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수지요법이 혈액투석환자의 수면과 소양증에 미치는 효과

        김여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s of hand acupressure on sleep and pruritus in hemodialysis patients and to propose an effective and evidence-based nursing intervention. This is a single 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composed of 40 participants who are undergoing hemodialysis. Data were collected before and 6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Subjective variables such as sleep quality was assessed with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 and objective sleep quantity was measured with Fitbit Charge HR 3 and subjective pruritus were measured with Numeric Rating Scale (NRS).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November 5, 2019 to April 23, 2020. The intervention group (n=20) was given hand acupressure by attaching Seoambong (Gimakeubong) to A1, A3, A8, A12, and A16, which are the acupuncture points common to sleep and pruritus, N5, G11, K9, E8, and I2 for sleep control, C5 and C8 supplying water for pruritus, and J2, J5, and N9 for blood detoxification and by performing ten sessions of finger pressure on each pressured site with Seoamchimbong. In the placebo-controlled group(n=20), hand acupressure was applied to those sites irrelevant to sleep or pruritu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n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5.0 program.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Shapiro-Wilk normality test, independent t-test, Mann-Whitney U test, paired t-test and Wilcoxon signed ranked test. This study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1.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er-group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quality of sleep (PSQI) after applying hand acupressure (F=-6.839, p<.001) thus, hand acupressure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quality of sleep. 2. As for the amount of sleep after applying hand acupressu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er-group differences were found in total sleep duration (t=5.928, p<.001), sleep efficiency (Z=-3.457, p<.001), frequency of awakening (t=-3.360, p= .002), REM sleep (t=2.959, p= .006), and deep sleep (t=2.572, p= .016) thus, hand acupressure was effective in increasing the quantity of sleep. 3. After applying hand acupressure for six week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er-group differences were found in pruritus (NRS) (Z=-2.110, p=.035) thus, hand acupressure was effective in reducing the pruritus. Hand acupressure i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to improving sleep quality and to reduce pruritus in patients on hemodialysis. 혈액투석환자가 투석 중 경험하는 여러 부작용 중에서 수면장애는 50% 이상, 소양증은 24.5% 에서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혈액투석환자의 수면장애에 대한 특별한 치료적 가이드라인은 없으며 부작용으로 인해 약물요법은 제한적이고, 비 약물요법을 우선으로 권고하나 안전한 효능을 뒷받침하는 근거가 매우 미흡한 수준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혈액투석환자를 대상으로 부작용이 거의 없으며 비 침습적인 방법으로 편리하고 안전한 수지요법을 적용하여 수면 및 소양증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수지요법이 혈액투석환자의 수면 및 소양증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단일 맹검, 플라시보 대조군 비교 설계를 이용한 실험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K시에 소재한 일개 대학병원 투석실을 이용하는 혈액투석환자 중 수면장애와 소양증이 있는 혈액투석환자로 중재군 20명, 플라시보 대조군 20명이었으며 자료수집은 2019년 11월 5일부터 2020년 4월 23일까지 진행하였다. 중재군에는 수면과 소양증의 공통 혈처인 A1, A3, A8, A12, A16과 수면조절을 위한 N5, G11, K9, E8, I2, 소양증의 수분공급역할로 C5, C8, 과 혈액의 해독작용을 위한 J2, J5, N9 부위에 서암봉을 부착한 후 서암침봉으로 첨압된 부위를 10회씩 지압하는 수지요법을 적용하였다. 플라시보 대조군에게는 수면 및 소양증과 관련이 없는 부위에 수지요법을 적용하였다. 중재 기간은 투석요일마다 적용 후 투석이 끝나면 제거하도록 하여 주 3회, 6주간 총 18회 시행하였고, 연구 대상자의 주관적 수면 지표, 객관적 수면 지표, 주관적 소양증은 중재 전과 중재 6주 후에 측정하였다. 주관적 수면 지표는 PSQI(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로 조사하였고, 객관적 수면 지표는 fitbit HR charge 3를 사용하여 총 수면시간, 수면효율, 각성횟수, 수면 중 깬 시간, 얕은 수면, 깊은 수면, REM 수면을 측정하였다. 주관적 소양증은 숫자평정척도인 NRS(Numeric Rating Scale)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stics versio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중재군과 플라시보 대조군의 사전 동질성은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와 Independent t-test, Mann-Whitney U test로 검증하였다. 수지요법 중재 후 중재군과 플라시보 대조군의 주관적 수면 지표, 객관적 수면 지표, 소양증의 그룹 간 차이 변화는 Independent t-test, Mann-Whitney U test로 분석하였고, 그룹 내 변화는 paired t-test, Wilcoxon signed ranked test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수지요법을 적용한 중재군은 플라시보 대조군보다 주관적 수면 지표(PSQI) 점수가 좋아질 것이다’라는 가설은 지지되었다. 수지요법을 적용한 후 측정한 주관적 수면 지표(PSQI)는 두 그룹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F=-6.839, p<.001) 수지요법을 적용한 중재군의 그룹 내에서 중재 전, 후 역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t=5.603, p<.001). 둘째,‘수지요법을 적용한 중재군은 플라시보 대조군보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객관적 수면 지표가 좋아질 것이다’라는 가설은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수지요법을 적용한 후 객관적 수면 지표에서 총 수면시간(t=5.928, p<.001), 수면효율(Z=-3.457, p<.001), 각성횟수(t=-3.360, p= .002), REM 수면(t=2.959, p= .006), 깊은 수면(t=2.572, p= .016)은 두 그룹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면 중 깬 시간과 얕은 수면은 두 그룹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셋째, ‘수지요법을 적용한 중재군이 플라시보 대조군보다 소양증이 감소할 것이다.’라는 가설은 지지되었다. 6주간 수지요법을 적용한 후 측정한 중재군과 플라시보 대조군의 소양증(NRS)은 두 그룹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Z=-2.110, p=.035). 수지요법을 적용한 중재군은 중재 전 중위수 5점(3.25~5.00;1.75)에서 중재 후 3점(2.00~5.00;3.00)으로 중재 전, 후 소양증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Z=-2.407, p=.016). 본 연구에서는 6주간의 수지요법 적용으로 수지요법이 혈액투석환자의 주관적 수면 지표(PSQI), 객관적 수면 지표(총 수면시간, 수면 효율, 각성 횟수, REM 수면, 깊은 수면), 주관적 소양증(NRS)을 경감시키는 효과적인 간호 중재임이 확인되었다. 특히 수면의 주관적, 객관적 지표 모두 효과적인 방법임이 과학적으로 확인된 바 지속적인 약물요법 적용에 한계가 있는 임상 혈액투석환자 및 지역사회 대상자에게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드레스셔츠 소재의 반복세탁과 다림질에 의한 물성변화에 관한 연구

        김여주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Men?s clothes seldom have periodic changes based on tailored suit and the patterns are not various. Recently, men?s interest in clothing is getting higher and the trend of expressing their individualities is becoming dominant. Especially, as one of the factors in fashion that express their own individualities, dress shirts are doing the important role in social life as well sanitary role that absorb the eliminating secretion from the bodies as a clothes that touch the skin. When the importance of keeping is growing along with the interest in clothing, while managing the clothes in daily life, the textiles might be damaged by laundry, drying and ironing. While washing, processed material and thickener fall off and the textiles inflates or shrinks, and it damages the textiles bringing such as structure transformation of the cloth by the temperature of water, the concentration of detergent, the duration of washing and the pressure. It is informed that the considerable part of the complaint about textile goods received in consumer agency by consumers? lack of knowledge and careless about proper handling of each product is related to laundry. For efficient and organized management of clothing, the formation of clothing and the properties of textiles must be understood clearly and clothing must be managed with proper handing. Also, the guidelines of handing clothing, such as symbol of quality or handle with care, need to be improved to be utilized easily and simply in real lives. In this study, rayon 100% which is frequently used as the fabric of dress shirts, polyester 100% and blended fabric which is polyester/cotton 60/40 are chosen, and laundry, drying, ironing are done 0, 10 and 50 times repeatedly. After, the change in properties and surface of the samples are compared and studied. The following is the result of this study. First, in the change of weight, all three samples showed the tendency of decrease, and the blended fabric, polyester/cotton 60/40, showed the biggest rate of decrease (3.8 %). Second, in the change of thickness, all three samples showed the tendency of increase. Third, in the change of density, all three samples showed the tendency of increase. Fourth, in the change of abrasion strength, each sample showed a different result. The abrasion of rayon and polyester increased and that of the blended fabric, polyester/cotton 60/40, decreased. Fifth, the tensile strength of all three samples decreased. The strength of weft and warp in rayon and polyester decreased. The strength of warp in blended fabric, polyester/cotton 60/40, decrease after the 10-time-laudry and increased again after the 50-time-laundry becoming the same strength as before the experiment. The tensile strength of weft decreas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of laundry. Sixth, in the change of drape, rayon showed decrease after the 10-time-experiment and increase of a narrow range after the 50-time-experiment. Polyester didn?t show any difference until the 10 times but showed decrease after the 50-time-experiment. The drape of blended fabric, polyester/cotton 60/40, became better as the number of times increases and it became better about 70 % compared to the one before the experiment. Seventh,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surface with SEM, fuzz was generated a lot due to the laundry in rayon and strips of strands were cut due to friction. In polyester, hardening of strands was occurred. On the surface of the blended fabric, polyester/cotton 60/40, fuzz was generated and the structure of fabric was transformed due to the repetitive experiment.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tudy, due to the repetitive laundry, drying and ironing, since textiles were damaged, the decrease of strength and the change in surface were shown and the extent of damage was acquired. For further study, the cause of the phenomenon that the degree of abrasion increases in rayon and polyester as the number of the experiment grows needs to be found.

      • 노인치위생학 교육과정 개선에 대한 요구도 분석

        김여주 단국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고령사회가 급증하여 노인구강건강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는 시점에서 전국 치위생(학)과가 개설된 대학의 노인 관련 교육과정 개설현황과 교육내용을 분석하고, 노인치위생학 교육요구도를 파악하여 노인치위생학 표준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노인 관련 교과목 교육과정 현황분석을 위하여 전국의 치위생(학)과가 개설된 홈페이지를 통해 노인 관련 교과목 개설현황을 파악하고, 교육내용을 분석하기 위하여 국·내외의 노인 치과 관련 교과서 문헌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노인치위생학 교육요구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치위생(학)과 재학 중인 학생 212명, 임상에 종사하는 치과위생사 205명을 대상으로 노인치위생학 교육요구도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치위생(학)과가 개설된 대학 중 4년제 8개교, 3년제 12개교에서 노인 관련 교과목(24.4%)이 개설되어 있었다. 2. 군자출판사와 대한나래출판사의 ‘노인치위생학’의 경우 노인에 대한 특성, 건강문제, 구강건강문제 등과 같은 기본적인 사항은 동일하게 기록되어 있었고, 노인과의 의사소통기법, 노인의 섭식 연하관리 방법, 노인 구강 건강관리 및 교육 등이 유사한 부분이 많았지만, 목차 순서의 상당 부분이 상이 하였으며, 내용에 있어서도 분량과 중요도의 차이가 존재하였다. 3. 치위생학 전공학생의 노인치위생학에 대한 교육요구도는 4개의 하위요인으로 분류 되었고, 노인의 구강건강문제 4.05점, 노인치위생 처치 및 기술 4.01점, 노인의 건강문제 4.00점, 노인치위생이론 3.98점 순으로 나타났다. 임상치과위생사의 노인치위생학 교육요구도는 노인의 구강건강문제 4.06점, 노인치위생 처치 및 기술 4.01점, 노인의 건강문제 3.89점, 노인치위생이론 3.85점 순으로 나타났다. 4. 치위생학 전공학생의 경우 노인치위생학 관련 교과목을 이수한 경우 노인치위생학 이론교육 필요성(p=0.002), 노인대상 실습교육 필요성(p=0.001), 졸업 후 노인 구강관리 수행 자신감(p<0.001)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노인 대상 실습을 경험한 경우 노인 구강관리 수행 자신감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였다(p<0.001). 임상 치과위생사에서는 노인 관련 교과목을 이수를 한 경우 노인치위생학 이론교육 필요성, 노인대상 실습교육 필요성, 노인구강관리 수행자신감에서 점수가 더 높게 나타났고, 노인 대상 실습을 경험한 경우 노인대상 실습교육 필요성, 노인구강관리 수행자신감 영역에서 점수가 높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p>0.05). 치위생학 전공학생과 임상치과위생사 모두 노인 관련 교과목을 이수한 경우 노인치위생학 교육요구도 4개 하위항목에서 높은 요구도가 나타났으며, 노인치위생학 교육요구도 상관분석 결과 모든 항목 간에 높은 양의 관련성이 있었다. 종합해보면 현재 치위생(학)과의 노인 관련 교육 현황은 미비하며, 교육내용에 있어 정확한 기준이 존재하지 않고, 통일성 있는 교육내용과 공통된 학습 목표가 명확하지 않다. 또한, 노인 관련 교과목이 전공선택으로 개설된 경우가 많아 치과위생사를 양성하는 대부분의 학교에서 치과위생사가 노인에 대해 갖추어야 할 기술 및 지식을 함양하지 못한 채 졸업생을 배출하고 있다. 하지만 치위생학 전공학생과 임상치과위생사의 노인치위생학에 대한 교육요구도는 전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노인의 구강건강문제와 노인 치위생 처치 및 기술영역에서 높은 교육요구도가 나타났다. 치위생학이 개설된 대학과 관련 단체들은 노인치위생학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한 심도 있는 연구를 계속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노인치위생학 교육이 보다 체계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활발한 노력이 필요하다.

      • 청력 기반 노인 맞춤형 일음절어인지오류 진단 시스템 개발

        김여주 한림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Background and Objectives: The need for precise objective speech recognition ability and errors was emphasized. However, the current speech recognition test use in clinic focuses only on the average correct percent (%) of the patients,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whether he/she is wrong due to confusion or novel words to them. The study aimed to conduct a speech recognition test and to systematically analyze the incorrect response according to error rate, error type, error pattern, speech detection similarity and distance. The study results were intended to be implemented in an algorithm for the development of 'A hearing-based personalized monosyllable words error diagnosis system' that classifies and diagnoses recognition factors that are difficult for patient with hearing loss. Methods: Speech recognition test was conducted to a total 72 elderly by using total 363 words which consisted of a combination of CVC, CV, V, and VC referring to the Korean standard pronunciation dictionary from initial 3,192 words. The words were selected based on 90% correct score of eight adultd with normal hearing. All stimuli were recorded by two trained announcers (male and female), and any inaccurate or over-tuned stimuli were re-recorded to control the reliability of stimuli.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normal hearing, mild, moderate, and severe hearing loss groups according to the BSA hearing threshold criteria. Stimulus were presented randomly at the MCL of each participant were asked to repeat what they heard. All responses were recorded and directly transcripted. Further, the subject’s incorrect response error rates and patterns were categorized into error rate, error type, error pattern, speech perception similarity and distance. Results: As the hearing threshold elevated, the error rate also increased. Out of three phonemes position, initial consonant shows highest error rate and can be seen in various frequency ranges. In all hearing groups, the error rate of diphthong was about 20 to 40% higher than monophthong. In the case of final consonant, highest errors were found to be different for each group. In fact, the words with high error rate can be seen mainly influenced by the initial consonant and this influence increased as hearing severity increased. In terms of error type, substitution was the most common error followed by combination of substitution and substitution for all hearing group. However, rapid increase in types of failure errors was seen in severe hearing group. The highest error frequency was found different for each phoneme positions. In initial consonant, normal hearing and mild hearing loss group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obstruent and sonorant way of articulation in the middle consonant group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tongue and final consonant according to the obstruent and sonorant way of articulation. With increase in hearing severity, frequency, and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phonemes increased, making it harder to be identified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each phoneme. The result of error pattern analysis was in line with speech perception distance analysis that revealed closer distance between the grouped phoneme from error pattern result and this pattern became clearer as the hearing severity increased.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analyzed, we implemented an algorithm on identifying target hearing, setting, and presenting test questions considering the degree of hearing loss, analyzing error patterns, and reporting comprehensive results. Conclusions: It is important to focus on errors and analyze factors in order to accurately identify difficulties in recognition. From study results, initial consonant plays the most important role in speech recognition. As highest errors were found to be different for each hearing group, individual speech recogni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combination of syllables suggesting that combinations should be used to improve accuracy of the results. The error pattern characteristic according to the degree of hearing elderly was confirmed and implemented in the algorithm presented in this study. With further clinical trails focusing on verifying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algorithm, we can expect a fast and more accurate test of speech recognition and discrimination of hearing-impaired elderly. 목적: 노인성 난청 환자의 보장구 적합 및 청능재활 효과를 높이기 위해 보다 객관화된 어음인지 능력 및 인지 오류 측정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나, 현재 임상에서 보편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어음인지검사는 대상자의 평균 정답률(%)에만 초점을 두고 있어, 실질적으로 환자가 틀린 단어를 몰라서 틀린 것인지 헷갈려서 틀린 것인지 조차 결정하기 어렵다. 본 연구는 72명의 노인들을 청력 역치에 따라 4개의 그룹으로 분류하여 어음인지검사를 실시하고, 대상자가 오류를 보인 단어들을 오반응률, 오류유형, 오류패턴, 말지각 유사성 및 거리에 따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난청 환자 개개인별로 어려움을 갖는 어음인지 요소들을 분류하고 진단하는 ‘청력 기반 개인 맞춤형 일음절어음인지오류 진단 시스템’ 개발을 위한 알고리즘을 구현하고자 하였다. 방법: 총 72명의 노인을 대상으로 일음절어인지검사를 실시하고, 청력 정도에 따른 오류패턴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일음절어 검사 자극음은 「한국어표준발음사전」을 참고하여 CVC, CV, V, VC 조합으로 구성된 3192개의 유의미 및 무의미 음절을 초기 단어로 선정하였다. 자극음은 아나운서 전문 교육을 받은 남여 성우 2명이 각각 녹음하였으며, 부정확하거나 과조음 경향이 있는 자극음의 재녹음 과정을 통해 자극음의 신뢰성을 높였다. 건청 성인 남여 8명을 대상으로 전체 자극음의 선별을 진행하여 정반응률이 90% 이상인 단어를 선별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선별된 363개 단어를 검사 단어로 선정하였다. 모든 대상자는 인지선별검사, 청각선별검사, 일음절어인지검사 순으로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대상자의 청각 선별 검사 결과를 기반으로 BSA 청력 역치 기준에 따라 정상, 경도, 중도, 고도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일음절어인지검사는 청력이 더 좋은 쪽 귀에서 monaural로 TDH-39 헤드폰을 통해 MCL에서 제시되는 자극음을 듣고 따라 말하는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모든 대상자의 응답은 녹음하여 검사가 끝난 후 실시간으로 전사하였으며, 대상자의 응답 자료는 정오반응에 따른 결과 채점 후 오반응한 단어를 오반응률, 오류유형, 오류패턴, 말지각 유사성 및 거리로 세분화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청력 정도에 따른 그룹 별 오반응률 분석 결과 청력 역치가 상승함에 따라 오반응률도 높아졌으며, 특히 모든 그룹에서 초성 위치의 오반응률이 45% 이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각 그룹에서 높은 오류를 보인 초성은 다양한 주파수 대역에 분포하였으며, 중도 난청 그룹부터 고주파수 대역 초성의 오반응률이 확연히 높아졌다. 중성은 모든 그룹에서 단모음 보다 이중 모음의 오반응률이 약 20~40% 이상 높았으며, 종성의 경우 각 그룹마다 높은 오류를 보인 음소가 서로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음소 간 결합 유형에 따른 오반응률 분석을 통해 실질적으로 오반응률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음소는 모든 그룹에서 공통적으로 초성임을 확인하였다. 모든 그룹에서 가장 많은 오류를 보인 유형은 대치 유형이었으며, 대치 유형 다음으로 높은 오류를 보인 유형은 대치와 대치 유형으로 나타났다. 초성의 경우 모든 청력 그룹에서 장애음과 공명음 내에서 지각에 어려움을 보였으며, 중성은 모든 그룹에서 혀의 전후 위치에 따라 종성은 초성과 마찬가지로 모든 그룹에서 장애음과 공명음 내에서 지각하는데 가장 어려움을 보였다. 난청 정도가 증가함에 따라 음소 간 유사성 빈도와 정도가 증가하였으며, 각 음소 위치에 따라 동일한 음소의 분별 또는 인지에 대한 어려움도 증가하였다. 말지각 거리 분석을 통해 오류패턴 분석 결과와 같은 분류에 따른 항목 간에 말지각 거리가 가까워지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청력 손실정도가 커짐에 따라 거리가 더욱 가까워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에서 분석한 오류 패턴 분석 결과들을 종합하여 대상자 청력 파악, 청력 정도를 고려한 검사 문항 설정 및 제시, 오반응 패턴 분석, 종합적인 결과 보고의 과정으로 구성된 알고리즘을 구현하였다. 결론: 어음인지 어려움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오류에 초점을 맞추고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청력 역치가 상승함에 따라 초성이 오반응률에 미치는 영향력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난 결과는 난청 정도가 중도 이상일 경우 초성이 어음인지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음소 간 결합에 따라 높은 오류를 보인 음소가 서로 상이하게 나타난 결과는 어음인지 오류 진단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음절 조합을 자극음으로 사용해야 함을 시사한다. 오류패턴 분석 결과와 말지각 유사성 및 거리 분석 결과에서는 공통적으로 초성의 경우 모든 청력 그룹에서 장애음과 공명음 내에서 지각에 어려움을 보였다. 중성은 모든 그룹에서 혀의 전후 위치에 따라 종성은 초성과 마찬가지로 모든 그룹에서 장애음과 공명음 내에서 지각하는데 가장 어려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노인성 난청 환자들의 청력 정도에 따른 특징적인 오류 패턴을 확인하였다. 후속 연구에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알고리즘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여 향후 임상에 적용한다면 노인성 난청 환자의 어음 인지 및 분별 어려움에 대한 빠르고 정확한 평가를 기대할 수 있다.

      • 한국 드라마 49일과 일본 드라마 49의 특징과 구성 비교

        김여주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한국의 <49일>과 일본의 <49>은 비슷한 시기에 방영한 드라마이다. 두 드라마는 영향 관계가 없으나, ‘빙의’라는 소재를 사용하여 영혼이 49일 간 인간세계에서 생활하는 이야기를 다루었다는 공통점이 있다. 두 드라마는 같은 소재를 가지고 각 나라의 다른 이야기를 풀어나간 것이다. <49일>과 <49>로 한국과 일본의 사생관을 모두 분석했다고는 볼 수 없지만, ‘49일’이라는 시간적 기준으로 양국의 사생관을 밀도 있게 살펴볼 수 있었다. 두 드라마는 빙의를 사용하면서 ‘영혼’과 ‘육체 제공자’를 설정하고 있다. 영혼과 육체제공자는 성격과 관계에서 유사성과 차이점이 있다. 또한, 영혼과 육체 제공자의 관계는 데리다의 자가-면역(auto-immunity)로 볼 수 있는 점이 있어서 함께 분석하였다(3.3.). 두 드라마에서는 빙의를 무속적 관점이 아닌 영혼 교환의 소재로 사용했으며, 산 죽음(living-dead)을 빙의의 형태로 구현해 낸 것에 대해 살펴보았다. <49일>과 <49>의 가장 큰 차이는 사후세계에 대한 재현이다. 한국의 <49일>에서는 저승사자(스케줄러)가 동행을 했다면, 일본의 <49>에서는 사후세계에 대해 전혀 노출시키지 않고 있다. 한국의 저승사자는 죽음 이후에 나의 존재가 있다는 것을 증명해주는 역할이다. 반면 <49>에서는 저승사자도, 사신도 등장하지 않는다. 일본에는 저승사자의 존재가 잊혀지고 ‘사신’이 훨씬 유명한데도 사신은 <49>에서 등장하지 않았다. 이는 두 드라마의 가장 큰 차이이며, 나아가 한국과 일본의 사생관에도 연결시킬 수 있을 것이다. 연구하는 중 일본에는 저승사자에 대한 생각이 존재하지 않음과 함께 죽음의 신으로는 시니가미(死神)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저승사자와 사신은 전혀 다른 성격을 가졌으나 두 나라는 이를 인식하지 못하고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었다. 또한 ‘김수한무 거북이와 두루미…’에 등장하는 이름 또한 일본의 라쿠코(落語)에서 유래하였을 가능성에 대해서도 제시하였다. 이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 생각된다.

      • 중국대륙과 대만의 마조(媽祖)·정성공(鄭成功) 영상 미디어 콘텐츠 비교 연구

        김여주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639

        本文旨在比较中国大陆和台湾制作的妈祖·郑成功题材影视文化产品,以此来确认两岸关系对妈祖·郑成功影视文化产品造成的影响。为此,先总结妈祖·郑成功在两岸所具有的象征性,再分析在两岸大众文化领域中妈祖·郑成功反复被再现的形象,最后探究妈祖·郑成功被重塑的形象与两岸关系具有的关联性。 妈祖·郑成功原出生于中国大陆,现今是中国大陆和台湾共有的人物。妈祖既是女神也是海神,因被赋予了海上救难的职能成为了护国神,由此妈祖信仰在民间迅速传播,同时她作为保护神的职能也被扩大。郑成功是明末清初在台湾最早建立汉人政权的人物。 在中国大陆和台湾将妈祖和郑成功作为主人公制作的文化产品非常多。1949年以后,中国大陆和台湾制作的妈祖文化作品共有15部,郑成功文化作品共有8部。妈祖·郑成功被制作成了各种各样的文化产品,作品形式丰富如电影,电视剧,剧场版动画,电视版动画,纪录片,每一部作品都展示出了妈祖·郑成功不一样的人物形象。 两岸制作的妈祖·郑成功文化产品的共同点为在分阶段叙述他们的生涯过程中都添加了各自所需要的内容。不同之处在于主人公在经历苦难与逆境过程中的解决方式。台湾的文化作品主要为主人公自身通过树立目标来克服困难,中国大陆的文化作品主要是主人公通过获得他人的认可来解决外部引发的苦难。并且,在台湾文化作品中,围绕妈祖·郑成功并与其发生联系的周边人物主要以与主人公志同道合、相互合作攻克困难的形象出现。而在中国大陆的文化作品中,此类人物多为预知主人公未来并提示要实现的目标所服务,同时通过插入结缘情节来赋予主人公新的能力和属性。 两岸的妈祖·郑成功文化作品通常为了解决两岸的民族问题、台湾本省人与外省人间的矛盾、历史文化传承方式的差异、中国大陆和台湾的分离等问题,会采用增加或删减某些设定的方式来塑造人物形象。最终,妈祖和郑成功被塑造成了不同的形象。妈祖在台湾被刻画为保护神,在中国被刻画为护国神。郑成功在台湾被视为反清复明和建设台湾的人物,在中国大陆被强调为收复台湾的功臣。 两岸的妈祖·郑成功文化产品相互影响,而中国大陆集中制作妈祖·郑成功题材作品的时期对台湾此类作品的制作有着重要的影响。以此为基准台湾的妈祖·郑成功文化产品也随之发生变化。到1990年代为止,台湾的妈祖·郑成功文化作品刻画了在平凡人身边帮助他们解决民怨的妈祖·郑成功。 中国大陆为应对台湾,在2000年代初和2010年代初制作了妈祖·郑成功文化产品。2000年代初的作品通过郑成功这一人物形象表达了收复台湾的强烈意志,2010年代初的作品借用妈祖来提倡和平的同时,传递出台湾若不回归大陆,大陆将不给予帮助的信息。 彼时台湾的文化产品市场丧失了制作能力,导致历史剧和大型影视文化产品的制作不断减少。对此,台湾通过在次文化领域中重新塑造妈祖·郑成功的形象,或是不参照叙事内容,用揭示史料等方式来应对中国的巨大舆论。 본 연구는 중국 대륙(中國大陸)과 대만(臺灣)에서 제작된 마조(媽祖)·정성공(鄭成功) 제재 영상 미디어 콘텐츠를 비교하여 양안 관계(兩岸關係)가 마조·정성공 영상 미디어 콘텐츠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양안에서 마조·정성공이 갖는 상징성을 파악한 후, 양안 대중문화의 영역에서 이들이 반복적으로 재현되는 양상을 살펴보고, 이 양상이 양안 관계와 어떠한 관련성을 갖는지 해명해보고자 한다. 마조와 정성공은 중국 대륙 출신의 인물로 오늘날 중국 대륙과 대만이 공유하는 인물이다. 마조는 여신(女神)이자 해신(海神)으로 해상구난(海上救難)이라는 직능을 인정받아 호국신(護國神)이 되었고, 민간에 신앙이 널리 퍼지며 보호신(保護神)으로 직능이 확장되었다. 정성공은 명말청초(明末淸初) 시기의 인물로 대만 최초의 한인(漢人) 정권을 세운 인물이다. 중국 대륙과 대만에서는 마조와 정성공을 주인공으로 한 콘텐츠가 많이 제작되었다. 1949년 이후 중국 대륙과 대만에서 제작된 마조 콘텐츠는 총 15편이고, 정성공 콘텐츠는 총 8편이다. 마조·정성공 콘텐츠는 영화, 텔레비전 드라마, 극장용 애니메이션,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다큐멘터리 영화 등 다양한 영역에서 콘텐츠로 만들어졌으며, 작품마다 다양한 마조·정성공의 형상을 보여주었다. 양안의 마조·정성공 콘텐츠는 그들의 생애를 분절하여 각 콘텐츠에서 필요한 부분을 부각한다는 공통점이 있었다. 그리고 고난과 역경을 겪는 과정에서 대만 콘텐츠는 자신이 목표를 세우고 극복한다면, 중국 대륙의 콘텐츠에서는 외부로 인한 고난을 타인의 인정을 통해 해결한다는 차이가 두드러졌다. 또한, 마조·정성공을 중심으로 주변의 캐릭터 형상에 있어 대만 콘텐츠에서는 뜻을 함께하는 이들과 협력하여 고난을 이겨낸다면, 중국 대륙에서는 인물에 대한 알레고리 작업을 통해 이들이 가져야 할 목표를 외부에서 제시하였고 결연 에피소드를 삽입하여 상대방에게 자신이 가지지 못한 속성을 부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양안의 마조·정성공 콘텐츠는 양안이 겪고 있는 갈등 요소인 민족, 대만의 본성인(本省人)·외성인(外省人)의 갈등, 역사의 전승 방식에 대한 차이, 중국 대륙과 대만인의 분리를 해결하기 위해 몇몇 설정을 추가하거나 제외하는 방식으로 자신들만의 마조·정성공을 조형했다. 이 결과 대만의 마조는 보호신이며, 중국 대륙의 마조는 호국신으로 형상화되었다. 또한 대만의 정성공은 반청복명과 대만건설을 말한다면, 중국 대륙의 정성공은 대만수복을 강조하는 차이가 있었다. 양안의 마조·정성공 콘텐츠는 서로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는데, 여기서 중요한 변인(變因)은 중국 대륙이 마조·정성공 콘텐츠를 집중적으로 제작한 시기이다. 이를 기준으로 대만의 마조·정성공 콘텐츠의 성격이 변화했다. 1990년대까지 대만의 마조·정성공 콘텐츠는 평범한 사람들 곁에서 이들의 민원을 해결해주는 마조·정성공을 그려냈다. 2000년대 초반과 2010년대 초반, 중국 대륙에서는 대(對)대만 콘텐츠로 마조·정성공 콘텐츠를 제작하였다. 중국 대륙은 2000년대 초반, 정성공을 통해 대만수복 의지를 강력하게 피력했고, 2010년대 초반, 마조를 통해 평화를 내세우면서도 자신의 영역에 들어오지 않을 경우 도와주지 않겠다는 메시지를 발신했다. 이후 대만의 콘텐츠 시장은 제작 능력을 상실하였고, 결국 역사극 및 대형 영상 미디어 콘텐츠 제작이 줄어들었다. 이에 대만에서는 중국의 거대 담론에 맞서 서브 컬처 영역에서 마조·정성공을 재구성하거나, 서사를 배제한 채 사료를 제시하는 등의 방식으로 대응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video content created in Mainland China and Taiwan using Mazu (媽祖) and Koxinga (鄭成功) as main characters an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cross-strait relations on Mazu and Koxinga video content. First, I will identify the symbolism of the two characters on the two sides of the Strait and explore how they are repeatedly represented in each side’s popular culture to understand how this representation is associated with cross-strait relations. Mazu and Koxinga, the two prominent historical figures from China, are a legacy shared by Taiwan and the Mainland. Mazu, a sea goddess, was revered after her death as a tutelary deity of seafarers, and assigned the status of the Protector as her worship spread among the Chinese. Koxinga, a Chinese Ming loyalist in the late Ming and early Qing dynasties, established the first Han Chinese polity in Taiwan. In Mainland China and Taiwan, numerous moving image contents have been created using Mazu and Koxinga as protagonists. Since 1949, a total of 15 works on Mazu and eight on Koxinga have been created in genres including films, TV series, animation films, animated TV shows, and documentary films. In each work, Mazu and Koxinga have been represented in diverse forms. When it comes to creating content about Mazu and Koxinga, both sides of the Strait were the same in that they deconstructed the lives of the two figures into parts and highlighted those serving their purposes. However, they were remarkably different in how the protagonists overcome adversities; while Taiwanese heroes overcome difficulties by setting goals themselves, Chinese counterparts are more likely to solve problems arising from the outside by the recognition of others. As for assisting characters, in Taiwanese videos, they are committed to the same cause to work together to overcome difficulties; in Chinese videos, the protagonists, given external goals through allegories of characters, accomplish the goals with the help of other characters who are often granted the necessary attributes that the protagonists lack, giving rise to “swearing brotherhood” episodes. Each side of the Strait has developed unique portrayals of Mazu and Koxinga in video contents by adding or deleting certain features to resolve conflicts between the two sides, including ethnicity, differences in the means of passing down history, separation of the Mainland and Taiwan, and disputes between benshengren (本省人) and waishengren (外省人) in Taiwan. Consequently, Mazu was embodied as the Protector in Taiwan, but as the guardian of the state in Mainland China. Moreover, while Koxinga of Taiwan symbolizes “Fan-qing Fu-ming” (反淸復明)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Taiwan, Koxinga of Mainland China focuses on the retaking of Taiwan. Inevitably, the Mazu and Koxinga contents created on either side of the Strait have influenced each other. A key variable in the influence was the period when related content was intensively produced in Mainland Chinain the early 2000s and early 2010s . Ever since, the Taiwanese contents relating to Mazu and Koxinga have changed. By the 1990s, Mazu or Koxinga in Taiwan were portrayed as helpers of people to resolve their problems. Then, during in the early 2000s and early 2010s, Mainland China pumped out Mazu and Koxinga contents made for Taiwan. In the early 2000s, Koxinga contents sent across a strong message on behalf of the government of Mainland China that it would incorporate Taiwan as a Chinese territory. In the searly 2010s, Mazu contents advocated peace, at the same time they sent across a message to Great China Region that it would not help unless they were not won over to a Chinese territory. Thereafter, the content market in Taiwan started losing its capability to produce videos, and as a result, the production of historical or large-scale video contents dwindled. Instead, Taiwan responded to meta-discourse in the Mainland by reorganizing Mazu and Koxinga content in subcultures, or by presenting historical data without any narratives.

      • 치위생사와 간호조무사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

        김여주 홍익대학교 경영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dental hygienists and nursing aids. The data obtained some dental hygienists during 1 month. the survey was performed by face-by-face interview questionnaire of 15 items and 5 point Likert type response format. The respondents were 186 from dental hygienists and nursing aids.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distribution, one-way ANOVA and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ll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11. In this study, a convenience sample for the survey sampling by the dental clinic is located in the Seoul area dentist is a person over 13 or less, and contain 35 or less hygienists and nursing aids work in hospitals as a female aide hygienists were selected. In addition, enforcement and collection of questionnaires and e-mail to the Background phone and obtained the cooperation of the survey after visiting the dentist and the survey on the enclosed reply envelope to send the procedure follow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hypothesis is as follows First, the personnel system and the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for examining whether to validate the hypothesis, ANOVA (oneway ANOVA) and a result, the full-time status, wage system too, is equipped with a promotion system, job satisfaction was higher Hypothesis 1 was therefore adopted. Second, several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zation and job satisfaction showing significant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test whether conducted. As a result, relationships with supervisors, job stability and job satisfaction, and I've found a significant relationship, so your boss and job satisfaction, job stability and job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ypotheses that have been adopted. However, the welfare office environment does not affect the job satisfaction appears to be, the welfare office environment and job satisfaction on the relevance of the hypothesis was rejected Third, higher job satisfaction, turnover intention to test the hypothesis that the lower turnover intentions and job satisfaction as the dependent variable as explanatory variables in sim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 turnover and job satisfaction is negative (-) is the relationship were found. Therefore, this hypothesis has been adopted. Finally, personal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whether the differences in job satisfaction in order to verify the results of ANOVA, age and marital status, education level, each group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Female: 22-25 years old have the highest job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age 26-29 had the lowest. Unmarried than married women in marital status, job satisfaction is higher. Fifth,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turnover order to verify whether the difference in variance analysis. The result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본 연구의 목적은 치위생사와 간호조무사의 개인적 특성과 근무환경특성에 따라 직무만족,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통계적 서베이 방법을 통해서, 치위생사와 간호조무사들의 개인특성, 병의원의 인사제도, 조직특성이 이들의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 경험적으로 연구하고자 했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 조사를 위한 표본을 편의표본추출법에 의해, 서울 지역에 위치한 치과병원 치과의사 1인 이상 13인 이하, 그리고 치위생사 및 조무사 포함 35인 이하의 치과병원에 근무하는 여성 치위생사와 조무사로 선정하였다. 또한 설문의 시행과 수집은 전화와 e-mail로 연구배경과 설문에 대한 협조를 구한 후, 직접방문과 설문내용을 치과병원에 회신용봉투를 동봉 발송하는 절차를 따랐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사제도와 직무만족 사이에 유의적인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한 결과, 정규직 여부, 호봉제도, 승진제도가 갖추어진 경우 직무만족이 높게 나왔으므로 가설1은 채택되었다. 둘째, 조직의 여러 특성들과 직무만족이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보이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직장상사와의 관계, 직장 안정성이 직무만족과 유의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직장상사와 직무만족, 직장안정성과 직무만족 사이의 관계에 관한 가설들은 채택되었다. 하지만, 복지 사무환경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서, 복지사무환경과 직무만족의 관련성에 관한 가설은 기각되었다. 셋째, 직무만족이 높을수록 이직의도는 낮아질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이직의도를 종속변수로 직무만족을 설명변수로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이직의도와 직무만족은 부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 가설은 채택되었다. 넷째, 개인적 특성에 따라 직무만족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일원분산분석을 한 결과, 연령, 결혼여부, 교육수준 집단별로 직무만족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연령별로는 22-25세가 직무만족이 가장 높고, 26-29세가 직무만족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여부에서는 미혼이 결혼한 여성 보다 직무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수주별 만족도는 고졸이 가장 높고 전문대졸업자의 만족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개인적 특성에 따라 이직의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일원분산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통계적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볼 때 치위생사와 간호조무사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보수에 대한 만족과 직장의 안정성으로 나타났다. 이는 직장에서 보수가 갖는 의미가 안정적인 사회생활을 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인 뿐만 아니라 개인의 능력에 대한 보상이라고 여길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치위생사와 간호조무사의 업무량과 능력에 따른 차별화된 보수체계를 만들어 직업에 대한 자부심과 긍지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치위생사의 인력난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그나마 어렵게 채용된 치위생사들의 이직률이 높아 치과병의원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현 상황을 볼 때 치위생사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인들에 대한 고려가 절실히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의료기관 자체의 체제 개선을 통하여 보다 나은 근무환경과 보상체계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연령별로 22-25세의 젊은 치위생사의 이직의도가 가장 높았던 것과 관련하여 취업 후 일방적이 아닌 상호 수평적인 의사소통 체제를 통하여 긍정적인 조직문화를 활성화함으로써 본인이 속한 기관에 소속감을 심어주어 이직의도를 낮추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 북한이탈주민여성과 중국조선족배우자의 한국생활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김여주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최근 증가하고 있는 북한이탈주민의 입국현상은 통일 대비 사회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남북한 주민의 상호 부적응 문제 예방과 더불어 다문화가족의 사회통합을 촉구하고 있다.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 여성들이 중국 조선족배우자와 결혼하여 한국에 입국하고, 다문화가족으로 살아가는 한국생활 경험을 연구하기 위해 심층면접을 통한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하여 사회복지적 대응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그동안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사회 적응을 위한 정부의 지원은 물질적․제도적 지원이 중심이며, 북한이탈주민의 적응을 다룬 기존의 연구들에서는 북한이탈주민의 적응실태, 현황, 문제 파악이나 적응 ․ 부적응 요인 등에 집한 양적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다. 북한이탈주민의 입국현상은 초기에는 혼자 탈북 한 경우가 많으나, 점차 가족을 동반하거나 먼저 탈북 하여 브로커를 통해 가족을 데려오는 경우가 많이 나타나고있다. 이 가운데 북한이탈주민으로 중국 국적의 조선족배우자와 결혼하여 한국사회에서 살아가는 여성들은 국적을 취득한 국민이자 다문화가족 여성의 구성원이다. 한국생활 경험과 한국생활 정착의 어려운 점에 대한 주관적 경험을 통하여 나타난 함의와 대응방안을 고찰한 결과 연구 참여자들이 한국생활의 정착에 어려운 점으로는, 첫째, 생활방식의 차이로 인해 겪는 문화적 어려움이다. 중국국적의 조선족 남편과 북한이탈주민여성 사이의 언어소통의 어려움이 많이 나타났다. 또한 중국에서 살다가 한국에 입국하고 나서는 중국생활과 한국생활 사이의 문화적 차이로 어려움을 겪는다. 따라서 결혼이민자를 위해 한국문화와 언어교육을 하는 프로그램처럼 탈북여성과 결혼한 중국 조선족배우자들에게도 한국문화와 언어교육 등의 적응지원서비스가 필요하다. 또한 부부관계와 역할에 대한 교육과 상담프로그램도 함께병행되어야 한다. 둘째, 경제적 곤란을 겪고 있다. 한국사회 내 직장취직과 생활의 어려움, 취업조건의 불충분으로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다. 북한 경제체제에 익숙한 북한이탈주민들은 남한의 자유경제 체제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탈북과정에서 북송되어 모진 고문과 정치범수용소에서 받은 후유증으로 인해 취직을 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안정된 생활과 자립·자활할 수 있는 능력, 고용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하는 현상적인 지원제도와 정착지원금 제도가 필요하다. 또한 탈북여성들의 장기적인 정착과 미래를 고려한 일자리 개발이 시급하다. 특히 자녀 양육기에 있는 여성들을 위한 단기 일자리, 다양한 직종 개발로 근무시간의 유연화를 가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셋째, 자녀양육의 고통을 호소하고 있다. 맞벌이 부부인 경우 돌봐줄 사람이 없거나 사교육비를 부담스러워 하고 있다. 특히 중국조선족 남편과의 사이에서 낳은 자녀는 북한이탈주민에게 해당되는 혜택이 없다. 그리고 초등학교에 입학해도 어머니가 북한에서 왔다는 이유와 능숙하지 못한 언어 때문에 따돌림을 당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교육 복지 적 접근도 중요시해야 할 부분이다. 넷째, 가정폭력과 가정불화로 갈등을 겪고 있다. 북한을 이탈한 후 중국과 제3국을 거쳐 한국으로 오는 동안 변화된 환경에 적응하기 힘든 상황에서 중국조선족 남편과 의사소통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갈등이 표출된다. 이에 대하여 조선족 남편을 포함한 부부상담 프 로그램과 여러 가지 사회적 인식을 전환할 수 있는 중국 배우자 교육이 필요하다. 다섯째, 주위 사람들의 시선, 즉 편견이나, 차별, 무시 때문에 한국생활을 힘들어 하고 있다. 이는 국민을 대상으로 다문화가족에 대한 서비스제도와 인식개선을 위한 안내와 교육이 필요하다. 사회복지적 실천과 관련하여 사회통합을 목적으로 한다.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사회 적응과 가족관계 강화 프로그램, 다문화가족의 다양성에 관한 지역사회의 인식개선, 사회통합 프로그램을 통해 이들에게 임파워먼트를 강화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하나센터, 지역사회복지관, 다문화가족지원센터들에 북한이탈주민 의 적응과 정착에 관 여하는 북한이탈주민 전문상담사와 사회복지사의 배치와 활동영역을 구축하여 다문화 통일시대에 대응할 수 있는 이민가족에 대한 적응 정착지원의 통합서비스가 실현되어야 하는 이민자가족서비스전달체계의 구축을 제언하였다. 주제어 : 북한이탈주민여성, 중국조선족 다문화가족, 한국사회 정착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