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2016학년도 신입생 실태조사 연구

        유영달(외 1명) 신라대학교 (부산여자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2016 學生生活硏究 Vol.36 No.-

        본 보고서는 2016학년도에 신라대학교에 입학한 신입생들의 특성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설문의 내용은 2016학년도 신라대 신입생들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부모님의 직업 및 소득 수준, 본교 지원동기 및 학과결정 과정, 대학생활 및 장래 계획, 생활태도 및 가치관, 정 신건강 상태, 입시 정보의 활용 등을 망라하고 있다. 본 보고서는 매 학년도마다 1학기 초에 설문지를 배포하여 1학기 말 경에 분석 발표하여 왔던 신라대 학생상담센터의 고유 업무 영 역에 속하기도 하다. 신입생 실태조사는 매 학년도마다 실시되므로 예년의 자료들과 비교함 으로써 신입생들의 특성과 욕구의 변화 추이를 관찰하고, 급변하는 사회·경제적 교육환경 변화 속에서 우리 대학교의 교육적 정책 입안과 실행의 주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교무처의 경우 교양 및 전공 교육의 교육과정 수립 혹은 개정에, 입학관리처의 경우 입학정 책의 입안 및 초점의 변화에, 학생지원처의 경우 학생들의 욕구에 맞는 장학정책 혹은 학생 복지 정책의 수립에, 기획처의 경우 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우리 대학교의 정책 수립과 실 행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또 그렇게 되기를 바란다. 매해 비슷한 내용 문항들을 비슷한 시기에 비슷한 방법으로 조사하지만, 해마다 문항내용의 수정, 새로운 문항의 추가, 변별력이 부족한 문항의 삭제 등 내용타당도의 향상은 물론 전수표집의 방법으로 모집단의 대표성을 증진하여 외적 내적 타당도가 높아지고 있다. 2016학년도 신입생 실태조사와 2015년 실태조사는 많은 차이점이 발생했다. 먼저 학교 및 학과 관련 사항에서는 신라대학교에 대해 학생들이 갖고 있는 이미지가 무엇인지를 조사 하였고, 전공학과 선택 시 도움받기를 원하는 부분 등의 조사를 추가하였다. 2016년에는 특 히 홍보 및 입시정보 사항에서 수정 및 보완된 항목이 많아졌다. 신입생들이 신라대학교에 지원 및 등록을 결정한 시기 및 지원 전형, 방문 경험, 수시 및 정시 입학설명회에 관련된 사 항 등에 대한 구체적인 조사를 실시하였고 2015년에 이어 학생상담센터 프로그램에 대한 학 생들의 요구 정보도 제공하였다. 본 보고서를 통해서 교수 및 직원들이 우리 대학교 2016학 년도 신입생들의 전체적인 특성을 더 잘 이해함으로써 우리 대학교가 진정한 수요자 중심의 교육중심 대학으로 발전해 나갈 수 있기를 바란다.

      • 2014학년도 신입생 실태조사 연구

        유영달(외 1명) 신라대학교 (부산여자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2014 學生生活硏究 Vol.34 No.-

        이 보고서는 2014학년도에 신라대학교에 입학한 신입생들의 특성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설문의 내용은 2014학년도 신라대 신입생들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부모님의 직업 및 경제적 수준, 본교 지원동기 및 학과결정 과정, 대학생활 및 장래 계획, 생활태도 및 가치관, 정신건강 상태, 입시 정보의 활용 등을 망라하고 있다. 본 보고서는 매 학년도마다 1학기 초에 설문지를 배포하여 1학기 말 경에 분석 발표하여 왔던 신라대 학생상담센터의 고유 업무 영역에 속하기도 하다. 신입생 실태조사는 매 학년도마다 실시되므로 예년의 자료들과 비교함으로써 신입생들의 특성과 욕구의 변화 추이를 관찰하고, 급변하는 사회·경제적 교육환경 변화 속에서 우리 대학교의 교육적 정책 입안과 실행의 주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교무처의 경우 교양 및 전공 교육의 교육과정 수립 혹은 개정에, 입학관리처의 경우 입학정책의 입안 및 초점의 변화에, 학생 지원처의 경우 학생들의 욕구에 맞는 장학정책 혹은 학생복지 정책의 수립에, 기획처의 경우 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우리 대학교의 정책 수립과 실행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또 그렇게 되기를 바란다. 매해 비슷한 내용 문항들을 비슷한 시기에 비슷한 방법으로 조사하지만, 해마다 문항내용의 수정, 새로운 문항의 추가, 변별력이 부족한 문항의 삭제 등 내용타당도의 향상은 물론 학과별 할당표집의 방법으로 모집단의 대표성을 증진하여 외적 내적 타당도가 높아지고 있다. 2014학년도 신입생 실태조사에는 작년에 이어 방어기제유형 척도와 스트레스 대처방식 척도를 추가하여 학생들이 자신이 불안할 때 어떠한 방식으로 자아를 방어하는지, 그리고 스트레스 상황에서 대처하는 방식에 관한 자세한 정보도 제공하고 있다. 아무쪼록 본 보고서를 통해서 교수 및 직원들이 우리 대학교 2014학년도 신입생들의 전체적인 특성을 더 잘 이해함으로써 우리 대학교가 진정한 수요자 중심의 교육중심 대학으로 발전해 나갈 수 있기를 바란다.

      • 2015학년도 신입생 실태조사 연구

        유영달(외 1명) 신라대학교 (부산여자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2015 學生生活硏究 Vol.35 No.-

        본 보고서는 2015학년도에 신라대학교에 입학한 신입생들의 특성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설문의 내용은 2015학년도 신라대 신입생들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부모님의 직업 및 소득 수준, 본교 지원동기 및 학과결정 과정, 대학생활 및 장래 계획, 생활태도 및 가치관, 정신건강 상태, 입시 정보의 활용 등을 망라하고 있다. 본 보고서는 매 학년도마다 1학기 초에 설문지를 배포하여 1학기 말 경에 분석 발표하여 왔던 신라대 학생상담센터의 고유 업무 영역에 속하기도 하다. 신입생 실태조사는 매 학년도마다 실시되므로 예년의 자료들과 비교함으로써 신입생들의 특성과 욕구의 변화 추이를 관찰하고, 급변하는 사회·경제적 교육환경변화 속에서 우리 대학교의 교육적 정책 입안과 실행의 주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교무처의 경우 교양 및 전공 교육의 교육과정 수립 혹은 개정에, 입학관리처의 경우 입학정책의 입안 및 초점의 변화에, 학생지원처의 경우 학생들의 욕구에 맞는 장학정책 혹은 학생복지 정책의 수립에, 기획처의 경우 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우리 대학교의 정책 수립과 실행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또 그렇게 되기를 바란다. 매해 비슷한 내용 문항들을 비슷한 시기에 비슷한 방법으로 조사하지만, 해마다 문항내용의 수정, 새로운 문항의 추가, 변별력이 부족한 문항의 삭제 등 내용타당도의 향상은 물론 전수표집의 방법으로 모집단의 대표성을 증진하여 외적 내적 타당도가 높아지고 있다. 2015학년도 신입생 실태조사에는 작년과 다르게 학생상담센터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들의 요구 정보도 제공하고 있다. 아무쪼록 본 보고서를 통해서 교수 및 직원들이 우리 대학교 2015학년도 신입생들의 전체적인 특성을 더 잘 이해함으로써 우리 대학교가 진정한 수요자 중심의 교육중심 대학으로 발전해 나갈 수 있기를 바란다.

      • 2018년 2학기 부산지역 대학생의 부산인식 설문조사 분석 : 경성대, 부산대, 신라대를 대상으로

        김대래, 김종한, 김호범, 장희정, 유영명, 박희정 신라대학교 부산학연구센터 2018 부산연구 Vol.16 No.2

        This paper is designed to understand how the college students in Busan think about the Busan. The survey, which has been conducted by Silla University for many years, was expanded to three universities in Busan. There were 400 students who responded. There were 223 students from ungsung University, 43 from Busan National University and 134 from Silla University. There were exactly 200 boys and 200 girls in gender formation. The students' religion was followed by Buddhism with 22.3 percent, Protestantism with 10.3 percent and Catholicism with 4.3 percent. There was one student who was unusually Muslim. In a survey of favorite beverages, 35.8 percent said coffee followed by cola with 18.8 percent. They were followed by sports drinks 14.8 percent, fruit juice 10.8 percent, and cider 10 percent. Green tea andt traditional Korean tea were relatively low. Buses were the highest by 43.8 percent, followed by subway with 29.3 percent. Seventeen-eight percent of the respondents said they use half the buses and subways. Meanwhile, the proportion of students who commute to school through their own cars reached 4.5 percent, indicating that their own cars are becoming a new means of commuting. In addition we analyzed several themes and aspects that we have got in questionnaires. The results that we draw from this paper could be compared to those previous papers which were published by Silla University. 이 논문은 부산지역 대학생들의 부산에 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수년 동안 신라대학교에서 진행되어온 설문조사를 부산지역 3개 대학으로 확장한 것이다. 응답에 응한 학생들은 400명이었다. 경성대 223명, 부산대 43명 그리고 신라대 134명이었다. 성별 구성은 정확히 반반으로 남학생 200명, 여학생 200명이었다. 학생들의 종교는 무교가 62.3%로 압도적인 비중을 점하고 있는 가운데, 불교가 22.3%, 개신교 10.3% 그리고 가톨릭 4.3%의 순이었다. 특이하게 이슬람교도인 학생이 1명 있었다. 학생들의 하루 휴대전화 사용시간은 평균 242.1분, 해외여행경험 횟수는 평균 2.9회, 부산에서 열리는 프로야구 관람횟수는 평균 4.4회, 친한 친구의 수는 평균 10.7명, 수면시간은 평균 6.8시간, 통학시간은 평균 73.9분 그리고 한달 용돈은 평균 43.9만원이었다. 부산사람들의 좋은 성격이 무엇인가에 대한 설문에는 20.6%가 ‘의리있다’고 응답을 하여 1위를 점하였다. 그 다음은 ‘화끈하다’가 14.5%, 활기차다가 14.2%, ‘인심좋다’가 12.3%, ‘솔직하다’가 12.2%의 순으로 나타났다. 부산사람들의 나쁜 성격에 대해서는 ‘성격이 급하다’가 34.2%로 높은 비중을 점하였고 그 다음은 18.3%의 ‘무질서하다’가 차지하였다. 이어 14.5%가 ‘시끄럽다’고 응답하였으며 ‘간섭을 잘한다’는 응답도 6.9%에 달했다. 즐겨마시는 음료에 대한 설문에는 35.8%가 커피라고 응답하였고 이어 콜라가 18.8%로 뒤를 이었다. 그 뒤를 스포츠음료 14.8%, 과일주스 10.8%, 사이다 10% 순으로 나타났다. 녹차와 전통차의 비중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주로 이용하는 교통수간으로는 버스가 43.8%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29.3%의 지하철이었다. 버스와 지하철을 절반씩 이용한다는 응답은 17.8%였다. 한편 자가용을 통해 통학을 한다는 학생의 비중도 4.5%에 이르러 자가용이 통학의 새로운 수단으로 정착해 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졸업후 취업하고 싶은 지역으로는 부산이 41.8%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수도권으로 29.3%였다. 이어 경남 12.1%, 울산 5.1% 순이었다. 해외취업을 원하는 학생도 1.6%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부울경과 수도권에서 일하기를 원하는 학생들이 대부분이었고 그 이외의 지역에 대한 관심은 비교적 낮았다.

      • 신라대학교 여성문제연구소 설립 30년을 회고하며 : 그 설립, 활동, 성과를 중심으로

        이송희 신라대학교 여성문제연구소 2018 젠더와 사회 Vol.29 No.-

        This article is to contemplate 30 years of the Center For Women’s Studies in Silla University since its establishment and summarize its contributions, achievements and current challenges. Chapter II discusses the foundation of the Center For Women’s Studies. With a series of Social-Democracy Movements in 1980s, female students began to participate in protest activities within the university. Professors at Busan Women’s College also demanded the Liberalization of College in April 1986. Given this background, it was natural for students to seek an opening of Women’s Studies Courses and with women professor’s supports, the first lecture began in the second semester of 1988. On following December 1988, the Center For Women’s Studies was established. The center aims to enhance women’s lives by investigating and closely examining gender related issue while educating students as well as the general public in the region. Chapter III outlines the activities of the Center For Women’s Studies. The domain of the center can be divided into Research, Education, and Practice. Under research domain, the organization published『Journal of Women’s Studies』 (25times) and held numerous symposiums (25 times). Departing from the fundamental subject - explicitly express the lives of women in Busan -, various issues were explored. This published data has further paved the way for the foundation of the women’s studies with the annual academic conferences. To promote an education, the center managed Women’s Studies Courses and held special lectures and case presentations. In 1997, Women’s Studies faculty was initiated under graduate study to foster specialized resources in Busan. Practicing women’s studies involved continuous interactions between research institute and researchers and this became a driving force behind the 30 years of women’s studies. Various feminist organizations actively formed united forces throughout the years. This portrays how the Center For Women’s Studies played a major role in promoting women’s studies. Chapter IV summarizes the accomplishments and current challenges. The achievements of the center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Acting as a main research agency for women’s studies in regional community, leading educational resources for women’s studies, creating a research network and expanding the range of activities to promote women’s studies. The current challenges include setting realistic research objectives, reassessing Women’s Studies Courses, revitalizing the center to better utilize resources specialized in the field and providing opportunities for both researchers and general public to participate in women’s movements. 이 글은 신라대학교 여성문제연구소 설립 30년을 회고하는 것으로 그 설립과 활동·성과·과제를 정리한 것이다. 제Ⅱ장에서는 여성문제연구소의 설립을 다루었다. 연구소 설립의 주요 배경은 우리 사회의 민주화운동이었다. 1980년대 민주화운동 속에서 대학 내 여학생운동이 전개되었고, 한편 부산여자대학교 교수들도 1986년 4월 학원자율화를 주장하였다. 이런 배경 속에서 학생들이 여성학 강좌 개설을 주장하고 여자교수들도 이에 호응하면서 1988년 2학기 여성학 강좌가 개설되었다. 이어 1988년 12월 여성문제연구소가 설립되었다. 연구소는 여성에 관한 문제를 연구, 조사함과 동시에 본교 및 지역사회 여성에 대한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여성의 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제Ⅲ장에서는 연구소의 활동을 다루었다. 연구소의 활동은 크게 연구활동, 교육활동, 실천활동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먼저 연구활동으로는 여성연구논집 발간과 심포지움 개최를 들 수 있다. 1990년 1집을 시작으로 28집까지 발간되었고, 심포지움은 1993년 시작하여 25회까지 개최하였다. 부산여성의 삶을 드러내고자 하는 기본에서 출발하여 다양한 주제들이 다루어졌다. 그리고 자료집을 발간하여 여성연구의 기초를 마련하였다. 월례발표회·학술발표회를 매년 수차례 개최하여 연구의 활성화를 꾀하였다. 교육활동으로 여성학 강좌를 기획하고 관리하였으며, 여성학 특강·초청강연회·사례발표회를 열어 학생들이 다양한 여성운동의 내용을 알고 현실의 여성문제를 적극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주었다. 그리고 1997년 대학원에 여성학과를 개설하여 부산지역 여성학 전문 인력 양성을 시작하였다. 실천활동으로는 심포지움·학술발표회·영남여성학포럼 등을 통하여 각 연구기관과 연구자들과의 끊임없는 교류를 해 왔고 이것이 30년간 여성연구의 큰 원동력이 되었다. 특히 각 여성단체들과의 교류 협력 연대활동은 어느 것보다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부산지역 진보여성단체들과의 관계는 연구소의 실천의 장으로서의 역할을 보여주는 것이다. Ⅳ장에서는 앞서 활동을 기반으로 성과와 과제를 정리했다. 먼저 성과를 보면 부산지역 여성연구의 중심이었음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여성학 교육의 선두주자로서의 역할을 하였다. 또한 여성학 연구의 네트워킹을 구축하였으며, 활동성의 확장을 확보하였다. 과제는 현실에 맞는 연구방향의 설정, 여성학 교육의 재검토, 여성학과 졸업생·재학생과 연계한 연구소 활동의 활성화, 연구자들의 소통의 장 마련, 학내외 여성운동의 장 마련 등을 제시하였다.

      • 진로교육의 정체성

        김현우 신라대학교 (부산여자대학교) 2017 論文集 Vol.62 No.-

        우리나라에서는 1980년대 이래 진로교육 또는 진로지도가 대학뿐만 아니라 각급 학교에서도 중요한 주제의 하나로 다루어지고 있다. 교육부는 진로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조치를 취하고 이를 실제 정책에 반영하고 있다. 최근의 예를 들면 중등의 경우, 2016년부터 전면 실시된 중학교 자유학기제의 시행, 고등교육에서는 실무 중심의 평생 직업교육 선도대학 육성 사업 또는 전문대학 중심의 직업교육 활성화 지원 사업 등이 그에 해당한다. 학교교육에서 진로지도가 강조되는 것은 진로와 직업이 개인 차원의 삶에서 차지하는 중요도에 비추어 당연한 현상이기도 하다. 사회적으로는 1997년 국제 통화 기금(IMF)의 관리를 받았던 경제 위기 이후, 대량 실직, 조기 퇴직, 만성적 고실업과 구직난이 지속되었다. 이러한 사회 경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으로 학교에서 진로지도 및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 추세에 따라 신라대학교에서는 2003학년도부터 진로지도가 정식 교과목으로 개설되어 학생들이 수강하기 시작하였다. 처음에는 진로지도를 담당하는 담임 지도 교수제로 운영되었는데 2006년부터 평생 지도교수제로 변경되었다. 이는 재학 기간뿐만 아니라 졸업 후에도 추수지도를 함으로써 진로지도에 더하여 계속교육(continuing education)및 평생교육의 취지를 추가한 것이다. 진로교육과 연관된 지도 교수제는 우리 대학뿐만 아니라 타 대학에서도 시행되고 있다. 그 사례를 살펴보면, 진로지도 교수제(한남대), 진로 및 취업지도 전담 교수제(충남대), 담임 교수제(중앙대), 평생지도 교수제(신라대, 서강대, 조선대), 학사지도 교수제 (연세대), 분담지도 교수제(상명대, 경일대), 전담 교수제(배제대), 취업매직센터 운영(건양대) 등이 있다(각 대학 요람 참고). 대학마다 다양한 명칭으로 진로지도 교수제가 운영되고 있는데 학생들의 진로에서 취업을 중시하는 것이 공통점이다. 이것은 최근에 교육부가 대학평가에서 졸업생 취업률과 재학생 충원율을 중요 지표로 삼는 정책을 추진 하는 데 따른 현실적 이유에 영향을 받은 것이기도 하다. 전통적으로 대학의 사명은 교육, 연구 및 봉사의 3대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대학의 설립 유형이나 시대 상황에 따라 세 가지 강조점에 경중의 차이가 있었으나 그 중에서도 대학생들의 인격 도야 및 개발을 도와주는 교육 기능은 변함없이 중요시되어 왔다. 진로지도 및 진로교육은 넓은 의미에서 교육적 기능의 하나에 포함시킬 수 있다. 최근의 진로교육 강화 추세는 학생들의 취업 진로에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대학 입장에 서 교육 기능을 심화하는 현상의 하나로 볼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 내용을 다루고자 한다. 첫째, 진로교육의 개념 및 발달 과정을 알아본다. 둘째, 대학 진로교육의 현황에 대하여 살펴본다. 셋째, 외국의 사례를 통하여 진로교육이 주는 시사점을 찾아본다. 넷째, 진로교육의 정체성을 이해하여 앞으로 대학 진로지도 및 진로교육이 지향해야 할 방향을 탐색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clear the identity of college career education. The characteristics of college career education is career preparation education. Also, students pointed out professors as to the person they wanted to receive from regarding employment paths. Therefore the abstract focuses on the career education identity that can be pursued through teaching activities. First, the professor shall help the student choose a path that is adequate to the aptitude and interest of the student. Even though the career path subject is an option in highschool, most students will have rather received counseling focused on college entrance. Therefore, students are not satisfied with their major when entering, and waste their college life in conflicts. To these students, the career education in college can be their first chance in finding their identity. If we take into account the education reality of our country where a systematic career counseling does not exist before elementary, middle, or high school, we must find the importance of‘career education’that can be learned first in college. Second, professors must help the students understand themselves in the process of discovery. By using a standardized test or other testing method, they must congratulate the chance of personal discovery. Also, discovery through personal counseling or group counseling, and aid in establishing self identity must be given. Job guidance is a small activity where techniques or information need for employments is transferred or learned. The career education must not only be a job guidance but a larger activity where it can help develop and discover paths by understand oneself. Third, professors must help students to understand the employment world and establish career identity. Most students only show interest in careers related to their major and information usage has the tendency to be limited. The professor shall guide the students see the entire career world and help them properly understand what type of careers there are regarding their major, how the future will seem, and what type of jobs there are in the chosen field. Fourth, the professor shall help the students plan their career and perceive the importance of life-long education. They shall help the students have insight in strategically planning their life in steps and have the proper occupational view to plan their goals in detail. In the process they shall help the students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life-long study. They shall also counsel the students to perceive the reality of society where keeping a life-long career is impossible and help them prepare in changing jobs or a career change. The life-long study that is connected to the career education can be the foundation for a follow-up service after graduation.

      • 지방소재 대학생의 대학 축제 참가 제약에 관한 연구 : 부산지역 S대학 재학생을 중심으로

        양승훈 신라대학교 부산학연구센터 2018 부산연구 Vol.16 No.2

        This study observed that the college festival’s objective is to create the college culture and gather students community while individualism and commercialization prevailing in campus are existed. In order to function the college festival’s role, study is to verify the students’ festival participation constrains as the way to draw the students into festival setting. Based on leisure constraints theory,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was drafted and used at in-depth interviews with 20 students. Narratives were transcript and categorized into three constraints: intra-personal, inter-personal and structural. Interpretations showed that leisure constraints founded in festival and, moreover, students from college situated in local area are experiencing significantly different constraints with those from college in metropolitan area, which is named doubled festival constraints. Festival should be a mechanism to solve the daily life problems but ironically everyday life’s problems are realized in festival setting, which consolidate the festival constraints as far as local college students concerned. Significance of research and limitations were included. 본 연구는 대학 축제의 기능이 대학고유의 문화를 창달하고 구성원의 공동체 의식을 확인하는 데 있다는 것에 주목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캠퍼스의 개인주의 만연과 학교축제의 상업화가 대학축제가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는데 걸림돌이 되고 있다는 문제점을 발견하였다. 대학축제의 정상화를 위하여 대학축제 구성원들을 어떻게 축제의 장으로 모이게 할 것인가 그리고 모이는 것을 제약하는 요소는 무엇인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레저제약이론을 바탕으로 반구조화 된 설문지를 구성하였으며 20여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응답자의 자유로운 언술을 토대로 개인적 제약, 대인적 제약, 구조적 제약으로 범주화 하였다. 해석 결과 대학 축제의 장에서도 레저제약이 일어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대인적 제약과 구조적 제약에서 지방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은 수도권에 재학 중인 대학생에 비하여 축제 참여시 이중적 제약을 경험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비일상으로서 축제가 일상의 문제점을 해결해나가는 역할을 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이러한 일상의 구조적 문제들이 축제의 장에서 고스란히 재현되고 있다는 것과 이러한 재현으로 인해서 대학생들이 축제 참여를 더욱더 어렵게 한다는 악순환을 발견하였다. 연구 말미에 논문의 시사점과 한계점을 포함시켰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