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재발한 무지 외반증의 치료로 시행한 Scarf 절골술

        남일현,안길영,문기혁,이영현,최성필,정택영,Nam, Il Hyun,Ahn, Gil Yeong,Moon, Gi Hyuk,Lee, Yeong Hyeon,Choi, Seong Pil,Jeong, Taeg Young 대한족부족관절학회 2013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Vol.17 No.4

        Purpose: Recurrence is one of the most common complications after primary correction for hallux valgus deform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Scarf osteotomy with axial decompression in the treatment of recurrent hallux valgus. Materials and Methods: From April 2006 to April 2011, 14 cases (12 patients) of recurrent hallux valgus were managed with shortening Scarf osteotomy.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radiographs were reviewed for the measurement of the hallux valgus angle (HVA), intermetatarsal angle (IMA), and the amount of the $1^{st}$ metatarsal shortening. Clinical outcomes including the visual analogue scale (VAS), the AOFAS score, and the range of motion [ROM] of the 1st metatarsophalangeal (MTP) joint were evaluated. Results: The mean HVA decreased from 27.9 degrees to 5.2 and the mean IMA decreased from 12.9 to 3.4. The mean VAS improved from 5.3 to 0.3 and the mean AOFAS score improved from 41 to 90. The mean amount of the 1st metatarsal shortening was 3.4 mm (2-5). The mean ROM of the $1^{st}$ MTP joint improved from 22 degrees (15-35) to 68 (55-75). Conclusion: Scarf osteotomy associated with axial decompression can be a useful revision procedure for the treatment of recurrent hallux valgus deformity.

      • 관절경하 후격막 통과 도달법을 이용한 후방십자인대 결절종의 치료

        남일현,유연식,윤기표,안길영,Nam, Il-Hyun,Yoo, Yon-Sik,Yun, Ki-Pyo,Ahn, Gil-Yeong 대한관절경학회 2004 대한관절경학회지 Vol.8 No.1

        목적: 관절경하 후격막 통과 도달법을 이용한 후방십자인대 결절종의 제거술시 전방 도달법 보다 우수한 접근성 및 제거의 용이성과 그 치료 결과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후방십자인대 결절종의 관절경하 후격막 통과 도달법을 이용하여 제거술을 시행한 7예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증상을 동반한 후방십자인대 결절종에서 동반손상 유무, 전방 접근법과 후격막 통과 도달법의 수술시야의 차이 등에 대하여 비교 분석하고, 결과의 평가는 Lysholm 슬관절 지수를 이용하였다. 결과: 증상이 동반된 7예의 후방십자인대 결절종 중 4예에서 동반 손상이 있었으며, 또한 외상과 연관된 경우도 3예이었다 임상평가 결과, Lvsholm 슬관절 지수는 술 전 평균 93.3점에서 술 후 평균 97.8점으로 향상을 보였다. 결론: 후방십자인대 결절종의 관절경적 제거술시 수술시야의 확보 및 후방구조물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후격막 통과 도달법이 효과적인 술식이라 생각된다. Purpose: We reviewed the effectiveness and the result of arthroscopic resection for ganglion cyst of posterior cruciate ligament(PCL) through the posterior trans-septal approach. Material and Method: Seven patients with symptomatic ganglion cyst of the PCL were treated with arthroscopic resection using posterior trans-septal approach. We analyzed advantages of the posterior trans-septal approach and presence of intra articular problem. Knee function was assessed using the lysholm knee scale. Results: The overall result for the 7 knees were very satisfied in all. We found that four of seven patients had intra articular problems, and past history of trauma could be found in 3 cases. The Lysholm knee scale was increased from average 93.3 points preoperatively to average 97.8 points postoperatively. Conclusion: Arthroscopic posterior trans-septal approach shows an effective technique for complete resection of cyst and evaluation of the combined posterior compartment injury.

      • KCI등재후보

        류마티스 관절염에 의한 고도의 무지 외반증과 소족지 갈퀴족 변형에 대한 중족골 종축 감압 절골술을 이용한 관절 보존술의 결과

        남일현,안길영,문기혁,이영현,최성필,김호규,오동호,Nam, Il-Hyun,Ahn, Gil-Yeong,Moon, Gi-Hyuk,Lee, Yeong-Hyeon,Choi, Seong-Pil,Kim, Ho-Gyu,Oh, Dong-Ho 대한족부족관절학회 2012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Vol.16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 of axial shortening metatarsal osteotomy on the treatment of advanced rheumatoid arthritis patients with severe hallux valgus and claw toe deformity of lesser toes which is used for preserving the metatarsophalangeal joint.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05 to June 2009, 18 cases of axial shortening metatarsal osteotomy in advanced rheumatoid arthritis were reviewed ; all of them followed up for more than 2 years after surgical procedures and the mean follow up period was 3.4 years. We performed axial shortening Scarf osteotomy and Akin osteotomy for hallux valgus and Weil osteotomy with soft tissue release for claw toe of lesser toes, respectively. We measured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hallux valgus angle, each metatarsal shortening length and the range of motion of the metatarsophalangeal joints through radiographic and clinical examination and compared them each other. Clinical results were evaluated by American Orthopedic Foot and Ankle Society (AOFAS) score and subjective satisfaction of the patients. Results: The hallux valgus angle was reduced from the preoperative mean value of 44.8 degree to 9.0 degree postoperatively and the range of motion of the metatarsophalangeal joint of great toe and lesser toes was increased from the mean of 21.7 degree and 11.0 degree preoperatively to 38.0 degree and 32.5 degree, respectively at postoperation. Also, the mean AOFAS score was improved from 26.5 points to 67.4 points. Conclusion: Axial shortening osteotomy is a useful method to correct the deformity and preserve the metatarsophalangeal joint for severe hallux valgus and claw toe deformity in advanced rheumatoid arthritis.

      • KCI등재

        무지 외반증에서 시행한 Scarf 절골술의 합병증

        남일현,안길영,문기혁,이영현,최성필,이태훈,이영훈,Nam, Il-Hyun,Ahn, Gil-Yeong,Moon, Gi-Hyuk,Lee, Yeong-Hyeon,Choi, Seong-Pil,Lee, Tae-Hun,Lee, Young-Hoon 대한족부족관절학회 2014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Vol.18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frequency of troughing and stress fracture, which are the major complications of scarf osteotomy, and to suggest methods to prevent these complications. Materials and Methods: We reviewed 243 cases of 137 patients treated with the scarf osteotomy for hallux valgus from January 2005 to December 2012.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2.8 years. During the scarf osteotomy, a long oblique longitudinal osteotomy was performed in order to decrease the possibility of troughing and stress fracture. Radiographs of lateral view of the foot were obtained and the thicknesses of the first metatarsal base at the sagittal plane were measured and compared. Results: There was no troughing during fragment translation and screw fixation intraoperatively. Radiographs of lateral view of the foot taken preoperatively and at the last follow-up showed that the mean thickness of the first metatarsal was 22.4 mm preoperatively and 21.6 mm at the last follow-up, with a mean difference of 0.8 mm. And no stress fracture was observed. Conclusion: To prevent troughing and stress fracture, a long oblique longitudinal cut, parallel to the first metatarsal plantar surface, was performed, making both ends of the proximal segment truncated cone-shape, and securing the strong bony strut of the proximal segment. No troughing or stress fracture was experienced with scarf osteotomy.

      • 한국 여성에서 좌골 신경 분지 위치에 대한 초음파 영상

        남일현,여의동,유지수,이준호,이영구,Nam, Il Hyun,Yeo, Eui Dong,Yu, Ji Soo,Lee, Jun Ho,Lee, Young Koo 대한정형외과초음파학회 2014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Vol.7 No.1

        목적: 슬관절 이하 부위의 정형외과적 수술을 위해 좌골 신경 차단 술기가 흔히 시행되고 있다. 좌골 신경 분지는 해부학적 차이가 있어 통상적인 신경 차단은 불완전한 신경 차단을 유발한다. 본 연구는 마취의 성공율을 개선하기 위하여 한국 여성에서 좌골 신경 분지 위치를 초음파를 이용해 확인하였다. 대상 및 방법: 한국 여성 3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체중, 키를 측정하였다. 초음파 측정을 위해 M-Turbo ultrasound system (SonoSite,Bothell, WA,USA) 13-6 MHz, 38 mm high frequency linear array transducer를 사용하였다. 복와위 자세에서 슬와 주름부터 분지부까지의 거리, 분지부에서 피부부터 신경까지의 깊이를 cm 단위로 측정하여 체중과 키와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측정은 한 명의 전문의에 의해 측정되었다. 통계는 SAS version 9.3를 사용하여 multiple linear regression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33명 여성의 평균 나이는 53세(34~71세), 평균 체중 59.7(50~77.1 kg), 평균 키 157.4(145~173.9 cm), 평균 BMI 24.1(18.4-28.9)였다. 슬와 주름에서 좌골 신경 분지부까지의 평균 거리는 5.7(4.5~7.5 cm)이였으며, 분지부에서 피부부터 신경까지의 평균 깊이는 2.4(1.8~3.2 cm)였으며, 통계적 분석 결과에서 거리와 키 조사 p-value 0.55, 거리와 몸무게 조사 p-value 0.34, 깊이와 키 조사 p-value 0.5, 깊이와 몸무게 조사 p-value 0.036 이였다. 결론: 한국 여성의 좌골 신경 분지 위치는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몸무게에 따른 깊이 변화는 의미가 있었다. 한국 여성에서 좌골 신경 차단 술기를 시행할 때 평균 거리, 깊이를 생각하고 몸무게를 고려한다면 성공율이 증가할 것으로 생각되며, 슬와 주름 7.5 cm 상방에서 시행할 것을 추천하다. Purpose: We aim to determine sciatic nerve bifurcation location and depth at the level of the popliteal fossa in Korean female. Materials and Methods: Thirty three subjects were enrolled in Korean female. M-turbo ultrasound system (SonoSite, bothell, WA, USA)with 38 mm high frequency linear array transducer, 13-6 MHz probe was used for ultrasound measurements. With subject lying prone, the location of the sciatic nerve in relation to the popliteal crease and skin to nerve distance were assessed via ultrasound. Analyses were performed with SAS version 9.3 using multiple linear regression. Results: Thirty three subjects were enrolled. Distance from the popliteal crease to the sciatic nerve was 4.5-7.5 (mean 5.7 cm), and the depth of the sciatic nerve from the skin was 1.8-3.2 (mean 2.4 cm). Multiple linear regression for the usefulness of the model has a p value of 0.036, shows between weight and depth. Conclusion: We show that variability exists for sciatic nerve bifurcation location in Korean female, The success rate is creased if consider the relations between weight and depth when performs sciatic nerve block in Korean female. In our study, a sciatic nerve block is recommend that performed 7.5 cm proximal to the crease in the popliteal fossa.

      • 슬개하 지방체에 발생한 관절 주위 연골종 - 증례 보고 -

        남일현,안길영,문기혁,이영현,최성필,김정현,백애란,Nam, Il-Hyun,Ahn, Gil-Yeong,Moon, Gi-Hyuk,Lee, Yeong-Hyeon,Choi, Seong-Pil,Kim, Jung-Hyun,Paik, Ae-Lan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11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10 No.2

        주변골과 연결성을 가지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격계 외의 연골종에는 활액막성 연골종증, 관절 내 및 관절 주위 연골종, 연부 조직성 연골종 등이 있으며, 후자의 두 경우는 매우 드물다. 본 증례는 20세 군인이 심한 훈련을 한 후 발생한 슬관절의 압통, 굴곡시의 통증과 충만감, 운동 제한을 주소로 내원하여 시행한 x-ray와 MRI 검사에서 발견한 종괴에 대한 것으로, 이 종괴에 대해 절제술이 시행되었으며, $5.5{\times}4{\times}3$ cm 크기의 단단한 고립성 종괴였다. 현미경 소견 상 종괴는 소엽상을 이루는 초자 연골이 바깥쪽의 섬유성 피막에 의해 싸여져 있었으며, 이에 관절 주위 연골종으로 진단하였다. 저자들은 슬관절 슬개하 지방체에서 발생한 관절 주위 연골종 1 예를 경험하여 임상적, 방사선학적, 조직학적 소견에 대해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Extra-skeletal chondroma, characterized by its lack of connection with the adjacent bone, includes synovial chondromatosis, intra-articular and para-articular chondroma, and soft tissue chondroma. Among them, the last two lesions are extremely rare. This is the case about 20-year-old soldier, who had complained of tenderness of the knee, pain and fullness during knee flexion and limitation of motion after a hard military training. We found a mass in the x-ray and MRI and resect the mass surgically, which was a $5.5{\times}4{\times}3$ cm size hard solitary mass. On microscopic finding, it was consisted of lobulated hyaline cartilage and outer fibrous capsule, and we ascertained it as para-articular chondroma. We experienced a case of para-articular chondroma in the infrapatellar fat pad of the knee joint and present its clinical, radiologic and pathologic findings with literature review.

      • KCI등재

        골다공증을 동반한 노인의 무지외반 변형의 치료에 사용한 장 회전 Scarf절골술

        남일현(Il Hyun Nam),김대근(Dae Geun Kim),이영훈(Young Hoon Lee),이동현(Dong Hyun Lee),최영득(Young Duk Choi),이희형(Hee Hyung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1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3 No.5

        목적: 본 연구에서는 골다공증을 동반한 노인에서 무지외반 변형의 치료로 사용한 장 회전 scarf절골술의 경험을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1월부터 2014년 7월까지 70세 이상의 고령 환자에서 무지외반 변형으로 장 회전 scarf절골술을 시행한 36명 56예 중 3년 이상 추시 관찰이 가능하였던 24명 37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당시 환자들의 평균연령은 73.9세였으며, 전 예에서 술 전 골다공증 검사를 시행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5.1년이었다. 골두를 포함하는 족저 골편을 내측으로 회전시켜서 원위 중족골두 관절면 각을 교정하였으며, 위 아래 골편을 X자 형태로 교차시켜 안정성을 갖도록 하였다. 변형 교정 후 2-3개의 무두 나사못을 사용하여 두 골편을 견고히 고정하였다. 수술 당시에 교정 전 및 교정 후의 원위 중족골두 관절면 각을 측정하였고, 술 전 및 최종 추시에서의 무지외반각, 제1-2 중족골간각 및 제1 중족족지관절 운동 범위를 측정하였고, 임상 점수로는 AOFAS 점수를 사용하였다. 술 후 1주째부터 보조기 착용하에 부분적 체중 부하 보행을 시행하였다. 최종 추시에서 피로 골절 여부를 조사하였다. 결과: 술 전 시행한 골다공증 검사에서 T-score는 평균 -3.54였다. 수술 당시에 측정한 원위 중족골두 관절면 각은 교정 전은 평균 24.8°에서 교정 후에 6.7°로 교정되었다. 제1-2 중족골간각은 술 전 평균 17.6°에서, 최종 추시 6.2°로 교정되었고, 무지외반각은 술 전 평균 36.7°에서 최종 추시 시 6.5°로 교정되었다. 제1 중족지간 관절 운동 범위는 평균 37.4°에서 64.3°로 관절 운동이 개선되었고, AOFAS 점수는 평균 56.4점에서 89.2점으로 호전되었다. 수술 당시 관찰상 troughing은 한 예도 경험하지 않았으며, 3예에서 나사못 고정의 실패를 경험하여 1개의 나사못을 추가로 고정하여 해결하였다. 최종 추시 시 전 예에서 골유합을 얻었고, 피로 골절 등은 경험하지 않았다. 결론: 골다공증을 동반한 노인의 무지외반 변형의 치료에 사용한 장 회전 scarf절골술은 원위 중족골두 관절면 각의 교정과 troughing 및 피로 골절 등의 예방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었다. 이에 골다공증을 동반한 노인의 무지외반 변형 치료에 장 회전 scarf절골술은 원위 중족골두 관절면 각을 교정시킬 수 있고, 증상을 호전시키는 술식의 하나로 생각한다. Purpose: This paper reports an experience of rotational long scarf osteotomy for elderly patients with a hallux valgus deformity.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05 to July 2014, 37 cases in 24 patients over 70 years of age, who received rotational long scarf osteotomy for hallux valgus and were followed-up for at least 3 years, were evaluated. The bone mineral density (BMD) was checked in all cases preoperatively. The mean age at surgery was 73.9 years old.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5.1 years. The plantar head fragment was rotated medially to correct the distal metatarsal articular angle (DMAA) and to cross the two cortices to form an “X” shape to prevent troughing. In the operating room, the DMAA was measured before and after rotation of the plantar head fragment. The hallux valgus angle, 1st intermetatarsal angle, range of motion of the first metatarsophalangeal (MTP) joint and American Orthopedic Foot and Ankle Society (AOFAS) score were measured both preoperatively and in the final follow-up. In addition, stress fractures were checked in the routine follow-ups. Results: The average T-score of the preoperative BMD was -3.54. The mean DMAA measured in the operation room was corrected from 24.8° to 6.7°. The 1st intermetatarsal angle was corrected from 17.6° to 6.2° and hallux valgus angle was corrected 36.7° to 6.5°. The average range of motion of the first MTP joint was improved from 37.4° preoperatively to 64.3° in the final follow-up, and the average AOFAS scores were improved from 56.4 preoperatively to 89.2 at the final follow-up. No troughing was observed in any of the patients. In 3 cases, screw fixation failure made an additional screw necessary to obtain stability between the two fragments. No stress fractures were observed at the follow-up. Conclusion: The rotational long scarf osteotomy produced the effect of a DMAA correction. The rotational long scarf osteotomy might correct the DMAA and improve the clinical score in elderly hallux valgus patients.

      • KCI등재
      • KCI등재

        후방 전위된 불안정성 요골 원위부 골절의 전방 금속판 고정술을 이용한 수술적 치료

        남일현(Il Hyun Nam),안길영(Gil Yeong Ahn),장종훈(Jong Hoon Jang),이재욱(Jae Wuk Lee),윤호현(Ho Hyun Yun) 대한정형외과학회 200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0 No.7

        목적: 후방 전위된 불안정성 요골 원위부 골절에서 전방 금속판을 이용한 내고정술로 치료한 후 방사선적, 임상적 결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3년 8월부터 2003년 2월까지 후방 전위된 불안정성 요골 원위부 골절 환자들 중 전방금속판을 이용한 내고정술을 시행하고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48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방사선적 평가는 수술 직후 및 최종 추시상의 요측 관절면 경사, 요측 길이, 전방 경사를 측정하였으며, 임상적 평가는 Green과 O’Brien의 임상 등급법을 이용하였다. 결과: 방사선적 분석상 관절외 골절(AO type A2, A3)이나 비 분쇄성 관절내 골절(AO type C1)에서는 요측 관절면 경사, 요측 길이, 전방 경사에서 수술 직후와 최종 추시상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분쇄성 관절내 골절(AO type C2)에서는 모두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Green과 O’Brien의 임상 등급을 이용한 임상적 분석상 평균 86점(65-100점)으로 우수 29예, 양호 11예, 보통 8예로 양호 이상이 40 (83%)이었다. 관절외 골절(AO type A2, A3)이나 비분쇄성 관절내 골절(AO type C1)의 경우에는 양호 이상이 32예(94%)였고, 분쇄성 관절내 골절(AO type C2)의 경우에는 양호 이상이 8예(57%)이었다. 합병증은 4예(8%)에서 나타났으며, 2예에서 수상 직후 정중 신경 마비, 2예에서 수술 후 수지 및 수근관절 강직이 발생하였다. 모든 예에서 골유합을 얻었고 내고정물의 실패나 자극 소견은 없었다. 결론: 후방 전위된 불안정성 요골 원위부 골절에서 시행한 전방 금속판 고정술중 관절외 골절(AO type A2, A3)이나 비분쇄성 관절내 골절(AO type C1)이 분쇄성 관절내 골절(AO type C2)에 비하여 방사선적, 임상적으로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volar plate fixation of dorsally displaced unstable distal radius fracture. Materials and Methods: 48 patients with dorsally displaced unstable distal radius fracture were treated by volar plate fixation, between August 1993 and February 2003. Radial inclination, radial length and volar tilting were analyzed by radiographic evaluation. For clinical evaluation, the clinical ratings of Green and O'Brien were used. Results: Radiographic analysis of extra-articular or non-comminuted intra-articular fractures (AO type A2, A3, and C1) demonstrat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radial inclination, radial height and volar tilting between the immediate postoperative period and the last follow-up evaluation. However, in cases of comminuted intra-articular fractures (AO type C2),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linical evaluation, 40 (83%) patients demonstrated excellent or good results based on the clinical ratings of Green and O'Brien. 32 (94%) of patients demonstrated excellent or good results in extra-articular (AO type A2 and A3) or non-comminuted intra-articular fractures (AO type C1) and 8 (57%) patients demonstrated excellent or good results in comminuted intra-articular fractures (AO type C2). The number of patients with complications was 4 (8%). Median nerve neuropathy developed in 2 patients, and hand and wrist stiffness in 2 patients. All cases achieved bony union. There was no implant failure or irritation. Conclusion: Volar plate fixation of extra-articular or non-comminuted intra-articular fractures (AO type A2, A3, and C1) was an effective treatment method for dorsally displaced unstable distal radius fractures. It provided stable fixation and allowed early postoperative rehabilitation.

      • 자가 슬괵건과 자가 슬개골건골을 이용한 관절경적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의 전향적 비교

        안길영,남일현,문기혁,이영현,김기철,김정현,Ahn, Gil-Yeong,Nam, Il-Hyun,Moon, Gi-Hyuk,Lee, Yeong-Hyeon,Kim, Ki-Choul,Kim, Jung-Hyun 대한관절경학회 2011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5 No.1

        목적: 자가 슬괵건 또는 자가 슬개골건골을 이용한 관절경적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전향적으로 시술하고 그 결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총 5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전향적으로 연구하였으며, 한 명의 시술자에 의해 자가 슬괵건과 자가 슬개골건골을 각각 순차적으로 교대로 사용하여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시행하였다. 추시 기간은 양 군 모두 평균 38개월(범위 25~58개월) 이었다. 술전과 최종 추시 시에 Lachman 검사 및 Pivot shift 검사를 실시 하였고, 환자의 주관적 기능은 Lysholm 점수와 Tegner 활동도 점수를 조사하였으며, 전방 안정성은 Telometer를 사용하여 전방 전위의 정도를 객관적으로 평가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 시 자가 슬괵건을 사용한 군(1군)과 자가 슬개골건골을 사용한 군(2군) 간의 비교에서 Lachman 검사는 음성 또는 경도의 양성이 각각 24명씩이었으며, Pivot shift 검사 또한 1군에서 22명 그리고 2군에서 21명이 음성으로 나타남으로서 두 군간에 통계학적인 차이가 없었다(P=0.18). 최종 추시 시 시행한 환자의 주관적 만족도 검사에서 Lysholm 점수는 1군이 94.6점 이었고, 2군이 92.3점이었으며, Tegner 활동도 점수도 각각 8.5점과 8.1점으로 나타나 양군간의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다(P=0.23). 20도 굴곡위에서 Telo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한 전방 전위 정도는 5 mm 미만이 1군에서 24명, 2군에서 23명이었다. 결론: 자가 슬괵건 또는 자가 슬개골건골을 사용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의 Lysholm 점수와 Tegner 활동도 검사상 1군에서 약간 더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prospective study is to compare the results of arthroscopic reconstruction of ACL using autologous hamstring tendon (Group 1) and autologous bone patella tendon bone (Group 2).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 2004 to Dec. 2007, fifty patients were analyzed in this study. A single surgeon performed the ACL reconstruction with autologous hamstring tendon (25 patients) and autologous bone patella tendon bone (25 patients) alternatively each other. The mean follow up period of two groups was 38 months (range 25~58 months). We evaluated the result of Lachman test, Pivot shift test as a physical examination and Lysholm score, Tagner activity scale as patients' satisfaction and functional status and Telometer for anterior instability of each groups at the time of final follow up. Results: In final results, negative or mild positive findings on Lachman test were 24 out of 25 cases (equally) in each groups.) Twenty two cases in the Group 1 and 21 cases in the Group 2 were negative on Pivot shift test. Lysholm scores mark 94.6 points in group 1 and 92.3 points in group 2 at the final follow up and Tegner activity scales mark 8.5 points (Group 1) and 8.1 points (Group 2) at the time of last follow up and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statistically. The numbers of patients who have less than 5 mm of anterior translation of tibia under telometer at 20 degrees of knee flexion are 24 cases in group 1 and 23 cases in group 2. Conclusion: The overall improvements of clinical scores (Lysholm scores and Tegner Activity scales) of the group 1 were a little bit superior to those of the group 2,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