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한국어 과거시제의 중국어 번역 대응 연구 : 『아프니까 청춘이다』를 대상으로

        김설화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의 과거시제를 중국어로 표현함에 있어서 두 언어가 어떠한 차이와 대응관계를 가지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함에 있다. 과거시제의 연구는 이미 여러 학자들에 의해 여러 가지의 관점에서 다양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나 문법적 차이로 인해 많은 학습자들이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판단된다. 필자는 본고에서 김난도의 『아프니까 청춘이다』의 한–중 번역 텍스트를 통하여 과거시제를 비교분석하고 그 양상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논문의 제1장에서는 연구목적 및 필요성을 알아보고, 본 논문의 연구 대상 및 방법에 대해 서술하였다. 제2장에서는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한국어 과거시제의 대표적인 선어말 어미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중국어 과거시제의 표지와 그 용법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제4장에서는 한국어와 중국어 과거시제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김난도의 『아프니까 청춘이다』에서 과거시제의 표현을 추출하여 한–중 대응하는 부분을 비교분석 한 후 그 양상을 살펴보았다. 제5장에서는 앞서 비교분석한 내용의 특징 및 추후 연구과제에 대해 정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중국어 교육현장에서 학습자들이 과거시제의 표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점에 착안하여 연구를 진행하였고, 연구의 결과를 최대한 활용하고자 한다. 향후 중국어 과거시제 관련 교육에 있어서 본 연구가 다소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two languages differ and respond to each other in expressing the past tense. The study of past tense has already been conducted actively by various scholars in various aspects, but many learners are judged to have difficulties due to grammatical differences. Therefore, I will analyze the past tense by comparing it with the Korean-Chinese text of Kim Nan-do's 『It hurts being in the youth』 in the main complex and examine its patterns in the text. Chapter 1 of this paper recognizes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research and describes the subjects and methods of research in this paper. In the second Chapter, we looked at the typical end of the Korean language by reviewing prior studies. In Chapter 3, we learned about the marker and its usage of the past tense in Chinese through prior research. In Chapter 4, we looked at the patterns of the past tense after comparing and analyzing the expressions of the past tense in Kim Nan-do's 『It hurts being in the youth』 based on the prior study of the past tense in Korean and Chinese In Chapter 5,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vious comparative analysis and the tasks for further research were summarized. In this study, we conducted the research based on the fact that learners have difficulties expressing past tense at Chinese education sites, and tried to make the most of the results of the study. I hope that this research will be of some help in future education related to Chinese past tense.

      • 노인의 자기돌봄 척도개발과 타당화

        김설화 동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639

        현재 우리는 과학기술과 의료기술의 변화 속에서 살아가고 있으며, 의료기술의 발전은 기대수명과 고령인구 증가에 크게 이바지하였다. 고령인구의 증가로 인해 노인의 건강과 돌봄에 투입되는 복지비용이 늘어나고 있어 가계경제뿐만 아니라 국가경제 차원에서도 우려가 되고 있다. 한편, 노인의 기대수명 증가에 대한 패러다임의 전환 역시 필요한데, 노화는 멈춤 또는 쇠퇴가 아니라 새로운 시작 또는 성장이라는 의미 부여가 중요한 시점이다. 노화를 새로운 사고방식으로 인식하려면 자기의 신체와 정신을 스스로 건강하게 돌볼 수 있어야 한다. 자기돌봄은 지역사회에서 지속적인 거주 가능성(Aging in Place)을 실현할 수 있는 첫걸음이라고 할 수 있다. 지역사회에서 건강하게 거주하기 위해서는 노인 스스로가 돌봄의 주체가 되어 존엄성을 유지하고 독립적인 삶을 실천할 수 있어야 한다. 즉, 노인은 자신의 잔존기능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주체적인 삶을 주도하고 신체적․정신적․사회적 측면에서 자기돌봄을 실현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자기돌봄 측정 도구를 개발하고 그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크게 도구 개발 단계와 도구 검증 단계로 설계하였다. 도구 개발 단계에서는 자기돌봄, 자기관리, 자기치유 등 관련된 내용의 문헌과 노인의 건강증진행위 등의 기존 도구를 고찰하였다. 고찰 결과를 토대로 건강한 노화와 성공적 노화 이론에 근거하여 그 구성개념을 제시하였고, 이론적 개념 틀에서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영역의 자기돌봄 초기 예비문항 65개를 도출하였다. 도구 개발 단계에서 도출된 65개 초기 예비문항이 구성개념을 잘 반영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6명의 전문가에게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전문가의 삭제, 수정, 추가의견을 수렴한 결과 68개의 예비조사 문항이 결정되었다. 개발된 도구의 예비조사는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65세 이상 남녀 노인 중 20명의 대상자를 담당자로부터 추천받아 문항의 이해도와 설문시간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문항의 이해도가 낮은 항목을 삭제하고 본조사 문항을 66개로 확정하였다. 그 다음은 도구 검증 확인을 위해 2022년 11월 2일부터 11월 16일까지 J도에 거주하면서 노인맞춤돌봄서비스를 받는 65세 이상 노인 332명을 대상으로 조사원이 직접 방문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5와 Mplus 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도구의 검증 과정에서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29개 문항, 6개 요인을 찾아내었다. 1요인 8문항은 ‘관계유지 자기돌봄’, 2요인 3문항은 ‘사회참여 자기돌봄’, 3요인 4문항은 ‘마음관리 자기돌봄’, 4요인 5문항은 ‘건강관리 자기돌봄’, 5요인 6문항은 ‘위생관리 자기돌봄’, 6요인 3문항은 ‘안전관리 자기돌봄’으로 명명하였다. 이렇게 추출된 문항의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모형의 적합도, 수렴타당도, 판별타당도 모두 기준값을 충족하여 최종 도구는 29개 문항으로 확정하였다. 최종 도구의 준거타당도는 HPLP Ⅱ(건강증진생활양식) 점수와의 상관계수로 살펴본 결과 r=.662(p<.001)의 높은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신뢰도 계수 KR-20 역시 .83으로 내적 일관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최종 도구의 변별력을 검증한 결과 노인의 자기돌봄은 성별과 돌봄군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이 드러났다. 여성이 남성보다 자기돌봄의 실천을 잘하고 있었으며, 타인의 돌봄 필요도가 높은 중점돌봄군보다는 일반돌봄군 집단이 자기돌봄의 실천을 잘하고 있는 것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또한 교육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은 노인들의 자기돌봄 실천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도구는 노인의 신체적․정신적․사회적 차원의 자기돌봄 실천행위를 평가할 수 있는 6개 요인 29개 문항이며, 이분형 척도로 응답자가 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도구는 노인맞춤돌봄서비스 대상자의 자기돌봄 실천 정도를 확인하여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성과를 검증하는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겠다. 더 나아가 노인이 지역사회에서 독립적으로 생활하기 위한 자기돌봄의 실천 지속성을 평가할 수 있는 척도로 활용될 수 있겠다.

      • 심장초음파 검사자 간의 폐동맥고혈압 진단 측정값 일치도 분석 연구

        김설화 신한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목적 심장초음파 검사는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폐동맥 고혈압을 진단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심장초음파 검사는 검사자의 경력과 교육, 지식 정도에 따라 측정 결과값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심장초음파 검사에서 폐동맥고혈압 진단 측정값을 실무 경력에 차이가 있는 검사자간의 측정값 일치도를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20년 1월 1일부터 2020년 12월 31일까지 삼성서울병원에서 폐동맥고혈압으로 진단받고 심장초음파 검사를 시행한 환자 148명을 대상으로 얻어진 심장초음파 영상을 3명의 검사자가 재측정하였다. 3명의 검사자는 심장초음파 검사를 1년 이내 시행한 검사자 1(Reader 1)과 3년 이내의 검사자 2(Reader 2), 마지막으로 심장초음파 검사 경력이 10년 이상이며 국제초음파 자격증을 취득한 검사자 3(Reader 3)이다. 각 검사자간의 심장초음파 측정값의 일치도를 분석하였으며, 검사자 1과 3, 검사자 2와 3, 검사자 3과 순환기 내과 전문의가 확인한 결과값(Reader 0)의 일치도를 분석하였다. 결 과 심장초음파 측정 항목에서 5가지 이산변수에 대한 결과값을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 모든 검사자의 결과값에서 일치도를 보인 변수는 우심실의 수축기능 평가(RV systolic function, p=0.259)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값을 보였다(표3). 10가지 연속 변수에 대한 측정값을 분석한 결과, 모든 검사자의 측정값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수는 우심실의 수축기압(RVSP, p=0.462), 우심방 내경(RA, p=0.08), 우심방의 수축기말 면적(RV End Systolic Area, p=0.51)이였다(표6). 연속변수에 대한 검사자간의 일치도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검사자 3과 0의 그룹이 검사자 1과 3 검사자 2와 3의 그룹보다 좋은 일치도를 보였다(표 4, 7). 결 론 본 연구의 결과는 임상병리사의 심장초음파 실무 검사자들의 일치도를 평가한 국내 첫 연구이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심장 초음파 검사자에 대한 실무 교육 강화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국내 심장초음파 검사의 표준 교육체계와 표준화 된 훈련 프로그램(training program)을 제도화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되길 기대한다. 1. Objectives Echocardiography is a non-invasive method that is useful in diagnosing of pulmonary arterial hypertension. However, it is known that echocardiography is affected by measurement results depending on the experience, education, and knowledge level of the cardiac sonograph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agreement values between the readers with different practical experiences in the diagnosis of pulmonary arterial hypertension in echocardiography. 2. Methods Three readers remeasured the echocardiogram images of 148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pulmonary arterial hypertension at Samsung Seoul Medical Center from January 1, 2020 to December 31, 2020. The echocardiography values measured by each reader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1st reader (Reader 1) has an experience of performing echocardiography for less than 1 year, the 2nd reader (Reader 2) has an experience of performing echocardiography for less than 3 years, and the 3rd reader (Reader 3) has an experience of performing echocardiography for more than 10 years. The echocardiography values measured by the readers were compared and analyzed. First, the value measured by the Reader 1 was compared to the value by the Reader 3, then the value measured by the Reader 2 was compared to the Reader 3’s value, then the value by the reader 3 was compared to the value measured by a cardiologist (Reader 0). 3. Results According to statistical analysis of 5 variables in the echocardiography measurement parameter, only the Right Ventricle Systolic Function Evaluation was statistically meaningful in that all 3 readers have reported the same degree of agreement value with p value of 0.259. The analysis of the measurement values for continuous variables show that among the 10 continuous variables, only three measurements–Right Ventricular Systolic Pressure Evaluation (RVSP, p=0.462), Right Atrium Inner Diameter Measurement (RA, p=0.08) and Right Atrium End Systolic Area (RV End Systolic Area, p=0.51)--were consistent(Table 6).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of the values for continuous variables measured by these three readers, the group of the Reader 3 and the Reader 0 shows higher agreement value than the group of the Reader 1 and the Reader 3 and the group of the Reader 2 and the Reader 3 (Table 4, 7). 4. Conclusions This study is the first analysis in Korea on the agreement values measured by medical technologists who are cardiac sonographer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analysis,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to strengthen the practical training of cardiac sonographers. It is hoped that the analysis from this study helps institute a standard education system and a standardized training program for echocardiography in Korea.

      • 사회성이 내재된 예술 작품 속 남성성 연구 : 로버트 코넬의 이론을 중심으로

        김설화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예술 작품 속 사회성이 내재된 작품 모리스베자르「불새」와 트레버 넌「레미제라블」에 나타난 남성성을 로버트 코넬의 이론을 분석의 틀로 사용해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유럽에서는 궁정연희가 발전하며 사교 목적과 국가적 과시를 지니면서 발전하고 있었으며 특히 발레가 두드러진 나라는 프랑스로 당시 궁정발레는 귀족들과 특권계층의 사교수단으로 정치적인 기틀로 귀족들이 갖춰야할 매너와 예절의 중요한 부분이 되었으며 이후 루이14세의 통치기간에는 절정기를 맞이하였다. 루이14세는 13세에 발레를 처음 접한 후 발레에 대한 애정으로 왕립아카데미를 설립하여 음악과 무용의 인재들을 양성하였고 이 아카데미에서 양성하여 배출한 무용수는 모두 남성무용수였다. 이러한 기점으로 발레는 17세기에서 18세기까지 남성의 전유물 이었으며, 이 시기에 남성들은 궁정의 여흥거리를 발레로 하여금 극장예술로 발전시킨 계기가 되었다. 이렇듯 발레는 남성으로부터 발전하였으며, 남성으로만 이루어진 작품과 남성성위주의 작품도 많이 공연되어졌다. 특히 프랑스 혁명에 의해 불행과 고통으로 힘들어하는 수백만의 사람들을 대변하는 작품들도 다양한 예술을 통해 정치적 상황, 시대적 배경이 된 작품들을 선보였으며 이러한 사회성이 내재된 예술작품 중 남성 무용수가 주역으로 이루어진 발레 작품 중 모리스 베자르의「불새」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불새」는 미셀포킨의 원작을 재구성하여 여성주인공에서 남성주인공으로 여자가 할 수 없는 남성의 테크닉과 표현을 통해 정치성을 내포한 작품으로 불새가 저항 집단을 이끌고 승리한다는 내용의 작품이다. 이와 같이 사회성이 내재된 뮤지컬「레미제라블」은 프랑스 작가이자 시인인 빅토르 위고의 소설로 샤를르 10세의 시대가 멸망하는 이야기로 가난하고 소외된 계층의 사람들에 대한 인간애와 피 끓는 젊은이들의 혁명정신을 다룬 문학적이고 웅장한 오페라형 뮤지컬이다.

      • 중국과 한국의 드라마에 나타나는 현대 주거공간 특성 비교 연구 : 2010년 이후 방영된 드라마 중 도심 속 주거공간을 중심으로

        김설화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최초 한국 문화는 드라마의 형식으로 중국에 대량 수출 되여 하나의 “한류”를 형성하여 최근 몇 년 간 한국의 드라마는 중국 시청자의 사랑을 받았다. 사람들이 한국드라마를 숭배하고 또한 한국의 트렌드 정보를 전부 드라마에서 얻는다. 드라마 속 실내디자인 특징은 현대중국 실내디자인에 커다란 영향을 주었고 중국실내지자인의 발전은 매체문화간의 상호 지지적인 계기가 생겼으며 낡고 오래된것은 밀어내고 새로운 것을 내놓는 전통문화와 현대생활방식을 서로 결합하는 것이다. 그래서 한국 드라마 중 설계와 현실 생활 중 의 실내디자인을 통해 연구하였고 한중 양국의 실내인테리어디자인을 비교해보고 각자 우수하고 합리적인 것을 운용하여 실제 생활공간에 활용하려 한다. 드라마는 현대의 다양한 삶을 반영할 뿐만 아니라 문화를 선도하고 한국 문화를 국내·외 널리 알리는 역할을 하고 있다. 드라마 속 실내공간은 상위층의 화려함이나 하위층의 쓸쓸함이나 외로움 등의 감정을 부각시킬 때도 사용될 수 있고, 드라마 전개 과정의 다양한 연출요소로써 사용될 수도 있다. 본 연구는 우리의 삶을 재현하는 드라마 공간 속에서 연출되는 공간 디자인의 조형 특성, 연출 유형과 설정, 그리고 주거공간특성을 분석해 양국 문화 영양을 받아, 주거공간디자인 차별성 차이점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 중 양국 드라마 ∙ TV 실내공간에 나타난 주거공간디자인 특성을 비교 분석하여 분석된 내용을 통해 양국의 서로 다른 라이프스타일과 문화를 이해하고 향후 TV 드라마 뿐 아니라 실내디자인의 전반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함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분 연구에서 한중 드라마 주거공간특성 비교연구 관한결론은 다음과 같아. 본 연구의 사례 범위는 2010년부터 2015년까지 방영된 한국과 중국의 드라마를 대상으로 한다. 한국의 드라마는 종편채널 편성으로 인해 다양하게 존재하나, 아직까지 시청률이 저조한 관계로 지상파 3사만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범위는 음과 같아. 첫째, 드라마는 동시대극의 현대시점을 공간배경으로 한 근래의 현대물 TV드라마로 제한하였으며, 가급적이면 같은 제목의 동명 드라마를 선정하고자 하였으며, 리메이크 작품을 사례로 선정하였다. 그 이유는 동일 드라마를 해당 국가에서 어떻게 표현하는지에 대해 분석하는 것이야 말로 해당국가의 문화적 특성이 반영된 여부를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최종적으로 선정된 드라마에 대해서 디자이너가 구성 기획한 드라마의 세트 공간(주거 공간)을 중심으로 한정하여 분석한다. 둘째, 본 연구의 방법으로는 TV드라마의 인테리어 공간을 인터넷에서 추출 하여 이미지를 캡쳐 및 수집, 그 내용을 기록하였다. 또한 선행연구는 각종 학술종합 사이트에서 검색하여 다운받았다. 셋째, 한중 양국의 유명 방송 3사를 위주로 시청률을 분석하여 2010 - 2016년까지의 시청률이 높은 로맨스 드라마를 살펴보고 5편의 드라마를 선정하여 한중 드라마의 실내공간디자인에 나타난 표현특성을 분석한다. 넷째, 한중 드라마 실내 공간 표현 특성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분석하고 도출된 결과를 통해 향후 TV 드라마의 실내디자인 및 실내디자인 전반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는 TV 드라마 내에 나타나는 주거공간디자인을 분석하여 향후 실내디자인에 있어서 발전적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모자보호시설 이혼여성의 불안, 우울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김설화 圓光大學校 2011 국내박사

        RANK : 248639

        Purpose :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the anxiety, depression and self-esteem of divorced women in the institutional facility for female single-parent families. Participants : There are 47 women who have resided in the institutional facility for female single-parent families in G city. 29 females who are single-parent families because of divorce and become available for the program were selected. From among these 29 females, 9 mothers were excluded from the residents concerning age, educational background, revenue, nationality, disability, disease, drugs, and residency period by conducting the structured survey. Consequently, 20 females are selected for the study and the residents(n=20) of the institutional facility were random assigned experimental(n=10) and control(n=10) groups. Method :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conducted by this researcher, and two art therapists were assistants. In the experiment group, they were participated in 16 sessions, 70 minutes twice a week, for 8 weeks. Measuring instruments were Beck’s Anxiety Inventory; BAI, Beck’s Depression Inventory; BDI, and Self-Esteem Scale; SES, by measuring treatment effects between the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before and after art therapy sessions. Statistical analysis was applied for the purposes of data analysis after input SPSS WIN 12.0 program. The methods of data analysis are M(Standard Deviation), the background variables, Independent Sample t-test, Paired Samples t-test, ANCOVA and ANOVA. Result :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lthough there was not an important difference of anxiety between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a preliminary examina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experiment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with the effect of anxiety between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fter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2) In a preliminary examination,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of depression between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experiment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with the effect of depression between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fter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3) There was not an important difference of self-esteem between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a preliminary examination. But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experiment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with the effect of self-esteem between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fter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Conclusion : These results showed that group art therapy program alleviated anxious and depressive symptoms and elevated self-esteem of the women in the institutional facility for female single-parent famili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group art therapy could be useful for rehabilitation program in the institutional facility for female single-parent families. Keyword : Group Art Therapy, Anxiety, Depression, Self-esteem, Divorced Women, Institutional Facility for Female Single-Parent Families 연구목적 :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모자보호시설에 거주하는 이혼여성의 불안, 우울,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 : G시 소재 모자보호시설에 거주하고 있는 한 부모가정의 어머니 47명 중 이혼으로 인하여 한 부모가정이 된 여성으로 프로그램 참여가 가능한 대상자 29명을 선정하였다. 도구화된 설문을 실시하여 이중 연령, 학력, 수입, 국적, 장애, 약물복용, 입소기간을 고려하여 연구에 적절하지 않은 9명을 배제하였다. 그 결과 총 20명이 연구대상자가 되었으며, 실험집단 10명과 통제집단 10명으로 무선배정 하였다. 연구방법 :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본 연구자가 주 진행하였고, 2명의 미술치료사가 보조진행을 하였다. 실험집단에게는 주 2회, 70분씩, 8주간 동안 총 16회기 실시되었다. 측정도구로는 불안척도(Beck’s Anxiety Inventory; BAI), 우울척도(Beck’s Depression Inventory; BDI), 자아존중감척도(Self-Esteem Scale; SES)를 사용하였으며, 실험집단의 집단미술치료 실시 전후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게 측정하여 치료효과를 비교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WIN 12.0 프로그램 입력 후 자료 분석의 목적에 맞게 적용하였다. 그 기법은 평균(표준편차), 배경변인, 독립 표본 t 검정, 대응 표본 t 검정, 공변량 분석(ANCOVA), 일원분산 분석(ANOVA)이다. 연구결과 :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의 사전검사에서 불안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시행 후 사후검사에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불안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둘째,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의 사전검사에서 우울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시행 후 사후검사에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우울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셋째,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의 사전검사에서 자아존중감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시행 후 사후검사에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자아존중감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연구결론 :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모자보호시설에 거주하는 이혼여성의 불안, 우울은 감소시켰고, 자아존중감은 향상시켰으며, 향후 모자보호시설의 이혼여성 치료 프로그램으로 적용 가능성이 높다고 사료된다. 주제어 : 집단미술치료, 불안, 우울, 자아존중감, 이혼여성, 모자보호시설

      • 한국 창작뮤지컬의 중국 내 수용에 관한 고찰 : <김종욱 찾기>, <총각네야채가게>, <투란도트>를 중심으로

        김설화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최근 중국에서는 한류의 영향과 특유의 사회문화적 배경으로 한국의 창작뮤지컬이 활발히 수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고는 중국에 수용된 한국 뮤지컬 중 괄목할만한 성과를 보여준 세 편의 창작뮤지컬을 대상으로 한국창작뮤지컬의 중국내 수용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고가 연구대상으로 삼은 것은 두 편의 소극장 창작뮤지컬과 한 편의 대극장 창작뮤지컬이다. 특히 소극장 창작뮤지컬 <김종욱 찾기>와 <총각네 야채가게>는 한국 작품으로서는 최초로 논-레플리카 방식으로 중국에 수용된 작품이며, 중국 내에서 소극장 뮤지컬로서는 처음으로 장기적인 공연형식을 도입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대형 창작뮤지컬 <투란도트>는 한국 창작뮤지컬로서는 처음으로 중국 뮤지컬 페스티벌에서 대상을 수상한 작품으로 초정공연 형식으로 지속적으로 공연되는 작품이다. 본고는 중국의 뮤지컬 수용 역사 및 한국 뮤지컬의 중국 내 수용에 관한 선행연구를 시작으로, 세 편의 한국 창작뮤지컬의 작품 구성 및 줄거리, 서사적 특성, 음악적 특징 등을 살펴보고 이어 이 작품들이 중국 내에 수용될 때 어떻게 변화했는지 논의하고, 이 작품들이 중국 내에서 성공적으로 수용된 원인을 탐구하였다. 더 나아가 이 세 작품을 바탕으로 한국 창작뮤지컬이 중국 뮤지컬의 발전에 미친 영향 및 한국 창작뮤지컬의 중국 내 수용이 갖는 의의를 고찰하였다. 논의를 통해 한국 창작뮤지컬이 중국에 성공적으로 수용된 까닭을 외적 요인과 작품 내적 요인으로 나눠 정리할 수 있었다. 최근 중국은 개혁개방 이후 새로운 문화예술 콘텐츠를 원하는 새로운 대중이 부상하고 있다. 이런 환경 아래에서 다양한 서양 뮤지컬들이 중국에 소개되고 있으며 자국의 창작뮤지컬 제작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서양 뮤지컬 수용의 경우 ‘중체서용’과 ‘토착화’ 논리를 기반으로 하는 탓에 대중의 공감을 이끌어내지 못하고 있으며, 창작뮤지컬의 경우에도 다양한 측면에서 비판이 잇따르며 변화한 중국 대중의 취향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추세다. 반면 ‘한류’ 및 한국 대중문화를 기반으로 하는 ‘한국 창작뮤지컬’은 동아시아 문화권의 ‘동질성’을 바탕으로 중국 대중에게 친숙하게 다가갈 수 있는 콘텐츠라는 강점이 있다. 또한 한국 뮤지컬은 단순히 서양 뮤지컬의 ‘대체물’이 아닌 ‘한국 뮤지컬’만의 특징을 발전시켜왔으며 이를 기반으로 동아시아 내 새로운 뮤지컬 ‘중심지’로 발돋움하고 있다. 이런 측면들은 한국 창작뮤지컬이 중국 대중에게 큰 호응을 이끌어 내는데 큰 영향을 미쳤다. 더 나아가 본고에서 분석한 세 편의 한국 창작뮤지컬이 성공적인 중국 진출사례를 만들 수 있었던 것은 무엇보다도 대본과 음악 등의 작품 내적인 측면에서 높은 완성도를 보였다는 것에서 기인한다. 이런 모습은 초창기 ‘한류’ 콘텐츠의 일환으로 중국에 소개되었던 수많은 한국 창작뮤지컬들이 큰 관심을 받지 못한 것과 대조를 이룬다.

      • 21세기 漢文敎育을 통한 人性敎育의 방안 연구 : 제7차 중학교 3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김설화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한문교과가 21세기를 살아가는 청소년들에게 ‘건전한 가치관과 바람직한 인성을 함양할 수 있다’는 데 의의를 두고 한문교과서 내에 있는 인성덕목을 분석하고, 인성교육 뿐만 아니라 한문교과를 ‘쉽고 재미있게’ 공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효율적인 수업방안에 대하여 연구를 하였다. 21세기는 지식 산업사회, 정보화, 세계화의 시대로 점차 모든 것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과학기술의 발달과 물질적인 풍요로 인해 삶은 편리해졌지만 인간사회는 점차 메말라 가고 있다. 물질적 만능주의, 성공지상주의, 극단적 이기주의로 인해 인간의 본질을 경시하는 풍조는 가치관의 혼돈과 인간성의 상실이라는 위기를 맞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인간소외현상, 관계의 단절을 초래하였고, 극악무도한 범죄로 인한 심리적 불안감, 무한 경쟁주의 속에 살아 남아야 한다는 압박감 등으로 인하여 사람들의 마음은 병들고 있다. 앞으로 더욱 급변하는 시대 속에 살아가게 될 우리 청소년들이 성인이 되었을 때는 그 문제가 더욱 심각할 것이다. 인성교육의 시작인 가정은 흔들리고 있으며, 학교는 어떠한가? 입시위주로 인한 현실적 이익 추구를 위한 교육은 사교육의 열풍을 식히지 못하고 있으며, 공교육은 무너지고 있다. 학교 내 시장경쟁원리의 도입으로 인하여 갈수록 경쟁을 부추기고 있으며, 경쟁 속에 살아남지 못하면 결국 기회도 누리지 못하는 사회의 분위기 속에 가정에서는 말할 나위도 없고, 학교에서도 인성교육을 실현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모든 문제점은 인간(人間)을 중심으로 일어나는 것이며, 인간은 사회적 존재로 그 의미에는 관계(關係)를 포함한다. 인성교육은 인간을 중심으로 하는 교육이며, 그 인간과 인간이 만들어 가는 삶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과정이라 할 수 있겠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21세기에 필요한 인성과 인성교육의 핵심을 ‘관계(關係)’로 보고, 관계의 관점에서 인간의 본성을 이해하고 인간이 살아가면서 맺게 되는 관계의 교육에 중점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는 구체적으로 자신의 발견을 통하여 자기를 조절&#8228;통제하고, 자신을 존중하며, 타인을 배려할 줄 아는 올바른 인간의 형성에 중심을 두고, 인성교육을 통해 기대하는 바는 학생들이 자기 자신과의 관계에서는 목적의식을 가지고 자신들이 좋아하고, 즐거워하는 것을 찾고, 삶의 여러 가지 문제에 봉착했을 때 올바른 가치관을 가지고 선택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며,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는 다른 사람과 함께 살아가는 사회에서 서로 도와 선을 이루어 갈 수 있도록 하며, 공동체와의 관계 속에서는 자신이 속한 공동체에서 책임을 다하고, 사회에 봉사할 줄 아는 정신과 국가와 민족을 사랑하는 마음을 가질 수 있도록 이끌어 주는 것이다. 한문교과(漢文敎科)는 학생들의 인성교육(人性敎育)에 일정한 역할과 기여를 할 수 있는 교과목이다. 그 내용의 성격상 다른 교과에 비해 정의적 접근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현대 한국 사회가 당면하고 있는 문제에서 초래된 가치관의 혼란 및 인간성의 상실을 치유할 수 있는 자료들이 많이 있다. 한문교과서에 담긴 인성덕목과 가치관들이 다양하고, 분석의 기준은 보는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본고에서는 제7차 교육과정 중학교 3학년 한문교과서 내에 있는 인성덕목을 관계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관계는 크게 자기-자신과의 관계, 자기-타인과의 관계, 자기-공동체와의 관계로 나누고, 다시 그것들을 나누어 첫째, 자기-자신과의 관계는 자아실현(自我實現), 자아실현을 이루는 방법, 올바른 가치관(삶에 대한 바른 자세)으로 나누어 분석하였고, 둘째, 자기-타인과의 관계는 부모와 자식과의 관계(孝), 스승과 제자와의 관계(師弟), 친구와 친구와의 관계(友愛), 가족&#8228;이웃과의 관계(敬愛)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셋째, 자기-공동체와의 관계는 공동체의식과 국가&#8228;민족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이처럼 한문교과에는 충분한 인성교육의 소재들을 가지고 있으나 추상적이고 고차원적인 내용들이 많아 학생들이 이해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따른다. 따라서 오늘날 도덕교육에서 새로운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방법인 이야기 수업모형을 한문교과의 특성에 맞게 적용하여 교수&#8228;학습 활동을 설계하고 현장에서 직접 활용할 수 있는 학습자 중심의 교수&#8228;학습 활동 모형을 구안하였다. 이야기 수업모형은 학생들에게 실제의 사례나 경험과 관련된 이야기&#8228;감동적인 이야기를 통하여 흥미를 유발하고,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한문교과의 인성교육적 내용을 주입식이 아닌 자연스럽게 도덕적 감동을 이끌어 낼 수 있어 7차 교육과정 한문과의 목표에서 제시한 ‘건전한 가치관과 바람직한 인성을 함양’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설계된 교수&#8228;학습 활동 모형을 실제로 적용해 보고 실천적 가능성과 효용성을 검증하지 못했다는 연구의 내적 한계점을 갖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 제시한 한문교과서 내에 있는 인성덕목을 관계성을 중심으로 분석한 것과 구체적인 사례와 이야기를 적용한 실천적 인성교육의 교수&#8228;학습 활동 모형은 향후 한문 교육에서 인성 교육에 관한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참고 자료는 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