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rratum] Diverse Chemo-Dynamical Properties of Nitrogen-Rich Stars Identified from Low-Resolution Spectra (2023, JKAS, 56, 59)

        김창민,이영선,Timothy C. Beers,김영광 한국천문학회 2024 Journal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Vol.57 No.1

        The following sentence was erroneously dropped from the acknowledgment: This work was supported b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The corrected text is listed below; it should replace the Acknowledgements section.

      • 잠재적 의미 분석을 이용한 정보 검색

        김창민 聖潔大學校 情報産業技術硏究所 1997 情報産業技術論叢 Vol.2 No.-

        Most systems that manage distributed information have difficulties in retrieving relevant information for they are not able to include the exact semantics of retrieval queries that users request. In this paper, we proposed automatic query expansion based on term distribution which reflect semantic of retrival term to enhance the performance of information retrival and we evaluated the performance. We use LSI(Latent Semantic Indexing)'s SVD(Singular Value Dacomposition) technique to measure the term distribution which appear similar to query. And we measure the similarity to compared numerical value with query terms. Also we researched the method for setting the threshold according to area distribution in other to choose additional terms automatically. Finally, we applied the proposed method in this paper to two experimental DB'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 KCI등재
      • 캠퍼스 네트워크상에서의 멀티미디어 트래픽 성능 평가

        김창민,이양민,이재기 동아대학교 정보기술연구소 2003 情報技術硏究所論文誌 Vol.10 No.2

        To provide multimedia service that requires real-time and high bandwidth characteristics, we must be able to manage Internet traffic efficiently. In this paper, we have analyzed and compared network simulator results with real campus network about the performance of multimedia traffics(video and audio traffic) that applied to existing Internet traffic and QoS traffic. Our measurement factors are transmission rate, packet loss rate and delay. According to our experimental results, the traffic that applied to QoS method is better than Best-effort traffic on previous factors.

      • KCI등재

        흑산도의 친척 : '큰집'과 '내롱'을 중심으로 'Kunjip' and 'Nerong'

        김창민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01 비교문화연구 Vol.7 No.2

        이 연구는 흑산도의 한 어촌마을을 대상으로 하여 친척을 연구한 민속지 연구이다. 연구자는 조사 마을의 친척을 통하여 친척조직의 지역적 한 유형을 파악함으로써 한국 친척 연구의 일반화를 위한 새로운 사례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생태적, 경제적 조건에 대한 적응의 결과물로서 조사마을의 친척 조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 얻은 결과물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마을에서는 제사가 장남에게 상속되지 않고 마을에 남아 부모와 함께 생활한 아들에게 상속된다는 점이다. 조상의 신위인 기성은 ‘큰집’에만 모셔지기 때문에 장남이라도 분가하면 제사를 모실 수 없게 된다. 장남 분가는 연구 마을의 생태적 환경의 결과물이다. 열악한 경제환경으로 연구마을은 많은 수의 인구를 부양할 수 없어서 인구 유출 압력이 크다. 뿐만 아니라 마을 공동재산에 대한 권리 확보를 위해서 장남 분가를 하는 것이 더 적응적이다. 이런 조건 때문에 장남은 분가하여 마을을 떠나고 남은 아들이 남아 가계를 계승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다. 둘째, 연구마을에서는 '내롱' 이라고 하는 친족조직이 중요한 사회 단위로 기능하고 있다. 한 아들만 남고 나머지 아들은 분가하여 마을을 떠나는 관행으로 마을에 남아 있는 사람들의 친척관계는 상당히 멀다. 8촌 이내의 혈족의 수가 적기 때문에 당내를 구성하는 것은 매우 어려우며, 종손이나 종가의 개념도 없어 문중이 형성되지도 못하고 있다. 이 상황에서 같은 파에 속한 혈족들로 구성된 '내롱' 은 먼 친척을 가깝게 인식하게 하며, 친척집단이 수행해야 하는 여러 역할을 담당하는 단위로 기능하고 있다. 내롱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시제를 모시는 것이다. 문중이 없기 때문에 시제는 내롱을 단위로 순환하여 모신다. 그리고 개인이 책임을 지는 제사는 점차 내롱이 책임을 지는 시제로 전환되어 일찍 제사를 중단하는 경향도 나타나고 있다. 즉, 큰집의 중요성은 줄어드는 반면 내롱의 역할은 증대하고 있다. 셋째, 연구마을에서는 ‘작숙’, ‘오춘’과 같이 먼 친척을 가까운 친척으로 인식하게 하는 문화적 장치들도 발달해 있다. 이는 '내롱'이 먼 친척을 가까운 친척으로 인식하게 하는 경향과 같은 맥락이다. 나아가 작숙은 친척이 반드시 혈족만으로 구성되지 않고 인척관계에 있는 사람까지 포함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마을에 살고 있는 혈족의 수는 적은 반면 인척의 수는 많기 때문에 이들과 협력관계를 유지하기 위하여 이러한 관행이 발전한 것으로 보인다. This article is an ethnographic study of a village in Huksan Islands to analyse kinship structure. This study aims to offer a case for generalizing Korean kinship system by understanding a local type kinship system in my village. I think of kinship system of my village as a result of ecological and economical adap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drawn as follow. First of all, Jesa which is ancestor worship serviced annually at the death day is not inherited to one’s eldest son but to one of his son who has lived with him. Because memorial tablets are enshrined in ancestor worship room which is located only ‘Kunjip’, inherited house, the eldest son who set up a separated family can not hold Jesa. The fact that the eldest son set up a new separated family is a result of ecological adaptation. There are small land and scarce resources, the village could not support many dwellers and it is adaptable to leave elder son his parent family early. Secondly, ‘Nerong’, which is one sort of kin groups works as a very important social unit. The size of patrilineal descent group is very small and kinship relation is relatively far, neither Dandnae nor Munjung is organized in my village. In this situation Nerong which is composed of the members of a branch of Munjung functions as a kin group. The most important function of Nerong is to serve Sije. Thirdly, relatively far removed kin are regarded as near of kin by kinship terms like ‘Jaksuk’, ‘Ochun’. It is same context of ‘Nerong’. Nerong also regards far removed kin as near of kin. And Jaksuk is a case to insist that kinship is not consist of consanguine only but consist of relatives also. In my village, the number of consanguines are small but relatives are abundant, so it is necessary to obtain cooperation from relatives. In this context, it is appreciated that such cultural elements like Jaksuk are cultural adaptation.

      • KCI등재

        연령집단과 평등 이념: 제주도의 갑장

        김창민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8 비교문화연구 Vol.24 No.2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the cultural meaning of Gapjang(same age group) in Jeju islands. Generally speaking, Gapjang is the relationship of same age people, but it doesn't mean only biological facts in Jeju islands. Gapjang is understood not only the relation of same birth year but also the social relation of same village and same growing up in Jeju islands. As a fact, Gapjang in Jeju islands is especially intimate friendship which is based on regionalism in other words birth and growing up in a same village. The relationship of Gapjang is apt to organized by Gapjang-kye. Gapjang-kye institutionalize the mutual obligation and cooperation relationship of Gapjang and sometimes takes part in formal affairs of the village. Gapjang-kye which is based on the regionalism and ideology of equality can be understood as a part of social structure in Jeju society. The ideology of equality is a distinctive feature of Gapjang relation and Gapjang-kye. Gapjang doesn't accept difference of economic and social standing. They conceive themselves equal. Intimate friendship of Gapjang is based on the ideology of equality. So, the break of principle of equality makes conflict in Gapjang. This kind of human relation is generally found in Jeju culture. In short the ideology of equality that is appeared in Gapjang is general principle of Jeju culture. 이 글은 제주도의 문화요소인 갑장의 문화적 의미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통상 갑장은 나이가 같은 사람을 일컫는 말이지만 제주도에서 갑장은 단순히 나이가 같다는 생물학적 사실만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갑장은 출생 연도가 같다는 사실과 함께 같은 마을에서 태어나 유사한 성장 과정을 경험하였다는 사회적 사실도 동시에 가지고 있는 관계이다. 제주도의 갑장은 특별히 ‘친한 관계’로서 그 배경에는 같은 마을이라는 지연성이 내재되어 있는 것이다. 갑장들 사이의 관계는 갑장계를 통하여 조직화되기도 한다. 갑장계는 갑장들 사이의 관계와 상호 의무 및 협력 관계를 제도화하는 것이며 종종 이 갑장계는 마을의 공식적인 업무에도 관여하게 된다. 부계친족집단의 발달이 미비한 제주도에서 지연성과 수평적 원리에 바탕을 둔 갑장계는 사회구조의 한 측면으로도 이해 될 수 있는 셈이다. 갑장관계의 중요한 특징은 그 관계가 수평적이라는 점이다. 갑장들은 모두 평등하며 사회적 위세 차이가 없는 것으로 인정된다. 갑장들 사이의 ‘친한 관계’는 이 평등의 이념을 바탕에 두고 있으며, 따라서 이 평등의 이념이 깨어질 때 갑장들 사이에는 갈등이 나타날 수 있다. 이런 수평적 인간관계는 ‘부탁의 부채 만들기’에 근거를 두고 있으며, 이는 제주도 문화의 여러 영역에서도 일관되게 나타나고 있다. 요컨대, 갑장관계에서 나타나는 평등 이념은 제주도 문화의 일반적 원리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당제와 지역 축제를 통해서 본 마을 정체성의 변화 : 옹암리의 사례

        김창민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09 민족문화논총 Vol.42 No.-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village identity and its change in Ongam-Ri. Ongam-Ri was prosperous port village, but now it is small commercial village which deals salted shrimps. The villagers wants to identify themselves as villagers of prosperous port village. Identity is not static but fluid. The identity of Ongam-Ri is fluid between prosperous port village and small commercial village. Villagers sometimes identify themselves as member of prosperous port village but sometimes as members of salted shrimp village. Village ritual and village festival is social arena which two identities are compete. The image of glorious past and the identity as prosperous port village is expressed in village ritual and new identity as salted shrimp village is constituted in village festival. However, village ritual and village festival is not only comparison of past and present but process to make village identity. Village ritual is understood to explain present compared to past and village festival is understood to recover glorious past. Village ritual and village festival is sometimes compete and in other case complement to make village identity. 이 연구는 충남의 옹암 마을을 사례로 하여 당제와 지역 축제를 통하여 표현되고 있는 마을 정체성의 역동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옹암 마을에서 마을 정체성은 과거의 번성했던 포구마을과 현재의 새우젓 생산과 유통을 하는 마을 사이에서 유동성을 가지고 있다. 주민들은 때로는 영광스러운 포구 마을 주민으로 자신의 정체성을 드러내지만 또 다른 맥락에서는 토굴 새우젓 마을 주민으로서 자신들의 정체성을 표현하고 있다. 두 가지 차원의 정체성이 공존하면서 상황에 따라 유동적인 것은 영광스러웠던 과거만 기억하기에는 현실에 대한 설명이 부족하고 현실을 설명하기에는 주민들의 합의를 끌어낼 수 있는 정체성의 자원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이런 과정에서 당제와 지역 축제는 정체성 경쟁의 사회적 영역이 되고 있다. 당제에서는 영광스러웠던 과거가 기억되고 재생산된다. 그러나 그런 과거는 현재와 대비되어 현재는 그렇지 못하다는 것을 확인하는 계기가 되기도 한다. 당제를 지내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은 영광스러웠던 과거를 기억해야 한다는 것과 함께 만족스럽지 못한 현실을 부정하고 싶은 욕구를 동시에 가지고 있는 것이다. 반면 지역 축제는 새로운 정체성 만들기의 기회로 활용되고 있다. 새우젓 축제는 지역 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지만 이 과정에서 옹암리는 토굴 새우젓이라는 이미지를 자신들의 정체성 자원으로 활용하고 있는 것이다. 옹암리에서 당제와 지역축제는 단순히 과거의 정체성과 현재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표현하는 문화적 장치로 대비되는 것은 아니다. 당제는 과거에 비추어 현재를 설명하고 있으며 지역축제는 과거의 영화로운 모습을 회복하고자 하는 노력으로 이해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즉, 당제와 지역축제는 정체성 만들기 과정에서 경쟁하기도 하고 보완적인 역할을 하기도 한다. 옹암리에서 당제와 지역 축제는 지역 정체성을 드러내는 과정인 동시에 자신들이 원하는 지역정체성을 만들어 가는 과정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