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효율적인 오염토양부지 정보관리체계 구축방안: 국내외 현황 및 시사점

        황상일,김훈미,이양희,Hwang, Sang-Il,Kim, Hun-Mi,Lee, Yang-Hee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6 지하수토양환경 Vol.11 No.6

        본 연구는 토양오염 관련정보를 DB화하고 관리할 수 있는 효율적인 정보관리체계구축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국 내외 정보관리체계 현황을 분석하고 국내 문제점을 파악한 후 정보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외국사례 및 국내 현황을 살펴본 결과, 1) 정보관리 및 정보공개에 대한 선언적 조항을 '토양환경보전법'에 추가, 2) 정화단계별 세부규정 및 지침서 개발, 3) 정보의 전자화, 4) 정보관리주체 일원화, 5) 주민참여 및 정보공개제도 개선 등을 법제도적으로 보완할 필요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연구인 두 번째 연구에서는 국내적용 가능한 정보체계 구축(안)을 설정하고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정책적 제안을 제시할 예정이다. The whole objective of two papers in series was to develop the framework of a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IMS) for soil-contaminated sites. In this work, we investigated current status of information management in our country and the IMSs of developed countries such as USA, Germany, Netherlands, and Japan. Through the investigation, we made four suggestions which could be taken into account for developing the IMS's framework. Firstly, we need to append the amendments on definition of information management and opening to the public to the Soil Environment Conservation Law. Secondly, detailed guidelines for each cleanup phase need to be developed. Thirdly, in order to increase the access of the public into the IMS, we need to provide electronic data files (e.g., PDF files) for them. Finally, a sole institution need to be chosen to control efficiently the IMS. In the subsequent paper, we will develop the framework of the IM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work.

      • KCI등재

        효율적인 오염토양부지 정보관리체계 구축방안: 2. 미래지향적 체계구조

        황상일,김훈미,이양희,Hwang, Sang-Il,Kim, Hun-Mi,Lee, Yang-Hee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7 지하수토양환경 Vol.12 No.6

        2편의 연계논문중 첫 번째 논문(황상일외, 2006)에서는 국내.외 정보관리체계 현황을 분석하고 국내 문제점을 파악한 후 정보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두 번째 연구인 본 논문은 국내 적용 가능한 정보체계 구축(안)을 설정하고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정책적 제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토양오염정보관리시스템의 필수구성요소로 정보수집입력체계, DB시스템, 정보공개체계 등으로 정하였다. 미래지향적으로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선 1) 토양환경보전법에 정보관리 및 정보공개에 대한 선언적 조항 추가, 2) 정화관련자료의 세분화 및 자료 작성에 대한 세부 규정 정립, 3) 정보관리주체의 일원화 등을 제안하였다. The whole objective of two papers in series was to develop the framework of a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IMS) for soil-contaminated sites. In the previous first paper (Hwang et al., 2006), current status of information management in our country and the developed countries was investigated and four suggestions were made. In this work (the second paper), the future-oriented framework for information system of soil contamination sites and several suggestions were made.

      • 지하수 수질기준 및 정화기준 재설정에 대한 정책방향

        이정호,김훈미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7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정책보고서 Vol.- No.WO-03

        본 연구는 ‘선진국형 지하수 수질기준 및 정화기준의 제정 및 운용’을 실현하기 위한 기반으로, 현행 지하수 수질 기준 항목에 대한 설정 과정의 고찰 및 이론적인 수질독성학적 위해성 평가 방법에 의한 기준 제안치를 설정하여 현행 국내 지하수 수질관리 정책과 부합할 수 있도록 방안을 수립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우선적으로 국내 지하수 이용량 및 수질 관리 현황과 지하수 수질 기준 설정 배경 및 변천과정을 조사하여, 현행 지하수 수질기준이 갖고 있는 문제점을 분석하였으며 이와 동시에 일본, 미국, 유럽을 포함한 선진국의 지하수 기준 설정과정 및 운용형태를 국내 실정과 비교ㆍ분석하여, 국내 지하수 수질기준 및 정화기준의 재설정에 대한 올바른 방향을 모색하고 제안하고자 노력하였다. 대기, 수질, 토양 등의 환경매체를 관리하는 환경법규의 주요한 목적의 하나는 이 매체들에 대한 사회적으로 허용 가능한 환경기준을 설정하고, 설정된 환경기준의 달성방법을 마련하여 이를 시행하는데 있을 것이다. 환경기준을 설정하는 궁극적인 목표가 바로 유해한 물질로부터 인간의 건강을 지키는 것이고 더 나아가서는 생태계를 지키는 것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 통해 알아본 미국, 일본, 유럽 등의 선진국들은 이미 환경기준을 설정하는 데 있어 기본적 방법론으로써 위해성 평가를 사용해오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근래에 들어서야 환경에 의한 국민 건강피해가 사회적 관심사로 부각되기 시작함에 따라 환경오염의 관리를 인체 건강 위해성에 근거한 관리체계로 나아가야 한다는 정책적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환경기준이란 초과되었을 때 잠재적인 노출 경로가 존재하는 수용체에게 부정적인 건강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는 특정 매질 내의 화학물질 농도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위해성에 근거한 환경기준목표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우선 노출시나리오를 완벽히 설정하는 것부터 시작하여야 한다. 지금까지 지하수에 대한 국내의 위해성 평가가 대부분 음용경로 위주로 시행되어 왔기 때문에 비음용지하수 노출 경로에 따른 위해성 평가 연구는 아주 미비한 수준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음용 지하수의 노출 경로와 위해성 평가 과정에 보다 초점을 맞추어 진행하려 한다. 비음용 지하수의 경우에는 현행 우리나라의 수질기준이 선진 외국에 비해 관리 항목의 수에서도 차이가 있을 뿐 아니라, 기준치에 대한 명확한 과학적 설정근거도 없이 당시 하천수질환경기준 및 음용수 수질기준, 일본 및 미국의 환경기준을 참고하여 관련기관간의 합의와 전문가회의를 통해 이용 목적에 따라 용도별로 마련된 것이기 때문에 항목과 기준치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를 통한 재설정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의 일환으로 우선 현재 지하수수질기준 중 특정유해물질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는 15개 오염물질이 비음용으로 사용될 경우 인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부수적인 섭취, 피부접촉, 호흡 경로에 대하여 본 연구에서 가정한 시나리오와 목표발암위해도(10-6 기준), 목표위해성지수(1기준)에 근거하여 발암과 비발암성으로 구분하여 제안해 보았다. 그 결과, 특정유해물질 15종 중 발암독성영향이 있는 비소, 트리클로로에틸렌, 테트라클로로에틸렌, 벤젠 4개 항목 모두가 더욱 강화될 필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current groundwater quality and clean­up standards using the health risk­assessment methods of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Japan and the European Union. Prior to this, we investigated the amount of groundwater use nationwide and reviewed groundwater management policies in order to identify problems regarding the current groundwater management policies in Korea. We studied the background of groundwater standards establishment in Korea as well as those of the United States, Japan and the European Union. Groundwater quality, whether it is used for drinking water, agriculture or residential purposes, is significant for health. In other words, the ultimate purpose of environmental quality is to protect the human health from the environmental hazards. Therefore, risk assessments can be a better tool and methodology for the establishment of environmental quality standards. In addition, in most advanced countries, the health risk assessment method is already applied when environmental quality standards are set up. However, in Korea, groundwater quality standards were established through expert judgment, and without consideration to risk assessment or scientific proof. Because interest regarding environmental problems has increased, the need for environmental management based on risk assessment has been recognized in Korea. However, until today, primary concern in risk assessment has, for the most part, focused entirely on drinking water routes in Korea. Therefore, in this study, we will focus on groundwater used for non­drinking purposes. In Korea, the groundwater quality standards for non­drinking water purpose a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residential, agricultural(or fishery), and industrial) and the number of substances under groundwater quality standards are 20( 5 of general contaminants and 15 of particularly hazardous substances). However, approximately 95% of all groundwater is used for residential and agricultural purposes. Based on the abovementioned facts, we considered only residential and agricultural uses for groundwater. We also explored three exposure scenarios (the incidental ingestion, dermal exposure, and inhalation routes) and the carcinogenesis of the 15 particularly hazardous substances (the five general contaminants were not included). Through our research, we have proposed new groundwater quality standards for non­drinking purposes. Our recommendations are based on the carcinogenesis and possible exposure scenarios. Compared with the standards currently in place, the proposed standards for carcinogenic substances such as arsenic, trichloroethylene, tetrachloroethylene,and benzene are stricter than current standards. On the other hand, our study shows that current standards appear to be stricter than our risk based standards for non­carcinogenic substances.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o adopt the strictest groundwater quality standards based on the outcome of the risk assessment. In addition, current economic conditions and technical standards for groundwater cleanup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as they are an important factor in establishing environmental quality standards.

      • 지하수 수질기준 및 정화기준 재설정에 대한 정책방향

        이정호,김훈미 한국환경연구원 2007 수시연구보고서 Vol.2007 No.-

        본 연구는 ‘선진국형 지하수 수질기준 및 정화기준의 제정 및 운용’을 실현하기 위한 기반으로, 현행 지하수 수질 기준 항목에 대한 설정 과정의 고찰 및 이론적인 수질독성학적 위해성 평가 방법에 의한 기준 제안치를 설정하여 현행 국내 지하수 수질관리 정책과 부합할 수 있도록 방안을 수립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우선적으로 국내 지하수 이용량 및 수질 관리 현황과 지하수 수질 기준 설정 배경 및 변천과정을 조사하여, 현행 지하수 수질기준이 갖고 있는 문제점을 분석하였으며 이와 동시에 일본, 미국, 유럽을 포함한 선진국의 지하수 기준 설정 과정 및 운용형태를 국내 실정과 비교·분석하여, 국내 지하수 수질기준 및 정화기준의 재설정에 대한 올바른 방향을 모색하고 제안하고자 노력하였다. 대기, 수질, 토양 등의 환경매체를 관리하는 환경법규의 주요한 목적의 하나는 이 매체들에 대한 사회적으로 허용 가능한 환경기준을 설정하고, 설정된 환경기준의 달성방법을 마련하여 이를 시행하는데 있을 것이다. 환경기준을 설정하는 궁극적인 목표가 바로 유해한 물질로부터 인간의 건강을 지키는 것이고 더 나아가서는 생태계를 지키는 것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 통해 알아본 미국, 일본, 유럽 등의 선진국들은 이미 환경기준을 설정하는 데 있어 기본적 방법론으로써 위해성 평가를 사용해오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근래에 들어서야 환경에 의한 국민 건강피해가 사회적 관심사로 부각되기 시작함에 따라 환경오염의 관리를 인체 건강 위해성에 근거한 관리체계로 나아가야 한다는 정책적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환경기준이란 초과되었을 때 잠재적인 노출 경로가 존재하는 수용체에게 부정적인 건강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는 특정 매질 내의 화학물질 농도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위해성에 근거한 환경기준목표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우선 노출시나리오를 완벽히 설정하는 것부터 시작하여야 한다. 지금까지 지하수에 대한 국내의 위해성 평가가 대부분 음용경로 위주로 시행되어 왔기 때문에 비음용지하수 노출 경로에 따른 위해성 평가 연구는 아주 미비한 수준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음용 지하수의 노출 경로와 위해성 평가 과정에 보다 초점을 맞추어 진행하려 한다. 비음용 지하수의 경우에는 현행 우리나라의 수질기준이 선진 외국에 비해 관리 항목의 수에서도 차이가 있을 뿐 아니라, 기준치에 대한 명확한 과학적 설정 근거도 없이 당시 하천수질환경기준 및 음용수 수질기준, 일본 및 미국의 환경기준을 참고하여 관련기관간의 합의와 전문가회의를 통해 이용 목적에 따라 용도별로 마련된 것이기 때문에 항목과 기준치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를 통한 재설정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의 일환으로 우선 현재 지하수수질기준 중 특정유해물질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는 15개 오염물질이 비음용으로 사용될 경우 인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부수적인 섭취, 피부접촉, 호흡 경로에 대하여 본 연구에서 가정한 시나리오와 목표발암위해도(10-6 기준), 목표위해성지수(1기준)에 근거하여 발암과 비발암성으로 구분하여 제안해 보았다. 그 결과, 특정유해물질 15종 중 발암독성영향이 있는 비소, 트리클로로에틸렌, 테트라클로로에틸렌, 벤젠 4개 항목 모두가 더욱 강화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발암성의 경우 톨루엔과 크실렌을 제외하고는 현행기준이 오히려 위해성에 근거하여 계산된 기준보다 더욱 강화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현행 비음용 3분류체계에서 위해성에 근거한 비음용 단일화 기준으로 지하수 기준 체계를 전환할 경우에는 본 연구에서 보여준 것과 같이 각 경로별로 위해성 평가를 실시한 후 항목별로 가장 엄격한 기준을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한 방법이라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지하수수질기준의 재설정과정에는 인체 위해성 평가와 같은 과학적 절차에 따라 기준을 도출하는 것뿐만 아니라 현재의 정화기술수준과 경제적 여건으로 도출된 기준을 유지할 수 있는지에 대한 가능성 또한 중요한 인자로 작용하기 때문에 이러한 요소를 고려한 실현가능한 합리적인 개선방안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current groundwater quality and clean-up standards using the health risk-assessment methods of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Japan and the European Union. Prior to this, we investigated the amount of groundwater use nationwide and reviewed groundwater management policies in order to identify problems regarding the current groundwater management policies in Korea. We studied the background of groundwater standards establishment in Korea as well as those of the United States, Japan and the European Union. Groundwater quality, whether it is used for drinking water, agriculture or residential purposes, is significant for health. In other words, the ultimate purpose of environmental quality is to protect the human health from the environmental hazards. Therefore, risk assessments can be a better tool and methodology for the establishment of environmental quality standards. In addition, in most advanced countries, the health risk assessment method is already applied when environmental quality standards are set up. However, in Korea, groundwater quality standards were established through expert judgment, and without consideration to risk assessment or scientific proof. Because interest regarding environmental problems has increased, the need for environmental management based on risk assessment has been recognized in Korea. However, until today, primary concern in risk assessment has, for the most part, focused entirely on drinking water routes in Korea. Therefore, in this study, we will focus on groundwater used for non-drinking purposes. In Korea, the groundwater quality standards for non-drinking water purpose a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residential, agricultural (or fishery), and industrial) and the number of substances under groundwater quality standards are 20 (5 of general contaminants and 15 of particularly hazardous substances). However, approximately 95% of all groundwater is used for residential and agricultural purposes. Based on the abovementioned facts, we considered only residential and agricultural uses for groundwater. We also explored three exposure scenarios (the incidental ingestion, dermal exposure, and inhalation routes) and the carcinogenesis of the 15 particularly hazardous substances (the five general contaminants were not included). Through our research, we have proposed new groundwater quality standards for non-drinking purposes. Our recommendations are based on the carcinogenesis and possible exposure scenarios. Compared with the standards currently in place, the proposed standards for carcinogenic substances such as arsenic, trichloroethylene, tetrachloroethylene, and benzene are stricter than current standards. On the other hand, our study shows that current standards appear to be stricter than our risk based standards for non-carcinogenic substances.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o adopt the strictest groundwater quality standards based on the outcome of the risk assessment. In addition, current economic conditions and technical standards for groundwater cleanup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as they are an important factor in establishing environmental quality standards.

      • KCI등재

        Identification of Porcine Endogenous Retrovirus (PERV) packaging sequence and development of PERV packaging viral vector system

        최지원,김훈미,윤종관,조연동,이희정,김강창,김창규,김계웅,김영봉 한국미생물학회 2015 The journal of microbiology Vol.53 No.5

        Studies of the retroviruses have focused on the specific interaction of the nucleocapsid protein with a packaging signal in the viral RNA as important for this selectivity, but the packaging signal in porcine endogenous retrovirus (PERV) has not been defined. Herein, we identified and analyzed this packaging signal in PERV and found hairpin structures with conserved tetranucleotides in their loops and nucleocapsid recognition sequences; both of which are key elements in the viral packaging signal of MLV. We evaluated packaging efficiency of sequence variants isolated from viral and proviral integrated genomes. All viral packaging sequences (Ψ) were identical, while five distinct packaging sequences were identified from proviral sources. One proviral sequence (Ψ1) was identical to that of the viral Ψ and had the highest packaging efficiency. Three variants (Ψ2, Ψ3, Ψ4) maintained key elements of the viral packaging signal, but had nucleotide replacements and consequently demonstrated reduced packaging efficiency. Despite of the same overall hairpin structure, the proviral variant (Ψ5) had only one GACG sequence in the hairpin loop and showed the lowest packaging efficiency other than ΔΨ, in which the essential packaging sequence was removed. This result, thus, defined the packaging sequences in PERV and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nucleotide sequence and RNA structure in the determination of packaging efficiency. In addition, we demonstrate efficient infection and gene expression from the PERVbased viral vector, which may serve as a novel alternative to current retroviral expression systems.

      • KCI등재

        Evidences of in Situ Remediation from Long Term Monitoring Data at a TCE-contaminated Site, Wonju, Korea

        이성순,이강근,김훈미,이승현,양재하,고윤은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13 지하수토양환경 Vol.18 No.6

        The contamination of chlorinated ethenes at an industrial complex, Wonju, Korea, was examined based on sixteen rounds of groundwater quality data collected from 2009 to 2013. Remediation technologies such as soil vapor extraction, soil flushing, biostimulation, and pumping-and-treatment have been applied to eliminate the contaminant sources of trichloroethylene (TCE) and to prevent the migration of TCE plume from remediation target zones. At each remediation target zone, temporal monitoring data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remediation techniques showed that the aqueous concentrations of TCE plume present at and around the main source areas decreased significantly as a result of remediation technologies. However, the TCE concentration of the plumes at the downstream area remained unchanged in response to the remediation action, but it showed a great fluctuation according to seasonal recharge variation during the monitoring period. Therefore, variations in the contaminant flux across three transects were analyzed. Prior to the remediation action, the concentration and mass discharges of TCE at the transects were affected by seasonal recharge variation and residual DNAPLs sources. After the remediation, the effect of remediation took place clearly at the transects. By tracing a time-series of plume evolution, a greater variation in the TCE concentrations was detected at the plumes near the source zones compared to the relatively stable plumes in the downstream. The difference in the temporal profiles of TCE concentrations between the plumes in the source zone and those in the downstream could have resulted from remedial actions taken at the source zone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long term monitoring data are useful in assessing the effectiveness of remediation practices.

      • KCI등재

        터널 굴착시 유출 지하수에 의한 환경 영향 분석 및 개선방안

        이정호 ( Jeong Ho Lee ),김훈미 ( Hun Mi Kim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8 환경정책연구 Vol.7 No.1

        최근 도로 및 철도건설사업에서는 건설 공사시 절토 등으로 인한 자연환경의 파괴를 최소화하기 위한 친환경적인 시도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여전히 대형 도로 및 철도건설사업에서 생긴 터널 굴착시 지하수 유출 영향에 대해서는 과학적 검증보다는 피상적인 경험으로 대처함으로 사회적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로 및 철도건설사업에서 터널 굴착으로 인한 지하수 영향을 체계적으로 정리·분석하여 터널 공사가 포함되어 있는 사업에 있어서 환경영향평가시 적절한 영향예측, 평가 및 저감방안 수립이 가능한 지침을 마련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It has been attempted to minimize the environmental impacts due to railroad and road constructions. But assessments of the impact for the unwanted discharges by tunneling are still poorly systematic due to lack of scientific evaluation results ; thus, the tunneling projects frequently cause wide social conflicts.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guideline for appropriate environmental impact forecasts, assessments, and mitigation planning of tunneling projects.

      • 해안지역 지하수 수자원 통합관리방안 연구 Ⅰ

        이정호,윤정호,문유리,김훈미,황상일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7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RE-13

        본 연구에서는 국내 해안지역 지하수 관리 현황 파악을 위해 서남해안 지역의 지하수 수자원 이용 및 관리 현황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와 더불어 해안지역 지하수 유동 특성의 이론적 분석과 해외 우수 사례에 대한 상세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궁극적으로 이러한 분석을 통해 국내 해안지역 지하수 수자원 관리에 대한 개선방안을 도출하고, 이를 관련 정부부처의 정책에 적용할 수 있도록 체계화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해안지역 지하수의 유동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이론적 접근으로 Darcy의 법칙을 응용, 우리나라 해안선의 분포 양상을 면적 개념으로 단순화하고, 동수경사 및 대수층의 두께를 Badon Ghyben-Herzberg 식을 적용하여 해안지역 지하수 유출량에 대한 일반식을 구하고, 모델 지역에서의 해안 지하수 유출량을 산정하여 보았다. 이와 더불어, 해안 지역의 해안 유출량 평가기법 및 지하수 개발가능량을 추정하기 위하여 4대강 권역에 대하여 산정된 해안 유출량 결과에 본 연구에서 수행한 개발가능량 평가식을 적용하고, 그 결과를 관정위치-해수침투 위치 거리와의 관계로 제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해안과 접하고 있는 지역의 지하수 관리 현황을 파악하고자 국내의 경우 해안 지하수를 위한 별도의 지하수관리계획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지방자치단체의 지하수 기초조사 추진 현황 및 계획에 대해 간단히 조사해보았다. 그 결과, 2006년 말 기준으로 해안과 접하고 있는 총 56개 지역 중 24개 지역에서 지하수 기초조사가 완료되었으며, 2007년 현재 시행 중인 시흥, 보령, 여수, 남해를 포함하면 총 28개 지역으로 50%에 해당하는 지역에서 지하수 기초 조사가 완료되었거나 시행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해안지역 지하수 이용량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건설교통부에서 매년 발간하고 있는 지하수 조사 연보를 통해 해안과 접하고 있는 지역의 지하수 이용량 자료를 2000년부터 2005년까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전국 지하수 이용량이 2000년 약 31억 톤에서 2005년 약 37억 톤으로 매년 꾸준히 증가하는 양상을 보임과 동시에 해안지역 지하수 이용량 통계자료에서도 2000년 약 5억 톤에서 2005년 약 5.5억 톤으로 이용량이 꾸준히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해안지역 지하수 사용량은 전체 지하수 사용량의 약 15%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해안 및 도서지역의 수리지질학적 특성 및 해수침투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해수침투 관측망 (SIMNS: Seawater Intrusion Monitoring Network System) 관측자료를 분석하여 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해안지역 지하수 현황 파악을 목적으로 2006년 말에 설치된 10개 관측정의 경우는 관측 자료가 충분히 축적되지 않았기 때문에 2005년까지 설치된 총 37개 지구 65개 관측정에 대하여 관측 결과를 분석하였다. 전기전도도의 변화와 이온분석에 의한 Cl/HCO₃ 몰비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15개소 관측정이 상대적으로 해수에 의한 영향이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13개소 관측정의 경우는 미약하지만 일반 담수에 비해서 높은 해수의 영향이 나타남에 따라 향후 지속적인 관측 및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전기전도도의 증가와 몰비의 증가현상이 뚜렷하여 향후 관측망 운영에 주의가 필요한 총 28개소에 대해서는 대체 수원공개발 등을 통한 지속적인 용수 공급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As the growth of industry and population has been concentrated in coastal areas that have good access to ports, groundwater development has been accelerated in order to meet the increased demand for water demand. Because of this, the groundwater level has declined and the intrusion of saltwater has expanded which poses a threat to the public water supply and deteriorates the quality of groundwater. Consequently, public concern has risen regarding saltwater intrusion and proper management has been requested. In the southwestern coastal area of Korea, public complaints have accelerated as their water supply system has been contaminated and closed by saltwater intrusion. In addition, a variety of development projects such as Enterprise Cities, Saemangeum Tideland Reclamation, and National Industrial Estates, further threaten the areas groundwater. This study aimed (1) to comprehend the current situation of groundwater development and its management in the southwestern coastal area of Korea, (2) to investigate the state­of­the­art techniques and the case studies from the U.S. and Europe and (3) to suggest policy recommendations. For the groundwater management of coastal areas, there are diverse efforts by governmental agencies and research institutes being carried out. A ?Saltwater Intrusion Monitoring Network System? has been established by the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and local governments have performed basic surveys of groundwater and prepared management plans based on guidelines from the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While remarkable outcomes have been achieved by the various research groups, their efforts have resulted in incompatible policies and repeated investments. On the other hand, the management systems of the U.S and Europe were developed by integrating the available techniques for prevention and remediation, the current status of saltwater intrusion, and socio­economic situations. As each investigation and policy implementation was supervised by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their outcomes contributed to ensuring the supply and quality of groundwater. A similar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is required in Korea in order to provide consistent policies, increase the efficiency of collected data and information, and encourage relevant research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