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대외정책기조에 담긴 논리의 이중구조:목표와 현실성 사이의 괴리

        김태효,KIM Tae-Hyo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14 신아세아 Vol.21 No.4

        한·중 1.5트랙 전략대화는 깊이 있고도 자유분방한 토론을 달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활용하기에 따라 매우 유용한 외교적 수단이다. 본 글은 최근 이루어진 한·중 전략대화의 주요쟁점을 분석하면서 중국 지도부가 표방하는 대외정책의 목표와 실제 현실성 사이에 괴리가 존재함을 보여주고자 한다. 중국이 추진하는 중국 중심의 신(新)아시아질서는 이웃 국가들의 호응과 자발적인 동참 없이는 성사되기 힘들다는 점에서 중국 대외정책의 성패는 미국의 대응보다는 중국 스스로의 능력에 달려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중국이 이제까지 취해 온 북한의 후견인 역할은 한반도와 동북아시아 질 서의 현상유지라는 목표에서 기인한 것이지만, 이러한 입장이 앞으로도 지속될 경우 향후 글로벌 책임국가를 표방하는 중국의 국제적 평판과 역할에 중대한 저해요인이 될 것이다. 중국 지도부는 현재 자신이 하고 있는 말과 앞으로 해야 할 행동 사이에서 혼란스러워하고 있다. 그래서 아무리 똑똑한 중국의 지도자라도 한국 사람들을 상대로 민감한 주제에 관한 자유토론 이 벌어질 때 논리적으로 앞뒤가 맞지 않는 주장을 펴는 경우가 종종 있다. 앞으로 한·중 전략대 화를 질적으로 격상시켜 나감으로써 한·중관계의 발전뿐만 아니라 중국의 보다 건설적인 국제적 역할을 독려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그것은 한·중 양국이 ‘북한’ 변수를 함께 극복하고 해소 해 낼 때 한층 현실화될 것이다. For Korea and China, the Track 1.5 Strategic Dialogue is a very useful diplomatic tool because this format can produce an atmosphere in which in-depth and candid discussions occur. Analyzing major debates at recent Track 1.5 Strategic Dialogues in Beijing and Shanghai, this essay shows that there is a gap between the PRC’s foreign policy goals and its practice. A China-centered new Asian order cannot be realized without neighboring countries’ positive response and their voluntary participation. In other words, the success of the PRC’s New Silk Road and Silk Road initiatives depends not on the U.S. response but China’s ability to sell those slogans. China’s protection of North Korea reflects its strategic goal of maintaining the status quo on the Korean Peninsula and Northeast Asia, but continuation of this policy will damage China’s international reputation and its image as a responsible country. China’s leadership is torn between its current rhetoric and how it will have to behave in the future. For that reason, Chinese strategists often raise illogical arguments when engaged with Koreans in discussions of sensitive security issues. Upgrading the quality of the Korea-China Strategic Dialogue will encourage China to take more constructive international roles as well as advance bilateral relations between Korea and China. Those effects will be reinforced if Korea and China can overcome and resolve the North Korean problem.

      • KCI등재후보

        분산 무선센서 네트워크의 클러스터-기반 에너지 소비 균형 라우팅 프로토콜

        김태효,주연정,오호석,김민규,정용배,Kim, Tae-Hyo,Ju, Yeon-Jeong,Oh, Ho-Suck,Kim, Min-Kyu,Jung, Yong-Bae 한국융합신호처리학회 2014 융합신호처리학회 논문지 (JISPS) Vol.15 No.4

        본 논문에서는 비교적 밀도가 높게 전개되는 무선 센서네트워크에서 센서노드들의 에너지를 균형있게 소비할 수 있는 클러스터-기반 에너지 소비 균형을 위한 라우팅 프로토콜을 제안하였다. 본 프로토콜은 계층적 구조를 가지는 클러스터-기반으로 구현된다. 클러스터는 위치적으로 가까운 거리에 있는 센서노드들로 형성되며, 해당 클러스터 멤버들 중에서 잔류 에너지가 가장 높은 노드가 헤드노드로 선정된다. 경로 선정에서, 이웃하는 클러스터와 통신의 범위가 중첩되게 하여 그 공통영역 내에 있는 하나의 노드를 중계노드로 선택하여, 통신에너지 소비의 균형을 고려하여 노드들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게 하였다. In this paper, a cluster-based routing protocol in distributed sensor network is proposed, which enable the balanced energy consumption in the sensor nodes densely deployed in the sensor fields. This routing protocol is implemented based on clusters with hierarchical scheme. The clusters are formed by the closely located sensor nodes. A cluster node with maximum residual energy in the cluster, can be selected as cluster head node. In routing, one of the nodes in the intersection area between two clusters is selected as a relay-node and this method can extend the lifetime of all the sensor nodes in view of the balanced consumption of communication energy.

      • KCI등재

        한미동맹의 정치적 결속력과 외교협력체제

        김태효(Kim Tae hyo)(金泰孝)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18 신아세아 Vol.25 No.4

        이글은 문재인 정부와 트럼프(Donald Trump) 정부의 대북정책 공조를 분석하고 평가함으로써 앞으로 한·미 동맹이 마주할 도전요인과 과제를 도출한다. 필자는 한·미 관계를 위협하는 핵심적인 요인이 양국 간 대북 위협인식의 괴리임을 검증한다. 동맹 파트너들 간 긴장은 국가 간 힘의 분포와 국제질서의 급격한 변화(3차 이미지), 가치·제도의 상호 괴리 혹은 부정적 국민여론(2차 이미지) 등으로부터 비롯되기도 하지만, 현재 한미동맹의 불협화음은 양국 최고위 지도부 간 안보인식의 격차(1차 이미지)에서 기인한다. 필자는 다음 세 가지 주장을 차례로 논증한다. 첫째, 2018년 들어 잇따라 진행된 한·미 양국의 대북정상회담 외교는 양국 지도부의 보여주기 식 포퓰리즘(인기영합주의)이 맞닿았기 때문이다. 둘째, 대북 인식의 균열과 함께 한국의 대북제재 이행을 놓고 한·미 갈등이 심화될 것이다. 셋째, 한국 정부의 입장이 북한의 한반도 비핵화 마스터플랜에 좌우될수록 한·미 동맹 존립의 위기는 가중될 것이다. Examining North Korea policy coordination between the Moon Jae-in and Trump administrations, this paper draws out major short-term challenges the alliance will face. The current discordant alliance relationship stems from a perception gap at the top level (1st image) rather than the structural environment (3rd image) or a discrepancy in values and/or institutions (2nd image). The paper makes three arguments: (1) The hasty summit series with North Korean leader Kim Jong Un in 2018 (three meetings with South Korea and one with the US) was the outcome of a populistic leadership style shared by the leaders of the US and the ROK; (2) discord between the two alliance partners over the scope of economic sanctions on North Korea will deepen; (3) policy differences may become a structural crisis for the alliance if the ROK government is more influenced by the North Korean version of ‘Korean Peninsula denuclearization.’

      • 포스터 전시 : 췌담도 ; 경증의 급성췌장염에 동반된 십이지장 폐쇄 1예

        김태효 ( Kim Tae Hyo ),민현주 ( Min Hyeon Ju ),강도연 ( Kang Do Yeon ),김현진 ( Kim Hyeon Jin ),정운태 ( Jeong Un Tae ),조중현 ( Jo Jung Hyeon ),이옥재 ( Lee Og Jae ) 대한소화기학회 2003 대한소화기학회 추계학술대회 Vol.2003 No.-

        중증 급성췌장염, 가성낭종, 농양 등에서 인접한 십이지장으로의 염증확장 및 압박으로 인한 십이지장 폐쇄를 드물게 관찰할 수 있다. 그러나 경증의 급성췌장염환자에서 십이지장 폐쇄는 매우 드물며 국내에서는 아직 보고된 예가 없다. 저자들은 경증 급성췌장염의 합병증으로 발생하여 병의 경과와 함께 호전된 십이지장 폐쇄 1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증례> 61세 남자환자가 내원 하루 전부터 시작된 심와부 동통과 구토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과거력에는 4

      • KCI등재

        Tailored Engagement: American Foreign Policy in an Age of Anti-Americanism

        KIM Tae-Hyo(김태효),Bernard ROWAN(버나드 로완)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08 신아세아 Vol.15 No.1

          본 논문에서 필자들은 이른바 반미주의 시대에 미국의 외교정책이 안고 있는 도전요인을 다룬다. 미국 정부는 지난 수년 간 세계 각처에서 일어 온 미국 외교정책에 대한 체계화된 반대의 움직임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반미주의를 야기한 주요 원인과 계기를 추출함과 동시에, 그러한 반미주의가 세계 주요 지역과 국가에 따라 어떻게 서로 비교될 수 있는지 분석하였다. 유럽, 중동, 아시아의 주요 지역과 국가들을 지정학적, 전략적 이익의 관점에서 비교함으로써 향후 미국이 대외전략을 어떻게 수정해야 하는지 도출하고자 하였다.<BR>  대부분의 반미주의는 각국 엘리트들의 정치적 판단(때로는 조작)에 의해 좌우되며, 이는 국내정치 및 국익 변수와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음을 밝혔다. 따라서 미국의 외교정책이 반미주의 최소화하려면 대상 지역 및 국가에 대한 미국의 이익을 고려하는 동시에, 자신의 정책이 가져올 국제적 반향과 함의를 신중하게 고려할 필요가 있다. 특히 미국과 미국의 동맹세력들이 펴는 정책에 대한 다른 나라들이 공감하고 협조할 수 있는 다자적 장치를 마련해야 하며, 그러한 과정에 많은 국가들이 주도적인 역할을 펼 수 있도록 공간을 확보해 주는 것이 중요하다. 이른바 맞춤형 관여정책(tailored engagement)을 권고하며, 이는 국가 간 상충하는 이해관계를 조율해 가는 보다 민주적이고 인내력을 요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Our paper discusses the challenges for American foreign policy in an age of anti-Americanism. Given systematized opposition to American foreign policy within global publics, American policy makers should heed its implications for global governance. We trace the motivating events and characteristics of this policy context in Europe, the Middle East and Russia, and Greater Asia to draw implications for how the United States should modify its geopolitical strategy in each theatre. Since anti-Americanism is subject to elite manipulation for domestic and national political interests, we suggest a policy of tailored engagement, one that balances regional ambitions with international governance, to counteract its influence. By allowing other powers to form supportive regional and multilateral linkages, the interests and foreign policy of the United States and other nations may be better accomplished, and the causes of anti-Americanism counteracted.

      • KCI등재

        [硏究論文] 이라크戰 以後의 美·北 核葛藤:同伴딜레마의 게임

        김태효(KIM Tae-hyo)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03 신아세아 Vol.10 No.4

        This paper's major implication is to raise the importance of paying more attention to the different perceptions and strategy of the United States and North Korea. Peculiarity of and differences between strategic mind-sets of the two countries deserve to be observed because the U.S. is the superpower and views North Korea policy as a part of their global non-proliferation strategy, while North Korea, as a secluded and almost failed state, desperately seeks nuclear card as a means of regime survival. However, despit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U.S. and North Korea in the scope and characteristics of the nuclear issue, crucial interests are at stake for both countries. Problem is that neither the U.S. nor North Korea has a smart strategy to win over its counterpart. Currently, military option is hardly available for the U.S. given the disappointing post-war management process in Iraq, and the negotiation process of the Six-Party Talks is likely to take quite a long time without any promise for successful resolution. For North Korea, another round of 'muddling through' strategy will not be allowed, because the U.S. is determined not to repeat the Geneva Agreement and to dismantle the North Korean nuclear program in a complete and irreversible way. Against this backdrop, forgoing nuclear card in exchange for economic incentives should risk possible breakdown of Pyongyang regime. Microscopic analysis of strategic interests and available options perceived by key policy makers of the U.S. and North Korea will show more accurate prospects of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thereby supplement explanatory power of major conventional explanations such as structrualism, neo-liberalism, and negotiation models.

      • KCI등재

        [特輯/21世紀 美國의 아시아 安保戰略] 世界體制와 覇權의 變動原理: 로마에서 美國까지

        김태효(KIM Tae-Hyo)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04 신아세아 Vol.11 No.3

        본 논문은 세계정치체제의 역사적 흐름을 결정적으로 주도했던 주요 패권국들의 탄생과 쇠퇴, 그리고 소멸에 대한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인류사회의 집단거주와 체계적 정치질서 확립이 이루어진 이후 지금까지 존재한 주요 패권세력으로는 로마제국, 몽골제국, 포르투갈, 네덜란드, 영국, 그리고 미국 을 꼽을 수 있는데, 이러한 여섯 개의 사례를 선택하는 기준은 당대의 전반적 국제관계를 압도적으로 주도했는가의 여부와 향후 세계체제 변동에 의미 있는 여파를 미칠 정도로 새로운 국제관계 패러다임을 창출한 세력인가의 요구조건에 근거한 것이다 . 이러한 여섯 개의 패권사례에 대한 분석을 통해 저자가 주장하려는 것은 크게 두 가지이다. 첫째, 시대를 앞서가는 강력한 군사력 거반의 창출이 패권을 확보하기 위 한 필요조건이라는 점이다. 역사적 상황에 따라 군사적 우위를 형성하였던 수단과 경로는 다르게 나타난다. 시간이 흐르면서 군사력의 핵심요소는 바뀌어왔지만, 군사력의 우위를 창출하려는 노력은 언제나 세계체제의 작동원리에 변화를 초래하였다. 둘째, 패권의 지속성은 힘의 크기 자체보다는 패권의 이해관계를 반영하는 질서의 재창출 능력에 달려있다는 것이다. 확보한 군사적 우위를 방어하기 위해 구사한 대외경제정책 및 기타 국제질서 관리 방식은 각 패권의 수명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야만적 지배원리만이 미덕이었던 고대, 중세시대까지의 패권은 과학과 전쟁력의 수준이 오랫동안 평준화되어 있던 시기였다. 따라서 조직력 (로마)과 기동력 (몽골) 같은 탁월한 운용능력만 갖추더라도 장기패권을 누릴 수 있었다 . 하지만, 근대 이후 민족주의, 인권개념, 상호의존적 세계질서 등의 규범이 싹틀수록 패권은 타협과 공존을 위한 처방을 병행하지 않으면 안되게 되었다. 포르투갈, 네덜란드, 영국은 팽창에 따른 통치비용의 가중과 삭민지 관리방식에 대한 공통된 고민을 지녔던 패권국이었던 것이 다 . 오늘날 미국은 세계의 반민주의와 씨름하고 있다. 역사상 가장 광범위한 패권자산을 갖추고 있으면서도 거장 덜 폭력적으로 패권을 행사하는데도, 가장 많은 국가로부터 비판받는 이유는 아마도 현 세계체제가 과거의 그것과는 또 다른 어떤 새로운 질서를 의미하기에 그럴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provide an analysis of the birth, decline, and end of the major hegemons that brought about revolutionary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system. The criteria for selecting the six cases--i.e., the Roman Empire, the Mongol Empire, Portugal, Netherlands, the Great Britain, and the United States -is whether the power under examination created a new paradigm with meaningful repercussions for the evolution of the world system. The author's main arguments are twofold. First, a monopoly of overpowering technology and weapon systems is a minimum prerequisite to become a superpower. That each hegemon cultivated different means and mechanisms to reinforce its influence is because of different historical conditions for different ages. The core clement of military power has continuously evolved, but the efforts to obtain military preponderance have induced dramatic changes in the operational principle of the world system. Second, the viability of hegemonic rule depends more on a hegemon's capability to reshuffle the existing order in a way that serves its interests, rather than on the magnitude of the power itself. The way a hegemon manages the world system in order to defend its leadership that eventually affects the longevity of hegemonic rule. Global powers during the ancient period and the Middle Ages, when military technology was roughly equal, could enjoy a long cycle of hegemonic rule--as long as they were equipped with excellent operating capability. However, global powers since the advent of nationalism and international norms, particularly the U.S., should have to utilize unilateralism and multilateralism in tandem with other capabilities.

      • 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우수등재

        일본 소극안정책의 기원

        김태효(Kim Tae-Hyo) 한국정치학회 1997 한국정치학회보 Vol.31 No.4

        일본의 대미(對美)의존적, 소규모 방위지출의 소극안보정책에 대한 원인으로 이제까지 제도주의적, 문화주의적 설명이 많은 지지를 받아 왔다. 그러나 필자는 일본의 저비용(低費用) 방위정책이 일본 정책결정자들의 전략적 이해에 따라 다분히 의도적으로 나온 결과임을 주장한다. 이점은 전후(戰後) 초창기 일본안보정책 형성기의 미ㆍ일 외교안보관계를 살펴볼 때 더욱 명확히 드러난다. 본 논문은 미ㆍ일 안보동맹 체결과 50년대말까지의 일본 재무장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일본소극안보정책이 외부안보환경에 대한 정책입안자들의 인식과 이에 대한 전략적 대응에서 비롯되었음을 밝힌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