동을 대상으로 한 많은 연구들이 있지만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읽기능력과 관련된 연구는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읽기를 음독(decoding)수준이 아니라 이해(comprehension)수준으로 정의하고 이루어진 읽기이해에 대한 연구는 더욱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인공와우이식 아동과 건청 아동의 읽기이해력을 비교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명시적 정보에 대한 회상, 암묵적으로 제시되어 있는 정보의 활성화, 사전지식을 활용하는 정교화의 과정을 모두 포함(Mckoon & Ratcliff, 1992)하는 추론이해질문과 텍스트에 명시적으로 제시된 내용을 이해하는 사실정보질문에 대한 읽기이해력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두 가지 질문유형에 따른 인공와우이식 아동과 건청 아동 간 읽기이해력 (사실정보이해, 추론이해)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읽기이해에 있어 중요한 상위인지능력으로는 추론능력이 있는데 이 추론능력과 밀접한 관계를 맺는 마음읽기능력이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읽기이해력(사실정보이해, 추론이해)과 마음읽기능력을 포함한 여러 변인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각 집단에서 읽기이해력을 예측할 수 있는 변인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 참여한 아동은 생활연령 9세∼12세인 초등학교 4∼6학년 인공와우이식아동 16명, 건청아동 16명, 총 32명이다. 인공와우이식아동에게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 검사(K-WISC-III, 곽금주 외, 2001)의 동작성지능검사, 수용·표현어휘력검사(REVT, 김영태 외, 2009), 읽기이해력검사(정미란, 2009), 마음읽기검사(송경희, 2010)를 실시하였고, 건청 아동은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 검사(K-WISC-III, 곽금주 외, 2001) 동작성 지능검사를 제외한 모든 검사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인공와우이식 아동과 건청아동 집단의 그룹 간 질문유형에 따른 읽기이해력에 유의미한 차이가 잇는지 알아보기 위해 이원혼합측정분산분석(Two-way mixed ANOVA)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두 집단 간 마음읽기능력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서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읽기이해력과 마음읽기능력을 포함한 여러 변수의 상관을 알아보기 위해 Pearson 단순적률상관계수를 구하였고, 마지막으로 각 집단의 읽기이해력(사실정보,추론)을 예측할 수 있는 변인을 알아보기 위해 단계적중다회기분석(Stepwis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질문유형(사실정보이해, 추론이해)에 따른 두 집단의 읽기이해력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읽기이해력에 대한 그룹의 주효과는 없었고, 질문유형에 대한 읽기이해력의 주효과는 있었다. 정상 및 인공와우이식 아동 모두 사실정보이해 보다는 추론이해에서 어려움을 보였다. 인공와우이식 아동들이 건청 아동에 비해 질문유형에 따른 읽기이해력의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 둘째, 두 집단 간 마음읽기능력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인공와우이식 아동 집단의 마음읽기능력이 건청 아동 집단의 마음읽기능력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셋째, 각 집단에서 질문유형에 따른(사실정보, 추론) 읽기이해력과 마음읽기능력이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는지 확인한 결과, 건청 아동 집단에서는 추론이해 질문에 대한 읽기이해력이 마음읽기능력과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었고, 사실이해 질문에 대한 읽기이해력은 수용어휘와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었다. 인공와우이식 아동 집단에서는 사실이해질문 및 추론이해질문에 대한 읽기이해능력이 모두 표현어휘력과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었다. 넷째, 마음읽기능력을 포함한 본 연구에서 수집한 여러 가지 변수(생활연령, 수용·표현어휘력, 마음읽기능력, 인공와우이식나이, 인공와우사용기간) 중 읽기이해력(사실정보, 추론)을 예측해 줄 수 있는 변수를 살펴본 결과 건청 아동의 경우 사실정보이해 질문에 대한 읽기이해력은 수용어휘력이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추론이해질문에 대한 읽기이해력은 마음읽기능력이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인공와우이식 아동 그룹의 사실이해질문에 대한 읽기이해력을 표현어휘력이 유의하게 예측하였고, 추론이해질문에 대한 읽기이해력도 표현어휘력이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인공와우이식 아동은 건청 아동에 비해 마음읽기능력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추론이해 질문에 대한 읽기이해에서 건청 아동은 하향식과정(top-down process)을 거치는 마음읽기능력을 활성화하여 효과적으로 읽기이해를 진행하지만, 인공와우이식 아동은 읽기이해시 마음읽기능력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공적인 읽기이해는 하향식과정과 상향식과정이 상호작용하여 적절히 이루어질 때 가능한 것인데 하향식과정처리에 어려움을 보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사실정보이해 질문에 대한 읽기이해력을 건청 아동은 수용어휘력이 설명하는 반면에 인공와우이식 아동에선 표현어휘력이 설명하고 있었다. 건청 아동에 비해 유의미하게 낮은 표현어휘력이 읽기이해력을 설명하고 있는 것은 상향식과정(bottom-up process)에서도 비효율적인 과정을 통해 읽기 이해를 진행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읽기이해과정은 비록 본 연구에서는 건청 아동과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읽기이해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학년이 높아지면서 난이도가 높은 글(text)를 접할수록 읽기이해에 어려움을 보일 높은 가능성을 시사한다. 따라서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읽기이해 중재에 있어서 수용·표현어휘력 증진을 포함한 상향식과정(bottom-up process)을 위한 읽기이해 중재뿐만 아니라, 독자의 지식, 개념, 경험과 텍스트를 통해 얻어지는 정보를 통합하여 이해하는 하향식과정(top-down process)의 중재 프로그램이 함께 조기에 진행되어야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 임상미술치료가 저소득층 청소년 정서조절능력 및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노지민 차의과학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clinical art therapy on emotional regulation and sociality of adolescents of low-income households.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composed of the adolescents between ages of 14 and 19 from low-income households who used after-school programs in A community child center and they were divided into 11 persons belonging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10 persons belonging to the control group, totaling 21 persons. A total of 12 sessions of clinical art therapy including pre- and post- tests was conducted on the experimental group once a week for an hour and a half from November 2014 to February 2015. For the measurement tools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ERQ), social skills rating scale(SSRS), self-esteem picture drawing(SPD) and the brain quotient(BQ) were conducted. And for the qualitative analysis, the house-tree-person picture tests(HTP) and kinetic school drawing(KSD)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conducting clinical art therapy. In this research,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using SPSS 20.0 program. To examine the homogeneity between the groups, Mann-Whitney U test was conducted, and after the calculation of the collected data, Wilcoxon signed-rank test was conducted on each group. The significance level for the above-mentioned statistical tests was set at a=.05.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proved that clinical art therapy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emotional control ability of adolescents from low-income households. Second, it was proved that clinical art therapy had significant effects on sociality skills of the adolescents from low-income households. Third, it was proved that clinical art therapy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enhancement of self-esteem of adolescents from low-income households. Fourth, it was proved that clinical art therapy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brain quotient of the adolescents from low-income households. Fifth, clinical art therapy showed the behavioral changes and positive changes in the emotional expression about the works through the analysis of each session for adolescents from low-income households. From the above-mentioned research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clinical art therapy had positive effects on the enhancement of emotional control ability, sociality, and self-esteem of adolescents from low-income households. 본 연구에서는 임상미술치료가 저소득층 청소년 정서조절능력 및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A지역아동센터에서 저소득층 청소년을 대상으로 방과 후 학교를 이용하며 연령범위는 14세부터 19세까지 구성하였고 실험집단 11명, 대조집단 10명으로 총 21명을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은 2014년 11월부터 2015년 2월까지 진행되었으며 주 1회, 1시간 30분씩, 사전·사후검사를 포함한 총 12회기로 임상미술치료를 진행하였다. 양적 분석을 위한 측정도구로 정서조절방략(ERQ), 사회성 기술 평정척도(SSRS), 자아존중감 그림검사(SPD), 뇌기능 분석(BQ)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질적 분석을 위해 임상미술치료 전, 후에 집-나무-사람 그림검사(HTP), 동적학교생활화(KSD)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집단간 동질한 지를 살펴보기 위해 Mann-Whitney U test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를 산출한 후 집단별로 Wilcoxon signed-rank test를 실시하였다. 이상의 통계적 검증을 위한 유의수준은 a=.05로 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임상미술치료가 저소득층 청소년 정서조절능력에 유의미한 효과가 검증되었다. 둘째, 임상미술치료가 저소득층 청소년 사회성 기술에 유의미한 효과가 검증되었다. 셋째, 임상미술치료가 저소득층 청소년 자아존중감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검증되었다. 넷째, 임상미술치료가 저소득층 청소년 뇌기능 지수에 유의미한 효과가 검증되었다. 다섯째, 임상미술치료가 저소득층 청소년 회기별 분석을 통해 행동변화와 작품에 대한 정서표현이 긍정적으로 변화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임상미술치료는 저소득층 청소년 정서조절능력과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임상미술치료프로그램이 저소득층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력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심리적, 정서적 행동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 메가시티의 작전환경 분석을 통한 육군의 발전방향 연구

        노지민 한성대학교 국방과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도시는 예로부터 국가의 두뇌이자 심장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예로부터 도시의 확보는 전쟁의 승ㆍ패를 좌우하는 요소였다. 최근 들어 4차 산업혁명과 인구의 밀집 등의 이유로 기존의 도시는 메가시티로 급속하게 진화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수도인 서울도 경기도와의 광역화 및 조합을 통해 수도권 내 2,527만 명이 거주함에 따라 메가시티의 요구조건인 1,000만 명이상을 충족함에 따라 메가시티에 해당된다. 규모도 세계 5대 메가시티의 순위권 내에 랭크되어 있으며, 지속적인 광역화로 규모가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전 세계적으로 메가시티로 확대됨에 따라 도시지역의 미래 발전구조로서 제시되고 있지만, 이 새로운 전장에 어떻게 대응하고 발전할 것인가라는 의문점에서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이론적 고찰을 통해 메가시티의 정의와 발전추세에 대해 알아보고, 현재 선도국인 미국은 어떻게 메가시티에 대해 분석하고 대응을 준비하는지 알아보았다. 기존의 도시들이 복잡하고 다양한 특성을 가진 메가시티로 발전함에 따라 전통적 안보위협인 군사 분야뿐만 아니라 테러, 감염병 유행, 대규모 재난 등의 비전통적 안보위협에도 노출되기 때문에 군사분야 뿐 아니라 PMESII요소를 고려한 비전통적 안보위협에 대한 대응이 필요하다는 점이 기존의 도시지역과 메가시티의 차이점이며, 미래에 대한 준비가 필요한 이유이다. 현재 참고할만한 메가시티에서의 전투나 전쟁사례는 없지만, 가장 최근에 도시지역에서 발생한 모술지역과 키이우 전투를 분석하여, 변화된 작전환경 속에서 우리가 준비해야하는 방향을 도출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모술지역의 전투사례에서는 대도시를 완전히 고립할 수 없으며, 민간인과의 혼재로 인해 방자의 입장에서 더 유리하고, 방자의 입장에서 주민들의 통제가 중요하다는 점을 교훈으로 얻을 수 있었다. 그리고 키이우 전투에서는 러시아의 BTG 운용으로 인한 패착을 통해 기존의 무기체계는 더 이상 승리의 확신이 아니며, 변화되는 도시지역의 환경을 잘 이해하고, 전략적ㆍ작전적ㆍ전술적 중심을 잘 선정하며, 그에 따른 작전방안을 고려해야 된다는 점을 깨닫게 되었다. 이 두 가지를 조합하였을 때, 우리가 수도권 서울을 방어하기 위하여 발전시켜야하는 무기체계, 싸우는 개념, 구조측면의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이렇듯 대한민국 육군은 새로운 작전환경에 대한 한발 앞선 준비를 통해 미래 전쟁에서 승리를 보장받을 수 있을 것이다.

      • 중년기 개신교인 부부의 가족생활과 종교생활 양립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노지민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life and religious life for middle-aged Protestant couples. The overall purpose of the study was suggesting intervention plans for counseling and religious life by exploring the meanings of religion and how religious life and family life are compatible in each of the meanings, as well as what circumstances relate with the meaning. For the study, the experiences of 10 couples were collected by conducting semi-structured interviews. The couples were in their 40’s and 50’s, living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ives were attending Protestant churches more than twice a week.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ased on the six-step procedure presented by Taylor and Bodgen(1984).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meaning of religion to the couples were categorized into 14 concepts, and depending on the meaning, theoretical models were derived in 3 compatibility forms. The first form was “when religious life was for the family”, the second was “when family life was mostly about religion”, and the last was a form “where couples were developing through both religious and family life”. These three compatibility forms were related to contextual situations of what was focused on the experience on when and how religion helped as the couples described, the relationship or influence of the family of origin, social expectations, attitudes toward the economic conditions, and the current situation of their children’s education. Based on this research, discussion on counseling and a desirable religious life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중년기 개신교인 부부에게 있어서 종교생활의 역할에 주목하여 수행되었다. 그들의 가족생활과 종교생활이 상호 어떤 관계에 있는지 이해하기 위하여 현상학적 방법에 기초하여 질적으로 연구하였다. 이에 부부가 종교생활에 어떤 의미를 부여하며, 그 의미에 따라 종교생활과 가족생활이 어떻게 양립되고 있는지, 그러한 의미를 형성하는 맥락적 상황들이 무엇인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 지역의 중년기 전업주부 중 개신교 교회를 일주일에 이틀 이상 다니는 여성과 그 배우자 10쌍(20명)에게 반구조화된 면접을 실시하여 참여자들의 경험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aylor와 Bodgen(1984)이 제시한 6단계 절차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가족들이 부여하는 의미는 14개의 개념으로 유형화되었고, 그 의미에 따라 세 가지 양립 형태로 이론적 모델을 도출했다. 첫째는 종교생활이 가족에게 도움이 되는 형태(가족을 위한 종교), 둘째는 종교생활을 항상 가족생활보다 앞세우는 형태(종교를 위한 가족), 셋째는 가족과 종교 사이에서 내가 성장하는 형태(가족과 종교 간 균형 잡기)이다. 이러한 세 가지 양립 형태는 종교적 도움의 경험, 원가족과의 관계나 영향, 사회적 기대, 경제적 상황에 대한 태도, 자녀 교육 현실 등의 맥락적 상황과 관련이 있었다.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중년기 부부의 종교생활은 여러 가지 맥락들을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살펴볼 필요가 있음을 논의하였으며, 제한점을 밝히고 중년기 부부를 위한 상담적, 종교적 개입 방안과 후속 연구를 제언하고자 하였다.

      • 기혼 중년여성이 경험한 신흥종교 입탈퇴 과정의 체험성과 정신화에 관한 질적 연구

        노지민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신흥종교 입교와 탈퇴가 이를 경험한 참여자들의 삶에 어떠한 의미를 생성했는지, 그 본질성은 무엇인지에 대한 해석 작업이며, 경험에서 드러나는 정신화 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기독상담 장면에서의 효과적인 개입 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8명의 신흥종교 탈퇴를 경험한 기혼 중년여성을 심층 면접한 후, 참여자의 드러난 주제에서 발견한 하위 주제들을 van Manen(1990)이 체험된 실존 영역으로 제시한 4가지 신체성, 공간성, 시간성, 관계성으로 재구성하였다. 연구 결과, 기혼 중년여성의 신흥종교 경험으로 20개의 본질적 주제가 나타났다. 체험된 신체성과 관련된 본질적 주제는 ‘온기의 유혹 앞에 허기진 몸’, ‘신체를 굴복시키는 이상반응’, ‘마취에서 깬 후의 상흔’, ‘내 몸의 광복’이다. 체험된 시간성에서는 ‘소원대로 흐르는 시계’, ‘사라진 나의 일상’, ‘영생(永生)에 대한 불안’, ‘현존의 분량만’이며, 체험된 공간성으로는 ‘채워져야 할 공간’, ‘이상적 공간 응시’, ‘나타난 유토피아’, ‘사단의 세상과 분리’, ‘트루먼쇼의 무대’, ‘갈 곳 없는 구신자’이다. 체험된 관계성에서는 ‘낯선 돌봄의 출현’, ‘속박과 버려짐’, ‘가족과 이단 사이에 서기’, ‘서로 돌봄의 씨앗들’, ‘나의 고통 속에서 타자의 고통’, ‘가족 돌봄에서 이웃 돌봄으로’와 같은 본질적 주제가 드러났다. 논의에서는 첫째, 기혼 중년여성이 체험한 신흥종교 입교와 탈퇴의 과정을 고찰하였다. 주요 고찰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입교 과정에서 신흥종교 단체의 신분을 은폐하려는 포교 전략이 있었고, 참여자들은 애착 관계를 선택하면서 신흥종교에 입교하였다. 신흥종교 통제에 대한 참여자들의 순응 방식은 이상적 집단에 대한 의존, 도덕적 방어, 정신화 실패로 이해할 수 있다. 신흥종교 탈퇴 과정에서는 참여자들의 가족관계가 주요한 맥락적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참여자들이 코로나19로 인하여 신흥종교에서 실망하는 시점과 자신들이 배척당하는 시점이 중첩되어 있다. 이는 참여자들이 일시적인 의존 대상으로 신흥종교를 이상화했을 수 있다고 해석된다. 끝으로 참여자들은 신흥종교 탈퇴로 인하여 심리적·관계적 상흔이 있음이 밝혀졌다. 따라서 참여자들의 심리적 회복을 위한 기독상담은 정서적 외상 기억에 대한 재구성, 애착 패턴과 정서 변화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신흥종교 탈퇴를 경험한 연구참여자들에게 나타난 태도 변화에 관해 해석하였다. 참여자들은 신흥종교 단체로 인하여 정서적·관계적·경제적인 면에서의 상실과 한계를 겪은 후, 오히려 일상의 삶을 수용하기 시작하는 실존적 태도가 나타났다. 셋째, 신흥종교 경험에서 나타나는 정신화 과정을 통해 기혼 중년여성의 탈퇴 시점에 인지적인 깨달음보다 정서적·관계적 맥락이 주요하게 작용한 점을 논의하였다. 넷째, 해석된 연구 결과 및 논의를 토대로 신흥종교 경험과 같은 트라우마적 경험이 있는 내담자를 위한 상담 모형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is an interpretation about what the nature is of the process of engagement and withdrawal from new religious groups and its significance to the participants who experienced it. In addition, this study aims to provide an effective method of intervention during Christian counseling by focusing on the mentalization process revealed through experience. To this purpose, this study held in-depth interviews of 8 married middle-age women who experienced the withdrawal from new religious groups. And this study reconstructed the sub-themes found at explored themes of such participants by the 4 real-world entities ‘lived body’, ‘lived space’, ‘lived time’, ‘lived human relation’ introduced by van Manen(1990). As a result, 20 essential subjects were explored from the experiences of new religious groups by married middle-age women. First, the essential subjects that were shown from ‘lived body’ are the ‘hungry body before the temptation of warmth’, ‘dystonic reaction that makes one’s body give in’, ‘scars after waking up from numbness’, and ‘liberation of one’s body’. Second, the essential subjects that were shown from ‘lived time’ are as followed: ‘clock flowing as desired’, ‘one’s everyday life disappeared’, ‘anxiety about eternity’, ‘only the load given’. As for the essential subjects that were shown from ‘lived space’, there are ‘space to be filled’, ‘stare toward ideal space’, ‘Utopia discovered’, ‘separation from the world of Satan’, ‘the stage of the Truman Show’, and ‘an original Christian with nowhere to go’. Finally, from ‘lived human relation’, essential subjects such as the ‘emergence of unfamiliar care’, ‘a stand in between family and cult’, ‘seeds of mutual care’, ‘pain of others revealed through my pain’, and ‘from family care to neighbor care’ were found. In the discussion, first of all,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 of engagement and withdrawal from new religious groups experienced by married, middle-age women. The main contents of the consideration are as followed. First, in the process of engagement, there was a propagation strategy of concealing the identity of the new religious group, which allowed the participants only to decide the attachment relationship when entering the group. Second, the conformity of the participants to the control of new religious groups could be understood as dependence to ideal groups, moral defense, and mentalization failure. Third, family relationship appeared to be a major contextual factor to the withdrawal of the participants from new religious groups. Fourth, the period of disappointment of the participants about the new religious groups due to COVID-19 overlaps with the period of exclusion of such members from the group. This is interpreted that the participants may have idealized the new religious groups as temporary subjects of dependence. Fifth, participants have received mental, relational scars during the process of withdrawal from new religious groups, which implies the necessity of focusing on the reconstruction of traumatic memory and the change of emotion and attachment pattern during Christian counseling for mental recovery. Second of all, this study interprets the change in attitude of the participants after the experience of withdrawal from new religious groups. Participants, after experiencing emotional, relational, and economic losses and limitations, rather began to show existential attitudes of accept daily life. Third, this study discusses the point of how the context of emotion and relationship, compared to cognitive realization, have played a bigger role during the period of withdrawal from new religious groups by looking at the mentalization process through such experience. Finally, this study proposes a counseling model for clients with traumatic experience such as experience of new religious groups, based on the result and discussion of the study.

      • 자동 유방초음파 AP 검사 시 유방 밀도에 따른 최적의 스캔 범위에 관한 연구

        노지민 고려대학교 융합과학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Purpose : Recently automated breast ultrasound (ABUS) is well used for alternative to hand-held ultrasound (HHUS), due to low sonographer dependency and good reproducibility. ABUS gain video sonogram through 3 scanning procedure. When scanning the breast, a trained radiologist place the transducer to get whole breast tissue. Therefore the ultimate goal of this quantitative evaluation is to find the suitable scan range for including whole breast parenchyma depending on breast density. Materials and Methods : In this study we used the data of 40 women between ages of 20 to 65 years old who examined ABUS for screening purpose. Every patients also progressed mammography at the same time. Therefore I classify breast density using “BI-RADS” by mammography reading in company with “Quantra” by Hologic algorithm. Using the right breast AP view, I measured vertical distance to include all superior and inferior part of breast tissue respectively based on nipple. At this time caliper function on workstation is used. Finally calculate the ratio of superior distance to inferior distance and the proportion in dense breast versus fatty breast was compared. Results : Each of dense breast and fatty breast group performed Shapiro-Wilk test, which is one of the normality test and confirmed that each group have a normal distribution. (Dense breast group p=0.161, Fatty breast group p=0.765) Then compared two group using independent samples t-test. According to levene’s test we can find out those group have equal variance (p=0.108) and significant difference have been proved between two groups. (t=7.382, p=0.000) Conclusion and Discussion : We can find out different breast tissue proportion pursuant to breast density obtained through mammography. So this ratio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taking ABUS AP images. In this way, setting the appropriate scan range according to breast density will shorten the ultrasound scan time and at the same time can increase efficiency. Therefore as the density of breast increase, sonographer are advice to set the scan range by reducing the ratio of lower breast tissue to the upper. Keywords : Automated breast ultrasound, fibroglandular tissue, breast density, dense breast 목적 : 수동 유방초음파의 대안으로 최근 많이 사용되고 있는 자동 유방초음파는 검사자 의존성이 낮으며 재현성이 좋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자동 유방초음파는 세 번의 스캔 과정을 통해 유방의 초음파 비디오 영상을 얻는 검사법으로 훈련된 방사선사가 스캔 시 탐촉자를 배치하여 전체 유선조직이 포함된 영상정보를 얻게 된다. 이때 유방 치밀도에 따라 유선조직을 전부 포함할 수 있는 검사 범위에 대해 정량적인 평가를 진행하여 최적의 스캔 위치를 찾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스크리닝 목적으로 자동 유방초음파를 진행한 여성 환자 4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해당 환자들의 유방 치밀도는 같은 해에 검사한 유방촬영 검사 결과의 BI-RADS 분류와 Quantra를 함께 사용하여 구분하였다. 치밀 유방은 BI-RADS C, D이면서 동시에 Quantra 값이 3~4인 경우로 분류하였고, BI-RADS A, B이면서 Quantra 값이 1~2 는 지방질이 많은 유방으로 판단하였다. 자동 유방초음파의 RAP (우측 유방 AP view)를 기준으로 측정하였으며 유두로부터 위쪽 유선조직이 모두 포함되는 데까지 필요한 거리와 아래쪽이 모두 포함되는 데까지의 수직거리를 caliper 기능을 사용해 측정하였다. RAP 상에서 포함되어야 할 위쪽 유선조직까지의 거리를 Ds (Distance to superior parenchyma), 아래쪽 유선조직까지의 거리를 Di (Distance to inferior parenchyma)라고 두었을 때 의 수식으로 비율을 구하여 치밀 유방과 지방질 유방을 비교하였다. 결과 : 치밀 유방과 지방질 유방 각각에서 Shapiro-Wilk 정규성 검정을 시행한 결과 정규분포에 해당함이 확인되었다. (치밀 유방 p=0.161, 지방질 유방 p=0.765) 이에 두 집단을 독립표본 t 검정을 사용해 비교하였고 Levene의 등분산 검정으로 (p=0.108) 두 그룹이 동일 분산을 가지며 t=7.382, p=0.000으로 치밀 유방과 지방질 유방 사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이 증명되었다. 결론 및 고찰 : 자동 유방초음파 전후방 영상을 얻을 때 유방촬영을 통해 사전에 확인된 유방의 치밀도에 따라 유선조직의 상하 비율이 다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유방의 치밀도에 따른 스캔 범위를 다르게 설정한다면 검사 시간 단축과 동시에 효율을 증가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치밀도가 증가할수록 아래쪽에 대한 위쪽 유선조직의 비율을 줄여 검사 범위를 설정할 것을 제안한다. 주제어 : 자동 유방초음파, 섬유 유선조직, 유방 밀도, 치밀 유방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